KR102014333B1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for performing charging by automatic driving and docking - Google Patents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for performing charging by automatic driving and dock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4333B1 KR102014333B1 KR1020190013384A KR20190013384A KR102014333B1 KR 102014333 B1 KR102014333 B1 KR 102014333B1 KR 1020190013384 A KR1020190013384 A KR 1020190013384A KR 20190013384 A KR20190013384 A KR 20190013384A KR 102014333 B1 KR102014333 B1 KR 102014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rging
- electric vehicle
- connector
- robot
- dock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5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4357 Electric shock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91 image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34 remode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27 research and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26 waste batte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75—Means for protecting the manipulator from its environment or vice versa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25J19/021—Optical sensing devices
- B25J19/023—Optical sensing devices including video camera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6—Safety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56—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 B25J9/166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programming, planning systems for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tion, path, trajectory plan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6—Connectors, e.g. plugs or socket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60/00—Drive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autonomous road vehicles
- B60W60/001—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 B60W60/0025—Planning or execution of driving task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operation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88—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characterized by the autonomous decision making process, e.g. artificial intelligence, predefined behaviours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docking at a fixed facility, e.g. base station or loading bay
-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3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 G05D1/0238—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optical position detecting means using obstacle or wall 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32—Auto pilot mo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6—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improving the operation of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율주행과 자동 도킹에 의해 충전을 수행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 로봇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ging robot for an electric vehicle that performs charging by autonomous driving and automatic docking.
최근 들어, 화석 연료의 고갈, 환경 오염 등 각종 문제들로 인해서 이를 대체하기 위한 운송 수단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Recently,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ctive vehicles for replacing them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그리고, 이미 상용화가 이루어진 운송 수단으로 전기자동차(Electric Vehicle)가 대표적이지만, 전기자동차가 등장할때마다 함께 언급되는 것이 전기차의 충전에 대한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an electric vehicle is representative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that has already been commercialized, it is about charging of an electric vehicle that is mentioned together whenever an electric vehicle appears.
아파트, 빌딩과 같은 건물 주차장의 모든 주차공간에 전기자동차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너무 많은 비용이 들게 되며, 전기자동차가 아닌 자동차도 존재하는 점에서 비효율적이다.Install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in all parking spaces of a building parking lot, such as an apartment or a building, is too expensive and is inefficient in that a non-electric car is also present.
그렇다면, 일부 주차공간에만 전기차 충전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주차공간이 남게되는 효율성의 문제점과 주차장에 전기차가 많이 진입할 경우 충전 장치가 모자랄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If so, it may be an alternative to install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only in some parking spaces. In this case, there may be a problem of efficiency of leaving a parking space and a problem of insufficient charging device when a lot of electric vehicles enter the parking lot. do.
위와 같은 문제점들로 인해 대안으로 떠오른 것이 수동 이동식 충전 장치인데, 수동 이동식 충전 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충전 스테이션에서 차량까지 이동식 충전 장치를 이동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An alternative to the above problems is the passive mobile charging device. In the case of the manual mobile charging device, the user has to move the mobile charging device from the charging station to the vehicle.
상술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의 사용자가 매년 급증하고 있는 상황에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할 만한 대안은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ituation where the number of users of electric vehicles is rapidly increasing every year, there is no alternativ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운전자의 간단한 오더만으로 전기자동차가 주차된 위치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한 후, 전기자동차의 충전 커넥터에 자동 도킹되어 충전을 수행하는 충전 로봇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arging robot that performs autonomous docking to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after moving to an autonomous driving to the position where the electric vehicle is parked with a simple order of the driver.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충전 로봇은 전기자동차를 충전하는 충전 로봇에 있어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도킹장치; 특징점을 센싱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로봇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도킹장치는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A charging robot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charging robo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the case;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disposed in the case; A dock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cas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docked to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And a position sensor that senses a feature point and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a position of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charging robot moves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 docking device is driven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can do.
상기 위치 센서는 특징점을 촬상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or may generate position information by photographing a feature point.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은 사용자의 오더 신호에 의해 매핑된 주차장에서 특정되고, 상기 충전 로봇은 대기 위치에서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is specified in the parking lot mapped by the user's order signal, and the charging robot may move autonomousl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충전 로봇은 주차영역의 특징점과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특징점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에서 전기자동차의 인근까지 이동하고, 상기 도킹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특징점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moves from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loca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the characteristic point of the parking area and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or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eature of the charging port or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vehicle, it can be driven.
상기 충전 로봇은 상기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도킹장치의 인출 방향이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가 위치한 방향과 정렬되도록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의 인근까지 직선 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may change its posture so that the withdrawal direction of the docking device may be aligned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charging port or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is located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and then may move linearly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위치 센서는 상기 충전 로봇이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전기자동차의 인근까지 이동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원거리 위치 센서와, 상기 도킹장치가 구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근거리 위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sition sensor may include a remote position sensor that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in at least one of the case where the charging robot moves in autonomous driving and when it moves to the vicinity of an electric vehicle,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when the docking device is driven. It may include a near position sensor to generate.
상기 도킹장치는 3축으로 직선 구동하는 로봇 암과, 상기 로봇 암에 배치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도킹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원거리 위치 센서는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상기 근거리 위치 센서는 상기 도킹 소켓에 배치될 수 있다.The docking device includes a robot arm that linearly drives in three axes, and a docking socket disposed on the robot arm and docked at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wherein the remote position sensor is disposed in the case, A position sensor may be disposed in the docking socket.
상기 충전 로봇은 장애물을 센싱하는 장애물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may further include an obstacle sensor for sensing an obstacle.
상기 장애물 센서는 주된 센싱 방향이 평면도 상에서 자율주행 방향이고, 상기 원거리 위치 센서는 주된 센싱 방향이 평면도 상에서 자율주행 방향과 경사진 방향일 수 있다.The obstacle sensor may have a main sensing direction in an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n a plan view, and the remote location sensor may have a main sensing direction in a direction inclined to an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n a plan view.
상기 충전 로봇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터치 동작에 의해 이동을 정지하는 것과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것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비상버튼;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충격 시 왕복 이동에 의해 완충 구동하는 범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may include: an emergency button disposed in the case and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stopping the movement by the touch operation and stopping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The bumper may further include a bumper disposed at the base and configured to buffer the shock by reciprocating during impact.
상기 충전 로봇은, 상기 범퍼에 배치되고, 상기 범퍼의 충격을 센싱하는 범퍼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may further include a bumper sensor disposed on the bumper and configured to sense an impact of the bumper.
상기 충전 로봇은,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하측에 배치되는 이동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스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본체와 돌출부에 분배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charging robot, the bas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supporting the case; The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moving device disposed below the base, wherein the base includes a main body overlapping with the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rotrusion that does not overlap with the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the moving device includes a main body of the base. And may be disposed to be distributed to the protrusions.
상기 이동장치는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 배치되는 제1휠과 제2휠과, 상기 베이스의 돌출부에 배치되는 제3휠과 제4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1휠과 상기 제2휠의 반경은 상기 제3휠과 상기 제4휠의 반경보다 크고, 충전 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와 지면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The moving device includes a first wheel and a second wheel disposed on the main body of the base, a third wheel and a fourth wheel disposed on the protrusion of the base, the radius of the first wheel and the second wheel is It is larger than the radius of the third wheel and the fourth wheel, and when charg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may be drawn between the body of the electric vehicle and the ground.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수용되는 제1격실과 상기 도킹장치가 수용되는 제2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1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은 상기 제2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The case may include a first compartment in which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is accommodated and a second compartment in which the docking device is accommodated, and a portion of the base body that overlaps the first compartment in a vertical direction is the second compartment. It may be located above the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는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1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과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2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The main body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reinforcement frame inclinedly connecting a portion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compartment in the main body of the base and a portion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compartment in the main body of the base,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2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The reinforcement frame may be inclined downward toward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second compartment in a vertical direction in the main body of the base.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간단한 오더 신호(NFC 통신과 광역 통신망을 이용한 오더 발송)에 의해 매핑된 주차장에서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을 특정하여 자율주행으로 이동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특징점을 촬상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위치를 트래킹하고 도킹을 수행함으로써, 충전의 모든 과정을 자동화시킬 수 있는 충전 로봇을 제공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arking lot mapped by the user's simple order signal (order transmission using NFC communication and wide area network),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is specified and moved to autonomous driving, and the feature of the charging port or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is determine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arging robot capable of automating all processes of charging by capturing and docking a location of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고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도 3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도 7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도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3의 (1)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의 자세 제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의 (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와 도킹 소켓이 도킹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폐배터리를 활용한 전기자동차 충전 비즈니스 모델을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charges an electric vehicle and is charged at a charging sta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at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the electric vehicl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5 is a front view of the charging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 different point of view.
9 is a plan view and a bottom view of the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charging robo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1) is a plan view showing the attitude control of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2) is a front view showing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arging connector and the docking socke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from the docked state.
1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lectric vehicle charging business model using a waste battery.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can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present embodiments only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skilled worke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which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 / 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mention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 / or" includes each and all combinations of one or more of the mentioned components. 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erefore, of course,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may be used in a sense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addition, terms that ar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they are specifically defined clearly.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The spatially relative terms " below ", " beneath ", " lower ", " above ", " upper "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a component's correlation with other components. Spatially relative terms are to be understood as including terms in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in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figures. For example, when flipping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a component described as "below"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may be placed "above" the other component. Can be. Thus, the exemplary term "below" can encompass both an orientation of above and below. Components may be oriented in other directions as well, so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도면에 도시된 z축의 일측과 타측을 전후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z축의 화살표 방향을 후방으로 정의할 수 있고 z축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전방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전방은 "충전 로봇의 자율주행 방향"과 혼용될 수 있으며, "충전 로봇의 자율주행 방향"에 의해 전방이 정의될 수 있다.Hereinaft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z-ax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defin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z-axis may be defined backward,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z-axis may be defined forward. On the other hand, the front may be mixed with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the front may be defined by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robot".
이하, 도면에 도시된 x축의 일측과 타측을 좌우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x축의 화살표 방향을 우측으로 정의할 수 있고 x축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을 좌축으로 정의할 수 있다.Hereinaft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x-axi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defi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x axis may be defined as the right side,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x axis may be defined as the left axis.
이하, 도면에 도시된 y축의 일측과 타측을 상하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y축의 화살표 방향을 상측으로 정의할 수 있고 y축의 화살표 방향의 반대 방향을 하측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하 방향은 "수직 방향"과 혼용될 수 있다.Hereinafter,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y axi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may be defin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n this case,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y axis can be defined as upper side, and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y axis can be defined as lower side. On the other h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be mixed with the "vertical dire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 및 충전 커넥터(100)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이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고 충전 스테이션에서 충전되는 과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가 전기자동차에 거치된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를 도 3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도 7과 다른 시점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충전 로봇을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도킹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13의 (1)은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의 자세 제어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3의 (2)는 본 발명의 도킹 소켓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와 도킹 소켓이 도킹된 상태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Hereinafter, the charging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주차된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자동차(1)는 배터리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동하는 자동차일 수 있는 것은 물론, 나아가 배터리 엔진과 내연 엔진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받아 이동하는 하이브리드 자동차(Hybrid vehicle)까지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The charging
이하,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고 충전 스테이션(20)에서 충전되는 과정을 설명한다.Hereinafter, a process in which the
먼저, 사용자는 전기자동차(1)를 주차시키고, 충전 커넥터(100)를 전기자동차(1)의 번호판(3)에 거치시킨 후, 충전 커넥터(100)를 케이블(100-1)에 의해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와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도 1의 (1), 도 2 참조).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에 직접 도킹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충전 커넥터(100)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와 충전 커넥터(1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는 전기자동차(1)의 생산 제작 단계에서부터 구비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사용자가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를 개조시켜 구비될 수도 있다.First, the user parks the
그 다음 단계로서,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을 호출하는 오더 신호를 중앙 서버(로봇 관리 회사 서버, 주차장 관리 서버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기기(10)에는 스마트폰, 태블릿, PDA, 랩톱 등과 같은 전기 통신 장치, 리모트 콘트롤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s a next step, the user may use the
일 예로, 주차장은 복수의 주차영역으로 구분되어 있을 수 있고(한편, 복수의 주차영역에는 상호 오버랩되는 부분이 존재할 수 있음), 복수의 주차영역에는 이에 매칭되는 스마트 태그(일 예로, NFC 태그; Near field communication Tag)가 구비(일 예로, 기둥에 부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기기(10)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에 위치한 NFC 태그를 선택함으로써, 오더 신호를 중앙 서버로 전송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오더 신호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or example, the parking lot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may b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the plurality of parking areas may be matched with smart tags (for example, NFC tags; Near field communication tag) may be provided (eg, attached to a pillar). The user can transmit the order signal to the central server by selecting the NFC tag located in the parking area of the
한편, 중앙 서버에는 건축물의 도면을 바탕으로 주차장이 매핑(Mapping)되어 있을 수 있다. 중앙 서버에서는 사용자의 오더 신호에 의해(사용자의 오더 신호를 처리하여), 매핑된 주차장에서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이 특정될 수 있다. 그 후, 중앙 서버에서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으로 이동하도록, 충전 로봇(1000)에 제어 명령을 내릴 수 있다.Meanwhile, a parking lot may be mapped to a central server based on a drawing of a building. In the central server, the parking area of the
상술한 과정에 따라,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대기 위치에서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전기자동차가 주차된 위치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의 (2)의 (2-1) 참조).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ocess, the charging
그 다음 단계로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자율주행으로 이동 중에, 위치 센서(820,830)에 의해 "특징점"을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율주행을 중단하고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주행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충전 로봇(100)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도킹장치(400)의 인출 방향(후방)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가 위치한 방향과 정렬되도록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직선 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a next step, the charging
이 경우, "특징점"은 다양한 개수와 형태로 다양한 장소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징점"은 주차영역에 위치하는 주차영역의 특징점(미도시)일 수도 있고,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위치하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일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특징점"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features" may be located in various places in various numbers and forms. For example, the "feature point" may be a feature point (not shown) of the parking area located in the parking area, and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positioned i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 May be a
또한, "특징점"은 스마트 코드와 같은 형태를 가져 위치 센서(820,830)에서 2차원 이미지로 식별될 수도 있고, 특정 형상을 가져 위치 센서(820,830)에서 3차원 깊이 정보로 식별될 수도 있고, 위치 센서(820,830)와 특정 전자 신호로 통신하여 식별될 수도 있지만(일 예로, 비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feature point” may be identified as a two-dimensional image in the
이 경우,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는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처리되어 주차장의 공간 상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좌표)를 도출(산출)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좌표) 그 자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 pos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 ) Can be interpreted as a concept encompassing all information that can be derived (calcula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position (coordinate)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tself.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는 원거리 위치 센서(820)가 구비될 수 있고,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주차영역의 특징점(미도시)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다.그 결과,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자율주행으로 이동 중에, 주차영역의 특징점(미도시)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충전 로봇(1000)의 도킹장치(400)의 인출 방향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가 위치한 방향과 정렬되도록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직선 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다(도 1의 (2)의 (2-2) 참조).For example, the charging
일 예로, 도킹 소켓(500)이 충전 로봇(1000)에서 후방으로 인출되는 경우(도킹장치의 위치는 무관), 충전 로봇(1000)의 후방이 충전 커넥터를 향하도록 자세를 변경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그 다음 단계로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도킹장치(400)의 구동에 의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된 후,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킬 수 있다.As a next step, the charging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는 근거리 위치 센서(830)가 구비될 수 있고,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전기자동차(1)의 인근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을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harging
또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도킹장치(400)는 3축으로 직선 구동을 하는 로봇 암(410)과, 로봇 암(410)에 배치되고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되는 도킹 소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에 따라, 도킹장치(40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한 다음,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에 의해서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될 수 있다. 이 경우, 로봇 암(410)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하여, 도킹 소켓(500)을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도킹 후,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의 전기에너지를 도킹 소켓(500)과 충전 커넥터(100)와 케이블(100-1)과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를 통해 전기자동차(1)에 전달하는 과정을 통해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킬 수 있다(도 1의 (3), 참조).After docking, the charging
그 다음 단계로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방전된 경우,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충전 스테이션(20)으로 이동하여,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되는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충전 스테이션 커넥터(20-1)에 도킹되어 충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충전 스테이션 커넥터(20-1)와 충전 커넥터(100)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As a next step, when the charging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대기 위치에서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은 사용자의 오더 신호에 의해 매핑된 주차장에서 특정된 영역일 수 있다.In summary, the charging
나아가 자율주행 중,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를 발견한 경우, 충전 로봇(1000)은 "위치 정보"에 따라 자세를 변경한 다음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에서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할 수 있고, 도킹장치(400)는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하여 도킹이 수행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is found during autonomous driving, the charging
한편,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도킹장치(4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다만,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를 충전하는 프로세스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사용자의 오더 신호에 의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한 다음, 근거리 위치 센서(830)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도킹장치(400)가 구동되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될 수도 있다.However, the process of charging the
이하,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100-1)에 의해 전기 자동차(1)의 충전구(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전기 자동차(1)의 번호판(3)에 거치되어 고정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이 도킹되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의 전기에너지를 전기 자동차(1)에 전달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charging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케이스(110),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 특징점(140) 및 복수의 후크(1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충전 커넥터(100)의 케이스(110)는 충전 커넥터(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로서, 합성 수지의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될 수 있다.The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도킹 소켓(500)의 소켓 가이드(520)와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는 돌출되고 일부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male and female coupling with the
이하,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가 케이스(110)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where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도킹 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도킹 소켓(500)의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에 수용될 수 있으며, 도킹 소켓(500)이 도킹되는 경로를 올바르게 가이드할 수 있다.When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are docked,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b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of the
한편,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도킹 소켓(500)을 로봇 암(410)의 3축 직선 구동에 의해(도킹 구동),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시킬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로봇 암(410)의 3축 회전 구동까지 수행할 수도 있다면, 충전 커넥터(100)의 자세(약간의 기울어짐 등)에 따라 도킹 소켓(500)의 자세를 정밀하게 제어하여 한 치의 오차없이 도킹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charging
그러나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서 로봇 암(410)의 3축 회전 구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를 위한 별도의 구동 모듈이 추가되기 때문에, 전장 길이가 늘어나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order to perform a three-axis rotational drive of the
즉,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에서는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를 마련함으로써, 도킹 시,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서 도킹 소켓(500)의 자세가 정밀하게 제어되지 않아 발생하는 미세한 오차를 보상하여,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That is, in the charging
즉,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의 도킹 경로가 정상 경로에서 미세하게 이탈하여 도킹을 진행하더라도,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에 의해 도킹 소켓(500)을 가이드하여 안정적으로 도킹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charging
이를 위해,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 각각은 수직 방향(y축)으로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이 자세가 제어(특히, x축 피치 제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도킹 소켓(500)의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가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에 수용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세가 제어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To this end,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have an arrangement in which they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y-axis). As a result, even when the
나아가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 및 중간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개수에 따라 중간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3)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include a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와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는 중간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3)보다 더 돌출(함몰 형태에서는 상단과 하단의 커넥터 가이드가 더 함몰되어 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와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의 돌출 단부의 최대 돌출 길이는 중간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3)의 돌출 단부의 최대 돌출 길이보다 길 수 있다.The
나아가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와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는 중간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 일 예로,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와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최대 길이는 중간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3)의 돌출 방향과 수직한 최대 길이보다 길 수 있다.Furthermore,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형태를 다르게 설정한 이유는,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와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는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 중 수직 방향(y축)을 기준으로 최외곽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로서,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의 x축으로의 자세 제어를 최외곽부에서 최초로 관여하여,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을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정해진 프레임 내로 전반적으로 유도시키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reason why the shap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is set differently is that the
또한,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와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 중 적어도 하나는 도킹 소켓(500)의 접촉 센서(560)에 접촉되어, 접촉 센서(560)가 "접촉 신호"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 "접촉 신호"는 도킹이 완료되었다는 신호로서, 도킹 소켓(500)의 접촉 센서(560)에서 "접촉 신호"가 발생한 다음 충전이 개시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또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 중 적어도 일부의 각각은 돌출된 방향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120-1)와, 제1경사부(120-1)의 하측에 위치하며 돌출된 방향을 향하여 상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120-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protrudes from the lower side of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0-1 and the first inclined portion 120-1 which are inclined downward in the protruding direction. It may include a second inclined portion 120-2 inclined upward toward the direction.
따라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이 인출되는 길이(후술하지만, 후방으로 인출)에 따라, 도킹 소켓(500)의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와의 간격을 단계적으로 좁혀,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을 자연스럽게 가이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of the
나아가 상술한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 중 적어도 일부의 각각은 돌출된 방향(함몰 형태에서는 함몰된 방향)을 향하여 좌측으로 경사진 제3경사부(120-3)와, 제3경사부(120-3)의 좌측에 위치하며 돌출된 방향을 향하여 우측으로 경사진 제4경사부(120-4)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경사부(120-3)와 제4경사부(120-4)는 제1경사부(120-1)와 제2경사부(120-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Furthermore, in order to improve the above-mentioned effect, each of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is inclined to the left toward the protruding direction (depressed direction in the recessed form) and the third inclined portion (120-3), The fourth inclined portion 120-3 may be disposed on the left side and may include a fourth inclined portion 120-4 inclined to the right in the protruding direction. Meanwhile, the third slope portion 120-3 and the fourth slope portion 120-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lope portion 120-1 and the second slope portion 120-2. It is not limited.
한편,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 각각은 적어도 일부의 모서리가 라운드처리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는 도킹 소켓(500)의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라운드처리된 모서리에 의해, 마찰 부분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have rounded corners.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prevent the friction portion from being worn by the rounded corners in the process of being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of the
한편,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 각각은 좌우 방향(x축)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짐). 그 결과, 충전 로봇(1000)의 도킹 소켓(500)이 자세가 제어(특히, z축 롤 제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도킹 소켓(500)의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가 좌우 방향(x축)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에 수용되어 가이드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세가 제어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may have a form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axis) (having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s a result, even when the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은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킹 시,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은 도킹 소켓(500)의 하나 이상의 소켓 전극(530)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One or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 각각은 좌우 방향(x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수직 방향(y축)으로 이웃하는 제1커넥터 전극(131)과 제2커넥터 전극(13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킹 시, 도킹 소켓(500)의 하나 이상의 소켓 전극(530)은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의 제1커넥터 전극(131)과 제2커넥터 전극(132)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 그 결과,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은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와 마찬가지로, 충전 로봇(1000)의 로봇 암(410)이 자세 제어 구동을 하지 않는 것을 보상하여, 하나 이상의 소켓 전극(530)을 가이드할 수 있다.Each of the one or
나아가 제1커넥터 전극(131)과 제2커넥터 전극(132)은 상호 반대 방향으로 곡률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소켓 전극(530)의 인입 시 마찰에 의해 물리적 저항이 발생하는 것과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한편,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에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가 돌출된 방향으로의 단부는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에서 돌출된 부분의 단부를 넘어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Meanwhile, an end portion of the one or
따라서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은 도킹 소켓(500)이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에 의해 가이드된 후, 도킹 소켓(500)의 하나 이상의 소켓 전극(530)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평상 시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이 주변 사물에 의해 마찰되어 마모되거나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ne or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의 변형례에서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은 커넥터 충전 전극(미도시)과 커넥터 신호 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시, 커넥터 충전 전극은 도킹 소켓(500)의 도킹 충전 전극(미도시)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커넥터 신호 전극은 도킹 소켓(500)의 도킹 신호 전극(미도시)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커넥터 충전 전극은 충전을 위한 채널로서 이용되는 전극일 수 있고, 커넥터 신호 전극은 도킹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극일 수 있다. 따라서 도킹 시, 커넥터 신호 전극과 도킹 신호 전극을 통해 "접속 신호"가 발생한 다음(또는 동시에) 커넥터 충전 전극과 도킹 충전 전극을 통해 충전이 개시될 수 있다.In a variation of the charging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의 변형례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은 5개의 핀 형태의 전극이거나 5개의 핀 홀 형태의 전극(5 pin 전극, 5 pin hole 전극)일 수 있고(도킹 전극과 암수 체결 형태를 가지며, 일 예로, 커넥터 전극이 핀 형태인 경우 도킹 전극이 핀 홀 형태일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며, 나아가 일부는 핀 형태이고 나머지는 핀 홀 형태일 수도 있음), 이 중 4개의 전극이 커넥터 충전 전극이고 1개의 전극이 커넥터 신호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e or
특징점(140)은 충전 로봇(1000)의 위치 센서(820, 830)에 의해 센싱되어, 충전 로봇(1000)에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제공할 있다. 특징점(140)은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와 이웃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특징점(140)은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상측(즉,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특징점(140)에는 위치 센서(820, 830)에 의해 센싱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식별 구조가 이용될 수 있으며, 접촉식인지 비접촉식인지 여부를 불문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징점(140)으로서 스마트 코드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특징점(140)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2차원 평면 상에서 형성되어, 충전 로봇(1000)에게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대한 "위치 정보"를 3차원 좌표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정보"는 위치 센서(820, 830)와 충전 커넥터(100) 사이의 거리(d)와 각도(Θ)에 대한 데이터(3차원 좌표 상에서 충전 커넥터의 좌표값)일 수 있다.The
복수의 후크(150)는 충전 커넥터(100)를 전기자동차(1)의 번호판(3)에 거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의 거치 지점이 전기자동차(1)의 번호판(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는 전기 자동차(1)의 다양한 부분에 거치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전기 자동차(1)의 전방 범퍼에 거치될 수도 있다.The plurality of
복수의 후크(150)는 충전 커넥터(100)의 케이스(110)에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의 반대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후크(150) 중 적어도 일부는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복수의 후크(150)는 수직 방향(y축)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이 경우, 복수의 후크(150) 중 상측에 위치하는 후크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고, 복수의 후크(150) 중 하측에 위치하는 후크는 피벗 구동이 가능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hook of the plurality of
충전 커넥터(100)는 사용자가 번호판(3)의 높이에 따라 복수의 후크(150) 중 상측에 위치하는 후크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켜 복수의 후크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고, 복수의 후크(150) 중 하측에 위치하는 후크를 피벗 구동하여 번호판(3)의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을 클램핑함으로써, 번호판(3)에 거치될 수 있다.The charging
일 예로,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의 복수의 후크(150)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1후크(151)와 제2후크(152)와, 하측에 위치하는 제3후크(15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번호판(3)의 높이에 따라 제1후크(151)와 제2후크(152)를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번호판(3)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3후크(153)를 피벗 구동하여, 충전 커넥터(100)를 번호판(3)에 거치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plurality of
이하,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0)와 달리 케이블(100-1)이 필요치 않으며, 번호판(3)에 거치될 필요가 없이,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에 직접 도킹될 수 있다(도 6 참조; 간편형).Hereinafter, the charging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에서는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0)의 복수의 후크(150)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는 복수의 후크(150) 외에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0)의 다른 구성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0)의 구성이 유추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charging
한편,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는 서브 커넥터(2200)와 힌지 링크(2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커넥터(2200)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에 도킹될 수 있고, 힌지 링크(2300)는 케이스(2100)와 서브 커넥터(2000)를 힌지 구동이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변형례의 충전 커넥터(2000)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와 도킹한 상태에서, 자세가 변경될 수 있다. 나아가 힌지 커넥터(2300)는 다양한 축을 기준으로 케이스(2100)의 자세를 변경시킬 수 있고, 구면 커넥터 등의 다양한 종류의 커넥터로 대체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harging
이하,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케이스(200),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 도킹장치(400), 베이스(600), 이동장치(700), 센싱장치(800), 비상버튼(900), 범퍼(1100) 및 전자제어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Hereinafter, the charging
케이스(200)는 충전 로봇(1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의 후방에는 셔터(210)가 배치될 수 있다. 셔터(210)는 충전 로봇(1000)의 도킹 구동 및 충전 시에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도킹장치(400)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개방 부분을 마련할 수 있다.The
한편, 케이스(200)에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가 수용되는 제1격실(201)과, 도킹장치(400)가 수용되는 제2격실(202)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격실(201)은 제2격실(20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전방에 위치하고 상대적으로 무게가 가벼운 도킹장치(400)는 후방에 위치하여, 충전 로봇(1000)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은 전방으로 편향될 수 있다.Meanwhile, the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에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을 위한 전기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케이스(200)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도킹장치(400)보다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는 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일 수 있다.The electric
도킹장치(400)는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되어,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기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도킹 장치(400)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로봇 암(410)과 도킹 소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The
로봇 암(410)은 3축(x, y, z축)으로 직선 구동을 할 수 있다. 로봇 암(410)에는 도킹 소켓(500)이 배치될 수 있고, 도킹 소켓(500)은 로봇 암(410)의 도킹 구동에 따라 이동하여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될 수 있다.The
로봇 암(410)은 3축 구동을 위해, 제1레일(411), 제2레일(412), 암부(413), 제1로봇 암 구동부(414), 제2로봇 암 구동부(415) 및 제3로봇 암 구동부(416)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레일(411)은 좌우 방향(x축)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제2레일(412)은 제1로봇 암 구동부(414)에 의해 제1레일(411)을 따라 좌우 방향(x축)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제2레일(412)는 수직 방향(y축;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암부(413)는 제2로봇 암 구동부(415)에 의해 제2레일(412)을 따라 수직 방향(y축)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암부(413)는 제3로봇 암 구동부(416)에 의해 전후 방향(z축)으로 직선 이동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1레일(411)과 제2레일(412)은 볼 스크류 또는 리드 스크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암부(413)는 "x링크 리프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로봇 암 구동부(414), 제2로봇 암 구동부(415) 및 제3로봇 암 구동부(416)로는 다양한 종류의 전동 모터(일 예로, 스텝 모터)나 유압기 등이 이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제1레일(411)과 제2레일(412)을 볼 스크류 또는 리드 스크류 형태로 마련한 이유는 암부(413)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정밀하게 이동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암부(413)를 "x링크 리프트" 형태로 마련한 이유는 다른 인출 장치와 비교하여 접었을 때 저장 공간이 많이 필요치 않으며(충전 로봇의 전장 길이 축소), 펼쳤을 때 충분한 인출 길이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The reason why the
도킹장치(400)의 구동 시, 제1로봇 암 구동부(414)와 제2로봇 암 구동부(415)가 먼저 구동하여(x, y축 구동), 2차원 좌표 상(x-y 좌표)에서 도킹 소켓(500)을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정렬시킬 수 있다.When the
그 다음, 제3로봇 암 구동부(416)이 구동하여(z축 구동), 암부(413)가 후방(z축의 화살표 방향)으로 인출되는 것을 통해, 도킹 소켓(500)이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에 도킹시킬 수 있다.Then, the third robot
한편,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변형례에서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가 후방에 도킹장치(400)가 전방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암부(413)는 전방으로 인출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modified example of the charging
이상, 구동장치(400)의 로봇 암(410)에 대해 설명하였고, 도킹 소켓(5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The
베이스(600)는 케이스(200)의 하면(하판)을 형성하는 것과 케이스(200)를 지지하는 것 중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베이스(600)는 케이스(200)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일 수도 있고, 케이스(200)와 별도의 부재로서 케이스(200)의 하측에 배치되어 케이스(200)를 지지할 수도 있다. 나아가 베이스(600)는 단일의 층으로 구성된 부재일 수도 있고, 겹겹히 쌓여 복수의 층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도 있다.The base 600 may perform one of forming a lower surface (lower plate) of the
베이스(600)는 케이스(200)와 수직 방향(y축)으로 오버랩되는 본체(610)와 케이스(200)와 수직 방향(y축)으로 오버랩되지 않는 돌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돌출부(620)는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620)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전기자동차(1)의 차체 밑으로 인입될 수 있다.The base 600 may include a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무게중심은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운 에너지 저장장치(300)에 의해 전방으로 편향되어 위치하므로, 이에 따라, 베이스(600)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충전 로봇(1000)이 주행 및 충전 중에 쉽게 쓰러지는 것(특히,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였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charging
한편,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1격실(201)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1)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2격실(20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2)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베이스(600)의 본체(610)에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이는 제2격실(202)에 수용되어 있는 도킹장치(400)가 전기자동차(1)의 충전구(2) 또는 충전 커넥터(100)와 도킹되기 위해서는 제1격실(201)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지점에 위치해야하기 때문일 수 있다. 또한, 충전 로봇(1000)의 주된 주행 방향이 전방(자율주행 방향; 단, 자세를 변경한 후에는 후방으로 주행)이므로 주행 동력을 효율적으로 전달해야함에 따라 충전 로봇(1000)의 전방에 직경이 큰 휠을 배치시킴으로써, 직경이 큰 휠이 차지하는 배치공간만큼(또는 휠 구동부의 수용공간만큼) 제1격실(201)이 상측으로 이동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This is because the
한편, 베이스(600)의 본체(610)에는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1격실(201)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1)과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2격실(20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2)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610-1)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 경우, 보강 프레임(610-1)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에서 제2격실(202)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612)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고 무게가 무거운 제2격실(202)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inforcement frame 610-1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이동장치(700)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이동을 위한 구성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이동장치(700)는 제1휠(710), 제2휠(720), 제3휠(730), 제4휠(740) 및 휠 구동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제1휠(710)과 제2휠(720)은 휠 구동부(750)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 휠일 수 있고, 제3휠(730)과 제4휠(740)은 제1휠(710)과 제2휠(720)의 구동에 종동되는 종동 휠일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주된 주행 방향은 전방이므로, 이를 반영하여, 제1휠(710)과 제2휠(720)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에 배치되어 전방에서 이동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제3휠(730)과 제4휠(740)은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에 배치되어 후방에서 베이스(600)를 지지하며 제1휠(710)과 제2휠(720)을 보조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ain driving direction of the charging
좀 더 상세하게, 제1휠(710)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의 가장자리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2휠(720)은 베이스(600)의 본체(610)의 가장자리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3휠(730)은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의 가장자리의 우측에 위치할 수 있고, 제4휠(740)은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의 가장자리의 좌측에 위치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한편, 구동 휠인 제1휠(710)과 제2휠(720)은 종동 휠인 제3휠(730)과 제4휠(740)보다 직경이 더 클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600)의 돌출부(620)는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게 이동하는 경우, 전기자동차(1)의 차체 밑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600)의 돌출부(620)가 전기자동차(1)의 차체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3휠(730)과 제4휠(740)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부(620)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전기자동차(1)의 최저지상고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한편, 제3휠(730)과 제4휠(740)의 하단에서부터 돌출부(620)의 상단까지의 길이는 개별 국가의 법령에 따른 최저지상고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일 예로, 15cm 이하일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센싱장치(800)는 장애물 센서(810), 위치 센서(820, 830) 및 범퍼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The
장애물 센서(810)는 케이스(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애물을 센싱할 수 있다. 장애물 센서(810)는 주로 이동 시의 장애물을 센싱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장애물 센서(81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도록 직선 주행(자세 변경 후의 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충전 로봇(1000)은 장애물이 센싱된 경우, 이동을 정지하거나 다른 경로를 탐색한 후 경로를 변경하여 이동할 수 있다.When the obstacle is sensed, the charging
한편, 장애물 센서(810)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장애물 센서(810)로서 라이다, 초음파 센서, 3D 카메라 모듈, RGBD 카메라 모듈, 키넥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for the
한편, 라이다(811)는 센싱 영역(스캐닝 영역)이 2차원(x-z 평면)일 수 있고, 특정 높이에서의 장애물(일 예로, 대략적으로 지면으로부터 60cm; 어린 아이의 키에 맞출 수 있다)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실질적으로 센싱 영역이 3차원인 것 같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idar 811 has a sensing area (scanning area) can be two-dimensional (xz plane), the obstacle at a specific height (for example, approximately 60cm from the ground; can be adjusted to the height of the young child) It determines whether there is, and can produce the effect that the sensing area is substantially three-dimensional.
한편, 장애물 센서(810)로서 상호 다른 종류의 센서가 활용되는 경우, 상호 간의 부족한 센싱 조건(일 예로, 주변 조도 등)과 센싱 영역을 커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일 예로, 라이다와 초음파 센서의 조합).On the other hand, when different types of sensors are used as the
장애물 센서(810)는 케이스(200)의 전방면(전방판)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충전 로봇(1000)은 충전 진행 과정 전반에서, 주로 전방(자율주행 방향)으로 주행하므로, 장애물 센서(810)의 주된 센싱 방향(도 9의 (1-1) 참조; 일 예로, 센싱 영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방향, 센싱 영역의 중심이 형성되는 방향 등)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일 수 있다. 다만, 장애물 센서(810)의 주된 센싱 방향이 전방이라는 것이지, 장애물 센서(810)가 충전 로봇(1000)의 좌측과 우측을 센싱할 수 없다는 것은 아니다.The
즉, 장애물 센서(810)는 충전 로봇(1000)의 좌측(전방 좌측)과 우측(전방 우측)도 커버할 수 있으며, 충전 로봇(1000)이 자세를 변경한 후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도록 후방으로 주행하는 경우에도 좌측과 우측에서 장애물이 나타나는 것을 센싱할 수 있다.That is, the
위치 센서(820, 83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를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위치 센서(820, 830)는 단일한 종류의 센서로 마련될 수도 있고, 원거리 위치 센서(820)와 근거리 위치 센서(830)와 같이 이종의 센서를 포함할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이 경우, 위치 센서(820, 830)는 다양한 방식에 의해 센싱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센서(820, 830)로서 라이다, 초음파 센서, 3D 카메라 모듈, RGBD 카메라 모듈, 키넥트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이용될 수 있고, 위치 센서(820, 830)는 다양한 종류의 "특징점"을 센싱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this case, the
한편, 위치 센서(820, 830)로서, 카메라 모듈이 이용되는 경우, 특징점(140)을 촬상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촬상 이미지 분석 알고리즘 적용).On the other hand, when the camera module is used as the
위치 센서(820, 830)는 센싱 대상과의 거리에 따라 원거리 위치 센서(820)와 근거리 위치 센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일 예로,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충전 로봇(1000)이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까지 이동한 다음 도킹장치(400)가 구동하는 경우에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주차영역의 특징점(미도시)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즉,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구)에 위치하는 특징점(140)을 센싱하여 도출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달리,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에 위치한 특징점(미도시)을 센싱하여 생성된 위치 정보를 처리 및 분석하여 도출될 수도 있다(일 예로,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의 건물 구조물에 배치된 QR코드를 센싱하여 QR코드에 관한 위치 좌표를 획득한 후, QR코드의 좌표에서 데이터베이스에 기저장된 건물 구조물과 전기자동차의 예상 주차 위치 사이의 거리를 대입하여, 충전 커넥터의 위치를 도출할 수 있음).That is, the location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derived by sensing the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케이스(200)의 우측면(우측판)과 좌측면(좌측판)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원거리 위치 센서(820)는 제1원거리 위치 센서(821)와 제2원거리 위치 센서(82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도 9의 (1-2) 및 (1-3) 참조; 일 예로, 센싱 영역이 점차적으로 확장되는 방향, 센싱 영역의 중심(카메라 모듈인 경우 광축)이 형성되는 방향 등)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과 경사질 수 있다. 나아가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과 수직일 수 있다.Main sensing direction of the remote position sensor 820 (see (1-2) and (1-3) of FIG. 9; for example,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nsing region is gradually extended, the center of the sensing region (the optical axis in the case of the camera module)) The direction, etc.) may be inclined with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front) of the charging
충전 로봇(1000)은 우선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전방을 향하여 자율주행을 하며, 자율주행 과정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을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 정보"에 따라 후방면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를 향하도록 자세를 변경하고, 후방으로 주행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인접할 수 있다.The charging
따라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과정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경로의 좌측과 우측에 위치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을 센싱하기 위해서는,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이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과 경사지거나 수직한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in the autonomous driving process of the charging
일 예로, 제1원거리 위치 센서(821)는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의 우측(우측판)에 배치될 수 있고, 주된 센싱 방향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과 우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할 수 있다. 또한, 제2원거리 위치 센서(822)는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의 좌측(좌측판)에 배치될 수 있고, 주된 센싱 방향은 평면도 상에서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과 좌측으로 경사지거나 수직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다만, 장애물 센서(810)와 마찬가지로, 원거리 위치 센서(820)의 주된 센싱 방향이 충전 로봇(1000)의 자율주행 방향(전방)과 경사지거나 수직하다는 것이지, 원거리 위치 센서(820)가 충전 로봇(1000)의 전방이나 후방을 센싱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like the
한편, 근거리 위치 센서(83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킹 소켓(500)과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범퍼 센서(미도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범퍼(1100)와 함께 후술하도록 한다.Meanwhil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비상버튼(900)은 충전 로봇(1000)의 케이스(200)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비상버튼(900)은 사용자, 관리자, 주변 사람의 터치 동작에 의해 작동할 수 있고, 비상버튼(900)의 터치 시, 충전 로봇(1000)의 이동을 정지하는 것과 전기자동차(1)를 충전시키는 것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다.The
즉, 비상버튼(900)은 비상상황의 경우(일 예로, 충전 로봇이 장애물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주행을 유지하는 경우, 충전 중 어린 아이들이 소켓 및 커넥터 등에 접근하여 감전의 위험이 있는 경우), 충전 로봇(1000)의 동작을 급하게 정지시키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비상버튼(900)은 제1비상버튼(910)과 제2비상버튼(92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비상버튼(910)은 케이스(200)의 우측(우측판)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비상버튼(910)은 케이스(200)의 좌측(좌측판)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범퍼(1100)는 충전 로봇(1000)의 충격 시 완충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일 수 있다. 충전 로봇(1000)의 충격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범퍼(1100)에 의해 충전 로봇(1000)이 넘어지거나 충격 대상이 다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
범퍼(1100)는 베이스(600)에 배치될 수 있다. 범퍼(1100)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충격 시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및 복원에 따른 왕복 이동에 의한 완충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에어 범퍼; Air bumper).The
한편, 범퍼 센서(미도시)는 범퍼(1100)에 배치될 수 있고, 범퍼(1100)의 충격을 센싱할 수 있다. 범퍼 센서는 주로 이동 시의 충격을 센싱할 수 있다.Meanwhile, a bumper sensor (not shown) may be disposed in the
일 예로, 범퍼 센서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까지 자율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와 전기자동차(1)에 인접하도록 직선 주행(자세 변경 후의 주행)으로 이동하는 경우 중 적어도 하나의 경우에 범퍼(1100)의 충격을 센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umper sensor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se where the charging
한편, 충전 로봇(1000)은 범퍼(1100)의 충격이 센싱된 경우, 이동을 정지하거나 다른 경로를 탐색한 후 경로를 변경하여 이동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impact of the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은 장애물 센서(810)와 범퍼 센서에 의해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급작스러운 상황에서 장애물과 충격한 경우 완충 작용을 하며 충격을 감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이동을 정지하거나 다른 경로를 탐색한 후 경로를 변경하여 이동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the charging
범퍼(1100)는 베이스(600)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방 충격을 완충하는 제1범퍼(1100)와 베이스(600)의 우측에 배치되어 우측 충격을 완충하는 제2범퍼(1200)와 베이스(600)의 좌측에 배치되어 좌측 충격을 완충하는 제3범퍼(1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범퍼(1100)와 제2범퍼(1200)와 제3범퍼(1300)에는 독립적으로 범퍼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1범퍼(1100)는 베이스(600)의 돌출부(62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충격 시, 전후 방향(z축)으로 완충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범퍼(1200)와 제3범퍼(1300)는 베이스(600)의 본체(61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충격 시, 좌우 방향(x축)으로 완충 구동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전자제어장치(미도시)는 중앙 서버 및 충전 로봇(1000)의 다른 구성들과 통신하여 다양한 신호 및 정보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충전 로봇(1000)의 구성들을 제어하여, 충전 로봇(1000)을 작동시킬 수 있다.The electronic controller (not shown) communicates with other components of the central server and the charging
일 예로, 전자제어장치는 중앙 서버로부터 전기자동차(1)의 주자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처리하여,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으로 자율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장치는 센싱장치(600)로부터 생성된 "장애물 정보"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도킹장치(400)와 이동장치(700)를 제어하여, 도킹 구동, 주행 정지 및 경로 재탐색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제어장치는 비상버튼(900)의 터치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따라,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와 이동장치(700)를 제어하여, 충전을 중단하거나 주행을 정지하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ectronic controller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runner region of the
이하, 도킹 소켓(500)과 근거리 위치 센서(830)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킹 소켓(500)은 로봇 암(410)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에 따라 도킹 구동하는 것에 의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되는 구성일 수 있다.The
도킹 소켓(500)은 케이스(510),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 하나 이상의 소켓 전극(530), 베이스(540), 자세 제어 부재(550), 접촉 센서(560) 및 근거리 위치 센서(830)를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스(510)는 도킹 소켓(5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재일 수 있으며, 케이스(510)에는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가 형성될 수 있고, 케이스(510)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소켓 전극(530)이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510)의 후방(후방판)에는 베이스(540)가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510)와 베이스(540)의 사이에는 자세 제어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510)의 후방면(후방판)의 내측에는 접촉 센서(560)가 배치될 수 있다.The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에는 도킹 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420)가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는 도킹 시 도킹 소켓(500)이 이탈 없이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정밀하게 도킹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When docked, a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4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accommodated in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may perform a function of allowing the
즉,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420)와 형합(치합)하여, 도킹 소켓(500)의 자세가 제어되지 않음에 따라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는 것을 보상할 수 있다.That is,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are matched (matched)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4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so that the attitude of the
이를 위해,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와 암수 결합되도록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는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부는 돌출되고 일부는 함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male and female coupling with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1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Therefore,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may be formed to protrude, or may be formed to be recessed, and some may be formed to protrude and some may be recessed.
이하,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가 케이스(110)에서 함몰되어 형성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a case in which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are formed by being recessed in the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420)가 돌출된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전방(z축에서 화살표의 반대 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are recessed in the front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arrow on the z-axis)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shape in which the plurality of connector guides 420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protrude. Can be formed.
즉,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 각각은 수직 방향(y축)으로 상호 이격되어 적층되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는 상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1), 하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2) 및 중간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의 개수에 따라 중간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3)의 개수는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1)와 하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2)는 중간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3)보다 더 함몰(돌출된 형태인 경우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가 더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1)와 하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2)는 중간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3)보다 더 두꺼울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socket guides 520 may have an arrangement in which the socket guides 52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 vertical direction (y-axis).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may include a
그 결과, 도킹 소켓(500)이 자세가 제어(특히, x축 피치 제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가 수직 방향으로 상호 이격된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를 수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세가 제어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s a result, even when the
한편,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 각각은 좌우 방향(x축)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짐).Mean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socket guides 520 may have a form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x-axis) (having a leng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그 결과, 도킹 소켓(500)이 자세(특히 z축 롤 제어)가 제어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가 좌우 방향(x축)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를 수용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자세가 제어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As a result, even when the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은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킹 시,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One or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 각각은 좌우 방향(x축)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하나 이상의 커넥터 전극(130) 각각의 제1커넥터 전극(131)과 제2커넥터 전극(132)의 사이로 인입될 수 있다.Each of the one or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변형례에서는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은 도킹 충전 전극(미도시)과 도킹 신호 전극(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킹 시, 도킹 충전 전극은 충전 커넥터(100)의 커넥터 충전 전극(미도시)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도킹 신호 전극은 충전 커넥터(100)의 커넥터 신호 전극과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한편, 도킹 충전 전극은 충전을 위한 채널로서 이용되는 전극일 수 있고, 도킹 신호 전극은 도킹 여부를 확인하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극일 수 있다. 따라서 도킹 시, 도킹 신호 전극과 커넥터 신호 전극을 통해 "접속 신호"가 발생한 다음(또는 동시에) 도킹 충전 전극과 커넥터 충전 전극을 통해 충전이 개시될 수 있다.In a variation of the charging
본 발명의 충전 로봇(1000)의 변형례의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은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일 예로,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은 5개의 핀 형태의 전극이거나 5개의 핀 홀 형태의 전극(5 pin 전극, 5 pin hole 전극)일 수 있고(커넥터 전극과 암수 체결 형태를 가지며, 일 예로, 도킹 전극이 핀 형태인 경우 커넥터 전극이 핀 홀 형태일 수 있고, 그 역도 가능하며, 나아가 일부는 핀 형태이고 나머지는 핀 홀 형태일 수도 있음), 이 중 4개의 전극이 도킹 충전 전극이고 1개의 전극이 도킹 신호 전극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One or
도킹 소켓(500)의 베이스(540)는 케이스(510)의 전방(z축에서 화살표 반대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540)에는 근거리 위치 센서(830)가 배치될 수 있으며, 로봇 암(410)의 암부(413)와 연결될 수 있다.The
한편, 도킹 소켓(500)의 베이스(540)에는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이 마련될 수 있으며, 도킹 소켓(500)의 베이스(540)의 인쇄 회로 기판에 의해 전기에너지 저장장치(300)와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a printed circuit board (PCB) may be provided at the
도킹 소켓(500)의 베이스(540)의 상부에는 근거리 위치 센서(830)가 배치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커넥터(100;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을 촬상하여 충전 커넥터(100;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자세 제어 부재(540)는 도킹 소켓(500)의 케이스(510)와 도킹 소켓(500)의 베이스(5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킹 소켓(500)의 케이스(510)의 자세를 가변시킬 수 있다.The
일 예로, 자세 제어 부재(540)는 도킹 소켓(500)의 케이스(510)의 자세를 y축을 기준으로 요 제어(y축 기준으로 일정 반경 회전하는 피벗 구동)시킬 수 있다.For example, the
이를 위해, 자세 제어 부재(540)는 z축(전후 방향)으로 탄성 구동(탄성 변형)할 수 있고, x축(좌우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탄성체(55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탄성체(550)는 z축으로 탄성 변형되는 제1탄성체(551)와 제2탄성체(5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탄성체(551)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탄성체(552)는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나아가 자세 제어 부재(540)는 케이스(510)의 y축 요 제어를 가이드하는 토션 스프링(미도시; Torsion spring)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토션 스프링은 제1탄성체(551)와 제2탄성체(55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자세 제어 부재(540)는 로봇 암(410)이 y축으로 요 제어되지 않아 발생하는 미세한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The
한편,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가 수직 방향(y축)으로 상호 이격된 적층 배치에 의해 x축 피치 제어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복수의 소켓 가이드(520)와 하나 이상의 도킹 전극(530)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지는 것에 의해 z축 롤 제어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자세 제어 부재(540)에 의해 y축 요 제어되는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above-mentioned thing is summed up, the effect which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x-axis pitch control by the laminated arrangement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y-axis) can be acquired, and a plurality of socket guides ( 520 and the at least one
접촉 센서(56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복수의 커넥터 가이드(120)와 접촉하여, 도킹이 완료된 것을 센싱하는 구성일 수 있다. 접촉 센서(560)는 제1접촉 센서(561)와 제2접촉 센서(562)를 포함할 수 있다.The
제1접촉 센서(561)는 상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1)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고, 상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1)가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2접촉 센서(562)는 하단에 위치한 소켓 가이드(522)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고, 하단에 위치한 커넥터 가이드(122)가 접촉하는 것을 감지하여 "접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한편, 충전 로봇(1000)은 전자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제1접촉 센서(561)와 제2접촉 센서(562) 모두에서 "접촉 신호"가 생성된 경우에 충전을 개시할 수 있다.Meanwhile, the charging
따라서 충전 로봇(1000)은 도킹 소켓(500)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도킹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이 시작되어, 충전 효율이 떨어지는 것과 도킹 소켓(500)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틈 사이로 인체가 접촉되어 감전 사고가 일어나는 것 등을 방지할 수 있다.Therefore, the charging
나아가 충전 로봇(1000)은 각각 상부와 하부에 위치하는 제1접촉 센서(561)와 제2접촉 센서(562) 모두에서 "접촉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에 충전을 개시함으로써, 도킹 소켓(500)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중 하나가 기울어져 어느 일방의 접촉 센서에만 접촉함으로써 도킹이 완료되지 않은 상태에서 충전을 시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harging
한편, 본 발명의 충전 커넥터(100) 및 충전 로봇(1000)의 변형례의 "도킹 신호 전극(미도시)" 및 "커넥터 신호 전극(미도시)"도 접촉 센서(56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도킹 신호 전극(미도시)" 및 "커넥터 신호 전극(미도시)"은 접촉 센서(560)와 동시에 구비되어 이중 안전 장치를 구현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dock signal electrode (not shown)" and "connector signal electrode (not shown)" of the modification of the charging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로봇(1000)이 전기자동차(1)의 인근에서 도킹장치(400)로 도킹 구동을 수행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The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을 센싱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관한 위치 정보를 정밀하게 생성해야 하기 때문에, 원거리 위치 센서(830)와 달리, 전기자동차(1)의 주차영역에 위치하는 특징점을 센싱하지 않으며,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직접 배치된 특징점(140)만을 센싱하여 위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short-
근거리 위치 센서(830)에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가 이용될 수 있고, 일 예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을 촬상하여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위치에 관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모듈일 수 있다.Various types of sensors may be used for the short-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도킹장치(400)의 3축 직선 구동을 위한 센서일 수 있으며, 로봇 암(410)은 3차원 좌표 상에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가 위치하는 좌표를 향하여 도킹 소켓(500)을 이동시킴으로써,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 소켓(500)을 도킹시킬 수 있다.The
한편,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도킹 소켓(500)의 케이스(510)의 후방에 위치한 도킹 소켓(500)의 베이스(540)에 배치될 수 있다(보다 상세하게, 베이스의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 따라서 근거리 위치 센서(830)는 도킹 소켓(500)의 케이스(510)와 수직 방향(y축)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도킹 소켓(500) 인출됨에 따라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특징점(140)과 가까워진다고 하더라도, 일정 거리를 확보하여 포커싱을 위한 초점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Meanwhile, the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구성은 통상의 기술자가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의 일부 구성은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대신 도킹 소켓(5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도킹 소켓(500)의 일부 구성은 도킹 소켓(500) 대신 충전 커넥터(100;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구비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have a variety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that the skilled person does not change the essential features. For example, some components of the charging connector 100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may be provided in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In the abo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realize the present invention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I can understand that.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Claims (15)
셔터가 배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전기에너지 저장장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도킹장치; 및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에 위치하며 2차원 평면 이미지인 스마트 코드를 센싱하여,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의 위치와 관련된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도킹 장치는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과 전후 방향으로 직선 구동하는 로봇암과, 상기 로봇암의 구동에 따라 전기자동차의 충전구 또는 충전 커넥터에 도킹되는 도킹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위치 센서는 케이스에 배치되는 제1위치 센서와 상기 도킹 소켓에 배치되는 제2위치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 로봇은,
사용자가 사용자 기기를 이용하여 복수의 주차영역 중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에 위치한 스마트 태그를 선택하여 오더 신호를 생성하면, 매핑된 주차장에서 상기 오더 신호에 의해 특정된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제1위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자세를 변경한 후, 전기자동차의 인근까지 직선 주행으로 이동한 다음,
상기 셔터를 개방한 후, 상기 제2위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상기 로봇암을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정렬한 다음 후방으로 인출시켜 상기 도킹 소켓을 충전 커넥터 또는 전기자동차의 충전구에 도킹하는 충전 로봇.
In the charging robot for charging an electric vehicle parked in a parking lot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king areas provided with a smart tag,
A case in which the shutter is disposed;
An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disposed in the case;
A docking device disposed inside the cas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docked to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And
It includes a position sensor for sensing the smart code that is located in the charging port or charging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and generates position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sition of the charging or charging connector of the electric vehicle,
The docking device includes a robot arm that linearly drives in left, right, up and down directions, and a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a docking socket docked to a charging port or a charging connector of an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robot arm.
The position sensor includes a first position sensor disposed in the case and a second position sensor disposed in the docking socket,
The charging robot,
When a user generates an order signal by selecting a smart tag located in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among the plurality of parking areas, the user moves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specified by the order signal in the mapped parking lot. ,
After changing the posture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st position sensor, the vehicle moves in a straight line to the vicinity of the electric vehicle,
After opening the shutter, according to the position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second position sensor, the robot arm is align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up and down direction, and then pulled out to the rear to connect the docking socket to the charging connector or the charging port of the electric vehicle. Charging robot to dock on.
상기 로봇암은 볼 스크류 또는 리드 스크류 구조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1레일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제2레일과, x링크 구조를 가지며 전후 방향으로 구동하며 상기 도킹 소켓이 배치되는 암부를 포함하는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robot arm has a ball screw or lead screw structure and includes a first rail driving in a left and right direction, a second rail driv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arm part having an x link structure and driving in a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having the docking socket disposed therein. Charging robot.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는 전방에 상기 도킹 장치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충전 로봇은,
매핑된 주차장에서 상기 오더 신호에 의해 특정된 전기자동차의 주차영역으로 전방을 향하여 이동한 다음,
상기 제1위치 센서에 의해 생성된 위치 정보에 따라, 후방이 전기자동차를 향하도록 자세를 변경하는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is disposed in the front, the docking device is disposed in the rear,
The charging robot,
After moving forward from the mapped parking lot to the parking area of the electric vehicle specified by the order signal,
And a charging robot configured to change a posture of the rear side toward the electric vehicle according to the positional information generated by the first position sensor.
상기 충전 로봇은 장애물을 센싱하는 장애물 센서를 더 포함하는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robot further comprises an obstacle sensor for sensing an obstacle.
상기 장애물 센서는 주된 센싱 방향이 평면도 상에서 자율주행 방향이고,
상기 제1위치 센서는 주된 센싱 방향이 평면도 상에서 자율주행 방향과 경사진 방향인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8,
The obstacle sensor has a main sensing direction is an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on a plan view,
The first position sensor is a charging robot, the main sensing direction of the autonomous driving direction and the inclined direction on the plan view.
상기 충전 로봇은,
상기 케이스에 배치되고, 터치 동작에 의해 이동을 정지하는 것과 전기자동차를 충전시키는 것을 정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비상버튼을 더 포함하는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robot,
And a emergency button disposed on the case, the emergency button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stopping the movement by the touch operation and stopping the charging of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충전 로봇은,
상기 충전 로봇을 이동시키는 종동 휠과 구동휠;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형성하는 것과 상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배치되고, 충격 시 왕복 이동에 의해 완충 구동하는 범퍼; 및
상기 범퍼에 배치되고, 상기 범퍼의 충격을 센싱하는 범퍼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케이스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본체와, 상기 케이스와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으며 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휠은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종동 휠은 상기 돌출부에 배치되는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1,
The charging robot,
A driven wheel and a driving wheel for moving the charging robot;
A base for performing at least one of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case and supporting the case;
A bumper disposed on the base, the bumper driving by cushioning by reciprocating movement during impact; And
A bumper sensor disposed on the bumper and configured to sense an impact of the bumper,
The base includes a main body overlapping with the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protrusion protruding rearward without overlapping with the case in a vertical direction.
The driving wheel is disposed in the main body of the base, the driven wheel is disposed in the protrusion.
충전 시, 상기 돌출부의 적어도 일부는 전기자동차의 차체와 지면 사이로 인입되는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12,
At the time of charg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protrusion is drawn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ground of the electric vehicle.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전기에너지 저장장치가 수용되는 제1격실과 상기 도킹장치가 수용되는 제2격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1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은 상기 제2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충전 로봇.
The method of claim 12,
The case is formed with a first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electrical energy storage device and a second compartment for accommodating the docking device,
A portion of the base body overlapping with the first compart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a charging robot located above the portion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compartment.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는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1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과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2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경사지게 연결하는 보강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본체에서 상기 제2격실과 수직 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부분을 향하여 하측으로 경사진 충전 로봇.The method of claim 14,
The main body of the base is formed with a reinforcement frame inclinedly connecting a portion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first compartment in the main body of the base and a portion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compartment in the main body of the base,
The reinforcing frame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portion overlapp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the second compartment in the main body of the base.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384A KR102014333B1 (en) | 2019-02-01 | 2019-02-01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for performing charging by automatic driving and docking |
PCT/KR2019/011437 WO2020159027A1 (en) | 2019-02-01 | 2019-09-05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cket, and docking assembly for charging electric ca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13384A KR102014333B1 (en) | 2019-02-01 | 2019-02-01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for performing charging by automatic driving and dock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4333B1 true KR102014333B1 (en) | 2019-08-27 |
Family
ID=67807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13384A KR102014333B1 (en) | 2019-02-01 | 2019-02-01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for performing charging by automatic driving and dock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4333B1 (en) |
Cited B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59027A1 (en) * | 2019-02-01 | 2020-08-06 | (주)에바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cket, and docking assembly for charging electric car |
KR20210067105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케이엔 | System of unmanned charging/parking |
EP3875307A1 (en) * | 2020-03-06 | 2021-09-08 | OMRON Corporation | Mobile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system |
KR20220141575A (en) | 2021-04-13 | 2022-10-20 | 주식회사 만도 |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11575268B2 (en) | 2019-11-06 | 2023-02-07 | Naver Labs Corporation | Robot, charging pad, and robot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
KR20230051868A (en) * | 2021-10-12 | 2023-04-19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230130183A (en) * | 2022-03-02 | 2023-09-1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2582166B1 (en) | 2023-06-08 | 2023-09-25 | 주식회사 한다랩 | Pick Up System of Autonomous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
KR20230144807A (en) | 2022-04-08 | 2023-10-17 | 주식회사 인피니트코리아 | EV Charging System comprising Mobile Charger using Fuel Cell |
WO2023212227A1 (en) * | 2022-04-28 | 2023-11-02 | Hyliion Inc. | System and method for fulfilling requests for electric energy services |
CN117118310A (en) * | 2023-10-24 | 2023-11-24 | 国网山西省电力公司物资分公司 | New energy power generation equipment for reducing emission of electric power carbon |
CN117246174A (en) * | 2023-11-08 | 2023-12-19 | 南通国轩新能源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charging robot system and automatic cruise control method |
KR102620640B1 (en) * | 2023-06-15 | 2024-01-03 | 주식회사 도구공간 | Robot docking station |
KR20240039466A (en) | 2022-09-19 | 2024-03-26 | 주식회사 인피니트코리아 | EV Charging System comprising Mobile Charger using Fuel Cel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40041239A (en) * | 2022-09-22 | 2024-03-29 | (주)에바 | Docking connector assembly |
CN117921710A (en) * | 2024-03-22 | 2024-04-26 |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inspection robot for intelligent manufacturing |
FR3146625A1 (en) * | 2023-03-14 | 2024-09-20 | Mob-Energy | AUTONOMOUS DEVICE FOR RECHARGING A VEHICLE BATTERY INCLUDING MEASURING SENSOR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92414A (en) * | 1987-02-05 | 1988-08-09 | オ−トマツクス株式会社 | Floor surface cleaning robot |
US9592742B1 (en) * | 2014-04-09 | 2017-03-14 | FreeWire Technologies, Inc.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of charging electric vehicles |
-
2019
- 2019-02-01 KR KR1020190013384A patent/KR1020143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192414A (en) * | 1987-02-05 | 1988-08-09 | オ−トマツクス株式会社 | Floor surface cleaning robot |
US9592742B1 (en) * | 2014-04-09 | 2017-03-14 | FreeWire Technologies, Inc. | Systems, apparatus, and methods of charging electric vehicles |
Cited By (2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159027A1 (en) * | 2019-02-01 | 2020-08-06 | (주)에바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cket, and docking assembly for charging electric car |
US11575268B2 (en) | 2019-11-06 | 2023-02-07 | Naver Labs Corporation | Robot, charging pad, and robot charging system including same |
KR20210067105A (en) * | 2019-11-29 | 2021-06-08 | 주식회사 케이엔 | System of unmanned charging/parking |
KR102359668B1 (en) * | 2019-11-29 | 2022-03-03 | 주식회사 케이엔 | System of unmanned charging/parking |
EP3875307A1 (en) * | 2020-03-06 | 2021-09-08 | OMRON Corporation | Mobile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system |
US11456612B2 (en) | 2020-03-06 | 2022-09-27 | Omron Corporation | Mobile 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 system |
KR20220141575A (en) | 2021-04-13 | 2022-10-20 | 주식회사 만도 |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a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30051868A (en) * | 2021-10-12 | 2023-04-19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2569286B1 (en) * | 2021-10-12 | 2023-08-2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230130183A (en) * | 2022-03-02 | 2023-09-12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102655718B1 (en) * | 2022-03-02 | 2024-04-09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Charging Connector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
KR20230144807A (en) | 2022-04-08 | 2023-10-17 | 주식회사 인피니트코리아 | EV Charging System comprising Mobile Charger using Fuel Cell |
WO2023212227A1 (en) * | 2022-04-28 | 2023-11-02 | Hyliion Inc. | System and method for fulfilling requests for electric energy services |
KR20240039466A (en) | 2022-09-19 | 2024-03-26 | 주식회사 인피니트코리아 | EV Charging System comprising Mobile Charger using Fuel Cell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KR20240041239A (en) * | 2022-09-22 | 2024-03-29 | (주)에바 | Docking connector assembly |
KR102677206B1 (en) | 2022-09-22 | 2024-06-21 | (주)에바 | Docking connector assembly |
FR3146625A1 (en) * | 2023-03-14 | 2024-09-20 | Mob-Energy | AUTONOMOUS DEVICE FOR RECHARGING A VEHICLE BATTERY INCLUDING MEASURING SENSORS |
EP4438381A1 (en) * | 2023-03-14 | 2024-10-02 | Mob-Energy | Autonomous device for recharging a battery of a vehicle including measurement sensors |
KR102582166B1 (en) | 2023-06-08 | 2023-09-25 | 주식회사 한다랩 | Pick Up System of Autonomous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
KR102620640B1 (en) * | 2023-06-15 | 2024-01-03 | 주식회사 도구공간 | Robot docking station |
CN117118310A (en) * | 2023-10-24 | 2023-11-24 | 国网山西省电力公司物资分公司 | New energy power generation equipment for reducing emission of electric power carbon |
CN117118310B (en) * | 2023-10-24 | 2024-01-26 | 国网山西省电力公司物资分公司 | New energy power generation equipment for reducing emission of electric power carbon |
CN117246174A (en) * | 2023-11-08 | 2023-12-19 | 南通国轩新能源科技有限公司 | Intelligent charging robot system and automatic cruise control method |
CN117921710A (en) * | 2024-03-22 | 2024-04-26 |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 Positioning an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inspection robot for intelligent manufacturing |
CN117921710B (en) * | 2024-03-22 | 2024-05-17 | 苏州工业职业技术学院 | Positioning charging system and method of automatic inspection robot for intelligent manufactur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14333B1 (en)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vehicle for performing charging by automatic driving and docking | |
KR102015796B1 (en) |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 |
KR102019285B1 (en) |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ket and docking assembly for electric vehicle charging | |
US9868421B2 (en) | Robot assisted modular battery interchanging system | |
US9815377B2 (en) | Battery charg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 | |
CN105798922B (en) | A kind of home-services robot | |
CN105873731B (en) | autonomous robot for mobile device | |
CN102854927A (en) |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 |
US20190380552A1 (en) | Robot | |
WO2020159027A1 (en) | Charging robot for electric car, and charging connector, docking socket, and docking assembly for charging electric car | |
CN205970887U (en) | Automatic interfacing apparatus | |
CN209776188U (en) | Unmanned charging system of car based on 3D vision technique | |
KR102380007B1 (en) | Charging module, autonomous driving robot having charging module and charging system for autonomous driving robot using the same | |
CN209719283U (en) | Charge robot | |
CN108000533A (en) | One kind explanation robot | |
CN208663815U (en) | Mobile service robot of independently selling goods | |
CN207696537U (en) | A kind of Business Machine people | |
CN205725038U (en) | Robot cradle and robot | |
CN205970889U (en) | Take wheel lock of switching function of charging | |
US12019451B2 (en) | Electric cart | |
KR102708195B1 (en) | Charg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 | |
KR20240038873A (en) | Intelligent Autonomous Charging System | |
CN205970888U (en) |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and garage | |
CN215244368U (en) | Mobile charging system | |
KR102718804B1 (en) | Charging apparatus for electric vehi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