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0716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0716B1 KR102000716B1 KR1020140111622A KR20140111622A KR102000716B1 KR 102000716 B1 KR102000716 B1 KR 102000716B1 KR 1020140111622 A KR1020140111622 A KR 1020140111622A KR 20140111622 A KR20140111622 A KR 20140111622A KR 102000716 B1 KR102000716 B1 KR 1020007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touch
- film
- organic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40—OLEDs integrated with touch scree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도 1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일 화소 영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박막 봉지층 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층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박막 봉지층 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박막 봉지층 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층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Ⅴ-Ⅴ 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박막 봉지층 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층을 형성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120: 소자/배선층 130: 유기 발광 소자층
131: 화소 전극 133: 중간층
135: 대향 전극 140: 화소 정의막
150: 보호층 200, 200a: 박막 봉지층
211, 215, 223, 233: 무기막들 213, 217, 231: 유기막들
220, 220a, 220b: 터치 감지층 221, 221a, 221b: 제1 터치 도전막
225, 225a, 225b: 제2 터치 도전막 240: 광학 부재
1000, 2000, 300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laims (20)
-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층;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서로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과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 및
상기 박막 봉지층 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층은 제1 터치 도전막, 상기 제1 터치 도전막 상의 터치 절연층, 및 상기 터치 절연층 상의 제2 터치 도전막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절연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무기막 중 하나의 무기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은,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된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 상에 배치되고,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상기 중간층 상에 배치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도전막은,
상기 기판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셀들;
상기 제1 센싱 셀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패턴들; 및
상기 기판 상에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센싱 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터치 도전막은,
상기 터치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센싱 셀들의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택 플러그; 및
상기 콘택 플러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센싱 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도전막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도전막은,
상기 기판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1 센싱 셀들;
상기 제1 센싱 셀들을 연결하는 복수의 제1 연결 패턴들;
상기 기판 상에 제2 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제2 센싱 셀들; 및
상기 터치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제2 센싱 셀들의 일부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콘택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터치 도전막은 상기 콘택 플러그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센싱 셀들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패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도전막은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 상의 제1 무기막;
상기 제1 무기막 상의 제1 유기막;
상기 제1 유기막 상의 상기 터치 절연층;
상기 터치 절연층 상의 제2 유기막;
상기 제2 유기막 상의 제2 무기막; 및
상기 터치 절연층과 상기 제1 유기막 또는 상기 제2 유기막 사이에 개재되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제1 유기막 상의 제3 무기막; 및
상기 제3 무기막 상의 상기 터치 절연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에 포함되는 복수의 유기막은 상기 터치 절연층 아래의 하부 유기막, 및 상기 터치 절연층 상의 상부 유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터치 도전막은 상기 하부 유기막과 상기 터치 절연층의 배면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제2 터치 도전막은 상기 터치 절연층의 상면과 상기 상부 유기막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가요성 기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과 상기 박막 봉지층 사이에 배치된 보호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 상에 배치된 광학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기판 상에 화소 전극,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대향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대향 전극 상에, 서로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과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무기막 중 하나의 무기막인 터치 절연층을 포함하는 터치 감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 상에 화소 전극,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대향 전극을 순차적으로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전극의 양쪽 가장자리 영역을 덮도록 화소 영역을 정의하는 화소 정의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화소 정의막에 의해 정의된 영역에 상기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중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층과 상기 화소 정의막을 덮도록 상기 대향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봉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향 전극 상에 제1 무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무기막 상에 제1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유기막 상에 상기 터치 감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감지층 상에 제2 유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유기막 상에 제2 무기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제1 터치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1 터치 도전막 상에 상기 터치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절연층 상에 제2 터치 도전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유기 발광 소자층;
상기 유기 발광 소자층 상에 배치되고, 서로 교대로 적층된 복수의 무기막과 복수의 유기막을 포함하는 박막 봉지층; 및
상기 복수의 무기막 중 하나의 무기막인 터치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층 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층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 감지층은 상기 박막 봉지층의 상기 복수의 무기막과 상기 복수의 유기막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절연층은 상기 복수의 유기막 중 연속된 2개의 유기막들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감지층은 상기 터치 절연층 아래의 제1 터치 도전막, 및 상기 터치 절연층 상의 제2 터치 도전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터치 도전막 및 상기 제2 터치 도전막 중 적어도 하나는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고,
상기 박막 봉지층은 상기 투명 도전성 산화물을 포함하는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1622A KR102000716B1 (ko) | 2014-08-26 | 2014-08-26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11622A KR102000716B1 (ko) | 2014-08-26 | 2014-08-26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37334A Division KR101453880B1 (ko) | 2012-11-29 | 2012-11-29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3439A Division KR102147846B1 (ko) | 2019-07-10 | 2019-07-10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955A KR20140118955A (ko) | 2014-10-08 |
KR102000716B1 true KR102000716B1 (ko) | 2019-07-17 |
Family
ID=51991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11622A Active KR102000716B1 (ko) | 2014-08-26 | 2014-08-26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0071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41352B1 (ko) | 2015-04-08 | 2021-12-2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KR102388722B1 (ko) * | 2015-11-20 | 2022-04-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2465377B1 (ko) | 2016-02-12 | 2022-11-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495844B1 (ko) * | 2016-02-12 | 2023-02-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디스플레이 장치 |
KR102354865B1 (ko) * | 2016-06-28 | 2022-01-2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20180002123A (ko) | 2016-06-28 | 2018-01-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101929452B1 (ko) | 2016-07-29 | 2018-12-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JP6706999B2 (ja) * | 2016-08-30 | 2020-06-10 |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 表示装置 |
KR102718898B1 (ko) | 2016-12-06 | 2024-10-1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KR102411377B1 (ko) * | 2018-10-15 | 2022-06-2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장치 |
KR20180134802A (ko) * | 2018-12-10 | 2018-12-19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3080B1 (ko) * | 2007-05-10 | 2008-12-09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유기 전계 발광표시장치 |
KR20100024710A (ko) | 2008-08-26 | 2010-03-08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KR101058106B1 (ko) * | 2009-08-06 | 2011-08-24 |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 표시 장치 |
-
2014
- 2014-08-26 KR KR1020140111622A patent/KR102000716B1/ko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18955A (ko) | 2014-10-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53880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000716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US10976853B2 (en) | Display device | |
US12052902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10923546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 |
JP5792440B2 (ja) | 有機発光ディスプレイ装置 | |
CN105304673B (zh) | 包括传感器的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 |
KR101050460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 |
US902988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US10366635B2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lexible display device | |
US9425434B2 (en) | Display device | |
US20110163309A1 (en) |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20110121302A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US9991318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US11424300B2 (en) | Display apparatus | |
US12144229B2 (en) | Display device having a bent portion | |
EP3905359A1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150059196A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147846B1 (ko)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082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112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13733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2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4I Patent event date: 20140826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10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71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21129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20137334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7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9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6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