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5017B1 - 해삼 어초 - Google Patents
해삼 어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05017B1 KR102005017B1 KR1020190008701A KR20190008701A KR102005017B1 KR 102005017 B1 KR102005017 B1 KR 102005017B1 KR 1020190008701 A KR1020190008701 A KR 1020190008701A KR 20190008701 A KR20190008701 A KR 20190008701A KR 102005017 B1 KR102005017 B1 KR 1020050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width
- horizontal
- water
- water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41000251511 Holothuroidea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5000014676 Phragmites commun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41000270322 Lepidosauri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0617 Cheloni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360 aqua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4000144974 aquaculture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933 buria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49 sedi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1377 Auricula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9269 Cleft palat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424 Crustac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732 Cy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69821 Scombr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28 appetit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789 appet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59 blastocy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4 cultiv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1513 cys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01 eg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6 impor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545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66 juveni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40 macker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61 mammalian embryo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045947 parasit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99 pen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70 shell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182 swimm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A01K61/77—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of monolithic form, e.g. block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30—Culture of aquatic animals of sponges, sea urchins or sea cucu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46—Artificial reef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tificial Fish Reefs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 뿔대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자 형상의 저면 전체폭(B)보다 높이(h)가 작고, "+"자 형상의 저면 중심폭(b)과 높이(h)가 서로 대응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수직과 수평 방향으로 교차하도록 형성된 통수공(60, 70, 80)과 통수홈(90)을 구비하는 해삼 어초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삼의 서식과 증식을 촉진하기에 유리한 해삼 어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 수산업은 2000년대에 들어와서 세계화 및 개방화 진전에 따라 수산물수입이 증가하여 국내 수산물 가격이 하락하고 경쟁력이 위축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국제적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새로운 수산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총 수산물 중에서 어업생산량의 비중은 정체 또는 감소하고 있으나, 양식생산량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서 어업생산량 중에서 양식 생산량의 비중은 2000년에 26.0%에서 2007년에 42.3%로 해마다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양식생산량 중에서 패류양식 생산량은 2000년 222,608톤에서 2007년 478,646톤으로 2.15배 증가하였다. 그 중에서도 전복생산량은 2000년도에 20톤에서2007년도에 4,350톤으로 해마다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외 시장 잠재력이 큰 양식 산업으로 새로운 고밀도 환경 친화적 양식방법 개발로 대량생산 산업화가 시급하다.
국내 해삼양식은 초기 개발단계로 국내 수요에 한정적이나 해외 시장 잠재력이 큰 양식산업으로 새로운 고밀도 환경 친화적 양식방법 개발로 대량생산 산업화가 시급하다. 아울러 기술 집약형 해삼양식 산업화 기술개발로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 육성하는 방안이 절실하다.
기존에 개발된 해삼어초들은 어초 하부에 다리를 가지는 침설 방식이며, 매몰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하방으로 갈수록 다리의 폭은 커지고, 다리가 벌어지는 형태로 외향 연장되어 다리의 하단에 의해 형성되는 해저면의 지지점을 멀리 분포시켜 어초가 전도되는 현상을 방지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위와 같은 다리 구조는, 하방으로 갈수록 커지는 다리의 폭으로 인해 오히려 어초 하부의 침설을 저해하여 다리가 굳건히 침설되지 아니함으로 인해 어초가 전도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어초 다리의 침설이 의도한 만큼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해저면과 어초 저면 사이의 공간이 지나치게 넓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해당 공간이 어초 본연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해당 공간으로 유입되는 해수로 인해 발생하는 양력이 어초를 전도시키는 일이 빈번하였다.
또한 바깥쪽으로 벌어지는 형태의 다리는, 복수 개의 어초를 밀집 배치하는 것을 저해하는 요인이 있었다.
아울러 기존에 개발된 해삼어초들은 해삼이 서식할 공간이 부족하고 작은 어류가 서식 공간으로 침투하기 용이하여 종패들을 보호하기에 미흡했다.
이에, 해삼의 생산량 확대를 위하여 해역의 흐름과 저질 특성에 적합한 해삼어초를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도에 안정적인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는 해삼 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삼이 서식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어류의 침투는 방지하여 해삼 치어의 감모를 줄일 수 있는 해삼 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해삼의 서식 공간에 해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부유물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해수로 인한 양력을 해소할 수 있는 통수 구조를 구비하는 해삼 어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자 뿔대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자 형상의 저면 전체폭(B)보다 높이(h)가 작고, "+"자 형상의 저면 중심폭(b)과 높이(h)가 서로 대응하는 본체(10)를 구비하는 해삼 어초를 제공한다.
상기 해삼 어초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면(30)과 저면(20)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본체(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심 통수공(61) 및 상기 중심 통수공(61) 주변에서 상기"+" 형상의 가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주변 통수공(62)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수직 통수공(60)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해삼 어초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40)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층마다 좌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수직 통수공(60)보다 작은 단면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공(70)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같은 높이의 층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끼리 서로 연통하고, 각각의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해삼 어초는,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대응하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50)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이 배열된 층과 나란한 층마다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공(80)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공(80)은 같은 높이의 층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서로 연통하고,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을 경유하여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해삼 어초는, 하부가 평평하고 상부로 원호가 형성된 반원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저면(20)에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40)을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홈(97)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홈(97)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끼리 서로 연통하고, 각각의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한다.
그리고 상기 해삼 어초는, 상기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대응하는 반원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저면(20)에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50)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홈(98)을 구비한다.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홈(98)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서로 연통하고, 상기 외측 수평 통수홈(97)을 경유하여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한다.
상기 저면 전체폭(B)과 높이(h)의 비율은 2:1일 수 있다.
상기 주변 통수공(62)은 "+"자의 각 가지마다 2개씩 배치되되, 상기 본체(10)의 중심을 지나는 십자 선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통수공(62)의 중심(O)은 저면 중첩부(22) 내부이면서 상면 중첩부(32)를 벗어난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주변 통수공(62)의 바깥쪽 가장자리(c1)는 저면 중첩부(22)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변 통수공(62)의 안쪽 가장자리(c2)는 상면 중첩부(3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통수공(60)의 직경과 수평 통수공(70, 80)의 직경의 비는 2:1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삼 어초는 전도에 안정적인 형상의 본체를 구비하여 유체력에 매우 안정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해삼 어초는, 해삼이 서식할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어류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해삼 어초는, 독특한 통수 구조를 통해 해삼의 서식 공간에 해삼의 먹이가 될 수 있는 부유물과 침전물이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고, 해수로 인한 양력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해삼 어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도 7, 도 8은 도 1의 해삼 어초의 측면도이다.
도 3, 도 5는 도 1의 해삼 어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해삼 어초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해삼 어초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도 2, 도 7, 도 8은 도 1의 해삼 어초의 측면도이다.
도 3, 도 5는 도 1의 해삼 어초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해삼 어초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해삼 어초의 평면도와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 하나의 실시예의 구성과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서로 치환하거나 부가하는 것은 물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가 과장되게 크거나 작게 표현될 수 있으나,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그리고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다. 즉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이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부에 있다"거나 "하부에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배치되어 있는 것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해삼 어초의 외관 형상>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삼 어초(1)는 십자 뿔대 형상의 본체(10)를 구비한다.
즉 상기 본체(10)의 저면(20)은 긴 직사각형 두 개를 직각으로 교차시킨 X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이며, 본체(10)의 상면(30)은 상기 저면(20)보다 축소된 X자 형태 또는 십자 형태이다. 십자 형태의 단면은 정사각형 형태의 단면에서 각 코너 부분이 제거된 구조다. 이러한 구조는 본체(10)의 외측면(40)의 면적이 지나치게 넓어지는 것을 제한하여 유체력에 대한 전도 안정성을 높여준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제거된 코너 부분에서 와류와 용승류 발생을 유도하여 해저에 존재하는 영양분을 어초 주변에 모아주게 된다.
상기 저면(20)의 저면 전체폭(B)와 본체(10)의 높이(h)의 비율은 2:1 일 수 있다. 이는 유체력에 대한 안정성과 세굴매몰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면서도 본체의 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비율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저면 전체폭(B)은 3.0m 이고, 높이(h)는 1.5m 일 수 있다.
상기 해삼 어초(1)는 뿔대 형상으로서, 저면(20)의 면적 대비 상면(30)의 면적이 축소된다. 저면 전체폭(B)과 상면 전체폭(A)의 비율은 3:2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면 전체폭(A)은 2.0m 일 수 있다.
또한 해삼 어초(1)는 십자 단면을 가진다. 이에 따라 저면(20)은 십자가 중첩되는 영역인 저면 중첩부(22)를 구비하고, 상면(30)은 십자가 중첩되는 영역인 상면 중첩부(32)를 구비한다. 저면 중첩부(22)와 상면 중첩부(32)는 모두 정사각형 형태이며, 저면 중첩부(22)의 폭을 나타내는 저면 중심폭(b)과 상면 중첩부(32)의 폭을 나타내는 상면 중심폭(a)의 비율 역시 3:2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저면 중심폭(b)은 1.5m 이고, 상면 중심폭(a)은 1.0m 일 수 있다.
상기 저면 중심폭(b)은 높이(h)와 대응할 수 있다. 즉 이들의 비율은 1:1 일 수 있다.
저면 전체폭(B) 대비 저면 중심폭(b)의 비율을 2:1일 수 있다. 또한 상면 전체폭(A) 대비 상면 중심폭(a)의 비율 역시 2:1일 수 있다. 이러한 비율에 따르면, 해삼 어초를 십자 단면의 형태로 하여 외측면의 면적을 적절히 감소시키면서도 해삼 어초의 체적을 충분히 확보하고, 아울러 각 코너에서 와류를 충분히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10)의 외측면(40)과, 외측면(40)의 양단부에 마련된 내측면(50)은 모두 경사진 형태가 된다. 본체(10)의 외측면(40)이 저면(20)과 이루는 외측면 경사각(j)은 65도 이상 7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외측면 경사각(j)이 약 71도인 것이 예시된다. 또한 본체(10)의 내측면(50)이 저면(20)과 이루는 내측면 경사각(k)은 75도 이상 85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내측면 경사각(k)이 약 80도인 것이 예시된다.
외측면 경사각(j)과 대비하여 내측면 경사각(k)은 더 크게 설정된다. 상기 외측면 경사각(j)은 상대적으로 완만하여 유체력에 대한 전도 안정성을 향상시켜주는 반면, 내측면 경사각(k)은 상대적으로 가팔라 와류와 용승류 발생을 더 원활하게 유도한다.
<해삼 어초의 통수 구조>
본 발명에 따른 해삼 어초는 외관 형상과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통수 구조를 가진다.
먼저 상기 해삼 어초(1)의 본체(10)는 원형 단면의 수직 통수공(60)을 구비한다. 복수 개의 수직 통수공(60)의 상단부는 상면(30)에 배치되고, 하단부는 저면(20)에 배치된다. 상기 수직 통수공(60)은 본체(10) 내부에서 후술할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교차하며 서로 연통하게 된다. 수직 통수공(60)은 본체(10)의 중심에 마련되고, 또 본체(10)의 중심 주변에 마련된다. 본체(10)의 중심에 마련된 중심 통수공(61)과 주변에 마련된 주변 통수공(62)은 모두 동일한 직경을 구비한다. 이는 본 발명이 해삼을 위한 어초이기 때문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경은 약 0.3m 일 수 있다. 수직 통수공(60)들 사이에는 0.1m 이상의 간격을 두어 어초의 전체적인 강성을 해하지 않고 어초의 자중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주변 통수공(62)은 십자의 각 가지마다 2개씩 배치된다. 이들 주변 통수공(62)은 상기 본체(10)의 중심을 지나는 십자 선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주변 통수공(62)의 중심(O)은 저면 중첩부(22) 내부이면서 상면 중첩부(32)를 벗어난 영역에 마련된다. 이에 따르면 주변 통수공(62)이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더 가까이 교차할 수 있다. 그리고 주변 통수공(62)의 바깥쪽 가장자리(c1)는 저면 중첩부(22) 내부에 위치한다. 즉 주변 통수공(62)은 저면 중첩부(22) 내부에 존재한다. 이에 따르면 하나의 주변 통수공(62)이 일측 수평(x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외측 수평 통수공(70)과도 연통하고 동시에 타측 수평(y축)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외측 수평 통수공(70)과도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통수공(62)의 안쪽 가장자리(c2)는 상면 중첩부(32) 내부에 위치한다. 즉 주변 통수공(62)의 일부는 상면 중첩부(32)에 걸쳐서 존재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위와 같이 배치된 수직 통수공(60)들이 커버하는 x축과 y축 수평 방향 영역은 외측면(40)의 거의 모든 영역을 커버하게 된다. 따라서 외측면(40)에 형성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모두, 상기 수직 통수공(60)과 연통한다. 아울러 위와 같이 주변 통수공(62)을 배치하면, 어느 일 방향 외측면(가령 y축 방향을 바라보는 외측면)에 형성된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모두, y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 통수공(62)과 x축 방향에 인접하여 배치된 수직 통수공(62)이 협동하여 형성되는 커버 영역에 들어오게 된다.
상기 수직 통수공(60)의 크기와 배치는 본체(10)의 자중을 높여 유체력에 대한 안정성을 높일 수 있도록 최소한의 개수로 제작되면서도, 수직 통수공(60)과 수평 통수공(70, 80)이 마치 정글짐이 얽혀 있듯 서로 연통하도록 함으로써, 본체 내부로의 해수 흐름을 원활하게 하고, 부유 유기물이 본체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해준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본체(10)의 측면(40, 50)을 관통하여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통수공(70, 80)은, 서로 대향하는 두 외측면(40)을 관통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서로 대향하는 두 내측면을 관통하는 내측 수평 통수공(80)을 포함한다. 상기 수평 통수공(70, 80)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그 직경은 수직 통수공(60)의 1/2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 통수공(70, 80)의 직경은 0.15m 일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이 해삼을 위한 어초이기 때문이다.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반드시 복수 개의 수직 통수공(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한다. 수직 통수공(60)이 상면 중첩부(32)를 벗어난 저면 중첩부(22) 부위에도 배치되므로, 외측면(40)의 폭(이는 저면 중심폭 b와 같음)이 상면 중심폭(a)보다 넓다 하더라도, 외측면(40)에 형성된 외측 수평 통수공(70)이 모두 수직 통수공(60)과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통수공(62)의 안쪽 가장자리가 (c2)가 상면 중첩부(32)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므로, 중심부에 하나의 중심 통수공(61)만 두더라도 수직 통수공(60)들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충분히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복수 개의 층에 나란히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층에 배치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하는 두 외측 수평 통수공(70)의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은 약 0.10m 일 수 있다.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이 배열된 각 층 간의 수직 방향 간격 역시 약 0.10m일 수 있다. 이웃하는 두 층의 외측 수평 통수공(70)들은 서로 어긋난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외측 수평 통수공(70)의 상하 방향 배열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대각선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열 구조에 따르면 외측 수평 통수공(70)을 보다 조밀하게 배치할 수 있다.
내측 수평 통수공(80)은, 수직 통수공(60)과 직접 연통하지 않고, 외측 수평 통수공(70)을 거쳐 상기 수직 통수공(60)과 연통한다. 가령 x축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수평 통수공(80)은, 그와 교차하며 y축 방향으로 연장된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연통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수직 통수공(60)과 연통한다. 이러한 연통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내측 수평 통수공(80)은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동일한 높이의 층에 형성된다.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내측 수평 통수공(80)은 서로 직교하며 배치되므로, 어느 한 통수공에 유입된 해수가 이와 교차하는 다른 통수공을 통해 배수될 수 있으며, 수직 통수공(60)을 통해서도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해수가 통수공(60, 70, 80)을 거치며 분산되기 때문에, 유속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본체(10) 외부에 있던 해수의 영양분이 통수공 내에 머물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본체(10)의 저면(20)에는 반원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저면 수평 통수홈(90)을 구비한다. 저면 수평 통수홈의 직경은 상기 수평 통수공(70, 80)과 대응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저면 수평 통수홈(90)의 직경은 0.15mm 일 수 있다. 저면 수평 통수홈(90)은, 저면(20)에 형성되고 서로 대향하는 두 외측면(40)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서로 대향하는 두 내측면(50) 사이에서 연장되는 내측 수평 통수홈(98)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홈(97)은 저면 중첩부(22)에서 서로 교차된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내측 수평 통수홈(98)은 저면(20)에 있어서 상기 저면 중첩부를 벗어난 위치에서 서로 교차된다.
외측 수평 통수홈(97)은, 복수 개의 수직 통수공(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통한다. 수직 통수공(60)이 상면 중첩부(32)를 벗어난 저면 중첩부(22) 부위에도 배치되므로, 저면(20)에 형성된 외측 수평 통수공(97)은 모두 수직 통수공(60)과 연통할 수 있다. 또한 주변 통수공(62)의 안쪽 가장자리(c2)가 상면 중첩부(32)까지 연장되어 배치되므로, 중심부에 하나의 중심 통수공(61)만 두더라도 수직 통수공(60)들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충분히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외측 수평 통수홈(97)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이웃하는 두 외측 수평 통수홈(97)의 사이의 수평 방향 간격은 약 0.10m 일 수 있다.
내측 수평 통수홈(98)은, 수직 통수공(60)과 직접 연통하지 않고, 외측 수평 통수홈(97)을 거쳐 상기 수직 통수공(60)과 연통한다.
상기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내측 수평 통수공(98)은 서로 직교하며 배치되므로, 어느 한 통수홈에 유입된 해수가 이와 교차하는 다른 통수홈을 통해 배수될 수 있으며, 수직 통수공(60)을 통해서도 배수될 수 있다. 또한, 해수가 통수홈(97, 98)을 거치며 분산되기 때문에, 유속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본체(10) 외부에 있던 해수의 영양분이 통수홈 내에 머물도록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통수공과 통수홈에 의해 마련되는 본체(10) 내부의 공간은 해삼의 산란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0)는 콘크리트 블록으로서 제작될 수 있고, 그 표면에는 해조류의 착생을 유도하기 위한 기하학적 음영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해삼 어초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해삼의 생활사는 수정란, 난할기, 포배기, 낭배기의 초기 발생단계와, 초기, 중기, 후기 아우리쿨라리아, 돌리올라리아, 펜탁툴라 유생기를 거쳐 어린 해삼 및 중간종묘의 6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해삼 어초(1)의 본체(10)에 마련된 통수공에 의해 제공되는 원형 형태의 공간은 해삼의 부유 유생이 유영하기 적당한 흐름 환경을 갖게 된다. 또한 통수공 내부 표면을 포함하는 본체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기하학적 음영)은 해삼의 부유 유생의 착저에 최적이다.
체중 2g 내지 3g의 어린 해삼은 주로 부착성 미세조류 등을 섭이하고 성장하며, 미역, 다시마, 모자반, 파래 등의 해조류와, 펄 속의 유기물, 원생동물 및 갑각류, 연체동물의 유생, 분해과정에 있는 어류의 사체 등을 섭이한다. 본 발명의 본체(10)의 표면에는 해조류가 잘 부착할 수 있는 작은 요철이 구비되어 부착성 미세조류를 충분히 제공하고, 아울러 본체(10)의 저면에 저면 수평 통수홈(90)에 의해 형성되는 해저면 상의 좁은 공간에서 어린 해삼이 천적의 공격을 받지 않고 해저면의 펄 등의 유기물을 섭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기물은 해수의 흐름이 통수공을 거치도록 하면서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해삼 어초(1)는, 복수 개의 수평 통수공(70, 80)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수평 통수홈(90)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와류를 유도하여 플랑크톤 등의 먹이생물들의 체류를 촉진할 수 있다.
성체 해삼은 수온이 19℃ 이상일 때 운동이 부진해지고 식욕이 감퇴하여 소화관이 위축되는 하면전기(夏眠前期)를 맞으며, 수온이 24.5℃ 이상일 때에는 단식 상태에 돌입하고 소화관이 위축되면서 거의 움직임이 없어지는 하면성기(완전휴면시기)를 맞는다. 이후 가을에 들어 수온이 19℃∼~20℃? 아래로 하강하면 다시 운동이 활발해지는 재활동기를 맞는다. 수직 통수공(60)은 이러한 해삼의 생활사를 가지는 해삼이 해수의 수온변화에 잘 적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
1: 해삼 어초
10: 본체
A: 상면 전체폭
a: 상면 중심폭
B: 저면 전체폭
b: 저면 중심폭
h: 높이
20: 저면
22: 저면 중첩부
30: 상면
32: 상면 중첩부
40: 외측면
j: 외측면 경사각
50: 내측면
k: 내측면 경사각
60: 수직 통수공
61: 중심 통수공
62: 주변 통수공
70: 외측 수평 통수공
80: 내측 수평 통수공
90: 저면 수평 통수홈
97: 외측 수평 통수홈
98: 내측 수평 통수홈
10: 본체
A: 상면 전체폭
a: 상면 중심폭
B: 저면 전체폭
b: 저면 중심폭
h: 높이
20: 저면
22: 저면 중첩부
30: 상면
32: 상면 중첩부
40: 외측면
j: 외측면 경사각
50: 내측면
k: 내측면 경사각
60: 수직 통수공
61: 중심 통수공
62: 주변 통수공
70: 외측 수평 통수공
80: 내측 수평 통수공
90: 저면 수평 통수홈
97: 외측 수평 통수홈
98: 내측 수평 통수홈
Claims (4)
- "+"자 뿔대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자 형상의 저면 전체폭(B)보다 높이(h)가 작되 저면 전체폭(B)과 높이(h)의 비율은 2:1 이고, "+"자 형상의 저면 전체폭(B)보다 "+"자 형상의 상면 전체폭(A)이 작되 상기 저면 전체폭(B)과 상기 상면 전체폭(A)의 비율은 3:2 이고, 저면에서 "+"자가 중첩되는 영역인 저면 중첩부(22)의 저면 중심폭(b)보다 상면에서 "+"자가 중첩되는 영역인 상면 중첩부(22)의 상면 중심폭(a)이 작되 저면 중심폭(b)과 상면 중심폭(a)의 비율 역시 3:2 이고, "+"자 형상의 전면 전체폭(B)과 "+"자가 중첩되는 영역인 저면 중첩부(22)의 저면 중심폭(b)은 2:1로서 저면 중첩부(22)로부터 저면이 측방으로 돌출되는 폭이 저면 중첩부(22)의 폭의 1/2 이며, "+"자 형상의 저면 중심폭(b)과 높이(h)가 1:1의 비율로 서로 대응하는 본체(10);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상면(30)과 저면(20)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본체(10)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심 통수공(61) 및 상기 중심 통수공(61) 주변에서 상기"+" 형상의 가지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주변 통수공(62)을 포함하는 복수 개의 수직 통수공(60);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40)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 개의 층마다 좌우 소정 간격으로 복수 개 배치되고, 상기 수직 통수공(60)보다 작은 단면을 구비하는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공(70);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대응하는 원형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50)을 통해 상기 본체(10)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되,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이 배열된 층과 나란한 층마다 각각 하나 이상 배치되는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공(80);
하부가 평평하고 상부로 원호가 형성된 반원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저면(20)에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40)을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홈(97); 및
상기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대응하는 반원의 단면을 가지고 상기 본체(10)의 저면(20)에 형성되되,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50)을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홈(98);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같은 높이의 층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끼리 서로 연통하고, 각각의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하며,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공(80)은 같은 높이의 층에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과 서로 연통하고, 상기 외측 수평 통수공(70)을 경유하여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외측 수평 통수홈(97)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공(70)끼리 서로 연통하고, 각각의 외측 수평 통수공(70)은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하며,
상기 복수 개의 내측 수평 통수홈(98)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측 수평 통수홈(97)과 서로 연통하고, 상기 외측 수평 통수홈(97)을 경유하여 상기 수직 통수공(6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서로 연통하는 해삼 어초.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변 통수공(62)은 "+"자의 각 가지마다 2개씩 배치되되, 상기 본체(10)의 중심을 지나는 십자 선을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주변 통수공(62)의 중심(O)은 저면 중첩부(22) 내부이면서 상면 중첩부(32)를 벗어난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주변 통수공(62)의 바깥쪽 가장자리(c1)는 저면 중첩부(22)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주변 통수공(62)의 안쪽 가장자리(c2)는 상면 중첩부(32) 내부에 위치하는 해삼 어초.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통수공(60)의 직경과 수평 통수공(70, 80)의 직경의 비는 2:1인 해삼 어초.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701A KR102005017B1 (ko) | 2019-01-23 | 2019-01-23 | 해삼 어초 |
JP2020008498A JP6906071B2 (ja) | 2019-01-23 | 2020-01-22 | ナマコ魚礁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08701A KR102005017B1 (ko) | 2019-01-23 | 2019-01-23 | 해삼 어초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05017B1 true KR102005017B1 (ko) | 2019-07-30 |
Family
ID=6747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08701A KR102005017B1 (ko) | 2019-01-23 | 2019-01-23 | 해삼 어초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6906071B2 (ko) |
KR (1) | KR10200501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2069B1 (ko) * | 2005-02-28 | 2006-04-17 | (주)정화건설 |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
KR101104776B1 (ko) * | 2010-11-04 | 2012-01-12 | 조경엽 | 바다 생물의 서식 및 은신용 구조물 |
KR101327397B1 (ko) * | 2013-02-28 | 2013-11-08 | 주식회사 미래와바다 |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
KR101343099B1 (ko) | 2013-07-03 | 2013-12-20 | 옹 진 군 | 다기능성 해삼어초 |
KR101731014B1 (ko) | 2015-04-24 | 2017-04-27 | 주식회사 연안생태기술연구소 | 먹이 공급기능을 갖는 해삼어초 |
-
2019
- 2019-01-23 KR KR1020190008701A patent/KR10200501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20
- 2020-01-22 JP JP2020008498A patent/JP6906071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72069B1 (ko) * | 2005-02-28 | 2006-04-17 | (주)정화건설 | 해중림 조성용 조림초 구조물 |
KR101104776B1 (ko) * | 2010-11-04 | 2012-01-12 | 조경엽 | 바다 생물의 서식 및 은신용 구조물 |
KR101327397B1 (ko) * | 2013-02-28 | 2013-11-08 | 주식회사 미래와바다 | 해삼양식용 인공어초 |
KR101343099B1 (ko) | 2013-07-03 | 2013-12-20 | 옹 진 군 | 다기능성 해삼어초 |
KR101731014B1 (ko) | 2015-04-24 | 2017-04-27 | 주식회사 연안생태기술연구소 | 먹이 공급기능을 갖는 해삼어초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6906071B2 (ja) | 2021-07-21 |
JP2020115856A (ja) | 2020-08-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5893B1 (ko) | 육각 콘크리트 어초 | |
KR100794230B1 (ko) | 이중 어초프레임을 가지는 돔형 인공어초 | |
CN207754357U (zh) | 可在缓流区域营造上升流的人工鱼礁 | |
KR20130006396U (ko) | 해양생태 복원용 다기능 복합 인공어초 | |
KR102005017B1 (ko) | 해삼 어초 | |
KR100948399B1 (ko) | 미로형 인공어초 | |
CN110080177A (zh) | 一种过鱼设施比选方法 | |
KR200251140Y1 (ko) | 인공어초 | |
KR101211536B1 (ko) | 이단 삼각 인공 어초 및 그 배치 구조 | |
KR100996879B1 (ko) | 패류 부착구조를 갖는 강재골조 인공어초 | |
KR200374009Y1 (ko) | 전복 보육어초 | |
KR100424135B1 (ko) | 다기능성 어초 | |
KR200235672Y1 (ko) | 강제 및 석재로 된 복합증식초 | |
KR100977533B1 (ko) | 인공 어초 | |
CN106954575A (zh) | 一种拱形齿生态鱼礁 | |
KR200278181Y1 (ko) | 하우스형 인공어초 | |
KR102005020B1 (ko) | 전복 어초 | |
KR101125868B1 (ko) | 인공어초 및 인공어초 복합체 | |
KR20180077389A (ko) | 인공어초 | |
AU2012202698B2 (en) | Abalone Habitat Reef | |
KR100562676B1 (ko) | 탁자산호형 어초 | |
KR200197703Y1 (ko) | 하우스형 인공어초 | |
KR100977706B1 (ko) | 팔각형 2단 어초 | |
KR20200141819A (ko) | 화로형 인공어초 | |
CN219019949U (zh) | 一种带有双侧壁的幼鱼鱼道诱导礁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