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90741B1 -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 Google Patents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741B1
KR101990741B1 KR1020180093644A KR20180093644A KR101990741B1 KR 101990741 B1 KR101990741 B1 KR 101990741B1 KR 1020180093644 A KR1020180093644 A KR 1020180093644A KR 20180093644 A KR20180093644 A KR 20180093644A KR 101990741 B1 KR101990741 B1 KR 10199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nyl fabric
lifting
vinyl
lowering
guid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종상
Original Assignee
한종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종상 filed Critical 한종상
Priority to KR1020180093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07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7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5Toothed gearings helical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90Machine drive
    • B65H2403/94Other features of machine drive
    • B65H2403/941Manually powered hand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7Nature of material
    • B65H2701/175Plastic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핑 백 등을 제조하는 비닐원단을 다열식으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공급되는 원단에 인쇄된 마크의 위치에 맞추어 공급되는 비닐원단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송하게 함으로써 비닐원단의 융착 부위 및 컷팅 부위에 맞추어 융착 및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비닐원단의 길이가 달라질 경우 비닐원단의 융착 및 절단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Elevator structure of multi-thermal vinyl printing mark control device}
본 발명은 쇼핑 백 등을 제조하는 비닐원단을 다열식으로 공급하는 것에 있어서, 공급되는 원단에 인쇄된 마크의 위치에 맞추어 공급되는 비닐원단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송하게 함으로써 비닐원단의 융착 부위 및 컷팅 부위에 맞추어 융착 및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비닐원단의 길이가 달라질 경우 비닐원단의 융착 및 절단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공개실용신안 제1999-001173호에 의하면, 다수 라인의 비닐쇼핑백을 동시에 얻게 되는 비닐쇼핑백 제조장치에 있어서, 공급되는 다수 라인의 비닐원단의 공급조절을 일정하게 할 수 있는 비닐쇼핑백 제조 기계에 관한 다열식 원단자동공급장치가 소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 의하면, 주인출 로울러를 통과한 원단이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다가 상측으로 이송되는 시작점을 임의의 기준선으로 잡아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이송되는 원단이 일률적으로 이송되게 함으로써, 능률적인 생산방법으로 진행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절감시킴과 아울러 불량률을 줄이는 것이나, 이러한 기술은 주인출 로울러를 제어모터에 의하여 고속 및 저속으로 회전시켜 비닐원단의 길이를 일률적으로 맞추어 제공하는 것이므로, 복수의 원단을 공급할 경우 인쇄된 마크가 인쇄과정에서 발생하는 축소 현상 차이에 의하여 비닐원단의 융착 및 절단부위가 달라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공개실용신안 제1999-001173호
본 발명은 공급되는 원단에 인쇄된 마크의 위치에 맞추어 공급되는 비닐원단의 길이를 조절하여 이송하게 함으로써 비닐원단의 융착부위 및 컷팅 부위에 맞추어 융착 및 절단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공급되는 비닐원단의 길이가 달라질 경우 비닐원단의 융착 및 절단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본 발명은 받침판에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고정 나사 지지봉과; 상기 받침판 후방에 설치한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와;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의 상부에 비닐원단 전체 융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와;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의 하측 위치에 비닐원단 마크 센서위치 조절을 위한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와; 상기 받침판 상부에 결합시킨 비닐원단 공급조절기; 및 상기 받침판과 받침판 사이에 설치한 비닐원단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송되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거나 인쇄된 마크의 위치가 다를 경우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 및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의 상, 하 조절을 통하여 각각의 비닐원단의 전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비닐원단의 융착 및 커팅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게 함으로써 비닐원단을 통한 비닐백 등의 불량품 생산을 배제하게 되며, 상, 하 간격 조절판의 승, 하강 조작에 의하여 비닐원단의 원활한 인출 및 공급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고정 나사 지지봉이 기둥 기능을 수행하게 하여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전체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일부 분리 사시도 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제1 및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를 구성하는 헤리컬 기어를 나타낸 발췌 사시도 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제1 및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를 구성하는 헤리컬 기어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의 작동사태도로서 (a)는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이 상승한 상태이고, (b)는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이 하강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비닐원단 공급조절기 작동상태도로서, (a)는 승, 하강 안내 몸체가 상승한 상태이고, (b)는 승, 하강 안내 몸체가 하강한 상태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비닐원단 공급조절기 및 비닐원단 이송 스토퍼의 작동상태도로서, (a)는 비닐원단을 인출하는 상태이고, (b)는 비닐원단을 인출하여 이송시키는 상태, (c)는 비닐원단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포토센서의 이동을 보인 전체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의 전체 작동 상태도로서, (a)는 비닐원단이 이송하는 상태이고, (b)는 비닐원단이 전지되어 융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에 1열의 비닐원단이 끼워져 이송되는 상태의 예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제시한 도면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식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100)는 받침판(10)에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고정 나사 지지봉(20)과; 상기 받침판(10) 후방에 설치한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30)와;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20)의 상부에 비닐원단(V) 전체 융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와;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20)의 하측 위치에 비닐원단(V) 마크 센서위치 조절을 위한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50)와; 상기 받침판(10) 상부에 결합시킨 비닐원단 공급조절기(60); 및 상기 받침판(10)과 받침판(10) 사이에 설치한 비닐원단 스토퍼(70); 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고정 나사 지지봉(20)은 각형의 나사산이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20)과 고정 나사 지지봉(20) 사이에는 지지대(20A)를 설치하여 유동성을 배제함과 동시에 받침판(10)에 고정 나사 지지봉(20)을 나사 결합하거나 끼움 맞춤식으로 결합하여 세로방향으로 직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 후방에 설치한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30)는 고정 가로대(31)의 양단을 고정 부재(31A)에 의하여 받침판(10)에 세워 고정 시키고, 상기 고정 가로대(31)에 나사 조립한 높이 조절 볼트(32)의 머리부(32A)와 고정 가로대(31) 상부면 사이에 스프링(33)을 설치하되, 상기 조절 볼트(32)의 나사 몸체(32B) 하방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33) 각각에 너트로 고정 시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30)는 도 4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33)의 높이를 개별적으로 높이 조절 볼트(32)를 조절하여 상, 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이때 스프링(33)의 압축과 탄발에 의하여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33)이 장력을 유지하면서 비닐원단(V)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이 경우에 공급되는 개별 비닐원단(V)의 길이가 길거나 짧을 경우 및 각개별 비닐원단(V)에 인쇄된 마크(M)의 위치가 다를 경우 비닐원단(V)의 융착 및 커팅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조절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20)의 상부에 비닐원단(V) 전체 융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는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나사 지지봉(20)에 나사 조립한 승, 하강 이동몸체(41)와;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41) 둘레에 감싸 설치한 종 방향 기어(42') 및 이와 맞물린 횡 방향기어(42")로 구성된 제1 헬리컬 기어(42)와; 상기 횡 방향 기어(42")에 끼워 회전시키는 회전축(43)에 조절 핸들(44)을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41) 및 제1 헬리컬 기어(42)를 내장시킨 박스(45)와 박스(45) 사이에 안내 로울러(46)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에서 승, 하강 이동몸체(41)의 상,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47)이 설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는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33)으로 부터 공급되는 각각의 비닐원단(V) 전체 각각의 융착 위치 및 커팅(절단)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상, 하 높이 조절기로서, 비닐원단(V)의 길이가 길거나 짧을 경우 조절 핸들(44)을 좌, 우 회전 시켜 회전축(43)을 좌, 우 회전 시킴으로써 좌, 우 회전되는 횡 방향 기어(42")와 맞물린 종 방향 기어(42')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종 방향 기어(42')와 결합된 승, 하강 이동몸체(41)의 내부 나사산이 고정 나사 지지봉(20)의 나사산을 따라 승, 하강 되면서 박스(45)에 설치한 안내 로울러(46)도 상, 하 이동하게 되므로 공급되는 비닐원단(V)의 전체 길이를 맞추어 조절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비닐원단(V)의 전체 융착 및 커팅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융착 및 커팅 위치가 달라 발생하는 비닐백 등의 불량제품 생산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고정 나사 지지봉(20)의 하측 위치에 비닐원단(V) 마크 센서위치 조절을 위한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50)는 도 1,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나사 지지봉(20)에 나사 조립한 승, 하강 이동몸체(51)와;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51) 둘레에 감싸 설치한 종 방향 기어(52') 및 이와 맞물린 횡 방향 기어(52")로 구성된 제1 헬리컬 기어(52)와; 상기 횡 방향 기어(52")에 끼워 회전시키는 회전축(53)에 조절 핸들(54)을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51) 및 제1 헬리컬 기어(52)를 내장시킨 박스(55)와 박스(55) 사이에 안내 로울러(56)를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50)에서 승, 하강 이동몸체(51)의 상, 하부에는 스러스트 베어링(57)이 설치되며, 도면 중 58은 박스(55) 지지대이고, 상기 박스(55)와 박스(55) 하측 사이에 설치된 고정된 지지대(58)에 이동이 자유롭게 나사 조립 시켜 일정간격을 두고 포토 센서(59)가 설치되어 이송되는 비닐원단(V)에 인쇄된 마크(M)를 상기 포토 센서(59)가 감지하여 비닐원단(V)의 융착 및 컷팅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하며, 만일 각각 이송되는 복수의 비닐원단(V)에 인쇄된 마크의 위치가 다를 경우 비닐원단(V)의 융착 및 커팅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의 동작과 같이 이송되는 비닐원단(V)의 높이를 상, 하 조절시킬 수 있고, 이러한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50)의 동작은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 포토 센서(59)는 도 7과 같이 지지대(55)를 따라 좌, 우 이동시켜 각각의 비닐원단(V)에 인쇄된 마크(M) 감지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 상부에 결합시킨 비닐원단 공급조절기(60)는 도 1, 도 2 및 도 5, 도 6과 같이 받침판(10) 상부에 결합시킨 승, 하강 안내 몸체(61)와; 상기 승, 하강 안내 몸체(61)의 상부에 캠(62)이 내장된 캠 박스(63)와; 상기 캠(62)에 끼워진 회전축(63A)에 설치한 조작 핸들(64);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 하강 안내 몸체(61)의 일측 개방부(61')에 끼워져 상부는 캠(62)의 하부면과 면접되고, 하부는 승, 하강 안내 몸체(61)의 내부 요입부에 설치한 스프링(65)의 상부와 면접 되며, 안내봉(66)이 일측에 구비된 상, 하 간격 조절판(67)과; 상기 승, 하강 안내 몸체(61)와 승, 하강 안내 몸체(61) 사이에 설치한 고정 안내판(68);을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상, 하 간격 조절판(67)과 고정 안내판(68)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한 상, 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되며, 비닐원단(V) 끝단을 상기 상, 하 간격 조절판(67)과 고정 안내판(68) 사이의 간격을 통하여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5의 (a) 및 도 6의 (a)와 같이 회전축(63)을 조작 핸들(64)을 통하여 회전시켜 캠(62)을 구성하는 캠 로브(62')의 반대 캠 원형부(62")의 하부면에 상, 하 간격 조절판(67)의 상부면이 면접 되게 함과 동시에 스프링(65)이 탄발 시켜 상, 하 간격 조절판(67)과 고정 안내판(68) 사이의 간격 즉, 도 5의 (a)에 도시한 "A" 부분과 같이 넓은 간격(D)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넓은 간격(D)을 통하여 수월하게 비닐원단(V)의 전단을 끼워 인출시킬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도 5의 (b) 및 도 6의 (b)와 같이 이후 계속 이송되는 비닐원단(V)의 원활한 공급을 위하여 회전축(63)을 조작 핸들(64)을 통하여 회전시켜 캠(62)을 구성하는 캠 로브(62')의 하부면이 상, 하 간격 조절판(67)을 누르면서 스프링(65)을 압축시켜 상, 하 간격 조절판(67)과 고정 안내판(68) 사이의 간격 즉, 도 5의 (b)에 도시한 "A" 부분과 같이 좁은 간격(D')을 가지게 함으로써 상기 간격(D')에 끼워진 비닐원단(V)이 원활하고도 안정적인 이송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받침판(10)과 받침판(10) 사이에 설치한 비닐원단 스토퍼(70)는 상기 받침판(10)과 받침판(10) 사이에 설치한 지지대(71)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한 복수의 솔레노이드(72)와; 상기 솔레노이드(72)의 작동에 의하여 승, 하강 하는 패드가 부착된 복수의 스토퍼(73);로 구성하며, 이송되는비닐원단(V)의 융착 및 커팅을 위하여 일시적으로 정지시키는 경우 제어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72)의 작동에 따라 스토퍼(73)가 상승하여 이송되는 비닐원단(V)을 도 6의 (c)와 같이 상, 하 간격 조절판(67)의 안내봉(66) 측으로 밀어올려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열로 이송되는 각각의 비닐원단(V)을 개별적으로 간격 조절판(67)과 고정 안내판(68) 사이의 간격으로 끼워 인출하여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비닐원단(V)을 이송시키되, 각각의 비닐원단(V)을 개별적으로 해당 솔레노이드(72)의 작동에 의하여 스토퍼(73)를 작동시켜 해당 비닐원단(V)을 정지시킬 수 있게된다.
상기에서, 상, 하 간격 조절판(67)의 하부면에는 부드러운 패드(67A)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도 8과 같이 권취 로울러에 권취 시킨 비닐원단(V)을 이송 로울러(R1) 및 이송 로울러(R2)를 통하여 공급시키고, 상기 이송 로울러(R1)의 후단에 비닐원단(V) 융착을 위한 히팅부(H) 및 이송로울러(R2) 커팅부(C)가 설치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각 동작에 의하여 비닐원단(V)의 융착 및 절단(커팅)을 수행하여 쇼핑백 등을 제조하게 되는 것이다.
즉, 비닐원단(V)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30)의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33) 하방을 거쳐 상, 하 높이가 조절된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 및 제2 상, 하 높이조절기(40) 각각의 안내 로울러(46)(56)에 안내시켜 비닐원단 공급조절기(60)의 상, 하 간격 조절판(67)과 고정 안내판(68) 사이의 간극을 통하여 이송하게 되며, 이때 다열 즉, 이송되는 비닐원단(V)이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거나 인쇄된 마크의 위치가 다를 경우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조절기(30),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 및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40)의 상, 하 조절을 통하여 각각의 비닐원단(V)의 전체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비닐원단(V)의 융착 및 커팅 위치를 정확하게 맞추게 함으로써 비닐원단(V)을 통한 비닐백 등의 불량품 생산을 배제하게 되며, 상, 하 간격 조절판(67)의 승, 하강 조작에 의하여 비닐원단(V)의 원활한 인출 및 공급 가능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비닐 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100)의 고정 나사 지지봉(20)이 기둥 기능을 수행하게 하여 견고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 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받침판 20 : 고정 나사 지지봉
30 :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
40, 50 : 제1 및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
60 : 비닐원단 공급 조절기 70 : 비닐원단 스토퍼
100 :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

Claims (1)

  1. 받침판(10)에 세로방향으로 세워진 고정 나사 지지봉(20)과; 상기 받침판(10) 후방에 설치한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30)와;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20)의 상부에 비닐원단(V) 전체 융착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와; 상기 고정 나사 지지봉(20)의 하측 위치에 비닐원단(V) 마크 센서위치 조절을 위한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50)와; 상기 받침판(10) 상부에 결합시킨 비닐원단 공급조절기(60); 및 상기 받침판(10)과 받침판(10) 사이에 설치한 비닐원단 스토퍼(70);를 포함하여 구성하되, 비닐원단 개별 융착 위치 조절기(30)는 고정 가로대(31)의 양단을 고정 부재에 의하여 받침판(10)에 세워 고정 시키고, 상기 고정 가로대(31)에 나사 조립한 높이 조절 볼트(32)의 머리부(32A)와 고정 가로대(31) 상부면 사이에 스프링(33)을 설치하되, 상기 조절 볼트(32)의 나사 몸체(32B) 하방을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한 비닐원단 개별 공급 안내봉(33) 각각에 너트로 고정 시켜 구성하고, 제1 상, 하 높이 조절기(40)는 고정 나사 지지봉(20)에 나사 조립한 승, 하강 이동몸체(41)와;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41) 둘레에 감싸 설치한 종 방향 기어(42') 및 이와 맞물린 횡 방향 기어(42")로 구성된 제1 헬리컬 기어(42)와; 상기 횡 방향 기어(42")에 끼워 회전시키는 회전축(43)에 조절 핸들(44)을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41) 및 제1 헬리컬 기어(42)를 내장시킨 박스(45)와 박스(45) 사이에 안내 로울러(46)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제2 상, 하 높이 조절기(50)는 고정 나사 지지봉(20)에 나사 조립한 승, 하강 이동 몸체(51)와;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51) 둘레에 감싸 설치한 종 방향 기어(52') 및 이와 맞물린 횡 방향 기어(52")로 구성된 제1 헬리컬 기어(52)와; 상기 횡 방향 기어(52")에 끼워 회전시키는 회전축(53)에 조절 핸들(54)을 설치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 하강 이동몸체(51) 및 제1 헬리컬 기어(52)를 내장시킨 박스(55)와 박스(55) 사이에 안내 로울러(46)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비닐원단 공급조절기(60)는 받침판(10) 상부에 결합시킨 승, 하강 안내 몸체(61)와; 상기 승, 하강 안내 몸체(61)의 상부에 캠(62)이 내장된 캠 박스(63)와; 상기 캠(62)에 끼워진 회전 축(63)에 설치한 조작 핸들(64);을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승, 하강 안내 몸체(61)의 일측 개방부(61')에 끼워져 상부는 캠(62)의 하부면과 면접되고, 하부는 승, 하강 안내 몸체(61)의 내부 요입부에 설치한 스프링(65)의 상부와 면접 되며, 안내봉(66)을 일측에 구비한 상, 하 간격 조절판(67)과; 상기 승, 하강 안내 몸체(61)와 승, 하강 안내 몸체(61) 사이에 설치한 고정 안내판(68);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닐원단 공급 높이 조절장치.
KR1020180093644A 2018-08-09 2018-08-09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Active KR10199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44A KR101990741B1 (ko) 2018-08-09 2018-08-09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644A KR101990741B1 (ko) 2018-08-09 2018-08-09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0741B1 true KR101990741B1 (ko) 2019-09-30

Family

ID=68098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644A Active KR101990741B1 (ko) 2018-08-09 2018-08-09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07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698B2 (ja) * 1985-12-28 1994-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機の全自動給紙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01173A (ko) 1997-06-12 1999-01-15 배순훈 드럼조립체 자동조립라인용 파렛트위치 고정장치
JP2012091886A (ja) * 2010-10-25 2012-05-17 Satoru Aikawa 給紙装置
KR101714449B1 (ko) * 2014-12-31 2017-03-10 (주)아이피에스코리아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8698B2 (ja) * 1985-12-28 1994-11-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印刷機の全自動給紙方法および装置
KR19990001173A (ko) 1997-06-12 1999-01-15 배순훈 드럼조립체 자동조립라인용 파렛트위치 고정장치
JP2012091886A (ja) * 2010-10-25 2012-05-17 Satoru Aikawa 給紙装置
KR101714449B1 (ko) * 2014-12-31 2017-03-10 (주)아이피에스코리아 필름 공급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가이드부를 구비하는 포장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1679B1 (ko) 롤테이프 자동절단장치
KR101771585B1 (ko) 디지털 인쇄용 피출력물의 장력유지기구를 구비한 디지털 인쇄장치
KR102438673B1 (ko) 원단 공급장치
CN211283089U (zh) 一种卷材输送纠偏装置
CN212953370U (zh) 一种打卷机
KR101320895B1 (ko) 텐션 조절이 가능한 롤 코팅 장치
KR101868451B1 (ko) 타이어 반제품의 위치 자동보정 장치
KR101990741B1 (ko) 다열식 비닐원단 인쇄 마크 제어장치의 엘리베이터 구조
EP3463887A1 (de) Folienprägemaschine
CN206955271U (zh) 用于在辊子上卷绕扁平材料和/或薄膜材料的保持和开卷设备和容器打包设备
CN204324482U (zh) 向裁断机的开匹搬入装置
CN221187803U (zh) 一种印刷纠偏检测装置
US9403315B2 (en) Plastic film stretching apparatus
KR101879584B1 (ko) 루프 시스템용 코일감지장치
CN209567633U (zh) 输送设备
KR101758888B1 (ko) 벨트 공급 조절장치
KR101480909B1 (ko) 목재 자동공급장치
KR100652898B1 (ko) 레벨피더용 패스라인 조절장치
KR101073707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장력조절장치
KR100963174B1 (ko) 스트립 권취장치
US105083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pplying tension to backing materials for tufted products
KR101094398B1 (ko) 스티칭 머신의 급지장치
JP3155034U (ja) ロール材繰り出しセッティング装置
KR101790132B1 (ko) 인취 장치
KR102395721B1 (ko) 용지 보관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5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6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6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