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90354B1 - 의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0354B1
KR101990354B1 KR1020177037547A KR20177037547A KR101990354B1 KR 101990354 B1 KR101990354 B1 KR 101990354B1 KR 1020177037547 A KR1020177037547 A KR 1020177037547A KR 20177037547 A KR20177037547 A KR 20177037547A KR 101990354 B1 KR101990354 B1 KR 101990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time
clothes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7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0268A (ko
Inventor
타카유키 나가이
하지메 스즈키
토모히로 야마우치
카츠지 오니시
오사무 타니고시
Original Assignee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쿠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0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20Gaseous substances, e.g. vapours
    • A61L2/202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1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measuring specific parameters
    • D06F34/20Parameters relating to constructional components, e.g. door sens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06F58/14Collapsible drying cabinets; Wall mounted collapsible ho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6Textiles, e.g. towels, beds, clo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A61L2209/212Use of ozone, e.g. generated by UV radiation or electrical discharg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냄새가 의류에 다시 부착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의류 탈취 장지(1)는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10);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팬(700)을 포함하고, 송풍팬(700)의 작업을 통해 오존 발생기(600)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공기의 유동에 의해 자루체(10) 내로 송입시키는 오존 공급 장치(20); 및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팬(700)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910); 를 구비하고, 제어부(910)는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팬(700)을 작업시키는 탈취작업을 진행한 후, 송풍팬(700)을 간헐적으로 작업시키는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 장치
본 발명은 의류에 대해 탈취 등 처리를 실시하는 의류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의류 리프레시(refresh) 장치는, 의류를 행어 로드(hanger rod)에 걸어 수용하는 수납고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고에서 고온 고습도의 공기를 순환시키며, 의류의 냄새를 흡착한 순환 공기를 오존 탈취 장치(ozone deodorizing device)에 인입하여, 의류의 탈취를 진행한다(특허 문헌 1을 참조).
상기 의류 리프레시 장치는 수납고를 구비하므로 장치 본체가 쉽게 커진다. 따라서, 큰 설치 공간이 필요없이 가정에서 쉽게 설치하도록,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 및 상기 자루체 내로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공급하는 오존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자루체에 수용된 의류에 대해 오존에 의한 탈취 등 처리를 실행하는 의류 처리 장치를 실현할 것을 생각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의류처리 장치에서, 오존을 통해 진행하는 탈취 작업이 종료한 후 탈취작업 과정에서 완전히 분해되지 못한 냄새 성분이 자루체 내의 공기 중에 잔류하는 경우, 탈취작업 종료로부터 의류를 자루체에서 꺼내는 동안 의류에 냄새가 다시 부착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개평 04-327900호
본 발명은 해당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기술방안이며, 효과적으로 냄새가 의류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의류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주요형태의 의류처리 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 오존 발생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의 작업을 통해 상기 오존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자루체 내로 송입시키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을 작업시키는 제 1 작업을 진행한 후, 상기 오존 발생기를 작업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을 간헐적으로 작업시키는 제 2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제 1 작업을 통해 진행되는 의류의 탈취가 종료한 후 제 2 작업을 진행함으로써, 의류를 자루체에서 꺼낼때까지의 기간동안 자루체 내에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게 되므로, 냄새가 자루체 내의 의류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작업에서 송풍팬을 간헐적으로 작업시키므로 자루체는 반복적으로 팽창 수축하게 된다. 이로써, 자루체 내에, 팽창 수축을 통해, 공기는 자루체의 입구에서 출구로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뿐만 아니라 기타 방향으로도 유동하게 되므로, 효과적으로 냄새성분을 자루체 내의 의류로부터 멀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따라, 제 2 작업 시에 자루체는 반복적으로 팽창 수축하므로 사용자는 제 1 작업을 진행할때와 명확하게 상이한 자루체의 동향에 따라 제 1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따라, 제 2 작업에서 송풍팬을 간헐적으로 작업시키므로 송풍팬을 연속적으로 작업시키는 경우에 비해 전기 소모를 감소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의류처리 장치는 상기 자루체에 설치된 의류의 투입구가 열렸는지를 검측하기 위한 검측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작업을 소정시간 진행시키며, 해당 소정시간을 경과하기 전 상기 검측부를 통해 상기 투입구가 개방된 것을 검측했을 경우, 상기 제 2 작업을 종료한다.
상기 구조에 따라, 의류를 자루체에서 꺼낸 후 제 2 작업을 계속하여 진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사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의류처리 장치는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시간보다 긴 제 2 시간 중에서 상기 제 1 작업의 작업시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작업을 제 1 시간 진행한 후 상기 제 2 작업을 진행하며, 상기 제 1 작업이 상기 제 2 시간 진행한 후 상기 제 2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다.
상기 구조에 따라, 비교적 긴 탈취작업을 통해 냄새성분이 거의 잔류하지 않는다고 간주할 경우, 제 2 작업이 진행되지 않으므로, 전기사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본 형태의 의류처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작업이 종료한 후로부터 시작하여 소정 대기시간을 경과한 후, 상기 제 2 작업을 시작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대기시간을 경과하는 기간동안 자루체를 수축시켜 제 1 작업 전의 형태로 돌아가게 하므로, 제 2 작업이 시작하기 전 자루체의 상태를 통해 사용자는 제 1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냄새가 의류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및 의미는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나, 하기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할 때의 하나의 예시일뿐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실시형태에 언급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의류 탈취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자루체, 도입관 및 검측 락(lock)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존 공급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도입관이 오존 공급 장치에 대한 연결, 및 덕트(duct) 검측부에 의한 연결의 검측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락 검측부가 자루체의 투입구가 지퍼에 의해 폐쇠된 것을 검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락 검측부가 자루체의 투입구가 지퍼에 의해 폐쇠된 것을 검측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기 공급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오존 공급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은 실시형태에 따른 재부착 방지 작업에서 송풍팬(fan)이 간헐적으로 작동할 때의 의류 탈취 장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작업에서부터 재부착 방지 작업까지의 일련의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5는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 작업에서부터 재부착 방지 작업까지의 일련의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의류 처리 장치의 일 실시형태 즉 의류 탈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의류 탈취 장치(1)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a)는 의류 탈취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의류 탈취 장치(1)를 구성하는 베이스(50), 지지대(60) 및 자루체 유지부(70)의 사시도이다. 이외, 도 2는 자루체(10), 도입관(30) 및 검측 락(look)(9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a)는 자루체(10)의 하부 중앙부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입관(30)의 저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4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의 (a) 및 (b)는 각각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40)이 장착된 자루체(10) 상부의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설명해야 할 점은, 도 3(b)에서 자루체(10)의 앞면에 대한 도시가 생략된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의류 탈취 장치(1)는 자루체(10), 오존 공급 장치(20), 도입관(30),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40), 베이스(50), 지지대(60), 자루체 유지부(70) 및 향기 공급유닛(80)을 포함한다.
자루체(10)는 양복, 코트 등 각종 의류를 수용한다. 자루체(10)는 통기성을 구비하지 않는 여러 장의 직물이 겹쳐져 형성되므로, 충분한 밀폐성을 가진다. 자루체(10)는 앞뒤가 편평한 대략 세로로 긴 직육면체와 비슷한 형상을 가지며, 상하 사이즈는 롱 셔츠, 롱 코트 등 길이가 긴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된다. 이외, 자루체(10)의 앞뒤 사이즈는 한 벌의 의류를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자루체(10)의 상하 사이즈는 길이가 긴 의류를 수용할 수 없는 사이즈로 설정될 수도 있고, 앞뒤 사이즈는 두세 벌 정도의 의류를 앞뒤로 배열하여 수용할 수 있는 사이즈로 설정될 수도 있다.
자루체(10)의 앞면에서 좌우 방향의 대략 중앙에는, 의류의 투입구(11)를 구성하는 간극이 상단에서부터 하단으로 형성된다. 투입구(11)에는 지퍼(12)가 장착된다. 지퍼(12)에 의한 폐쇄를 진행 시, 시작부(12a) 및 끝단부(12b)는 각각 자루체(10)의 상단 및 하단에 위치한다. 지퍼(12)의 슬라이더(slider)(12c)는 시작부(12a)와 끝단부(12b) 사이에서 이동한다. 시작부(12a)에서 슬라이더(12c)를 아래로 당기면 지퍼(12)는 닫겨지므로 투입구(11)는 폐쇄되고, 끝단부(12b)에서 슬라이더(12c)를 위로 당기면 지퍼(12)는 열려지므로 투입구(11)는 개방된다.
도 2(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은 연결 라인(95)을 통해 슬라이더(12c)에, 더 구체적으로는 슬라이더(12c)의 손잡이에 연결된다. 검측 락(90)은 지퍼(12)를 통해 투입구(11)의 폐쇄를 검측한다. 검측 락(90)은 원통 형상을 가지고 그의 원주면의 하단부에 돌출부(91)가 형성되고 그의 상단부에 연결 라인(95)을 고정하기 위한 인양 고리부(92)가 형성된다. 연결 라인(95)의 일단부는 슬라이더(12c)의 손잡이와 연결되고 타단부는 인양 고리부(92)와 연결된다. 연결 라인(95)은 기설정된 길이를 가지는 끈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밧줄, 체인(chain), 금속 와이어(wire) 등일 수 있다.
오존 공급장치(20)는 의류를 탈취하는 탈취 작업 및 의류에 향기를 첨가하는 향기 첨가 작업을 진행한다. 오존 공급장치(20)는 탈취 작업 시, 배출된 공기에 오존이 함유되도록 하는 동작을 진행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자루체(10)에 공급한다. 이외, 오존 공급장치(20)는 향기 첨가 작업 시, 배출된 공기에 오존이 함유되지 않도록 하는 동작을 진행함으로써 오존을 함유하지 않은 공기를 자루체(10)에 공급한다. 오존 공급장치(20)는 본 발명의 오존 공급부에 해당된다.
도입관(30)은 자루체(10) 및 오존 공급장치(20)에 연결되며 오존 공급장치(20)에서 배출된 공기를 자루체(10) 내로 도입시킨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에서, 하면의 중앙부에 공기의 입구(13)가 설치되고, 해당 입구(30)에서 아래로 연장되는 원통형부(14)에 도입관(30)의 전단부가 고정된다. 도입관(30)은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원통형의 본체부(31) 및 본체부(31)의 하방에 형성된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원통형의 연결부(32)를 포함한다. 도입관(30)이 자루체(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연결부(32)의 하단에서, 자루체(10)의 오른쪽으로 향하는 위치 및 왼쪽으로 향하는 위치에 각각 오른쪽 고리부(33) 및 왼쪽 고리부(34)가 형성된다.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40)은 자루체(10) 후면의 상부에 설치된다.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40)은 배기부(41), 행거 지지부(42) 및 장착부(43)를 포함한다.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40)은 자루체(10) 후면의 상부를 외측 및 내측 사이에 끼워지도록 하는 뒤쪽 유닛(100) 및 앞쪽 유닛(200)으로 구성된다.
자루체(10) 내로부터 오는 공기는 배기부(4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배기부(41)에 오존제거 필터(300)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활성탄 및 촉매를 알루미늄 등 기재에 전이시켜 형성된 활성탄/촉매 필터를 오존 제거 필터(300)로 사용할 수 있다. 오존제거 필터(300)는 배기부(41)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존을 제거한다. 행거 지지부(42)는 의류가 걸려있는 의류용 행거(H)를 지지한다. 이외, 행거 지지부(42)는 상부 커버(440)를 지지한다. 상부 커버(440)는 약간 만곡된 활 형상의 가로로 길게 판상으로 형성된다. 해당 상부 커버(440)에 의해 자루체(10)의 상면은 내측에서 보강된다. 장착부(43)는 후방으로 돌출된 사각형 박스 형상으로 형성되며, 장착부의 후면에 장착홀(43a)이 형성된다.
베이스(50)는 소정된 형상,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평판이다. 베이스(50)의 상방에 오존 공급장치(20)가 배치된다. 베이스(50)의 뒷부분에 지지대(6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51)가 형성된다. 또한, 베이스(50)에 오존 공급장치(20)의 앞면이 베이스(50)의 정면 방향을 향하도록 오존 공급장치(20)를 고정하기 위한 제 1 고정부(52) 및 제 2 고정부(53)가 형성된다. 제 1 고정부(52)는 복수 개의 후크(hook)형 고리부(52a)로 구성된다. 제 2 고정부(53)는 일단부가 베이스(50)에 의해 지지되는 "L" 자형의 탄성 레버(elastic lever)(53a); 탄성 레버(53a)의 일단부에 비해 약간 후방에 형성된 돌기(53b); 및 탄성 레버(53a)의 타단부에 형성된 압착부(53c);를 포함한다. 하방으로 압착부(53c)를 누를 경우, 탄성 레버(53a)는 탄성 변형되고 돌기(53b)는 하방으로 압입된다.
지지대(60)는 두 개의 로드(rod)(61)로 구성된다. 지지대(60)의 하단부는 지지부(51)에 장착되고 베이스(50)에 대해 직립된다. 지지대(60)는 두 개의 로드(61)가 아니라, 1 개 또는 3 개 이상의 로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외, 지지대(60)에 지지대(6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 기구가 설치될 수도 있다.
지지대(60)의 상단에 자루체 유지부(70)가 장착된다. 자루체 유지부(70)는 전방으로 돌출된 지지부(71)를 구비하며, 해당 지지부(71)를 장착부(43)의 장착홀(43a)에 삽입함으로써, 자루체(10)가 앞뒤, 상하 및 좌우의 어느 방향으로도 이동되지 않도록 걸림 지지된다.
향기 공급유닛(80)은 오존 공급장치(20)를 통해 향기 첨가 작업을 진행할 때 사용된다. 향기 공급유닛(80)은 탈부착 가능하게 도입관(30)에 장착되며 자루체(10)로 공급되는 공기가 방향(aroma) 성분을 함유되도록 한다.
다음, 오존 공급장치(2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오존 공급장치(20)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상면 커버(440)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오존 공급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상면 커버(440)를 장착한 상태에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사시도이다. 도 5(a)는 오존 공급장치(20)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내측에서 오존 공급장치(20)의 하우징(400)의 상면을 관찰한 횡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c)는 각각 오존 공급 장치(20)의 좌측면도, 배면도 및 저면도이고, 도 6의 (d) 및 (e)는 베이스(50)에 고정된 상태에서의 오존 공급 장치(20)의 주요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7(a)는 배면 측에서 관찰한 오존 공급 장치(20)의 종단면도이고, 도 7(b)는 위쪽에서 관찰한 오존 공급 장치(20)의 주요 부분의 횡단면도이다. 설명해야 할 점은, 도 7(a)에서는 오른쪽 삽입 홈부(415), 왼쪽 삽입 홈부(416), 락 삽입 홈부(417), 덕트 검측부(460) 및 락 검측부(47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오존 공급 장치(20)는 하우징(400), 통기관(500), 오존 발생기(600), 송풍팬(fan)(700), 흡기 유닛(800) 및 제어 유닛(900)을 포함한다.
하우징(400)은 하우징 본체(410), 앞면 커버(420), 흡기 커버(430), 상면 커버(440) 및 조작부(450)를 포함한다. 도 4(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는 상면이 완만하게 만곡된 가로로 긴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하우징(410)의 앞면에 앞면 개구부(411)가 형성되고, 해당 앞면 개구부(411)는 앞면 커버(42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폐쇄된다.
하우징 본체(410)의 상면에 상부 커버(44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요함된 오목면부(412)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의 중앙에 원형으로 요함된 삽입구부(413)가 설치된다. 삽입구부(413)에 격자형의 정류 리브(414a)를 구비하는 배출구(414)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에서 삽입구부(413)의 좌우 양측에 도입관(30)의 오른쪽 고리부(38) 및 왼쪽 고리부(39)에 대응되는 형상의 오른쪽 삽입 홈부(415) 및 왼쪽 삽입 홈부(416)가 형성된다. 도 5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삽입 홈부(415)의 앞쪽에는, 오른쪽 삽입 홈부(415)에 삽입된 오른쪽 고리부(33)가 우회전 방향으로만 대략 하나의 오른쪽 고리부(33) 만큼 이동하도록 오른쪽 개구부(415a)가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왼쪽 삽입 홈부(416)의 뒤쪽에는, 왼쪽 삽입 홈부(416)에 삽입된 왼쪽 고리부(34)가 우회전 방향으로만 대략 하나의 왼쪽 고리부(34) 만큼 이동하도록 왼쪽 개구부(416a)가 형성된다.
오목면부(412)에서 오른쪽 단부에 검측 락(90)과 대응되는 형상의 락 삽입 홈부(417)가 형성된다. 도 5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락 삽입 홈부(417)의 뒤쪽의 측면에 개구부(417a)가 형성된다.
도 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 탈취장치(1)를 사용하지 않을 시, 자루체(10)에서 탈착한 상부 커버(440)를 오목면부(412)에 장착할 수 있다. 이로써, 자루체(10)에서 탈착한 상부 커버(440)의 보관 장소는 확보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을 때 상부 커버(440)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 사용하지 않을 때 먼지 등이 배출구(414) 및 락 삽입 홈부(417)로부터 하우징(400)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4(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덕트 검측부(460) 및 락 검측부(470)가 배치된다. 덕트 검측부(460)는 검측 스위치(461) 및 중계 레버(462)를 포함한다. 검측 스위치(461)는 스위치부(461a) 및 스위치부(461a)를 누르기 위한 레버부(461b)를 구비한다. 중계 레버(462)는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463)에 장착되는데, 일단은 오른쪽 삽입 홈부(415)의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은 검측 스위치(461)에 접촉된다. 락 검측부(470)는 검측 스위치(471) 및 중계 레버(472)를 포함한다. 검측 스위치(471)는 스위치부(471a) 및 스위치부(471a)를 누르기 위한 레버부(471b)를 구비한다. 중계 레버(472)는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473)에 장착되는데, 일단은 락 삽입 홈부(417)의 부근에 위치하고 타단은 검측 스위치(471)에 접촉된다. 락 검측부(470)는 본 발명의 검측부에 해당된다.
도 6(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10)의 왼쪽면에 조작부(450)가 설치된다. 조작부(450)는 전원 버튼(451), 탈취 버튼(452), 향기 첨가 버튼(453) 및 선택 버튼(454)을 포함한다. 전원 버튼(451)은 의류 탈취 장치(1)의 전원을 온(ON) 및 오프(OFF)하기 위한 버튼이다. 탈취 버튼(452)은 탈취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향기 첨가 버튼(453)은 향기 첨가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버튼이다. 선택 버튼(454)은 "0.5h", "2h", "4h" 및 "8h" 중에서 탈취작업 및 향기 첨가 작업의 작업시간을 선택하기 위한 버튼이다. "0.5h", "2h" 및 "4h"은 본 발명의 제 1 시간에 해당되고 "8h"은 본 발명의 제 2 시간에 해당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선택된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은 4 개의 시간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의 각각의 시간도 상술한 4 개의 값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외, 조작부(450)는 덕트 미연결 통지부(455), 투입구 열림 통지부(456), 작업시간 통지부(457) 및 방지작업 통지부(458)를 포함한다. 덕트 미연결 통지부(455)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고 점등을 통해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되지 않았음을 통지한다. 투입구 열림 통지부(456)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고 점등을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았음을 통지한다. 작업시간 통지부(457)는 선택 버튼(454)을 통해 선택할 수 있는 각 작업시간에 대응되는 4 개 시간 통지부, 예를 들어 4 개의 LED를 구비하며, 선택된 작업시간은 해당 작업시간에 대응되는 시간 통지부의 점멸(flickering)을 통해 통지된다. 방지작업 통지부(458)는 예를 들어 LED로 구성되며, 냄새가 의류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부착 방지 작업이 진행되고 있음을 점멸을 통해 통지한다.
도 6(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후면에 흡기구(418)가 형성되고 해당 흡기구(418)는 흡기 커버(430)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폐쇄된다. 흡기 커버(430)에 다수 개의 흡기홀(431)이 형성된다.
도 6(c)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410)의 바닥면에서, 베이스(50)의 제 1 고정부(52)의 각각의 고리부(52a)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1 장착홀(419a)이 형성되고, 제 2 고정부(53)의 돌기(53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 2 장착홀(419b)이 형성된다. 사용자는 하방으로 제 2 고정부(53)의 누름부(53c)를 눌러 돌기(53b)를 압입시킨 후, 고리부(52a)를 제 1 장착홀(419a)에 통과시키고 오존 공급 장치(20)를 베이스(50)에 적재한 후 오존 공급 장치(20)를 횡방향으로 슬라이드하면, 도 6(d)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고리부(52a)는 하우징 본체(410)의 바닥면과 걸리게 된다. 다음, 사용자가 누름부(53c)에 대한 누름을 정지하면, 도 6(e)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53b)는 제 2 장착홀(419b)에 감입된다. 이로써, 오존 공급 장치(20)는 상하, 앞뒤 및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베이스(50)에 고정된다. 따라서, 오존 공급 장치(20)에 의해 제공된 공기에 의해 자루체(10)가 팽창될 때, 오존 공급 장치(20)에 가해지는 힘으로 인해 오존 공급 장치(20)가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우징(400)의 내부에 통기관(500), 오존 발생기(600), 송풍팬(700), 흡기 유닛(800) 및 제어 유닛(900)이 배치된다.
도 7의 (a) 및 (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관(500)은 덕트 본체(510) 및 덕트 덮개(520)를 포함한다. 덕트 본체(510)의 도입구(511)는 송풍팬(700)의 배출구(720)와 연결되고 도출구(512)는 배출구(414)와 연결된다. 덕트 본체(510) 내의 도입구(511) 부근에 오존 발생기(600)가 배치된다. 덕트 본체(510)는, 도입구(511)에서 왼쪽으로 연장되고 오존 발생기(600)가 배치된 위치를 초과한 부분에서부터 오른쪽으로 되돌아오도록 만곡된 후, 상방을 향해 도출구(512)까지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즉, 덕트 본체(510)의 오존 발생기(600)의 하류 측을 구성하는 부분은 "S" 자 형태로 사행한다.
오존 발생기(600)는 방전형 오존 발생기이고, 한 쌍의 전극 사이에서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 무음 방전 등 방전을 생성하며, 한 쌍의 전극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이용하여 오존을 생성한다. 덕트 본체(510)의 앞면에서, 오존 발생기(60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개구부(513)가 형성된다. 개구부(513)는 덕트 덮개(520)에 의해 폐쇄된다. 사용자는 앞면 커버(420) 및 덕트 커버(520)를 제거함으로써, 개구부(513)를 통해 전극에 대한 청소 등을 진행하여 오존 발생기(600)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송풍팬(700)은 원심 팬이며, 측면에 흡입구(710)가 설치되고 원주면에 배출구(720)가 설치된다. 흡입구(710)는 하우징(400) 후면의 흡기구(418)와 대면한다. 송풍팬(700)은 흡입구(710)에서 공기를 획득하며, 획득한 공기를 공기 덕트(500) 내의 오존 발생기(600)로 수송한다. 송풍팬(700)은 원심 팬 이외의 팬, 예를 들어 축류 팬(axial flow fan)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 7(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400)의 흡기구(418)와 송풍팬(700)의 흡입구(710) 사이에 흡기 유닛(800)이 설치된다. 흡기 유닛(800)은 흡기관(810), 먼지 필터(820) 및 오존 제거 필터(830)를 포함한다.
흡기관(810) 내부는 격자형의 분리판(811)에 의해 흡기구(418) 측의 제 1 필터 수용부(812) 및 송풍팬(700) 측의 제 2 필터 수용부(813)로 나누어 진다. 제 1 필터 수용부(812)에 먼지 필터(820)가 수용되고, 제 2 필터 수용부(813)에 오존 제거 필터(830)가 수용된다. 먼지 필터(820)는 흡기구(418)에서 획된하는 공기에 함유된 먼지 등을 제거한다. 오존 제거 필터(830)는 먼지 필터(820)를 통과한 공기에 함유된 오존을 제거한다. 배기 겸 행거지지 유닛(40)의 오존 제거 필터(300)와 마찬가지로, 오존 제거 필터(830)는 활성탄/촉매 필터로 사용될 수 있다.
흡기관(810)에 송풍팬(700)의 흡입구(710)와 연결된 연결부(814)가 설치되고, 연결부(814)와 제 2 필터 수용부(813)는 연통홀(815)에 의해 연결된다.
다음, 도 8을 참조하여 도입관(30)이 오존 공급 장치(20)에 대한 연결 및 덕트 검측부(460)를 통해 진행되는 연결에 대한 검측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입관(30)이 오존 공급장치(20)와 연결될 경우, 도 8(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의 연결부(32)는 오른쪽 고리부(33) 및 왼쪽 고리부(34)가 각각 오른쪽 삽입홈부(415) 및 왼쪽 삽입홈부(416)에 삽입되도록 삽입구부(413)에 삽입된다. 다음, 도입관(30)을 위쪽에서 관찰할 때의 오른쪽으로 회전하면, 오른쪽 고리부(33) 및 왼쪽 고리부(34)는 각각 오른쪽 개구부(415a) 및 왼쪽 개구부(416a)를 통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하우징 본체(410)의 상면에 걸리게 된다. 이로써, 도입관(30)은 상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이렇게, 도입관(30)은 오존 공급 장치(20)와 연결되고, 도 8(b)에서 타나낸 바와 같이, 오른쪽 고리부(38)가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할 때 중계 레버(462)의 일단측은 오른쪽 고리부(38)에 눌리운다. 중계 레버(462)가 회전되어 레버부(461b)가 중계 레버(462)의 타단측에 의해 눌리우면, 스위치부(461a)는 눌리운 레버부(461b)에 의해 눌리운다. 이로써, 검측 스우치(461)는 도입관(30)이 삽입구부(413)에 장착되었음을 검측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도입관(30)을 삽입구부(413)에서 제거하면, 레버부(461b)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중계 레버(462)를 회전하도록 하면서 초기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로써, 검측 스우치(461)는 도입관(30)이 삽입구부(413)에서 제거되었음을 검측한다.
다음,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여, 락 검측부(470)를 통해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하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검측 락(90)과 슬라이더(12c)를 연결시키는 연결 라인(95)은, 지퍼(12)가 끝단부(12b) 부근까지 폐쇄될 때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한다. 따라서, 도 9(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더(12c)가 끝단부(12b) 부근에 위치하지 않을 경우,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닿지 못하므로 사용자는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할 수 없다 즉, 적어도 지퍼(12)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 검측 락(90)은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없다. 한편, 도 9(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지퍼(12)가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서, 검측 락(90)은 락 삽입 홈부(417)에 닿을 수 있으므로, 락 삽입 홈부(417)에 검측 락(90)을 삽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퍼(12)를 통해 투입구(11)를 마지막까지 폐쇄할 경우, 도 10(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을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하고, 삽입된 검측 락(90)을 상방에서 관찰시 오른쪽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0(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검측 락(90)의 돌출부(91)는 개구부(417a)를 통해 하우징 본체(410) 상면의 내측으로 이동하고, 이동한 후의 돌출부(91)를 통해 중계 레버(472)의 일단측을 누른다. 중계 레버(472)가 회전되어 레버부(461b)가 중계 레버(472)의 타단측에 의해 눌리우면, 스위치부(471a)는 눌리운 레버부(461b)에 의해 눌리운다. 이로써, 검측 스위치(471)는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되었음을 검측하며, 즉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음을 검측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서 제거되면, 레버부(471b)는 자체의 탄력에 의해 중계 레버(472)를 회전시키면서 초기위치에 되돌아간다. 이로써, 검측 스위치(471)는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서 제거되었음을 검측한다.
다음, 향기 공급 유닛(80)의 상세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향기 공급유닛(8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의 (a) 및 (b)는 각각 도입관(30)에 향기 공급 유닛(80)이 장착된 상태에서의 자루체(10) 하부의 중앙부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이다.
향기 공급 유닛(80)은 위쪽에서 관찰할 때 타원형상을 가지는 박스형상의 수용 박스(81) 및 수용 박스(81) 내에 수용된 방향체(82)를 포함한다.
수용 박스(81)의 바닥면에 흡기구(83) 및 흡기구(83)와 인접하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 개의 리브로 구성된 적재부(84)가 형성된다. 적재부(84)의 상방에 방향체(82)가 적재된다. 이외, 수용 박스(81)의 바닥면에 원통형상의 연결구(85)가 흡기구(83)를 둘러싸도록 형성된다.
수용 박스(81)의 상면에서 적재부(84)의 바로 위쪽 위치에 개구부(86)가 형성되고, 해당 개구부(86)는 복수 개의 통기홀(87a)을 구비하는 커버부(87)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커버된다. 방향체(82)는 다공질 재료 등과 같은 액체 형상의 방향제를 함침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된다. 사용자는 커버부(87)를 오픈(open)하여 개구부(86)로부터 방향체(82)를 수용 박스(81) 내에 설치한다.
다음, 제어 유닛(9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제어 유닛(900)의 구조를 나타낸 오존 공급장치(20)의 블록도이다. 제어 유닛(900)은 제어부(910), 메모리부(920), 조작 입력부(930), 통지 구동부(940), 발생기 구동부(950), 팬 구동부(960)를 구비한다.
메모리부(920)는 EEPROM, RAM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부(920)에는 탈취 작업 및 향기 첨가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외, 메모리부(920)에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각종 파라미터, 각종 제어 태그(control tag)가 저장된다.
조작 입력부(930)는 전원 버튼(451), 탈취 버튼(452), 향기 첨가 버튼(453) 및 선택 버튼(454) 중 사용자가 조작한 버튼에 대응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910)에 출력한다. 통지 구동부(940)는 제어부(9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덕트 미연결 통지부(455), 투입구 열림 통지부(456), 작업시간 통지부(457), 방지작업 통지부(458) 및 버저(buzzer)(941)를 구동한다. 발생기 구동부(950)는 제어부(9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기(600)를 구동한다. 팬 구동부(960)는 제어부(91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송풍팬(700)을 구동한다.
덕트 검측 스위치(461)가 도입관(30)이 오존 공급장치(20)에 장착된 것을 검측하면, 이에 대응되는 검측 신호를 제어부(910)에 출력한다. 락 검측 스위치(471)가 검측 락(90)이 락 삽입 홈부(417)에 삽입된 것을 검측하면, 즉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지퍼(12)에 의해 폐쇄되었을 경우, 이에 대응되는 검측 신호를 제어부(910)에 출력한다.
제어부(910)는 조작 입력부(930), 덕트 검측 스위치(461), 락 검측 스위치(471) 등으로부터의 각각의 신호에 근거하여, 메모리부(92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통지 구동부(940), 발생기 구동부(950) 및 팬 구동부(960) 등을 제어한다.
다음, 의류 탈취 장치(1)를 통해 진행하는 탈취 작업 및 향기 첨가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탈취 작업을 진행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의류용 행거(H)에 걸려있는 의류를 자루체 유지부(70)에 걸려있는 자루체(10) 내에 수용한다. 이때, 도 3(b)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자루체(10) 내에서 의류용 행거(H)를 행거 지지부(42)의 제 2 지지부(121)에 걸어 놓는다. 이렇게, 자루체(10) 내에서 행거 지지부(42)를 통해 의류가 걸리게 된다. 사용자는 오존 공급장치(20)의 조작부(450)에서, 선택 버튼(454)을 통해 작업시간을 선택한 후 탈취 버튼(452)을 누른다.
탈취 작업이 시작되면, 외부의 공기는 흡기구(418)로부터 흡기관(810)에 흡입되고, 공기에 함유된 먼지 및 오존은 흡기관(810) 내의 먼지 필터(820) 및 오존 제거 필터(830)에 의해 제거된다. 먼지 및 오존이 제거된 공기는 송풍팬(700)을 통해 통기관(500) 내에 수송된다(도 7(b)에서의 화살표를 참조). 통기관(500)을 통과한 공기는 오존 발생기(600)를 통과할 때, 오존 발생기(600)에서 생성된 오존이 혼입된다. 이렇게,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통기관(500) 내를 거쳐 배출구(414)에 도달하며, 배출구(414)로 부터 배출된다(도 7(a)에서의 화살표를 참조).
오존 공급장치(20)에서 배출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도입관(30)을 통해 자루체(10) 내로 도입된다. 도 1(a)에서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 내에 도입된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서부터 위로 의류와 접촉되며 유동된다. 의류는 공기 중에 함유된 오존의 탈취 작용에 의해 탈취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본 실시형태에서 자루체(10)에서 배출된 배기량은 자루체(10)로 흡입된 흡입량보다 작도록 탈취작업 시의 송풍팬(700)의 회전속도를 설정한다. 이로써, 자루체(10) 내로 오존을 함유한 공기를 도입할 경우, 자루체(10)가 팽창하면서 자루체(10) 내의 공기의 압력이 상승한다. 오존은 상승한 압력에 의해 의류에 쉽게 침투되므로 의류의 탈취효과를 향상시킨다.
도 1(a)에서 점선 화살표가 나타낸 바와 같이, 의류에 대한 탈취에 따라 오존의 농도가 낮아진 공기는 자루체(10) 상부의 배기부(41)를 통해 자루체(10)의 외부로 배출된다. 탈취 후의 공기는 배기부(41)를 통과할 때, 오존 제거 필터(300)에 의해 오존이 제거된다. 이로써, 자루체(10)에서 배출된 공기 중의 오존 농도는 더 낮아지게 된다.
다음, 향기 첨가 작업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는 의류를 자루체 유지부(70)에 걸려있는 자루체(10) 내에 수용되도록 하고, 도 1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 내에 방향체(82)가 설치된 향기 공급유닛(80)을 도입관(30)에 장착한다. 사용자는 오존 공급장치(20)의 조작부(450)의 향기 첨가 버튼(453)을 누른다.
향기 첨가 작업을 시작하면, 도 11(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입관(30)에서 배출된 공기는 흡기구(83)로부터 수용 박스(81) 내에 도입된다. 도입된 공기는 방향체(82)를 거치되, 방향체(82) 중에 함유된 방향 성분이 휘발함으로써 공기 중에 혼입된다. 방향 성분이 함유된 공기는 개구부(86) 및 공기홀(87a)을 통해 자루(10) 내로 배출된다.
방향 성분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서부터 위로 유동하고, 배기부(41)를 통해 자루체(10) 외부로 배출된다. 방향 성분은 자루체(10)에 수용된 의류에 흡착된다.
또한, 의류에 부착된 냄새 성분의 양이 비교적 많고, 상대적으로 진행하는 탈취작업의 시간이 비교적 짧을 경우, 탈취작업 후 냄새 성분이 자루체(10) 내의 공기 중에 잔류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탈취작업이 종료로부터 의류를 자루체(10) 내에서 꺼낼때까지, 탈취된 의류에는 다시 냄새가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 탈취작업 이후 냄새가 의류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한다. 이외, 탈취작업은 본 발명의 제 1 작업에 해당되고 재부착 방지 작업은 본 발명의 제 2 작업에 해당된다.
재부착 방지 작업에서, 송풍팬(700)은 소정된 작업시간, 예를 들어 30min 동안 간헐적으로 작업한다. 예를 들어, 송풍팬(700)은 1min 통전 - 15s 전원차단의 작업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한다. 이때, 오존 발생기(600)는 정지의 상태로 유지된다.
도 13은 재부착 방지 작업에서 송풍팬(700)이 간헐적으로 작동할 때 의류 탈취 장치(1)의 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a)는 정면에서 관찰한 의류 탈취 장치(1)의 상태이고, 도 13(b)는 측면에서 관찰한 의류 탈취 장치(1)의 상태이다.
송풍팬(700)이 통전되면 공기는 자루체(10) 내로 도입된다. 이때, 송풍팬(700)의 송풍량은 자루체(10)로부터의 배기량보다 많으므로, 도 1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자루체(10)는 팽창한다. 다음, 송풍팬(700)이 전원 차단되면, 공기의 공급이 정지되므로 자루체(10)는 수축한다. 이렇게, 송풍팬(700)의 간헐적인 작업을 통해 자루체(10)는 팽창 및 수축을 반복한다. 이로써, 자루체(10) 내의 의류에 대해, 공기는 실선 화살표처럼 아래서부터 위로 유동할뿐만 아니라, 점선 화살표처럼 앞뒤 좌우 방향으로도 유동한다. 이로써, 자루체(10) 내의 의류에 대해 효과적으로 공기를 유통, 즉 통풍시킬 수 있으므로, 의류에 부착되려는 냄새 성분을 효과적으로 의류로부터 멀리되게 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14 및 도 15는 탈취 작업에서부터 재부착 방지 작업까지의 일련의 제어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 14 및 도 1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탈취작업 및 재부착 방지 작업에 대한 제어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선택 버튼(454)을 통해 4 개의 작업시간 중에서 희망하는 작업시간을 선택한 후 탈취 버튼(452)을 누르면 제어처리가 시작한다.
제어부(910)는 덕트 검측 스위치(461)로부터의 검측신호에 따라 도입관(30)이 삽입구부(413)에 장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1). 이외, 제어부(910)는 락 검측 스위치(471)로부터의 검측신호에 따라 자루체(10)의 투입구(11)의 폐쇄 여부를 판단한다(S102).
도입관(30)이 오존 공급장치(20)에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탈취 버튼(452)이 눌리우면 제어부(910)는 도입관(30)이 오존 공급장치(20)에 장착되지 않음으로 판단하며(S101: 아니오), 덕트 미연결 통지부(455)가 점등되도록 통지 구동부(940)를 제어한다(S103). 다음, 제어부(910)는 송풍팬(700) 및 오존 발생기(600)가 작업하지 않도록 제어처리를 중지한다. 이외,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 탈취 버튼(452)이 눌리우면 제어부(910)는 투입구(11)가 폐쇄되지 않음으로 판단하며(S102: 아니오), 투입구 열림 통지부(456)가 점등되도록 통지 구동부(940)를 제어하며(S104) 제어처리를 중지한다.
한편, 도입관(30)이 삽입구부(413)에 장착되었고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폐쇄된 경우(S101: 예S102: 예), 제어부(910)는 작업시간 통지부(457)가 선택된 작업시간에 대응되는 시간통지부가 점멸되도록 통지 구동부(940)를 제어한다(S105). 탈취작업이 시작하면, 제어부(910)는 송풍팬(700) 및 오존 발생기(600)가 작동하도록 팬 구동부(960) 및 발생기 구동부(950)를 제어한다.
다음, 제어부(910)는 작업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07). 작업시간을 경과하였을 때(S107: 예),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을 정지시키고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킨다(S108). 이로써, 탈취작업은 종료된다.
설명해야 할 점은, 제어부(910)가 오존 발생기(600) 및 송풍팬(700)을 정지시키는 경우에, 먼저 오존 발생기(600)를 정지시키고 다음 소정 시간, 예를 들어 30s 를 경과하였을 때 송풍팬(700)을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오존을 함유하지 않은 공기가 자루체(10) 내로 도입되는데, 해당 공기에 의해 오존을 함유한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압출되므로 탈취작업이 종료되었을 때 자루체(10) 내에 오존을 함유한 공기가 잔류하는 경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어부(910)가 작업시간 통지부(457)에서 점멸하는 시간 통지부를 멸등시킨다(S109). 더 나아가, 제어부(910)는 버저(941)가 작업하도록 탈취작업의 종료를 통지해야할 통지 구동부(940)를 제어한다(S110).
이어서, 제어부(910)는 선택된 작업시간이 8h 인지를 판단한다(S111). 탈취작업의 작업시간이 8h 일 경우(S111: 예), 의류에 부착된 냄새 성분의 양이 많을지라도 작업시간이 비교적 길므로, 의류에서 이탈한 냄새 성분도 오존을 통해 충분히 분해된다. 따라서, 8h 의 탈취작업이 종료하면 자루체(10) 내에 냄새 성분이 거의 잔류하지 않는다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910)는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오존 공급장치(20)의 전원을 차단한다(S112).
다른 한편, 탈취작업의 작업시간이 8h 이 아닐 경우(S110: 아니오), 즉 작업시간이 0.5h, 2h 및 4h 일 경우에, 의류에서 이탈한 냄새 성분은 오존를 통해 충분히 분해되지 못하여 자루체(10) 내에 잔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제어부(910)는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해야 하는데, 먼저 방지작업 통지부(458)가 점멸하도록 통지 구동부(940)를 제어한다(S113). 이어서, 제어부(910)는 탈취작업이 종료로부터 시작하여 소정된 대기시간, 예를 들어 30s 를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4). 더 나아가, 대기시간을 경과하였을때까지, 제어부(910)는 락 검측 스위치(471)로부터의 검측신호에 따라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열렸는지를 판단한다(S115).
탈취작업이 종료한 후 사용자가 바로 의류를 자루체(10)에서 꺼낼 경우, 투입구(11)는 대기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열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S115: 예), 제어부(910)는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오존 공급장치(20)의 전원을 차단한다(S116).
다른 한편, 투입구(11)가 열리지 않은 상태에서 대기시간을 경과하였을 경우(S114: 예), 제어부(910)는 재부착 방지 작업을 시작한다. 설명해야 할 점은, 대기시간 동안 공기는 자루체(10)에서 누설되므로 자루체(10)는 수축되어 탈취작업 전의 상태로 회복되게 된다.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의 간헐적인 작업을 시작하도록 팬 구동부(960)를 제어한다(S117).
다음, 제어부(910)는 기설정된 재부착 방지 작업의 작업시간, 예를 들어 30min 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S118). 이외, 제어부(910)는 투입구(11)가 열리었는지를 판단한다(S119). 설명해야 할 점은, 재부착 방지 작업의 작업시간도 탈취작업의 작업시간과 같이, 사용자에 의해 복수 개의 작업시간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투입구(11)가 작업시간을 경과하였을 때(S118: 예) 또는 작업시간을 경과하기 전에 열리었을 때(S119: 예), 제어부(910)는 송풍팬(700)을 정지시킨다(S120). 이로써, 재부착 방지 작업은 종료된다.
제어부(910)는 방지작업 통지부(458)를 멸등시키고(S121), 다음 오존 공급장치(20)의 전원을 차단한다(S116).
<본 실시형태의 효과>
이상,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탈취작업이 종료한 후, 송풍팬(700)의 작업을 통해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하여 자루체(10) 내의 공기를 유동시키므로, 냄새가 자루체(10) 내의 의류에 다시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700)을 간헐적으로 작업시켜 자루체(10)는 반복적으로 팽창 수축하며, 공기는 자루체(10) 내에서 아래서부터 위로 향하는 방향으로 유동할뿐만 아니라 앞뒤 좌우 방향으로도 유동하므로, 효과적으로 냄새 성분을 자루체(10) 내의 의류로부터 멀리되게 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2) 재부착 방지 작업 시 자루체(10)가 반복적으로 팽창 수축하므로, 사용자는 조작부(450)를 보지 않아도 탈취 작업과 명확하게 상이한 자루체(10)의 동향에 따라 탈취 작업이 종료되었음을 바로 알 수 있다. 설명해야 할 점은, 사용자는 작업시간 통지부(457)가 멸등하고 방지작업 통지부(458)가 대신 점멸하는 것을 통해서도 탈취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다.
3) 송풍팬(700)을 간헐적으로 작업시키므로 송풍팬(700)을 연속적으로 작업시키는 경우에 비해 전기 소모를 감소할 수 있다.
4) 재부착 방지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개방되면 재부착 방지 작업은 종료되므로, 자루체(10)에서 의류를 꺼낸 후 재부착 방지 작업이 계속하여 진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 사용의 낭비를 방지 할 수 있다.
5) 탈취작업에 기반하여 비교적 긴 시간동안의 진행으로 하여 냄새성분이 거의 잔류하지 않음으로 간주할 경우,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하지 않으므로, 전기 사용의 낭비를 방지 할 수 있다.
6) 재부착 방지 작업 전에 대기 시간을 설치하여 자루체(10)를 해당 기간 내에 수축시켜 탈취작업 전의 형상으로 돌아가도록 하므로, 재부착 방지 작업이 시작하기 전에 자루체(10)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는 탈취작업이 종료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된다.
<변경예>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경예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 변경예도 상술한 이외의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 탈취작업의 작업시간이 비교적 길 경우, 즉 8h 일 경우에,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작업시간에 관계 없이 탈취작업이 종료한 후, 자루체(10)의 투입구(11)가 개방되지만 않으면 모두 재부착 방지 작업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외, 상기 실시형태에서 탈취작업 및 재부착 방지 작업 사이에 대기시간을 설치한다. 그러나, 대기시간을 설치하지 않고 탈취작업이 종료한 후 재부착 방지 작업을 바로 시작할 수도 있다.
이외,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적절하게 진행할 수 있다.
10: 자루체; 11: 투입구; 20: 오존 공급 장치(오존 공급부); 450: 조작부; 470: 락(lock) 검측부(검측부); 600: 오존 발생기; 700: 송풍팬(fan); 910: 제어부

Claims (4)

  1. 의류를 수용하는 자루체;
    오존 발생기 및 송풍팬을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의 작업을 통해 상기 오존 발생기에 의해 생성된 오존을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자루체 내로 송입시키는 오존 공급부; 및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의 작업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오존 발생기 및 상기 송풍팬을 작업시키는 제 1 작업을 진행한 후, 상기 오존 발생기를 작업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송풍팬을 간헐적으로 작업시키는 제 2 작업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루체에 설치된 의류의 투입구가 열렸는지를 검측하기 위한 검측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작업을 소정시간 진행시키며, 해당 소정시간을 경과하기 전 상기 검측부를 통해 상기 투입구가 개방된 것을 검측했을 경우, 상기 제 2 작업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시간 및 상기 제 1 시간보다 긴 제 2 시간 중에서 상기 제 1 작업의 작업시간을 선택하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작업을 제 1 시간 진행한 후 상기 제 2 작업을 진행하며, 상기 제 1 작업이 상기 제 2 시간 진행한 후에는 상기 제 2 작업을 진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작업이 종료한 후로부터 시작하여 소정 대기시간을 경과한 후, 상기 제 2 작업을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 장치.
KR1020177037547A 2015-05-27 2016-05-24 의류처리 장치 KR101990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07888 2015-05-27
JP2015107888A JP6460915B2 (ja) 2015-05-27 2015-05-27 衣類処理装置
PCT/CN2016/083137 WO2016188404A1 (zh) 2015-05-27 2016-05-24 衣物处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268A KR20180010268A (ko) 2018-01-30
KR101990354B1 true KR101990354B1 (ko) 2019-06-18

Family

ID=57392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7547A KR101990354B1 (ko) 2015-05-27 2016-05-24 의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8383B2 (ko)
EP (1) EP3305975A4 (ko)
JP (1) JP6460915B2 (ko)
KR (1) KR101990354B1 (ko)
CN (1) CN107532371B (ko)
WO (1) WO20161884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999B1 (ko) * 2018-01-23 2023-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관리장치
KR20210156862A (ko) * 2019-05-17 2021-12-27 드레스프레쉬, 인코포레이티드 이온 산화 리프레싱 시스템 및 방법
WO2021232462A1 (en) * 2020-05-20 2021-11-25 Juladore Limited A portable bag for sterilizing an object
US11384477B2 (en) * 2020-08-14 2022-07-12 Conair Llc Garment steamer system with multi-function air and steam chamber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6640B2 (ja) * 1991-01-24 1998-07-16 松下精工株式会社 換気乾燥機
JP3106537B2 (ja) * 1991-04-26 2000-11-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衣類リフレッシュ装置
US5815961A (en) * 1996-06-26 1998-10-06 Whirlpool Corporation Clothes treating cabinet with inflatable hanger
US6134806A (en) * 1997-07-14 2000-10-24 Dhaemers; Gregory L. Bag with air distributor and ozone generator
ES2178538B1 (es) * 2000-03-13 2004-11-16 Fagor, S. Coop. Armario para el secado y desarrugado de ropa.
US6427365B2 (en) * 2000-05-18 2002-08-06 Whirlpool Corporation Fluid supply and reservoir for a clothes refreshing appliance
DE60018951T2 (de) * 2000-12-14 2006-03-23 Whirlpool Corp., Benton Harbor Vorrichtung zum Reinigen und zum Auffrischen von Textilien mit einer eingebauten Betriebsanzeige
US6622529B1 (en) * 2002-04-15 2003-09-23 Nicholas J. Crane Apparatus for heating clothes
US7060106B2 (en) * 2003-04-15 2006-06-13 Richard George Kleker Apparatus for washing and drying garments
US20070166186A1 (en) * 2004-02-11 2007-07-19 Stec Michael J Descenting apparatus and method
US8141269B2 (en) 2004-05-24 2012-03-27 Whirlpool Corporation Expandable/collapsible enclosure for a clothes refresher
US20060096331A1 (en) * 2004-11-05 2006-05-11 Kim Sookil Cleaning device for clothes
KR20070053046A (ko) 2005-11-18 2007-05-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외선 살균 세탁방법
CN101929054B (zh) * 2005-11-18 2012-03-21 Lg电子株式会社 使用紫外线照射的可杀菌洗衣机以及可杀菌洗涤方法
KR101351045B1 (ko) * 2007-08-06 2014-01-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430457B1 (ko) * 2007-11-12 2014-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JP5001827B2 (ja) 2007-12-28 2012-08-15 三洋電機株式会社 洗濯乾燥機および消臭装置
JP3142564U (ja) * 2008-03-12 2008-06-19 株式会社メディアクラフト 空気清浄機兼用の洗濯物乾燥機
DE202009007256U1 (de) 2009-05-20 2009-08-06 Vogl, Wolfgang Trocknungs- und Entkeimungsgerät für Kleider und Sportausrüstungsgegenstände in Behältern
US8038963B1 (en) * 2010-04-29 2011-10-18 Chung-Yang Mike Chen Garment bag
CN202989621U (zh) 2012-11-30 2013-06-12 徐伟 一种多功能烘衣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20758A (ja) 2016-12-28
CN107532371B (zh) 2020-10-20
US20180155865A1 (en) 2018-06-07
EP3305975A1 (en) 2018-04-11
EP3305975A4 (en) 2019-01-02
CN107532371A (zh) 2018-01-02
KR20180010268A (ko) 2018-01-30
JP6460915B2 (ja) 2019-01-30
US10508383B2 (en) 2019-12-17
WO2016188404A1 (zh) 2016-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354B1 (ko) 의류처리 장치
KR101998264B1 (ko) 의류 처리 장치
US7020986B1 (en) Drum type washing and drying machine
JP2018057413A (ja) 衣類処理装置
JP2005334636A (ja) 脱臭手段を有する洗濯機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50010415A (ko) 의류 건조기
JP4698750B2 (ja) 洗濯機及び乾燥機
JP2016093368A (ja) 衣類処理装置
KR20180008598A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72259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989589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80008597A (ko) 의류 처리 장치
JP7388843B2 (ja) 衣類処理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2006158585A (ja) 衣類乾燥機
KR20240099631A (ko) 의류 케어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
JP2014158594A (ja) 衣類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