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82256B1 - 출몰형 장난감 - Google Patents

출몰형 장난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256B1
KR101982256B1 KR1020190027709A KR20190027709A KR101982256B1 KR 101982256 B1 KR101982256 B1 KR 101982256B1 KR 1020190027709 A KR1020190027709 A KR 1020190027709A KR 20190027709 A KR20190027709 A KR 20190027709A KR 101982256 B1 KR101982256 B1 KR 101982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playground
protruding
play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7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진태
Original Assignee
문진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진태 filed Critical 문진태
Priority to KR1020190027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2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256B1/ko
Priority to PCT/KR2020/001534 priority patent/WO20201848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4Scratching devices, e.g. f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20Toy roundabouts with moving figures; Toy models of fairs or the like, with moving fig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3/00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 A63H13/005Toy figures with self-moving parts, with or without movement of the toy as a whole with self-moving head or faci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몰형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부품을 이용하지 않아 고장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영유아나 애완동물이 직접 움직이도록 하여 활동성을 부여하면서도 호기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가 양단을 관통하며 고정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몸체는 일 지점에서 외부로 출몰될 수 있는 놀이구가 중심축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놀이구는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에 제1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은 상기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지점을 포함하는 외주연상에 제1 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하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인접할 시 상기 놀이구가 돌출되는 한편, 상기 몸체는 애완동물이 발톱으로 스크래칭 할 수 있는 스크래처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형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출몰형 장난감{In-out type toy}
본 발명은 출몰형 장난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영유아나 애완동물이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면서 활동하도록 유도하는 출몰형 장난감에 관한 것이다.
과거 영유아를 키움에 있어 모빌이나 오뚝이와 같은 장난감을 이용하여 함께 놀이를 하였으나, 근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영유아가 가지고 놀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난감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장난감의 일 예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2319호(이하, '인용발명 1'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인용발명 1은 회전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체 내에 구비된 인형이 수중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이며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인용발명 1은 영유아가 직접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체가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초기에는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으나, 지속적인 관심을 일으키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모터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을 포함하고 있어 영유아에 의해 파손되어 쉽게 고장이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으며, 영유아가 회전체 내에 움직이는 인형을 바라보기만 하는 것이므로 활동성을 부여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근래 생활수준이 향상되고 가족구성원이 핵가족화됨에 따라 적적함을 달래고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얻는 등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많은 사람들이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다.
애완동물 중 강아지나 고양이 등은 다른 동물에 비해 높은 지능과 적응력을 가지면서 주인과 교감하며 공존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취미나 재미 등으로 키우는 단순한 동물이 아닌 가족의 일 구성원으로 인식하면서 유대감과 동질감을 느끼게 된다.
애완동물 또한 자신을 돌보는 사람, 즉 주인에게 친밀감을 느끼게 되며 주인과의 시간을 보내기를 원한다. 그러나, 애완동물은 주인이 여러 일들로 인해 자신에게 할애할 시간이 부족하여 홀로 남겨지는 시간이 많아지게 되며, 이로 인해 우울증, 정서불안, 운동부족, 비만 등 각종 질병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애완동물이 혼자 놀 수 있으면서 운동을 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장난감이 등장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예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7477호(이하, '인용발명 2'라 함)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7889호(이하, '인용발명 3'이라 함)에 게시되어 있다.
인용발명 2 및 3은 애완동물에 의해 움직이는 장난감이 아니라, 해당 장난감이 애완동물을 감지하거나 일정한 설정에 따라 전자동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애완동물이 이에 반응하면서 호기심과 흥미를 가지기에는 부족하다. 또한, 모터, 센서 등과 같은 전자 부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애완동물이 이를 따라 움직이는 과정에서 부딪히거나 이를 발로 건드리는 등의 이유로 파손되어 고장이 빈번히 일어난다는 문제가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22319호 '회전식 관상용 장난감'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107477호 '반려동물용 공놀이 기구' 3.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9-0007889호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자부품을 이용하지 않아 고장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영유아나 애완동물이 직접 움직이도록 하여 활동성을 부여하면서도 호기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는 출몰형 장난감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출몰형 장난감은 원통형 몸체가 양단을 관통하며 고정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몸체는 일 지점에서 외부로 출몰될 수 있는 놀이구가 중심축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놀이구는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에 제1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은 상기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지점을 포함하는 외주연상에 제1 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하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인접할 시 상기 놀이구가 돌출되는 한편, 상기 몸체는 애완동물이 발톱으로 스크래칭 할 수 있는 스크래처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자석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몸체의 회전에 따라 놀이구가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고장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며, 영유아나 애완동물이 직접 몸체를 회전시킴에 따라 활동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출몰되는 놀이구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의 외부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의 내부구조를 보여주는 부분절개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에 적용되는 놀이구가 외부로 출현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에 적용되는 출몰유도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에 적용되는 설치부재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에 적용되는 놀이구와 이를 파지하는 파지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출몰형 장난감에 적용되는 놀이구가 출몰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전자부품을 이용하지 않아 고장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영유아나 애완동물이 직접 움직이도록 하여 활동성을 부여하면서도 호기심과 흥미를 가질 수 있도록 원통형 몸체가 양단을 관통하며 고정된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몸체는 일 지점에서 외부로 출몰될 수 있는 놀이구가 중심축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놀이구는 몸체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에 제1 자석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은 상기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지점을 포함하는 외주연상에 제1 자석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가 회전하며 제1 자석과 제2 자석이 인접할 시 상기 놀이구가 돌출되는 한편, 상기 몸체는 애완동물이 발톱으로 스크래칭 할 수 있는 스크래처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형 장난감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출몰형 장난감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출몰형 장난감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몸체(100)가 양단을 관통하며 고정된 중심축(200)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지면에 대하여 세워진 형태를 이룰 수 있으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대하여 눕혀진 형태를 이룸이 바람직하다.
즉, 몸체(100)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판 형태를 이루며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판(600)과, 상기 베이스판(600)의 양측 부근에서 상방을 향해 구비되는 축고정판(50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판(600)의 양측 부근에 구비된 2개의 축고정판(500)에 의해 중심축(200)이 수평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중식축(200)이 몸체(10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몸체(1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의 일 지점에서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놀이구(300)가 중심축(200)의 외측으로 구비된다. 상기 놀이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최내측에 위치하는 일단에 제1 자석(1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200)은 상기 일 지점, 즉 놀이구(300)가 구비된 지점으로부터 중심축(200)을 향해 연장된 지점을 포함하는 외주연 상에 제1 자석(10)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20)이 구비된다. 상기 제1 자석(10)과 제2 자석(20)은 몸체의 외주면의 폭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는 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상기 제3 자석(30) 또한 제1 자석(10) 및 제2 자석(20)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0)가 회전함에 따라 일단에 제1 자석(10)이 구비된 놀이구(300)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제1 자석(10)이 고정되어 있는 중심축(200)에 구비된 제2 자석(20)과 인접할 시 상기 놀이구(300)는 척력에 의해 몸체(100)의 외부로 돌출되었다가 척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면 몸체(1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들어간 놀이구(300)는 제2 자석(20)이 구비된 지점에 이르기까지 몸체(10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한바, 제1 자석(10)과 제2 자석(20)이 인접되는 순간을 제외하고 몸체(100)가 회전되는 동안 놀이구(300)가 돌출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구성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심축(200)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놀이구(300)에 대응되는 위치를 포함하면서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 출몰유도체(2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출몰유도체(210)는 일 예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중심축(200)이 중심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출몰유도체(2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제2 자석(20)이 구비됨과 동시에, 제1 자석(10)과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3 자석(30)이 제2 자석(20)과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100)가 회전하면서 제1 자석(10)과 제2 자석(20)이 인접함에 따라 놀이구(300)가 돌출되고, 계속적으로 몸체(100)가 회전하면서 제1 자석(10)과 제3 자석(30)이 인접함에 따라 놀이구(300)가 몸체(1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제3 자석(30)은 제2 자석(20)의 일측편에만 구비될 수 있으나, 제2 자석(20)의 양측편에 구비되어 몸체(100)가 양방향으로 회전되더라도 놀이구(300)를 내부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제3 자석(30)은 제2 자석(20)의 양측 방향으로 출몰유도체(210)의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제3 자석(30)으로 인해, 제2 자석(20)이 구비된 지점을 지난 놀이구(300)의 제1 자석(10)은 제3 자석(30)과의 지속적인 인력이 작용함에 따라 놀이구(300)가 회전하는 몸체(10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몸체(100)의 내부에 머무를 수 있게 된다.
상기 출몰유도체(2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석(20)이 구비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을 감싸는 놀이구고정판(211)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놀이구고정판(211)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때 제3 자석(30)은 제2 자석(20)과 일측 또는 양측으로 인접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몸체(100)가 회전하면서 제1 자석(10)과 제2 자석(20)이 인접하는 지점에서 돌출된 놀이구(300)는 제1 자석(10)과 제3 자석(30)이 인접하면서 몸체(1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고, 이후로는 놀이구고정판(211)을 끌어당기는 제1 자석(10)의 힘에 의해 놀이구(300)가 몸체(100)의 내부에 머무르게 되며, 다시 제1 자석(10)과 제2 자석(20)이 인접할 시 놀이구(300)가 돌출된다.
상기 놀이구고정판(211)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 형태로 형성되어, 출몰유도체(210)의 양단 가장자리 외주연을 따라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된 이탈방지구(21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탈방지구(212)는 출몰유도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출몰유도체(210)의 내측을 향해 돌출형성됨으로써, 놀이구고정판(211)의 길이방향에 대한 양측 가장자리를 소정의 간격마다 잡아주어 출몰유도체(210)로부터 놀이구고정판(211)이 분리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이탈방지구(212)가 출몰유도체(210)에 소정의 간격으로 형성됨으로써 띠 형태를 이루는 놀이구고정판(211)을 손쉽게 끼워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놀이구(300)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수 개가 몸체(100)에서 각기 다른 외주연 상에 위치하면서 몸체(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놀이구(300)에 구비된 제1 자석(10)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2 자석(2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식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도록 하여, 각각의 놀이구(300)가 돌출되는 시점과 그 지점을 달리하여 호기심과 흥미를 향상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놀이구(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0)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설치부재(110)의 내측에 제1 자석(10)을 포함하면서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놀이구(300)가 각기 다른 시점과 지점에서 돌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설치부재(110)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 개가 몸체(100)에서 각기 다른 내주연 상에 고정되며, 몸체(1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경우, 제2 자석(20)이 구비되는 출몰유도체(210)는 중심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 개가 소정의 간격을 이루며 구비되게 되는데, 출몰유도체(210)가 요동하지 않으면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원통 형태를 이루며 내측에 중심축(200)이 맞닿도록 끼워지는 간격유지구(220)가 출몰유도체(210) 간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축(200)은 몸체(100)의 양단을 덮는 외판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에 있어, 몸체(100)가 고정된 중심축(200)을 기준으로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외판에는 중심축(200)과 맞닿는 지점에 베어링(1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중심축(200)에는 몸체(100) 내 위치하는 양단부에 위치하면서 상기 베어링(120)과 결합되는 외판지지구(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외판지지구(24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출몰유도체(21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는데, 이때에도 출몰유도체(210)와 외판지지구(240) 사이에 간격유지구(22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축(200)의 일단부에 위치한 외판지지구(240)와 출몰유도체(210) 사이에는 간격유지구(220)가 구비되고, 중심축(200)의 타단부에 위치한 외판지지구(240)와 출몰유도체(210) 사이에는 완충부재(2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230)는 몸체(100)의 회전에 따라 중심축(20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출몰유도체(210)의 위치가 틀어지지 않으면서 몸체(100)가 안정적으로 돌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놀이구(3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에 제1 자석(10)이 결합되는 지지봉(310)과, 상기 지지봉(3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놀이몸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봉(310)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로 구성되어 일단에 형성된 헤드부에 제1 자석(10)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타단에 구비되는 구비되는 놀이몸체(320)가 나사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놀이몸체(320)가 파손되는 경우 놀이몸체(320)만을 손쉽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조를 가진 놀이구(300)가 상기 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면서 안정적으로 출몰되도록 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예로, 상기 지지봉(310)에는 걸림구(3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부재(110)에는 제1 자석(10)과 걸림구(311) 사이에 끼워져 놀이구(300)의 출몰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파지구(1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구(311)는 지지봉(310)의 소정의 지점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볼트에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파지구(111)는 일단이 말발굽 형태로 형성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부재(110)에 축고정된다.
따라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10)과 제2 자석(20)이 인접하는 경우, 놀이몸체(320)가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지지봉(310)의 일단에 결합된 제1 자석(10)은 놀이구(300)와 함께 이동된다. 이때, 상기 걸림구(311) 또한 함께 이동되며, 파지구(111)가 설치부재(10)를 이루는 외벽에 의해 상방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만 회동되고 놀이구(300)의 헤드부가 파지구(111)에 의한 걸리게 되므로 놀이구(300)의 돌출 정도를 제한하게 된다.
이후, 몸체(100)가 회전하여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석(10)과 제3 자석(30)이 인접하는 경우,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었던 놀이몸체(320)는 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일단이 하방으로 회동된 파지구(111)에 의해 걸림구(311)가 걸림으로써 놀이구(300)는 하방으로 내려가는 정도를 제한받게 된다. 즉, 걸림구(311)와 파지구(111)는 놀이구(300)가 출몰되는 정도를 제한하여 안정적으로 출몰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놀이구(300)의 출몰로 인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파지구(111)의 타단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가 나는 방울이 구비되어 청각적 효과가 가미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출몰형 장난감은 전자부품을 이용하지 않고 자석의 인력과 척력을 이용하여 몸체(100)의 회전에 따라 놀이구(300)가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고장의 빈도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제품의 내구성이 증대되며, 영유아나 애완동물이 직접 몸체(100)를 회전시킴에 따라 활동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출몰되는 놀이구(300)를 통해 호기심과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몸체(100)의 외측면에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이 발톱으로 스크래칭 할 수 있는 스크래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래처(400)는 놀이구(300)가 구비된 지점을 제외한 몸체(10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판 형태로 제작된 후 몸체(100)를 감싸도록 한 다음 맞닿는 가장자리가 지퍼나 벨크로 등과 같은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고양이와 같이 발톱을 긁는 행동을 자주하는 애완동물의 경우 스크래처(400)를 통해 발톱을 다듬음과 동시에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몸체(100)가 회전하게 되어 놀이구(300)가 출몰하게 되므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시키게 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몸체(100)는 외측면을 감싸는 쿠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영유아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몸체(100)에 부딪혀 부상을 입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10 : 제1 자석 20 : 제2 자석
30 : 제3 자석
100 : 몸체 110 : 설치부재
111 : 파지구 112 : 방울
120 : 베어링
200 : 중식축 210 : 출몰유도체
211 : 놀이구고정판 212 : 이탈방지구
220 : 간격유지구 230 : 완충부재
240 : 외판지지구
300 : 놀이구 310 : 지지봉
311 : 걸림구 320 : 놀이몸체
400 : 스크래처 500 : 축고정판
600 : 베이스판

Claims (6)

  1. 원통형 몸체(100)가 양단을 관통하며 고정된 중심축(200)을 기준으로 회전하되,
    상기 몸체(100)는 일 지점에서 외부로 출몰될 수 있는 놀이구(300)가 중심축(200)의 외측으로 구비되고, 상기 놀이구(300)는 몸체(1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일단에 제1 자석(10)이 구비되며, 상기 중심축(200)은 상기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된 지점을 포함하는 외주연상에 제1 자석(10)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 자석(20)이 구비되어, 상기 몸체(100)가 회전하며 제1 자석(10)과 제2 자석(20)이 인접할 시 상기 놀이구(300)가 돌출되는 한편,
    상기 몸체(100)는 애완동물이 발톱으로 스크래칭 할 수 있는 스크래처(400)가 외측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형 장난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200)은 상기 놀이구(300)에 대응되는 위치를 포함하면서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며 외주면에 제2 자석(20)이 구비되는 출몰유도체(210)가 마련되되,
    상기 출몰유도체(210)는 외주면에 제1 자석(10)과 다른 극성을 가지는 제3 자석(30)이 제2 자석(20)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형 장난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몰유도체(210)는 제2 자석(20)이 구비된 지점을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을 감싸며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놀이구고정판(21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형 장난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놀이구(300)는 다수 개가 각기 다른 외주연 상에 위치하면서 길이방향에 대하여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도록 몸체(100)에 구비되고,
    각각의 놀이구(300)에 구비된 제1 자석(10)에 대응되는 각각의 제2 자석(20)은 중심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동일선 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출몰형 장난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는 내주면에 고정되고 내측에 제1 자석(10)을 포함하는 놀이구(300)가 구비되는 설치부재(110)를 포함하되,
    상기 놀이구(30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일단에 제1 자석(10)이 결합되고 소정의 지점을 감싸는 걸림구(311)가 구비된 지지봉(310)과, 상기 지지봉(310)의 타단에 형성되어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놀이몸체(320)를 포함하며,
    상기 설치부재(110)는 일단이 말발굽 형태로 형성되며 일단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축고정되어 제1 자석(10)과 걸림구(311) 사이에 끼워지는 파지구(11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몰형 장난감.
  6. 삭제
KR1020190027709A 2019-03-11 2019-03-11 출몰형 장난감 KR101982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09A KR101982256B1 (ko) 2019-03-11 2019-03-11 출몰형 장난감
PCT/KR2020/001534 WO2020184837A1 (ko) 2019-03-11 2020-01-31 출몰형 장난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7709A KR101982256B1 (ko) 2019-03-11 2019-03-11 출몰형 장난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5114A Division KR102075602B1 (ko) 2019-05-10 2019-05-10 출몰형 장난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256B1 true KR101982256B1 (ko) 2019-05-24

Family

ID=6667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7709A KR101982256B1 (ko) 2019-03-11 2019-03-11 출몰형 장난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2256B1 (ko)
WO (1) WO202018483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37A1 (ko) * 2019-03-11 2020-09-17 문진태 출몰형 장난감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895U (ko) * 1987-04-16 1988-10-26
KR920005189Y1 (ko) * 1990-09-24 1992-07-27 정갑철 자력을 이용한 완구의 동작장치
JPH0652895U (ja) * 1993-01-04 1994-07-19 則昭 福島 磁石を利用して球又は平面上を人形が運転する一輪車
KR950003929Y1 (ko) * 1993-05-04 1995-05-18 함영식 자석을 동력으로한 모형자동차 주행장치
KR20160143245A (ko) * 2015-06-05 2016-12-14 김동근 자석을 활용한 교구용 오토마타
KR101722319B1 (ko) 2015-06-29 2017-03-31 김예란 회전식 관상용 장난감
KR20170107477A (ko) 2016-01-14 2017-09-25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용 공놀이 기구
KR20190007889A (ko)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지앤아이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078Y2 (ja) * 1990-09-20 1995-07-12 株式会社学習研究社 磁石回転玩具
KR101982256B1 (ko) * 2019-03-11 2019-05-24 문진태 출몰형 장난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3895U (ko) * 1987-04-16 1988-10-26
KR920005189Y1 (ko) * 1990-09-24 1992-07-27 정갑철 자력을 이용한 완구의 동작장치
JPH0652895U (ja) * 1993-01-04 1994-07-19 則昭 福島 磁石を利用して球又は平面上を人形が運転する一輪車
KR950003929Y1 (ko) * 1993-05-04 1995-05-18 함영식 자석을 동력으로한 모형자동차 주행장치
KR20160143245A (ko) * 2015-06-05 2016-12-14 김동근 자석을 활용한 교구용 오토마타
KR101722319B1 (ko) 2015-06-29 2017-03-31 김예란 회전식 관상용 장난감
KR20170107477A (ko) 2016-01-14 2017-09-25 주식회사 볼레디 반려동물용 공놀이 기구
KR20190007889A (ko) 2017-07-14 2019-01-23 주식회사 지앤아이 애완동물을 위한 장난감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84837A1 (ko) * 2019-03-11 2020-09-17 문진태 출몰형 장난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84837A1 (ko)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296B2 (en) Animal entertainment device
EP0252973B1 (en) Toy for entertaining a cat
US6945195B1 (en) Animal entertainment device
US2833244A (en) Animal toy
KR101147394B1 (ko) 자석장착용 부품 및 자석완구
EP3282833B1 (en) Cat scratcher attractant toy
KR101982256B1 (ko) 출몰형 장난감
JP7344608B2 (ja) ペット用運動器具
US7104222B2 (en) Rolling pet toy
US20160242388A1 (en) Animal Amusement System
US20150237828A1 (en) Fun ball
US4133296A (en) Toy for animals
US7992524B2 (en) Cat can't jump—device for training small animals
KR102075602B1 (ko) 출몰형 장난감
KR100915516B1 (ko) 유아용 자석블록
US5979366A (en) Cat entertainment box
KR102074661B1 (ko) 노즈워크 볼
JP2010011761A (ja) 猫用遊具
KR20210000154U (ko) 애완동물용 장난감
CN220044544U (zh) 一种轨道式电动宠物玩具
KR20110000413U (ko) 애완동물용 런닝머신
CN217958303U (zh) 一种宠物用空间隔离训练毯
US20190373859A1 (en) Wheel track toy
JP2720025B2 (ja) 愛玩動物用遊戯具及びそれを備えた愛玩動物用飼育箱
JP4524239B2 (ja) 愛玩動物用の遊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