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1495B1 - Fog drip - Google Patents
Fog dri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81495B1 KR101981495B1 KR1020170111066A KR20170111066A KR101981495B1 KR 101981495 B1 KR101981495 B1 KR 101981495B1 KR 1020170111066 A KR1020170111066 A KR 1020170111066A KR 20170111066 A KR20170111066 A KR 20170111066A KR 101981495 B1 KR101981495 B1 KR 101981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cone
- discharge
- discharge hole
- vorte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A01G25/023—Dispensing fittings for drip irrigation, e.g. dri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20—Arrangements of several outlets along elongated bodies, e.g. perforated pipes or troughs, e.g. spray booms; Outlet element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 B05B1/3405—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 B05B1/341—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influence the nature of flow of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to produce swirl to produce swirl before discharg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in a swirl chamber upstream the spray outle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용수도관의 내측면에 융착되어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용수가 감압된 후 회전되면서 와류(渦流) 형태로 휘감아 용수도관의 배출공으로부터 분무(噴霧) 형태로 배출되도록 복수의 유입공과,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반대 측의 밑면에 하부 측으로 콘(cone)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커버부재의 밑면과 맞닿아 내부로 용수가 흐를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가이드턱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턱부의 내측에 유입공간, 감압로, 및 상기 감압로의 끝단과 가이드턱부의 내측면 측으로 연결되어 감압된 용수가 회전되면서 상기 콘 형태의 돌기 하부가 삽입되어 와류 형태로 휘감아 분무 형태로 배출되는 방출공이 형성된 방출공간이 마련되는 드립부재;를 포함하는 포그 드립을 제공한다.
그에 따라 용수의 공급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용수의 공급면적 또한 최대화하여 농작물과 토양으로의 용수 공급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A plurality of inflow holes for discharging water from the discharge holes of the water pipe by being swirled in the form of vortex while being rotated after the water is fused to the inner side of the water pipe to discharge the water, A cover member having a cone-shaped protrus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where the inflow hole is formed; And a guide chuck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allowing water to flow therethrough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membe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chuck, , And a discharge space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reduced pressure passage is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guiding portion and the decompressed water is rotated to inser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e-shaped projection into a vortex form to be discharged in a spray form And a dripping member which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supply efficiency of the water, as well as maximize the supply area of the water, thereby maximizing the water supply efficiency to the crop and the soil.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그 드립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용수도관의 내측면에 융착되어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용수가 감압된 후 회전되면서 와류(渦流) 형태로 휘감아 용수도관의 배출공으로부터 분무(噴霧) 형태로 배출되도록 한 포그 드립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gging dripp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gging dripping apparatus which is fused to an inner surface of a water supply pipe, discharges the water, decompresses the water, winds the water in a vortex form, (Sprayed) in the form of a fog drip.
일반적으로, 농작물의 재배에 사용되는 용수도관은 넓은 대지에 심어진 농작물에 적정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는 관으로, 이러한 용수도관에는 용수를 공급하도록 일정 간격을 갖도록 각각의 배출공이 형성된다. Generally, a drinking water pipe used for cultivation of crops is a pip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upply appropriate water to crops planted on a wide area. Each of the water pipes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do.
아울러, 펌프 등으로 압력이 증가 된 용수는 용수도관의 각각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과제에서 펌프와 가깝거나 먼 위치에 배치된 배출공 모두 일정한 양의 용수가 공급되도록 각각의 배출공에는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여 공급하기 위한 드립이 마련된다.In addition, in the problem that the water having increased pressure by the pump is discharged through each discharge hole of the water pipe, in order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both the discharge hole disposed close to the pump and the distant position, A drip for supplying the pressure under reduced pressure is provided.
이러한 드립은 용수를 일정한 압력으로 농작물에 공급하는데, 일정한 유량의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는 압력이 증가 된 용수를 감압한 후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Such drips supply the water to the crop at a constant pressure. In order to supply water at a constant flow rate, it is common to supply the water after the pressure is increased.
상기와 같이 용수도관의 배출공에 구비되는 드립과 관련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9454호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48604호 등에 게시된 바 있다(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 Prior art related to the drip provided in the discharge hole of the water supply pipe as described above i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49454 and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074860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Quot;).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문헌 1에 게시된 드립은 용수를 감압한 후 배출하는 과정에서 드립의 용도인 물방울을 방울방울 떨어뜨려 공급함에 따라 용수의 공급이 떨어지는 부분으로만 제한되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the drips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종래에도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54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3'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회전 공간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을 향하도록 배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력 부여로를 통하여 회전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회전력을 발생시켜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도록 하는 식물재배용 회전 분출식 분수 호스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conventionally,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854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3"), a rotation force formed at a position oriented toward a point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on space There has been proposed a technique such as a rotary spraying type fountain hose for plant cultivation in which a rotating force is generated 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rotary space through the feed path and is ejected through the ejection port.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8547호(이하 '선행기술문헌 4'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분출되는 물의 분출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관수조절수단, 상기 관수조절수단에는 회전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발생부는 회전 공간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지점을 향하도록 배향되는 위치에 형성된 회전력 부여로를 통하여 회전 공간으로 유입되는 물에 회전력을 발생시켜 분출구를 통하여 분출되도록 하는 띠형 회전 분출식 관수조절수단을 포함하는 식물재배용 분수 호스와 같은 기술도 제안된 바 있다. Also, as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854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4"), there is provided an irrigation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ejection characteristics of water to be ejected, And the rotation generating unit generates a rotating force 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rotating space through a rotating force applying path formed at a position oriented at a position separated from the center of the rotating space, Techniques such as fountain hoses for plant cultivation including irrigation control means have also been proposed.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3 내지 4는 용수에 회전력을 인가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 복잡한 단점과 함께 용수의 감압 효율성이 떨어져 펌프와 가까운 위치의 배출공과 먼 거리에 위치한 배출공에서의 용수 배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단점을 가진다. However, the prior art documents 3 to 4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technical structure for applying the rotational force to the water is complicated, and the efficiency of decompression of the water is low, and the discharge of water from the discharge hole located at a distance from the discharge hole near the pump is uniform .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용수도관의 내측면에 융착되어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용수가 감압된 후 회전되면서 와류(渦流) 형태로 휘감아 용수도관의 배출공으로부터 분무(噴霧) 형태로 배출되도록 한 포그 드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o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spray from the discharge hole of the fog drip.
본 발명의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용수가 방출되는 중심과 용수도관의 배출공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더라도 분무 형태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enable smooth discharge of the water into the spray form even if the center of discharge of the water and the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water supply pipe do not exactly coincide with each other.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적인 해결과제는 용수가 와류 형태로의 휘감아 배출되는 것을 더 증속(增速)시킬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Another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rther accelerate the discharge of the water into the vortex form.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해결수단은 상면과 측면이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되, 상면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이 형성된 반대 측의 밑면에 하부 측으로 콘(cone) 형태의 돌기가 형성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커버부재의 밑면과 맞닿아 내부로 용수가 흐를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가이드턱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턱부의 일측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상기 유입공간의 끝단에 상기 가이드턱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감압로가, 상기 감압로의 끝단과 가이드턱부의 내측면 측으로 연결되어 감압된 용수가 회전되면서 상기 콘 형태의 돌기 하부가 삽입되어 와류 형태로 휘감아 분무 형태로 배출되는 방출공이 형성된 방출공간이 마련되는 드립부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flow hole, the method comprising: forming a plurality of inflow holes through which upper and lower surfaces are closed, A cover member having a cone-shaped protrusion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opposite side; And a guide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allowing water to flow therethrough in contact with a bottom surface of the cover member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guide protrusion, Wherein the inflow space into which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hole flows into the inflow space is formed in a zigzag shape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one by one from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guide tabs at the end of the inflow space, And a discharge space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in which a lower portion of the cone-shaped projection is inserted and is wound in a vortex form to be discharged in a spray form is provided, Member.
상기 방출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콘 형태의 돌기 하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 상기 방출공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An insertion groove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e-shaped proj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space, and the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상기 방출공은 콘 형태의 돌기 하단 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have a wider diameter than the lower end of the cone-shaped projection.
상기 방출공은 드립부재의 밑면 측으로 점점 더 넓게 형성된다.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wider and wider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drip member.
상기 콘 형태의 돌기에는 나선 형태의 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The protrusion of the cone shape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spiral guide groove.
본 발명은 용수도관의 내측면에 융착되어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용수가 감압된 후 회전되면서 와류(渦流) 형태로 휘감아 용수도관의 배출공으로부터 분무(噴霧) 형태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수의 공급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용수의 공급면적 또한 최대화하여 농작물과 토양으로의 용수 공급 효율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is fus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ter supply pipe and discharged in the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ter, and then the water flows in the form of a vortex while being rotated while being decompressed to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spray from the discharge pipe of the water supply pipe. The efficiency of supply of water to the crops and the soil can be maximized by maximizing the supply area of the water.
또한, 용수가 방출되는 중심과 용수도관의 배출공의 중심이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더라도 분무 형태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수도관으로의 배출공을 형성하기 위한 작업도 더욱더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even if the center of discharge of the water and the center of the discharge hole of the water supply pipe are not precisely matched, discharge to the spray form can be performed smoothly, so that work for forming discharge holes to the water supply pipe can be made more convenient Also has an effect.
또, 용수가 와류 형태로의 휘감아 배출되는 것을 더 증속(增速)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분무 형태로 방출되는 용수의 공급면적을 더욱더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효과는 물론 그로 인핸 용수 공급 효율성을 더욱더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In addition, by allowing the water to be further accelerated to be vortexed in a vortex form, the supply area of the water to be discharged in the form of spray can be further increased, and the water supply efficiency of the water can be further increased It also has an effect.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according to Figure 1,
3 is a plan view according to FIG. 2,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따른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저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mbined state according to FIG. 1, FIG. 3 is a plan sectional view according to FIG. 2, It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용수도관(100)은 넓은 대지에 심어진 농작물에 적정한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일정 간격으로 나란히 배열되며, 상기 용수도관(100)에는 용수를 공급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각각의 배출공(102)이 형성된다. As shown in the drawing, a typical
아울러, 상기 각 배출공에는 펌프 등으로 압력이 증가 된 용수를 펌프로부터 가깝거나 먼 위치에 배치된 배출공 모두 일정한 양의 용수가 공급되도록 각각의 배출공에는 용수의 압력을 감압하여 공급하는 드립이 마련된다. Further, in each of the above-mentioned exhaust holes, a drip that supplies water with increased pressure by a pump or the like to the discharge holes by reducing the pressure of the water to supply a certain amount of water to both of the discharge holes disposed near or far from the pump .
이러한 종래의 드립은 용수를 통상 물방울 형태인 방울방울 형태로 배출하여 농작물에 용수를 공급하는 것으로, 용수 공급에 그리 효율적이지 못한 단점을 가진다. Such conventional drips have drawbacks in that water is supplied to the crops by discharging the water in the form of droplets, which are usually in the form of droplets, which is not efficient in supplying water.
본 발명은 용수도관의 내측면에 융착되어 용수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유입된 용수가 감압된 후 회전되면서 와류(渦流) 형태로 휘감아 용수도관의 배출공으로부터 분무(噴霧) 형태로 배출되도록 하는 포그 드립을 제공하는 데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urifier for a water purifier that fuses to an inner surface of a water supply pipe and discharges the water in a process of discharging the water from a discharge pipe of the water pipe, .
본 발명에 따른 포그 드립(1)은 상면과 측면이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게 형성되되, 상면 일측에 상하로 관통되어 용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공(12)이 형성되며, 상기 유입공(12)이 형성된 반대 측의 밑면에 하부 측으로 콘(cone) 형태의 돌기(14)가 형성되는 커버부재(10)를 구비한다. 상기 커버부재는 통상 직사각형 형태의 박스형태이다. The fog drip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such that its top and sides are closed and its bottom is opened, and a plurality of inflow holes (12) through which water flows vertically through one side of the top face are formed, And a
아울러, 상기 커버부재(10)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어 통상적인 억지 끼움방식 등에 의한 압착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커버부재(10)의 밑면과 맞닿아 내부로 용수가 흐를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가이드턱부(22)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턱부(22)의 일측 상기 유입공(12)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12)을 통하여 유입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23)이, 상기 유입공간(23)의 끝단에 상기 가이드턱부(22)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24A)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감압로(24)가, 상기 감압로(24)의 끝단과 가이드턱부(22)의 내측면 측으로 연결되어 감압된 용수가 회전되면서 상기 콘 형태의 돌기(14) 하부가 삽입되어 와류 형태로 휘감아 분무 형태로 배출되는 방출공(26A)이 형성된 방출공간(26)이 마련되는 드립부재(2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상기에서, 방출공간(26)의 바닥면에 상기 콘 형태의 돌기(14) 하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홈(26B)과, 상기 삽입홈(26B)의 중앙에 상기 방출공(26A)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콘 형태의 돌기와 삽입홈 사이에는 용수가 와류 형태로 휘감아 흐를 수 있는 틈이 형성된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커버부재의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용수는 드립부재의 가이드턱부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공간으로 유입된다.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water introduced through the inflow hole of the cover member flows into the inflow space formed at one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of the drip member.
그런 다음 유입공간에서 감압로를 거쳐 유입된 압력 보다 감압된 상태의 용수는 감압로의 끝단과 가이드턱부의 내측면 측으로 연결되는 방출공간으로 유입됨과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Then, the water under a reduced pressure in the inflow space through the decompression furnace flows into the discharge spac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decompression furnace and the inner side of the guide protrusion, and simultaneously, it is rotated.
이렇게, 회전되는 용수는 방출공간의 바닥면에 형성된 삽입홈 상에 하부가 삽입된 커버부재의 콘 형태의 돌기를 타고 와류 형태로 휘감듯이 회전됨과 동시에 방출공을 거쳐 용수도관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분무 형태로 방출되어 진다. In this way, the water to be rotated is swirled in the form of a vortex on the cone-shaped protrusion of the cover member having the lower portion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space,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It is released in spray form.
즉, 용수는 콘 형태의 돌기 외측면을 타고 와류 형태로 휘감듯이 회전됨에 따라 회전력이 증가함과 동시에 방출공 상에서도 와류 형태로 방출됨과 동시에 용수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여전히 와류 형태로 회전됨으로써, 용수가 물방울 형태로 방울방울 배출되는 것이 아니라 안개와 같은 형태로 퍼지듯이 분무 형태로 방출하게 된다. 특히, 콘 형태의 돌기와 삽입홈 사이의 좁은 틈에서 배출공을 거쳐 대기의 넓은 공간으로 방출됨에 따라, 즉 베르누이 원리에 의해 용수가 분무 형태로 방출된다. In other words, as the water is rotated in a vortex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e-shaped projection, the rotational force is increased, and the water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a vortex also in the discharge hole. At the same time, Is not discharged in droplets in the form of droplets but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spray as if it spreads in the form of mist. Particularly, as the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narrow gap between the cone-shaped projection and the insertion groove to the large space of the atmosphere through the discharge hole, that is, the water is discharged in the form of spray by the Bernoulli principle.
그에 따라 용수가 분무 형태로 방출됨으로써, 그 용수의 공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농작물이 식재된 토양은 물론 농작물 전체로 고르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지게 된다. 그로 인해 농작물의 재배효율성 또한 자연스럽게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 또한 가진다. As a result, the water is discharged in a spray form, thereby maximizing the supply area of the water, thereby providing a condition that the supply of the crops can be uniformly distributed to the crops as well as the soil where the crops are planted. This also has the advantage of naturally maximizing the cultivation efficiency of crops.
그리고 상기 방출공(26A)은 콘 형태의 돌기(14) 하단 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즉, 방출공이 콘 형태의 돌기 하단 보다 좁은 경우, 그 콘 형태의 돌기를 타고 와류 형태로 휘감아 회전되는 용수의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관계로, 방출공은 콘 형태의 돌기 하단 보다 더 넓게 형성함으로써, 콘 형태의 돌기를 타고 와류 형태로 휘감아 회전되는 용수의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And the
또한, 상기 방출공(26A)은 드립부재(20)의 밑면 측으로 점점 더 넓게 형성된다. Further, the
이는 용수도관(100)에 형성되는 배출공(102)이 혹여 상기 방출공(26A)의 중심과 정확하게 일치되지 않고 약간의 차이가 있더라도 이미 용수는 콘 형태의 돌기와 삽입홈 상에서 와류 형태로 휘감아 방출되는 요건을 갖춤에 따라 배출공이 방출공의 중심과 약간의 편차가 있더라도 용수는 분무된 형태로 방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is is because even if the
그로 인해 용수도관에 형성된 배출공을 방출공과 정확하게 일치시키지 않아도 됨에 따라 작업의 편의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to precisely match the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water supply pipe with the discharge hole,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further enhance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은 용수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회전과 함께 와류 형태로 휘감아 분문 형태로 방출되도록 함으로써, 용수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배출되는 용수는 물방울 형태의 방울방울 배출되는 것이 아니 안개와 같은 분무 형태로 방출되어져 공급 면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water is discharged in a vortex form in a vortex form along with rotation in the process of supplying water,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of the water pipe is not discharged as droplets, So that the supply area can be maximized.
이는 농작물 재배를 위한 토양은 물론 농작물에게도 고르게 용수를 공급함으로써, 재배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This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cultivation by supplying water evenly to crops as well as to soil for cultivation of crops.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용수를 와류 형태로 휘감아 방출되는 것을 더욱더 증속시킬 수 있는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s,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 technical configuration capable of further increasing the amount of water vortexed and discharged is also provided.
콘 형태의 돌기(14)에는 나선 형태의 가이드홈(14A)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e-
즉, 용수가 회전과 함께 콘 형태의 돌기 외측면을 타고 와류 형태로 휘감아 회전될 때,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더욱더 신속하게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어, 회전력을 증속하게 된다. That is, when the water is rotated in a vortex shape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e-shaped protrusion together with the rotation, the guide groove can be rotated more quickly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이는 결국, 와류 형태로의 휘감는 회전력을 증속시킴으로써, 용소도관의 배출공을 통하여 안개와 같이 분무할 때 더욱더 높은 면적으로 퍼뜨릴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This, in turn, results in a condition in which the entrainment in the vortex shape increases the rotational force so that it can be spread over a higher area when sprayed as mist through the exhaust port of the solvent conduit.
아울러, 상기 콘 형태의 돌기에 가이드홈을 형성시에는 삽입홈과 콘 형태의 돌기 사이에 틈이 없이 접촉되더라도 상기 가이드홈을 타고 용수는 와류 형태로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Further, when the guide groove is formed in the protrusion of the cone shape, the water can be smoothly rotated in the vortex shape even if the insertion groove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sion of the cone shape without any gap.
1 : 포그 드립
10 : 커버부재 12 : 유입공
14 : 콘 형태의 돌기 14A : 가이드홈
20 : 드립부재 22 : 가이드턱부
23 : 유입공간 24 : 감압로
24A : 돌기 26 : 방출공간
26A : 방출공 26B : 삽입홈
100 : 용수도관 102 : 배출공1: fog drip
10: cover member 12: inflow hole
14: projection in
20: drip member 22: guide jaw
23: inflow space 24: reduced pressure furnace
24A: projection 26: discharge space
26A:
100: Water supply pipe 102: Exhaust hole
Claims (5)
상기 커버부재의 개방된 하부로 삽입되어 압착 고정되며, 상면에 상기 커버부재의 밑면과 맞닿아 내부로 용수가 흐를 수 있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는 가이드턱부가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턱부의 일측 상기 유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 유입공을 통하여 유입된 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공간이, 상기 유입공간의 끝단에 상기 가이드턱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하나 건너 하나씩 어긋나게 돌출 형성된 복수의 돌기 사이에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되는 감압로가, 상기 감압로의 끝단과 가이드턱부의 내측면 측으로 연결되어 감압된 용수가 회전되면서 상기 콘 형태의 돌기 하부가 삽입되어 와류 형태로 휘감아 분무 형태로 배출되는 방출공이 형성된 방출공간이 마련되는 드립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방출공간의 바닥면에 상기 콘 형태의 돌기 하부와 대응되는 형태의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중앙에 상기 방출공이 형성되며,
상기 방출공은 콘 형태의 돌기 하단 보다 더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콘 형태의 돌기에는 그 콘 형태의 돌기 외측면을 타고 용수가 와류 형태로 휘감는 회전력을 증속시키도록 나선 형태의 가이드홈이 적어도 하나 이상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포그 드립. A plurality of inlet holes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vertically through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are formed, and cone-shaped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opposite side where the inlet holes are formed. ; And
A guide protrusion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or allowing water to flow therethrough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over member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uide member, The inlet spac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inlet hole is introduced is formed in a zigzag shape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truding one by one on opposite faces of the guide protrusions on the end of the inlet space, And a discharge space formed with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shape of a vortex in which the lower portion of the cone-shaped projection is inserted and is wound in a vortex shape while the decompressed water is rotated to connect the end of the reduced pressure passage to the inner side of the guide- ; ≪ / RTI >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 discharge spac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a lower portion of the cone-shaped projection, and the discharge hol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insertion groove,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have a wider diameter than the cone bottom end of the cone shape,
Wherein the cone-shaped protrusion further includes at least one spiral guide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e-shaped protrusion so as to increas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ater in a vortex shape.
상기 방출공은 드립부재의 밑면 측으로 점점 더 넓게 형성되는 포그 드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to be wider and wider toward the bottom side of the drip memb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066A KR101981495B1 (en) | 2017-08-31 | 2017-08-31 | Fog dri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11066A KR101981495B1 (en) | 2017-08-31 | 2017-08-31 | Fog drip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4261A KR20190024261A (en) | 2019-03-08 |
KR101981495B1 true KR101981495B1 (en) | 2019-05-23 |
Family
ID=6580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11066A KR101981495B1 (en) | 2017-08-31 | 2017-08-31 | Fog dri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8149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0399A (en) | 2021-12-14 | 2023-06-22 | 주식회사 남경 | Drip assembly for subsurface drip lines with preventing roots clogg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8546Y1 (en) * | 2015-05-19 | 2015-10-19 | 신성순 | Rotational Ejecting Sprinlk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IL121967A (en) * | 1997-10-14 | 2001-06-14 | Hydro Plan Eng Ltd | Emitter unit |
KR100748604B1 (en) | 2007-02-14 | 2007-08-10 | 소재용 | Emitting pipe boring method and emitting pipe with hole there of |
KR200449454Y1 (en) | 2008-06-17 | 2010-07-12 | 소재용 | Drip of emitting pipe |
KR200478547Y1 (en) | 2015-05-19 | 2015-10-19 | 신성순 | Rotational Ejecting Irrigation Hose for Agriculture Including Band-Type Water Controller |
-
2017
- 2017-08-31 KR KR1020170111066A patent/KR10198149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8546Y1 (en) * | 2015-05-19 | 2015-10-19 | 신성순 | Rotational Ejecting Sprinlk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90399A (en) | 2021-12-14 | 2023-06-22 | 주식회사 남경 | Drip assembly for subsurface drip lines with preventing roots clogging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24261A (en) | 2019-03-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78547Y1 (en) | Rotational Ejecting Irrigation Hose for Agriculture Including Band-Type Water Controller | |
KR200478546Y1 (en) | Rotational Ejecting Sprinlker Hose for Plant Cultivation | |
EP2496359B1 (en) | Outlet for a washing installation | |
US7597276B2 (en) | Ultra low flow spray head | |
US20110000983A1 (en) | Shower Head | |
CN107666966A (en) | Spray nozzle device for spray gun | |
RU2173584C1 (en) | Sprinkler unit head | |
CN103353254B (en) | Spray nozzle, water distribution plate comprising same and cooling tower | |
JP6863554B2 (en) | Spray nozzle assembly with liquid flow control according to expansion pressure | |
KR101665289B1 (en) | Spray angle adjustable nozzle for speed sprayer | |
EP3386598A1 (en) | Water mist nozzle for a fire suppression system | |
CN106998659B (en) | Mixing emitter and method for integrating emitter and substrate in irrigation pipe | |
CN105557667B (en) | Adjustable nozzle for gardens chemical spraying device | |
KR101981495B1 (en) | Fog drip | |
JP6648381B2 (en) | Rotating jet type water splitting hose for plant cultivation | |
KR101904967B1 (en) | Disperse-type drip | |
US20090283615A1 (en) | Nozzle With Improved Close-In Water Distribution | |
CN207531760U (en) | nozzle and spraying device | |
US20130292494A1 (en) | Garden sprayer | |
US2065161A (en) | Full circle sprinkler | |
KR20130026087A (en) | Drip irrigation nozzle and drip irrigation hose having the same | |
KR200479367Y1 (en) | Irrigation Hose | |
RU2380167C1 (en) | Sprinkler head | |
KR101271515B1 (en) | The multiplexing system of a vinyl greenhouse | |
JP7206402B2 (en) | Irrigation diffusion type drip using an irrigation ho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