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85137B1 -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 Google Patents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5137B1
KR101985137B1 KR1020180030489A KR20180030489A KR101985137B1 KR 101985137 B1 KR101985137 B1 KR 101985137B1 KR 1020180030489 A KR1020180030489 A KR 1020180030489A KR 20180030489 A KR20180030489 A KR 20180030489A KR 101985137 B1 KR101985137 B1 KR 101985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water
bar
housing
lei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048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동건
강상우
김우재
서종현
채선희
Original Assignee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30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13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13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0/00Outboard propulsion units, e.g. outboard motors or Z-drives; Arrangements thereof on vessels
    • B63H20/02Mount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08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63B2747/0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derwater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which is able to move in water by using an independent module, and to be conveniently mounted by using an attaching/detaching instrument on a non-power instrument such as a kayak or a surfboard.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nderwater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comprises: a motor housing which has a driving motor placed in a sealed internal space, and a handle unit detachably installed on a mounting groove on an external side; a screw shaft and a screw, which are installed on a rear end of the motor housing to be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to be driven; and a screw housing which includes the screw. After removing the handle unit, the attaching/detaching instrument is mounted and installed on the mounting groove, and is mounted on the non-power instrument to help propel the same and move in water.

Description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0001]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0002]

본 발명은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독립된 모듈로도 사용이 가능하고, 카약이나 서프보드와 같이 무동력기구에 장착하여 수중을 이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that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module and can be mounted on a non-powered device such as a kayak or a surfboard, will be.

일반적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국민소득의 증가와 생활수준의 향상에 따라 육상 레저스포츠 뿐만 아니라, 비교적 고가의 비용이 투여되는 수상 레저스포츠를 즐기는 인구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Generally, in Korea, as the national income increases and the standard of living improves, the population enjoying water leisure sports is increasing not only in the field of leisure sports but also in the water sports.

이와 같은 수상 레저용 중 수중 추진 장치는 잠수함과는 달리 잠수자가 탑승하지 않고 장치에 마련되는 손잡이를 잡고 주행하거나 장치를 등에 착용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주는 장치로서, 수중 스쿠터라고도 불리운다.Unlike a submarine, the water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for water and leisure is a device that allows a user to move while holding a handle provided on the device without moving the dive person, or to move the device while wearing the device, which is also called an underwater scooter.

수중 추진 장치는 스쿠버 다이빙과 같은 레저 활동에도 이용되지만, 수중 촬영, 수중 탐색, 수중에서의 물품의 이동이나 인명 구조 등의 수중에서의 다양한 활동에서 잠수자가 수중을 신속히 이동할 수 있게 해주는 장치로서도 이용되고 있다.Underwater propulsion is also used for leisure activities such as scuba diving, but is also used as a device that allows a dive to move quickly underwater in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underwater photography, underwater exploration, movement of goods in water, have.

대체적으로 수중 추진장치는 하우징의 밀폐된 공간에 배터리와 구동 모터가 장착되고, 하우징의 바깥쪽으로는 스크류 또는 워터젯 추진을 위한 임펠러가 장착되어 구성되고, 구동 모터로부터의 동력에 의해 스크류 또는 임펠러가 회전하면서 물을 후방으로 밀어내어 추진력을 얻는다.Generally,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is constituted such that a battery and a driving motor are mounted in a sealed space of a housing, and an impeller for screw or water jet propulsion is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housing. The screw or impeller rotates While pushing the water backward to gain momentum.

이러한 수중 추진 장치의 종래 기술의 하나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2011-0003072호에 개시된 '수중추진기 세트'가 있다.As one of the conventional technologies of such an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there is an 'underwater propeller set' disclosed in Korean Utility Model Laid Open No. 20-2011-0003072.

여기서 개시된 추진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 보면, 전방이 절단되고, 상부의 일부가 개방되며, 개방된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고정된 한 쌍의 가이드레일(15)이 형성된 제1몸체(10)와,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면 외측면 가장자리를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바(25)가 고정되는 제2몸체(20)와; 상기 제2몸체(20)의 중공부에 안착되는 배터리(30)와, 상기 제2몸체(20)의 선미에 장착되어 상기 배터리(30)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구동하는 프로펠러(40)와 상기 프로펠러(40)를 감싸는 원통형의 추진관(50)과 접시 형상이고 전방에 제1투시창(115)이 형성되는 제1선수(110)와 유선형의 깔때기 형상이고 상부면에 제2투시창(125)이 형성되는 제2선수(120) 및 상부면과 양측면에 제3투시창(135)이 각각 형성되는 제3선수(130)로 구성되어, 상기 제1선수(110)와 상기 제2선수(120)와 상기 제3선수(130) 중에서 하나가 탈부착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몸체(10)의 선단부에서 탈부착 되어 사용되는 것이다.Referring to FIG. 1, the propulsion device disclosed herein includes a first body 12 having a pair of guide rails 15, which are cut forward, open at a portion of the upper portion, and fix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long the opened inner edge, A second body 20 having a hollow portion and a pair of guide bars 25 being fixed along the outer side edge of the upper surface; A battery 30 mounted on a hollow portion of the second body 20, a propeller 40 mounted on a stern of the second body 20 and driven by a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30, And a first sight 110 formed in a dish shape and having a first sight window 115 formed on the front side and a second sight window 125 formed on the upper face thereof in a streamlined funnel shape, And a third prong 130 in which upper surfaces and third prism windows 135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prong 110 and the second prong 120, One of the third prongs 13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distal end of the first body 10 by means of attachment and detachment means.

예시된 종래의 추진장치는, 단독 사용만 가능하여 사용자가 직접 타거나 파지한 상태에서 수중에서 고속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The conventional propulsion device shown in the drawing can be used solely, and can be moved at high speed in water in a state where the user directly rides or grasps.

이에 따라 해상에서 이용되는 다양한 구성과 형태의 선체에 별도로 제작되는 선외기를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추진력을 얻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워터젯 추진기구의 구성을 가지는 선외기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1992-0002421호 "수심이 얕은 물에서 사용되도록 된 선박용 워터-제트 추진시스템", 공개번호 제10-2004-0077611호 "워터제트형 선미 추진장치", 공개번호 제10-2006-0121175호 "선외 제트 드라이브 선박 추진 시스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69026호 "워터 제트 추진식 선외기"가 현재 안출되어 있다.Accordingly, in many cases, a propulsion force is obtained by detachably attaching an outboard motor separately manufactured to various configurations and shapes used in the sea. In particular, in relation to an outboard motor having a waterjet propulsion mechanism,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992-0002421 entitled " Water-jet propulsion system for use in shallow water, " No. 10-2004-0077611 " Waterjet type stern propulsion device ", Publication No. 10-2006-0121175, Outboard Jet Drive Ship Propulsion System ",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469026 " Water Jet Propulsion Outboard "

그러나, 이와 같은 추진기를 무동력 기구에 장착할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이동성과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such a propeller is mounted on a non-powered apparatus, the structure is complicated, troublesome, and the mobility and stability are deterio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독립된 모듈 사용으로 수중에서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카약이나 서프보드와 같이 무동력 기구에 탈부착기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장착 가능한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ter- The purpose of the devic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으로는,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부품별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하여 독창적이고 개성있는 제품 생산이 가능한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isure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that can be customized for each part using a 3D printer to produce original and unique products.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밀폐된 내부 공간에 구동모터가 배치되며, 외측에는 장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의 후단으로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스크류축 및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포함하는 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탈거 후, 상기 장착홈에 탈부착기구가 장착 설치되고, 상기 탈부착기구는 무동력 기구에 장착되어 수중에서 추진 이동을 돕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motor vehicle having a motor housing in which a driving motor is disposed in a closed inner space and a handle is detachably attached to a mounting groove on an outer side of the motor housing, And a screw housing including the screw, the detachable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being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after detaching the handle, the detachable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being mounted on a non-powered mechanism, .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모터하우징의 전단에 나사 체결되며, 내부에 물을 충전시켜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조절덮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oyancy adjusting cover may be screwed to the front end of the motor housing and may be filled with water to adjust buoyanc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탈부착기구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바와, 상기 장착바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수평바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동력 기구에 장착되는 제1, 2결합바로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includes a mounting bar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a horizontal bar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bar, And the othe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and mounted to the non-powered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바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볼스크류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1,2결합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볼스크류축을 따라 전, 후진 이동 가능한 볼스크류너트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1,2결합바는, 양단으로 걸림바와 걸림턱이 설치되되,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바가 상기 제1,2결합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방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것이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ll screw shaft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a horizontal bar, and a ball screw nut bracket capable of moving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ball screw axis is installed 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are provided with a latching bar and a latching jaw at both ends thereof and a spring is provided therein to extend the latching ba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The length is stretched.

본 발명에 의한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에서는, 독립된 모듈 사용으로 수중에서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카약이나 서프보드와 같이 무동력 기구에 탈부착기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장착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it can be moved in water by using an independent module and can be easily mounted to a non-powered device such as a kayak or a surfboard by using a detachable attachment mechanism.

또한, 무동력 기구에 추진장치를 장착하여 낮은 수심에서도 고속이동이 가능하고, 안정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unt the propulsion device on the non-powered mechanism and to move at a high speed even at a low water depth, and the stability is enhanced.

또,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부품별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하여 제작, 조립,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독창적이며 개성 있는 제품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ustomize each part by using a 3D printer,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assemble, maintain, and produce unique and unique products.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수중 추진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무동력기구에 탈장착기구를 이용하여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conventional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detachable attachment mechanis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4,
FIG.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is mounted using a device for attaching and detaching a non-powered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 including " an elem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여기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무동력기구에 탈장착기구를 이용하여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4, and Fig. 7 is a cross- Fig. 3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evice is mounted.

먼저, 도 2와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1)는 구동모터(210)를 포함하는 모터하우징(200)과, 모터하우징(200)의 후단으로 설치되는 스크류하우징(290)과, 스크류하우징(290)의 내부에 구동모터(210)와 연결 설치되는 스크류축(270)과 스크류(280)로 구성될 수 있다.2 and 3, the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apparatus 1 includes a motor housing 200 including a driving motor 210, a screw housing (not shown) installed at a rear end of the motor housing 200 And a screw shaft 270 and a screw 280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210 in the screw housing 290.

여기서 모터하우징(200) 및 스크류하우징(290) 등 구성부품들은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부품별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하여 제작, 조립이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components such as the motor housing 200 and the screw housing 290 can be customized for each component using a 3D printer, and thus can be manufactured and assembled.

모터하우징(200)은 유선형상으로 크게 4개의 부분으로 구성 형성될 수 있으며, 부력조절덮개(220)와 후방덮개(250) 그리고 이들 부력조절덮개(220)와 후방덮개(250)의 사이에 배치되는 제1하우징본체(230)와 제2하우징본체(240)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tor housing 200 may be formed into four parts in a streamlined shape and may include a buoyancy regulating cover 220 and a rear cover 250 and disposed between the buoyancy regulating cover 220 and the rear cover 250 The first housing body 23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240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이들 구성품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연결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밀봉 체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보다 확실한 밀봉을 위하여 미도시되었지만 가스켓 등이 더 설치될 수 있다.These components are made of a metal or a synthetic resin, and a thread can be formed in the connection portion to be sealed, and a gasket or the like can be further installed, although not shown for better sealing.

그리고 제1하우징본체(230)와 제2하우징본체(24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210)와 구동모터(21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전기적인 각종 제어장치가 설치되어 제1하우징본체(230)에 형성된 제어버튼(232)을 이용하여 구동모터(210)의 온/오프 및 구동세기 단계를 조절할 수 있다.A battery (not shown) for applying power to the driving motor 210 and the driving motor 210 may be installed in the first housing body 23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240, The on / off and the driving intensity level of the driving motor 210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control button 232 provided on the first housing body 230 with the control device installed therein.

덧붙여, 구동모터(210)의 제어를 리모컨컨트롤러를 통한 제어도 가능할 수 있으며, 제1하우징본체(230)와 제2하우징본체(240)의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하여 구동모터(210)와 밧데리의 유지보수가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of the driving motor 210 can be controlled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 and the first housing body 230 and the second housing body 240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Thus, the driving motor 210 and the battery Maintenance may be possible.

그리고 제1하우징본체(230)에는 직사각 형태의 장착홈(234)이 형성되며, 이 장착홈(234)에 손잡이부(260)가 장착 설치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body 230 is formed with a rectangular mounting groove 234 through which the handle 260 can be mounted.

손잡이부(260)는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100)의 독립 모듈 사용시 사용자가 수중에서 파지하는 부분으로 역시 3D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색상과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며, 장착홈(234)에 삽입되는 직사각형 부분에 장착홀(262)이 형성될 수 있다.The grip portion 260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colors and shapes using a 3D printer as a portion gripped by a user in using the independent module of the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100. The grip portion 260 can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groove 234 A mounting hole 262 may be formed in the rectangular portion.

한편, 부력조절덮개(220)는 포탄의 머리부와 유사한 유선형상으로 내부에 공간이 마련되어 제1하우징본체(230)로부터 분리 후, 내부 공간에 물을 일정량 충전시킴으로 하여 부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제1하우징본체(230)측으로 향하는 다수개의 홀(22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buoyancy adjusting cover 220 may have a wired shape similar to the head of the shell and may have a space therein to allow the buoyancy to be adjusted by discharging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nto the inner space after being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body 230, A plurality of holes 222, which are directed toward the housing body 230 side,

상기 홀(222)에는 핀(224)이 삽입 설치되되, 다수개의 핀(224) 중 어느 하나는 손잡이부(260)의 장착홈(234) 설치시 손잡이부(260)의 장착홀(262)에 관통되어 손잡이부(26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The pin 224 is inserted into the hole 222 and one of the pins 224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262 of the handle 260 when the mounting groove 234 of the handle 260 is installed. So that the handle 26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그리고 후방덮개(250)는 전, 후방 단부측이 개방되어지되, 전방측은 제2하우징본체(240)와 결합되어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며, 후방측으로는 구동모터(210)로부터 이어지는 스크류축(270)이 관통하지만, 여기에는 스크류축(270)을 둘러싸는 씨일(미도시)이 배치되어 스크류하우징(290) 측으로부터 후방덮개(250) 내측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The rear cover 250 is opened at its front and rear end sides and its front side is engaged with the second housing body 240 to form a closed space and the rear side is provided with a screw shaft 270 A seal (not shown) surrounding the screw shaft 270 is disposed to prevent water from flowing into the rear lid 250 from the screw housing 290 side.

그러나, 후방덮개(250)의 내측은 구동모터(210)가 배치되는 제1,2하우징본체(230)(240)의 공간과는 연통되지 않고 전혀 별개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므로 완전한 밀봉이 요구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since the inner side of the rear lid 250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space of the first and second housing bodies 230 and 240 where the drive motor 210 is disposed, and forms a totally separate space, It is not.

스크류(280)는 스크류축(270)에 결합되어 후미에 배치될 수 있다.The screw 280 may be coupled to the screw shaft 270 and disposed at the rear.

그리고 스크류하우징(290)의 전단부에는 스크류(280)의 회전에 의해 물이 쉽게 유입되도록 망사 형태로 형성되고 있고, 후단부로는 스크류(280)에 의해 후방으로 보내지는 물이 유출되는 유출구가 방사형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front end of the screw housing 290 is formed in a mesh shape so that water can be easily introduced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280. An outlet port through which the water sent backward by the screw 280 flows, Respectively.

이러한 스크류하우징(290)은 스크류축(270)을 지지하여 주고, 또한 수중 추진 장치를 이용하는 잠수자가 스크류(280)에 의해 부상을 당하거나 스크류(280)가 장애물에 충돌하거나 해초가 감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screw housing 290 supports the screw shaft 270 and prevents the screw 280 from being injured by the screw 280 using the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or causing the screw 280 to collide with the obstacle or the seaweed is wound .

도 4에 도시된 다른 일실시예로 무동력기구(400)에 수중 추진장치(1)가 장착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260) 대신에 탈부착기구(300)를 장착 설치할 수 있다.4, the attaching / detaching mechanism 300 may be mounted in place of the handle 260 so that the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1 may be mounted on the non-powered device 400. [

이러한 탈부착기구(300)는, 크게 장착바(310)와 수평바(320) 및 제1, 2결합바(330)(340)로 구성되며, 장착바(310)는 제1하우징본체(230)의 장착홈(234)에 삽입 고정되도록 사각형으로 각진 형태의 막대형 기둥으로 손잡이부(260)에서와 같이 장착홀(312)이 형성되어 부력조절덮개(220)로부터 삽입되는 핀(224)에 결합될 수 있다.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mechanism 300 includes a mounting bar 310, a horizontal bar 320 and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330 and 340. The mounting bar 310 includes a first housing body 230, A mounting hole 312 is formed in a square rod shape having a rectangular shape so a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234 of the buoyancy adjusting cover 220 and is engaged with the pin 224 inserted from the buoyancy adjusting cover 220 .

그리고 수평바(320)는 장착바(310)의 상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도 5에서와 같이 내부에 볼스크류축(322)이 길이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The horizontal bar 320 is integrally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mounting bar 310, and the ball screw shaft 322 may b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s shown in FIG.

볼스크류축(322)은 일단은 고정되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ball screw shaft 322 is fixed at one end and rotatably installed.

상기 수평바(320)에는 실질적으로 무동력기구(400)를 장착할 수 있도록 직교방향으로 한 쌍의 제1,2결합바(330)(340)가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수평바(320)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수평바(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bar 3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330 and 340 in an orthogonal direction so as to be able to mount a substantially non- And the other one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linearly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320.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착바(310)와 근접 위치하고 위치 고정된 것을 제1결합바(330)로 칭하고, 제1결합바(330)로부터 수평바(320) 상에 이격 설치된 결합바를 제2결합바(340)로 칭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330 and 33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upling bar 330 and a second coupling bar 330, (340).

따라서 제1결합바(330)는 수평바(320)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내부로는 볼스크류축(322)의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위치 고정되어 지며, 제2결합바(340)에는 내부에 볼스크류너트브라켓(342)이 설치되어 볼스크류축(322)의 회전에 따라 제2결합바(340)가 수평바(320)를 따라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Accordingly, the first coupling bar 330 is integrally fixed to the horizontal bar 320, and one end of the ball screw shaft 322 is rota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bar 320. Inside the second coupling bar 340, And the second coupling bar 340 linearly moves along the horizontal bar 320 as the ball screw shaft 322 rotates.

제2결합바(340)의 전, 후진 직선이동에 따라 무동력기구(400)의 장착부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상호 간의 거리를 조절하게 된다.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coupling bar 340 and the second coupling bar 340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nonmoving mechanism 400 according to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cond coupling bar 340.

한편, 제1,2결합바(330)(340)는 각각 양단에 형성되는 "ㄷ"자 형태의 걸림바(350)와 걸림턱(360)으로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330 and 340 may include a " C " -shaped latching bar 350 and a latching jaw 360 formed at both ends thereof.

도 6에서의 단면도와 같이, 내부 공간에 스프링(370)이 설치되어 걸림턱(360)과 같이 걸림바(350)가 동일 선상에서 길이가 신장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방식으로 걸림턱(360)역시 내부 공간에 스프링(370)과 연결 설치되어 걸림턱(360)만 상방으로 길이가 신장될 수 있는 것이다.6, a spring 370 may be installed in the inner space so that the latching bar 350 may extend in the same line as the latching jaw 360. In this manner, The spring 370 is connected to the inner space so that the hook 360 can be extended upward.

상기와 같은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의 작용을 하기의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The operation of the above-mentioned leisure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다시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실시예로, 수중 추진장치(1)에서 제1하우징본체(230)의 장착홈(234)에 손잡이부(26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수중에서 독립 모듈로 사용하게 되며, 수중에서 제어버튼(232)을 통해 구동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280)의 회전이 제어되어 추진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2 to 7, in a state where the handle 260 is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234 of the first housing body 230 in the underwater propelling device 1, And the rotational speed of the driving motor 210 is controlled through the control button 232 in the water. Accordingly, the rotation of the screw 280 is controlled to control the propelling speed.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 손잡이부(260) 대신에 탈부착기구(300)를 장착하게 되며, 장착바(310)가 장착홈(234)에 위치됨과 동시에 부력조절덮개(220)의 홀(222)측으로 핀(224)이 삽입되면서 장착바(310)의 장착홀(312)에 삽입되어 탈부착기구(30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The mounting bar 310 is positioned in the mounting groove 234 and at the same time the pin 222 is pushed toward the hole 222 side of the buoyancy adjusting cover 220. In this case, And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312 of the mounting bar 310 to prevent the detachable attachment 300 from coming off.

이와 같이 장착된 탈부착기구(300)를 무동력기구(400)에 장착시키기 위하여 제2결합바(340)의 직선 이동과 걸림바(350)와 걸림턱(360)의 이동이 필요하게 된다.In order to attach the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300 thus mounted to the non-moving mechanism 400, it is necessary to linearly move the second engagement bar 340 and move the engagement bar 350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360.

먼저, 무동력기구(400)의 장착부 크기에 따라 제2결합바(340)의 후측으로 돌출된 볼스크류축(322)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볼스크류너트브라켓(342)을 포함하는 제2결합바(340)가 수평바(320)를 따라서 직선 이동을 하게 된다.First, the ball screw shaft 322 protruding rearward of the second coupling bar 340 is rotated in one direction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non-driving mechanism 400, thereby rotating the second coupling bar 340 including the ball screw nut bracket 342 (340) moves linearly along the horizontal bar (320).

이어서 제1,2결합바(330)(340)의 길이 신장이 필요하게 되면, 걸림턱(360)을 포함하는 걸림바(350)를 잡아당기면 스프링(370)을 신장시키면서 길이가 늘어나게 되고, 무동력기구(400)에 장착 시 스프링(370)의 복원력에 의하여 단단히 고정을 이루게 된다.Whe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330 and 340 are required to be extended, the length of the spring 370 is increased by stretching the spring 370 when the latching bar 350 including the latching jaws 360 is pulled, And is firmly fixed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70 when mounted on the mechanism 400. [

또, 걸림턱(360)의 신장도 필요하게 되면 역시, 상방측으로 걸림턱(360)을 잡아 당기면 스프링(370)을 신장되면서 무동력기구(400)에 장착 고정될 수 있다.When the latching jaw 360 is also required to be extended, the spring 370 can be attached and fixed to the nonmoving mechanism 400 when the latching jaw 360 is pulled upward.

여기서 걸림바(350)와 걸림턱(360)의 신장은 동시에 같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무동력기구(400)와의 장착 해제 시에는 스프링(370)의 복원력에 따라 원위치 될 수 있다.Here, the latching bars 350 and the latching jaws 360 may be stretched at the same time. When the latching bars 350 and the latching jaws 36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they may be retracted according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370.

그리고 다시 탈부착기구(300)를 분리하고, 다시 손잡이부(260)를 장착시키고자 하면, 먼저, 부력조절덮개(220)의 핀(224)을 전방측으로 빼내어 장착바(310)의 장착홀(312)로부터 빼내고서 이어서 탈부착기구(300)를 상방측으로 빼낼 수 있다.The pin 224 of the buoyancy adjusting lid 220 is pulled out to the front side and the mounting hole 312 of the mounting bar 310 is first pulled out The detachable attachment mechanism 300 can be pulled out upward.

본 발명에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독립된 모듈 사용으로 수중에서 이동이 가능함은 물론, 카약이나 서프보드와 같이 무동력 기구에 탈부착기구를 이용하여 간편하게 장착 가능하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move in water by using an independent module, and it can be easily mounted to a non-powered device such as a kayak or a surfboard by using a detachable device.

또한, 무동력 기구에 추진장치를 장착하여 낮은 수심에서도 고속이동이 가능하고, 안정성이 높다.In addition, the propulsion device is mounted on the non-powered mechanism, which enables high-speed movement even at low water depths and high stability.

또, 3D프린터를 사용하여 부품별로 커스터마이징(Customizing)이 가능하여 제작, 조립,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독창적이며 개성 있는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customize each part by using 3D printer, so it is easy to manufacture, assemble, maintain, and produce original and unique product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므로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변경 가능한 것이며,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1 : 수중 추진장치 200 : 모터하우징
210 : 구동모터 220 : 부력조절덮개
230 : 제1하우징본체 240 : 제2하우징본체
250 : 후방덮개 260 : 손잡이부
270 : 스크류축 280 : 스크류
290 : 스크류하우징 300 : 탈부착기구
310 : 장착바 320 : 수평바
330 : 제1결합바 340 : 제2결합바
400 : 무동력기구
1: underwater propulsion device 200: motor housing
210: Driving motor 220: Buoyancy adjusting cover
230: first housing body 240: second housing body
250: rear cover 260: handle portion
270: screw shaft 280: screw
290: screw housing 300: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310: mounting bar 320: horizontal bar
330: first coupling bar 340: second coupling bar
400: Non-powered device

Claims (4)

밀폐된 내부 공간에 구동모터가 배치되며, 외측에는 장착홈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손잡이부가 설치되는 모터하우징과,
상기 모터하우징의 후단으로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스크류축 및 스크류와,
상기 스크류를 포함하는 스크류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손잡이부를 탈거 후, 무동력 기구에 장착되어 수중에서 추진 이동을 돕는 탈부착기구가 상기 장착홈에 장착 설치되고,
상기 탈부착기구는,
상기 장착홈에 삽입 고정되는 장착바와,
상기 장착바의 상단에 설치되는 수평바와,
상기 수평바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되, 어느 하나는 상기 수평바에 고정 설치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수평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무동력 기구에 장착되는 제1, 2결합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
A motor housing in which a driving motor is disposed in a sealed inner space and a handle is detachably attached to a mounting groove on the outer side;
A screw shaft and a screw connected to a rear end of the motor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a screw housing including the screw,
A detachable attachment / detachment mechanism mounted on the non-powered mechanism for assisting the propulsion movement in the water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attachment groove after the detachment of the handle,
The attachment /
A mounting bar inserted and fixed in the mounting groove,
A horizontal bar provided at an upper end of the mounting bar,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being fixed to the horizontal bar and the other being installed to be movabl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bar and mounted to the non-powered device, Wherei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ta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하우징의 전단에 나사 체결되며, 내부에 물을 충전시켜서 부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력조절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buoyancy adjustment cover screwed to a front end of the motor housing and capable of adjusting buoyancy by filling water therei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바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볼스크류축이 설치되고, 상기 제1,2결합바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볼스크류축을 따라 전, 후진 이동 가능한 볼스크류너트브라켓이 설치되며,
상기 제1,2결합바는, 양단으로 걸림바와 걸림턱이 설치되되,
내부에 스프링이 설치되어 상기 걸림바가 상기 제1,2결합바의 길이 방향으로 신장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방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저용 수중 추진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all screw shaft is provided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bar, and a ball screw nut bracket that is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ball screw axis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may have hooking bars and hooking jaws at both ends,
Wherein a spring is installed in the inside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to extend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bars, and the length of the engagement protrusion is extended upward.
KR1020180030489A 2018-03-15 2018-03-15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Expired - Fee Related KR101985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9A KR101985137B1 (en) 2018-03-15 2018-03-15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0489A KR101985137B1 (en) 2018-03-15 2018-03-15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137B1 true KR101985137B1 (en) 2019-05-31

Family

ID=66657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04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985137B1 (en) 2018-03-15 2018-03-15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5137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388A (en) * 2010-12-17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dock and shipbui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29868A (en) * 2013-04-30 2014-11-07 (주)동산테크 Outboard mo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8388A (en) * 2010-12-17 2012-06-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loating dock and shipbui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140129868A (en) * 2013-04-30 2014-11-07 (주)동산테크 Outboard mo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90929A (en) Paired motor system for small boat propulsion and steerage
JP5914608B2 (en) Motorized watercraft system with replaceable motor module
EP0396829A1 (en) Power driven underwater viewing platform
CA2982051A1 (en) Personal watercraft for amplifying manual rowing or paddling with propulsion
KR20190083606A (en) Marine propulsion system
EP2982595A2 (en) Modular watercraft
KR101248396B1 (en) Under water scooter
KR200490670Y1 (en) Kayak with motor propulsion
KR20190049988A (en) Buoyancy suit having under water propulsion apparatus
KR101880404B1 (en) Prefabricated electric kayak
US5601461A (en) Float tube propulsion apparatus
EP1272389B1 (en) Diver propulsion device
US20140364020A1 (en) Kayak motor attachment device
KR20090093919A (en) A propulsion apparatus of the underwater
KR101985137B1 (en)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JP2011098711A (en) Propulsion system for ship
KR102040432B1 (en) Personal underwater propellant activate apparatus having one-hand operating way
US11524758B2 (en) Universal motorized personal watercraft propulsion mounting system
US8277272B1 (en) Flotation apparatus
US3422785A (en) Marine propulsion device
KR20230086271A (en) Propelling apparatus for leisure
KR20110003072U (en) Submersible propeller set.
US10745093B2 (en) Swimming apparatus
KR101846999B1 (en) Adhesion type powered apparatus for assisting swimming
KR20120111238A (en) Underwater scoo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