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70276B1 - 냉온풍 건조기 - Google Patents

냉온풍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0276B1
KR101970276B1 KR1020170080857A KR20170080857A KR101970276B1 KR 101970276 B1 KR101970276 B1 KR 101970276B1 KR 1020170080857 A KR1020170080857 A KR 1020170080857A KR 20170080857 A KR20170080857 A KR 20170080857A KR 101970276 B1 KR101970276 B1 KR 1019702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rtment
air
main body
ventilation
drying spa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1218A (ko
Inventor
최성훈
최은영
Original Assignee
대영이앤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이앤비(주) filed Critical 대영이앤비(주)
Priority to KR102017008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0276B1/ko
Publication of KR20190001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1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02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02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0Preservation of fruit or vegetabl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6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26B3/0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 F26B3/08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flowing through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so as to loosen them, e.g. to form a fluidised bed arrangements of devices for distributing fluidising gas, e.g. gri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건조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 내부의 일측에 건조공간과 분리되도록 마련된 격실;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격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냉매를 이용하여 격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공기가 본체의 건조공간으로부터 격실 일측으로 유입되어 가열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고 격실 타측에서 다시 건조공간으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 본체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본체 외벽에 형성된 통풍구; 통풍구에 마련되어 통풍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공기가 건조공간과 격실 내부를 순환하거나 또는 통풍구를 통해 환기되도록 하는 도어; 및 가열기, 증발기 및 도어의 가동을 제어하고, 가열기 가동시에는 도어가 통풍구를 일정시간 폐쇄한 후 개방하여 환기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700);를 포함하는 냉온풍 건조기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냉온풍 건조기{DRYING MACHINE USING COLD AND HOT AIR}
본 발명은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건조물을 냉풍 또는 온풍으로 건조시킬 수 있는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옛날부터 장시간의 보관의 목적 또는 건조된 형태로 음식의 재료로 사용하려는 목적으로 생선, 오징어, 감 등의 농수산물을 건조하여왔다. 이러한 식품들을 건조하기 위하여는 야외에 설치된 건조대 내지 건조장을 이용하여 태양 및 자연풍에 의한 자연 건조를 이용하였다. 또한, 빨래 등의 건조를 위하여도 외부의 태양에 의한 건조 또는 실내에서 자연풍에 의한 자연 건조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자연 건조는 자연현상을 이용해야 하는 것으로, 일조량, 온도, 습도 등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건조하는데 걸리는 시간, 효율이 상이하고, 이에 따라 피건조물의 상태도 다양하다. 특히, 농수산물의 경우에는 부패하거나 주위의 해충 등에 의한 위생적인 문제들도 발생한다.
이와 같은 자연 건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단시간 내에 건조를 완료하기 위하여 인조 건조를 위한 건조기가 많이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건조기는 히터를 열원으로 사용하여 열풍 건조를 하는 것으로 히터를 통해 가열된 공기를 피건조물에 제공하여 피건조물을 빠르게 건조하였다.
다만, 이러한 열풍 건조시에는 피건조물이 지나치게 높은 열을 받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 원하는 건조 상태가 아닌 피건조물이 훼손되어 상품가치가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열풍의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피건조물의 건조상태가 균일하지 않은 문제도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7-0037297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절대습도를 낮춘 냉풍을 피건조물에 공급하여 건조하는 냉풍 건조와 상대습도를 낮춘 온풍을 피건조물에 공급하여 건조하는 온풍 건조가 모두 가능한 냉온풍 건조기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는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건조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 내부의 일측에 건조공간과 분리되도록 마련된 격실;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격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냉매를 이용하여 격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공기가 본체의 건조공간으로부터 격실 일측으로 유입되어 가열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고 격실 타측에서 다시 건조공간으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 본체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본체 외벽에 형성된 통풍구; 통풍구에 마련되어 통풍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공기가 건조공간과 격실 내부를 순환하거나 또는 통풍구를 통해 환기되도록 하는 도어; 및 가열기, 증발기 및 도어의 가동을 제어하고, 가열기 가동시에는 도어가 통풍구를 일정시간 폐쇄한 후 개방하여 환기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격실은 본체의 상측에 마련되고, 통풍구는 격실의 상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유동팬은 격실의 타측에 위치하여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건조공간의 측벽을 따라서 격실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거나 토출되는 복수의 통공이 마련된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복수의 통공은 피건조물의 수납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피건조물에 의해 건조공간 내부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풍구는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 전방의 격실 외벽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풍구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본체 내부 공기의 배출을 각각 수행하는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를 포함하고, 도어는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1 통풍구는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 전방의 격실 외벽에 위치하여 외부 공기를 격실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2 통풍구는 건조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직접 연통하도록 건조공간 외벽에 형성되어 건조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증발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응축하여 증발기로 공급하는 응축기; 및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주변 공기를 응축기로 유동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도어는 통풍구가 냉각팬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통풍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통풍구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본체 내부 공기의 배출을 각각 수행하는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를 포함하고, 도어는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제1 통풍구는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 전방의 격실 외벽에서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 통풍구는 제1 통풍구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냉각팬은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증발기 하부에 마련되어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 하면에 마련되어 케이스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는 본체에는 복수의 건조공간이 서로 독립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건조공간에 대응되도록 격실이 마련되며, 각각의 격실에 가열기, 증발기 및 유동팬이 내장되며, 통풍구는 본체의 외벽에서 각각의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각각의 통풍구에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대응되는 격실에 위치한 증발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해당하는 지점의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응축하여 대응되는 격실에 위치한 증발기로 공급하는 복수의 응축기; 및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주변 공기를 해당하는 지점의 응축기로 유동시키는 복수의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도어는 통풍구가 냉각팬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통풍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온풍 건조기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격실에서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건조공간에 균일하게 냉풍 또는 온풍이 공급되어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가 가능하다.
둘째, 건조공간 내부의 공기 순환을 빠르고 원활하게 하여 건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셋째, 냉풍 건조 및 온풍 건조가 모두 가능하여 피건조물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냉각팬의 회전이 통풍구의 공기 유입 또는 토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 격실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의 외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모듈 냉온풍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의 외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의 내부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 격실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의 외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는 본체(100) 내부의 일측에 건조공간(130)과 분리되도록 마련된 격실(120); 격실(120) 내부에 마련되고, 격실(120)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200); 격실(120) 내부에 마련되고, 냉매를 이용하여 격실(120)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00); 격실(120) 내부에 마련되고, 공기가 본체(100)의 건조공간(130)으로부터 격실(120) 일측으로 유입되어 가열기(200) 및 증발기(300)를 통과하고 격실(120) 타측에서 다시 건조공간(130)으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400); 본체(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본체(100) 외측벽에 형성된 통풍구(510, 520); 통풍구(510, 520)에 마련되어 통풍구(510, 5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공기가 건조공간(130)과 격실(120) 내부를 순환하거나 또는 통풍구(510, 520)를 통해 환기되도록 하는 도어(610, 620); 및 가열기(200), 증발기(300) 및 도어(610, 620)의 가동을 제어하고, 가열기(200) 가동시에는 도어(610, 620)가 통풍구(510, 520)를 일정시간 폐쇄한 후 개방하여 환기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7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건조공간(130)과 격실(120)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건조공간(130)에는 피건조물이 수납되고, 격실(120)은 본체(100)의 일측에서 건조공간(130)과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격실(120)은 본체(100)의 일측 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체(100) 일측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격실(120)은 두꺼운 선으로 표현된 형태의 공간처럼 본체 상면의 일부에만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격실(120)은 본체(100) 내부의 상측에 형성되고, 상면의 일부 영역에만 형성되었고, 격실(120)의 하부 및 측부에 건조공간(130)이 형성되었다. 이와 달리, 격실(120)은 본체(100) 내부의 좌측, 우측, 하측, 앞측, 뒤측 등 어느 곳에서나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에는 개폐문(110)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건조공간(130)에 개폐문(110)이 구비되어 슬라이딩문 또는 미닫이문 등 건조공간(130)에 피건조물을 수납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건조공간(130)을 개방할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할 것이다.
격실(120)은 격실(120)의 일측과 타측에서만 건조공간(130)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개방되어 있고, 다른 영역에서는 건조공간(130)과의 공기 유동이 차단되도록 밀폐될 수 있다. 격실(120) 내부에는 격실(120)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200), 냉매를 이용하여 격실(120)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300) 및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400)이 마련될 수 있다.
특히 도 3을 참조하면, 격실(120)의 일측과 타측은 격실(120)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개방되어 있을 수 있고, 유동팬(400)은 격실(120) 타측의 측벽을 따라 연장된 크로스팬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가 본체(100)의 건조공간(130)으로부터 격실(120) 일측의 측벽으로 유입되어 격실(120) 타측의 측벽에서 다시 건조공간(130)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가열기(200) 및 증발기(300)는 격실(120)의 일측 또는 중앙부에 위치하여 유동팬(400)에 의해 격실(120) 일측으로 유입된 공기가 가열기(200) 및 증발기(300)를 통과하여 격실(120) 타측에서 다시 건조공간(130)으로 토출될 수 있다. 가열기(200) 및 증발기(300) 역시 격실(120) 일측 및 타측의 측벽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라, 유동팬(400)에 의하여 격실(120)을 통과한 공기가 일정한 방향으로 건조공간(130)으로 유동되고 다시 일정한 방향에서 건조공간(130)에서 격실(120)로 돌아오는 효과를 갖는다.
가열기(200)는 공기의 온도가 높아지면 포화 수증기량이 증가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상대습도를 낮춘 온풍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증발기(300)는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면 포화 수증기량이 감소하여 공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수증기를 응결시켜 공기 중의 수증기량을 감소시킨 냉풍을 공급하여 피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것이다.
특히 도 2를 더 참조하면, 건조공간(130)의 측벽을 따라서 격실(120)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덕트(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덕트(140)는 격실(120)의 일측과 타측에서 건조공간(13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되고, 덕트(140)에는 복수의 통공(141)이 마련되어 있어 건조공간(130)의 공기가 덕트(140)로 유입되거나 덕트(140)의 공기가 건조공간(130)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3에서 두꺼운 선으로 표현된 격실(120)의 좌측벽과 우측벽에서 건조공간(130)의 측벽을 따라 덕트(140)가 연장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격실(120)의 타측에서 건조공간(13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덕트(140)에서는 격실(120) 타측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덕트(140)를 따라 유동되고, 격실(120)의 일측에서 건조공간(130)의 측벽을 따라 형성된 덕트(미도시)에는 건조공간(130)의 공기가 통공을 통해 유입되어 덕트(미도시)를 따라 격실(120) 일측으로 유동될 수 있다.
덕트(140)의 통공(141)들은 피건조물의 수납 공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건조공간(130)에는 피건조물을 수납하는 채반들이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고, 통공(141)들은 이격된 채반들 사이에 마련되어 건조공간(130) 내부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건조공간 내부의 공기 순환이 빠르고 원활해질 수 있고, 건조시간이 단축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격실을 통과한 냉풍 또는 온풍이 피건조물에 균일하게 공급되어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가 가능한 효과도 갖는다.
증발기(300) 하부에는 증발기(300)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케이스(800) 및 케이스(800)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900)가 마련될 수 있다. 증발기(300)는 냉매를 증발시켜 주위에 있는 격실(120)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것으로 공기 중의 수증기가 증발기(300) 주위에서 응축수로 응축될 수 있다. 따라서, 격실(120) 내부의 공기 중에 있는 수증기를 응축시킴에 따라 발생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케이스(800)가 증발기(300) 하부에 마련되고, 케이스(800) 하면에는 케이스(800)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900)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800)는 배출구(900)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케이스(800) 내부에 저장된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배출구(900) 방향으로 흐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900)는 호스 또는 관 등을 통하여 본체(100) 외부로 연결되어 응축수를 배출시킬 수 있다.
가열기(200), 증발기(300) 및 도어(610, 620)의 가동을 제어하는 제어기(700)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700)는 유동팬(400), 압축기(310), 응축기(320) 및 냉각팬(330) 등도 제어할 수 있다. 제어기(700)는 가열기(200)와 증발기(300)를 선택적으로 가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가열기(200) 가동과 증발기(300) 가동이 서로 겹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기(700)는 가열기(200)와 증발기(300)를 주기적으로 제어하여 냉풍과 온풍이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건조공간(130)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열기(200)만을 이용하여 온풍으로만 건조할 수도 있고, 증발기(300)만을 이용하여 냉풍으로만 건조할 수도 있다.
제어기(700)는 가열기(200) 가동시에는 도어(610, 620)가 통풍구(510, 520)를 일정시간 폐쇄한 후 개방하여 환기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300) 가동시에는 도어(610, 620)가 통풍구(510, 520)를 계속해서 폐쇄하여 본체(100) 내부의 공기가 건조공간(130)과 격실(120) 내부를 순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00) 내부의 증발기(300)가 동작하기 위하여, 증발기(300)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310), 압축기(310)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응축하여 증발기(300)로 공급하는 응축기(320), 및 주변 공기를 응축기(320)로 유동시키는 냉각팬(3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기(310), 응축기(320) 및 냉각팬(330)은 본체(100)의 외부에 마련되고, 본 실시예와 같이 본체(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압축기(310)는 증발기(300)에서 증발된 냉매를 압축하여 고온 저압상태로 만들고, 응축기(320)는 고온 저압상태의 냉매를 주변의 공기와 열교환하여 저온 저압상태의 액체로 응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주변의 공기와 응축기(320) 사이의 열교환이 활발할 수 있도록 냉각팬(330)이 회전하여 주변 공기의 유동을 만들 수 있다.
본체(100) 외측벽에는 통풍구(510, 520)가 형성되어 본체(100)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할 수 있다. 통풍구(510, 520)에는 통풍구(510, 5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는 도어(610, 620)가 마련될 수 있다. 도어(610, 620)가 통풍구(510, 520)를 폐쇄한 경우에는 공기가 건조공간(130)과 격실(120) 내부에서 순환되고, 도어(610, 620)가 통풍구(510, 520)를 개방한 경우에는 공기가 통풍구(510, 520)를 통해 환기될 수 있다.
통풍구(510, 520)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본체(100) 내부 공기의 배출을 각각 수행하는 제1 통풍구(510) 및 제2 통풍구(520)를 포함하고, 도어(610, 620)는 제1 통풍구(510)와 제2 통풍구(520)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610) 및 제2 도어(62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풍구(510)는 외부의 공기를 본체(100)로 유입하기 위한 것으로, 격실(120)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400) 전방의 격실(120) 외벽에 형성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격실(120)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풍구(520)는 본체(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100) 외벽에 형성될 수 있고, 특히 건조공간(130)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는 가열기(200) 또는 증발기(300)를 거치지 않고 건조공간(13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직접 배출되는 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냉각팬(3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변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제1 통풍구(510) 및 제2 통풍구(520)에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제1 도어(610) 및 제2 도어(620)는 제1 통풍구(510) 및 제2 통풍구(520)가 냉각팬(330)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제1 통풍구(510) 및 제2 통풍구(520)를 개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유동팬(400)은 격실(120)의 타측에 위치하여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이고, 제1 통풍구(510)는 격실(120)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격실(120)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 연장된 형상으로, 유동팬(400) 전방의 격실(120)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유동팬(400)은 격실(120) 타측의 측벽을 따라 일(一)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통풍구(510)도 격실(120)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400) 전방에서 일(一)자 형상으로 유동팬(400)에 평행하도록 격실(120)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통풍구(520)는 제1 통풍구(510)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써, 제1 통풍구(510)에 수직한 방향으로 일(一)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100) 내부의 일측에 격실(120)이 마련되되, 격실(120)은 본체(100) 일측의 외벽 전체를 차지하지 않고, 건조공간(130)이 직접 본체(100) 일측의 외벽과 접할 수 있다. 제2 통풍구(520)는 본체(100) 일측의 건조공간(130)과 접하는 외벽에 형성될 수 있다.
냉각팬(330)은 제1 통풍구(510) 및 제2 통풍구(520)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냉각팬(330)은 제1 통풍구(510) 또는 제2 통풍구(520)를 직접 향하지 않고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제1 통풍구(510)와 제2 통풍구(520)의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팬(330)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주변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제1 통풍구(510) 및 제2 통풍구(520)에서 유입되거나 배출되는 공기 유동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더블 모듈 냉온풍 건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풍 건조기는 본체에는 복수의 건조공간이 서로 독립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건조공간에 대응되도록 격실이 마련되며, 각각의 격실에 가열기, 증발기 및 유동팬이 내장되며, 통풍구는 본체의 외벽에서 각각의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각각의 통풍구에 도어가 마련될 수 있다.
하나의 본체에서 개폐문은 각각의 건조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각각의 건조공간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대응되는 격실에 위치한 증발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해당하는 지점의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응축하여 대응되는 격실에 위치한 증발기로 공급하는 복수의 응축기; 및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주변 공기를 해당하는 지점의 응축기로 유동시키는 복수의 냉각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도어는 각각 통풍구가 냉각팬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통풍구를 개방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하나의 본체에 건조공간 및 격실이 2개로 마련된 더블 모듈을 도시한 것이나, 이외에도 복수 개의 더 많은 모듈을 하나의 본체로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개폐문
120 : 격실 130 : 건조공간
140 : 덕트 141 : 통공
200 : 가열기 300 : 증발기
310 : 압축기 320 : 응축기
330 : 냉각팬 400 : 유동팬
510 : 제1 통풍구 520 : 제2 통풍구
610 : 제1 도어 620 : 제2 도어
700 : 제어기

Claims (14)

  1. 피건조물이 수납되는 건조공간이 형성된 본체;
    본체 내부의 일측에 건조공간과 분리되도록 마련된 격실;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격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기;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냉매를 이용하여 격실내 공기를 냉각하는 증발기;
    격실 내부에 마련되고, 공기가 본체의 건조공간으로부터 격실 일측으로 유입되어 가열기 및 증발기를 통과하고 격실 타측에서 다시 건조공간으로 토출되도록 공기를 유동시키는 유동팬;
    본체 내부와 외부의 공기가 유통되도록 본체 외벽에 형성된 통풍구;
    통풍구에 마련되어 통풍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함으로써, 공기가 건조공간과 격실 내부를 순환하거나 또는 통풍구를 통해 환기되도록 하는 도어; 및
    가열기, 증발기 및 도어의 가동을 제어하고, 가열기 가동시에는 도어가 통풍구를 일정시간 폐쇄한 후 개방하여 환기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증발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응축하여 증발기로 공급하는 응축기; 및
    본체의 외부에 마련되고, 주변 공기를 응축기로 유동시키는 냉각팬;을 더 포함하며,
    도어는 통풍구가 냉각팬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통풍구를 개방하고,
    통풍구는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본체 내부 공기의 배출을 각각 수행하는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를 포함하며,
    도어는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며,
    제1 통풍구는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 전방의 격실 외벽에서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제2 통풍구는 제1 통풍구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냉각팬은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격실은 본체의 상측에 마련되고, 통풍구는 격실의 상벽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동팬은 격실의 타측에 위치하여 측벽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건조공간의 측벽을 따라서 격실의 일측과 타측으로 각각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공기가 유입되거나 토출되는 복수의 통공이 마련된 덕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복수의 통공은 피건조물의 수납 공간 사이에 형성되어 피건조물에 의해 건조공간 내부 공기의 유동이 방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풍구는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 전방의 격실 외벽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통풍구는 상호 이격된 위치에서 외부 공기의 유입 및 본체 내부 공기의 배출을 각각 수행하는 제1 통풍구 및 제2 통풍구를 포함하고,
    도어는 제1 통풍구와 제2 통풍구에 각각 마련된 제1 도어 및 제2 도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제1 통풍구는 격실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동팬 전방의 격실 외벽에 위치하여 외부 공기를 격실 내부로 유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9. 청구항 7에 있어서,
    제2 통풍구는 건조공간과 외부의 공기가 직접 연통하도록 건조공간 외벽에 형성되어 건조공간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증발기 하부에 마련되어 증발기에서 응축된 응축수를 저장하는 케이스; 및
    케이스 하면에 마련되어 케이스 내부의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본체에는 복수의 건조공간이 서로 독립되도록 마련되고, 각각의 건조공간에 대응되도록 격실이 마련되며, 각각의 격실에 가열기, 증발기 및 유동팬이 내장되며, 통풍구는 본체의 외벽에서 각각의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에 형성되고, 각각의 통풍구에 도어가 마련된 냉온풍 건조기.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대응되는 격실에 위치한 증발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압축하는 복수의 압축기;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해당하는 지점의 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냉매를 응축하여 대응되는 격실에 위치한 증발기로 공급하는 복수의 응축기; 및
    본체의 외부에서 격실에 대응되는 지점마다 마련되고, 주변 공기를 해당하는 지점의 응축기로 유동시키는 복수의 냉각팬;을 더 포함하고,
    도어는 통풍구가 냉각팬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통풍구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온풍 건조기.
KR1020170080857A 2017-06-27 2017-06-27 냉온풍 건조기 Active KR1019702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57A KR101970276B1 (ko) 2017-06-27 2017-06-27 냉온풍 건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0857A KR101970276B1 (ko) 2017-06-27 2017-06-27 냉온풍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18A KR20190001218A (ko) 2019-01-04
KR101970276B1 true KR101970276B1 (ko) 2019-04-18

Family

ID=65017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0857A Active KR101970276B1 (ko) 2017-06-27 2017-06-27 냉온풍 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02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96B1 (ko) 2008-08-26 2011-05-27 진금수 건조장치
KR101452466B1 (ko) * 2014-03-27 2014-10-23 (주)에네스이엔지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풍 건조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5945A (ko) 2005-09-30 2005-11-08 이경욱 탄소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농수산물 건조기
KR101674197B1 (ko) * 2013-08-27 2016-11-11 한국식품연구원 고품질 마른 고추 제조를 위한 맞춤형 히트 펌프 건조장치
KR101793638B1 (ko) * 2015-10-26 2017-11-08 (주)주신식품 고추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296B1 (ko) 2008-08-26 2011-05-27 진금수 건조장치
KR101452466B1 (ko) * 2014-03-27 2014-10-23 (주)에네스이엔지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풍 건조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1218A (ko) 2019-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5897B1 (ko) 저온 저장 가능한 농수산물 제습 건조기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CN110274417A (zh) 冰箱及其湿度调节方法
KR101795770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진공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WO2006009774A3 (en) Low temperature clothes dryer
US10184206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255073B1 (ko) 제습식 농산물 건조기
KR100828142B1 (ko) 농수산물의 냉풍 건조장치
KR102065995B1 (ko) 하이브리드 저온 제습 건조기
KR20080098860A (ko) 건조기
KR101452466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냉온풍 건조시스템
KR101773894B1 (ko) 사계절용 옷장
KR20180067069A (ko) 냉온풍 제습 건조기
KR101638604B1 (ko) 히트펌프를 이용한 간접가열식 건조장치
KR20200009768A (ko) 냉풍 및 열풍 건조시스템
KR20210150148A (ko) 절전형 친환경 농산물 건조장치
KR200412274Y1 (ko) 농수산물 건조기
CN107462064A (zh) 一种加热和除湿一体化的热泵烘干机
KR102151940B1 (ko) 제습 건조기
KR101970276B1 (ko) 냉온풍 건조기
KR101874688B1 (ko) 농수산물용 건조장치
KR101581457B1 (ko) 균일한 건조가 가능한 건조장치
KR20090131562A (ko) 응축기 발생열을 이용한 건조장치
KR101150837B1 (ko) 냉장고 겸용 농수산물 건조기
KR101310939B1 (ko) 저온건조 및 냉장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1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