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0178B1 - Parallel Assembly Type Heavy Work Transfer Cart - Google Patents
Parallel Assembly Type Heavy Work Transfer Ca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0178B1 KR101970178B1 KR1020170092140A KR20170092140A KR101970178B1 KR 101970178 B1 KR101970178 B1 KR 101970178B1 KR 1020170092140 A KR1020170092140 A KR 1020170092140A KR 20170092140 A KR20170092140 A KR 20170092140A KR 101970178 B1 KR101970178 B1 KR 10197017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ir
- wheel
- plate
- assembled
- wheel bracket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4—Rol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3—Heavy
Landscapes
- Handcart (AREA)
Abstract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휠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의 양측면에 관통형성된 제1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수평축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축공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제2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2수평축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을 일체로 조립하여 지면과 접하는 복수개의 이동휠에 의해서 주행이동하는 주행부 ;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을 갖추고, 상기 고정판과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여 적층되고 상기 베어링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을 갖추어 상기 적재판에 중량물이 올려지는 적재부 ;를 포함한다. And provides a parallel assembled heavy object transport bogi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heel bracket comprising a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disposed inside a plurality of wheel brackets by a first horizontal axi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sembled through a first shaft hol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wheel brackets The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re integrally assembled by a second horizontal shaf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sembled through a second shaft hol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aft hole to be rotatable, A traveling section that travels by a wheel; A plurality of wheel bracket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bracket and having a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nd rotatable about a rotation support member which is stacked via the fixing plate and the bearing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earing portion, And a stacking portion on which the heavy object is placed on the stacking plate with the stacking assembly being assembl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량물을 운반이송하는 대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이동휠을 갖는 단위부재가 병렬로 조립되어 중량물의 부피 및 무게에 맞추어 간편하게 적재면을 증설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단위부재의 간편하고 신속한 교체 및 재장착에 의해서 구성부품의 파손시 대차의 보수유지 관리가 용이해지며, 적재면에 탑재된 중량물의 회전에 의해서 운반이송중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gie carrying and transporting a heavy object, more particularly, a unit member having a moving wheel is assembled in parallel to easily enlarge or reduce a loading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volume and weight of a heavy object, It is easy to repair and maintain the bogies when components are broken due to rapid replacement and re-installation. Parallel assembling type heavy-goods conveyance truck which can easily perform the direction change during conveyance due to rotation of the weight mounted on the load surface .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정비소 등에서는 정밀기계, 기계부품 등과 같은 중량물을 보관장소나 특정장소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위해서 이송대차와 같은 이송장치를 사용하게 된다. Generally, at a factory or a workshop, a conveyance device such as a conveyance truck is used to safely transport heavy objects such as precision machines and machine parts to a storage place or a specific place.
즉, 이러한 이송장치는 사람의 힘으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무게를 갖는 중량물을 대차에 적재하고, 대차 하부에 구비된 휠의 회전을 이용하여 이동함으로써, 인력으로 중량물을 원하는 위치에 편리하게 이송시키는 것이다. In other words, such a transfer device is capable of conveniently transferring a heavy object to a desired position by the gravity by loading a heavy object having a weight which is difficult to move by the force of a human being on a bogie and moving by using the rotation of a wheel provided under the bogie.
(특허문헌 1) KR10-1421430 B1 (Patent Document 1) KR10-1421430 B1
(특허문헌 2) KR10-1622325 B1 (Patent Document 2) KR10-1622325 B1
특허문헌 1는 대차 바디, 주행롤러, 축 커플링, 주기어 및 종동기어, 아이들기어, 회전렌치부, 중량물 받침대 및 이동 손잡이로 구성되어 적재된 중량물을 운반할 때 정확한 주행 직진성을 유지하여 운반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고, 운반대차의 고도를 자유롭게 조절하는 것이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a load carrying body composed of a bogie body, a traveling roller, a shaft coupling, a main gear and a driven gear, an idle gear, a rotating wrench, a weight support and a moving handle, And freely adjusts the altitude of the transportation car.
특허문헌 2는 거치부, 바퀴프레임부, 본체부, 모터부, 기어박스, 손잡이부 및 이동가이드부재로 구성되어 본체부에 설치되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대차의 전방이동 및 후방이동을 제어하여 작업자에게 최소한의 인력으로 중량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forward movement and rearward movement of a bogie are controlled by using a driving force of a motor provided in a main body portion composed of a mounting portion, a wheel frame portion, a body portion, a motor portion, a gear box, The operator can move the heavy object with a minimum of manpower.
그러나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 게시된 이송대차는 모터부와 같은 구동원에서 제공하는 동력을 롤러나 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구조를 갖추어야만 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조립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구성부품수로 이루어져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However, since the conveyance truck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s 1 and 2 must have a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power provided from a drive source such as a motor unit to the rollers or wheels, the overall assembling structure is complicated, Which caused the manufacturing cost to increase.
또한, 휠과 같은 핵심부품의 손상시 이를 분해하여 수리하는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수리 및 제조립시 작업시간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작업휴지시간이 길어지면서 작업생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In addition, it is very troublesome to disassemble and repair a core part such as a wheel when it is damaged, excessive time is required for repairing and assembling, and work productivity is lowered due to a long downtime.
그리고 이송대상물인 중량물의 부피가 커짐에 따라 중량물이 올려져 적재되는 적재면을 중량물의 적재형태에 따라 탄력적으로 폭크기를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것이 곤란하고, 중량물이 적재된 이송대차의 운반시 방향전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상 불편함으로 초래하였다. As the volume of the heavy object to be conveyed becomes large, it is difficult to expand or reduce the width of the load surface in a flexible manner according to the loading form of the heavy object by loading the heavy object. This is not smooth and inconvenient to use.
이와 더불어, 이송대상물인 중량물을 적재면에 올려 적재하게 되는 초기에 발생하는 하중이 지면에 휠에 직접적으로 전달됨으로써 중량물의 적재시 휠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서 휠의 변형을 초래하고, 휠의 사용수명을 저하시키는 주요원인으로 작용하였다. In addition, an initial load, which is a load object to be loaded on a loading surface, is directly transmitted to the wheel on the ground, thereby causing deformation of the wheel due to a load transmitted to the wheel when the heavy object is loaded, It was the main cause of lowering the life span.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양한 부피를 갖는 중량물에 맞추어 중량물이 올려지는 적재면의 면적을 확장하거나 축소할 수 있으며, 전체적인 조립구조가 간단하고 단순하여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며, 적재면에 탑재된 중량물의 회전에 의해서 운반이송중 방향전환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nlarge or reduce the area of a loading surface on which a heavy object is loaded in accordance with a heavy object having various volumes, Which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assembled, and capable of easily performing a direction change during conveyance by rotation of a heavy object mounted on a load surfac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휠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의 양측면에 관통형성된 제1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수평축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축공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제2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2수평축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을 일체로 조립하여 지면과 접하는 복수개의 이동휠에 의해서 주행이동하는 주행부 ;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을 갖추고, 상기 고정판과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여 적층되고 상기 베어링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을 갖추어 상기 적재판에 중량물이 올려지는 적재부 ;를 포함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is assembled through a first shaft hol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re rotatably supported on a first horizontal axis by a first horizontal axis and a second horizontal shaft which is assembled through a second axial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axial hole, A traveling section for assembling the plurality of wheel brackets integrally and traveling by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contacting the ground; A plurality of wheel bracket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wheel bracket and having a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nd rotatable about a rotation support member which is stacked via the fixing plate and the bearing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earing portion, And a stacking portion for stacking the stacked sheets to be stacked on the stacking plate so that the stacked sheets are stacked on the stacking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휠브라켓은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되고, 상기 제1축공과 제2축공을 각각 관통형성한 좌우한쌍의 측판을 포함하여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휠브라켓은 상기 측판이 면접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heel bracket includes an upper plate connected to the fixed plate,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shaft hole and the second shaft hole, The brackets may be arranged so that the side plates face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휠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한쌍의 휠브라켓의 양측면에 관통형성된 제1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수평축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휠브라켓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제1축공의 상부에 관통형성되는 제2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2수평축에 의해서 상기 한쌍의 휠브라켓을 일체로 조립하여 지면과 접하는 복수개의 이동휠에 의해서 주행이동하는 주행부 ; 상기 한쌍의 휠브라켓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을 갖추고, 상기 고정판과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여 적층되고 상기 베어링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을 갖추어 상기 적재판에 중량물이 올려지는 적재부 ; 및 상기 제1수평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한쌍의 휠브라켓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브라켓을 갖추고, 상기 중앙브라켓과 상기 고정판사이에 복수개의 탄성체를 갖추어 상기 적재부에 올려지는 중량물의 하중을 흡수하는 하중 흡수부 ;를 포함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heel bracket comprising a pair of wheel brackets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 first horizontal shaf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sembled through a first shaft hol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air of wheel brackets A pair of wheel brackets rotatably supported within the pair of wheel brackets and rotatably supporting the pair of wheel brackets by a second horizontal shaf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sembled through a second shaft hole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aft hole, A traveling section that travels by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A pair of wheel bracket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wheel brackets, the pair of wheel brackets being rotatable about a rotation support member which is stacked via the fixing plate and the bearing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earing portion, A stacking part for stacking the heavy objects on the stacking plate with the stacking assembly being assembled; And a center bracke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wheel brackets and extending through a support hol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horizontal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between the center bracket and the fixing plate, And a load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the load of the heavy object.
바람직하게, 상기 휠브라켓은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되고, 상기 제1축공과 제2축공을 각각 관통형성한 좌우한쌍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브라켓은 상기 탄성체의 하단이 접하는 중앙상판과, 상기 중앙상판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되고, 상기 제1축공과 대응하여 제1수평축이 조립되는 지지공을 관통형성한 좌우한쌍의 중앙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중앙브라켓의 중앙측벽은 좌우한쌍의 휠브라켓사이에서 인접하는 측벽과 면접하도록 배열된다. Preferably, the wheel bracket includes a top plate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top plate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shaft hole and the second shaft hole,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central side walls formed to penetrate through a support hole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upper plat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aft hole to which a first horizontal axis is assembled, The central side wall is arranged to face the adjacent side wall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wheel bracket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좌우한쌍의 중앙측벽에는 상기 지지공을 관통하는 제1수평축을 회전가능하게지지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pair of right and left central side walls may include a bearing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a first horizontal shaf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hole.
바람직하게, 상기 중앙브라켓은 상기 탄성체의 하단이 끼움배치되는 지지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center bracket may include a support block in which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is fitted.
바람직하게, 상기 제1축공은 상기 적재부에 중량물 적재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상기 탄성체의 수축시 상기 제1수평축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한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first shaft hole may be formed as a vertical slot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shaft can move up and down when the elastic body is contracted by a load generated when the heavy object is loaded on the loading part.
바람직하게,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원형링과, 상기 복수개의 원형링사이에 형성되는 원형 배치홈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강구 및 상기 복수개의 원형링 최외측을 에워싸면서 노출되는 베어링강구가 상기 적재판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원형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적재판에 조립되는 중간지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bear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ircular ring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so as to form concentric circles having different radii, a plurality of bearing steel balls arranged in each of the circular arrangement groov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rcular rings, And an intermediate support plate that is formed in the loading plate by passing through the circular opening so that the bearing steel balls, which are expos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most portions of the plurality of circular rings,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amination plat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원형링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독립형 링부재이거나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More preferably, the circular ring is a plurality of independent ring members detachably assembled by a fastening member so as to form a concentric circ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or a plurality of integrally formed r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
바람직하게, 상기 적재부는 중량물의 이송시 운송동력수단의 단부와 접하여 외력을 전달받게 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재판의 일측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일자형 고정블럭를 포함할 수 있다. Preferably, the loading por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transportation power means when the heavy object is transported and receives an external force, and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linear fixing block assembled by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on one side of the red- hav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수평축에 병렬조립되는 복수개의 휠브라켓을 간편하게 분해하고 재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구성부품의 파손 및 교체시 수리작업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하여 작업휴지시간을 줄일 수 있고, 작업자의 작업부하를 경감하면서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ince a plurality of wheel brackets assembled in parallel to the first and second horizontal axes can be easily disassembled and reassembled, the repair work can be easily and quickly performed in the event of breakage or replacement of component parts, And the work productivity of the worker can be improved while reducing the work load of the worker.
또한, 주행부에 병렬조립되는 휠브라켓의 설치갯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것에 의해서 적재부가 조립되는 주행부의 상부면적을 증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송대상물인 중량물의 부피에 맞추어 이송대차를 탄력적으로 운영할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Further,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wheel brackets assembled in parallel in the traveling part, the upper area of the traveling part in which the loading part is assembled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Therefore, the transportation vehicle can be operated flexibly in accordance with the volume of the heavy object And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can be increased.
그리고, 탑재물이 올려져 적재되는 적재부가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여 회전되면서 주행부에 의해서 임의위치로 이동하는 이동대차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지면에 접하는 이동휠의 구름회전에 의해서 이동되는 이동대차의 주행방향을 적재부의 회전이동에 의해서 곡선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loading part on which the loading object is mounted is rotated by the bearing part,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ving vehicle moving to an arbitrary position by the moving part can be adjusted, so that the moving center of the moving wheel,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truck can be switched in the direction of the curved line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loading section, and the ease of use can be improved.
또한, 적재부에 올려지는 중량물의 하중은 적재판과 고정판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체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의 적재시 발생하는 초기 충격이나 주행부의 이송시 이동휠에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기 때문에 중량물을 안전하게 임의장소로 이송할 수 있고, 구성부품의 마모 및 손상을 줄여 사용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것이다. Further, since the load of the weight mounted on the loading part can be absorbed by the elastic body interposed between the red plate and the fixing plate,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initial impact generated when the heavy object is loaded or the impact generated on the moving wheel It is possible to safely transport the heavy object to any place, and to reduce the wear and damage of the components, thereby extending the service life.
도 1a 와 도 1b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폭방향으로 절단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a 와 도 5b 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에서 하중 흡수부를 노출시킨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폭방향으로 절단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병렬 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를 길이방향으로 절단한 도시한 단면도이다.FIGS. 1A and 1B are overal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allel assembled heavy object transfer bogi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allel assembled heavy object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allel-assembled heavy-goods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a width direc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allel-assembled heavy-goods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5A and 5B are overall perspective views showing a parallel assembled heavy-goods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allel assembled heavy object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load-absorbing portion exposed in a parallel assembled heavy-goods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allel assembled heavy object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a width direction.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allel-assembled heavy-goods conveyance truc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u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100)는 도 1a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인 중량물을 적재하여 임의장소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주행부(110)와 적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1A to 4, the parallel assembled heavy
상기 주행부(110)는 하부로 개방된 대략 'ㄷ' 자형 단면상의 휠브라켓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동휠(115)을 포함하고, 이러한 휠브라켓(113)이 폭방향으로 서로 나란하게 복수개 배치되어 지면에 접하게 되는 이동휠(115)에 의해서 임의장소로 주행이동되는 것이다. The
여기서, 상기 휠브라켓(113)은 상기 적재부에 구비되는 고정판과 접하여 연결되는 상판(112)을 갖추고, 상기 상판의 좌우양단으로부터 대략 직각방향으로 절곡되는 좌우한쌍의 측판(111)을 포함하여 서로 인접하는 복수개의 휠브라켓(113)은 상기 측판(111)들이 면접하도록 나란하게 배열되어 병렬배치되는 것이다. The
이러한 복수개의 휠브라켓의 양측면인 측판(111)에는 상기 이동휠의 회전중심과 대응하도록 복수개의 제1축공(111a)을 관통형성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치되는 제1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1수평축(116)에 의해서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113) 내부마다에 배치되는 이동휠(115)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The
또한, 상기 휠브라켓의 양측면인 측판(111)에 관통형성되는 제1축공(111a)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에 상기 이동휠과 겹쳐지지 않도록 복수개의 제2축공(111b)을 형성함으로써, 수평방향으로 서로 일치되는 제2축공을 통하여 조립되는 일정길이의 제2수평축(117)에 의해서 폭방향으로 나란하게 병렬배치되는 복수개의 휠브라켓(113)을 일체로 조립하게 된다. Further, a plurality of
이때, 상기 제1,2수평축(116,117)의 양단은 상기 주행부의 최양측에 위치하는 휠브라켓의 측벽을 통해 노출되고, 이에 체결되어 상기 측벽에 접하게 되는 고정용 체결부재(116a,117a)에 의해서 주행부에 조립완성되는 것이다. At this time,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이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에 배치된 이동휠(115)의 중간지지공(115a)을 통해 조립되는 복수개의 제1수평축(116)에 의해서 지면에 접하게 되는 복수개의 이동휠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하면서 상기 이동휠과 겹쳐지지 않도록 복수개의 휠브라켓을 폭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개의 제2수평축(117)에 의해서 병렬배치된 복수개의 휠브라켓을 대략 직육면체상의 일체형 구조물로 유지되도록 확고히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a plurality of moving wheels, which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ground surface by a plurality of first
그리고 상기 주행부(110)를 구성하는 핵심부품인 이동휠(115)이나 휠브라켓(113)의 교체 및 수리시에는 상기 제1,2수평축(116,117)의 양단에 각각 체결된 고정용 체결부재(116a,117b)의 분해에 의해서 상기 제1,2수평축을 휠브라켓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상기 주행부를 구성하는 단위부재인 휠브라켓과 이동휠을 간편하게 해체하여 수리 및 교체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고, 작업완료후 재조립작업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moving
또한, 상기 주행부(110)를 구성하도록 병렬배치되는 휠브라켓의 설치갯수를 증설하거나 감소시키고, 휠브라켓의 설치갯수에 맞추어 제1,2수평축을 재조립함으로써, 상기 적재부와 조립되는 주행부의 상부면적을 증대시키거나 감소시켜 중량물이 올려지는 적재면적을 탄력적으로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부피를 갖는 중량물을 이송하는 작업을 중량물의 부피조건에 맞추어 탄력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In addition,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number of wheel brackets arranged in parallel to constitute the traveling
이에 따라, 상기 주행부(110)는 지면에 접하여 구름회전되는 이동휠에 의해서 상기 적재부에 올려지는 중량물을 임의장소로 운반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상기 적재부(120)는 이동휠에 의해서 임의장소로 이동되는 주행부의 상부에 귑되어 이동대상물인 중량물이 올려지는 것으로, 이러한 적재부(120)는 상기 복수개의 휠브라켓(113)의 상부면을 덮도록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고정설치되는 대략 사각판상의 고정판(121)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판(121)과 베어링부(125)를 매개로 하여 적층되어 중량물이 직접적으로 올려지는 대략 사각판상의 적재판(12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적재판(126)은 상기 베어링부(125)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121)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부재(126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The redirecting
상기 고정판(121)과 적재판(126)사이에 개재되는 베어링부(125)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면에 대하여 상기 회전지지부재(126a)를 중심으로 하여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서로 다른 반경을 갖추어 배치되는 복수개의 원형링(122)을 갖추고, 상기 복수개의 원형링(122)사이에 형성되는 원형 배치홈마다 복수개의 베어링 강구(123)를 갖추는 한편, 상기 복수개의 원형링(122) 최외측을 에워싸면서 노출되는 베어링 강구(123)가 상기 적재판(126)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일정크기의 원형개구부(124a)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적재판(126)에 조립되는 중간지지판(124)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bearing
여기서, 상기 원형링(122)은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면에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독립형 링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판(121)의 상부면에 링형상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링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또한, 상기 적재부(120)는 중량물의 이송시 미도시된 지게차와 같은 운송동력수단의 지게발 선단이 접하여 외력을 전달받게 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재판(126)의 일측에 복수개의 체결부재(127a)에 의해서 조립되는 일자형 고정블럭(127)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주행부(110)의 좌우양측에는 작업자의 취급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19)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이에 따라, 상기 적재판(126)은 상기 베어링부(125)를 매개로 하여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적층배치됨과 동시에 회전지지부재(126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됨으로써 중량물이 올려지는 적재판은 주행부에 대하여 중량물과 더불어 회전되면서 전체적인 무게중심으로 이동시키면서 주행부의 진행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redirecting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100a)는 도 5a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대상물인 중량물을 적재하여 임의장소로 안전하게 이송할 수 있도록 주행부(110), 적재부(120) 및 하중 흡수부(130)를 포함하고, 복수개의 이동휠을 갖는 주행부(110)와 중량물이 올려져 적재되는 적재부(120)는 제1실시예에 개시된 구성과 동일한바 동일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As shown in FIGS. 5A to 9, the parallel assembled heavy
상기 하중 흡수부(130)는 이송대상물인 중량물을 적재부의 적재판에 상차할때 발생하는 중량물의 하중을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제1수평축(1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주행부에 병렬배치되는 좌우한쌍의 휠브라켓(113)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브라켓(133)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브라켓(133)과 상기 적재판(126)사이에 배치되어 하중전달시 탄성복원력을 갖도록 수축되는 복수개의 탄성체(135)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좌우한쌍의 휠브라켓(113) 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브라켓(133)은 상기 휠브라켓과 마찬가지로 대략 'ㄷ' 단면상으로 절곡된 금속판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중앙브라켓(133)은 상기 탄성체(135)의 하단이 접하는 중앙상판(132)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상판(132)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되는 좌우한쌍의 중앙측벽(131)에는 상기 휠브라켓(113)의 측벽에 관통형성된 제1축공(111a)과 대응하여 제1수평축(116)이 조립되는 지지공(131b)을 관통형성한다 The
이에 따라, 상기 중앙브라켓(133)은 좌우한쌍의 휠브라켓(113)사이에서 인접하는 측벽과 좌우양측의 중앙측벽이 서로 면접하도록 병렬로 배열되어 주행부에 조립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상기 중앙브라켓(133)의 좌우양측 중앙측벽(131)에는 상기 지지공을 관통하여 배치되는 제1수평축(11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부재(131a)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휠브라켓에 구비되는 이동휠의 외경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외경을 갖추어 지면에 접하는 다른 이동휠을 제1수평축에 회전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중앙브라켓(133)은 중량물의 적재시 탄성변형되는 탄성체(135)의 하단이 끼움배치되어 상기 탄성체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도록 위치고정하는 대략 원형의 지지블럭(13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탄성체(135)는 코일상의 탄성스프링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고정판(121)과 적재판(126)사이에 개재되어 중량물의 적재시 발생하는 하중을 흡수하는 다양한 형태의 탄성체가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Although the
상기 지지블럭(134)은 상기 중앙브라켓(133)의 중앙상판(132)에 하단이 체결되는 체결부재에 끼워져 다층으로 적층되는 대략 원반형의 금속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중앙브라켓(133)을 중심으로 하여 그 좌우양측에 병렬 배치되는 좌우한쌍의 휠브라켓에 형성되는 제1축공(111c)은 상기 적재부에 중량물 적재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상기 탄성체의 수축시 상기 제1수평축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한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될 수 있다.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10 : 주행부
111 : 측판
111a : 제1축공
111b,111c : 제2축공
112 : 상판
113 : 휠브라켓
115 : 이동휠
120 : 적재부
121 : 고정판
122 : 원형링
123 : 베어링 강구
124 : 중간 지지판
125 : 베어링부
126 : 적재판
130 : 하중 흡수부
131 : 중앙측벽
132 : 중앙상판
133 : 중앙 브라켓
134 : 지지블럭
135 : 탄성체110:
111: side plate
111a: 1st shaft
111b and 111c:
112: top plate
113: Wheel bracket
115: Moving Wheel
120:
121: Fixing plate
122: Circular ring
123: Bearing steel ball
124: intermediate support plate
125:
126: The enemy trial
130: load absorbing portion
131: central side wall
132: central top plate
133: Center bracket
134: support block
135: elastomer
Claims (10)
상기 한쌍의 휠브라켓의 상부면에 고정설치되는 고정판을 갖추고, 상기 고정판과 베어링부를 매개로 하여 적층되고 상기 베어링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판에 하단부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적재판을 갖추어 상기 적재판에 중량물이 올려지는 적재부 ; 및
상기 제1수평축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공을 관통형성하여 상기 한쌍의 휠브라켓사이에 배치되는 중앙브라켓을 갖추고, 상기 중앙브라켓과 상기 고정판사이에 복수개의 탄성체를 갖추어 상기 적재부에 올려지는 중량물의 하중을 흡수하는 하중 흡수부 ;를 포함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And a pair of wheel brackets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nd arranged in the pair of wheel brackets by a first horizontal axi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sembled through a first shaft hol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wheel brackets, A pair of wheel brackets integrally assembled by a second horizontal shaf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sembled through a second shaft hole penetratingly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shaft hole, A running section for traveling;
A pair of wheel brackets fixed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ir of wheel brackets, the pair of wheel brackets being rotatable about a rotation support member which is stacked via the fixing plate and the bearing portion and passes through the center of the bearing portion, A stacking part for stacking the heavy objects on the stacking plate with the stacking assembly being assembled; And
And a center bracket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wheel brackets so as to penetrate through a support hole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first horizontal shaft and having a plurality of elastic bodies between the center bracket and the fixed plate, And a load absorbing portion for absorbing a load of the heavy load conveying carriage.
상기 휠브라켓은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되고, 상기 제1축공과 제2축공을 각각 관통형성한 좌우한쌍의 측판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브라켓은 상기 탄성체의 하단이 접하는 중앙상판과, 상기 중앙상판의 양단으로부터 하향절곡되고, 상기 제1축공과 대응하여 제1수평축이 조립되는 지지공을 관통형성한 좌우한쌍의 중앙측벽을 포함하여 상기 중앙브라켓의 중앙측벽은 좌우한쌍의 휠브라켓사이에서 인접하는 측벽과 면접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heel bracket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side plates which are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upper plate and which respectively penetrate the first and second shaft holes,
The center bracket includes a central upper plate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central side walls formed through the support holes bent downward from both ends of the central upper plate and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aft holes, Wherein the central side wall of the center bracket is arranged to face adjacent side walls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wheel brackets.
상기 좌우한쌍의 중앙측벽에는 상기 지지공을 관통하는 제1수평축을 회전가능하게지지하는 베어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pair of right and left central side walls include a bearing member for rotatably supporting a first horizontal shaft passing through the support hole.
상기 중앙브라켓은 상기 탄성체의 하단이 끼움배치되는 지지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enter bracket includes a support block in which a lower end of the elastic body is fitted.
상기 제1축공은 상기 적재부에 중량물 적재시 발생하는 하중에 의한 상기 탄성체의 수축시 상기 제1수평축의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한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haft hole is formed so as to have a vertically elongated shape so that the first horizontal shaft can move up and down when the elastic body is contracted by a load generated when the heavy object is loaded on the loading unit.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배치되는 복수개의 원형링과, 상기 복수개의 원형링사이에 형성되는 원형 배치홈마다 배치되는 복수개의 베어링 강구 및 상기 복수개의 원형링 최외측을 에워싸면서 노출되는 베어링강구가 상기 적재판의 하부면에 접하도록 원형개구부를 관통형성하여 상기 적재판에 조립되는 중앙지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Wherein the bearing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ircular rings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ixed plate so as to form concentric circles having different radii, a plurality of bearing steel balls arranged in each of the circular placement grooves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circular rings, And a central support plate which is formed in the loading plate so as to penetrate the circular opening so that the bearing steel ball exposed and exposed at the outermost side of the ring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amination plate.
상기 원형링은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동심원을 형성하도록 체결부재에 의해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복수개의 독립형 링부재이거나 상기 고정판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되는 복수개의 일체형 링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circular ring is a plurality of independent ring members detachably assembled by a fastening member so as to form a concentric circl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or a plurality of integrally formed ring members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Parallel assembled heavy goods transport bogie.
상기 적재부는 중량물의 이송시 운송동력수단의 단부와 접하여 외력을 전달받게 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부는 상기 적재판의 일측에 복수개의 체결부재에 의해서 조립되는 일자형 고정블럭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병렬조립형 중량물 이송대차.8.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7,
Wherein the stacking por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that is in contact with an end portion of the transportation power means and receives an external force when the heavy object is transported,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xed block mounted on one side of the load plate by a plurality of clamping member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140A KR101970178B1 (en) | 2017-07-20 | 2017-07-20 | Parallel Assembly Type Heavy Work Transfer Ca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92140A KR101970178B1 (en) | 2017-07-20 | 2017-07-20 | Parallel Assembly Type Heavy Work Transfer Car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027A KR20190010027A (en) | 2019-01-30 |
KR101970178B1 true KR101970178B1 (en) | 2019-04-17 |
Family
ID=65277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92140A KR101970178B1 (en) | 2017-07-20 | 2017-07-20 | Parallel Assembly Type Heavy Work Transfer Car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7017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72226B1 (en) * | 2020-06-25 | 2020-10-30 | 화동하이테크 주식회사 | Unmanned logistics transport apparatus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9036B1 (en) * | 2011-04-14 | 2012-12-06 | 맹수영 | A manual transit trolley with a shock-absorbing device |
CN206107270U (en) * | 2016-08-27 | 2017-04-19 |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 Assembled transport vechicl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12512U (en) * | 1983-07-06 | 1985-01-28 | 協栄化成株式会社 | Assembled carrier |
KR20160041275A (en) * | 2014-10-07 | 2016-04-18 | (주) 백상엔지니어링 | A Cart for Transporting the Fuel Cell Stack |
-
2017
- 2017-07-20 KR KR1020170092140A patent/KR10197017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09036B1 (en) * | 2011-04-14 | 2012-12-06 | 맹수영 | A manual transit trolley with a shock-absorbing device |
CN206107270U (en) * | 2016-08-27 | 2017-04-19 | 中国二十冶集团有限公司 | Assembled transport vech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10027A (en) | 2019-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52175B1 (en) | Self-propelled modules for heavy loads | |
CN107531176B (en) | Cargo transport vehicle | |
JP7480329B2 (en) | wheel | |
US9731949B2 (en) | Elevating apparatus | |
US9834422B2 (en) | Stacker crane | |
KR101970178B1 (en) | Parallel Assembly Type Heavy Work Transfer Cart | |
US6340083B1 (en) | Transmission wheel and a platform transmission apparatus formed by said wheels | |
US9802801B2 (en) | Stacker crane | |
JP5137101B2 (en) | Conveyor equipment | |
JP4528250B2 (en) | Unmanned transport cart for rolls | |
CN217892856U (en) | Material vehicle | |
JP7148775B2 (en) | Loading device and loading method | |
JP7294108B2 (en) | Carriage with conveyor | |
JP4795321B2 (en) | Loading device | |
KR101933174B1 (en) | Rotary freight load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transfer device | |
KR102543730B1 (en) | Apparatus for carrying freight | |
JP6385229B2 (en) | Rail spacing adjustment device | |
CN219341641U (en) | Turnover basket loading and unloading forklift | |
CN212639802U (en) | Wheel cake lifting conveyor set | |
CN220410601U (en) | Material turnover vehicle | |
KR101193873B1 (en) | Transfer apparatus for component of heavy equipment | |
EP3771685B1 (en) | Loading module and method for transport of goods | |
KR102274512B1 (en) | a variable conveyor | |
JP2007076756A (en) | Transport device | |
JP2011079435A (en) | Wheel and wheeled platfor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