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76726B1 -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 Google Patents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726B1
KR101976726B1 KR1020180101196A KR20180101196A KR101976726B1 KR 101976726 B1 KR101976726 B1 KR 101976726B1 KR 1020180101196 A KR1020180101196 A KR 1020180101196A KR 20180101196 A KR20180101196 A KR 20180101196A KR 101976726 B1 KR101976726 B1 KR 101976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larm device
accident
accident alarm
cas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1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무언
Original Assignee
박무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언 filed Critical 박무언
Priority to KR1020180101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72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72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4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incorporating energy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68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5/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Similar equipment for limiting displacement of the human body, especially in case of sudden changes of motion
    • A62B35/0043Lifelines, lanyards, and anchors therefore
    • A62B35/0075Details of ropes or similar equipment, e.g. between the secured person and the lifeline or anch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182Level alarms, e.g. alarms responsive to variables exceeding a threshol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행할 시에는 중앙케이스, 상측케이스, 하측케이스가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accident alarm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accident alarm device stored in a case for an alarm device and an accident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so that an alarm is gen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In the present invention, an alarm is gen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an accident alarm device stored in a case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composed of a synthetic resin when the accident alarm device is installed in a safety bell for preventing a fall accident. So that the present situation can be informed to the surroundings,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secondary damage.
In addition, when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bonded in a combined manner, and the function as a shock absorbing device is performed, the central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utual impact, And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durability even in long-term use because there is little damage or breakage during storage in us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internal shock Effect.

Description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accident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본 발명은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는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accident alarm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accident alarm device stored in a case for an alarm device and an accident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so that an alarm is generated simultaneously with the oper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는 고소작업 즉, 높은 건물이나 구조물 등지에서 작업을 하는 경우에 작업자는 추락사고에 따른 인명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벨트를 착용하게 된다. Generally, in an industrial field, when a worker is working in a high work, that is, in a high building or a structure, a worker wears a seat belt to prevent personal injury due to a fall accident.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의 일단에는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폐쇄형 고리(10)를 형성하고, 안전로프(40)의 타단에는 건물 등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착탈시키기 위한 후크형 고리(20)를 형성시킨다. 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safety belt has a closed loop 10 formed at one end of a safety rope having a predetermined tension so as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belt to be worn on the waist of a worker, At the other end of the rope 40, a hook-shaped hook 20 for detachably attaching to a safety structure fixed to a building or the like is formed.

후크형 고리(20)와 안전 로프(40)의 사이에는 충격완화장치부(30)가 형성된다. Between the hook-type loop 20 and the safety rope 40, the shock absorber 30 is formed.

충격완화장치부(30)는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The shock absorber unit 30 has a structure in which a safety band 3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is laminated to a predetermined thickness so as to be easily rel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러한 구성을 지닌 종래의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작업복에 폐쇄형 고리(10)를 장착하고, 후크형 고리(20)를 건물 등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연결시키고 작업을 하다가 만약 작업자가 추락하는 경우에는 후크형 고리(20)와 안전 로프(40)의 사이에 형성된 충격완화장치부(30)의 세로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는 안전대(31)가 풀어지고 안전구조물에 연결된 연결고리(40)에서 안전대(31), 안전로프(40) 및 폐쇄형 고리(10)에 전달되는 장력에 의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게 된다.A conventional seat belt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a closed loop 10 is attached to a worker's work clothes and the hook type loop 20 is connected to a safety structure fixed to a building or the like. The safety band 31 stack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ock absorber unit 30 formed between the type ring 20 and the safety rope 40 is released and the safety band 31 is connected to the safety ring 40, , The safety rope (40) and the closed loop (1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작업자의 추락시에 충격완화장치부를 이루는 고무재질의 하우징이 파열되면서 안전대가 풀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추락시의 충격을 어느 정도 감소시키는 효과는 있으나, 어느 작업장에서 추락사고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없었으며, 추락 당사자가 소리를 질러 알리거나 아니면 다른 작업자들에 의해 식별이 되어야 추락 사고임을 알 수 있었지만, 건설 현장의 특성상 수많은 잡음 혹은 기타 작업에 집중하다보면 추락 사고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는 방법이 존재하지 않아 즉각적인 사후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 대형 사고나 인명 피해를 입히게 된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safety belt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of the rubber material constituting the shock absorber unit ruptures at the time of the fall of the operator and the safety band is loosened, the impact at the time of fall is reduced to some extent, I could not tell whether the accident occurred or not, and I could see that it was a fall accident because of the noise of the person making a noise or being identified by other workers, but due to the na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focusing on numerous noises or other work, There is no way of knowing that there is no immediate follow-up action, resulting in a major accident or loss of life.

따라서, 외력 발생시에 자동적으로 이를 인지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주변에 있는 타인들이 즉각적으로 이를 확인하여 신속한 2차 대응이 가능한 기술을 제안하게 된 것이다.Accordingly,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the system automatically recognizes it and generates an alarm, so that the surrounding people can instantly confirm it, thereby proposing a technology capable of quick secondary response.

(인용문헌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175180호(Cited 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17518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ccident alarm device, which is constructed in a safety bell for preventing a fall accident, An alarm is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the oper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stored in the case for the operation device, so that the current situation can be informed to the surrounding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행할 시에는 중앙케이스, 상측케이스, 하측케이스가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hock absorbing device in which when a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s combined in a coupling manner and a function as a shock absorbing device is performed, the central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separated by mutual impact,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durability even in long-term use due to less damage or breakage during storage and us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damage or external impact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stored inside, So that it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는,The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A safety rope 40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tension,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고리(10)와,A hook type ring 10 formed at one end of the safety rope so as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belt to be worn on the waist of an operator,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는 충격완화장치부(30)와,A shock absorber unit 3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afety rope and stacking a safety band 3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easily rel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와,A connection loop 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hock absorber and coupled to a safety structure fixed to the building,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A joint part 120 formed at one side of the safety rope 40 or the shock absorber part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other sid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on the accident alarm device,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An accident alarm device 100 including a switch unit, a speaker unit, and a battery therein, for supplying an electric power through a battery when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ting a fall alarm through the speaker unit, Wow,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The accident alarm operation device 100 includes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and a safety rope 4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oop. And a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olved.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는,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accident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accident alarm device is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 a safety bell to prevent accidental accident. It is composed of synthetic resin when it falls down during safety work. Alarm that is stored in case for operation device alarm.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secondary damage.

또한,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행할 시에는 중앙케이스, 상측케이스, 하측케이스가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bonded in a combined manner, and the function as a shock absorbing device is performed, the central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utual impact, And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durability even in long-term use because there is little damage or breakage during storage in us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internal shock Effect.

도 1은 종래의 안전벨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의 개념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의 동작 전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 블록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at belt.
FIG.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for operating an accident alarm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of an accident alarm device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n accident alarm device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ccident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ase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전체 구성도이다.FIG. 2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실시예의 경우에는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에 적용될 경우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As shown in FIG. 2,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is applied to a seat belt for preventing falls.

즉, 안전로프에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여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안전로프에 형성된 충격완화장치부가 풀릴 경우에 자동적으로 사고알람동작장치가 동작하여 알람을 발생시켜 추락 사고를 주변에 알려줄 수 있는 추락사고 알람이 가능한 추락사고 방지용 안전벨트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at is, when an accidental alarm device is configured in the safety rope, and the crash relief device formed on the safety rope is released due to a fall accident, the accident alarm device automatically operates to generate an alar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ty belt for preventing a fall accident which can cause an accident alarm.

상기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는,In order to provide the above function,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A safety rope 40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tension,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허리에 착용하는 벨트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후크형고리(10)와,A hook type ring 10 formed at one end of the safety rope so as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belt to be worn on the waist of an operator,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는 충격완화장치부(30)와,A shock absorber unit 3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afety rope and stacking a safety band 3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easily rel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연결고리(20)와,A connection loop 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hock absorber and coupled to a safety structure fixed to the building,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A joint part 120 formed at one side of the safety rope 40 or the shock absorber part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other sid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on the accident alarm device,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An accident alarm device 100 including a switch unit, a speaker unit, and a battery therein, for supplying an electric power through a battery when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ting a fall alarm through the speaker unit, Wow,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ccident alarm operation device 100 includes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and a safety rope 4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oop. And a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so that a part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결합부(120)는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the coupling portion 12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afety rope 40 or the shock absorber, and the end of 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is coupled.

이때, 상기 사고알람동작바(110)는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upling part, and the other side is se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in the accident alarm device.

또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 내부에 형성되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formed inside the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and a part of the case 1000 is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In addition,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includes a switch unit, a speaker unit, and a battery. When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uni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And outputs an alarm.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내부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다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로부터 이탈될 경우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동작되어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includes a first electrode unit, a second electrode unit, a speaker unit, and a battery, and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may include a first electrode unit and a second electrode unit,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re operated so that power is supplied through the battery and the falling alarm is output through the speaker unit wh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It is possible.

또한, 잡아당기는 힘의 강도에 따라 사고알람동작바가 이탈되도록 사전에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에 스프링 혹은 판상스프링을 구성하여 스프링 혹은 판상스프링의 탄성 강도를 조절하여 평상시 활동에서는 동작하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 spring or a plate-like spring is previously formed o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so that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is releas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pulling force, so that the elasticity of the spring or the plate- You will be able to control it.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개념 구성도이다.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of an apparatus 100 for operating an accident alarm device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As shown in FIG. 3, the apparatus 100 for operating an accident alarm according to the above-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격벽부(101);와A partition 101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passes,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1021);와 A first elastic member 102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first electrode unit;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전극부(102a);와A first electrode part (102a)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상기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1022);와A second elastic member 1022 form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l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second electrode unit;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전극부(102b);와A second electrode part (102b)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과An electric wire 103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attery;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결합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동작될 경우에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4);와Wh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re operated, the accidental alarm operation bar 1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 battery 104 for supplying power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05);와A central control unit 105 for supply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음원발생부(106);와A sound generator 106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to the amplifying unit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obtained;

상기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부(107);와An amplification unit 107 for amplifying the signal level of the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level to the speaker unit;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부(108);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peaker unit (108)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amplification unit.

상기 격벽부(101)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는데, 상기 일정 간격은 내부에 탄성부재가 상하 운동함에 있어 제약을 받지 않도록 탄성부재보다 약간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3, the barrier ribs 101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elastic ribs are form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elastic members in order to prevent the elastic members from moving up and down.

이때, 격벽부에는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게 되며, 홀을 통해 사고알람동작바가 안착되도록 하는 것이다.At this time, a hole for allowing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to pass through is formed in the partition wall, and 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is seated through the hole.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1021)는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시켜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first elastic member 1021 is form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l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first electrode unit.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측에 제1전극부(102a)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first electrode unit 102a is formed below the first elastic member.

그리고, 상기 제2탄성부재(1022)는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시켜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게 된다.The second elastic member 1022 is form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l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second electrode unit.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측에 제2전극부(102b)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econd electrode unit 102b is formed on the second elastic member.

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One end of the first elastic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103 is connected to the battery.

이때,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는 도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re formed of a conductor.

한편, 상기 배터리(104)를 전선과 연결시키게 되는데, 추락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안전로프 혹은 충격완화장치부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될 것이며, 이때 안전로프 혹은 충격완화장치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되게 된다.The safety rope or shock absorber is moved to the lower side. At this time, the safety rope or the shock absorber is moved to the lower side and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The bar 1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portion and the second electrode portion.

이때,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전극부를 하방으로 제2전극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동작되게 되면 배터리에서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wh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re operated by moving the first electrode unit down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central control unit It will be done.

이때, 중앙제어부(10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unit 105 provides an operation signal to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이때, 상기 음원발생부(106)는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게 된다.At this time,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106 outputs the sound source to the amplifying unit when acquiring the operation signal.

상기 음원은 제조시 저장된 음원이 될 수 있으며, 음원으로는 각종 알람음, 안내 멘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e sound source may be a sound source stor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and may be various alarm sounds and announcement messages as a sound source.

이때, 상기 증폭부(107)는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게 되며, 스피커부(108)는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amplification unit 107 amplifies the signal level of the sound source and transmits it to the speaker unit, and the speaker unit 108 outputs the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amplification unit.

상기한 일실시예는 실시예에 불과하며, 실시예 및 도면에서는 탄성부재의 예시로서 스프링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탄성을 제공하는 어떠한 부재라도 상관없으며, 예를 들어, 스프링, 판상스프링, 탄성재질의 탄성체 등으로 대체가 가능한 것은 당연한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spring, a plate-like spring, an elastic material,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elastic member. It is natural that it can be replaced with an elastic body or the like.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를 도입하여 설치 구성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스위치를 도입할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astic member is installed and installed, but it is also possible to introduce a switch if necessary.

즉, 스위치에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접속을 유지하다가 외부 외력에 의해 스위치로부터 이격되게 되면 접속이 해제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음원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스위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겠다.That is, when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is connected to the switch and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by an external external force, the connection is released and a sound source is outputted through the speaker unit. Such a technique is a general switch technology, would.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동작 전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FIG. 4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oper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of the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통해, 사고알람동작장치 동작 전후를 비교해보면, 외부로부터 외력이 발생하지 않으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어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는 동작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4, when an external alarm is not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alarm alarm operation bar 110 is seat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The second electrode unit is maintained in an inoperative state.

그러나, 외부로부터 외력이 발생하게 되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외부로 이격되고, 이때,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전극부를 하방으로 제2전극부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동작하게 된다.However,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from the outside, the alarm alarm operation bar 1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to the outside, and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elastic member The first electrode unit moves down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moves by moving the second electrode unit upward.

이후, 배터리에서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중앙제어부(105)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여 알람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o the central control unit 105. When th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he central control unit 105 provides an operation signal to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to output an alarm.

상기한 외력은 일실시예에서는 추락에 따른 중력을 의미한다.In the embodiment, the external force means gravity due to a fall.

도 5는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 블록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n accident alarm device of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ccident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한편, 본 발명의 이실시예에 따른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Meanwhile, in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A memory unit 109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경우에,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91) for acqui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상기 관리단말기(200)는,The management terminal (200)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무선통신부;와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관리저장부;와A management storage unit for storing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owner information for eac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고유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키로 하여 상기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정보분석부;와An information analyzer for extract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nalyzing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r the owner information for eac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storage unit using the extracted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상기 분석된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기 위한 사고정보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accident information output unit for obtaining the analyz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r owner information and outputting the acquir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r owner information to a screen.

즉, 공사현장에 구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That is, the accident alarm operating device 100 configured at the construction site includes a memory 109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91 for acqui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상기 메모리부에는 고유식별 정보를 저장하게 되는데, 무선통신부를 통해 배터리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자동적으로 관리단말기(200)로 송출하게 된다.The memory unit store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automatically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공사 현장의 경우에는 관리사무소 혹은 현장사무소가 될 것이며, 기타 장소의 경우에는 중계기가 될 것이다.In the case of a construction site, it will be a management office or a field office, and in other places it will be a repeater.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는 와이파이 통신 방식 혹은 근거리 통신 방식 혹은 블루투스 통신 방식 혹은 이동통신 방식 등 사용 환경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For this purpose,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an be selectively applied according to a usage environment such as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ethod,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or a mobile communication method.

이때, 상기 관리단말기(200)는 무선통신부, 관리저장부, 정보분석부, 사고정보출력부를 구성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anagement terminal 200 constitut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 management storage unit, an information analysis unit, and an accident information output unit.

상기 무선통신부에 의해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되며, 상기 관리저장부는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소유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and the management storage unit stores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and owner information for eac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이때, 상기 정보분석부는 무선통신부를 통해 획득된 고유식별 정보를 추출하며, 이를 키로 하여 상기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extracts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nalyzes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r the owner information for each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storage unit.

이후, 사고정보출력부에 의해 상기 분석된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획득하여 화면에 출력시키게 되는 것이다.Thereafter, the analyzed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r owner information is acquired by the incident information output unit and is output to the screen.

공사 현장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A 공사 현장의 B 사고알람동작장치는 김한국이라는 작업자가 착용하고 있다는 것을 사전에 관리단말기에서 저장하고 있게 된다.For example, if a construction site is described, the B accident alarm device of the construction site A is stored in advance in the management terminal in advance that a worker called Kim Han Kook is wearing it.

이때, A 공사 현장에서 추락 사고가 발생하면, 고유식별 정보인 A-B라는 식별 정보를 송출하게 된다.At this time, if a crash occurs at the construction site A,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lled A-B, which is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이때, 정보분석부에서는 A-B라는 고유식별 정보를 키로 하여 관리저장부에 저장된 고유식별 정보별 공사 현장 정보 혹은 소유자 정보를 분석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information analyzing unit analyzes the construction site information or the owner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stored in the management storage unit using the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B as a key.

따라서, 추락 사고자는 김한국이라는 것을 알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know that the person who crashed is Kim Han-guk.

한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the accident alarm operating device 100,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 신호를 획득하면 점등되는 조명부;와An illumination unit which is turned on when an operation signal is obtai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 신호를 획득하면 경광램프가 점멸되는 경광등;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a beacon lamp whose blinking lamp blinks when an operation signal is obtain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예를 들어, 제어부에서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할 때, 조명부와 경광등에 동시에 동작 신호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control unit provides the operation signal to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the operation signal may be simultaneously supplied to the illuminating unit and the beacon.

즉,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의 어느 일측에 조명부와 경광등을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illumination unit and the warning light are formed at one side of the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또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위치추적부를 구성함으로써, 동작 신호 발생시에 위치 정보를 관리단말기(200)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ccident alarm operating device 100 is configured to configure the position-tracking unit so that the posi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when an operation signal is generated.

따라서, 작업자가 위치한 공사 현장이 넓은 장소를 가지고 있다면, 정확한 위치를 신속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고자 위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고가 발생한 작업자의 위치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if the construction site where the worker is located has a large area,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grasp the accurate position. Therefore, by providing the position information to improve the position, it is possible to quickly obtain the position of the worker in which the accident occurred.

또한,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관리자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인명구조용드론에 해당 위치 정보를 포함한 동작 신호를 송출하여 해당 위치로 이동하도록 하는 관리센터서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a fur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management center server for transmitting an operation signal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to a life structure dron when acquiring event information including location information from an administrator terminal, You may.

즉, 공사장을 관리하는 관리센터에 설치 구성된 관리센터서버에 관리자단말기에서 사고 발생한 작업자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이벤트 정보를 획득하게 되면 해당 위치 정보를 포함한 동작 신호를 인명구조용드론으로 제공함으로써, 인명구조용드론이 해당 위치로 이동하여 사고 현장에 도착하게 되면 인명구조용드론에 설치 구성된 로프를 사고 발생한 작업자에게 제공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event information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perator who has occurred in the manager terminal is acquired in the management center server installed in the management center for managing the construction site, the operation signal including the location information is provided to the life structure drones, Is moved to that location and arrives at the scene of the accident, the rope installed on the rescue drone will be provided to the accidental worker.

따라서, 작업자는 해당 로프를 잡고 해당 사고 건물의 안정한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grip the rope and move to the stable place of the accident building.

도 6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의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8은 단면도이다.6 to 7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showing a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for a shock absorber constituting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ectional view.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FIG. 8, the accident alarm device case 1000 includes an accident alarm device 100, and a part of the accident alarm action bar 110 constituting the accident alarm device And a part of the safety rope 4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oop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ther side.

이때,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도 6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중앙케이스(1100);와 상측케이스(1200);와 하측케이스(1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6 to 7, the accident alarm device case 1000 includes a center case 1100, an upper case 1200, and a lower case 1300 do.

상기와 같이, 중앙케이스를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각각 구성하는 이유는 충격 발생시,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mutual impact at the time of impact generation, so that the function of the shock absorber can be faithfully fulfilled.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durability even in long-term use due to less damage or breakage, and to provide an effect of preventing damage and external impact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stored therein.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중앙케이스(11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More specifically, the center case 1100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또한, 바닥면(1110)은 개방되고, 정면(1120)의 하단부에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가 형성되게 된다.The bottom surface 1110 is opened and the exposed portion 11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front surface 1120 so that a part of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그리고, 배면(1130)의 하단부에는 연결고리(20)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a)가 형성되며, 양측면(11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1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게 된다.An exposed portion 1140a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ack surface 1130 so that a portion of the safety rope 4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Grooves 116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그리고, 양측면(11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17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바닥면으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protrusions 117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ides of both side surfaces 1150, and the opened bottom surface allows the apparatus 100 to be received.

이때, 상기 결합홈을 구멍을 뚫지 않고, 홈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충격 발생시 원활하게 중앙케이스로부터 상측 케이스와 하측 케이스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coupling groove is formed as a groove without piercing holes, so that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can be separated smoothly from the center case when an impact is generated.

구멍을 관통하게 된다면 충격흡수장치가 동작하지 않을 수도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외압에서만 견딜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So that the shock absorbing device may not operate if it penetrates the hole, so that it can withstand only a certain external pressure.

그리고, 상측케이스(1200)는 중앙케이스(1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2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2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상측결합돌기부(1170)를 하측결합홈(1260)에 결합시키게 된다.The upper case 1200 is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central case 1100 and a plurality of lower side engaging recesses 1260 are formed at lower sides of the side faces 1250 at regular intervals to form an upper engaging protrusion 1170 of the center case. To the lower engaging groove 1260.

이를 통해 상측에 형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Thereby covering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formed on the upper side.

그리고, 하측케이스(1300)는 중앙케이스(1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3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37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하측결합홈(1160)에 상측결합돌기부를 결합시키게 된다.The lower case 1300 is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central case 1100 and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protrusions 137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upper sides of the side faces 1350 to form the lower coupling groove 1160 of the center case. And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

또한, 상기 상측케이스(1200) 혹은 하측케이스(1300)에는,Further, in the upper case 1200 or the lower case 1300,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ransparent portion is formed so that the inside can be confirmed.

즉, 작업자가 케이스로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충격완화장치부(30)가 파손되지 않았는지, 제 위치에 존재하고 있는지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투명부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 transparent part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is formed so that the operator can visually confirm whether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and the shock absorber unit 30 are not broken, will be.

상기와 같은 구성과 동작을 통해, 사고 알람 장치가 구성된 추락 사고 방지용 안전벨에 설치 구성되어 안전 작업중에 추락할 시에 합성수지재로 구성된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작동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하여 주변에 현재 상황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2차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stored in the case for the accident alarm device composed of synthetic resin when the accident alarm device is installed in the safety bell for preventing the accident from occurring during the safety work, At the same time, an alarm is generated to inform the surroundings of the current situation,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preventing secondary damage.

또한, 재질이 합성수지재로 구성되고 결합식으로 결합되고, 충격흡수장치로서의 기능을 행할 시에는 중앙케이스, 상측케이스, 하측케이스가 각각 상호 충격에 의해 분리됨으로써, 충격흡수장치로서의 제 기능을 충실히 이행할 수 있으며, 그 재질의 특성상 보관, 사용중에는 손상이나 파손 등이 적어 장기 사용 시에도 내구성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내부에 보관된 사고알람동작장치의 파손, 외부 충격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material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bonded in a combined manner, and the function as a shock absorbing device is performed, the central case,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mutual impact, And it is possible to guarantee the durability even in long-term use because there is little damage or breakage during storage in use due to the nature of the material,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and internal shock Effect.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It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 사고알람동작장치
200 : 관리단말기
1000 :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
100: accident alarm operation device
200: management terminal
1000: Case for accident alarm device

Claims (4)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에 있어서,
일정한 장력을 가지도록 구성된 안전로프(40)와,
상기 안전로프의 일단에 형성되어 작업자의 작업복에 착탈하기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폐쇄형고리(10)와,
상기 안전로프의 타단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일정 넓이 및 길이를 지닌 안전대(31)를 세로 방향으로 풀어지기 용이하도록 소정의 두께로 적층하고 있는 충격완화장치부(30)와,
상기 충격완화장치부의 타단에 형성되어 건물에 고정된 안전구조물에 결합시키기 위한 후크형고리(20)와,
상기 안전로프(40) 혹은 충격완화장치부의 일측에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의 끝단이 결합되어 있는 결합부(120)와,
상기 결합부에 일측이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이 사고알람동작장치에 형성된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에 안착되어 있는 사고알람동작바(110)와,
내부에 스위치부, 스피커부 및 배터리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바가 스위치부로부터 이격될 경우에 배터리를 통해 전원이 공급되어 스피커부를 통해 추락 사고 알람을 출력시키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와,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으며, 사고알람동작장치를 구성하는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어느 일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타측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며,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100)는,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되, 사고알람동작바(110)가 관통하기 위한 홀을 형성하고 있는 격벽부(101);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상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1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1탄성부재(1021);와
상기 제1탄성부재의 하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1전극부(102a);와
상기 홀을 기준으로 하측에 형성되어 탄성을 제2전극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2탄성부재(1022);와
상기 제2탄성부재의 상측에 결합되어 있는 제2전극부(102b);와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에 일측이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이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는 전선(103);과
추락 사고가 발생하여 결합부가 하측으로 이동되어 사고알람동작바(110)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 사이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동작될 경우에 중앙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04);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경우에 음원발생부에 동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중앙제어부(105);와
상기 동작 신호를 획득할 경우에 음원을 증폭부로 출력시키기 위한 음원발생부(106);와
상기 음원의 신호 레벨을 증폭하여 스피커부로 전달하기 위한 증폭부(107);와
상기 증폭부로부터 제공된 음원을 출력시키기 위한 스피커부(108);와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고유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메모리부(109);와
상기 중앙제어부로부터 고유식별 정보를 획득하여 관리단말기(200)로 무선 송출하기 위한 무선통신부(109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A shock absorber comprising an accident alarm device capable of generating an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A safety rope 40 configured to have a constant tension,
A closed loop 10 formed at one end of the safety rope so as to be easi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a worker's work clothes,
A shock absorber unit 3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safety rope and stacking a safety band 3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easily relea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hook-shaped ring 20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hock absorber unit and coupled to a safety structure fixed to the building,
A joint part 120 formed at one side of the safety rope 40 or the shock absorber part and having an end connected to 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An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coupling part and the other sid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electrode part and the second electrode part formed on the accident alarm device,
An accident alarm device 100 including a switch unit, a speaker unit, and a battery therein, for supplying an electric power through a battery when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is separated from the switch unit and outputting a fall alarm through the speaker unit, Wow,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device 100 includes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and a safety rope 4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loop. And a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A partition 101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passes,
A first elastic member 1021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l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first electrode unit;
A first electrode part (102a)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elastic member
A second elastic member 1022 formed on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hole to provide elasticity to the second electrode unit;
A second electrode part (102b)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n electric wire 103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battery;
When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re operated, the accidental alarm operation bar 110 is separated from the first electrode unit and the second electrode unit, A battery 104 for supplying power
A central control unit 105 for supplying an operation signal to the sound source generating unit when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A sound generator 106 for outputting the sound source to the amplifying unit when the operation signal is obtained;
An amplification unit 107 for amplifying the signal level of the sound source and transmitting the amplified signal level to the speaker unit;
A speaker unit 108 for outputting a sound source provided from the amplifying unit;
A memory unit 109 includ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091) for acquiring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central control unit and wirelessly transmitting the acquir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terminal (200).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고알람동작장치용케이스(100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바닥면(1110)은 개방되고, 정면(1120)의 하단부에는 사고알람동작장치(100)의 사고알람동작바(11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가 형성되며, 배면(1130)의 하단부에는 연결고리(20)와 연결되는 안전로프(4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노출부(1140a)가 형성되며, 양측면(11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1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양측면(11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17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개방된 바닥면으로 사고알람동작장치(100)를 수용할 수 있는 중앙케이스(1100);와
상기 중앙케이스(1100)의 상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250)의 하측 각각에는 다수의 하측결합홈(1260)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상측결합돌기부(1170)를 하측결합홈(1260)에 결합시키는 상측케이스(1200);와
상기 중앙케이스(1100)의 하측에 위치하며, 양측면(1350)의 상측 각각에는 다수의 상측결합돌기부(1370)가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중앙케이스의 하측결합홈(1160)에 상측결합돌기부를 결합시키는 하측케이스(1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ase 1000 for an accident alarm device includes:
A bottom surface 1110 is opened and an exposed portion 1140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1120 so that a part of the accident alarm operation bar 110 of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exposed portion 1140a is formed at a lower end portion of the rear surface 1130 so that a part of the safety rope 40 connected to the connection ring 20 is exposed to the outside.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protrusions 117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upper sides of both side surfaces 1150 and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protrusions 1170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side surfaces 1150 to accommodate the accident alarm device 100 A central case 1100 that can
A plurality of lower coupling grooves 126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lower sides of both sides 1250 of the central case 1100 to connect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s 1170 of the center case to the lower coupling grooves 1260, An upper case 1200 to be coupled to the upper case 1200;
A plurality of upper coupling protrusions 1370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upper side of both sides 1350 of the central case 1100 and the upper coupling protrusions are coupled to the lower coupling groove 1160 of the center case. And a lower case (1300). The shock absorber constitutes an alarm device capable of alarming when an external force is generated.
제 3항에 있어서,
상측케이스(1200) 혹은 하측케이스(1300)에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력 발생시 알람이 가능한 사고 알람 장치를 구성한 충격흡수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upper case 1200 or the lower case 1300,
And a transparent portion is formed so as to be able to confirm the inside of the shock absorber.

KR1020180101196A 2018-08-28 2018-08-28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Active KR10197672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196A KR101976726B1 (en) 2018-08-28 2018-08-28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196A KR101976726B1 (en) 2018-08-28 2018-08-28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6726B1 true KR101976726B1 (en) 2019-05-09

Family

ID=66545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196A Active KR101976726B1 (en) 2018-08-28 2018-08-28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726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9236A1 (en) * 2021-01-22 2022-07-22 Univ Salamanca MECHANICAL TRIP TYPE FALL WARNING DEVICE AT DIFFERENT LEVELS
WO2024122671A1 (en) * 2022-12-07 2024-06-13 박세현 Shock absorption and danger signal notification device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logistics work environm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180Y1 (en) 1999-09-17 2000-03-15 최기봉 Safety belt
JP3121699U (en) * 2006-03-03 2006-05-25 修 茂木 Security buzzer
US20110103558A1 (en) * 2009-10-30 2011-05-05 Hooten Invest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evice operably connected to a safety lanyard
KR101162563B1 (en) * 2010-02-03 2012-07-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A shock absorbing cover of the safety belt forindustrial use
JP6005353B2 (en) * 2011-11-25 2016-10-12 藤井電工株式会社 Built-in structure of a detector to fall into the safety belt and an alar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180Y1 (en) 1999-09-17 2000-03-15 최기봉 Safety belt
JP3121699U (en) * 2006-03-03 2006-05-25 修 茂木 Security buzzer
US20110103558A1 (en) * 2009-10-30 2011-05-05 Hooten Investm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device operably connected to a safety lanyard
KR101162563B1 (en) * 2010-02-03 2012-07-04 주식회사 성안세이브 A shock absorbing cover of the safety belt forindustrial use
JP6005353B2 (en) * 2011-11-25 2016-10-12 藤井電工株式会社 Built-in structure of a detector to fall into the safety belt and an alar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919236A1 (en) * 2021-01-22 2022-07-22 Univ Salamanca MECHANICAL TRIP TYPE FALL WARNING DEVICE AT DIFFERENT LEVELS
WO2024122671A1 (en) * 2022-12-07 2024-06-13 박세현 Shock absorption and danger signal notification device for safety accident prevention in logistics work environ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2669B1 (en) Smart ware for preventing an accident on workshop
JP7122780B2 (en) Alarm device for safety belt
KR101976726B1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KR101634207B1 (en) Emergency escape system using bluetooth beacons
KR20120083946A (en) Supervisory apparatus of wearing the safety helmet in the construction field
KR100966892B1 (en) Safety supervisory apparatus using rfid in the construction field
KR101152031B1 (en) Safety Helmet
KR101309747B1 (en) System for rescuing distress of human life by collapse and fire
KR20140062890A (en) Wearable device and managing device for managing a status of user and methods thereof
JP2014153876A (en) Inter-operator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in noise environment, inter-operator information transmission device, and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device
KR102017157B1 (en) Light Equipment for safety helmet with live wire alarm
KR20180013354A (en) Smart wearable device for disaster response and disaster response system using thereof
CN110398940A (en) Production operation place inspection risk control system
JP2010185155A (en) Helmet with index-projecting means
KR101916403B1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EP4515887A1 (en) Issuing emergency alert(s) for detected life-threatening events involving power systems
KR102313120B1 (en) Smart Clothing for Safety Management Of Worker
KR102217589B1 (en) Accident prevention device with alarm and display When an external force occurs
JP2025516311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ORTABLE ALERT DEVICE - Patent application
KR102570742B1 (en) Smart lifesaving alarm system
KR102025379B1 (en) Wearable apparatus for safety supervisory of construction field workers
KR102032333B1 (en) Apparatus for alerting emergency exit in construction sites
EP3815067B1 (en) Improved arboriculture safety system
KR102615506B1 (en) Smart helmet safety management system for accident avoidance
JPH0947522A (en) Safety bel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2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