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76464B1 -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464B1
KR101976464B1 KR1020120101352A KR20120101352A KR101976464B1 KR 101976464 B1 KR101976464 B1 KR 101976464B1 KR 1020120101352 A KR1020120101352 A KR 1020120101352A KR 20120101352 A KR20120101352 A KR 20120101352A KR 101976464 B1 KR101976464 B1 KR 1019764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urved surface
curved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35055A (ko
Inventor
신충환
양지선
홍석호
양경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64B1/ko
Priority to US13/842,509 priority patent/US9192072B2/en
Priority to CN201310164533.9A priority patent/CN103428316B/zh
Publication of KR20140035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6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36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2043/3665Moulds for mak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cores or inserts, e.g. pins, mandrels, sli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83/00Use of polymers hav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in the main chain,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31Telephones, Earphones
    • B29L2031/3437Cellular 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평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일측에 제1 곡면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2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볼록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간극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는 후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두께가 얇은 새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MOBILE TERMINAL AND APPARATUS FOR MOLDING A BATTERY EQUIPPED THEREIN}
본 발명은 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면서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가능하게 하는 배터리를 성형할 수 있는 프레스 금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전면과 후면이 모두 평면으로 이루어진 획일적인 디자인을 탈피하기 위해, 후면이 곡면으로 구현된 이동 단말기가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후면을 곡면으로 형성하기 위해서, 각각 평면 형상으로 구현된 LCD 패널, 인쇄회로기판 및 배터리의 후면에 가운데의 두께가 증가된 리어 케이스 또는 배터리 커버가 결합된다. 리어 케이스 또는 배터리 커버에서 가운데만 두께가 증가됨에 따라, 리어 케이스 또는 배터리 커버의 내측 면은 편평한 데 반해 외측 면은 곡면을 형성하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후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외측 면을 곡면으로 구현하기 위해 리어 케이스나 후면 배터리 커버의 두께가 일부 증가됨에 따라, 이동 단말기 전체 두께가 증가된다. 그 결과, 후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 슬림한 디자인의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해 제안되는 것으로서, 새로운 형상의 배터리를 구비함으로써 후면이 곡면으로 형성되면서 편평한 디자인의 이동 단말기보다 슬림하게 구현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와, 상기 배터리를 형성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평면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 및 일측에 제1 곡면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2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볼록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되, 상기 간극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하면이 제1 곡면으로 형성된 코어를 포함하는 상측 금형, 상기 코어와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바닥면이 제2 곡면으로 이루어진 홈을 포함하는 하측 금형 및 상기 코어가 상기 홈 내에 삽입되도록 상기 하측 금형에 대하여 상기 상측 금형을 상대적으로 상하 구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와 상기 홈의 결합 시 일측이 상기 제1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타측이 상기 제2 곡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터리 셀을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곡면 형상을 가진 배터리를 구비하고 곡면 형상의 배터리를 장착 시 형성되는 빈 공간 내에 다른 부품을 배치시킴으로써, 후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이동 단말기의 두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두께 증가 없이 후면을 곡면으로 형성된 이동 단말기 내에 장착되는 배터리가 곡면 형상인 경우 배터리의 평면 크기가 늘어날 수 있어, 배터리의 용량 또한 향상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슬림하면서 새로운 디자인을 갖고, 그와 동시에 배터리 사용시간이 향상된 이동 단말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이동 단말기의 두께 증가 없이 후면을 곡면으로 형성하게 할 수 있는 곡면 형상의 배터리를 고온 프레스 방식으로 제조 가능한 프레스 금형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리어 케이스와 배터리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지지부를 포함한 이동 단말기의 단면도와 각 배터리 지지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댐퍼가 구비된 배터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와 배터리를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프레스 금형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이동단말기(100)의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1, 102, 103)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USIM카드 및 메모리카드등 보조 저장매체와 같이 탈착이 필요한 부품은 외측으로부터 케이스 내부로 삽입가능하도록 케이스에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저장매체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서 삽입되어 실장되도록 케이스 측면에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고,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도록 카드 슬롯이 형성될 수도 있다.
케이스(101, 102, 103)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 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출력부(152), 카메라(121), 사용자 입력부(131,132),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2)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1) 및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131, 1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131, 1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1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132)은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 조작 유닛들(131, 132)는 사용자가 압력을 가하면 인식하는 버튼방식이 있을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외에 조작 유닛(131, 132)에도 터치센서(137)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터치만으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을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이 곡면을 형성함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의 단말기 바디가 제공됨과 동시에 사용자가 손에 쥘 때 그립감이 향상될 수 있다.
곡면의 리어 케이스(102)에는 카메라(1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카메라(121, 도 2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121)와 같거나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1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121, 1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1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3)와 거울(124)이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플래쉬(123)는 카메라(1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4)은 사용자가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152')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바디 후면의 음향 출력부(152')는 바디 전면의 음향 출력부(152, 도 2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곡면 배터리(200) 장착 구조를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리어 케이스(102)를 분리한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프론트 케이스(101), 평면 프레임(1010), 인쇄회로기판(1020) 및 배터리(200)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곡면 형상의 배터리(200) 및 리어 케이스(102)가 도시되어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 내부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 프레임(1010)과 평면 프레임(101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1020)이 구비된다. 평면 프레임(1010)은 프론트 케이스(101)의 후면에 결합되며, 평면 프레임(1010)의 후면에 인쇄회로기판(1020)이 위치한다. 인쇄회로기판(1020)은 평면 프레임(101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며, 인쇄회로기판(1020)은 연성회로기판(flexible PCB)일 수도 있다. 평면 프레임(1010)의 전면에는 이동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151)를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510)이 구비될 수 있다.
곡면 형상의 배터리(200)는 일측에 제1 곡면(11)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2 곡면(12)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곡면(11)과 제2 곡면(12)은 평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상의 배터리(200)는 제1 곡면(11)이 인쇄회로기판(1020)을 향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20)의 후면에 장착된다. 이 때, 곡면 형상의 배터리(200)의 양단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20)의 후면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고, 또는 평면 프레임(1010)과 같은 다른 부품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형상 배터리(200)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200)일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후면에서 프론트 케이스(101)와 직접 결합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2)가 이동 단말기의 후면 외관을 형성한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가 이동 단말기에 장착된 경우 바깥 측에 위치하는 제2 곡면(12)에 대응되게 형성된 곡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이 인쇄회로기판(1020)을 향하도록 곡면 형상의 배터리(200)가 인쇄회로기판(1020)의 후면에 장착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곡면(11)의 형상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020)과 곡면 형상 배터리(200) 사이에는 볼록한 간극(20)이 형성된다. 도 4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1020)에 각종 전자부품(210)이 실장된다.
상기와 같이 배터리(200)의 곡면 형상에 의해 생성된 볼록한 공간이 부품 실장 공간으로 활용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1020)과 배터리(200)가 오버랩 되게 배치될 때 인쇄회로기판(1020)에 실장된 전자부품(210)의 크기에 의한 이동 단말기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인쇄회로기판(1020) 및 배터리(200) 각각이 넓은 평면 면적을 가지면서도 이동 단말기의 슬림한 디자인을 유지할 수 있다. 넓은 평면 면적을 가진 인쇄회로기판(1020)이 구비됨으로써 전자부품(210)의 배치가 더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넓은 평면 면적을 가진 곡면 형상 배터리(200)에 의해 배터리(200) 용량이 증가되어 배터리(200) 유지시간이 길어질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여러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와 인쇄회로기판(1020) 사이에 배터리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 중 인쇄회로기판(1020)을 향하는 제1 곡면(11)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3 곡면(13)을 포함하며, 제3 곡면(13)이 제1 곡면(11)에 접하도록 인쇄회로기판(1020)과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에 의해 형성되는 간극(2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배터리 지지부의 제3 곡면(13)에 의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이 지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이동 단말기의 낙하 등에 의하여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2 곡면(12) 측에 외력에 의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배터리 지지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는 일 예에 따른 배터리 지지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와 상기 일 예에 따른 배터리 지지부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또 다른 예에 따른 배터리 지지부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일 예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지지부는 금속 플레이트(3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를 형성하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310)는 제3 곡면(13)을 형성하도록 굽어지고 양단(311)이 절곡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절곡된 양단(311)은 인쇄회로기판(1020)의 후면과 접하거나, 평면 프레임(1010) 등 이동 단말기 내의 다른 부품과 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금속 플레이트(310)는 제3 곡면(13)이 제1 곡면(11)에 밀착되도록 인쇄회로기판(1020)과 곡면 형상 배터리(200) 사이의 간극(20)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외부 충격에 의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볼록한 제3 곡면(13)에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금속 플레이트(310)가 곡면 형상 배터리(200)를 받쳐 배터리(200)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지지부는 실리콘(3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터리 지지부를 이루는 실리콘(320)의 적어도 일측은 제3 곡면(13)을 이루며, 제3 곡면(13) 부분이 제1 곡면(11)에 밀착되도록 타측이 인쇄회로기판(1020) 또는 평면 프레임(1010) 등의 다른 부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쇄회로기판(1020)과 곡면 형상 배터리(200) 사이의 간극(20) 내부에서 두 개 이상의 실리콘 배터리 지지부(320)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다. 실리콘 배터리 지지부는 실리콘이 인쇄회로기판(1020)과 곡면 형상 배터리(200) 사이의 간극(20) 내부에 직접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또는 제3 곡면(13)을 포함하도록 기 형성된 실리콘 배터리 지지부(320)가 조립 시 간극(20)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 단말기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 상에 형성되는 댐퍼(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댐퍼(220)가 형성된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20)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 상에서 곡면 형상 배터리(200)가 인쇄회로기판(1020) 또는 평면 프레임(1010) 등의 이동 단말기 내 다른 부품과 접하는 양 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댐퍼(220)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볼록한 형상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1020)과의 사이에 간극(20)을 형성하기 위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 중 필수적으로 다른 부품과 접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댐퍼(220)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의 양 단 모서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댐퍼(220)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가 이동 단말기 내에서 장착될 때 배터리(200)와 인쇄회로기판(1020) 등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댐퍼(220)는 실리콘, 패드와 같은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댐퍼(220)는 여러 가지 방법을 통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댐퍼(220)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와 함께 이중사출 성형될 수 있다. 이 경우, 댐퍼(220)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 다른 예로, 댐퍼(220)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완성된 곡면 형상 배터리(20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형상 배터리(200)가 이동 단말기 내에 장착될 때 다른 부품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에 댐퍼(220)가 구비됨으로써, 낙하 등에 의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배터리(200) 또는 다른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곡면 형상의 배터리(200)는 상대적으로 좁은 면적을 통해 다른 부품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배터리(200)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배터리(200)가 평면 형상을 가질 때 보다 배터리(200)와 다른 부품이 접하는 부분에 더 큰 힘이 가해진다. 댐퍼(220)는 상기 힘을 흡수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곡면 형상 배터리(200)는 이동 단말기에 교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의 성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전력소모가 큰 점이 보완될 수 있다.
도 8에는 탈착 가능한 곡면 형상 배터리(200)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의 후면커버(103)를 분리하여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을 도시한 후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론트 케이스(101), 리어 케이스(102), 후면커버(또는 배터리(200) 커버)(103), 카메라(121'), 인터페이스(170), 마이크(122), 음향출력부(152'), 배터리(200), 배터리 장착부(104), USIM카드 장착부(105), 메모리카드 장착부(106)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리어 케이스(102)는 인쇄회로기판(1020)과 곡면 형상 배터리(200) 사이에서 프론트 케이스(101)와 결합할 수 있다. 이 때, 리어 케이스(102)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3 곡면(13)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곡면(13)은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리세스되게 형성되어 배터리 장착부(104)를 이룰 수 있다. 배터리 장착부(104)에는 상기 케이스 내부에 실장되는 부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 단자가 구비된다.
배터리 장착부(104)에 곡면 형상 배터리(200)가 장착되는 경우, 리어 케이스(102)의 제3 곡면(13)은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과 접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리어 케이스(102)의 제3 곡면(13)이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제1 곡면(11)을 지지함으로써 리어 케이스(102)가 외력에 의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어 케이스(102)의 제3 곡면(13)과 인쇄회로기판(1020) 사이에 간극(20)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020)에 실장된 전자부품(210)들은 상기 간극(20)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리어 케이스(102) 표면에는 배터리 장착부(104) 외에 USIM카드 장착부(105) 및 메모리카드 장착부(106)와 같은 외장부품이 실장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되는 외장부품은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이 다양화 되고 다양해진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USIM카드 장착부(105)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배터리 장착부(104)의 옆에 형성될 수도 있고, 배터리 장착부(104)의 바닥면에 형성하여, 배터리(200)를 상기 배터리 장착부(104)로부터 분리하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장착부(104)의 크기가 더 커질 수 있어 배터리(200)의 대형화가 가능하다.
도 8에는 USIM카드 장착부(105)나 메모리카드 장착부(106)는 리어 케이스(102)의 후면에 실장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그 외에 측면에서 삽입하는 방식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삽입 분리 가능하다.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을 커버하는 후면커버(103)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외측 면인 제2 곡면(12)과 대응되게 형성된 제4 곡면(14)을 포함할 수 있다. 후면커버(103)는 곡면 형상 배터리(200)가 리어 케이스(102)의 외측에 장착된 곡면 형상 배터리(200)의 후면에서 리어 케이스(102)와 결합될 수 있다.
후면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의 표면에 실장된 배터리(200), USIM카드, 메모리카드 등이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며, 외부 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상기 외장부품을 보호한다. 최근에는 방수기능을 부가하여, 상기 외장부품에 물이 투입되지 않도록 상기 리어 케이스(102)와 상기 후면커버(103)를 결합시 밀폐되도록 하는 방수구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 장치의 구조 및 동작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금형 장치는 상측 금형(910), 하측 금형(920) 및 구동부(930)를 포함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금형(910)은 하면이 제1 곡면(11)으로 형성된 코어(9101)를 포함한다. 하측 금형(920) 중 상기 코어(9101)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바닥면이 제2 곡면(12)으로 이루어진 홈(9201)이 형성된다. 구동부(930)는 상측 금형(910)을 하측 금형(920)에 대해 상대적으로 움직여 상측 금형(910)의 코어(9101)가 하측 금형(920)의 홈(9201) 내에 삽입되도록 한다. 하측 금형(920)의 홈(9201) 내에 배터리(200) 셀의 재료가 주입된 상태에서 상측 금형(910)의 코어(9101)가 하측 금형(920)의 홈(9201) 내에 삽입되면, 일측이 제1 곡면(11)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타측이 제2 곡면(1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배터리(200) 셀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스 장치를 이용하면, 고온 프레스 공정을 통해 곡면 형상 배터리(200)를 편리하게 제조할 수 있다. 곡면 형상 배터리(200)는 후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면서도 두께가 얇은 이동 단말기를 제조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1: 프론트 케이스 102: 리어 케이스
1010: 평면 프레임 1020: 인쇄회로기판
200: 곡면 형상 배터리 220: 댐퍼
310, 320: 배터리 지지부 11: 제1 곡면
12: 제2 곡면 13: 제3 곡면
14: 제4 곡면

Claims (10)

  1. 프론트 케이스;
    상기 프론트 케이스의 후면에 결합되는 평면 프레임;
    상기 평면 프레임의 후면에 의해 지지되는 인쇄회로기판;
    일측에 제1 곡면을 포함하고 타측에 제2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곡면과 상기 인쇄회로기판 사이에 볼록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에 위치하는 배터리; 및
    상기 간극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곡면과 접하며 상기 제1 곡면에 대응되는 형상의 제3 곡면을 포함하는 배터리 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간극 내부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고,
    상기 배터리 지지부는 상기 제3 곡면을 형성하며 양단이 절곡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후면과 접하는 금속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단부에서 상기 평면 프레임 후면의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의 단부에서 다시 상기 평면 프레임 후면의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평면 프레임의 후면에 접하는 제2 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4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의 후면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상기 제1 곡면 상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접하는 양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 장착 시 압착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배터리와 함께 이중사출 성형되어 상기 배터리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동 단말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곡면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곡면과 접하는 제3 곡면을 적어도 일부에 포함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배터리 사이에서 상기 프론트 케이스와 결합하는 리어 케이스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곡면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4 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의 후면에서 상기 리어 케이스와 결합하는 후면커버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9. 삭제
  10. 삭제
KR1020120101352A 2012-05-15 2012-09-13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764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52A KR101976464B1 (ko) 2012-09-13 2012-09-13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US13/842,509 US9192072B2 (en) 2012-05-15 2013-03-15 Curved mobile terminal with curved battery
CN201310164533.9A CN103428316B (zh) 2012-05-15 2013-05-07 移动终端和用于模制被装备在其中的电池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352A KR101976464B1 (ko) 2012-09-13 2012-09-13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55A KR20140035055A (ko) 2014-03-21
KR101976464B1 true KR101976464B1 (ko) 2019-05-10

Family

ID=5064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35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76464B1 (ko) 2012-05-15 2012-09-13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64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261B1 (ko) * 2015-01-27 2020-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509439B2 (en) 2014-09-02 2019-12-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urved display, display cas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160028126A (ko) * 2014-09-03 2016-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122349B1 (ko) * 2015-11-17 2020-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곡면 표시 영역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9841B1 (ko) * 2008-03-12 2011-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휘어진 형상의 전지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팩
KR101774243B1 (ko) * 2010-11-22 201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055A (ko) 201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92072B2 (en) Curved mobile terminal with curved battery
US8046026B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EP2066126A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US8974246B2 (en) Mobile terminal
KR101919795B1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프레임
CN110138946A (zh) 壳体组件、电子设备及壳体组件的装配方法
US8903459B2 (en) Connecting terminal for a battery of a mobile terminal
KR101976464B1 (ko)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US20120262887A1 (en) Mobile terminal
KR102019120B1 (ko) 버튼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27154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9774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65079A (ko) 단말기
KR101984578B1 (ko) 이동단말기
US8073507B2 (en) Communication device
KR10180491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50387B1 (ko) 이동 단말기
KR101899072B1 (ko)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76182B1 (ko) Fpcb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40045641A (ko)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 내부 프레임의 제조 방법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81315B1 (ko) 이동 단말기
KR20140049222A (ko) 이동 단말기
KR101257092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49090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91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9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42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