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5390B1 - 배터리셀 - Google Patents
배터리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75390B1 KR101975390B1 KR1020130003041A KR20130003041A KR101975390B1 KR 101975390 B1 KR101975390 B1 KR 101975390B1 KR 1020130003041 A KR1020130003041 A KR 1020130003041A KR 20130003041 A KR20130003041 A KR 20130003041A KR 101975390 B1 KR101975390 B1 KR 1019753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gion
- resin
- case
- electrode assembly
- metal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 aluminum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048 anodis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49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25 heat dissip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575 carbonace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89 copper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804 graph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0 graph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5 hard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943 hot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0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3 nega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4 positive electrod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384 soft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prismatic or rectangula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1—Organic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24—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 H01M50/1243—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having a layered structure characterised by the internal coating on the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셀에 관한 것으로, 제1 면이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제1 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에서 연장된 단자부가 노출되는 탑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수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 영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케이스의 적어도 일 영역이 수지를 포함함으로써 경량화가 구현되고 안전성이 향상되는 배터리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배터리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원으로 이차전지가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휴대용 전자 기기가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면서, 이에 따라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이차전지는 충방전하여 복수회 사용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경제적 및 환경적으로도 효과적이므로 그 사용이 장려되고 있다.
또한, 전자 기기에 대한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면서, 이차전지에 대하여도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이차전지는 내부에 리튬 등과 같은 반응성이 큰 물질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안전성을 이유로 소형화 및 경량화시키는데 제약이 되어 왔다. 이에 따라, 이차전지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면서 동시에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고 제조가 용이한 배터리셀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신규한 부재를 채용하여 소형화, 경량화가 가능하면서도 안전성이 향상된 배터리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하기 용이한 배터리셀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은, 제1 면이 개구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는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제1 면에 위치되고 상기 전극조립체에서 연장된 단자부가 노출되는 탑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수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탑부는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제1 면과 대향하는 제2 면에 형성되는 제1 영역, 및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을 연결하는 측면에 형성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되, 상기 제2 영역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부 및 상기 제2 영역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부 및 상기 제2 영역은 열접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영역의 내측면은 양극산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극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제1 영역의 내측면 상에 위치된 절연시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탑부 및 상기 케이스의 제2 영역은 사출성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상호 연결되는 상기 제1 영역의 제1 연결부 및 상기 제2 영역의 제2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연결되는 부분의 최외측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외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 및 상기 제2 영역이 연결되는 부분의 최외측면은 상기 제2 영역의 외측면에 비해 내측으로 인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배터리셀에 따르면, 탑부 및 케이스의 제2 영역을 수지로 구성하여 배터리셀의 경량화를 구현하면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탑부 및 케이스의 제2 영역을 사출로 제조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이에 따라 배터리셀의 제조공정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의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이 연결되는 부분을 단차지게 구성하여 배터리셀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셀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a)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배터리셀(100a)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a)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a)은 전극조립체(110), 전극조립체(110)를 수납하는 케이스(120), 케이스(120)의 개구된 제1 면(120a)에 위치하는 탑부(130), 및 탑부(130)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단자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조립체(110)는 이온 또는 전자의 이동에 의하여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발생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전극조립체(110)는 양극판(111)과 음극판(113) 사이에 세퍼레이터(112)가 개재된 상태로 권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양극판(111) 및 음극판(113)은 각각 알루미늄 금속박과 구리 금속박에 슬러리를 코팅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슬러리는 양극판(111) 및 음극판(113) 각각의 활물질과 활물질을 금속박에 점착하도록 하는 고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리튬 이차전지의 경우, 양극 활물질로는 주로 리튬 함유 산화물이 이용되고, 음극 활물질로는 하드카본, 소프트카본, 흑연 및 탄소물질 중 어느 하나를 주로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리튬 이차전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케이스(120)는 개구된 제1 면(120a)을 통해 전극조립체(110)를 수납하는 부재이다.
여기서, 케이스(120)는 개구된 제1 면(120a)으로 전극조립체(110)를 수용하여 전극조립체(110)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0)의 내부에는 전극조립체(110)와 함께 전해액이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20)의 수평 단면은 모서리가 라운드지게 처리된 사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 케이스(120)의 수평 단면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 또는 타원 형상으로 구현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120)는 각형 또는 원형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배터리셀(100a)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20), 탑부(130), 및 단자부(140)에 대해 더욱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케이스(120)는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21)은 금속을 포함하고 제2 영역(122)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21)은 케이스(120)의 개구된 제1 면(120a)과 대향하는 제2 면(120b)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영역(122)은 제1 면(120a)과 제2 면(120b)을 연결하는 측면(120c)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전극조립체(110)의 하면은 제1 영역(121)이 감싸고 측면은 제2 영역(122)이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21)은 금속을 포함하는 판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20)는 제2 면(120b)을 통해 수냉식 또는 공냉식으로 열을 발산할 수 있는데, 제1 영역(121)이 금속을 포함하는 경우 배터리셀(100a)의 방열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영역(121)은 방열 성능이 좋은 금속,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121)은 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전극조립체(110)와 단락될 수 있으므로, 제1 영역(121)에는 절연시트(12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극조립체(110)와 마주하는 제1 영역(121)의 내측면 상에는 절연시트(123)가 위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조립체(110)가 제1 영역(121)과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배터리셀(100a)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 영역(122)은 전극조립체(110)를 수용할 수 있도록 속이 빈 상태로 길게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122)은 레진, 플라스틱, 핫멜트재와 같은 수지를 포함하며,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케이스(120)의 제2 영역(122)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바, 기존과 같이 금속을 복잡하게 딥드로잉, 프레스 가공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케이스(120)는 제2 면(120b)에 금속을 포함하는 제1 영역(121)이 위치하고 측 면(120c)에 수지를 포함하는 제2 영역(122)이 위치함으로써, 발열 기능을 향상시키면서도 제조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20)가 모두 금속으로 구성된 경우에 비하여 배터리셀(100a)의 무게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이 상호 연결되는 부분의 최외측면은 케이스(120)의 제2 영역(122), 즉 케이스(120)의 측면(120c)과 동일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는, 배터리셀(100a) 외관의 치수에 한계가 있기 때문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영역(122)의 내측에 제1 영역(121)의 외측단을 위치시킴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은 인서트 사출을 통해 제조될 수도 있으며(제1 영역(121)을 금형에 넣고 수지를 사출하여 제2 영역(122)을 형성함), 이에 따라 제1 영역(121) 및 제2 영역(122) 간의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또는, 제2 영역(122)이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2 영역(122)을 제1 영역(121)에 대하여 열압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기존에는 제1 영역과 제2 영역을 모두 금속으로 구성하고 용접으로 연결하기도 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영역(122)과 제1 영역(121)을 열압착 또는 인서트 사출로 연결시키는바, 기존의 용접 공정에 의한 리크(leak)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가의 용접설비에 의한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a)은 제1 영역(121)과 제2 영역(122)간의 결합이 상대적으로 견고하므로, 수분의 유입 또는 전해액의 유출로 인한 안정성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탑부(130)는 케이스(120)의 개구된 제1 면(120a)에 위치되는 부재이다.
여기서, 탑부(130)는 케이스(120)의 개구된 제1 면(120a)을 밀폐함으로써 케이스(120)의 일면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탑부(130)는 수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20)의 제2 영역(122)과 같이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탑부(130)는 케이스(120)의 제2 영역(122)에 예를 들어 열접합 또는 열압착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금속으로 구성된 캡어셈블리를 케이스에 레이저 용접할 때 나타나는 리크(leak)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탑부(130)와 제2 영역(122)은 열접합 또는 열압착으로 결합할 수 있는데, 이에 따라 기존의 용접 공정에 비하여 제조공정이 간단하고 제조비용 및 제조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탑부(130)와 제2 영역(122) 간의 결합이 견고하여, 그 사이로 전해액이 유출되거나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탑부(130)는 수지와 같은 절연물질로 구성되는바, 기존에 비하여 구성이 간단할 수 있다. 기존의 탑부(130)에 대응하는 캡어셈블리는 전극조립체와의 단락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플레이트, 절연플레이트, 단자플레이트, 가스켓 등을 포함하여 구성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a)은 수지를 포함하는 탑부(130)를 구비하는바, 케이스(120)의 개구된 제1 면(120a)을 밀폐하는 구조(기존의 캡어셈블리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탑부(130)는 수지로 구성되어 전해액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고, 전극조립체(110)와 단락될 염려가 거의 없을 수 있다.
한편, 탑부(130)에는 단자부(140)가 관통되는 단자홀(131), 전해액의 주입을 위한 전해액 주입구, 및 설정된 압력에서 개방되는 벤트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140)는 탑부(130)로부터 외부를 향해 연장되는 부재로서, 배터리셀(100a)이 발생시키는 전기화학적 에너지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자부(140)는 일단이 전극조립체(110)와 연결되고 타단이 탑부(130)의 단자홀(131)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단자부(140)는 각각 음극과 양극을 갖는 단자부(140)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극조립체(110)의 양극판(111)에는 양극단자부(141)가 연결되고 음극판(113)에는 음극단자부(142)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양극단자부(141)와 음극단자부(142)는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한편, 단자부(140)는 별도로 탑부(130)에 단자홀(131)을 형성한 후 이를 관통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탑부(130)의 사출시 인서트하여 인서트사출을 통해 탑부(130)와 결합된 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인서트사출의 경우 탑부(130)와 단자부(140)가 밀착될 수 있으므로, 내부의 전해액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외부의 수분이 침투될 염려가 없으며, 별도의 단자홀(131)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제조공정이 간단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b, 100c)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b, 100c)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지칭되며, 이전 실시예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b, 100c)은 탑부(230, 330)와 케이스(220, 320)의 제2 영역(222, 3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제1 영역(221, 321)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양극산화(Anodizing)될 수 있으며, 제1 영역(221, 321)과 제2 영역(222, 322)이 만나는 지점이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탑부(230, 330)와 케이스(220, 320)의 제2 영역(222, 322)은 예를 들어 사출공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탑부(230, 330)와 케이스(220, 320)의 제2 영역(222, 322)을 열접합시키는 공정이 생략되며, 공정시간 및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또한, 탑부(230, 330)와 제2 영역(222, 322)을 사출할 때 단자부(140)를 인서트하여, 탑부(230, 330), 제2 영역(222, 322), 단자부(140)를 하나의 세트로 제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221, 321)과 전극조립체(110)가 단락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영역(221, 321)을 양극산화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21, 321)이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경우 제1 영역(221, 321)을 직류 전원의 양극에 접속하여 산성 용액(전해질 용액) 중에 침지함으로써 제1 영역(221, 321)의 표면에 알루미나로 구성된 양극산화층(223, 323)을 형성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제1 영역(221, 321)의 표면이 전해질 용액(electrolyte;acid solution)과 반응하여 경계면에서 알루미늄 이온(Al3 +)이 형성되고, 제1 영역(221, 321)에 가해지는 전압에 의해 제1 영역(221, 321)의 표면에 전류밀도가 집중되어 국부적인 열이 발생하며, 열에 의하여 더욱 많은 알루미늄 이온이 형성된다. 그 결과, 제1 영역(221, 321)의 표면에 복수의 홈이 형성되고, 산소 이온(O2 -)이 전기장의 힘으로 상기 홈으로 이동하여 전해질 알루미늄 이온과 반응함으로써 알루미나층으로 구성된 양극산화층(223, 323)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1 영역(221, 321)에 형성된 양극산화층(223, 323)은 전극조립체(110)와의 단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제1 영역(221, 321)의 양면 중 전극조립체(110)를 마주하는 내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1 영역(221, 321)에 양극산화층(223)이 형성되는 경우 양극산화층(223)은 수지 등으로 구성되는 절연시트에 비해 방열효과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셀(100b, 100c)의 방열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221, 321) 및 제2 영역(222, 322)이 상호 연결되는 제1 영역(221, 321)의 제1 연결부(224, 324) 및 제2 영역(222, 322)의 제2 연결부(225, 325) 중 적어도 하나는 절곡될 수 있다.
이는 제1 영역(221, 321)과 제2 영역(222, 322) 간의 결합면적을 향상시킴으로써 상호 결합력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제1 영역(221, 321)은 금속으로 구성되고 제2 영역(222, 322)은 수지로 구성되기 때문에 상호 간 결합력이 약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영역(221, 321) 및 제2 영역(222, 322)의 연결부(224, 225, 324, 325)를 절곡시킴으로써 상호 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221)의 제1 연결부(224)는 그대로 둔 채 제2 영역(222)의 제2 연결부(225)를 제1 연결부(224)의 내측으로 절곡시킬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연결부(324)와 제2 연결부(325)를 모두 절곡시킬 수도 있으며, 제2 연결부(225, 325)는 그대로 둔 채 제1 영역(121, 221)의 제1 연결부(224, 324)를 제2 연결부(225, 325)의 내측으로 절곡시킬 수도 있다. 이때, 배터리셀(100b, 100c)의 치수를 고려하면, 제1 영역(221)과 제2 영역(222)이 연결되는 부분(제1 연결부(224)와 제2 연결부(225)가 연결된 부분)의 최외곽면은 제2 영역(222), 즉 케이스(220)의 측면(220c)과 동일평면이거나(도 4 참조), 제1 영역(321)과 제2 영역(322)이 연결되는 부분의 최외곽면은 케이스(320)의 측면(320c)보다 내측으로 인입되도록(도 5 참조)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셀(100d)의 단면도이다. 이하, 이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420)의 제1 영역(421)과 제2 영역(422)의 연결관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영역(421)의 제1 연결부(424) 또는 제2 영역(422)의 제2 연결부(425)는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424)와 제2 연결부(425)의 단차 방향은 서로 반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연결부(424)와 제2 연결부(425)가 연결되면 연결된 부분의 양면이 각각 제2 영역(422)의 외측면 및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부(424)와 제2 연결부(425)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경우 연결된 부분의 면이 내측 또는 외측, 어느 방향으로도 돌출되지 않으므로 배터리셀(100d)의 치수 조절, 용량 조절에 보다 유리하여, 배터리셀(100d)의 소형화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셀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10 : 전극조립체 120, 220, 320, 420 : 케이스
121, 221, 321, 421 : 제1 영역 122, 222, 322, 422 : 제2 영역
123 : 절연시트 130, 230, 330 : 탑부
131 : 단자홀 140 : 단자부
223, 323 : 양극산화층 224, 324, 424 : 제1 연결부
225, 325, 425 : 제2 연결부
121, 221, 321, 421 : 제1 영역 122, 222, 322, 422 : 제2 영역
123 : 절연시트 130, 230, 330 : 탑부
131 : 단자홀 140 : 단자부
223, 323 : 양극산화층 224, 324, 424 : 제1 연결부
225, 325, 425 : 제2 연결부
Claims (14)
- 전극조립체; 및
상기 전극조립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배터리셀로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전극조립체에서 연장되는 양극단자부 및 음극단자부가 인출되는 탑부;
상기 탑부와 반대되는 바닥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금속부;
상기 탑부와 바닥부를 연결하는 측면부의 외면을 형성하는 수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부의 제1 연결부와 수지부의 제2 연결부는 서로 겹쳐지며 연결되되, 상기 수지부의 제2 연결부는 금속부의 제1 연결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는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 및 상기 수지부는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 및 상기 수지부는 열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는 알루미늄 또는 마그네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금속부의 내측면은 양극산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조립체와 마주하는 상기 금속부의 내측면 상에 위치된 절연시트;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부 및 상기 케이스의 수지부는 사출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 및 상기 수지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최외측면은 상기 수지부의 외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부 및 상기 수지부가 연결되는 부분의 최외측면은 상기 수지부의 외측면에 비해 내측으로 인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041A KR101975390B1 (ko) | 2013-01-10 | 2013-01-10 | 배터리셀 |
US14/097,577 US20140193705A1 (en) | 2013-01-10 | 2013-12-05 | Battery cel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03041A KR101975390B1 (ko) | 2013-01-10 | 2013-01-10 | 배터리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90869A KR20140090869A (ko) | 2014-07-18 |
KR101975390B1 true KR101975390B1 (ko) | 2019-05-07 |
Family
ID=51061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03041A KR101975390B1 (ko) | 2013-01-10 | 2013-01-10 | 배터리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140193705A1 (ko) |
KR (1) | KR10197539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86204B1 (ko) * | 2017-01-04 | 2021-08-0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고분자 수지에 의해 밀봉된 각형 전지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8731B1 (ko) * | 2005-03-21 | 2006-11-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138640B1 (ko) * | 2008-04-18 | 2012-04-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기절연성 소재의 캔으로 이루어진 각형 전지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929185A (zh) * | 2005-09-08 | 2007-03-14 | 黄穗阳 | 电动车用胶体电解质锂离子动力电池 |
JP4458145B2 (ja) * | 2007-10-15 | 2010-04-28 | ソニー株式会社 | 電池パッ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
JP4470124B2 (ja) * | 2008-06-13 | 2010-06-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電池 |
US20110039128A1 (en) * | 2009-08-11 | 2011-02-17 | Samsung Sdi Co., Ltd. | Battery pac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US9240578B2 (en) * | 2010-03-09 | 2016-01-19 | Samsung Sdi Co., Ltd. | Secondary battery |
KR101222246B1 (ko) * | 2011-01-10 | 2013-01-16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2013
- 2013-01-10 KR KR1020130003041A patent/KR101975390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3-12-05 US US14/097,577 patent/US20140193705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8731B1 (ko) * | 2005-03-21 | 2006-11-2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1138640B1 (ko) * | 2008-04-18 | 2012-04-26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기절연성 소재의 캔으로 이루어진 각형 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40193705A1 (en) | 2014-07-10 |
KR20140090869A (ko) | 2014-07-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48031B2 (en) | Rechargeable battery having multiple cases | |
US9530999B2 (en) | Secondary battery module | |
US9136524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264495B1 (ko) |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 | |
KR101222269B1 (ko) | 이차 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KR101233470B1 (ko) | 이차 전지 | |
US20120288744A1 (en) | Battery module | |
KR101726907B1 (ko) | 제한된 전류 경로를 갖는 체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 |
KR101720611B1 (ko) | 이차 전지 | |
US20120219834A1 (en) | Secondary battery | |
US9570780B2 (en) | Rechargeable battery | |
KR20180044088A (ko) | 이차 전지 및 그 모듈 | |
KR101657334B1 (ko) | 이차 전지 | |
US9461295B2 (en) | Rechargeable battery including terminal portion having auxiliary plate for reducing current flow along short circuit current path | |
US9692034B2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222261B1 (ko) | 이차 전지 | |
JP2010092592A (ja) | 電池 | |
KR101113557B1 (ko) | 이차전지 | |
KR101658973B1 (ko) |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모듈 | |
US9017850B2 (en) | Secondary battery | |
US20120156532A1 (en) | Secondary battery | |
KR101975390B1 (ko) | 배터리셀 | |
KR20040058922A (ko) | 각형 리튬 이차 전지 | |
KR101706403B1 (ko) | 이차 전지 | |
KR20230089378A (ko) |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