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385B1 -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2385B1 KR101962385B1 KR1020180097527A KR20180097527A KR101962385B1 KR 101962385 B1 KR101962385 B1 KR 101962385B1 KR 1020180097527 A KR1020180097527 A KR 1020180097527A KR 20180097527 A KR20180097527 A KR 20180097527A KR 101962385 B1 KR101962385 B1 KR 1019623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ju
- weight
- parts
- mixture
- w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3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2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8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9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41000512259 Ascophyllum nod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5000014066 European mistleto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2300 Rhipsalis cassuth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1343 solid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OWEGMIWEEQEYGQ-UHFFFAOYSA-N 100676-05-9 Natural products OC1C(O)C(O)C(CO)OC1OCC1C(O)C(O)C(O)C(OC2C(OC(O)C(O)C2O)CO)O1 OWEGMIWEEQEYGQ-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330 Armoracia rustican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0000003291 Armoracia rustican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4000020551 Helianthus annuu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03222 Helianthus annu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PICCSMPSSA-N Maltose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CO)O[C@@H]1O[C@@H]1[C@@H](CO)OC(O)[C@H](O)[C@H]1O GUBGYTABKSRVRQ-PICCSMPS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303 weig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628997 Flos Species 0.000 claims 2
- 244000152640 Rhipsalis cassutha Species 0.000 claims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30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1
- 235000011511 Diospyro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7
- 244000236655 Diospyros kak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08504 concentra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41000221012 Vis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8553 tann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29920001864 tann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1648 tann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40000002853 Nelumbo nucifera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35000006508 Nelumbo nucifer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5000006510 Nelumbo pentapeta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9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3205 fragr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1672694 Citrus reticula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5429 Mirabilis expan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4000294411 Mirabilis expans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536 miso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733 Citrus aurant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40000004371 Panax ginseng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11941 Tilia x europa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571 lim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58 bitte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44000291564 Allium cep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06010010774 Constip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43 conditio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57 hong shi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61 Artemisia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0000006891 Artemisia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331 Pinus X rigitaed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613 Pinus brut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018646 Pinus brut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REFJWTPEDVJJIY-UHFFFAOYSA-N Quercetin Chemical compound C=1C(O)=CC(O)=C(C(C=2O)=O)C=1OC=2C1=CC=C(O)C(O)=C1 REFJWTPEDVJJ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597 Solanum melonge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4000061458 Solanum melongen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YKPUWZUDDOIDPM-SOFGYWHQSA-N 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1O YKPUWZUDDOIDPM-SOFGYWHQ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9 condim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935 flavonoid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7173 flavono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215 flavo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73 siev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IIZPXYDJLKNOIY-JXPKJXOSSA-N 1-palmitoyl-2-arachidonoyl-sn-glycero-3-phosphocholine Chemical compound CCCCCCCCCCCCCCCC(=O)OC[C@H](COP([O-])(=O)OCC[N+](C)(C)C)OC(=O)CCC\C=C/C\C=C/C\C=C/C\C=C/CCCCC IIZPXYDJLKNOIY-JXPKJXOS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9300 Apodytes dimidi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3210 Arteri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3659 Aver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5254 Cannabis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516 Chrysanthem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89548 Chrysanthemum x morifol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ZZZCUOFIHGPKAK-UHFFFAOYSA-N D-erythro-ascorbic acid Natural products OCC1OC(=O)C(O)=C1O ZZZCUOFIHGPKA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723267 Diospyro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9133 Hangov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UPYKUZBSLRQECL-UKMVMLAPSA-N Lycopene Natural products CC(=C/C=C/C=C(C)/C=C/C=C(C)/C=C/C1C(=C)CCCC1(C)C)C=CC=C(/C)C=CC2C(=C)CCCC2(C)C UPYKUZBSLRQECL-UKMVMLAP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688 Lycopersicon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135 Micromeria julian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7627 Miliar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3855 Orchid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4347 Perill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124853 Perilla frutescen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ZLMJMSJWJFRBEC-UHFFFAOYSA-N Potassium Chemical compound [K] ZLMJMSJWJFRBE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60 Punica grana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294611 Punica grana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ZVOLCUVKHLEPEV-UHFFFAOYSA-N Quercetaget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O)C(O)=C(O)C=C2O1 ZVOLCUVKHLEPE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WTZYBCRDDUBJY-UHFFFAOYSA-N Rhynchosin Natural products C1=C(O)C(O)=CC=C1C1=C(O)C(=O)C2=CC(O)=C(O)C=C2O1 HWTZYBCRDDUBJ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315 Satureja hort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114 Satureja hort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768 Solanum lycopersic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07 Trit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98338 Triticum aestiv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68 Vitamin C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775 arteriosclerosi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663 capsa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504 capsai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6 carote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473 caroten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66 caroteno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47 caroteno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39 cerea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11 coo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40 cultured mil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13 extrap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9 fruit flav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2 hotdog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47 intestinal mucos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MWDZOUNAPSSOEL-UHFFFAOYSA-N kaempferol Natural products OC1=C(C(=O)c2cc(O)cc(O)c2O1)c3ccc(O)cc3 MWDZOUNAPSSOE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960 ketch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7 lecith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5 lecith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67606 lecith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91 liqu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7939 mictu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7 pec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814 pec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77 pec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96 poisonous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8442 polyphenolic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24 polyphenol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7 pork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1 potas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0 potas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5 protein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285 quercet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75 quercet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6 saliv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520 ski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3504 soybean preparati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784 stomach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9 sus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IULZGUODBGJK-UHFFFAOYSA-L trisulfane-1,3-disulfonate Chemical compound [O-]S(=O)(=O)SSSS([O-])(=O)=O JEIULZGUODBGJK-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NCYCYZXNIZJOKI-UHFFFAOYSA-N vitamin A aldehyde Natural products O=CC=C(C)C=CC=C(C)C=CC1=C(C)CCCC1(C)C NCYCYZXNIZJOK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54 vitamin 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18 vitamin 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09 water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9 wheat br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70—Germinated pulse products, e.g. from soy bean sprouts
-
- A23L11/20—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추장의 제조 방법은, 외피와 씨를 제거한 홍시를 준비하는 홍시준비단계와; 고두밥과 엿기름, 물을 혼합한 다음 60 ~ 80℃의 온도로 5 ~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상층부의 당화액을 수득한 다음 당화액을 증자기에 투입하여 가열 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단계와; 상기 농축액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되, 농축액의 온도가 55℃에 이르렀을 때, 상기 홍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홍시조청을 제조하는 홍시첨가단계와; 고추가루 100 중량부와, 상기 고추가루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메주가루, 상기 홍시조청 50 ~ 100 중량부, 천일염 1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4 ~7개월 동안 숙성시켜 홍시 고추장을 제조하는 혼합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엿기름을 이용한 물엿 제조 공정의 마무리 즉, 당화액의 가열 농축이 끝난 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온도에서 홍시를 넣고 교반시켜 물엿을 제조함으로써 홍시가 갖고 있는 유용 성분이 열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식감과 맛, 향을 가진 고추장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고추장의 제조 방법은, 외피와 씨를 제거한 홍시를 준비하는 홍시준비단계와; 고두밥과 엿기름, 물을 혼합한 다음 60 ~ 80℃의 온도로 5 ~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상층부의 당화액을 수득한 다음 당화액을 증자기에 투입하여 가열 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단계와; 상기 농축액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되, 농축액의 온도가 55℃에 이르렀을 때, 상기 홍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홍시조청을 제조하는 홍시첨가단계와; 고추가루 100 중량부와, 상기 고추가루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메주가루, 상기 홍시조청 50 ~ 100 중량부, 천일염 1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4 ~7개월 동안 숙성시켜 홍시 고추장을 제조하는 혼합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엿기름을 이용한 물엿 제조 공정의 마무리 즉, 당화액의 가열 농축이 끝난 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온도에서 홍시를 넣고 교반시켜 물엿을 제조함으로써 홍시가 갖고 있는 유용 성분이 열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식감과 맛, 향을 가진 고추장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추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맛과 향 및 식감이 우수한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고추장은 일반적으로 분말상태의 메주와 고춧가루 및 기타의 재료를 혼합한 후 숙성시켜 만든 것으로, 우리의 음식 문화에 없어서는 안 되는 대한 민국 고유한 장류 중의 하나이며, 고추 분, 찹쌀, 콩의 발효 물에서 유래된 단백질, 당류, 카로틴, 비타민과 캡사이신, 대두 펩타이드 등 영양성분 및 생리활성물질이 함유되고, 매운맛, 단맛, 감칠맛이 잘 조회된 특성이 있어 칠리, 타바스코 및 토마토 케찹과 같은 서양의 다용도 소스 못지 않게 각종 요리에 이용가치가 높다.
특히 최근에 들어 우리 고유의 음식 또는 양념류를 외국에 널리 알리고자 많은 종류의 음식과 양념류를 현시대의 음식문화에 맞도록 개발하고 있다.
한편, 감은 떫은 맛을 내는 탄닌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탄닌은 수렴작용을 하기 때문에 장의 점막을 수축시켜 설사를 멎게하고 또한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동맥 경화, 고혈압에 좋은 영향을 미치고, 다른 과실보다 단백질과 지방, 탄수화물, 회분과, 철분 등이 많고 특히, 칼륨의 함량이 많아서 먹으면 일시 체온을 낮추기도 하고 또한 함유된 구연산은 청뇨, 근육탄력조장 등에 좋으며, 카로틴과 비타민C가 많아 감기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포도당과 당질은 숙취를 풀어준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홍시는 맛은 달지만 성질은 차가우며 독이 없고 심폐를 부드럽게 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폐위와 심열(심화로 생기는 열)을 낫게 하고 열독(더위로 일어나는 발진)과 주독(술독)을 풀어주며 토혈을 그치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감을 고추장 제조에 적용한 기술로, "연시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75030호, 특허문헌 1)에는 찹쌀, 고춧가루, 메주가루, 소금, 간장, 물, 엿기름 혼합시 연시를 함께 혼합하여 제조하는 공정이 공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배합원료와 혼합하기 전에 연시를 60℃ 정도의 온도로 서서히 끓인 후 체로 치고 삼베를 이용하여 여과시켜 액상만을 수득하여 다른 원료와 혼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고추장 제조시 감 농축액을 활용하는 경우 감 특유의 향이 고추장에 베이게 되므로 감 냄새에 대한 혐오감이 있는 사람의 경우 취식에 거부감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다.
또, 연시에는 곶감과 마찬가지로 탄닌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배탈과 설사를 멎게 해주는 반면 다량 섭취시 변비를 유발할 우려가 있다.
한편, 감에는 비타민 C, 카로티노이드, 펙틴 등 몸에 유익한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이러한 성분들은 열에 의해 쉽게 파괴되기 때문에 열 처리된 홍시를 이용할 경우 유용 성분을 최대한 취식자에게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엿기름을 이용한 물엿 제조 공정의 마무리 즉, 당화액의 가열 농축이 끝난 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온도에서 홍시를 넣고 교반시켜 물엿을 제조함으로써 홍시가 갖고 있는 유용 성분이 열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식감과 맛, 향을 가진 고추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또, 메주가루를 일반 메주만으로 구성하지 않고, 엄나무와 황태를 포함하는 육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메주가루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고추장의 감칠맛을 가일층 높일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또한, 고추가루 등의 재료 첨가시 상기 발효메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간장을 첨가함으로써 감칠맛은 배가시킬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특히, 발효메주와 전통간장은 특유의 발효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된장용 발효 메주 및 간장 첨가에도 불구하고 쾌쾌한 냄새를 최소화하여 양질의 고추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고추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피와 씨를 제거한 홍시를 준비하는 홍시준비단계와; 고두밥과 엿기름, 물을 혼합한 다음 60 ~ 80℃의 온도로 5 ~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상층부의 당화액을 수득한 다음 당화액을 증자기에 투입하여 가열 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단계와; 상기 농축액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되, 농축액의 온도가 55℃에 이르렀을 때, 상기 홍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홍시조청을 제조하는 홍시첨가단계와; 고추가루 100 중량부와, 상기 고추가루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메주가루, 상기 홍시조청 50 ~ 100 중량부, 천일염 1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4 ~7개월 동안 숙성시켜 홍시 고추장을 제조하는 혼합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메주가루는 불린 메주콩을 솥에 넣어 증숙 처리한 다음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고추장용 메주를 수득한 다음 고추장용 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일반메주가루 93 ~ 98 중량%와,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한 후 메주육수에 세척된 메주콩을 첨가하여 찐 다음 40 ~ 60일 동안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발효메주가루 2 ~ 7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한 후, 메주육수에 세척된 메주콩을 첨가하여 찐 다음 40 ~ 6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수득하고, 엄나무와 황태를 포함하는 고형물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여 장육수를 제조한 후, 장육수와 상기 발효메주, 천일염을 혼합하여 옹기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발효시켜 원료간장과 원료된장을 제조한 다음, 원료간장만을 분리하고, 원료간장에 원료간장 100 중량부 대비 삼채 4 ~ 6 중량부와, 겨우살이 2 ~ 3 중량부를 투입한 후 2 ~ 3년 동안 발효시켜 전통간장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숙성단계에서 상기 전통간장을 고추가루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전통간장은, 메주콩 100 중량부를 세척하여 준비하는 콩준비단계와; 상기 메주콩 100 중량부 대비 7.0 ~ 7.5 중량부의 엄나무, 13 ~ 15 중량부의 황태, 6 ~ 8 중량부의 멸치, 6 ~ 8 중량부의 다시마, 250 ~ 300 중량부의 미네랄수를 준비한 후 준비된 원료를 혼합한 다음 90 ~ 1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하는 메주육수제조단계와; 상기 세척된 콩을 가열 용기에 투입하고, 메주육수를 첨가한 후 3 ~ 4시간 동안 90 ~ 100℃로 가열하여 찐 다음 일정 형태로 성형하여 메주를 제조하는 가열성형단계와; 상기 제조된 메주를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제조하는 1차발효단계와; 상기 메주육수제조단계에서 걸러낸 고형물과, 연잎, 율피, 천일염 및 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원료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60 ~ 70℃의 온도로 10 ~ 20분 동안 가열하여 장육수를 제조하는 장육수제조단계와; 상기 장육수와, 천일염, 발효메주를 옹기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2차발효단계와; 상기 2차발효단계 후 옹기 내부에서 고형물을 분리한 후 액상의 원료간장만을 수득하는 분리단계와; 액상의 원료간장을 계량하여 100 중량부를 옹기에 투입한 다음, 옹기에 삼채 4 ~ 6 중량부와, 겨우살이 2 ~ 3 중량부를 투입하는 부재료첨가단계와; 상온에서 2 ~ 3년 동안 발효시킨 후 고형물을 분리 제거한 후 액상의 전통 간장을 제조하는 3차발효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숙성단계는, 고형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연잎 1.5 ~ 3중량부, 율피 1.2 ~ 1.4 중량부, 천일염 20 ~ 30 중량부, 물 500 ~ 800 중량부를 계량하여 고형물과 혼합한 후,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2 ~ 3개월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엿기름을 이용한 물엿 제조 공정의 마무리 즉, 당화액의 가열 농축이 끝난 후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일정 온도에서 홍시를 넣고 교반시켜 물엿을 제조함으로써 홍시가 갖고 있는 유용 성분이 열로 인해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식감과 맛, 향을 가진 고추장이 제공된다.
또, 메주가루를 일반 메주만으로 구성하지 않고, 엄나무와 황태를 포함하는 육수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메주가루를 활용함으로써 보다 고추장의 감칠맛을 가일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고추가루 등의 재료 첨가시 상기 발효메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통간장을 첨가함으로써 감칠맛은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발효메주와 전통간장은 특유의 발효향을 최소화시킴으로써 된장용 발효 메주 및 간장 첨가에도 불구하고 쾌쾌한 냄새를 최소화하여 양질의 고추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실험예 1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험예 3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는 실험예 2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3은 실험예 3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본 발명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은 크게 홍시준비단계, 농축단계, 홍시첨가단계, 혼합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1. 홍시준비단계
외피와 씨를 제거한 홍시를 준비한다.
홍시는 생 감의 떫은 맛이 제거되어 붉은색으로 말랑말랑헤 무르익은 상태를 지칭한다.
감이 떫은 맛을 내는 것은 감 속에 디오스프린이라는 타닌 성분이 있기 때문인데, 이 성분은 수용성이기 때문에 입 안에서 침과 섞여 녹아 떫은 맛을 내는 것이며, 이 타닌 성분이 변비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떫은 맛을 제거하는 것을 탈삽이라고 하는데 탈삽은 수용성 타닌 성분을 불용성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타닌 성분을 제거하는 것은 아니다.
홍시에는 이처럼 타닌 성분이 불용성으로 변화한 상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위장에서의 흡수가 홍시 이전에 비해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변비를 일으킬 가능성은 다른 감을 활용하는 경우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2. 농축단계
고두밥과 엿기름, 물을 혼합한 다음 60 ~ 80℃의 온도로 5 ~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상층부의 당화액을 수득한 다음 당화액을 증자기에 투입하여 가열 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한다.
이러한 농축단계는 통상의 엿기름을 이용한 조청 제조 공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고두밥 대신 찹쌀밥, 밀 등 다양한 곡물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할 것이다.
3. 홍시첨가단계
상기 농축액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되, 농축액의 온도가 55℃에 이르렀을 때, 상기 홍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홍시조청을 제조한다.
홍시를 가열 농축 과정에 첨가할 경우 홍시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유용 성분이 열에 의해 파괴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이를 최대한 억제하여 홍시 특유의 유용 성분이 최대한 고추장에 포함될 수 있도록 하였다.
더 나아가 타닌 성분은 열을 가하면 다시 활성화되어 떫은 맛을 내게 되는 바, 본 발명에서는 홍시를 저온 상태에서 첨가하기 때문에 감의 첨가로 인한 떫은 맛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4. 혼합숙성단계
고추가루 100 중량부와, 상기 고추가루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메주가루, 상기 홍시조청 50 ~ 100 중량부, 천일염 1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4 ~7개월 동안 숙성시켜 홍시 고추장을 제조한다.
이때, 홍시조청이 50 중량부 미만일 경우 단 맛이 적고, 10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떫은 맛을 느끼게 되고, 과일향이 너무 강해 취식에 부적합해진다.
상기 조성에서 메주가루는 통상적으로 고추장 제조용으로 사용하는 메주를 이용한다.
일 예로 불린 메주콩을 솥에 넣어 증숙 처리한 다음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자연 발효 또는 입국 발효시켜 고추장용 메주를 수득한 다음 고추장용 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 간장 제조용 메주를 고추장용 메주에 미량 첨가할 경우 감칠맛이 보다 향상된다.
이는 지역에 따른 고추장 제조 공정에서 알려져 있는 바이다.
그런데, 이러한 고추장용 메주를 첨가할 경우 감칠맛은 높여주지만 간장 메주 특유의 발효향 때문에 퀘퀘한 냄새로 인해 취식 선호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이러한 발효향을 억제한 간장 제조용 메주를 활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불린 메주콩을 솥에 넣어 증숙 처리한 다음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고추장용 메주를 수득한 다음 고추장용 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일반메주가루 93 ~ 98 중량%와,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한 후 메주육수에 세척된 메주콩을 첨가하여 찐 다음 40 ~ 60일 동안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발효메주가루 2 ~ 7 중량%를 혼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발효메주는 본 출원인이 실험해본 결과 여타의 된장/간장 제조용 메주에 비해 퀘퀘한 냄새가 훨씬 적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된장이나 간장을 제조한 후에도 냄새가 훨씬 적었다.
이때, 발효메주가루가 메주가루 전체 중량의 2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감칠맛의 증진 효과가 미비했으며, 7%를 초과할 경우 옹기 보관시 발효 속도가 빠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전술한 된장용 발효메주를 이용하여 본 출원인은 전통 간장을 제조해보았는데, 이 전통 간장을 첨가하는 경우 감칠맛이 보다 더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이를 위한 전통은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한 후, 메주육수에 세척된 메주콩을 첨가하여 찐 다음 40 ~ 6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수득하고,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장육수를 제조한 후, 장육수와 상기 발효메주, 천일염을 혼합하여 옹기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발효시켜 원료간장과 원료된장을 제조한 다음, 원료간장만을 분리하고, 원료간장에 원료간장 100 중량부 대비 삼채 4 ~ 6 중량부와, 겨우살이 2 ~ 3 중량부를 투입한 후 2 ~ 3년 동안 발효시켜 전통간장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숙성단계에서 상기 전통간장을 고추자루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 첨가하면 된다.
전통간장의 첨가량이 2 %를 초과할 경우에는 퀘퀘한 냄새가 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1% 미만일 경우에는 감칠맛의 증진 효과를 느끼기 어려웠다.
전통간장의 제조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콩준비단계
메주콩을 세척하여 준비한다.
2) 메주육수제조단계
메주콩을 삶을 때 일반 물로 삶는 것이 아니라, 특유의 육수를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한다.
황태는 강원도 진부령의 고산 지대에서 영하 10℃가 넘는 겨울철에 밤에는 얼었다가 낮에는 녹았다 하는 과정을 6개월 가량 반복하여 말린 명태를 말린 것으로, 단백질 함량이 56%를 넘게 포함되어 있으며, 간 기능 향상 등에 유용한 성분이 다량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해장국 원료로 자주 사용되며, 또한 물에 오래 끓였을 때 감칠맛을 내 육수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이러한 가열 과정을 거치게 되면 단백질 가수 분해에 따른 조미 성분이 육수에 포함되게 되며, 이 성분을 이용하여 콩을 삶은 후 후술하는 발효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감칠맛을 배가시키면서 벌레 발생, 변질 발생 확률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엄나무는 소염, 간 기능 향상, 기관지, 피부질환, 당뇨 등에 대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성질이 평하여 약재로써 뿐만 아니라 백숙 등의 음식의 조리에도 자주 사용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우연한 기회에 황태를 이용하여 육수를 끓여 낼 때 엄나무를 함께 첨가해본 결과 삶은 콩을 이용하여 메주를 띄웠을 때 통상의 메주에 비해 구수한 냄새가 적게 남을 알게 되어 이를 활용하게 되었다.
한편, 메주육수의 재료로 사용되는 멸치와 다시마는 통상의 육수 제조 과정에서 첨가되는 원료로 이들은 감칠맛을 높여 주는데 일조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구성에서 메주육수는 준비된 메주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 7.5 중량부의 엄나무, 13 ~ 15 중량부의 황태, 6 ~ 8 중량부의 멸치, 6 ~ 8 중량부의 다시마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육수를 제조하기 위한 물은 대략 250 ~ 350 중량부 정도 포함됨이 바람직하다.
만일 메주콩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황태가 13 중량부 미만일 경우 감칠맛이 떨어지고, 1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제조된 장에서 특유의 구린 발효향이 느껴지게 된다.
또, 엄나무가 7중량부 미만일 경우 역시 구린 발효향이 느껴지게 되며, 엄나무가 7.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장에서 약초향이 나서 대중적인 취식 선호도를 저하시키기게 된다.
또한, 멸치와 다시마가 각각 최소 중량부 미만 사용될 경우 감칠맛이 적게 느껴지고, 최대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바다 비린내가 느껴지게 된다.
더하여, 메주육수 제조를 위한 가열 시간은 2 ~ 3시간 정도가 적당하다.
3) 가열성형단계
상기 메주육수에 세척된 메주콩을 첨가한 후 가마솥 등과 같은 가열용기에 넣어 3 ~ 4시간 동안 90 ~ 100℃로 가열하여 쪄 메주를 제조한다.
가열은 초기에 강불로 하여 메주육수가 펄펄 끓게 한 다음 약불로 전환하여 가열한다.
4) 1차발효단계
상기 제조된 메주를 실내온도 30℃ 내외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말려 표면이 꾸덕해질 때가지 건조시킨 다음 통기가 잘 이루어지는 공간에서 40 ~ 80일 정도 건조 및 발효시켜 표면에 곰팡이가 고르게 형성된 발효메주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발효메주를 첨가하는 경우 가열성형단계를 거쳐 제조된 메주를 분쇄하여 일반 고추장용 메주와 첨가하여 사용하면 된다.
5) 숙성단계
상기 메주육수제조단계에서 걸러낸 고형물과, 연잎, 율피, 천일염 및 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형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연잎 1.5 ~ 3중량부, 율피 1.2 ~ 1.4 중량부, 천일염 20 ~ 30 중량부, 물 500 ~ 800 중량부를 계량하여 고형물과 혼합한 후,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2 ~ 3개월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도록 한다.
연잎에는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고, 레시틴 등의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율피 역시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연잎에는 탄닌이 거의 없는 반면, 율피에는 탄닌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시중에 알려진 연잎 효소는 연잎과 설탕을 반반으로 버무려 숙성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율피는 열수추출을 통해 음료, 화장품 등의 원료로 사용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본 출원인은 우연한 기회로 메주육수를 제조하고 남은 고형물을 연잎이 저장된 옹기에 저장한 적이 있는데, 몇달이 지났는데도 옹기 내부에서 냄새가 적게 나는 것에 착안하여 이를 활용하기 위한 여러 재료를 찾아 실험해본 결과, 율피를 추가로 활용하여 숙성시킬 경우 비선호 발효향은 최소화시키면서 고소하고 구수한 향이 나서 선호도가 높아짐을 알 수 알게 되었다.
이때, 천일염을 함께 첨가하는 것은 숙성 과정에서의 부패를 억제하는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연잎 및 율피 사용으로 인한 각 원료 특유의 냄새를 억제하는 효과를 갖게 됨을 알 수 있었다.
6) 장육수제조단계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원료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60 ~ 70℃의 온도로 10 ~ 20분 동안 가열하여 장육수를 제조한다.
이처럼 메주육수를 제조할 때 사용한 고형물을 재활용하여 숙성시켜 장육수제조시 활용하도록 하는 구성은 메주육수에 포함되지 못하고 남은 황태의 살점과 뼈에서 진한 국물이 우러나오게 할 뿐만 아니라, 이 국물을 바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연잎, 율피 및 천일염과 혼합된 채 2 ~ 3개월 동안 숙성되는 과정을 거침으로써 감칠맛을 내는 조미 성분을 최대한 용출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염수와 함께 혼합된 채 숙성되는 과정을 거쳐 특유의 비선호 발효향을 억제해주게 된다.
또, 장육수 제조시 가열 온도는 메주육수 제조시보다 낮은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숙성 과정에서 발생한 미생물들의 사멸을 방지하였다.
7) 2차발효단계
상기 장육수와, 천일염, 발효메주를 옹기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발효시킨다.
이때, 발효메주, 장육수 및 천일염은 1 : 2 ~ 4, 0.2 ~ 0.3의 중량비로 혼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8) 분리단계
상기 2차발효단계 후 옹기 내부에서 고형물을 분리한 후 액상의 원료간장만을 수득한다.
9) 부재료첨가단계
액상의 원료간장을 계량하여 100 중량부를 옹기에 투입한 다음, 옹기에 삼채 4 ~ 6 중량부와, 겨우살이 2 ~ 3 중량부를 투입한다.
삼채는 유황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데, 유황 성분은 어류의 유기물과 작용하여 펜타티온산을 형성하고, 이 펜타티온산은 살균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황태가 육수로 포함되어 원료간장에 제조됨에도 불구하고, 장기간 발효 과정에서 펜타티온산을 통한 살균 작용을 통해 부패균의 발생을 억제하고, 간장의 저장성을 높여주게 된다.
그런데, 삼채는 마늘향 및 인삼향이 강하기 때문에 종래 문헌과 같은 방식으로 첨가할 경우 간장에서 마늘향 및 인삼향이 나게 되므로 대중적 취식 선호도를 저해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의 발명자가 수년간 실험해본 결과 발효시 겨우살이를 적정 비율로 함께 첨가할 경우 이를 억제할 수 있게 됨을 알게 되었다.
구체적으로, 삼채와 겨우살이가 2 : 1의 중량 비율로 유지되도록 배합하는 경우 마늘 향, 인삼 향이 거의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전통 간장 특유의 발효향까지 저감되게 된다.
이때, 삼채가 6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겨우살이의 중량을 유지하더라도 인삼 및 마늘 향이 나게 됨과 더불어, 간장에서 쓴 맛이 나게 되므로, 전술한 비율로 첨가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겠다.
10) 3차발효단계
상온에서 2 ~ 3년 동안 발효시킨 후 고형물을 분리 제거한 후 액상의 전통 간장을 제조한다.
삼채와 겨우살이를 메주 제조 과정에서 첨가하는 경우 원료간장과 원료된장이 분리된 후 원료된장만을 이용하여 된장으로 활용하고자 할 경우 된장에서 인삼향 및 마늘향이 나게 된다.
따라서, 삼채와 겨우살이는 원료된장이 분리된 후 간장의 발효시에만 활용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발효 기간은 3년 이후 오래 발효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시중에서 홍시를 구입하여 준비한 다음 외피와 씨를 제거하였다.
그런 다음 고두밥과 엿기름, 물을 혼합한 다음 60 ~ 80℃의 온도로 5 ~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상층부의 당화액을 수득한 다음 당화액을 증자기에 투입하여 90 ~ 100℃의 온도로 가열 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되, 농축액의 온도가 55℃에 이르렀을 때, 준비된 홍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홍시조청을 제조하였다.
한편, 고추가루 20kg, 시중에서 판매하는 고추장용 메주가루(불린 메주콩을 솥에 넣어 증숙 처리한 다음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고추장용 메주를 수득한 다음 고추장용 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것) 3.5kg을 계량하여 준비하고, 상기 홍시조청 15kg을 계량하여 준비하고, 천일염 3.5kg을 계량하여 혼합 교반하여 원료고추장을 제조한 후, 옹기에 넣은 채 상온에서 5개월 동안 숙성시켜 실시예 1의 홍시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시중에서 국산 메주콩을 구입하여 세척한 후 10kg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더하여, 말린 엄나무 줄기, 황태, 멸치, 다시마를 구입하여 엄나무 700g, 황태 1.4kg, 멸치 700g, 다시마 700g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솥에 미네랄수 2.85kg을 붙고, 계량한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를 넣은 다음 2시간 동안 끓여내고, 고형물은 분리하여 메주육수를 제조하였다.
이어 고형물이 분리된 솥에 계량된 메주콩을 첨가한 다음 끓는 물에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콩을 쪄내고, 쪄진 콩을 꺼내어 마쇄하여 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메주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메주를 3일간 건조하여 표면이 꾸덕꾸덕해지는 상태가 된 다음 그늘에서 2달 동안 건조 및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제조하고, 제조된 발효메주를 분쇄하여 발효메주가루를 준비해 놓았다.
이어,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시중에서 판매하는 고추장용 메주가루는 3.3kg 계량하고, 발효메주가루는 200g 준비한 채 혼합 및 숙성시켜 실시예 2의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시중에서 국산 메주콩을 구입하여 세척한 후 10kg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더하여, 말린 엄나무 줄기, 황태, 멸치, 다시마를 구입하여 엄나무 700g, 황태 1.4kg, 멸치 700g, 다시마 700g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솥에 물 2.85kg을 붙고, 계량한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를 넣은 다음 2시간 동안 끓여내고, 고형물은 분리하여 메주육수를 제조하였다.
이어 고형물이 분리된 솥에 계량된 메주콩을 첨가한 다음 끓는 물에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콩을 쪄내고, 쪄진 콩을 꺼내어 마쇄하여 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메주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메주를 3일간 건조하여 표면이 꾸덕꾸덕해지는 상태가 된 다음 그늘에서 2달 동안 건조 및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제조하였다.
이어 메주육수와 동일하게 장육수를 제조한 후, 장육수, 천일염 및 준비된 발효메주를 함께 옹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60일 동안 발효시켰다.
그런 다음 옹기에서 고형물 즉, 원료된장을 분리하여 액상의 원료간장만을 수득하였다.
이어 원료간장 20kg을 개량하여 준비한 다음, 시장에서 삼채 1kg, 겨우살이 500g을 구입하여 준비한 다음 옹기에 원료간장, 삼채, 겨우살이를 투입하고, 2년 동안 발효시켰으며, 2년이 경과한 후 삼채 및 겨우살이 등의 고형물을 옹기에서 꺼내어 제거하여 전통 간장을 제조하였다.
이어,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조된 전통 간장 300g을 계량하여 다른 원료와 혼합 숙성시켜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시중에서 국산 메주콩을 구입하여 세척한 후 10kg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더하여, 말린 엄나무 줄기, 황태, 멸치, 다시마를 구입하여 엄나무 700g, 황태 1.4kg, 멸치 700g, 다시마 700g을 계량하여 준비하였다.
솥에 미네랄수 2.85kg을 붙고, 계량한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를 넣은 다음 2시간 동안 끓여내고, 고형물은 분리하여 메주육수를 제조하였다.
이어 고형물이 분리된 솥에 계량된 메주콩을 첨가한 다음 끓는 물에 4시간 동안 가열하여 콩을 쪄내고, 쪄진 콩을 꺼내어 마쇄하여 육면체 형태로 성형하여 메주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메주를 3일간 건조하여 표면이 꾸덕꾸덕해지는 상태가 된 다음 그늘에서 2달 동안 건조 및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제조하였다.
한편, 메주육수를 제조하고 남은 고형물을 식힌 다음 계량하여 2kg을 준비한 다음 연잎 45g, 율피 26g, 천일염 500g을 계량하여 준비하고, 계량된 고형물, 연잎, 율피, 천일염을 모두 혼합한 다음 옹기에 투입하고 미네랄수 2.85kg을 옹기에 투입한 다음 2달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켰다.
숙성 처리를 거친 원료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60 ~ 70℃의 온도로 15분 동안 가열하여 장육수를 제조하였다.
또한, 발효메주와, 장육수 및 천일염은 1 : 3 : 0.25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옹기에 투입하여 상온에서 60일 동안 발효시켰다.
그런 다음 옹기에서 고형물 즉, 원료된장을 분리하여 액상의 원료간장만을 수득하였다.
이어 원료간장 20kg을 개량하여 준비한 다음, 시장에서 삼채 1kg, 겨우살이 500g을 구입하여 준비한 다음 옹기에 원료간장, 삼채, 겨우살이를 투입하고, 2년 동안 발효시켰으며, 2년이 경과한 후 삼채 및 겨우살이 등의 고형물을 옹기에서 꺼내어 제거하여 전통 간장을 제조하였다.
이어,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제조된 전통 간장 300g을 계량하여 다른 원료와 혼합 숙성시켜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메주육수를 제조하고 남은 고형물을 이용한 숙성 처리시 연잎을 10g 사용하였다.
실시예 4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메주육수를 제조하고 남은 고형물을 이용한 숙성 처리시 연잎을 70g 사용하였다.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메주육수를 제조하고 남은 고형물을 이용한 숙성 처리시 율피를 20g 사용하였다.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제조하되, 메주육수를 제조하고 남은 고형물을 이용한 숙성 처리시 율피를 30g 사용하였다.
실시예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비교예로써,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농축액 제조시 당화액을 가열 농축할 때 홍시를 첨가하여 비교예 1의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농축액의 냉각 후 홍시를 첨가하여 비교예 2의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시중에서 판매하는 고추장용 메주가루는 3.3kg 계량하고, 일반 된장 제조용 메주가루 200g을 준비한 채 혼합, 숙성시켜 비교예 3의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시중에서 판매되는 조선간장 300g을 계량하여 다른 원료에 더 첨가하여 비교예 4의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맛에 관한 관능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고추장에 대해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쓴 맛, 단 맛, 감칠 맛으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는 무작위로 선별하였다.
더불어 실험참가자는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20 대 ~ 60 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 명씩 총 50 명을 선발하였다.
실험 결과는 도 1에 그래프로 나타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단 맛의 경우 전체적으로 균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쓴 맛의 경우 감칠맛에서 실시예들이 비교예들보다 현저히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3, 4의 경우 쓴 맛은 현저히 적고, 감칠맛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된장용 메주를 사용한 비교에 3과, 시중 전통 간장을 사용한 비교예 4와 대비할 경우 이들의 경우 쓴 맛이 강하고, 감칠맛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상대적 차이가 매우 크게 나타났다.
<실험예 2> 향에 관한 관능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고추장의 향에 대해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구수한 향, 쾌쾌한 냄새, 비릿한 냄새, 풀 냄새, 인삼냄새, 마늘냄새로 구분하여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는 실험예 1과 동일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 2는 향에 대한 관능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8을 살펴보면, 비교예 1, 2와 비교할 때 구수한 향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쾌쾌한 냄새에 대해 살펴보더라도 시중의 일반 고추장은 쾌쾌한 냄새가 심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쾌쾌한 냄새가 훨씬 덜한 것을 알 수 있다.
더하여, 이 중에서도 실시예 2 내지 4 같이 메주의 조성에 변화를 주거나, 전통 간장을 사용한 경우 구수한 향이 높게 나타나면서도, 각종 원료 첨가에 따른 부작용(비릿한 냄새, 풀 냄새, 인삼 냄새, 마늘 향)은 적게 나타났다.
특히, 비교예 3, 4의 경우 쾌쾌한 냄새가 강하게 나타난 반면, 실시예들의 경우 쾌쾌한 냄새가 현저히 작게 나타났다.
<실험예 3>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 관능 실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고추장의 맛과 향, 기호도에 대해 주관적인 느낌을 9 점 평정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실험 참가자는 실험예 1과 동일 참가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도 3에는 이러한 실험 결과가 그래프로 나타나 있다.
도 3의 실험 결과에서 나타나 있듯이 비교예 1,2의 고추장에 대한 평가는 맛과 향에 대한 기호도가 보통이었으며, 비교예 3 내지 4의 경우 기호도가 현저하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장류의 첨가로 인한 발효향 때문에 기호도 저하가 일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실시예 1 내지 8은 전체적으로 맛, 향에 대한 평가가 좋게 나타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들 중에서도 실시예 3,4의 경우 평가가 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 삭제
- 삭제
- 고추장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외피와 씨를 제거한 홍시를 준비하는 홍시준비단계와;
고두밥과 엿기름, 물을 혼합한 다음 60 ~ 80℃의 온도로 5 ~ 7시간 동안 당화시켜 상층부의 당화액을 수득한 다음 당화액을 증자기에 투입하여 가열 농축시켜 농축액을 제조하는 농축단계와;
상기 농축액을 상온에서 냉각시키되, 농축액의 온도가 55℃에 이르렀을 때, 상기 홍시를 첨가한 후 교반시켜 홍시조청을 제조하는 홍시첨가단계와;
고추가루 100 중량부와, 상기 고추가루 100 중량부 대비 15 ~ 20 중량부의 메주가루, 상기 홍시조청 50 ~ 100 중량부, 천일염 15 ~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교반한 다음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4 ~7개월 동안 숙성시켜 홍시 고추장을 제조하는 혼합숙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메주가루는, 불린 메주콩을 솥에 넣어 증숙 처리한 다음 24시간 내지 48시간 동안 발효시켜 고추장용 메주를 수득한 다음 고추장용 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일반메주가루 93 ~ 98 중량%와,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한 후 메주육수에 세척된 메주콩을 첨가하여 찐 다음 40 ~ 60일 동안 발효시켜 수득한 발효메주를 건조 및 분쇄하여 수득한 발효메주가루 2 ~ 7 중량%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며,
엄나무, 황태, 멸치, 다시마, 물을 혼합한 후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한 후, 메주육수에 세척된 메주콩을 첨가하여 찐 다음 40 ~ 6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수득하고, 엄나무와 황태를 포함하는 고형물과 물을 혼합하여 가열하여 장육수를 제조한 후, 장육수와 상기 발효메주, 천일염을 혼합하여 옹기에 넣은 다음 상온에서 발효시켜 원료간장과 원료된장을 제조한 다음, 원료간장만을 분리하고, 원료간장에 원료간장 100 중량부 대비 삼채 4 ~ 6 중량부와, 겨우살이 2 ~ 3 중량부를 투입한 후 2 ~ 3년 동안 발효시켜 전통간장을 제조한 후,
상기 혼합숙성단계에서 상기 전통간장을 고추가루 100 중량부 대비 1 ~ 2 중량부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통간장은,
메주콩 100 중량부를 세척하여 준비하는 콩준비단계와;
상기 메주콩 100 중량부 대비 7.0 ~ 7.5 중량부의 엄나무, 13 ~ 15 중량부의 황태, 6 ~ 8 중량부의 멸치, 6 ~ 8 중량부의 다시마, 250 ~ 300 중량부의 미네랄수를 준비한 후 준비된 원료를 혼합한 다음 90 ~ 100℃의 온도로 가열한 후, 고형물을 걸러내어 메주육수를 제조하는 메주육수제조단계와;
상기 세척된 콩을 가열 용기에 투입하고, 메주육수를 첨가한 후 3 ~ 4시간 동안 90 ~ 100℃로 가열하여 찐 다음 일정 형태로 성형하여 메주를 제조하는 가열성형단계와;
상기 제조된 메주를 발효시켜 발효메주를 제조하는 1차발효단계와;
상기 메주육수제조단계에서 걸러낸 고형물과, 연잎, 율피, 천일염 및 물을 혼합하여 숙성시키는 숙성단계와;
상기 숙성단계를 거친 원료에서 고형물을 제거한 후, 60 ~ 70℃의 온도로 10 ~ 20분 동안 가열하여 장육수를 제조하는 장육수제조단계와;
상기 장육수와, 천일염, 발효메주를 옹기에 투입한 후 상온에서 발효시키는 2차발효단계와;
상기 2차발효단계 후 옹기 내부에서 고형물을 분리한 후 액상의 원료간장만을 수득하는 분리단계와;
액상의 원료간장을 계량하여 100 중량부를 옹기에 투입한 다음, 옹기에 삼채 4 ~ 6 중량부와, 겨우살이 2 ~ 3 중량부를 투입하는 부재료첨가단계와;
상온에서 2 ~ 3년 동안 발효시킨 후 고형물을 분리 제거한 후 액상의 전통 간장을 제조하는 3차발효단계;를 거쳐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단계는,
고형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연잎 1.5 ~ 3중량부, 율피 1.2 ~ 1.4 중량부, 천일염 20 ~ 30 중량부, 물 500 ~ 800 중량부를 계량하여 고형물과 혼합한 후, 혼합물을 옹기에 투입한 후 2 ~ 3개월 동안 상온에서 숙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7527A KR101962385B1 (ko) | 2018-08-21 | 2018-08-21 |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97527A KR101962385B1 (ko) | 2018-08-21 | 2018-08-21 |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62385B1 true KR101962385B1 (ko) | 2019-03-25 |
Family
ID=65907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97527A KR101962385B1 (ko) | 2018-08-21 | 2018-08-21 |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238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3977A (ko) | 2019-12-27 | 2021-07-07 |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잎가루첨가 고추장의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5030B1 (ko) | 1998-09-14 | 2000-12-15 | 국승록 | 연시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KR100855665B1 (ko) * | 2007-03-07 | 2008-09-03 | 최희재 | 감과 한약재 조성물을 함유한 항콜레스테롤용 고추장 및 그제조방법 |
KR20100004725A (ko) * | 2008-07-04 | 2010-01-13 | 이종고 | 다시마 된장 제조방법 |
KR20120009023A (ko) * | 2010-07-21 | 2012-02-01 | 이민환 | 홍시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홍시고추장 |
-
2018
- 2018-08-21 KR KR1020180097527A patent/KR10196238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75030B1 (ko) | 1998-09-14 | 2000-12-15 | 국승록 | 연시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KR100855665B1 (ko) * | 2007-03-07 | 2008-09-03 | 최희재 | 감과 한약재 조성물을 함유한 항콜레스테롤용 고추장 및 그제조방법 |
KR20100004725A (ko) * | 2008-07-04 | 2010-01-13 | 이종고 | 다시마 된장 제조방법 |
KR20120009023A (ko) * | 2010-07-21 | 2012-02-01 | 이민환 | 홍시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되는 홍시고추장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83977A (ko) | 2019-12-27 | 2021-07-07 | 광주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연잎가루첨가 고추장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41972B1 (ko) | 매생이 소스 제조방법 및 조성물 | |
KR102503979B1 (ko) | 닭갈비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20080090630A (ko) | 닭두루치기 또는 닭도리탕용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것을이용한 닭두루치기의 조리방법 | |
KR100671771B1 (ko) | 양념소스 및 양념소스의 제조방법 | |
US6641856B1 (en) | Beverage containing a kayu-like fermentation product | |
KR20200090424A (ko) | 보리막장의 제조 방법 | |
KR101952904B1 (ko) | 보리소금을 이용한 보리성분 함유 굴비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62385B1 (ko) | 홍시 고추장의 제조 방법 | |
KR101824120B1 (ko) | 연 성분이 함유된 팥앙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791325B1 (ko) | 귀리 조청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귀리 조청 | |
KR101551241B1 (ko) | 고추장 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73400B1 (ko) | 노근 추출물이 포함된 갈대김치의 제조방법 및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된 갈대김치 | |
KR102375920B1 (ko) | 갈대 커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26681B1 (ko) | 저 자극성 생 두부 쌈장 제조 방법 및 저 자극성 생두부 쌈장 | |
KR100973170B1 (ko) | 호박엿 된장 막장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20230144163A (ko) | 매운 김치가 들어간 만두소를 이용한 만두의 제조 방법 | |
KR101974210B1 (ko) | 카레 불 닭발 및 이의 제조 방법 | |
KR102246366B1 (ko) | 쌀메주를 이용한 살구 고추장의 제조 방법 | |
KR101533086B1 (ko) | 구지뽕 고추장, 그 제조방법, 및 그 구지뽕 고추장을 포함하는 요리 | |
KR100609450B1 (ko) | 발아땅콩을 이용한 김치양념 | |
KR101962386B1 (ko) | 황태 된장의 제조 방법 | |
KR20180063607A (ko) | 갈대를 이용한 맛간장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갈대 맛간장 | |
KR100691786B1 (ko) | 과자모형의 청국장 제조방법 | |
KR102498450B1 (ko) | 타래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
KR102492573B1 (ko) | 우동 소스 및 그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