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60696B1 -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 Google Patents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0696B1
KR101960696B1 KR1020170062972A KR20170062972A KR101960696B1 KR 101960696 B1 KR101960696 B1 KR 101960696B1 KR 1020170062972 A KR1020170062972 A KR 1020170062972A KR 20170062972 A KR20170062972 A KR 20170062972A KR 101960696 B1 KR101960696 B1 KR 101960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plate
truss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2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7791A (ko
Inventor
김명한
임태평
김동구
김은영
김형동
Original Assignee
김명한
임태평
김동구
김은영
김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한, 임태평, 김동구, 김은영, 김형동 filed Critical 김명한
Priority to KR1020170062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069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7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0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069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11Structures with a vertical rotation axis or the like, e.g. semi-spherical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04B1/2403Connection details of the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 E04B2001/2415Brackets, gussets, join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35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having a grid frame
    • E04B2001/3241Frame connection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6Constructions of roof intersections or hipped ends
    • E04B7/063Hipped ends
    • E04B2007/066Hipped ends for conservat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주와, 상기 지주 상단에 결합되는 가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어져 세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세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골조형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 지지판이 수직으로 결합되되 다수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통공에는 지지파이프가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도르레가 결합되고, 상기 도르레는 보온커튼(미도시)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비닐하우스 골조의 결합시 제작의 편리성을 도모하면서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지주와 트러스형 가로 및 세로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새롭게 구성하되, 세로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 지지판이 수직으로 결합되되 다수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여 상기 각 통공에는 지지파이프가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도르레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온커튼(미도시)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이 상기 도르레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넓은 면적의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Frame structure for outsized vinyl house}
본 발명은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닐하우스 골조의 결합시 편리성을 도모하면서도 다양한 활용도를 가질 수 있고, 또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는 지주와 가로 및 세로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동안 구현이 곤란했던 초대형 비닐하우스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닐하우스는 반원형으로 라운드진 골조파이프를 지면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고정설치하고 상기 다수개의 골조파이프 양측면과 상부에 각각 직선형의 지지파이프를 맞닿게 위치시킨 상태에서 서로 맞닿은 부분을 용접하거나 철사 또는 끈 등으로 묶어 비닐하우스구조물을 형성한 후 상기 비닐하우스구조물 위에 비닐을 전체적으로 덮어 통상의 비닐하우스를 완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닐하우스는 그 골조를 이루는 비닐하우스구조물들이 큰 하중을 지지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 좌우 폭이 넓은 비닐하우스를 짓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취약한 구조의 비닐하우스는 여름철 강한바람을 동반한 집중호우시나 겨울철 폭설에 의해 쉽게 비닐하우스구조물이 구부러지거나 무너져 수개월간 고생하여 키워온 비닐하우스의 농작물이 손실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종래에는 기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외측면에 이중으로 보조비닐하우스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내부의 비닐하우스를 보호하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외부에 설치되는 보조비닐하우스가 내부의 비닐하우스보다 더욱 크게 설치되어야 함으로써 추가설치비용 등이 많이 소요되고, 내부에 설치된 비닐하우스의 직경이나 크기가 다양하여 각각의 직경이나 크기에 맞추어 보조비닐하우스를 새롭게 설치해야 하므로 설치구조가 복잡하고 설치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또한 심한 강수나 폭설에 의해 외부의 보조비닐하우스가 무너질 경우 내부의 비닐하우스도 연쇄적으로 같이 무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은 규모의 비닐하우스는 키가 큰 나무 등을 심을 수 없어 비닐하우스를 활용하여 식물원이나 체험학습장 등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많은 문제점을 수반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유리온실 및 종래의 비닐하우스의 단점을 개선하여 폭이 100m, 길이가 3~400m, 높이가 22~25m정도의 초대형 비닐하우스를 지을 수 있는 구조를 오랫동안 연구하여 왔는바 이와 같은 초대형 비닐하우스를 짓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지주 및 천정을 떠받치기 위한 프레임의 구조에 대해 많은 고려가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를 만족할 수 있는 수준의 비닐하우스 골조, 즉 골조 형성 구조가 개발된 바 없어 초대형 비닐하우스를 제작할 수 없었다.
[선행기술문헌]
1. 특허등록 : 10-0818715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초대형 비닐하우스를 지을 수 있도록 비닐하우스 골조를 형성함에 있어 다양한 활용도를 가질 수 있고, 또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지주와 가로 및 세로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새롭게 구성한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지주와, 상기 지주 상단에 결합되는 가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어져 세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세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골조형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 지지판이 수직으로 결합되되 다수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천공되며, 상기 각 통공에는 지지파이프가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도르레가 결합되며, 상기 도르레는 보온커튼(미도시)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부 지지판 하단에는 작업대가 결합되어 작업자들이 보행가능토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난간에는 결합대가 형성되어 하부지지판의 하단에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지지판을 지탱하는 세로프레임의 상단에는 비닐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 보강대가 설치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 또는 세로 프레임은 H빔 또는 트러스골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로 프레임을 이루는 트러스골조의 일측단면에 연결판을 용접결합하되, 상기 연결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용접되고 다수개의 통공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천공된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하 트러스 파이프 사이에는 결합판이 용접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합판은 상하 트러스 파이프 사이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트러스 파이프의 외곽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오목홈이 상단과 하단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하는 돌출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비닐하우스 골조의 결합시 제작의 편리성을 도모하면서도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도록 지주와 트러스형 가로 및 세로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새롭게 구성하되, 세로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 지지판이 수직으로 결합되되 다수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하여 상기 각 통공에는 지지파이프가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되어 도르레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온커튼(미도시)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이 상기 도르레에 의해 지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넓은 면적의 비닐하우스와 유리온실의 내부 온도를 조절가능토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판과 연결판 등에 의해 트러스 구조를 갖는 가로 및 세로프레임의 보다 견고하게 지탱하면서도 지주와의 결합, 세로프레임과 가로프레임끼리의 결합 등을 보다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골조부분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V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W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골조부분을 보이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V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W부분을 확대도시한 사시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지주(110)와, 상기 지주(110) 상단에 결합되는 가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 프레임(130)과, 상기 가로 프레임(130)에 결합되어져 세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세로 프레임(120)으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골조형성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 세로 프레임(120)과 가로 프레임(130)은 H빔 또는 큰 직경의 파이프를 작은 직경의 파이프들이 대각방향으로 지탱하는 트러스(truss) 골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트러스 골조는 평행을 이루는 상부 트러스 파이프(130a)와 하부 트러스 파이프(130b), 상기 상부 트러스 파이프(130a)와 하부 트러스 파이프(130b) 사이를 대각으로 연결하는 다수개의 지지파이프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로프레임(120)의 하단에는 하부 지지판(124)이 수직으로 결합되되 다수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124)에는 다수개의 통공(124a)이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통공(124a)에는 지지파이프(126)가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되며, 상기 지지파이프(126)에는 도르레(128)이 결합되고, 상기 도르레(128)는 보온커튼(미도시)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129)을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하부 지지판(124) 하단에는 작업대(150)가 결합되어 작업자들이 보행가능토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상기 작업대(150)는 난간(151)과 발판(15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난간(151)에는 결합대(153)가 형성되어 하부 지지판(124)의 하단에 체결구(154)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작업대(150)는 비닐하우스(A) 내부의 작업자들의 보행을 위한 통로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지주(110)의 상단 일측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수직으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골조연결구(112)가 돌출 형성되어진다.
또 본 발명에 있어 세로 프레임(120)을 이루는 트러스골조의 경우는 상부 트러스 파이프(120a)와 하부 트러스 파이프(120b) 일측단면에 연결판(122)을 용접결합하되, 상기 연결판(122)의 중앙에는 수직으로 결합되되 다수개의 통공(122b)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천공된 결합부(122a)가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 가로 프레임(130)을 이루는 트러스골조의 경우는 상부 트러스 파이프(130a)와 하부 트러스 파이프(130b) 사이에 끼워져 용접결합되는 결합판(131)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기 결합판(131)에는 가로 프레임(130)의 상하 트러스 파이프(130a,130b) 사이에 끼워져 견고한 용접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단과 하단 중앙에 오목홈(131b)을 구비하게 되는데 상기 오목홈(131b)은 상하 트러스 파이프(130a,130b)와의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상하 트러스 파이프(130a,130b)의 외곽직경과 일치한 호(弧)형상으로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결합판(131)은 지주(110)와 세로 프레임(120), 세로 프레임(120)과 가로 프레임(130)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한 수단이지만, 가로 프레임(130)의 상하 트러스 파이프(130a,130b)를 지탱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로인해 초대형 비닐하우스를 보다 견고하게 지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결합판(131)은 상기 결합판(131)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131a)을 구비하는 돌출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돌출부는 상하 트러스 파이프(130a,130b)의 양측단을 가상의 수직선으로 이엇을 때 가상의 수직선보다 바깥쪽으로 돌출된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결합판(131)의 돌출부는 가로 프레임(130)의 상하 트러스 파이프(130a,130b)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일측은 지주(110)의 골조연결구(112)에 결합되도록 하고, 타측은 세로 프레임(120)의 연결판(122)에 형성된 결합부(122a)와 결합되도록 한다.
즉 세로 프레임(120)의 연결판(122)은 세로 프레임(120)의 상하 트러스 파이프(120a,120b)의 양단면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는데, 상기 연결판(122) 역시 세로 프레임(120)을 가로 프레임(130)에 결합하기 위한 보조수단이기도 하고, 동시에 세로 프레임(120)의 상하 트러스 파이프(120a,120b)를 지탱하는 수단이기도 되기도 한다.
이역시 초대형 비닐하우스(A)를 보다 견고하게 지을 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의 중요한 구성 중의 하나이다.
상기 연결판(122)에 형성된 결합부(122a)는 연결판(122)의 일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구조로, 역시 다수개의 통공(122b)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있어 결합판(131)의 돌출부에 체결구(123)에 의해 결합가능한 구조이다.
또 본 발명은 세로 프레임(120)의 상단에 가로 보강대(140)를 설치하여 비닐을 지지하게 할 수도 있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10: 지주 120: 세로 프레임
124: 하부 지지판
130: 가로 프레임 140: 가로 보강대
150: 작업대
A: 초대형 비닐하우스

Claims (5)

  1. 지주와, 상기 지주 상단에 결합되는 가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가로 프레임과, 상기 가로 프레임에 결합되어져 세로로 천정 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세로 프레임과, 보온커튼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을 지지하기 위한 도르레로 이루어지는 비닐하우스용 골조형성 구조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의 하단에는 하부 지지판이 수직으로 결합되되 다수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지지판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일정간격으로 수직으로 천공되며,
    상기 각 통공에는 지지파이프가 수평으로 끼워져 결합되고,
    상기 지지파이프에는 도르레가 결합되며,
    상기 도르레는 보온커튼을 견인하기 위한 견인줄을 지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지지판 하단에는 난간과 발판으로 이루어지는 작업대가 결합되어 작업자들이 보행가능토록 구성되되, 상기 난간에는 결합대가 형성되어 하부지지판의 하단에 체결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하고, 상기 하부지지판을 지탱하는 세로프레임의 상단에는 비닐을 지지하기 위한 가로 보강대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 또는 세로 프레임은 H빔 또는 트러스골조중 어느 하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세로 프레임을 이루는 트러스골조의 일측단면에 연결판을 용접결합하되, 상기 연결판의 중앙에 수직으로 용접되고 다수개의 통공이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천공된 결합부가 형성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의 상하 트러스 파이프 사이에는 결합판이 용접결합되되, 상기 결합판은 상하 트러스 파이프 사이에는 결합력을 높이기 위해 트러스 파이프의 외곽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오목홈이 상단과 하단 중앙에 형성되고, 양측 가장자리에는 수직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천공된 다수개의 통공을 구비하는 돌출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KR1020170062972A 2017-05-22 2017-05-22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1960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972A KR101960696B1 (ko) 2017-05-22 2017-05-22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2972A KR101960696B1 (ko) 2017-05-22 2017-05-22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791A KR20180127791A (ko) 2018-11-30
KR101960696B1 true KR101960696B1 (ko) 2019-03-20

Family

ID=6456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2972A Expired - Fee Related KR101960696B1 (ko) 2017-05-22 2017-05-22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06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8856B1 (ko) * 2019-04-11 2020-12-09 한 기 김 다중 비닐하우스의 시공방법
CN112502343B (zh) * 2021-02-03 2021-04-09 湖南原墅家乡墅科技有限公司 一种简易乡村别墅用铝模屋顶结构
KR102702425B1 (ko) * 2023-07-17 2024-09-04 정진수 아케이드 지붕 설치용 천장프레임 지지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13Y1 (ko) * 2005-09-06 2005-11-15 윤미진 하우스용 구조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2479B1 (ko) * 2013-05-09 2017-06-01 (유) 숲이온 비닐하우스용 보강 구조물
JP3195946U (ja) * 2014-12-01 2015-02-12 横山 賢一 温室内作業足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413Y1 (ko) * 2005-09-06 2005-11-15 윤미진 하우스용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791A (ko) 2018-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452188B (zh) 利用u形组合梁的层高减小型钢构架
US6679023B2 (en) Rapid assembly steel framing
KR101960696B1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골조 형성 구조
CN104499767A (zh) 可调节式棚架
KR100968216B1 (ko) 조립식 지붕구조물
CN206313714U (zh) 连接节点无级调节式光伏支架
JP5152768B2 (ja) 仮設足場用屋根構造体とそれを用いた構造物の組立方法
KR20180133758A (ko) 초대형 비닐하우스의 지주와 프레임의 연결 구조
KR20120094341A (ko) 경량 형강재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아치형 하우스 구조물
CN105804271A (zh) 可工业化生产的自装配式民居轻型组合支撑框架
JP2007289112A (ja) 農業・園芸ハウスの構築に用いるユニットおよび該ユニットによる建築物
KR101796463B1 (ko) 구조물용 브라켓과 이를 이용한 조립식 구조물
KR200456278Y1 (ko) 조립식 캐노피 구조체
KR101875476B1 (ko) 생물권 보전을 위한 목재 교량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808460B1 (ko) 데크로드의 조립식 난간 구조
KR100507743B1 (ko) 벤로형 온실의 골조구조
CN211395959U (zh) 一种桁架加强节点连接结构
KR102213584B1 (ko) 안전발판 설치를 위한 트러스 고정구조
JPH0625534Y2 (ja) 屋根組構造
KR101798583B1 (ko) 온실 시공방법
JP2597930B2 (ja) コンクリート電柱を利用した構造物及びそのジョイント金具
KR200461786Y1 (ko) 차양구조를 구비한 야외용 테이블
KR102469121B1 (ko) 탄성클립과 경사도 브라켓이 적용된 데크로드 블록구조체
JP2585174B2 (ja) 仮設テント用足場の固定方法
CN219931752U (zh) 一种装配式爬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8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2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