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66438B1 -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 Google Patents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438B1
KR101966438B1 KR1020180088771A KR20180088771A KR101966438B1 KR 101966438 B1 KR101966438 B1 KR 101966438B1 KR 1020180088771 A KR1020180088771 A KR 1020180088771A KR 20180088771 A KR20180088771 A KR 20180088771A KR 101966438 B1 KR101966438 B1 KR 101966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groove
pet
air
steriliz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경호
유시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베크
(주)씨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베크, (주)씨엔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베크
Priority to KR10201800887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4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Housing for domestic or laboratory animals
    • A01K1/033Cat or dog hou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4Filtering mea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정면판, 후면판, 좌우측판 및 바닥판에 형성된 홈 및 돌기를 상호 결합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수용될 공간의 바닥판 및 후면판에 수용부의 공기를 정화, 제균 및 살균할 수 있는 시스템인 헬스케어디바이스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에게 쾌적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Pet healthcare with easy to assemble}
본 발명은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정면판, 후면판, 좌우측판 및 바닥판에 형성된 각 판의 홈에 이웃하는 다른 판을 서로 결합됨으로써 누구나 손쉽게 조립할 수 있고, 애완동물이 수용될 공간의 바닥판 및 후면판에 수용부의 공기를 정화, 제균 및 살균할 수 있는 시스템인 헬스케어디바이스를 구비하여 애완동물에게 쾌적한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생활의 질이 향상됨과 더불어 개와 고양이 등과 같은 각종 애완동물을 기르는 가정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가정에서 키워지는 애완동물은 주거문화가 아파트, 연립, 오피스텔 등과 같이 별도로 마당이 없어 집안에 애완동물의 집을 만들어 실내에서 함께 생활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용 집은 주로 천, 목재 및 합성수지재로 지은 집으로서, 울타리 형이나 바구니 형태로 지은 집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애완동물용 집은 집 자체가 견고한 장점이 있긴 하지만 대개 중량이 비교적 무겁고 분해할 수 없다. 또한, 애완동물용 집은 제작방법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취급 및 운반과 보관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관련 기술로는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44248호(2017.04.25.)에 조립식 애완동물집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전면판; 상기 전면판의 후면에 배치한 후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과 결합하는 바닥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좌우측면에 결합하는 두개를 구성하여 애완동물집의 벽면을 구성하는 측면판; 상기 전면판과 상기 후면판의 상측면에 결합하는 두개의 지붕판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애완동물집이다.
그러나 집안에서 사용되는 애완동물 수용공간이 바닥판과 지면이 맞닿아 집안 온도에 따라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공간의 온도가 변화하고, 애완동물 수용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지 않아 애완동물 수용부를 조립한 후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 및 배치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애완동물을 수용하는 수용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및 공기순환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서 애완동물 수용부의 내부공기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제10-2017-0044248호(2017.04.25.)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의 집을 만들 때, 볼트와 너트가 필요없이 각각의 판에 형성되는 홈에 이웃하는 다른 판을 서로 결합하여 애완동물 집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순환시키는 헬스케어디바이스가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조립된 펫 헬스케어 장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저면 및 좌우측에 헬스케어디바이스에서 정화, 제균 및 살균된 공기를 수용부 공간으로 유도하는 공기유로 및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이중각도로 형성하여, 이중 모로 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털 사이로 바람이 깊이 침투되도록 하여 수분과 미세먼지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도록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의 전면에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상기 정면판(20)과 대응되는 수용부(S)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30)과, 상기 정면판(20) 및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과, 상기 수용부(S) 하측에 지면과 이격되는 바닥판(50) 및 상기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형성되는 천정판(60)이 상호 조립에 의해 수용부(S)가 형성되는 펫 헬스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는 상기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에는 상기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되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로 상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상기 후면판에 구비되는 흡입부(300), 상기 바닥판(5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 상기 수용부(S)의 바닥판(50)의 상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배출부(200)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로 사출되며, 애완동물의 털과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P)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고 제균 및 살균하는 살균 헤파필터(H)와, 살균 기능을 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배출부(200)에는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이중 경사각도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에는 팬(160)과, 제1가이드(170) 및 제2가이드(17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팬(160)의 상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될 때, 상기 공기유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는 팬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2개가 형성되고, 상기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상기 팬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형성된 공기유로 상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내부에 구비된 팬(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팬에 의해 형성된 회전바람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될 때 배출부에 구비된 제1배출홀(220) 및 제2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면판(20)은, 정면 관통구(21)를 중심으로 양측 하부에 돌출된 정면 다리부(22)와, 상기 정면 다리부(22)와 대응되는 정면 관통구(21) 상부에 정면 손잡이홈(27a)이 형성되는 정면 손잡이부(27)와, 정면 다리부(22)와 정면 손잡이부(27) 사이 양측에 정면 손잡이부(27)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면 외측부(24)와, 정면 외측부(24) 상측이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 절곡부(26)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정면 절곡부(26) 일단에 각각 정면 다리부(22) 방향으로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정면 절곡부(26)에서 정면 손잡이부(27) 측으로 천정 결합홈(29)이 형성되며, 상기 정면 관통구(21)와 정면 연장부(23) 사이의 정면 외측부(24)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바닥 결합홈(25)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기 후면판(30)은, 중심에 흡입부(300)의 관통홈커버(312)가 결합되는 후면 관통구(3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관통구(31) 양측 하부에는 후면 다리부(32)가 형성되고, 후면 다리부(32)에는 하부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후측면 결합부(38)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된 방향의 후면판의 외측단부 중 일측에는 단부에서 후면 손잡이부(36) 방향으로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면판(40)은, 상부에 평면부(47)가 형성되고, 평면부(47)의 후면 일측에는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가 결합되는 후면 수직결합홈(48)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 및 제2 측면 다리부(41, 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 다리부(42)의 일측에는 정면판(20)의 측면 결합홈(28)에 결합되는 정면 경사결합홈(49)이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만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닥판(50)은, 전면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측의 단부에는 정면판(20)의 바닥 결합홈(25)이 결합되는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되고, 후면의 양측 단부에는 후면판(30)의 후면 연장부(33)의 굴곡진 단부에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디바이스(100)가 구비되고, 양측면의 내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측면홈(57)의 상부에는 배출부(200)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바닥판(50)의 바닥 단턱부(55)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단턱부(55)에는 흡입부(30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천정판(60)에는, 중앙에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환기케이스(65)가 구비되는 환기 케이스 홈(66)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환기 케이스(65)의 내부에는,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필터(P)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정판(60)은, 전면부에 손잡이부(27) 및 도어(70)의 손잡이부(74)가 결합되는 정면 고정홈(61)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후면판(30)의 손잡이부(36)가 결합되는 후면 고정홈(6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는, 하부디바이스(100)의 내측에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관통하여 배출부(200)의 관통구(240)와 결합되는 측면 배출구(142)가 양측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가정에서 키우는 애완동물의 집을 만들 때, 볼트와 너트가 필요없이 각각의 판에 형성되는 홈에 이웃하는 다른 판을 서로 결합하여 애완동물 집을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공간을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정화하여 순환시키는 헬스케어디바이스가 수용부의 하부에 구비되어 외부공기로 인해 오염된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상부에 손잡이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조립된 펫 헬스케어를 이동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저면 및 좌우측에 헬스케어디바이스에서 정화, 제균 및 살균된 공기를 수용부 공간으로 유도하는 공기유로 및 수용부 공간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부를 이중각도로 형성하여, 이중 모로 되어 있는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용이하게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고, 털 사이로 바람이 깊이 침투되도록 하여 수분과 미세먼지 등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 하부에 헬스케어디바이스가 구비되어 수용부에 오염된 공기를 5단계 케어를 통해 수용부 공간을 쾌적한 상태를 갖도록 공기를 순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디바이스가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에 결합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A는 정면판의 평면도이고, B는 후면판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C는 측면판의 평면도이고, D는 바닥판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E는 천정판의 평면도이고, F는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실시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사항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의 전면에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상기 정면판(20)과 대응되는 수용부(S)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30)과, 상기 정면판(20) 및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과, 상기 수용부(S) 하측에 지면과 이격되는 바닥판(50) 및 상기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형성되는 천정판(60)이 상호 조립에 의해 수용부(S)가 형성되는 펫 헬스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에는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통해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디바이스가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에 결합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애완동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S)가 형성되는 펫 헬스케어 장치(1)로 구성된다.
상기 수용부(S)는, 수용부(S)의 전방(20)에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정면판(20)과 대응되는 후면판(30)과, 정면판(20)과 후면판(30) 사이 양측의 측면판(40)과, 수용부(S) 하측의 바닥판(50)과,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천정판(60)를 포함하는 펫 헬스케어 장치(1)이다.
상기 후면판(30)의 중심에 관통구(31)가 형성되어 후술될 흡입부(300)가 결합되며, 양측의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 컨트롤러(141)가 결합될 수 있는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된다.
그리고 바닥판(50)의 양측에 관통되는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다.
또한, 천장판(60)의 중심에 환기 케이스(65)가 구비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A는 정면판의 평면도이고, B는 후면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A는 정면판(20)으로써, 상기 정면판(20)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판 형태를 가지며 중심에 다각형 형태를 갖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고, 이러한 관통구(21)는 애완동물이 출입할 수 있는 관통구 형태를 가지며, 정면 관통구(21)의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정면 다리부(22)와, 정면 다리부(22) 양측 사이에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굴곡지며 양측 정면 다리부(22)를 연장하는 정면 연장부(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정면 다리부(22)의 외측으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면 외측부(2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정면 외측부(24)는, 정면 관통구(21)와 바닥판 결합홈(25) 사이에 바닥판 결합홈(25)이 형성된다. 바닥판 결합홈(25)은, 일측의 정면 외측부(24)에서 타측 정면 외측부(24)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며 후술될 바닥판(50)의 정면 결합홈(54)와 바닥판 결합홈(25)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정면 외측부(24) 상단이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 절곡부(26)와, 양측 정면 절곡부(26) 사이에 상부로 돌출되는 정면 손잡이부(27)가 형성된다.
이러한 정면 손잡이부(27)는, 정면 관통구(21) 상부에 정면 손잡이홈(27a)이 형성되고, 손잡이부(27)의 정면 손잡이홈(27a)을 통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정면 관통구(21) 측의 정면 절곡부(26) 일단이 정면 외측부(24) 경사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면 결합홈(28)은 후술될 측면판(40)의 정면 경사결합홈(49)과 결합된다.
그리고 측면 결합홈(28)의 일단에는 정면 손잡이부(27)의 정면 손잡이홈(27a) 방향으로 천정 결함홈(29)이 형성되고, 이러한 천정 결함홈(29)은, 후술될 천정판(60)의 정면 고정홈(61)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정면판(20)은, 서로 대응되는 양측에 동일한 형태의 정면 다리부(22), 정면 외측부(24), 정면 절곡부(26),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고, 동일한 하나의 측에만 바닥판 결합홈(25) 및 천정판 결합홈(29)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의 B는 후면판(30)으로써, 상기 후면판(30)은,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판 형태로 중심에 후면 관통구(31)가 형성되는데, 후면 관통구(31)은 후술될 흡입부(300)의 관통홈 커버(312)가 결합될 수 있는 홈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후면 관통구(31)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후면 다리부(32)가 형성되고, 양측 후면 다리부(32) 사이에 후면 연장부(33)가 형성된다.
상기 후면 연장부(33)는, 후면 관통구(31) 방향으로 굴곡지다가 굴곡진 단부로부터 후면 관통구(31) 방향으로 다단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후면 연장부(33)는 바닥판(50)의 후면 결합홈(5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 다리부(32) 외측에 후면 다리부(32)로부터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의 후면 외측부(34)가 형성되고, 후면 외측부(34)의 상부에 후면 관통구(31) 방향으로 절곡되는 후면 절곡부(35)가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 절곡부(35)는, 후면 관통구(31) 방향의 절곡부(35) 일단이 상부 방향으로 경사지며 돌출된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관통구(31) 상부에 손잡이홈(36a)이 형성된다. 손잡이홈(36a)은, 사용자가 후면판(30)을 파지할 수 있도록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홈(27a)과 동일한 홈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후면 절곡부(35)의 일단에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된다.
천정판 고정홈(37)은, 절곡부(35) 일단이 손잡이홈(36a) 측으로 홈이 형성되어 천정판 고정홈(37)과 후술될 천정판(60)의 후면 고정홈(62)이 결합된다.
한편, 후면판(30)의 후면 다리부(32)에는 하부 단부에서, 후면 외측부(34)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후측면 결합부(38)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후측면 결합부(38)에는 후술될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과 결합될 수 있는 홈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후측면 결합부(38)는, 후술될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이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에 후술될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가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후면판(30)은, 서로 대응되는 양측에 동일한 형태의 후면 다리부(32), 후면 외측부(34) 및 후면 절곡부(35)가 형성되고, 동일한 하나의 측에만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C는 측면판의 평면도이고, D는 바닥판의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C는 측면판(40)으로써, 상기 측면판(40)은 사다리꼴 형태의 판 형태로 측면판(40)의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측면 다리부(41) 및 제2 측면 다리부(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측면 다리부(41) 넓이는 제2 측면 다리부(42)보다 넓은 형태를 가지며, 제1 측면 다리부(41)와 제2 측면 다리부(42) 사이를 연장하는 측면 연장부(43)가 형성된다.
측면 연장부(43)은, 상부 내측으로 경사지며 단턱진 형태를 갖는다. 이를 통해 측면 연장부(43)는 지면과 맞닿지 않고 제1 측면 다리부(41)와 제2 측면 다리부(42)만 지면에 맞닿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측면 다리부(42) 측의 측면 연장부(43) 상부에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측면 컨트롤 관통구(44)는 후술될 하부디바이스(100)의 컨트롤러(141)가 결합될 수 있는 넓이의 홈을 갖는다.
한편, 제1 측면 다리부(41)의 일측에는 수직 형태를 갖는 측면 평면부(45)가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 평면부(45)와 대응되는 타측 제2 측면 다리부(42)에 상부 방향으로 갈수록 측면 평면부(45) 방향으로 경사진 측면 경사부(46)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 경사부(46)와 측면 평면부(45)의 일단을 연결하는 측면 상부평면부(47)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 평면부(45) 측의 측면 상부평면부(47)에 후면 수직결합홈(48)가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 수직결합홈(48)는, 상부평면부(47)의 일측이 제1 측면 다리부(41)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측면 경사부(46) 측의 제2 측면 다리부(42)에 정면 경사결합홈(49)이 형성된다. 상기 정면 경사결합홈(49)은, 제2 측면 다리부(42)의 하단 일측으로부터 측면 경사부(46)와 동일한 경사를 갖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측면판(40)은, 정면판(20)과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결합 되는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만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된다. 이는, 후술될 하부디바이스(100)의 양측 중 어느 한 측에만 컨트롤러(141)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의 D는 바닥판(50)으로써, 상기 바닥판(50)은, 전면에 바닥 정면(51)과, 바닥판 정면(51)과 대응되는 후면판(30) 방향의 바닥 후면(52)과, 바닥 정면(51)과 바닥 후면(52)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방향의 바닥 측면(53)을 통해 애완동물이 앉을 수 있는 판 형태를 갖는다.
전면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측의 단부에는 정면판(20)의 바닥 결합홈(25)이 결합되는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정면 결합홈(54)은, 일측의 바닥 측면(53) 방향에 형성되어, 정면판(20)의 바닥판 결합홈(25)이 바닥판(50)의 정면 결합홈(54) 일단까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바닥판(50)의 바닥측면(53) 내측에는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된다.
상기 바닥 측면홈(57)은, 바닥 측면홈(57)의 상부에는 배출부(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바닥 측면홈(57)은, 바닥 정면(51)과 바닥 단턱부(55) 방향으로 긴 홈 형태를 가지며 후술될 하부디바이스(100)의 측면 배출구(142)가 관통되어 결합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양측 바닥 후면(52) 사이에 바닥 단턱부(55)가 형성된다.
바닥 단턱부(55)는, 바닥 정면(51)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를 가지며 바닥 단턱부(55)의 일면에 후술될 흡입부(300)의 흡입 몸체(310)가 구비될 수 있도록 바닥 정면(51) 방향으로 단턱진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다.
그리고 바닥 후면(52) 측의 바닥 측면(53)에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된다.
상기 후면 결합홈(56)은 바닥 단턱부(55)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후면 결합홈(56)에 후면판(30)의 굴곡진 연장부(33)가 결합된다.
상기 바닥판(50)은, 서로 대응되는 양측에 동일한 형태의 바닥 측면(53), 바닥 후면(52) 및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되고, 동일한 하나의 측면에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펫 헬스케어 장치에 따른 E는 천정판의 평면도이고, F는 도어의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E는 천정판(60) 이다.
상기 천정판(60)은, 전면부에 손잡이부(27) 및 도어(70)의 손잡이부(74)가 결합되는 정면 고정홈(61)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후면판(30)의 손잡이부(36)가 결합되는 후면 고정홈(62)이 형성된다.
상기 정면 고정홈(61)은, 일단에 제1 천정고정부(61a) 및 제1 천장단턱부(61b)가 형성되고, 타단에 제2천정고정부(61c) 및 제2 천정단턱부(61d)가 형성된다.
먼저, 정면 고정홈(61)의 일단에는 천정판(60)의 외측 방향으로 제1 천정고정부(61a)고, 일단에 천정판(60)의 외측 방향으로 제1 천정고정부(61a)고, 상기 제1 천정고정부(61a)는 정면 고정홈(61)의 넓이보다 좁은 넓이를 가짐에 따라 후면 측으로 제1 천장단턱부(61b)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천장단턱부(61b)는, 단턱진 형태를 가지며 제2천정고정부(61c)의 대응 되는 타단에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2 천정고정부(61c)는, 정면 고정홈(61)의 타단에는 천정판(60)의 외측 방향에 형성되며, 제1 천정고정부(61a) 보다 좁은 넓이를 가지며 전면 방향에 제2 천정단턱부(61d)가 형성된다.
상기 제2 천정단턱부(61d)는, 제1 천정고정부(61a)와 정면 고정홈(61)의 넓이 차이에 의해 단턱진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제2 천정단턱부(61d)와 대응되는 타측에 제1 천정고정부(61a)가 형성된다.
그리고 정면 고정홈(61)의 제1 천정고정부(61a)에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부(27)가 결합되고, 고정홈(61)의 제2 천정단턱부(61d)에 정면판(20)의 천정 결합홈(29)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정면판(20)의 정면 절곡부(26)에 천정판(60)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정면 고정홈(61)의 제2 천정고정부(61c)에 후술될 도어(70)의 도어 손잡이부(74)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정면 고정홈(61)의 제2 천정고정부(61c)에 결합 또는 결합해제하여 도어(20)의 정면 관통구(21)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면 고정홈(62)은, 후면판(30)의 후면 손잡이부(36)에 결합될 수 있는 관통홈 형태를 갖는다. 상기 정면 고정홈(61)와 대응되는 천정판(60) 내측에 후면판(30)의 후면 손잡이부(36)에 결합될 수 있는 관통홈을 갖는 후면 고정홈(6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천정판(60)은, 제1 천정고정부(61a)에 후술될 도어(70)의 도어 손잡이부(74)가 결합되고, 제1 천정고정부(61a)에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부(27)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후면판(30)의 후면 절곡부(35)에 천정판(60)가 결합된다.
그리고 천정판(60)의 중심에 환기케이스(65)가 결합된다.
상기 환기케이스(65)는 상부와 하부가 동일한 형태를 가지며, 환기케이스(65)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환기 케이스 홈(66)이 결합된다. 상기 환기 케이스 홈(66)은, 복수 개의 관통형태를 가지며, 환기케이스(65)의 내측에는 중공이 형성되고, 이 환기케이스(65) 내측 중공에 필터(P)가 결합된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5의 F는 도어(70)로 구성된다.
상기 도어(70)는, 반투명 형태를 가지며 사용자가 헬스케어 구조(1)의 수용부(S)에 수용된 애완동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도어(70)는, 정면판(20)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판 형태로 중심에 도어 관통구(7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 관통구(71)는 도어(70)를 관통한 것이 아니라 도어(70)의 전면에서 후면 방향으로 1mm 단차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관통구(71)는, 투명하여 동물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도어 관통구(71)의 하측 양단에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도어 다리부(72)가 형성되고, 양단의 도어 다리부(72) 사이에 도어 연장부(73)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 연장부(73)는, 도어 관통구(71) 방향으로 경사지며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도어 연장부(73)는 지면과 맞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도어 관통구(71) 상부에 도어(70)의 내측으로 경사진 도어 손잡이부(74)가 형성되고, 도어 관통구(71) 상부에 도어 손잡이홈(47a)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 손잡이홈(47a)는, 사용자가 도어 손잡이부(74)를 파지할 수 있도록 관통홈 형태를 갖는다. 이에 따라 펫 헬스케어 장치(1)의 상부와 하부 방향으로 개방하거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의 조립은, 정면판(20), 후면판(30), 측면판(40), 바닥판(50), 천정판(60) 및 도어(70)를 각각 형성되는 홈 부분끼리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정면판(20)은, 정면판(20)의 바닥판 결합홈(25)에 바닥판(50)의 정면 결합홈(54)이 결합되고, 정면판(20)의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 결합홈(28) 각각에 측면판(40)의 정면 경사결합홈(49)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고, 정면판(20)의 천정판 결합홈(29)에 천정판(6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판(30)은,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를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한다. 이때, 결합부(38)는 2개가 1쌍으로 구성됨에 따라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 2개가 각각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에 각각 결합되야 한다.
또한, 측면판(40)의 후면 수직결합홈(48)와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는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후면판(30)의 천정판 고정홈(47)에 천정판(60)의 후면 고정홈(62)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후면판(30)의 후면 연장부(33) 양측에 굴절되며 다단 형태를 갖는 부분이 바닥판(50)의 후면 결합홈(56)에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정면판(20), 후면판(30), 측면판(40), 바닥판(50) 및 천정판(60)이 결합되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70)를 천정명(60)의 제 천정고정부(61a)에 결합하거나 결합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본체(1)는 천정판(60)의 정면 고정홈(61) 및 후면 고정홈(62)으로 돌출된 정면판(20)의 정면 손잡이부(27) 및 후면판(30)의 후면 손잡이부(36)를 들고 본체(1)를 옮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에서 공기가 순환되는 실시예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헬스케어의 저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의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펫 헬스케어 장치(1) 내측 하부에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된다.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하부디바이스(100), 바닥판(50), 배출부(200), 흡입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펫헐스케어 장치(1) 내측 하부에 장착되며, 반려동물의 안전을 위하여 과전류 방지 FUSE/과열방지/BI-METAL를 통해 정밀한 온도제어를 위한 온도센서가 장착되고 이를 통한 3중 안전장치를 구현 반려동물과 반려인의 안전을 도모하고 있다.
상기 하부디바이스(100)는, 상부가 개방되며 내부에 케이스 공간부(111)가 형성되는 케이스(110)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10)는, 케이스 공간부(111)의 전방에 정면부재(120)과, 정면부재(120)의 일측에 외부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 내부로 들어올 수 있도록 다수 개의 관통구로 이루어진 정면 흡입구(12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정면부재(120)와 대응되는 케이스 공간부(111) 후방에는 후면부재(130)이 형성되고, 후면부재(130)의 중심에 후면 결합홈(131)이 형성되고, 후면 결합홈(131)에 후술될 흡입구(300)의 배출구(330)가 결합된다.
또한,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기체 속에 부유하고 있는 고체나 액체의 미립자를 모아서 제거하는 집진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산소이온을 발생시키는 플라즈마웨이브 기능이 구비된 공기청정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흡입부(300)의 내부에는 펫 헬스케어 장치 내부의 냄새 및 악취를 제거하는 탈취필터가 장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후면부재(130)와 정면부재(120) 사이 양측에 측면부재(140)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부재(140)은 외측에 사용자가 헬스케어디바이스(10)를 조작할 수 있는 컨트롤러(141)가 외부 일측에 형성되고, 이러한 컨트롤러(141)는 측면부재(1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부재(140)에만 형성된다.
또한, 측면부재(140)은 케이스 공간부(111) 방향의 내측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측면 배출구(142)가 형성되며, 이러한 측면 배출구(142)는 후술될 제1 가이드(170)와 제2 가이드(171) 사이 간격과 동일한 넓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측면 배출구(142)는, 내측 상부에 하부까지 관통되는 측면 관통홈(143)이 형성되며, 후술될 팬(160)에 의해 공기가 측면 관통홈(143)으로 배출되는 유로 형태를 갖는다.
또한, 측면 배출구(142)는, 하부디바이스(100)의 내측에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관통하여 배출부(200)의 관통구(240)와 결합되도록 하부디바이스(100)의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 공간부(111)의 하측에는 하부부재(15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부재(150)의 중심에는 후술될 흡입부(300)의 배출구(330)를 통해 공간부(111) 방향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흡입하여 측면 배출구(142)의 측면 관통홈(143)로 배출하는 팬(160)이 구비된다. 상기 팬(160)은 하부부재(150) 중심에 볼트와 너트를 통해 결합되며, 팬(160)의 측면은 개방된 형태를 갖는 팬 배출부(161)가 형성된다.
상기 팬(160)은, 상부에서 공기가 흡입되고, 팬(160)의 측면에 형성된 팬 배출부(161)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한다.
이때, 팬(160)의 팬 배출부(161)으로 배출되는 공기는 후술될 제1 가이드(170)와 제2 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로 배출된다.
상기 제1 가이드(170)는 팬(160)을 중심으로 후면부재(130) 방향에 '
Figure 112018075349023-pat00001
' 형태로 형성되고, 제2 가이드(171)는 제1 가이드(170)와 대응되는 정면판(20) 측에 '
Figure 112018075349023-pat00002
'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는 바닥판(50)의 내측 상부에 결되어 바닥판(50)의 중심에 결합되는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되는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 사방으로 배출되지 않고,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에 형성된 공기유로는 측면부재(140)에 구비된 측면 배출구(142)의 공기유로와 동일한 넓이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단부에 각각 1개가 씩 연결부(181, 18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팬(160)을 중심으로 측면판(40)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170)의 평평한 일면에 '∪' 형태를 갖는 동코팅핀히터(180)의 연결부(181)가 관통하여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의 반대 측면판(40)에 제2 가이드(171)의 평평한 일면에 '∩' 형태의 동코팅핀히터(180`)의 연결부(181`)가 관통하여 볼트를 통해 체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팬(160)을 중심으로 제1 가이드(170) 및 제2 가이드(171)의 평평한 일면에 각각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동코팅핀히터(180, 180`)는 열을 방출하여 공기를 살균하는 작용과 공기를 애완동물에 가장 적합한 온도로 가열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은 하부디바이스(100)의 상부에 애완동물이 안착할 수 있는 판 형태를 갖는 바닥판(50)이 결합된다. 이러한 바닥판(50)의 양측면에는 바닥 측면홈(57)이 구비되고, 바닥 측면홈(57)에는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가 관통하여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의 상부가 바닥판(50)의 상부면 보다 상부로 더 돌출된 형태를 갖을 수 있다. 그리고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에는 배출부(200)가 각각 구비된다.
이러한 배출부(200)는, 바닥판(50)의 양측에 구비되되, 정면판(20)과 후면판(30) 방향으로 긴 형태를 가지며 양단이 수용부(S) 방향으로 굴절되는 굴곡돌출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굴곡돌출부(210)에는, 복수 개의 제1 배출홀(220)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굴곡돌출부(210) 사이에는 복수 개의 관통구를 갖는 제2 배출홀(230)이 형성된다.
이때, 양측면에 구비된 배출부(200)의 제2 배출홀(230)은, 정면판(20)에서 후면판(3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구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고, 타측의 배출부(200)의 제2 배출홀(230)은, 후면판(30)에서 정면판(20) 방향으로 갈수록 관통구의 폭이 넓어지는 형태를 갖는다.
즉, 제2 배출홀(230)은 좌/우 대칭구조를 가짐에 따라 배출구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되는 공기가 수용부 내에서 회전바람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부(200)의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의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고, 배출부(200)의 중공과 연통될 수 있도록 배출부(200)의 하부에는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동일한 크기의 관통구(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구(240)는,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을 관통하는 측면부재(140)의 측면 배출구(142)와 결합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부(200)의 내측 중공에는 수용부(S) 방향으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와, IR LED 램프가 복수 개 구비되어, LED 무드 램프와 IR LED 램프는 다수 개가 교대로 직렬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는 애완동물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형성하고 아울러 살균작용을 하며, IR LED 램프는 탈취 및 건조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제1 배출홀(220)과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경사각도를 갖는다.
또한,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이중 각도 중 어느 하나의 각도에 의해 바닥판 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고, 다른 하나의 각도에 의해 수용부의 횡방향으로 바람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바닥판(50)과 수용부(S) 방향으로 분사되는 바람이 회전바람을 일으킴으로써, 이중 모를 갖는 애완동물의 털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애완동물의 젖은 털을 빠르게 건조시킬 수 있으며 애완동물의 눈, 코, 등으로 분사되지 않아 애완동물의 눈, 코 등이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200)를 통해 분사되는 바람이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이물질, 초미세먼지, 애완동물털 및 곰팡이에 의해 수용부(S)의 공기가 오염되면, 흡입부(300)를 통해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어 정화하고 수용부(S)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를 포함하여 사출되며, 케이스(110)의 후면부재(130)에 구비되는 것으로, 바닥판(50) 보다 상부에 형성되는 흡입몸체(310), 흡입몸체(310)의 중앙에는 전후방향으로 관통 형성된 관통구, 상기 관통구(311) 내측에 프리필터 형태로 구비되는 필터(P)가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필터(P)는, 애완동물의 털을 포집하여 건조시 털이 사방으로 날리는 것을 방지하고, 애완동물의 털과 공기 중에 포함된 집먼지진드기, 곰팡이 포자를 포집하고, 필터(P)에 포집된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는 물세척을 통해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어서 관리가 용이하다.
그리고 관통구(311)에는 관통홈 커버(312)가 구비되며, 관통홈 커버(312)는 필터(P)가 흡입구의 외부로 빠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주도록 역할을 한다. 이때 관통홈 커버(312)에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어 공기가 필터로 용이하게 유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흡입부(300)의 흡입 몸체(310) 하부에는 케이스 공간부(111) 방향으로 돌출된 흡입 돌출부(320)가 형성되고, 흡입 돌출부(320)는 돌출된 일단이 후면부재(130)의 후면 결합홈(131)에 결합되며, 흡입 돌출부(320)의 단부에는 흡입부(300)를 통해 흡입된 공기가 케이스 공간부(111)로 배출되도록 배출구(330)가 형성되며, 상기 배출구(330)에는 UV-C LED램프(R) 및 살균 헤파필터(H)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즉, 본체(1)의 수용부(S)에 있는 균을 헤파필터 있는 곳으로 제균되고 헤라필터에 포집된 균을 UVC LED로 살균하여 없애도록 구성된다.
상기 UV-C LED램프(R)는 UV LED 의료기기용 살균 램프기능을 하고, 살균 헤파필터(H)는 필터(P)로 걸러지지 않은 초미세먼지, 곰팡이균 포자 등을 걸러내고 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한다. 그리고 UV-C LED램프(R)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UV-C LED램프(R)는, 반도체 칩의 특성상 원하는 단일 스펙트럼만 나오게 할수 있어 수은 (Hg) UV램프와 같이 파워분산이 되지 않으므로수은램프보다 효율이 훨씬 높을 뿐만 아니라 파장도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수은 UV 램프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형광등의 유리관 안쪽에 형광막이 코팅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어, 백색 빛이 나지 않고 수은 방전으로 인해 발생한 자외선이 그대로 방출된다.
따라서 UV 램프의 유리재질은 충격에 깨질 수 있고 다루기가 불편한 반면에UVLED는 고체 소자에 반도체 패키지를 이용하여 충격에 깨지지 않는다.특히 수은과 같은 중금속 규제물질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 친환경적인 소재로RoHS (Restriction of Hazardous Substances Directive)제재로부터 자유롭다.수명 면에서도70%의 출력에서UV 램프가 일반적으로2천시간 정도의 수명을 가지지만,UVLED는 수만 시간의 수명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아 (Small form-factor) 여러 디자인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기존 UV 램프의 경우는 복사열로 인하여 거리가 가까우면 조사면의 온도가 상승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UV Lamp와 조사면 간 일정 거리 이상을 두거나 조사면 온도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다. 광원과 조사면이 멀어지면 광량이 감소해 효율이 저하되지만 UV LED의 경우엔 복사열이 적어 광원과의 거리를 가깝게 두는 것이 가능하다.
UV LED는 대부분 상용 전원을 그대로 쓸 수 있고 에너지 소비를 절대적으로 감소시킨다. 그리고 순간적으로 on/off가 가능하여, 수은 UV 램프처럼 가동을 위해 사용하지 않을 때도 켜놓을 필요가 없다. 또한 수은 램프는 오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는 공기정화 기구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근로자의 호흡기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에 비해 UVLED는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UV LED는 수은 UV 램프에 비해 오존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필터(P), UV-C LED램프(R) 및 살균 헤파필터(H)는 공지공용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이물질, 먼지, 초미세먼지, 세균 등이 펫 헬스케어 장치(1)의 수용부(S)에 머물지 않고 항균소재가 포함된 배출부(200) 및 흡입부(300), 필터(P), 살균 헤파필터(H), UV-C LED램프(R) 및 동코팅핀히터(180, 180`)의 5단계 케어를 통해 정화됨으로,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이 쾌적한 상태로 유지 관리되게 된다.
즉, 구체적으로, 1단계 케어는 배출부(200) 및 흡입부(300) 제조시 포함된 항균소재에 의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단계이다.
그리고 2단계 케어는, 흡입부(300) 내측에 프리필터가 결합되어 수용부(S)의 집먼지진드기와 곰팡이균 포자를 포집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3단계 케어는, 광촉매로 코팅된 살균 헤파필터(H)를 통해 2단계에서 제거되지 않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4단계 케어는, UV-C LED램프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제균 및 살균하는 단계이다.
그리고 5단계 케어는, 상기 1 내지 4단계를 통해 정화된 공기를 동코팅핀히터(180, 180`)를 통해 공기 중에 포함된 세균을 한번 더 살균하고, 공기를 정화하며, 공기를 적정온도로 가열하는 단계이다.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하측에 결합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내측 수용부에 정화된 공기가 순환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각종 미세먼지, 집먼지진드기 곰팡이균 포자 및 털갈이 시기의 죽은 털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산책 또는 집구석구석을 돌아다닌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목욕 후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물기를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것으로, 오염된 애완동물을 펫 헬스케어 장치(1) 수용부(S)에 수용되도록 한 후, 사용자가 하부디바이스(100)의 측면부재(140)에 형성되는 컨트롤러(141)를 원격 또는 수동으로 작동하면, 5단계 펫 헬스케어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하부디바이스(100)의 팬(160)의 가동에 의해, 하부디바이스(100)의 정면부재(120)에 형성된 정면 흡입구(121)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도록 이루어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상기 펫 헬스케어 장치(1)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여, 상기 수용부(S)에 수용된 애완동물에게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배출부(200)의 내측 중공에 구비된 405nm 파장을 내는 자외선 LED 무드 램프 및 IR LED 램프에 의해 애완동물이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공기를 추가로 살균하며, 탈취 및 공기 중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또한, 펫 헬스케어 장치(1) 하부에는,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에 구비된 팬(160) 및 유로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이렇게 형성된 회전바람이 상기 배출부(200)에 의해 배출되면서 배출부(200)에 형성된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어 수용부(S) 내의 공기가 수용부 내 전체를 유동하게 된다.
이러한 회전공기에 의해,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먼지 등 이물질이 더욱 용이하게 제거되고, 목욕 후 애완동물의 털에 묻은 물기가 효율적으로 건조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에서 도면을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 : 펫 헬스케어 장치
20 : 정면판
21 : 정면 관통구 22 : 정면 다리부
23 : 정면 연장부 24 : 정면 외측부
25 : 바닥 결합홈 26 : 정면 절곡부
27 : 정면 손잡이부 27a : 정면 손잡이홈
28 : 측면 결합홈 29 : 천정 결합홈
30 : 후면판
31 : 후면 관통구 32 : 후면 다리부
33 : 후면 연장부 34 : 후면 외측부
35 : 후면 절곡부
36 : 후면 손잡이부 36a : 후면 손잡이홈
37 : 천정판 고정홈 38 : 후측면 결합부
40 : 측면판
41 : 제1 측면 다리부 42 : 제2 측면 다리부
43 : 측면 연장부 44 : 측면 컨트롤 관통구
45 : 측면 평면부 46 : 측면 경사부
47 : 측면 상부평면부 48 : 후면 수직결합홈
49 : 정면 경사결합홈
50 : 바닥판
51 : 바닥 정면 52 : 바닥 후면
53 : 바닥 측면 54 : 정면 결합홈
55 : 바닥 단턱부 56 : 후면 결합홈
57 : 바닥 측면홈
60 : 천정판
61 : 정면 고정홈
61a : 제1 천정고정부 61b : 제1 천정단턱부
61c : 제2 천정고정부 61d : 제2 천정단턱부
62 : 후면 고정홈
65 : 환기 케이스 66 : 환기 케이스 홈
70 : 도어
71 : 도어 관통구 72 : 도어 다리부
73 : 도어 연장부 74 : 도어 손잡이부
74 a: 도어 손잡이홈
10 : 헬스케어디바이스
100 : 하부디바이스
110 : 케이스 111 : 케이스 공간부
120 : 정면부재 121 : 정면 흡입구
130 : 후면부재 131 : 후면 결합홈
140 : 측면부재 141 : 컨트롤러
142 : 측면 배출구 143 : 측면 관통홈
150 : 하부부재
160 : 팬 161 : 팬 배출부
170 : 제1 가이드 171 : 제2 가이드
180, 180` : 동코팅핀히터 181, 181` : 연결부
200 : 배출부
210 : 굴곡돌출부 220 : 제1 배출홀
230 : 제2 배출홀 240 : 관통구
300 : 흡입부
310 : 흡입 몸체 311 : 정화 관통구
312 : 관통홈 커버 320 : 흡입 돌출부
330 : 배출구
S : 수용부 H : 살균 헤파필터 R : UV-C LED램프 P : 필터

Claims (15)

  1. 애완동물이 수용되는 수용부(S)의 전면에 애완동물이 출입하는 정면 관통구(21)가 형성되는 정면판(20)과, 상기 정면판(20)과 대응되는 수용부(S) 후면에 형성되는 후면판(30)과, 상기 정면판(20) 및 후면판(30) 사이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과, 상기 수용부(S) 하측에 지면과 이격되는 바닥판(50) 및 상기 바닥판(50)과 대응되는 상부에 형성되는 천정판(60)이 상호 조립에 의해 수용부(S)가 형성되는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에는 상기 수용부(S)의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 제균 및 살균한 후 수용부(S)로 배출하는 헬스케어디바이스(10)가 구비되고,
    상기 헬스케어디바이스(10)는,
    상기 후면판에 구비되는 흡입부(300), 상기 바닥판(5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하부디바이스(100), 상기 수용부(S)의 바닥판(50)의 상부 양측면에 구비되는 배출부(200)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의 내부에는 팬(160)이 구비되고,
    상기 팬(16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바람이 형성되고, 팬에 의해 형성된 회전바람은 상기 배출부를 통해 수용부로 배출될 때 배출부에 구비된 제1배출홀(220) 및 제2배출홀(230)에 의해 회전바람이 가속되어 수용부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부(300)는,
    항균소재로 사출되며, 애완동물의 털과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P)와, 미세먼지와 곰팡이균 포자 및 박테리아를 포집하고 제균 및 살균하는 살균 헤파필터(H)와, 살균 기능을 하는 UV-C LED램프(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홀(220) 및 제2 배출홀(230)은 5° 및 13°의 이중 경사각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에는 제1가이드(170) 및 제2가이드(171)가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는 공기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팬(160)의 상부로 흡입된 공기가 상기 팬(160)의 팬 배출부(161)로 배출될 때, 상기 공기유로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170) 및 제 2가이드(171)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유로는 팬을 기준으로 양측면에 2개가 형성되고,
    상기 양측면의 공기유로 상에는 동코팅핀히터(180, 180`)가 구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20)은,
    정면 관통구(21)를 중심으로 양측 하부에 돌출된 정면 다리부(22)와, 상기 정면 다리부(22)와 대응되는 정면 관통구(21) 상부에 정면 손잡이홈(27a)이 형성되는 정면 손잡이부(27)와, 정면 다리부(22)와 정면 손잡이부(27) 사이 양측에 정면 손잡이부(27) 방향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정면 외측부(24)와, 정면 외측부(24) 상측이 정면 관통구(21) 방향으로 절곡되는 정면 절곡부(26)를 포함하되, 상기 양측 정면 절곡부(26) 일단에 각각 정면 다리부(22) 방향으로 측면 결합홈(28)이 형성되고,
    상기 어느 하나의 정면 절곡부(26)에서 정면 손잡이부(27) 측으로 천정 결합홈(29)이 형성되며, 상기 정면 관통구(21)와 정면 연장부(23) 사이의 정면 외측부(24)에는 외측에서 내측으로 바닥 결합홈(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판(30)은,
    중심에 흡입부(300)의 관통홈커버(312)가 결합되는 후면 관통구(31)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관통구(31) 양측 하부에는 후면 다리부(32)가 형성되고, 후면 다리부(32)에는 하부 단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경사진 후측면 결합부(38)가 형성되며,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되고, 상기 후면 손잡이부(36)가 형성된 방향의 후면판의 외측단부 중 일측에는 단부에서 후면 손잡이부(36) 방향으로 천정판 고정홈(3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면판(40)은,
    상부에 평면부(47)가 형성되고, 평면부(47)의 후면 일측에는 후면판(30)의 후측면 결합부(38)가 결합되는 후면 수직결합홈(48)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제1 및 제2 측면 다리부(41, 42)가 형성되고, 상기 제2 측면 다리부(42)의 일측에는 정면판(20)의 측면 결합홈(28)에 결합되는 정면 경사결합홈(49)이 형성되며, 양측에 형성되는 측면판(40) 중 어느 하나의 측면판(40)에만 측면 컨트롤 관통구(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50)은,
    전면의 양측 단부 중 어느 한 측의 단부에는 정면판(20)의 바닥 결합홈(25)이 결합되는 정면 결합홈(54)이 형성되고, 후면의 양측 단부에는 후면판(30)의 후면 연장부(33)의 굴곡진 단부에 후면 결합홈(56)이 형성되며, 하부에는 하부디바이스(100)가 구비되고, 양측면의 내측에는 전후방향으로 바닥 측면홈(57)이 형성되고, 상기 바닥 측면홈(57)의 상부에는 배출부(200)가 구비되며, 후면에는 바닥판(50)의 바닥 단턱부(55)가 형성되고, 상기 바닥 단턱부(55)에는 흡입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60)에는, 중앙에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환기케이스(65)가 구비되는 환기 케이스 홈(66)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환기 케이스(65)의 내부에는, 수용부(S)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필터(P)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60)은,
    전면부에 손잡이부(27) 및 도어(70)의 손잡이부(74)가 결합되는 정면 고정홈(61)이 형성되고, 후면부에 후면판(30)의 손잡이부(36)가 결합되는 후면 고정홈(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디바이스(100)는,
    하부디바이스(100)의 내측에 바닥판(50)의 바닥 측면홈(57)과 관통하여 배출부(200)의 관통구(240)와 결합되는 측면 배출구(142)가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KR1020180088771A 2018-07-30 2018-07-30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Active KR101966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71A KR101966438B1 (ko) 2018-07-30 2018-07-30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771A KR101966438B1 (ko) 2018-07-30 2018-07-30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438B1 true KR101966438B1 (ko) 2019-04-05

Family

ID=66104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771A Active KR101966438B1 (ko) 2018-07-30 2018-07-30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43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78A (ko) * 2019-07-05 2021-01-13 손효근 반려동물용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128086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쏘쿨 애완동물용 쉼터 및 관리 시스템
CN114793938A (zh) * 2022-04-12 2022-07-29 周丽梅 一种具有杀菌功能的饲养装置
KR102635573B1 (ko)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반려동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살균 및 냄새제거 장치
KR20240103784A (ko) 2022-12-27 2024-07-04 박향미 반려동물 관절 케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35Y1 (ko) * 2003-08-29 2003-11-17 강봉희 애완동물용 집
KR20150024521A (ko) * 2013-08-27 2015-03-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애완동물 집
KR20150041757A (ko) * 2013-09-14 2015-04-17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박스형 애완 동물용 건조기
JP2015148432A (ja) * 2014-01-10 2015-08-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20170044248A (ko) 2015-10-14 2017-04-25 주식회사 두나미스 조립식 애완동물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3835Y1 (ko) * 2003-08-29 2003-11-17 강봉희 애완동물용 집
KR20150024521A (ko) * 2013-08-27 2015-03-09 서울바이오시스 주식회사 애완동물 집
KR20150041757A (ko) * 2013-09-14 2015-04-17 가부시키가이샤 도리무산교 박스형 애완 동물용 건조기
JP2015148432A (ja) * 2014-01-10 2015-08-2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清浄機
KR20170044248A (ko) 2015-10-14 2017-04-25 주식회사 두나미스 조립식 애완동물집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4578A (ko) * 2019-07-05 2021-01-13 손효근 반려동물용 헬스 케어 시스템
KR102320951B1 (ko) * 2019-07-05 2021-11-04 손효근 반려동물용 헬스 케어 시스템
KR20210128086A (ko) * 2020-04-16 2021-10-26 주식회사 쏘쿨 애완동물용 쉼터 및 관리 시스템
KR102411466B1 (ko) 2020-04-16 2022-06-22 주식회사 쏘쿨 애완동물용 쉼터 및 관리 시스템
CN114793938A (zh) * 2022-04-12 2022-07-29 周丽梅 一种具有杀菌功能的饲养装置
CN114793938B (zh) * 2022-04-12 2023-10-03 周丽梅 一种具有杀菌功能的饲养装置
KR20240103784A (ko) 2022-12-27 2024-07-04 박향미 반려동물 관절 케어 장치
KR102635573B1 (ko) * 2023-05-31 2024-02-08 김대칠 반려동물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살균 및 냄새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438B1 (ko) 제균 및 살균 시스템이 구비된 조립식 펫 헬스케어 장치
KR101937181B1 (ko) 제균, 살균시스템이 적용된 펫 헬스케어 장치
KR101186045B1 (ko) 축사출입용 인체 살균장치
KR101030583B1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KR200472302Y1 (ko) 애완동물용 건조장치
KR101554178B1 (ko) 살균정화 및 가온 겸용 공기 공급장치
KR102329659B1 (ko) 옷장용 공기 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1935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를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400831B1 (ko) 연속식 에어샤워부스
KR102774364B1 (ko) 신발관리장치
KR101685170B1 (ko) 공기살균기
KR101636009B1 (ko) 애완동물 케어 시스템
KR20110031810A (ko) 살균 에어 커튼 장치
KR20180100034A (ko) 애완동물 화장실
KR101961748B1 (ko) 반려동물용 스타일러 하우스
KR20110010387U (ko) 자외선 엘이디와 광촉매 필터가 내장된 애완 동물 집
KR100858747B1 (ko) 항균 탈취용 소독장치
US20220249729A1 (en) Led light troffer with uv sanitized air return
KR100903404B1 (ko) 엘리베이터용 공기청정기
KR101640865B1 (ko)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책상
KR20110042799A (ko) 조명등 겸용 공기청정기
KR20200084733A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펫 헬스케어 시스템
KR20100001770U (ko) 애완동물용 살균 탈취장치
NO346100B1 (en) Hand disinfec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on
KR102774365B1 (ko) 신발관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1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