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53429B1 -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 - Google Patents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429B1
KR101953429B1 KR1020157005222A KR20157005222A KR101953429B1 KR 101953429 B1 KR101953429 B1 KR 101953429B1 KR 1020157005222 A KR1020157005222 A KR 1020157005222A KR 20157005222 A KR20157005222 A KR 20157005222A KR 101953429 B1 KR101953429 B1 KR 101953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ink
case
chamb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5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9810A (ko
Inventor
쇼마 쿠도
다카시 고아세
도시야 오카다
야스노리 고이케
데츠야 다카모토
노부타카 스즈키
사토시 다마이
도루 나카자와
가츠토모 츠카하라
마사유키 가나자와
나오후미 미무라
게이고 이이자와
유타카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882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403705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178824A external-priority patent/JP612740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3718A external-priority patent/JP595822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3719A external-priority patent/JP608316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03717A external-priority patent/JP60895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37565A external-priority patent/JP62367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1218A external-priority patent/JP61150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0458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55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48363A external-priority patent/JP595829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25265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55606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39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810A/ko
Publication of KR101953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Ink Jet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를 액체 소비부측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한다. 잉크를 소비하는 액체 분사 헤드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과, 잉크실에 수용된 잉크를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도출구(59)와, 잉크실 내에 잉크를 주입 가능한 주입구(52)와, 잉크실에 잉크를 수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보다 상하 방향(Z)의 상방 위치로부터 잉크실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취입구(60)를 구비하고, 도출구(59)로부터 잉크실에 수용 가능한 수용량의 5% 상당의 잉크를 도출한 경우에, 잉크실 내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의 변동 폭이 상기 수용량의 3제곱근의 5% 이하로 되는 영역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LIQUID CONTAINER, LIQUID-CONSUMING DEVICE, LIQUID SUPPLY SYSTEM, AND LIQUID CONTAINER UNIT}
본 발명은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에 관한 것이다.
또한, 종래에 기록 헤드(액체 소비부, 액체 분사 헤드)에서 소비하는 잉크(액체)를 수용하는 메인 탱크(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액체 소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메인 탱크는, 잉크의 소비에 수반해 잉크실에 수용하는 잉크량이 감소했을 때에, 잉크실 내에 외기를 넣을 수 있는 대기 연통 구멍(공기 취입구)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대기 연통 구멍은, 넣어진 외기가 잉크에 용해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잉크실에 있어서의 연직 방향의 상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 분사 헤드(액체 소비부)에서 소비하는 잉크(액체)를 수용하는 잉크 탱크(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액체 소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 잉크 탱크에는, 주입구(액체 주입구)가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주입구로부터 잉크실에 잉크를 주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종래부터, 잉크(액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잉크 탱크(액체 수용체)를 갖는 탱크 유닛(액체 수용체 유닛)을 기록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한 잉크젯 기록 장치(액체 소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3). 탱크 유닛은, 인쇄(소비) 처리를 실시하는 잉크젯 헤드(액체 소비부)에 잉크를 공급할 때 기록 장치 본체에 장착되는데 대해, 각 잉크 탱크에 잉크를 주입할 때 기록 장치 본체로부터 이탈된다.
또한, 종래에 분사 헤드(액체 소비부)에서 소비하는 잉크(액체)를 수용하는 잉크 탱크(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액체 소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잉크 탱크에는, 잉크 탱크 내에 수용된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눈으로 보는 것이 가능한 확인창(시인면(visible surface))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확인창에는, 잉크 탱크에 수용 가능한 잉크량을 나타내는 상한 라인(상한 눈금)과, 잉크 탱크 내에 수용된 잉크가 비어 있는 것에 가까운 상태인 것을 나타내는 하한 라인(하한 눈금)이 수평 방향에 걸쳐서 길게 연장되도록 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부터, 잉크(액체)를 분사하는 액체 분사 헤드(액체 소비부)에서 소비되는 잉크를 수용 가능한 잉크 탱크(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액체 소비 장치)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5). 이러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에는, 예를 들면 온도 환경의 변화 등에 수반하는 잉크 탱크 내의 압력 변동을 회피하기 위해서, 그 잉크 탱크의 내부를 대기에 개방시키는 대기 개방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래부터, 잉크(액체)를 분사하는 기록 헤드(액체 소비부)에서 소비되는 잉크를 수용 가능한 잉크 탱크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잉크 탱크에는, 일례로서 잉크 카트리지(액체 수용체)를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6 참조). 또한, 이러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 사용되는 잉크에는, 예를 들면 안료 잉크와 같이 시간의 경과에 수반해 농도에 편차가 생기는 것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잉크 카트리지에는, 잉크를 수용 가능한 잉크 수용실(액체 수용실)과, 잉크 수용실 내에 외부로부터 잉크를 도입 가능하게 하는 잉크 도입구와, 잉크 수용실 내로부터 잉크를 잉크젯 기록 장치측에 도출 가능하게 하는 잉크 도출구(액체 도출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잉크 수용실의 저면에 있어서의 잉크 도입구와 잉크 도출구와의 사이에는, 절결부를 갖는 복수의 리브가 연장되어 있다. 즉, 잉크 도입구로부터 도입된 잉크는, 리브의 상측을 통과하는 옅은 잉크와, 절결부를 통과하는 진한 잉크가 혼합되어 잉크 도출구로부터 도출된다.
또한, 잉크 탱크(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잉크젯 기록 장치(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에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액체 수용실) 내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측에 향하여 잉크를 유출시키기 위한 도출구(액체 도출구)가 설치되지만, 이 도출구는 잉크실의 바닥부에 설치되는 것이 많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7).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301732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71585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61624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66563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4-148769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0-208264 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 2012-51308 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잉크실 내에 수용된 잉크를, 수두차를 이용해서 기록 헤드에 공급하는 경우에는, 기록 헤드와 잉크의 액면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에 의해서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에 걸리는 압력이 변화한다. 즉, 예를 들면 잉크의 액면보다 기록 헤드가 상당히 낮은 위치에 있으면, 기록 헤드로부터 잉크가 누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한편, 잉크의 액면보다 기록 헤드가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으면, 기록 헤드까지 잉크를 공급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즉, 종래의 액체 소비 장치에서는, 액체를 액체 소비부측에 안정되게 공급하는 것이 곤란하다고 하는 제 1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를 액체 소비부(액체 분사 헤드)측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 및 그러한 액체 소비 장치와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잉크젯 기록 장치와 같이, 잉크를 주입 가능한 잉크 탱크의 경우는, 잉크의 주입시 등에 주입구로부터 잉크가 누설되는 우려가 있다고 하는 제 2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누설된 액체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릴 우려를 저감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잉크 탱크는 탱크 케이스(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잉크젯 기록 장치에 조립할 수 있다. 종래의 탱크 케이스는 복수의 부재를 조합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에는 시간이 걸린다고 하는 제 3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 수용체 유닛, 및 액체 수용체 유닛을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탱크 유닛을 기록 장치 본체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했을 경우에는, 기록 장치를 운반할 때에 탱크 유닛이 어긋나 버릴 우려가 있다. 그 때문에, 유저는 탱크 유닛을 누르거나, 어긋나지 않게 주의하거나 해서 옮길 필요가 있어 운반성이 부족하다고 하는 제 4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4 목적은,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액체 소비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에서 소비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특허문헌 4에 기재된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잉크 탱크가 기울어 설치되었을 경우에는, 잉크의 액면은 수평을 유지하는데 비해서, 각 라인은 잉크 탱크와 함께 기울게 된다. 그 때문에, 라인이 확인창의 수평 방향에 걸쳐서 길게 연장되도록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특히 라인의 양단 위치에 있어서 상기 라인에 대한 잉크의 액면의 위치가 서로 상위해 버려, 수용되고 있는 잉크량을 판단하기 어렵다고 하는 제 5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5 목적은, 유저가 액체 수용체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주입구는 잉크 탱크에의 잉크의 주입시에 연직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입구로부터의 잉크의 주입이 하기 어렵다고 하는 제 6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제 6 목적은, 액체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5에 기재되어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의 대기 개방구는, 제품의 출하 시점에서는 밀봉되어 있지만, 프린터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하기 위해서, 잉크 탱크 내에 잉크가 주입되었을 경우에는, 밀봉 상태가 해제되어 대기에 개방된 상태가 된다. 그 때문에, 잉크 탱크에 잉크가 수용되어 사용 가능한 상태에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가 운반될 때에 있어서, 예를 들면 잉크 탱크가 도치된 것 같은 경우에는, 그 잉크 탱크로부터 대기 개방구를 통해서 외부에 잉크가 누출해 버릴 우려가 있다고 하는 제 7 과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구비되는 잉크 탱크에 한정하지 않고, 액체를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대기에 개방하는 대기 개방구가 형성된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는 대체로 공통된 것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제 7 목적은, 도치되었을 경우에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체가 대기 개방구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그러한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6에 기재되어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서는, 기록 헤드에 공급되는 잉크에 걸리는 수두 변화를 억제하면서 잉크 수용실에 수용 가능한 잉크의 양을 늘리기 위해서는, 잉크 수용실의 수평 방향의 사이즈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수용하는 잉크의 양이 증가하면 잉크가 비워질 때까지의 소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잉크의 농도의 편향도 커진다. 그러나, 잉크 수용실 내에 있어서 잉크 도출구에서 수평 방향으로 멀게 멀어진 부위에서는, 잉크가 흐르기 어렵다. 그 때문에, 중력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를 통과한 잉크를 혼합시키는 것만으로는 잉크의 농도의 편향을 충분히 해소할 수 없다고 하는 제 8 과제가 있다. 이러한 과제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구비되는 잉크 탱크에 한정하지 않고,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에 대해 대체로 공통되는 것이 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제 8 목적은, 액체 수용실 내에 수용된 액체의 농도의 편향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그러한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7에 기재되어 있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있어서 대량의 인쇄를 연속해서 실시하기 위해서는, 잉크실의 용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잉크실의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 잉크실을 수평 방향으로 확대하면, 잉크실의 바닥 면적도 커진다. 그리고, 잉크실의 바닥부에 있어서 수평 방향에 따르는 방향의 제 1 단측에 도출구가 설치되어 있으면, 제 1 단측이 높게 되도록 잉크젯 기록 장치가 경사한 상태로 재치되었을 경우 등에, 경사에 의해서 낮아진 저면측에 모인 잉크를 유출시킬 수 없다. 특히, 잉크실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 부근에 도출구를 마련하면, 잉크실이 경사했을 경우에 유출하지 않고 남아 버리는 잉크의 양이 많아져 버린다. 이러한 과제는, 잉크젯 기록 장치에 대해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이 설치된 잉크 탱크에 한정하지 않고, 액체 소비 장치로 소비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 액체 도출구가 설치된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는, 대체로 공통된 것이 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9 목적은,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는 액체 수용체 및 그러한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액체 소비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수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보다 연직 방향의 상방 위치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취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출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 가능한 수용량의 5% 상당의 상기 액체를 도출한 경우에,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의 액면의 변동 폭이 상기 수용량의 3제곱근의 5% 이하로 되는 영역을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로부터 도출되는 액체의 양에 대한 액면의 변동 폭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액체 소비부에 공급되는 액체에 걸리는 압력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를 액체 소비부측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크기는 연직 방향의 높이에 비해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은, 연직 방향의 높이보다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 크기 때문에,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 연직 방향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도출하는 액체의 양에 대한 액면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액체 주입구까지의 높이는 7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면으로부터 액체 주입구까지의 높이를 7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저면으로부터 액체 주입구까지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에 수용되는 액체의 액면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액면을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시인면에는,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주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의 상한량을 나타내는 상한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저면으로부터 상기 상한 눈금까지의 높이는 5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에 있어서 액면이 위치하는 범위를 55㎜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액체 수용실에 수용되는 액체의 액면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시인면에는, 상기 상한 눈금보다 연직 방향의 하부 위치에 하한 눈금이 더 형성되고, 상기 하한 눈금으로부터 상기 상한 눈금까지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높이는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하한 눈금을 액체 수용실에의 액체의 주입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실에 있어서 액면이 위치하는 범위를 40㎜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액체 수용실에 수용되는 액체의 액면의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튜브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에 관한 발명과 동일의 작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제 1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은,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액체 분사 헤드와, 상기 주 주사 방향인 좌우 방향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으로 피기록 매체를 반송하기 위한 반송 기구와,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이동 영역보다 상기 피기록 매체의 반송 방향 하류측이 되는 전방으로 끌어들여서 상기 액체 분사 헤드에 액체를 공급하는 튜브를 구비한 액체 분사 장치와, 상기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분사 헤드의 이동 영역의 외측에 전후 방향에 따르도록 배설된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취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설치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에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좌우 방향의 사이즈는 상기 좌우 방향 및 상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높이 방향의 사이즈보다 작고,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높이 방향의 사이즈는 상기 전후 방향의 사이즈보다 작게 설정되며,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전방측에 배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을 구비한 액체 수용체는, 좌우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액체 분사 헤드의 이동 영역보다 좌우 방향의 외측에 전후 방향에 따라서 배설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액체 수용체에 구비되는 액체 수용실을, 액체 분사 헤드의 이동 영역에 의해서 분단되는 일이 없이, 전후 방향에 따라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체가 갖는 액체 수용실은, 그 좌우 방향의 사이즈가,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높이 방향의 사이즈보다 작고, 또한 그 높이 방향의 사이즈가 전후 방향의 사이즈보다 작다. 그 때문에, 액체 수용실의 높이 방향의 사이즈가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의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 비해서,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가 도출되었을 때에 있어서 액체 분사 헤드에 대한 액체 수용실 내의 액면의 변동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헤드에 공급되는 액체에 걸리는 압력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를 액체 분사 헤드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체는, 액체 수용실 내의 액체를 튜브측에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가 액체 수용실의 전후 방향의 중앙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수용실과 튜브와의 접속을 피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전방측의 스페이스를 활용해 실시할 수 있어, 소형의 액체 공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전면에는, 상기 액체 도출구에 접속된 상기 튜브를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근거해 눌러 찌부러뜨릴 수 있는 밸브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튜브에 의한 액체의 공급을 차단할 때에 조작되는 밸브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분사 헤드를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하는 케이스의 외측에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를 액체 분사 장치의 케이스 내에 배설하는 경우에 비해서, 액체 수용체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한 제한을 한층 더 완화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누설 액체의 유로상에 위치하는 차단부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누설 액체는 상기 누설 액체의 유로상에 위치하는 차단부에 의해서 차단된다. 따라서, 누설된 액체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액면을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차단부는 상기 시인면보다 연직 방향의 상방 위치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차단부가 시인면보다 연직 방향의 상방 위치에 위치하기 때문에, 누설 액체에 의해서 시인면이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차단부와 상기 시인면과의 사이에는 단차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누설 액체가 차단부를 넘어 버렸을 경우에서도, 단차부에 의해 누설 액체가 시인면에 흘러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차단부에 있어서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동시에 상기 누설 액체가 흐르는 방향인 누설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은 상기 액체 주입구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주입하는 액체가 어느 쪽의 방향에서 누설되었을 경우에서도 차단부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액체 주입구보다 연직 방향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가 형성되는 주입구 형성면은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차단부로 향해 하향 경사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 형성면을 누설 액체의 유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액체를 주입구 형성면에서 받는 것에 의해, 주입구 형성면 이외의 부분이 액체로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주입구 형성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 형성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에 의해서 누설 액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차단부는 상기 주입구 형성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 형성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부에 의해서 누설 액체를 포획하는 것에 의해 누설 액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형성면은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주입구와 차단부가 일 방향을 향한 주입구 형성면에 형성되기 때문에, 누설 액체가 흐르는 방향을 일 방향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와 상기 차단부와의 연직 방향에 대한 각각의 기울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를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 액체 주입구와 차단부를 동일 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튜브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에 관한 발명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상기 제 3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 유닛은,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 가능한 보호 케이스를 구비하는 상기 보호 케이스는 일체 성형물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를 덮는 보호 케이스를 일체 성형물로 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 유닛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액체 주입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와 개구를 위치맞춤하는 것에 의해, 보호 케이스에의 액체 수용체의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액체 주입구의 주변부는 보호 케이스에 덮이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주입구에 부착한 액체가 보호 케이스와 주입구와의 사이의 간극으로부터 보호 케이스의 내부에 들어갈 수 있어, 외부로부터 액체에 접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액체 수용체보다 큰 개구부를 갖는 5면 일체 성형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케이스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액체 수용체를 용이하게 보호 케이스에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와 상기 보호 케이스에는 요철 끼워맞추는 위치결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와 보호 케이스가 위치결정부에 의해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와 보호 케이스가 어긋나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위치결정부는 복수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부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결정부는 수평 방향으로 길다란 긴 구멍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와 보호 케이스가 긴 구멍과 요철 끼워맞춤해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와 보호 케이스의 성형 정밀도가 낮은 경우에서도 액체 수용체와 보호 케이스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긴 구멍은 수평 방향으로 길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와 보호 케이스와의 수평 방향의 기울기를 억제해 위치결정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손잡이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케이스가 손잡이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 유닛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에는,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 위치에 상기 보호 케이스가 상기 액체 소비부를 수용하는 장치 본체에 고착될 때에 고정 부재를 걸림고정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 유닛이 장치 본체에 고착되었을 때에, 손잡이부의 양측 위치에 형성된 걸림고정부에서 고정 부재를 걸림고정하기 때문에, 유저는 손잡이부에 손을 거는 것에 의해 장치 본체와 액체 수용체 유닛을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액체 소비부를 수용하는 장치 본체에 상기 보호 케이스가 고착될 때에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해서 결합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 중, 그 한쪽을 구비하고, 그 다른쪽을 상기 장치 본체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케이스를 장치 본체에 고착할 때, 그 한쪽이 구비하는 제 1 결합부와 다른쪽이 구비하는 제 2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이 탄성변형하고,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는 결합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 유닛을 장치 본체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해서 결합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 중, 그 한쪽을 구비하고, 그 다른쪽은 다른 액체 수용체를 덮는 다른 보호 케이스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보호 케이스가 구비하는 제 1 결합부 및 다른 보호 케이스가 구비하는 제 2 결합부의 적어도 한쪽을 탄성변형시켜 서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보호 케이스끼리를 연결해서 증설할 수 있다.
상기 제 3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튜브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 유닛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관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은, 액체 소비부에 유로를 거쳐서 접속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유로와 접속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의 적어도 일부를 덮어서 상기 액체 소비부를 수용하는 장치 본체에 고착되는 보호 케이스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 유닛으로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장치 본체에 고착될 때에 상기 장치 본체측이 되는 면에 상기 액체 수용체를 삽입 가능한 개구부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보호 케이스 내에 상기 개구부로부터의 삽입에 의해 수용된 상태로 상기 보호 케이스와 함께 상기 장치 본체에 고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는 개구부를 거쳐서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로 보호 케이스와 함께 장치 본체에 고착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 유닛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1개 또는 2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체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장치 본체에 고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액체 수용체가 수용된 보호 케이스를 장치 본체에 고착하는 것으로써, 용이하게 액체 수용체를 증설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에 2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체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에서 인접하는 2개의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주입구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오프셋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각 액체 주입구가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횡렬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교하여, 다른 액체 주입구가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각 액체 주입구에의 액체의 주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주입구가 횡렬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잘못해서 다른 액체 주입구에 액체를 주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내부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주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를 이루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액체 주입구가 통부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액체 수용체를 보호 케이스 내에 수용할 때에, 보호 케이스의 개구부측으로부터 액체 수용체를 삽입하고, 액체 주입구의 통부를 수용부의 개구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체를 보호 케이스 내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는, 2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체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각 액체 수용체 중 가장 상기 개구부측에 위치하는 액체 수용체 이외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액체 주입구와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수용부가, 상기 개구부측의 액체 수용체에 인접하는 다른 액체 수용체에 오버랩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각 액체 주입구를 선단에 마련한 통부가, 예를 들면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횡렬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1개의 수용부내에 인접하는 2개의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의 각 통부를 개구부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다른 액체 수용체와 인접한 상태에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리 2개 이상의 액체 수용체를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연결한 다음, 그것들을 일괄해서 보호 케이스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2개 이상의 액체 수용체를 보호 케이스 내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보호 케이스에는, 상기 보호 케이스가 상기 장치 본체에 고착될 때에 고정 부재를 걸림고정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케이스에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정 부재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 유닛을 장치 본체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은,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액체 소비부를 수용하는 장치 본체에 상기 보호 케이스가 고착될 때에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해서 결합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 중, 그 한쪽을 구비하고, 그 다른쪽을 상기 장치 본체가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케이스를 장치 본체에 고착할 때, 그 한쪽이 구비하는 제 1 결합부와 한편이 구비하는 제 2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이 탄성변형하고, 제 1 결합부와 제 2 결합부는 결합 상태가 된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 유닛을 장치 본체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 장착된 밸브의 조작부를, 2개 이상의 상기 액체 수용체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의 상기 보호 케이스에, 상기 2개 이상의 상기 각 액체 수용체와 대응하는 각 유로에 대해서 공통의 조작부로서 마련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통의 조작부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2개 이상의 액체 수용체와 대응하는 각각의 스타일로의 밸브를 일괄해서 개폐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수용하는 액체의 액면을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을 구비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는 상기 시인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창부를 구비하고, 상기 창부와 대향하는 측에 상기 개구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를 상기 보호 케이스에 장착할 때에, 보호 케이스의 창부와 대향하는 측에 마련한 개구부로부터 액체 수용체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시인면과 창부를 위치맞춤하기 쉽다.
상기 제 3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유로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 유닛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공급 시스템은,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 가능한 보호 부재와,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액체 수용체와의 사이에 개재장착되어 상기 액체를 흡수하는 흡수재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부재와 액체 수용체와의 사이에 흡수재를 개재장착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누설 액체가 보호 부재와 액체 수용체와의 사이에 유입되었을 경우에서도, 누설 액체를 흡수재에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누설된 액체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액체 주입구와 상기 보호 부재와의 사이의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가 누설되는 우려가 있는 액체 주입구와 보호 부재와의 사이에 흡수재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누설 액체를 효율적으로 흡수재에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액체 수용체에 의해 협압되어 압축 변형한 상태로 개재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호 부재와 액체 수용체와의 사이의 간극을 흡수재로 메울 수 있다. 따라서, 보호 부재와 액체 수용체와의 간극에 이물이 혼입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상기 보호 부재와 상기 액체 수용체와의 사이까지 연속해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흡수재에 의해서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누설 액체나, 액체 수용체와 보호 부재와의 사이에 흐른 누설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액체를 흡수하도록 장착된 흡수재를 구비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액체를 흡수하도록 장착된 흡수재에 의해, 누설 액체를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누설된 액체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튜브와, 상기 구성의 액체 공급 시스템을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공급 시스템에 관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액체 소비부를 수용하는 장치 본체와, 상기 튜브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하고, 상기 흡수재는 상기 액체 수용체와 상기 장치 본체와의 사이에 개재장착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장치 본체와 액체 수용체와의 사이에 흡수재를 개재장착시키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누설 액체가 장치 본체와 액체 수용체와의 사이에 유입되었을 경우에서도, 누설 액체를 흡수재에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 소비부에 유로를 거쳐서 공급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유로와 접속된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와 연통하는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이며, 상기 액체 수용체의 외표면에는 액체를 흡수 가능한 흡수재가 배설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의 외표면에 흡수재를 배설하는 것으로써, 액체 주입시에 액체 주입구 주변에 부착한, 또는 부착 후에 액체 주입구 주변으로부터 흐른 액체를 흡수재에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액체 수용체의 외표면 중 상기 액체 주입구가 설치된 주입구 형성면과 교차하는 면에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주입시에 액체 주입구 주변에 부착한 액체는 액체 수용체의 외표면을 따라서 흐른다. 그 점,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 주변에 부착한 액체가 액체 수용체의 장착면까지 표류하기 전에 흡수재에 흡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체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한층 더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형성면과 교차하는 면은,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 체내의 액체의 액면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면을 구성하고, 상기 면의, 상기 액체 주입구측에 상기 흡수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시에 액체 주입구의 주변에 부착한 액체가, 액체 수용체 내의 액면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면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액면의 시인성을 해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액체 수용체의 외표면 중 상기 액체 주입구가 설치된 주입구 형성면에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가 설치된 주입구 형성면에 흡수재를 배설하는 것으로써, 액체 주입구 형성면에 부착한, 또는 부착 후에 액체 주입구 형성면을 흐르는 액체를 효율적으로 흡수재에 흡수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흡수재는 상기 액체 수용체의 외표면 중 저면에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흡수재를 저면에 배설하는 것으로써, 액체 주입시에 액체 수용체에 부착한 액체에 의해서 액체 수용체의 장착면이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4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장치 본체와, 상기 장치 본체의 내부에 수용되어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와, 상기 장치 본체의 외부에 고착되어 상기 액체 소비부에서 소비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 유닛과,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소비부에 공급하는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은,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주입구를 은폐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에 형성된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수용체 유닛은 장치 본체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기록 장치를 운반할 때에 액체 수용체 유닛이 장치 본체로부터 이탈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수용체 유닛을 구비한 액체 소비 장치의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액체 수용체에 대해서 상기 액체 주입구를 은폐하는 은폐 위치와 상기 은폐 위치와는 상이한 비은폐 위치와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축을 중심으로 커버를 회동시켜 은폐 위치와 비은폐 위치를 변위시키는 경우에 비해, 커버가 통과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소비 장치를 좁은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서도, 커버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은, 상기 커버가 상기비은폐 위치에 위치할 때에 출현하는 위치에, 상기 액체 주입구를 폐쇄하는 폐쇄 부재를 재치 가능한 재치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를 거쳐서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에, 재치부에 폐쇄 부재를 재치해 둘 수 있다. 따라서, 폐쇄 부재에 액체가 부착하고 있는 경우에서도, 재치부 이외의 부분에 액체가 부착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통부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통부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non-orthogonal)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가 액체 수용실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통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에, 통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재가 주입되는 액체의 수용물에 당접해서 액체의 주입을 저해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부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을 향해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는 액체를 주입하는 모습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누설 액체의 유로상에 차단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누설 액체의 유로상에 설치된 차단부에 의해, 액체 주입구로부터 누설된 액체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사이즈는 상기 액체 수용체의 사이즈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의 사이즈가 액체 수용체의 사이즈보다 작기 때문에, 커버를 액체 수용체상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 유닛이 커버를 구비하는 경우에서도, 운반시에 커버가 걸려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4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 유닛은,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를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 가능한 보호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보호 케이스에는, 상기 액체 주입구를 은폐하는 은폐 위치와 상기 은폐 위치와는 상이한 비은폐 위치와의 사이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액체 소비부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의 장치 본체에 고착될 때에 고정 부재를 걸림고정하는 걸림고정부가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관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4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 유닛은,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와, 상기 액체 수용체에 구비되어 상기 액체 주입구를 은폐 가능한 커버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소비 장치에 관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액체 수용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에 의해서 액체 주입구를 은폐하거나 노출하거나 할 때의 조작성이 용이하다.
상기 액체 수용체 유닛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한쪽의 측에 구비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커버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액체 주입구를 은폐 또는 노출할 때의 커버의 이동량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액체 주입구와 반대측에, 커버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제 5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액면을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을 구비하고, 상기 시인면의 수평 방향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에는, 눈금이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눈금이 수평 방향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액체 수용체가 기울어 설치되었을 경우이라도, 수평 방향으로 상이한 복수의 위치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마다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눈금에 대한 액면의 위치가 상위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액체 수용체에 수용된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시인면에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구측으로서, 또한 상기 액체 도출구보다 연직 방향에 있어서 상방 위치에 하한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도출구측에 하한 눈금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액체 도출구의 부근에 위치하는 액체의 액면과 하한 눈금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하한 눈금을 액체 수용실에의 액체의 주입의 기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액체의 액면이 액체 도출구보다 연직 방향의 하방에 위치해서 액체 도출구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시인면에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측으로서, 또한 상기 액체 주입구보다 연직 방향에 있어서 하부 위치에 하한 눈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하한 눈금은, 액체 주입구와 동일한 측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액체 주입구보다 하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를 주입했을 때에, 주입된 액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시인면은, 연직 방향의 높이에 비해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연직 방향의 높이에 비해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의 폭이 큰 시인면을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에서는, 액체 수용체가 기운 상태로 설치되었을 경우에, 수평 방향으로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연직 방향에 있어서의 눈금에 대한 액면의 위치의 상위가 커지기 쉽다. 그 점, 이 구성에 의하면, 눈금을 수평 방향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에 형성했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가 기울어 설치되어 버렸을 경우에서도 액체의 양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의 상기 시인면에는,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주입되어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수용되는 상기 액체의 상한량을 나타내는 상한 눈금이, 수평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측으로서, 또한 상기 액체 주입구보다 연직 방향에 대해 하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한 눈금이 액체 주입구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가 기울어 설치되었을 경우이라도, 주입된 액체의 액면과 상한 눈금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가 흘러 넘쳐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시인면은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시인면이 연직 방향과 교차하는 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부터 액체의 액면과 눈금을 시인해 비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눈금은 상기 시인면에 있어서의 수평 방향의 동일한 측에 연직 방향으로 간격을 갖고서 복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의 눈금이 동일한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의 액면과 각 눈금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의 잔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상기 제 5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튜브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에 관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6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튜브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튜브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의 단면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의 단면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이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의 단면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경우에 비해, 액체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통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가 액체 수용실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통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에, 통부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재가 주입되는 액체의 수용물에 당접해서 액체의 주입을 저해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부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액체를 주입하는 모습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상기 액체 소비부가 수용되는 동시에 상기 액체 수용체가 고착되는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가 장치 본체에 고착되었을 때에, 통부는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가 형성되는 주입구 형성면은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 형성면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이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가 누설되어 버렸을 경우이여도, 주입구 형성면을 따라서 액체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을 방향으로 액체가 흘러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통부와 상기 주입구 형성면과의 연직 방향에 대한 각각의 기울기는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예를 들면 액체 수용체를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 통부와 주입구 형성면을 동일 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한 통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의 경우에는, 연직 방향과 비직교인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를 주입하면 주입된 액체가 유로의 벽에 부딪쳐, 다시 튀어나오는 것에 의해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다. 그 점, 이 구성에 의하면, 유로가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액체가 다시 튀어나옴에 의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는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를 내부에 형성한 통부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로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통부도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통부가 연직 방향 이외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통부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부가 액체 수용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방해가 되기 어렵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부를 구비한 액체 소비 장치에 고정되었을 경우, 상기 액체 주입구의 단면이 상기 액체 소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가 액체 소비 장치에 고정되었을 경우에, 액체 주입구의 단면이 장치 본체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제 6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튜브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에 관한 발명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6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제 1 유로를 거쳐서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를 상기 유로측에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와 연통하는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주입구의 단면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직교이며, 상기 액체 주입구는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유로의 선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선단에 액체 주입구가 있는 제 2 유로는 연직 방향에 대해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부에 액체를 수용한 타 물품의 주입구를 액체 주입구에 위치맞춤해서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에, 액체 주입구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재가 타 물품에 당접해서 액체의 주입 작업을 저해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주입구의 단면은, 연직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고 있기 때문에, 유저는 액체를 주입하는 경우에, 내부에 액체를 수용한 타 물품의 주입구를 액체 주입구에 대해서 재치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액체 수용실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유로가 액체 수용실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제 2 유로의 선단에 형성된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유로가 액체 수용실의 내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제 2 유로가 액체 수용실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방해가 되기 어렵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수용체가 상기 액체 소비부를 구비한 액체 소비 장치에 고정되었을 경우,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가 액체 소비 장치에 고정되었을 경우에, 제 2 유로는 액체 소비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가 형성되는 주입구 형성면은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 형성면이 연직 방향에 대해서 비직교이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가 누설되어 버렸을 경우이라도, 주입구 형성면을 따라서 액체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을 방향으로 액체가 흘러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6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상기 액체 소비부와, 상기 제 1 유로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기 액체 수용체와 같은 작용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7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칸막이벽을 거쳐서 구획된 내부 공간을 갖는 공기실과, 상기 공기실 내를 대기에 개방시키는 대기 개방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공기실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구를 구비하고, 사용시의 자세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실이 상기 칸막이벽을 경계로 해서 상기 액체 수용실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사용시의 자세 상태에서는, 공기실이 액체 수용실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 연통구를 거쳐서 공기실측에 액체가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액체가 대기 개방구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시의 자세 상태로부터 도치되었다고 해도, 액체 수용실 내의 액체는 연통구를 거쳐서 일단은 공기실의 내부 공간에 받아들여지므로, 액체 수용실로부터 외부에 직접 액체가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치되었을 경우에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체가 대기 개방구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적어도 제 1 공기 소실과, 제 2 공기 소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기 소실과 상기 제 2 공기 소실이 제 1 구획벽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기 제 1 공기 소실과 상기 제 2 공기 소실은, 제 1 연통로를 거쳐서 연통하고, 상기 제 1 연통로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 1 구획벽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공기 소실에 접하는 벽면의 면적보다 작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로부터 액체가 연통구를 거쳐서 연통하는 제 1 공기 소실에 유입했다고 해도, 그 제 1 공기 소실과 연통하는 제 2 공기 소실에는 제 1 공기 소실과 제 2 공기 소실을 구획하는 제 1 구획벽에 있어서의 제 1 공기 소실에 접하는 벽면의 면적보다 작은 유로 단면적의 제 1 연통로를 통과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제 2 공기 소실로부터 또한 대기 개방구가 형성된 공기 소실측으로의 유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체가 대기 개방구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통로는, 상기 제 1 공기 소실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획벽 이외의 면 부위에 위치하는 제 1 개구와, 상기 제 2 공기 소실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획벽 이외의 면 부위에 위치하는 제 2 개구를 연통하고, 상기 제 1 연통로의 길이가 상기 제 1 공기 소실과 상기 제 2 공기 소실과의 거리보다 길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 제 1 공기 소실에 유입한 액체가 더욱 제 1 공기 소실로부터 제 2 공기 소실측으로 유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 1 공기 소실과 상기 제 2 공기 소실과의 거리보다 긴 거리의 제 1 연통로 내를 제 1 개구로부터 제 2 개구까지 유동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긴 거리가 유로 저항을 크게 하고, 제 2 공기 소실측으로의 유입이 억제된다. 따라서, 이 점으로,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액체가 대기 개방구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1 개구로의 거리와 상기 칸막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2 개구로의 거리가 동일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치된 것에 의해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 공기실측으로 유입하고, 또한 제 1 공기 소실과 제 2 공기 소실을 연통하는 제 1 연통로 내까지 액체가 유입했을 경우에서도, 사용시의 자세 상태로 되돌리면, 제 1 연통로 내의 액체는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를 거쳐서 제 1 연통로 내로부터 유출한다. 그 때문에, 제 1 연통로 내에 액체가 남아 건조하는 것으로 고화물이 제 1 연통로 내에 생길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1 연통로의 적어도 일부에의 거리가 상기 칸막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1 개구에의 거리보다 크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액 계면이 제 1 개구 부근에 오는 상태에서 도치했을 경우이라도, 그 제 1 개구와 제 2 개구를 접속하는 제 1 연통로는, 제 1 개구 및 제 2 개구보다 칸막이벽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에 의해 기액 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유로 부분을 적어도 일부에 구비하고 있으므로, 그 부분에서 기액 교환을 불가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연통로보다 액체 수용실측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어,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멈출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통로는, 일단측이 상기 제 1 개구에 연통하는 동시에, 타단측이 상기 제 2 개구에 연통하는 사행한 긴 홈부와, 상기 긴 홈부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피복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치되었을 경우에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매우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는 연통로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통로는 상기 제 1 구획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획벽에 의해 구획된 공기 소실끼리를 연통하는 연통로를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공기실은, 또한 제 3 공기 소실을 포함해 구성되고, 상기 제 2 공기 소실과 상기 제 3 공기 소실이 제 2 구획벽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기 제 2 공기 소실과 상기 제 3 공기 소실은 제 2 연통로를 거쳐서 연통하고, 상기 칸막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1 연통로에의 거리와 상기 칸막이벽으로부터 상기 제 2 연통로에의 거리가 상이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액 계면이 제 1 연통로 및 제 2 연통로 중 어느 한쪽의 부근에 오는 상태에서 도치했을 경우이라도, 제 1 연통로 및 제 2 연통로 중 다른쪽의 연통로는, 그 때의 기액 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위치에 있으므로, 그 다른쪽의 연통로의 부분에서 기액 교환을 불가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연통로보다 액체 수용실측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멈출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통로 및 상기 제 2 연통로는, 상기 제 1 구획벽과 상기 칸막이벽에 평행한 방향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하 역상으로 도치되었을 경우 뿐만 아니라, 횡으로 넘어진 상태로 된 경우에도, 제 1 연통로 및 제 2 연통로 중 기액 계면으로부터 멀어진 측의 연통로의 부분에서 기액 교환을 불가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연통로보다 액체 수용실측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멈출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획벽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공기 소실에 면하는 벽면 및 상기 제 2 구획벽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공기 소실에 면하는 벽면은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상기 제 1 연통로는, 상기 제 1 구획벽의 상기 벽면에 있어서의 1개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연통로는, 상기 제 2 구획벽의 상기 벽면에 있어서의 1개의 코너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치되었을 경우에 액체 수용실측으로부터의 액체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매우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는 연통로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7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과 칸막이벽을 거쳐서 구획된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공기실과, 상기 공기실 내를 대기에 개방시키는 대기 개방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과 상기 공기실과의 사이를 연통하는 연통구를 구비하고, 상기 공기실이 적어도 제 1 공기 소실과 제 2 공기 소실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기 소실과 상기 제 2 공기 소실이 제 1 구획벽에 의해서 구획되고, 상기 제 1 공기 소실이 상기 제 1 공기 소실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획벽 이외의 면 부위에 위치하는 제 1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공기 소실이 상기 제 2 공기 소실의 내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구획벽 이외의 면 부위에 위치하는 제 2 개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2 개구가 제 1 연통로를 거쳐서 연통하고, 상기 제 1 연통로가, 상기 공기실의 벽면에 형성되는 긴 홈부와, 상기 공기실의 벽면에 상기 긴 홈부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피복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긴 홈부 중 상기 칸막이벽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부분의 길이가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제 2 개구와의 거리보다 길다.
또한, 상기 제 7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소비 장치가 도치되었을 경우에 액체 수용체로부터 액체가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제 8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 내로부터 상기 액체를 상기 액체 소비부측에 도출 가능하게 하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를 주입 가능하게 하는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설치된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는, 상기 액체 주입구보다 중력 방향측에 위치하는 저면으로부터 이간해서 설치되는 동시에, 중력 방향과 교차하면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 따르는 제 1 방향과 상기 중력 방향과의 쌍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제 2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브는, 적어도 일부가 중력 방향에 대해 상기 저면보다 반중력 방향측에 위치하는 표면과 상기 저면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보아서 상기 액체 도출구와는 반대측에 설치되어 있다.
액체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액체는 액체 도출구로부터 도출된다. 그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보아서 액체 도출구와는 반대측의 위치에서는, 액체 주입구와 액체 도출구와의 사이의 위치에 비해, 액체 도출구로부터의 액체의 도출에 수반한 액체의 흐름이 일어나기 어렵다. 그 점,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보아서 액체 도출구와는 반대측에 제 1 리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출에 수반하는 액체의 흐름이 일어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는 액체를, 액체 주입구로부터의 액체의 주입에 수반해 교반할 수 있다. 즉, 액체 수용실 내의 저면으로부터 이간해 제 1 리브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 수용실에 주입된 액체는, 저면에 따르도록 상기 저면과 제 1 리브와의 사이를 유동한다. 그리고, 액체는, 제 1 리브나 액체 수용실의 저면과 교차하는 측면 등에 의해서 흐름이 저해되면, 액체에는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의 흐름이 생긴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에 농도의 편향이 생기고 있었을 경우이라도, 새롭게 액체 수용실에 주입된 액체의 흐름에 의해서 액체 수용실에 수용되고 있던 액체가 교반된다. 즉, 액체 주입구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멀어진 위치에서도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에의 액체의 흐름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리브를 적어도 2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교반 가능한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수용실의 사이즈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 내에 액체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액체 수용실 내에 수용된 액체의 농도의 편향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는, 상기 액체 수용실 내의 상기 제 1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리브를 액체 수용실 내의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제 1 리브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저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리브에 의해, 저면을 따라서 흐르는 액체의 흐름이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변경된 후, 또한 제 1 리브에 따라서 액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의 흐름이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저면에 따르는 방향으로 흐르는 액체의 유속을 올릴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저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제 1 리브에 의해, 액체 주입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인 제 1 방향에 따른 액체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다. 즉, 액체에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을 일으키게 하는 것에 의해, 액체를 교반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방향에 거리를 두고서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 중,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리브는, 상기 액체 주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리브와 비교하여,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저면으로부터 크게 이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리브는 저면으로부터 크게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저면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의 농도의 편향이 커지기 쉬운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있어서, 저면 부근의 농도가 진한 액체와 액면 부근의 농도가 옅은 액체를 교반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액체의 농도의 편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3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제 1 리브 중,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리브는, 상기 액체 주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리브와 비교하여, 상기 제 1 방향에 대해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리브끼리의 간격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리브에 흐름이 저해되는 것에 따라 생기는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은 액체가 흐르는 방향인 제 1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제 1 리브끼리의 사이에 생긴다. 그리고, 제 1 리브끼리의 간격이 넓을 정도 큰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이 생긴다. 그 점,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리브끼리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보다 큰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의 농도의 편향이 커지기 쉬운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있고, 액면 부근의 농도가 옅은 액체도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액체의 농도의 편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 1 리브와는 별개의 제 2 리브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더 설치되고,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주입구와 상기 액체 도출구와의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액체 수용실을 상기 액체 도출구측의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구와 반대측의 제 2 영역으로 구획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을 연통시키는 제 1 연통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리브가 액체 주입구와 액체 도출구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 도출구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를 힘차게 주입했을 경우에서도, 액체 도출구 부근의 액체에 걸리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브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적어도 2개 설치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리브의 각각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에 의해, 상기 액체 수용실에 있어서의 상기 저면측의 부분을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으로 구획하는 것이며, 상기 제 1 연통부는, 상기 액체 수용실의 상기 저면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리브의 각각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표면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리브의 각각과의 사이에 제 2 연통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이 상기 제 1 연통부와 상기 제 2 연통부와에 의해 연통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리브의 각각의 상기 표면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가 액체 도출구를 통해서 도출되면, 액체에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는 연통부를 통과하는 흐름이 생긴다. 그 때문에,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에 농도의 편향이 생기고 있는 경우이라도, 상이한 농도의 액체를 각각의 연통부를 통과시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제 2 리브는 연통부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중력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의 액체를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액체가 도출되어 액면이 저하했을 경우이라도, 액면 부근의 농도가 옅은 액체와 저면 부근의 농도가 진한 액체를 혼합시켜 도출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리브 중,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리브는, 상기 액체 주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리브와 비교하여, 상기 저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리브의 저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액체 주입구로부터 액체 도출구로 향하는 액체의 흐름을 보다 저해할 수 있다. 한편, 액체 주입구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리브의 저면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작기 때문에, 돌출 높이가 큰 제 2 리브에 의해 차단된 액체가 액체 도출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하는 흐름이 허용된다. 따라서, 액체 주입구로부터 보아서 액체 도출구로부터 멀어진 측에 있어서 보다 액체를 교반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2 리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체 도출구와는 반대측으로 연장한 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리브는 연장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액체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액체가 제 2 리브를 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도출구 부근의 액체에 걸리는 압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저면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와는 별개로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보강 리브에 있어서의 상기 액체 주입구측의 면은, 상기 저면에 대해서 상기 액체 주입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교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주입구로부터 주입된 액체는 저면을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보강 리브에 있어서의 액체 주입구측의 면은, 액체 수용실의 저면에 대해서 액체의 유동 방향이 되는 액체 주입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교차하고 있다. 즉, 유로 저항이 저감되기 때문에, 액체 수용체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액체 수용실에 주입된 액체를 액체 주입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양호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저면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제 1 리브와는 별개로 보강 리브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 1 리브는,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2개의 제 1 리브를 포함해서 상기 제 1 방향으로 거리를 두고 3개 이상 설치되고, 상기 3개 이상의 제 1 리브 중, 상기 제 1 방향에 있어서 상기 보강 리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리브끼리의 간격은 다른 제 1 리브끼리의 간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강 리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리브끼리의 간격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보강 리브에 의해서 유동 방향이 변화한 액체의 흐름이 제 1 리브에 의해서 저해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즉, 보강 리브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리브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경우에 비해 액체 주입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체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액체 수용실에 주입된 액체를 액체 주입구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양호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8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실 내에 수용된 액체의 농도의 편향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액체 소비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9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수용체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 내로부터 상기 액체 소비부측에 향하여 상기 액체를 유출시키는 액체 도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수용실은, 그 길이 방향에 따르는 일면측이 바닥부가 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바닥부에 설치된 기저면과, 상기 기저면보다 높게 되도록 단차를 구비하여 상기 기저면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늘어선 단차 저면과, 상단측이 상기 단차 저면과 교차하는 한편 하단측이 상기 기저면과 교차하는 단차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차 저면측이 기저면측보다 높게 되도록 액체 수용실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측으로부터 기저면측으로 액체를 유동시켜 액체 도출구로부터 액체를 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기저면측이 단차 저면측보다 높게 되도록 액체 수용실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측으로의 액체의 유동이 단차 측면에 의해서 억제된다. 그리고, 액체 도출구는 바닥부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기저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차 측면에 의해서 기저면측으로 차단된 액체를 액체 도출구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즉, 액체 수용체가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액체 수용실 내의 액체의 모두가 유출하지 않고 바닥부에 남아 버리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은 상기 단차 저면보다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고,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기저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저면은 단차 저면보다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기저면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기저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액체 도출구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단차 측면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는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면 및 상기 단차 저면의 길이보다 짧고, 상기 기저면 및 상기 단차 측면은 상기 바닥부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측에 설치되는 것과 동시에,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기저면의 상기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단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길이 방향의 제 1 단측이 높게 되도록 액체 수용실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단차 측면이 제 1 단측 가까이에 배치되는 만큼, 단차 측면의 상단 위치가 높아지므로, 제 1 단측에 설치된 액체 도출구 부근에 높은 액면위치를 보지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의 경사 각도가 커졌을 경우에도, 단차 측면에 의해서 기저면측에 의해 차단된 액체를 액체 도출구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상기 단차 저면이 상기 길이 방향에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바닥부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 저면이 길이 방향에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설치되므로, 그 단차가 형성된 용적의 만큼, 경사에 의해서 단차 측면보다 단차 저면측에 모이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액체 도출구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길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의 쌍방과 교차하는 방향이 짧은 방향이 되어, 상기 기저면과 상기 길이 방향으로 늘어선 상기 단차 저면을 제 1 단차 저면으로 하는 것과 동시에, 상단측이 상기 제 1 단차 저면과 교차하는 상기 단차 측면을 제 1 단차 측면으로 하면,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기저면보다 높고, 또한 상기 제 1 단차 저면보다 낮아지도록 단차를 구비하여 상기 기저면과 상기 짧은 방향으로 늘어선 제 2 단차 저면과 상단측이 상기 제 2 단차 저면과 교차하는 한편 하단측이 상기 기저면과 교차하는 제 2 단차 측면을 더 구비하고,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바닥부의 상기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기저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짧은 방향에 있어서 기저면측이 제 2 단차 저면측보다 높게 되도록 액체 수용실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제 2 단차 저면측으로의 액체의 유동이 제 2 단차 측면에 의해서 억제된다. 그리고, 액체 도출구는 바닥부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기저면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단차 측면에 의해서 기저면측에 의해 차단된 액체를 액체 도출구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이 짧은 방향에 있어서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상기 기저면에 개구하는 집액용 오목부가 오목하게 마련되고, 상기 집액용 오목부의 개구부는, 상하 방향 및 상기 길이 방향의 쌍방과 교차하는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상기 기저면보다 짧고,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집액용 오목부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차 측면에 의해서 기저면측에 의해 차단된 액체를 집액용 오목부 내에 집액하고, 액체 도출구를 통해서 액체를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 대해 단차 측면에 의해 기저면측에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액체 수용체는 상기 액체 수용실에 액체를 주입하기 위해서 상기 기저면의 상방에 배치된 주입구를 더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입구는 단차 저면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기저면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액체를 주입할 때에 액체가 흘러 넘치기 어렵다.
상기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은 상기 액체 도출구측이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저면은 액체 도출구측이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있으므로, 단차 측면에 의해서 기저면측에 의해 차단된 액체를 경사에 따라서 액체 도출구측에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9 과제를 해결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와, 상기 구성의 액체 수용체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소비 장치가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 남는 액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복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이 장착되는 장착면의 파단 사시도이다.
도 3은 탱크 유닛의 우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탱크 유닛의 좌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있어서의 5-5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에 있어서의 6-6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잉크 탱크의 우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잉크 탱크의 우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잉크 탱크의 우측면도이다.
도 10은 잉크 탱크의 상면도이다.
도 11은 탱크 케이스와 커버의 좌측면도이다.
도 12는 장착면에 탱크 케이스를 고착한 우측면도이다.
도 13은 탱크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14는 탱크 유닛에 있어서의 골부(trough portion)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커버의 좌하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커버가 은폐 위치에 위치하는 탱크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17은 커버가 비은폐 위치에 위치하는 탱크 유닛의 우측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에 있어서의 18-18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17에 있어서의 19-19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은 액면의 최대 변동 폭과 잉크의 공급 상태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1은 잉크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22는 잉크 탱크의 모식도이다.
도 23은 탱크 유닛의 좌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부재를 일부 분리한 탱크 유닛의 좌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3에 있어서의 5-5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도 3에 있어서의 6-6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7은 잉크 탱크의 우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잉크 탱크의 우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잉크 탱크의 우측면도이다.
도 30은 잉크 탱크의 상면도이다.
도 31은 필름의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2는 잉크 탱크를 그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3은 잉크 탱크가 장착된 탱크 유닛의 좌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34는 탱크 케이스를 그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35는 탱크 유닛을 탱크 케이스의 개구부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에서, 필름의 영역외 부위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6은 쵸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쵸크 밸브의 좌경사 상방으로부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8은 쵸크 밸브의 우경사 상방으로부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9는 밸브개방 상태의 쵸크 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40은 밸브개방 상태의 쵸크 밸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1은 도 40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42는 상하 역상으로 도치된 상태의 잉크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43은 도 42의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의 우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44는 도 42의 상태로 가속도가 후방에 걸리도록 진동되었을 경우의 잉크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45는 도 44의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의 우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46은 도 42의 상태로 가속도가 전방으로 걸리도록 진동되었을 경우의 잉크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47은 도 46의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의 우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48은 밸브폐쇄 상태의 쵸크 밸브의 정면도이다.
도 49는 밸브폐쇄 상태의 쵸크 밸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0은 도 49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방향으로 변위한 쵸크 밸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방향으로 변위한 쵸크 밸브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2는 잉크 탱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53은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4는 탱크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55는 탱크 유닛의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56은 탱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7은 변형예의 탱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8은 변형예의 탱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9는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0은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1은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2는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3은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4는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5는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6은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7은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8은 변형예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69는 변형예의 잉크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70은 변형예의 탱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1은 잉크 주입시의 잉크 용기와 탱크 유닛의 일부 파단 단면도이다.
도 72는 변형예의 탱크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3은 변형예의 장치 본체에 있어서의 장착면의 파단 사시도이다.
도 74는 변형예의 탱크 유닛의 좌전방으로부터의 사시도이다.
도 75는 변형예의 탱크 유닛의 평단면도이다.
도 76은 실시예 2의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77은 수용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8은 수용체 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9는 제 1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0은 제 2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1은 제 3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2는 제 4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3은 제 5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4는 제 6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도 85는 제 7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86은 제 8 변형예의 수용체 케이스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87은 제 9 변형예의 잉크 탱크의 사용시의 자세 상태에서의 좌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88은 도 87의 상태에 있는 잉크 탱크의 우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89는 제 9 변형예의 잉크 탱크가 상하 역상으로 도치된 상태로의 좌측면도이다.
도 90은 도 89의 상태로 가속도가 후방에 걸리도록 진동되었을 경우의 잉크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91은 도 89의 상태로 가속도가 전방으로 걸리도록 진동되었을 경우의 잉크 탱크의 좌측면도이다.
도 92는 제 10 변형예의 잉크 탱크의 사용시의 자세 상태에서의 좌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93은 도 92의 상태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의 우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94는 제 11 변형예의 잉크 탱크의 사용시의 자세 상태에서의 좌측면의 일부 파단도이다.
도 95의 (a)는 도 94에 있어서의 F64a-F64a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95의 (b)는 도 94에 있어서의 F64b-F64b선 화살표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96은 제 12 변형예의 잉크 탱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97은 도 96의 잉크 탱크의 경사 상태가 변화했을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98은 제 3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의 사시도이다.
(제 1 실시형태)
이하, 액체 소비 장치의 일례인 기록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합기(11)는 기록 장치(12)와, 기록 장치(12)의 케이스의 일례로서의 장치 본체(13) 상에 탑재된 스캐너 유닛(14)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 장치(12)는, 피기록 매체의 일례인 용지(P)에 대해서 기록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스캐너 유닛(14)은 원고에 기록된 화상 등을 읽어내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반중력 방향을 상방향이라고 하는 것과 동시에, 중력 방향을 하방향이라고 한다. 또한, 이들 상방향 및 하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연직 방향의 일례로서의 상하 방향(Z)으로서 도시한다.
스캐너 유닛(14)은 기록 장치(12)의 장치 본체(13)에 대해서 일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스캐너 본체부(15)와, 스캐너 본체부(15)의 상방에 배치된 반송 유닛(16)을 구비하고 있다. 스캐너 본체부(15)는, 그 일단측에 설치된 힌지 등의 회전 기구(17)를 거쳐서, 기록 장치(12)에 대해서 장치 본체(13)의 상방을 가리는 폐쇄 위치와 장치 본체(13)의 상방을 개방하는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반송 유닛(16)은, 그 일단측에 설치된 힌지 등의 회전 기구(18)를 거쳐서, 스캐너 본체부(15)에 대해서 스캐너 본체부(15)의 상방을 가리는 위치와 개방하는 위치와의 사이에서의 변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복합기(11)에 있어서, 회전 기구(17, 18)가 설치된 측을 후방측 또는 배면측이라고 하는 것과 동시에, 그 반대측을 전방이라고 한다. 또한, 전방향 및 후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전후 방향(Y)으로서 도시한다. 그리고, 스캐너 유닛(14), 스캐너 본체부(15) 및 반송 유닛(16)은, 그 전단측이 상방으로 향해서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전방측으로부터 후방향을 보았을 경우(정면시)의 우방향 및 좌방향에 따르는 방향을 좌우 방향(X)으로서 도시한다. 또한, 좌우 방향(X), 전후 방향(Y), 상하 방향(Z)은 서로 교차(본 실시형태에서는 직교)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X) 및 전후 방향(Y)은 수평 방향에 따르는 방향이다.
복합기(11)의 전면측에는 조작 패널(19)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패널(19)은 메뉴 화면 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20)와, 표시부(20)의 주위에 설치된 여러 가지의 조작 버튼(21)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 장치(12)에 있어서 조작 패널(19)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는 장치 본체(13) 내로부터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22)가 개구하고 있다. 또한, 기록 장치(12)에 있어서의 배출구(22)의 하부에는, 인출 가능한 배지대(23)가 수용되어 있다.
기록 장치(12)의 배면측에는, 복수의 용지(P)를 적재 가능한 대략 직사각형 이루는 인출식의 매체 지지체(24)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스캐너 본체부(15)의 후부에는, 기단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단측)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도입구 커버(25)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장치 본체(13)의 외부이며 우측면이 되는 장착면(13a)에는, 잉크(액체의 일례)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체 유닛의 일례로서의 탱크 유닛(27)이 고착되어 있다. 즉, 탱크 유닛(27)은 장치 본체(13)의 외측에 배설된다. 또한, 장치 본체(13)와 탱크 유닛(27)의 사이가 되는 위치이며, 또한 장착면(13a)의 후방 근방의 위치에는, 스케일(28a)을 수용하는 스케일 수용부(28)가 설치되어 있다. 스케일 수용부(28)는, 스케일(28a)의 두께에 대응한 좌우 방향(X)의 깊이 및 스케일(28a)의 폭에 대응한 전후 방향(Y)의 폭으로 상하 방향(Z)으로 긴 직사각형의 홈 형상을 이루도록, 장착면(13a)에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장치 본체(13)의 내부에는, 주 주사 방향이 되는 좌우 방향(X)에 따라서 이동 영역(T) 내를 왕복 이동 가능한 상태로 보지된 캐리지(29)와, 캐리지(29)에 장착된 중계 어댑터(30)가 설치되어 있다. 중계 어댑터(30)에는, 일단측이 탱크 유닛(27)에 접속된 가요성을 갖는 제 1 유로의 일례로서의 튜브(31)의 타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29)의 하면측에는, 탱크 유닛(27)으로부터 공급된 잉크를 분사 가능한 액체 소비부의 일례로서의 액체 분사 헤드(32)가 지지되어 있다. 즉, 탱크 유닛(27)은 좌우 방향(X)에 있어서 액체 분사 헤드(32)의 이동 영역(T)의 외측에 배설된다.
탱크 유닛(27)에 수용된 잉크는 수두차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튜브(31)를 거쳐서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된다. 또한, 튜브(31)는 연질재 또는 경질재 또는 그 양쪽 모두에 의해 구성되는 것의 어느 쪽도 포함한다. 그리고,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된 잉크는, 반송 기구(도시 생략)에 의해서 반송되는 용지(P)에 대해서 분사되는 것에 의해 기록(액체의 소비의 일례)을 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면(13a)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27)을 장착하는 장착 위치에는, 제 1 리브(34)와 제 2 리브(35)가 장착면(13a)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리브(34)는 탱크 유닛(27)의 외형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리브(35)는 스케일 수용부(28)의 에지에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리브(34)는, 장착면(13a)의 상단측에 위치해서 전후 방향(Y)에 따라서 연장되는 상부 리브부(34a)와, 상부 리브부(34a)보다 전방에 위치해서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전방 리브부(34b)와, 상부 리브부(34a)의 전단과 전방 리브부(34b)의 상단을 접속하는 만곡 리브부(34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리브(34)는, 상부 리브부(34a)보다 후방측에 위치해서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후방 리브부(34d)와, 장착면(13a)의 하단측에 위치해서 전후 방향(Y)에 따라서 연장되는 하부 리브부(34e)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 리브부(34a)는, 그 전방측 부분이 후방측 부분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도록 복수 개소가 굴곡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후단은, 제 2 리브(35)의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전방측 부분의 상단과 접속하고 있다. 한편, 제 2 리브(35)의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후방측 부분의 단부는, 스케일 수용부(28)로부터 멀어지고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또한 후방 리브부(34d)의 상단과의 사이에 상하 방향(Z)의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리브(34)는, 후방 리브부(34d)의 하단과 하부 리브부(34e)의 후단이 접속하고 있는데 대해, 전방 리브부(34b)의 하단과 하부 리브부(34e)의 전단과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Y)의 간격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리브부(34e)에 있어서의 전방측 위치 및 후방측 위치에는, 각각 하부 리브부(34e)의 중간 위치에 비해 장착면(13a)으로부터 크게 돌출하는 보강 리브부(34f)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리브(34)에는, 고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나사(36)(도 12 참조)가 나사결합 가능한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나사 보스부(37)가, 상부 리브부(34a) 및 하부 리브부(34e)보다 장착면(13a)으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나사 보스부(37)는 상부 리브부(34a)의 전방측 위치, 후방측 위치, 및 전방측 위치와 후방측 위치의 사이의 중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사 보스부(37)는 하부 리브부(34e)에 있어서의 보강 리브부(34f)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방 리브부(34b)의 후방측의 위치에는, 장착면(13a)으로부터 돌출하는 보스부(38)가 전방 리브부(34b)의 하단과의 사이에 전후 방향(Y)의 간격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착면(13a)에는, 상부 리브부(34a)에 대해서 하측으로부터 인접하는 동시에, 상기 상부 리브부(34a)보다 좌우 방향(X)으로 큰 두께를 갖는 흡수재(39)가 접착되어 있다. 또한, 장착면(13a)에 있어서의 상부 리브부(34a)의 전단부보다 상측의 위치에는, 장치 본체(13)의 내외를 연통시키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연통 구멍(4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 구멍(40)에는, 튜브(31)가 삽통된다.
이하, 도 3에 도시하는 탱크 유닛(27)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탱크 유닛(27)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X), 전후 방향(Y), 상하 방향(Z)은 탱크 유닛(27)이 장치 본체(13)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각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즉, 탱크 유닛(27)은 좌우 방향(X) 및 상하 방향(Z)에 비해 전후 방향(Y)으로 큰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런데,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유닛(27)은, 보호 케이스의 일례로서의 탱크 케이스(42)와, 상기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되는 액체 수용체의 일례로서의 잉크 탱크(43)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 케이스(42)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 및 상하 방향(Z)에 따르는 외면(이 경우, 우측면)을 형성하는 벽부에는, 탱크 케이스(42)의 내외를 연통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창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잉크 탱크(43)는,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그 일부가 창부(42a)를 거쳐서 탱크 케이스(42)의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에 있어서의 창부(42a)의 주위는 모따기가 되어 있다. 또한, 탱크 유닛(27)은, 탱크 케이스(42)에 대해서 전후 방향(Y)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44)와,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되는 쵸크 밸브(45)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 케이스(42)의 전면에는 오목부(46)가 형성되고, 그 오목부(46) 내에는 쵸크 밸브(45)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의 일례로서의 밸브 레버(4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쵸크 밸브(45)는, 유저에 의해서 밸브 레버(47)가 조작되는데 따라 튜브(31)를 눌러 붕괴시키고, 잉크 탱크(43)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32)에의 잉크의 공급을 차단한다.
다음에, 잉크 탱크(43)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는 5면 일체 성형물이며, 탱크 개구부(42b)에 필름(49)이 접착되는 것에 의해,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의 일례로서의 잉크실(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실(50)은, 상하 방향(Z)의 높이 및 좌우 방향(X)의 깊이에 비해 전후 방향(Y)의 폭이 큰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제이며, 잉크 탱크(43)의 외측으로부터 잉크실(50) 내에 수용된 잉크 및 잉크의 액면(51)이 시인 가능하다. 그 때문에, 잉크 탱크(43)가 탱크 케이스(42)에 장착되면, 탱크 케이스(42)의 창부(42a)를 거쳐서 외부로부터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가 시인 가능해진다.
즉,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우측면에 있어서 창부(42a)와 대응하는 영역은, 우방향(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동시에, 우방향으로부터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의 액면(51)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43a)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시인면(43a)은 상하 방향(Z)의 높이에 비해 전후 방향(Y)의 폭이 크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상부에는, 잉크실(50) 내에 잉크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의 일례로서의 주입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52)는, 잉크 탱크(43)에 대해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로서, 시인면(43a)의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입구(52)는, 잉크실(50)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 또한 수평 방향보다 상방향이 되는 우상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통부(53)의 선단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구(52)의 단면(52a)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이다.
또한, 통부(53)가 기우는 방향은, 탱크 유닛(27)이 장치 본체(13)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통부(53)의 선단(단면(52a))이 장착면(13a)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이며, 시인면(43a)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그 때문에, 주입구(52)의 단면(52a)은, 기록 장치(12)의 장치 본체(1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한다.
도 5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상부에 있어서 주입구(52) 및 통부(53)가 형성되는 주입구 형성면(54)은 상하 방향(Z)과 교차하는 우상 방향(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즉, 주입구 형성면(54)은 통부(53)의 기단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시인면(43a)측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가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Z)에 대한 주입구 형성면(54)의 기울기와 통부(53)의 기울기는 동일하다. 또한, 시인면(43a)보다 상방 위치로서, 주입구(52)와 시인면(43a)과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는, 판형상의 차단부 및 돌출부의 일례로서의 배리어 볼록부(55)가 주입구 형성면(54)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 볼록부(55)는 통부(53)(주입구(52))와 동일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동시에, 주입구 형성면(54)에 대해서 직교한다. 또한, 배리어 볼록부(55)는, 주입구 형성면(54)의 시인면(43a)측이 되는 우단보다 통부(53)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동시에, 주입구 형성면(54)의 우단은, 시인면(43a)보다 상방 위치로서 또한 배리어 볼록부(55)와 시인면(43a)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차부(54a)가 되고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상부에 있어서 주입구(52)로부터 배리어 볼록부(55)로 향해 하향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입구 형성면(54)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양측의 인접 부위에 비해 상하 방향(Z)에서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주입구 형성면(54)은, 그 전후 양측이 벽에 끼워지고 있다. 그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누설되었을 경우에는, 누설 액체의 일례로서의 누설 잉크가 주입구 형성면(54)을 따라서 흐른다. 따라서, 주입구 형성면(54)은 누설 잉크의 유로로서 기능하고 있는 동시에, 배리어 볼록부(55)는 누설 잉크의 유로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입구 형성면(54)에는, 통부(53)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좌우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부(56)가 통부(53)를 좌우 방향(X)의 양측으로부터 동일 선상에 위치해서 사이에 두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구 형성면(54)은 리브부(56)에 의해 전후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리어 볼록부(55) 및 단차부(54a)는, 누설 잉크가 흐르는 방향인 우하 방향(누설 방향의 일례)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Y)의 폭이 주입구(52) 및 통부(53)의 폭보다 크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53)의 선단에는, 주입구(52)를 폐쇄 가능한 폐쇄 부재(5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폐쇄 부재(58)에는, 일단이 탱크 케이스(42)에 접속된 계류부(58a)의 타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폐쇄 부재(58)에는, 상측에 노브부(58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측에 주입구(52)와 끼워맞추는 원형 관형상의 끼워맞춤부(5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전면(도 9에서는 좌측)의 하부 위치에는,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튜브(31)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의 일례로서의 도출구(59)가 형성되어 있다. 도출구(59)는,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로서, 시인면(43a)의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에는, 잉크실(50) 내에 잉크를 수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51)보다 상방 위치로부터 잉크실(50)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취입구(60)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 취입구(60)는, 액체 분사 헤드(32)에서의 잉크의 소비에 따라서 잉크실(50)에 수용하는 잉크가 감소했을 때에, 액면(51)보다 상방 위치로부터 잉크실(50) 내에 외기를 취입한다.
잉크 탱크(43)에는, 탱크 케이스(42)에 고착될 때에 장착되는 장착 나사(61)(도 4 참조)를 걸림고정하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탱크 걸림고정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우측면에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위치결정부의 일례로서의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 중, 한쪽(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에 위치한다)의 위치결정 오목부(63a)는 전후 방향(Y)으로 길다란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인면(43a)에 있어서의 전방측 위치에는, 눈금의 일례로서의 하한 눈금(64a)과 눈금의 일례로서의 상한 눈금(64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은, 시인면(43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창부(42a)는, 상한 눈금(64b)을 은폐하지 않기 때문에, 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폭이 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폭에 비해 크다(도 3 참조). 따라서, 창부(42a)와 마찬가지로 시인면(43a)도 전방측의 상하 방향(Z)의 폭이 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폭에 비해 크다.
하한 눈금(64a)은,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도출구(59)측으로서, 또한 도출구(59)보다 상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한 눈금(64b)은,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주입구(52)측으로서, 또한 주입구(52) 및 공기 취입구(60)보다 하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출구(59)와 주입구(52)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 동일 측(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한 눈금(64a)은,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주입구(52)측으로서, 주입구(52) 및 상한 눈금(64b)보다 하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인면(43a)에는, 전후 방향(Y)의 동일 측에 상하 방향(Z)에 간격을 갖고서 복수의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한 눈금(64a)은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하는 기준이 되는 하한량을 나타내는 눈금이다. 또한, 상한 눈금(64b)은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되어 잉크실(50) 내에 수용되는 잉크의 상한량을 나타내는 눈금이다.
다음에, 탱크 케이스(42)에 대해 설명한다.
도 4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는, 기록 장치(12)에 고착되었을 때에 장치 본체(13)측이 되는 좌측으로 개구부의 일례로서의 케이스 개구부(42b)를 구비하는 5면 일체 성형물이다. 또한, 탱크 케이스(42)는 잉크 탱크(43)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케이스 개구부(42b)는 전후 방향(Y) 및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잉크 탱크(43)보다 크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에 있어서의 창부(42a)가 형성된 우측의 벽부의 내측으로서, 또한 잉크 탱크(43)의 탱크 걸림고정부(62)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장착 나사(61)를 나사결합 가능한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나사결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위치결정부의 일례로서의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가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탱크 케이스(42)에는, 상기 탱크 케이스(42)를 장치 본체(13)에 고착할 때에 삽통되는 나사(36)(도 12 참조)를 걸림고정하는 걸림고정부의 일례로서의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가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내지 제 5 각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는 장착면(13a)에 형성된 나사 보스부(37)와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13)의 보스부(38)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보스부(38)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에 있어서의 창부(42a)보다 하측 위치로서, 또한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와 제 5 케이스 걸림고정부(68e)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는, 손잡이부(7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의 하면에 있어서의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와 제 5 케이스 걸림고정부(68e)가 형성된 위치에는, 장착면(13a)측의 보강 리브부(34f)와 결합하는 결합 오목부(72)가 케이스 개구부(42b)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의 표면에 있어서의 전방측 위치에는, 상하 방향(Z)의 높이가 표면보다 일단 낮아진 골부(42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걸림고정부(68a)는 이 골부(42c)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케이스 걸림고정부(68a)의 주위에는, 후방 및 상방으로부터 제 1 케이스 걸림고정부(68a)를 피복하면서 우측을 개구한 피복부(73)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케이스 걸림고정부(68a)에 나사결합한 나사(36)는 탱크 유닛(27)을 부감(俯瞰)하는 유저에 대해서 피복부(73)에 의해 숨겨진다.
또한,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골부(42c)에는, 잉크 탱크(43)가 탱크 케이스(42)에 장착될 때에 케이스 개구부(42b)측이 되는 좌측으로부터 골부(42c) 내에의 통부(53)의 진입을 수용하는 표면에서 볼 때 U자 형상의 수용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골부(42c) 내에 있어서, 수용부(74)의 후방은 수용부(74)가 형성된 위치보다 1단 높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폐쇄 부재(58)를 재치 가능한 재치부(75)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계류부(58a)의 길이는 폐쇄 부재(58)가 통부(53) 및 재치부(75)에 택일적으로 위치 가능한 정도의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재치부(75)는, 폐쇄 부재(58)의 끼워맞춤부(58c)의 외주 형상보다 내주 형상이 약간 큰 원환상으로 형성된 링부(75a)와, 링부(75a)의 내측에 위치해서 끼워맞춤부(58c)의 내주 형상보다 약간 작은 크로스부(75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크로스부(75b)는, 전후 방향(Y) 및 좌우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수직판부끼리가 십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형상인 동시에, 각 수직판부의 전후 방향(Y) 및 좌우 방향(X)의 각 측면에는 상기 측면으로부터 돌출해서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표면에서 볼 때 대략 삼각형 형상의 돌기(75c)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폐쇄 부재(58)는, 재치부(75)에 재치되었을 경우에, 끼워맞춤부(58c)가 링부(75a)의 내측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내주면을 크로스부(75b)의 돌기(75c)에 당접시킨 상태로 지지를 받는다.
도 12 및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에는, 커버(44)를 전후 방향(Y)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레일부(76a, 76b)가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한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레일부(76a, 76b)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Y)에 따라서 연장되는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볼록조(7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쌍의 레일부(76a, 76b) 중 우측에 위치하는 제 1 레일부(76a)의 후단 표면과, 좌측에 위치하는 제 2 레일부(76b)의 후단 표면(도시 생략)은 모따기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레일부(76a)에는, 전후 방향에 간격을 갖고서 한쌍의 스토퍼 오목부(78a, 78b)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스토퍼 오목부(78a, 78b)는, 서로 전후 양 내측면 중 상대의 오목부측이 되는 내측면이 모따기되어 있다. 즉, 전방측의 제 1 스토퍼 오목부(78a)는 후방측의 내측면이 모따기되어 있는 동시에, 후방측의 제 2 스토퍼 오목부(78b)는 전방측의 내측면이 모따기되어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4)는, 상부 벽(44a)과, 상기 상부 벽(44a)과 각각 연속하는 우측 벽(44b), 좌측 벽(44c), 후방 벽(44d)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우측 벽(44b)과 후방 벽(44d)의 상하 방향(Z)의 높이는 대략 동일인 것에 비해, 좌측 벽(44c)의 높이는 우측 벽(44b) 및 후방 벽(44d)보다 낮다.
우측 벽(44b)에 있어서의 좌측 벽(44c)측의 면인 내면에는, 제 1 레일부(76a)와 결합해서 미끄럼 접촉하는 한쌍의 미끄럼 접촉부(80)가 전후 방향(Y)으로 간격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측 벽(44c)에 있어서의 우측 벽(44b)측의 면인 내면에는, 제 2 레일부(76b)와 결합해서 미끄럼 접촉하는 한쌍의 미끄럼 접촉부(80)가 전후 방향(Y)에 간격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미끄럼 접촉부(80)는 전후 방향(Y)에 위치를 어긋나게 해서 서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벽(44b)에 형성된 한쌍의 미끄럼 접촉부(80) 중, 전방측에 위치하는 미끄럼 접촉부(80)에는, 스토퍼 오목부(78a, 78b)와 결합 가능한 스토퍼 볼록부(80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커버(44)는, 스토퍼 볼록부(80a)가 스토퍼 오목부(78a)와 결합하는 도 16에 도시하는 은폐 위치(A)와, 스토퍼 볼록부(80a)가 스토퍼 오목부(78b)와 결합하는 도 17에 도시하는 비은폐 위치(B)와의 사이를, 전후 방향(Y)으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볼록부(80a)가 제 1 스토퍼 오목부(78a)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커버(44)는 주입구(52)가 형성된 통부(53)와 재치부(75)를 은폐하는 은폐 위치(A)에 위치한다.
한편,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토퍼 볼록부(80a)가 제 2 스토퍼 오목부(78b)와 결합하는 경우에는, 커버(44)는 은폐 위치(A)와는 상이한 비은폐 위치(B)에 위치하고, 주입구(52)가 형성된 통부(53)와 재치부(75)가 출현한다.
또한,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커버(44)의 사이즈는 탱크 케이스(42)의 사이즈보다 작고, 커버(44)가 은폐 위치(A)에 위치했을 경우에, 커버(44)가 탱크 케이스(42) 상에 수용된다. 또한, 통부(53)는, 잉크 탱크(43)가 탱크 케이스(42)에 고착되었을 때에, 탱크 케이스(42)의 수용부(74)보다 주입구(52)의 단면(52a)이 높게 위치하는 동시에, 통부(53)에 끼워맞춰진 폐쇄 부재(58)의 높이가 은폐 위치(A)에 위치하는 커버(44)보다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2,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케이스 걸림고정부(68b) 및 제 3 케이스 걸림고정부(68c)에 나사결합한 각 나사(36)는 탱크 케이스(42)에 장착된 커버(44)에 의해 숨겨진다. 또한,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 및 제 5 케이스 걸림고정부(68e)에 나사결합한 나사(36)는 탱크 유닛(27) 자신에 의해, 상기 유닛을 부감하는 유저에 대해서 숨겨져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4)의 상부 벽(44a)에는, 전체 형상이 대략 삼각형상을 이루도록 상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미끄럼 방지부(8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44)에 있어서의 미끄럼 방지부(82)의 후방 위치에는, 탱크 유닛(27)에 수용하는 잉크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나 도면 등의 표시나, 다른 종류의 잉크의 주입 등을 경고하는 표시, 잉크의 주입 방법이나 주의 등이 기재된 라벨(83)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유사한 라벨(83)은, 탱크 케이스(42)의 우측면 및 전면의 오목부(46), 및 장착면(13a)에 있어서 커버(44)가 은폐 위치(A)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커버(44)에 의해 숨겨지는 한편, 상기 커버(44)가 비은폐 위치(B)에 위치했을 때에는 출현하는 개소에도 접착되어 있다.
다음에, 잉크의 액면(51)의 최대 변동 폭과 잉크 탱크(43)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32)에의 잉크의 공급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12)는 수두차를 이용해서 잉크실(50) 내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하 방향(Z)으로 액면(51)이 크게 변동하면 잉크 탱크(43)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32)에 양호하게 잉크를 공급할 수 없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액면(51)보다 액체 분사 헤드(32)가 상당히 낮은 위치에 있으면, 액체 분사 헤드(32)로부터 잉크가 누출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는데 대해, 액면(51)보다 액체 분사 헤드(32)가 상당히 높은 위치에 있으면, 액체 분사 헤드(32)까지 잉크를 공급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그런데,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12)에서는, 잉크의 액면(51)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최대 변동 폭이 75㎜ 이상의 경우에는, 액체 분사 헤드(32)에 양호하게 잉크를 공급할 수 없었다. 즉, 예를 들면 잉크실(50)에 잉크를 최대량 수용했을 경우에 맞추어 액체 분사 헤드(32)를 배치했을 경우에는, 잉크가 소비되어 액면(51)이 저하하면, 잉크실(50) 내에 잉크가 남아 있어도 액체 분사 헤드(32)까지 잉크를 공급할 수 없었다. 또한, 예를 들면 잉크실(50) 내의 잉크가 소비되어 액면(51)이 저하했을 경우에 맞추어 액체 분사 헤드(32)를 배치하면, 잉크를 최대량 수용했을 경우에 액체 분사 헤드(32)로부터 잉크가 누출되어 버렸다.
한편, 잉크의 액면(51)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최대 변동 폭을 70㎜ 이하로 하면, 잉크실(50)에 잉크를 최대량 수용했을 경우에도, 또한 잉크실(50) 내의 잉크의 액면(51)이 저하했을 경우에도,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액면(51)의 최대 변동 폭이 70㎜의 경우에는, 액체 분사 헤드(32)와 잉크 탱크(43)의 조립 오차나 제조 오차에 의해 양호한 공급을 할 수 없는 일이 있었다. 따라서, 최대 변동 폭을 55㎜ 이하로 하면, 다소의 조립 오차나 제조 오차가 있는 경우에도, 액체 분사 헤드(32)에 잉크를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었다. 또한, 최대 변동 폭을 40㎜ 이하로 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기록 장치(12)의 장착면에 다소의 기울기가 있었을 경우에도 잉크 탱크(43)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32)에 양호하게 잉크를 공급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한 눈금(64a)으로부터 상한 눈금(64b)까지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높이(h1)를 40㎜ 이하로 한다. 즉, 유저는, 잉크의 액면(51)이 하한 눈금(64a)까지 저하하면, 잉크의 액면(51)이 상한 눈금(64b)까지 상승하도록 주입구(52)로부터 잉크를 주입한다. 따라서, 액체 분사 헤드(32)를 통상 사용하는 경우의 잉크의 액면(51)의 변동 폭이 높이(h1)와 동일해지기 때문에, 높이(h1)를 40㎜ 이하로 하면 잉크실(50) 내의 잉크는 액체 분사 헤드(32)에 양호하게 공급된다.
또한, 잉크실(50)에 형성된 도출구(59)의 개구의 하단(저면의 일례)으로부터 상한 눈금(64b)까지의 상하 방향(Z)의 높이(h2)를 55㎜ 이하로 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하한 눈금(64a)까지 잉크의 액면(51)이 저하했던 것에 눈치채지 못하고 인쇄를 계속했을 경우이라도, 잉크실(50) 내에 잉크가 남아 있는 경우에는, 액체 분사 헤드(32)에 잉크가 공급된다.
또한, 잉크실(50)에 형성된 도출구(59)의 개구의 하단으로부터 주입구(52)의 단면(52a)까지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높이(h3)를 70㎜ 이하로 한다. 즉, 높이(h3)는 잉크 탱크(43)에 수용되는 잉크의 최대 변동 폭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유저가 잉크실(50)에의 잉크의 주입에 수반해 주입구(52)로부터 잉크를 흘러 넘치게 해 버렸을 경우에서도 액체 분사 헤드(32)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이 억제된다.
다음에, 잉크실(50)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잉크실(50)의 상하 방향(Z)의 높이를 제한하면, 액체 분사 헤드(32)에 잉크를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지만, 잉크실(50)에 수용 가능한 잉크의 양이 적게 되어 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는, 전후 방향(Y)의 폭을 크게 해서 수평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50)에 수용 가능한 잉크량을 확보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의 좌우 방향(X)의 사이즈를 깊이(D), 전후 방향(Y)의 사이즈를 폭(W), 상하 방향(Z)의 사이즈를 높이(H)로 한다. 그리고, 잉크실(50)의 크기는 깊이(D)보다 높이(H)가 크고, 또한 높이(H)보다 폭(W)이 크다(D<H<W). 또한, 잉크실(50)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폭(W)은 캐리지(29)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폭보다 크고, 장치 본체(13)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다.
또한, 잉크실(50)은, 도출구(59)로부터 잉크실(50)에 수용 가능한 수용량의 5% 상당의 잉크를 도출한 경우에, 잉크실(50) 내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51)의 변동 폭이 잉크실(50)에 수용 가능한 수용량의 3제곱근의 5% 이하로 되는 영역(예를 들면, 도 21에서 적어도 높이(h1)의 영역)을 가진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잉크실(50)의 형상에 관한 조건을 형상 조건이라고 하는 동시에, 잉크실(50)에 수용 가능한 수용량을 최대 수용량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잉크실(50)의 좌우 방향(X)의 깊이(D), 전후 방향(Y)의 폭(W), 상하 방향(Z)의 높이(H)가 각각 동일한(D=W=H) 입방체 형상인 경우에는, 잉크의 액면(51)이 어느 위치에 있는 경우에서도 형상 조건을 만족한다. 구체적으로는, 입방체 형상인 경우에는, 최대 수용량의 5%를 도출한 경우의 액면(51)의 변동 폭(0.05×D×W×H/(D×W))이 최대 수용량의 3제곱근의 5%(0.05×(D×W×H)1/3)와 동일해진다.
그 때문에, 입방체 형상보다 전후 방향(Y) 또는 좌우 방향(X)으로 긴 직방체 형상이면 형상 조건을 만족한다. 즉, 잉크실(50)의 높이(H)가 깊이(D) 및 폭(W)보다 작은 경우에는 형상 조건을 만족한다. 구체적으로는, 잉크실의 저면적(D×W) 또는 액면(51)의 면적(잉크실(50)의 수평 단면적)이 높이(H)의 2승 이상이면 형상 조건을 만족한다. 다만, 높이(H)가 깊이(D)와 폭(W)의 어느 한쪽보다 큰 경우에서도 형상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깊이(D)가 높이(H)의 절반인 경우에서도, 폭(W)이 높이(H)의 2배 이상이면 형상 조건을 만족한다.
다음에, 최대 수용량의 5% 상당의 잉크를 도출한 경우의 잉크실(50) 내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51)의 변동 폭에 대해 설명한다.
최대 수용량의 5% 상당의 잉크를 도출한 경우의 잉크실(50) 내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51)의 최소 변동 폭(이하, 간단히 「최소 변동 폭」이라고 한다)이 최대 수용량의 3제곱근의 6% 이상인 경우에는, 잉크실(50)에 수용 가능한 잉크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
이에 반해, 최소 변동 폭이 최대 수용량의 3제곱근의 5% 이하인 경우에는, 잉크실(50)에 충분히 잉크를 수용할 수 있지만, 최소 변동 폭이 최대 수용량의 3제곱근의 4% 이하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하,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에 고착할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탱크 케이스(42)의 케이스 개구부(42b)로부터 잉크 탱크(43)를 삽입하고,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와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를 요철 끼워맞춰서 위치맞춤한다. 또한, 탱크 걸림고정부(62)와 나사결합부(66)에 장착 나사(61)를 나사결합해서 잉크 탱크(43)를 탱크 케이스(42)에 고착한다. 즉, 탱크 케이스(42)는, 잉크 탱크(43)를 외측으로부터 가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잉크 탱크(43)를 보호한다.
계속해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를 고착한 탱크 케이스(42)를 장착면(13a)에 위치맞춤한다. 즉, 탱크 케이스(42)가 제 1 리브(34)를 둘러싸는 동시에, 보스부(38)와 결합부(69)를 결합시키고, 또한 보강 리브부(34f)와 결합 오목부(72)를 결합시킨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가 장착된 탱크 케이스(42)를 장착면(13a)에 위치맞춤하면, 흡수재(39)는 주입구(52)와 장치 본체(13)와의 사이의 위치에 위치하고, 잉크 주입시에 주입구(52) 주변에 부착한, 또는 부착 후에 주입구(52) 주변으로부터 흐른 잉크를 흡수 가능하게 된다. 또한, 흡수재(39)는 상부 리브부(34a)보다 좌우 방향(X)으로 큰 두께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개재장착된 흡수재(39)는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에 협압되어 압축 변형한다.
또한,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가 장착면(13a)에 위치맞춤된 상태에서는,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와 나사 보스부(37)가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에 나사(36)를 나사결합시키면, 각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와 나사 보스부(37)가 나사고정되어 탱크 케이스(42)와 장치 본체(13)가 고착한다.
또한, 탱크 케이스(42)가 장치 본체(13)에 장착되면, 탱크 케이스(42)의 케이스 개구부(42b)가 장치 본체(13)에 덮인다. 따라서, 장치 본체(13)와 탱크 케이스(42)는, 잉크 탱크(43)를 외측으로부터 덮어서 보호 가능한 보호 부재의 일례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장치 본체(13), 탱크 케이스(42), 잉크 탱크(43), 흡수재(39)에 의해 액체 공급 시스템의 일례가 구성된다.
계속해서, 탱크 케이스(42)가 장치 본체(13)에 고착된 상태에 있어서, 커버(44)를 탱크 케이스(42)의 후방으로부터 레일부(76a, 76b)와 미끄럼 접촉부(80)가 결합하도록 장착한다.
그런데, 도 17 및 도 1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4)는, 스토퍼 볼록부(80a)가 우선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2 스토퍼 오목부(78b)에 결합해서 비은폐 위치(B)에 위치한다. 그리고, 비은폐 위치(B)에 위치한 커버(44)가 또한 전방으로 밀어 넣어지면, 스토퍼 볼록부(80a)가 제 2 스토퍼 오목부(78b)의 모따기된 전방측의 내측면에 올라타도록 해서 스토퍼 볼록부(80a)와 제 2 스토퍼 오목부(78b)의 결합이 분리되고, 커버(44)는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러면, 도 16 및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44)는 스토퍼 볼록부(80a)가 제 1 스토퍼 오목부(78a)에 결합해서 은폐 위치(A)에 위치한다. 또한, 제 1 스토퍼 오목부(78a)는, 후방측의 내측면이 모따기되어 있기 때문에, 은폐 위치(A)에 위치한 커버(44)가 후방으로 밀렸을 경우에는, 스토퍼 볼록부(80a)가 제 1 스토퍼 오목부(78a)의 모따기된 후방측의 내측면에 올라타도록 해서 스토퍼 볼록부(80a)와 제 1 스토퍼 오목부(78a)의 결합이 분리되고, 커버(44)는 후방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잉크 탱크(43)에 잉크를 주입할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그런데, 잉크 탱크(43) 내에 수용된 잉크의 액면(51)이 하한 눈금(64a)까지 저하하면, 유저는, 은폐 위치(A)로부터 비은폐 위치(B)까지 커버(44)를 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다(도 17 참조). 그러면, 은폐 위치(A)에 위치한 커버(44)에 숨겨져 있던 폐쇄 부재(58)와 재치부(75)가 출현한다.
또한, 유저는, 통부(53)의 선단에 끼워맞춰진 폐쇄 부재(58)를 재치부(75)에 이동시키는 동시에, 주입구(52)로부터 잉크를 주입한다. 또한, 주입된 잉크는 탱크 케이스(42)의 창부(42a)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잉크의 주입에 수반해서 잉크가 넘쳐 흘러버린 경우에는, 누설 잉크는 주입구 형성면(54)을 타고 장치 본체(1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흘러 배리어 볼록부(55)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누설 잉크의 양이 많아, 만일 배리어 볼록부(55)를 넘어 버렸을 경우에서도, 누설 잉크는 단차부(54a)에 따라서 퍼지도록 해서 누설 방향이 변경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장치 본체(13)측으로 잉크가 비산된 경우이라도, 장치 본체(13)와 탱크 유닛(27)과의 사이에 개재장착된 흡수재(39)에 의해 누설 잉크가 흡수된다.
그리고, 잉크의 주입에 수반해 액면(51)이 상한 눈금(64b)까지 상승하면, 유저는 잉크의 주입을 종료하고, 재치부(75)에 재치하고 있던 폐쇄 부재(58)를 통부(53)로 되돌리는 동시에, 커버(44)를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은폐 위치(A)로 이동시킨다.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잉크 탱크(43)에 형성된 주입구(52)로부터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유닛(27)은 장치 본체(13)에 고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기록 장치(12)를 운반할 때에 탱크 유닛(27)이 장치 본체(13)로부터 이탈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를 주입 가능한 탱크 유닛(27)을 구비한 기록 장치(12)의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커버(44)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축을 중심으로 커버를 회동시켜서 은폐 위치와 비은폐 위치를 변위시키는 경우에 비해, 커버(44)가 변위하는 공간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장치(12)를 좁은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서도, 커버(44)를 개폐할 수 있다.
(3) 주입구(52)를 거쳐서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에, 재치부(75)에 폐쇄 부재(58)를 재치해 두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폐쇄 부재(58)에 잉크가 부착하고 있는 경우에서도, 재치부(75) 이외의 부분에 잉크가 부착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4) 주입구(52)가 잉크실(50)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통부(53)에 형성되기 때문에,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에, 통부(53)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재가 주입되는 잉크의 수용물(대형의 잉크 용기 등)에 당접해서 잉크의 주입을 저해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통부(53)는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우상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는 잉크를 주입하는 모습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5) 누설 잉크의 유로가 되는 주입구 형성면(54) 상에 설치된 배리어 볼록부(55)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누설된 잉크를 차단할 수 있다.
(6) 잉크실(50)로부터 도출되는 잉크의 양에 대한 액면(51)의 변동 폭을 억제하는 것에 의해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되는 잉크에 걸리는 압력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측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7) 잉크실(50)은, 상하 방향(Z)의 높이보다 상하 방향(Z)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Y)의 폭이 크기 때문에, 전후 방향(Y)의 폭이 상하 방향(Z)의 높이보다 작은 경우에 비해, 도출하는 잉크의 양에 대한 액면(51)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다.
(8) 도출구(59)로부터 주입구(52)까지의 높이(h3)를 7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도출구(59)로부터 주입구(52)까지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에 수용되는 잉크의 액면(51)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변동을 저감할 수 있다.
(9) 도출구(59)로부터 상한 눈금(64b)까지의 높이(h2)를 55㎜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50)에 대해 액면(51)이 위치하는 범위를 55㎜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에 수용되는 잉크의 액면(51)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변동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10) 유저는 하한 눈금(64a)을 잉크실(50)에의 잉크의 주입의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한 눈금(64a)으로부터 상한 눈금(64b)까지의 높이(h1)를 40㎜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50)에 대해 액면(51)이 위치하는 범위를 40㎜ 이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에 수용되는 잉크의 액면(51)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변동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11)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이 시인면(43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전방측, 즉 한쪽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와는 상이하게, 잉크 탱크(43)가 기울어 설치되었을 경우이라도, 전후 방향(Y)으로 상이한 복수의 위치에 있어서, 각각의 위치마다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눈금(64a, 64b)에 대한 액면(51)의 위치가 상위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잉크 탱크(43)에 수용된 잉크의 양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12) 도출구(59)측에 하한 눈금(64a)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도출구(59)의 부근에 위치하는 잉크의 액면(51)과 하한 눈금(64a)을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하한 눈금(64a)을 잉크실(50)에의 잉크의 주입의 기준으로 하는 것에 의해, 잉크의 액면(51)이 도출구(59)보다 상하 방향(Z)의 하방에 위치해서 도출구(59)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13) 하한 눈금(64a)은, 주입구(52)와 동일 측에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주입구(52)보다 하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잉크를 주입했을 때에, 주입된 잉크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14) 상하 방향(Z)의 높이에 비해 전후 방향(Y)의 폭이 큰 시인면(43a)을 구비하는 잉크 탱크(43)에서는, 잉크 탱크(43)가 기운 상태로 설치되었을 경우에, 전후 방향(Y)에 상이한 위치에 있어서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눈금(64a, 64b)에 대한 액면(51)의 위치의 상위가 커지기 쉽다. 그 점, 눈금(64a, 64b)을 수평 방향의 도중 위치보다 전방측에 형성했기 때문에, 잉크 탱크(43)가 기울어 설치되어 버렸을 경우에서도 잉크의 양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15) 상한 눈금(64b)이 주입구(52)측에 형성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 탱크(43)가 기울어 설치되었을 경우이라도, 주입된 잉크의 액면(51)과 상한 눈금(64b)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흘러 넘쳐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16) 시인면(43a)이 상하 방향(Z)과 교차하는 우방향을 향해 형성되기 때문에, 일 방향으로부터 잉크의 액면(51)과 눈금(64a, 64b)을 시인해 비교할 수 있다.
(17) 복수의 눈금(64a, 64b)이 동일 측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의 액면(51)과 각 눈금(64a, 64b)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의 잔량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18) 주입구(52)의 단면(52a)이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이기 때문에, 주입구(52)의 단면(52a)이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하는 경우에 비해 잉크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19) 잉크 탱크(43)가 장치 본체(13)에 고착되었을 때에, 통부(53)는 장치 본체(1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20) 주입구 형성면(54)이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이기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누설되어 버렸을 경우이라도, 주입구 형성면(54)을 따라서 잉크를 흘릴 수 있다. 따라서, 유저가 의도하지 않을 방향으로 잉크가 흘러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1) 잉크 탱크(43)가 기록 장치(12)에 고정되었을 경우에, 주입구(52)의 단면(52a)이 장치 본체(1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22) 통부(53)와 주입구 형성면(54)과의 상하 방향(Z)에 대한 각각의 기울기는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 탱크(43)를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 통부(53)와 주입구 형성면(54)을 동일 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23) 주입구(52)로부터 누설된 누설 잉크는, 누설 잉크의 유로가 되는 주입구 형성면(54) 상에 위치하는 배리어 볼록부(55)에 의해서 차단된다. 따라서, 누설된 잉크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4) 배리어 볼록부(55)가 시인면(43a)보다 상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누설 잉크에 의해서 시인면(43a)이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5) 누설 잉크가 배리어 볼록부(55)를 넘어 버렸을 경우에서도, 단차부(54a)에 의해 누설 잉크가 시인면(43a)에 흘러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6) 배리어 볼록부(55)의 전후 방향(Y)의 폭은 주입구(52)의 폭보다 크기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주입하는 잉크가 어느 쪽의 방향으로부터 누설된 경우에서도 배리어 볼록부(55)로 차단할 수 있다.
(27) 주입구 형성면(54)을 누설 잉크의 유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누설 잉크를 주입구 형성면(54)으로 받는 것에 의해, 주입구 형성면(54) 이외의 부분이 잉크로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28) 주입구 형성면(54)으로부터 돌출하는 배리어 볼록부(55)에 의해서 누설 잉크를 차단할 수 있다.
(29) 주입구(52)와 배리어 볼록부(55)가 일 방향을 향한 주입구 형성면(54)에 형성되기 때문에, 누설 잉크가 흐르는 방향을 일 방향으로 할 수 있다.
(30) 주입구(52)와 배리어 볼록부(55)와의 상하 방향(Z)에 대한 각각의 기울기는 동일하기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 탱크(43)를 사출 성형하는 경우에, 주입구(52)와 배리어 볼록부(55)를 동일 형으로 성형할 수 있다.
(31)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흡수재(39)를 개재장착시키는 것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누설된 누설 잉크가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유입되었을 경우에서도, 누설 잉크를 흡수재(39)에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누설된 잉크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2) 잉크가 누설되는 우려가 있는 주입구(52)와 장치 본체(13)와의 사이에 흡수재(39)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누설된 누설 잉크를 효율적으로 흡수재(39)에 흡수시킬 수 있다.
(33)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의 간극을 흡수재(39)로 메울 수 있다. 따라서,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간극에 이물이 혼입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4) 잉크 탱크(43)를 가리는 탱크 케이스(42)를 일체 성형물로 하는 것에 의해, 탱크 유닛(27)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35) 탱크 케이스(42)에 형성된 케이스 개구부(42b)로부터 잉크 탱크(43)를 용이하게 탱크 케이스(42)에 수용할 수 있다.
(36)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가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 및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에 의해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가 어긋나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37)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가 긴 구멍 형상의 위치결정 오목부(63a)와 요철 끼워맞춤해서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의 성형 정도가 낮은 경우에서도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를 위치결정할 수 있다. 또한, 위치결정 오목부(63a)는 전후 방향(Y)으로 길기 때문에,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수평 방향의 기울기를 억제해서 위치결정할 수 있다.
(38) 탱크 케이스(42)가 손잡이부(71)를 구비하기 때문에, 탱크 유닛(27)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39) 탱크 유닛(27)이 장치 본체(13)에 고착되었을 때에, 손잡이부(71)의 양측 위치에 형성된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 및 제 5 케이스 걸림고정부(68e)로 나사(36)를 걸림고정하기 때문에, 유저는 손잡이부(71)에 손을 대는 것에 의해 장치 본체(13)와 탱크 유닛(27)을 안정되게 운반할 수 있다.
(40) 커버(44)의 사이즈가 탱크 케이스(42)의 사이즈보다 작기 때문에, 커버(44)를 탱크 케이스(42) 상에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탱크 유닛(27)이 커버(44)를 구비하는 경우에서도, 운반시에 커버(44)가 걸려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41) 잉크실(50)의 수평 단면적을 크고 하는 것에 의해 도출구(59)로부터 도출하는 잉크의 양에 대한 액면(51)의 변동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작은 액면(51)의 변동으로 보다 많은 잉크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측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42) 탱크 유닛(27)을 장치 본체(13)에 고착했기 때문에, 탱크 유닛(27)은 장치 본체(13)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립하는 탱크 유닛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유닛(27)과 장치 본체(13)에 일체감을 갖게 할 수 있다.
(43) 커버(44)는, 탱크 케이스(42)에 지지된 상태에서 은폐 위치(A)와 비은폐 위치(B)와의 사이를 이동하기 때문에, 복합기(11)의 운반시에 커버(44)가 이탈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44) 레일부(76a, 76b)의 후단은 표면이 모따기되어 있는 동시에, 커버(44)의 미끄럼 접촉부(80)는 전후 방향으로 서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커버(44)는 탱크 케이스(42)에 대해서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45) 탱크 케이스(42)는 창부(42a)의 주위가 모따기되어 있기 때문에, 창부(42a)에 대해서 정면으로 맞서지 않는 횡 방향으로부터도 창부(42a)를 거쳐서 외부로부터 시인면(43a)의 전면을 용이하게 시인할 수 있다.
(46) 밸브 레버(47)는 오목부(46)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 유닛(27)이 고정된 복합기(11)를 운반할 때에, 밸브 레버(47)가 주위의 물건에 접촉하는 것 등에 의한 오조작을 억제할 수 있다.
(47) 탱크 케이스(42)는 일체 성형물로 시임이 없기 때문에, 잉크가 누설되는 유로가 부주의로 될 수 있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48)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흡수재(39)를 개재시키는 것에 의해, 흡수재(39)에 의해서 필름(49)을 보호할 수 있다.
(49) 재치부(75)에 재치된 폐쇄 부재(58)에 잉크가 부착하고 있었을 경우에서도, 폐쇄 부재(58)는 링부(75a)의 내측에 재치되기 때문에, 폐쇄 부재(58)로부터 잉크가 방울져 떨어졌을 경우에서도, 링부(75a)에 의해서 주위로 퍼져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50) 공기 취입구(60)를 탱크 케이스(42)로 가리는 것에 의해, 유저가 공기 취입구(60)에 실수로 잉크를 주입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51) 잉크를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된 액체 분사 헤드(32)의 노즐면에 대해, 잉크 탱크(43) 내의 잉크의 액면(51)의 수두 위치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그 점, 잉크 탱크(43)는,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를 포함해 일체 성형한 탱크 케이스(42)를 거쳐서 장치 본체(13)에 장착된다. 즉, 탱크 케이스(42)가 복수 부재의 조합으로 이뤄지는 경우에 비해, 잉크 탱크(43)와 액체 분사 헤드(32)와의 위치 관계를 보다 정밀도 좋게 보지하면서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에 장착할 수 있다.
(52) 잉크실(50)을 구비하는 잉크 탱크(43)는, 좌우 방향(X)으로 이동 가능한 액체 분사 헤드(32)의 이동 영역(T)보다 좌우 방향(X)의 외측에 전후 방향(Y)에 따라서 배설된다. 그 때문에, 이러한 잉크 탱크(43)에 구비되는 잉크실(50)을, 액체 분사 헤드(32)의 이동 영역(T)에 의해서 분단되는 일이 없이, 전후 방향(Y)에 따라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53) 또한, 잉크 탱크(43)가 구비하는 잉크실(50)은, 그 좌우 방향(X)의 사이즈가, 좌우 방향(X) 및 전후 방향(Y)과 직교하는 상하 방향(높이 방향)(Z)의 사이즈보다 작고, 또한 그 상하 방향(높이 방향)(Z)의 사이즈가 전후 방향(Y)의 사이즈보다 작다. 그 때문에, 잉크실(50)의 상하 방향(높이 방향)(Z)의 사이즈가 좌우 방향(X) 및 전후 방향(Y)의 사이즈보다 큰 경우에 비해서, 잉크실(50)로부터 잉크가 도출되었을 때에 있어서의 액체 분사 헤드(32)에 대한 잉크실(50) 내의 액면의 변동 폭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되는 잉크에 걸리는 압력의 변화를 저감할 수 있고,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에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다.
(54) 또한, 잉크 탱크(43)는, 잉크실(50) 내의 잉크를 튜브(31)측에 도출하는 도출구(59)가 잉크실(50)의 전후 방향(Y)의 중앙보다 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잉크실(50)과 튜브(31)와의 접속을 피기록 매체가 배출되는 전방측의 스페이스를 활용해 실시할 수 있고, 소형의 액체 공급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55) 잉크 탱크(43)의 전면에는, 도출구(59)에 접속된 튜브(31)를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근거해 눌러 찌부러뜨릴 수 있는 쵸크 밸브(45)의 밸브 레버(47)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튜브(31)에 의한 잉크의 공급을 차단할 때 쵸크 밸브(45)의 조작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56)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 내에 배설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잉크 탱크(43)의 형상이나 크기에 관한 제한을 한층 더 완화할 수 있다.
(57) 잉크 탱크(43)는, 케이스 개구부(42b)를 거쳐서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된 상태로 탱크 케이스(42)와 함께 장치 본체(13)에 고착되기 때문에, 탱크 유닛(27)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58) 탱크 케이스(42)에는,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나사(36)에 의해서 탱크 유닛(27)을 장치 본체(13)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다.
(실시예 1)
잉크 탱크(43)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는, 일면측에 개구부의 일례로서의 수용체 개구부(48a)가 설치된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의 수용체 케이스(48)와 박막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49)을 포함해 구성되어 있다. 수용체 케이스(48)는 5면 일체 성형물이며,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에 필름(49)이 부착되는 것에 의해,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의 일례로서의 잉크실(50)과, 그 잉크실(50)을 대기에 연통시키는 공기실(200)이 형성된다.
잉크실(50)과 공기실(200)은, 수용체 케이스(48)의 저면에 따르는 방향(전후 방향(Y))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형성된 칸막이벽(48b)에 의해 공기실(200)이 되는 영역과 잉크실(50)이 되는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벽(48b)은 수용체 케이스(48)의 우측의 측벽(48c)(도 25 참조)과 직교하는 동시에, 이 측벽(48c)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48a)측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수용체 케이스(48)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수용체 케이스(48)는, 상하 방향(Z)의 높이 및 좌우 방향(X)의 깊이에 비해 전후 방향(Y)의 폭이 큰, 즉 전후 방향(Y)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이 수용체 케이스(48)의 형상에 맞추어 필름(49)도 전후 방향(Y)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체 개구부(48a)는 수용체 케이스(48)의 외형에 따라서 전체 주위에 형성된 리브 형상으로 되고, 필름(49)은 이 수용체 개구부(48a)에 용착에 의해서 부착된다. 또한, 필름(49)은, 수용체 개구부(48a)와 동시에, 잉크실(50) 내에 있어서 좌우 방향(X)에 입설된 복수의 리브(예를 들면,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나 종 리브부(111 내지 118) 등)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용착되어 부착된다.
또한, 수용체 케이스(48)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제이며, 잉크 탱크(43)의 외측으로부터 잉크실(50) 내에 수용된 잉크 및 잉크의 액면(51)(도 25 참조)이 시인 가능하다. 그 때문에, 잉크 탱크(43)가 탱크 케이스(42)에 장착되면, 탱크 케이스(42)의 창부(42a)를 거쳐서 외부로부터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가 시인 가능해진다.
즉, 도 3 및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수용체 케이스(48))의 우측면에 있어서 창부(42a)와 대응하는 영역은, 우방향(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는 동시에, 우방향으로부터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의 액면(51)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43a)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시인면(43a)은 상하 방향(Z)의 높이에 비해 전후 방향(Y)의 폭이 크다.
도 26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48)의 상부에는, 잉크실(50) 내에 잉크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의 일례로서의 주입구(52)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52)는, 수용체 케이스(48)에 있어서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로서, 시인면(43a)의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입구(52)는 잉크실(50)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 또한 수평 방향보다 상방향이 되는 우상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통부(53)의 선단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구(52)의 단면(52a)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이다.
또한, 통부(53)가 기우는 방향은, 탱크 유닛(27)이 장치 본체(13)에 장착되었을 경우에, 통부(53)의 선단(단면(52a))이 장착면(13a)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서, 시인면(43a)에 가까워지는 방향이다.
도 25 및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48)의 상부에 있어서 주입구(52) 및 통부(53)가 형성되는 주입구 형성면(54)은 상하 방향(Z)과 교차하는 우상 방향(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즉, 주입구 형성면(54)은, 통부(53)의 기단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시인면(43a)측이 낮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가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하 방향(Z)에 대한 주입구 형성면(54)의 기울기와 통부(53)의 기울기는 동일하다. 또한, 시인면(43a)보다 상방 위치로서, 주입구(52)와 시인면(43a)과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는, 판형상의 차단부 및 돌출부의 일례로서의 배리어 볼록부(55)가 주입구 형성면(54)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배리어 볼록부(55)는 통부(53)(주입구(52))와 동일 방향으로 경사하고 있는 동시에, 주입구 형성면(54)에 대해서 직교한다. 또한, 배리어 볼록부(55)는, 주입구 형성면(54)의 시인면(43a)측이 되는 우단보다 통부(53)에 가까운 위치로부터 돌출해서 형성되는 동시에, 주입구 형성면(54)의 우단은, 시인면(43a)보다 상방 위치로서 또한 배리어 볼록부(55)와 시인면(43a)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단차부(54a)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7 및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48)의 상부에 있어서 주입구(52)로부터 배리어 볼록부(55)로 향해 하향 경사면 형상으로 형성된 주입구 형성면(54)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양측의 인접 부위에 비해 상하 방향(Z)에서 낮은 위치에 있다. 즉, 주입구 형성면(54)은, 그 전후 양측이 벽에 끼워져 있다. 그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누설되었을 경우에는, 누설 액체의 일례로서의 누설 잉크가 주입구 형성면(54)을 따라서 흐른다. 따라서, 주입구 형성면(54)은 누설 잉크의 유로로서 기능하고 있는 동시에, 배리어 볼록부(55)는 누설 잉크의 유로상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주입구 형성면(54)에는, 통부(53)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좌우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리브부(56)가 통부(53)를 좌우 방향(X)의 양측에서 동일 선상에 위치해서 사이에 두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주입구 형성면(54)은 리브부(56)에 의해 전후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도 29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리어 볼록부(55) 및 단차부(54a)는, 누설 잉크가 흐르는 방향인 우하 방향(누설 방향의 일례)과 교차하는 전후 방향(Y)의 폭이 주입구(52) 및 통부(53)의 폭보다 크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53)의 선단에는, 주입구(52)를 폐쇄 가능한 폐쇄 부재(5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한, 폐쇄 부재(58)에는, 일단이 탱크 케이스(42)에 접속된 계류부(58a)의 타단측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폐쇄 부재(58)에는, 상측에 노브부(58b)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하측에 주입구(52)와 끼워맞추는 원형 관형상의 끼워맞춤부(58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48)의 전면(도 29에서는 좌측)의 하부 위치에는,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튜브(31)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의 일례로서의 도출구(59)가 형성되어 있다. 도출구(59)는, 수용체 케이스(48)에 대해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로서, 시인면(43a)의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체 케이스(48)의 주입구(52)가 형성된 표면에는, 잉크실(50) 내에 공기를 취입해서 대기 개방하기 위한 대기 개방구(60)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체 케이스(48)에는, 탱크 케이스(42)에 고착될 때에 장착되는 장착 나사(61)(도 24 참조)를 걸림고정하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탱크 걸림고정부(6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용체 케이스(48)의 우측면에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위치결정부의 일례로서의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 중, 한쪽의(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에 위치한다) 위치결정 오목부(63a)는 전후 방향(Y)으로 길다란 긴 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인면(43a)에 있어서의 전방측 위치에는, 눈금의 일례로서의 하한 눈금(64a)과 눈금의 일례로서의 상한 눈금(64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은 시인면(43a)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창부(42a)는 상한 눈금(64b)을 은폐하지 않기 때문에, 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폭이 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폭에 비해 크다(도 3 참조). 따라서, 창부(42a)와 마찬가지로 시인면(43a)도 전방측의 상하 방향(Z)의 폭이 후방측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폭에 비해 크다.
하한 눈금(64a)은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도출구(59)측으로서, 또한 도출구(59)보다 상방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한 눈금(64b)은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주입구(52)측으로서, 또한 주입구(52) 및 대기 개방구(60)보다 하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출구(59)와 주입구(52)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 동일 측(전방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하한 눈금(64a)은 전후 방향(Y)의 도중 위치보다 주입구(52)측으로서, 주입구(52) 및 상한 눈금(64b)보다 하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시인면(43a)에는, 전후 방향(Y)의 동일 측에 상하 방향(Z)에 간격을 갖고서 복수의 눈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한 눈금(64a)은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하는 기준이 되는 하한량을 나타내는 눈금이다. 또한, 상한 눈금(64b)은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되어 잉크실(50) 내에 수용되는 잉크의 상한량을 나타내는 눈금이다.
도 31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49)은, 수용체 케이스(48)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체 개구부(48a)의 개구 영역외, 즉 좌우 방향(X)에서 볼 때 수용체 케이스(48)의 외측에 위치하는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를 구비하는 동시에, 영역외 부위(49a)와 영역외 부위(49c)에, 각각 관통 구멍(49H)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체 개구부(48a)에 대해서 상하 방향(Z)의 양측에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 49b)가 각각 형성되고, 수용체 개구부(48a)에 대해서 전후 방향(Y)의 양측에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c, 49d)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형성된 영역외 부위(49a, 49c)에 있어서 설치되는 관통 구멍(49H)은 각각 둥근 구멍으로 되는 동시에, 잉크 탱크(43)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적어도 2개 위치에 설치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관통 구멍(49H)은 수용체 케이스(48)의 대략 대각 위치로 되는 위치에 각각 하나, 즉 2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33 및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3)에의 장착측이 되는 좌측에 케이스 개구부(42b)를 갖는 탱크 케이스(42)는 5면 일체 성형물이며, 전후 방향(Y) 및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케이스 개구부(42b)가 수용체 케이스(48)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탱크 케이스(42)는, 수용체 케이스(48)를 수용체 개구부(48a)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둘러싼 상태로 가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점에서, 탱크 케이스(42)는 수용체 케이스(48)를 보호하는 보호 부재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또한, 수용체 케이스(48)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는 상하 방향(Z)의 양측 및 전후 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간극이 설치된다. 이 간극에는,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가 각각 수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도 33 및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름(49)에 형성된 영역외 부위(49a, 49b)는 수용체 케이스(48)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형성된 상하 방향(Z)의 간극내에 위치한다. 또한, 영역외 부위(49c)는 수용체 케이스(48)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형성된 전후 방향(Y) 중 전방측의 간극내에 위치한다.
한편, 필름(49)에 형성된 영역외 부위(49d)는, 도 3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로부터 외측(후방측)으로 돌출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돌출 부분은,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와 수용체 케이스(48)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간극으로서 형성되는 홈부(42M)에 대해서 삽입되는 것에 의해, 이 홈부(42M) 내에 절곡 끼워넣어진 상태로 수납된다. 즉, 홈부(42M)는 전후 방향(Y)에 소정 폭을 갖고, 상하 방향(Z)에 소정 길이를 갖는 동시에, 좌우 방향(X)으로 소정 길이로 패인 오목 공간으로서, 영역외 부위(49d)가 절곡 끼워넣어지는 수납 가능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도 3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에 있어서의 창부(42a)가 형성된 우측의 벽부의 내측으로서, 또한 잉크 탱크(43)의 탱크 걸림고정부(62)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장착 나사(61)(도 24 참조)를 나사결합 가능한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나사결합부(6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위치결정부의 일례로서의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가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에는, 상기 탱크 케이스(42)를 장치 본체(13)에 고착할 때에 삽통되는 나사(36)(도 23 참조)를 걸림고정하는 걸림고정부의 일례로서의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가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내지 제 5 각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는 장착면(13a)에 형성된 나사 보스부(37)와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에 있어서의 장치 본체(13)의 보스부(38)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보스부(38)와 결합 가능한 결합부(6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49)에 형성된 영역외 부위(49a, 49b, 49c)는 탱크 유닛(27)을 장치 본체(13)에 장착할 때의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잉크 탱크(43)(수용체 케이스(48))를 탱크 케이스(42)에 장착하기 위한 나사결합부(66), 및 탱크 케이스(42)를 장치 본체(13)에 고착하기 위한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는, 고정 부재(나사)가 삽입될 방향, 즉 좌우 방향(X)에서 볼 때 겹치지 않도록 절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필름(49)은 고정 부재(나사)에 의한 고정 작업의 방해가 되지 않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32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의 제조 방법, 즉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에 필름(49)을 부착해서 잉크 탱크(43)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필름(49)은, 초음파나 열 등을 이용한 도시하지 않은 용착 장치에 의해서, 수용체 개구부(48a)(및 잉크실(50) 내에 형성된 종 리브부(111 내지 118 등)에 대해서 부착되는 것으로서 설명한다.
우선, 최초의 공정에서, 필름(49)은 도시하지 않은 보지구(holder)(예를 들면 흡착 패드)에 의해서 흡착되어 보지된다. 이 때, 필름(49)은, 도 32에 있어서 음영 부분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가 각각 흡착되는 것에 의해서, 필름(49)의 전체 영역이 흡착된다. 또한,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2개 위치의 각각 설치된 2개의 관통 구멍(49H)에 대해서, 보지구가 구비하는 위치결정 부재의 일례로서의 핀이 삽입된다. 이 2개의 관통 구멍(49H)은 수용체 개구부(48a)의 대략 대각 위치이기도 한 필름(49)의 대략 대각 위치에 설치되므로, 필름(49)은 회전이 억제된 안정된 자세로 보지구에 흡착되어 보지된다.
다음의 공정에서, 보지구는, 흡착에 의해 보지한 필름(49)을, 소정의 재치대 상에 수용체 개구부(48a)를 상향으로 해서 재치하고 있는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이동에 있어서, 필름(49)은 2개의 관통 구멍(49H)에 핀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필름(49)의 두께 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수반한 위치 차이가 생기는 일이 없이 이동한다.
그리고 다음의 공정에서는, 수용체 개구부(48a)와 대향하는 위치까지 이동된 필름(49)을, 관통 구멍(49H)에 삽입된 핀을 기준으로 해서 수용체 개구부(48a)에 대한 위치결정을 실시하면서, 보지구에 보지된 상태로부터 수용체 개구부(48a)를 막은 상태로 이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체 케이스(48)가 재치된 재치대에 설치된 오목부 등의 결합부에 핀이 삽입되는 것에 의해서, 수용체 케이스(48)(수용체 개구부(48a))와 필름(49)이 위치맞춤된 상태가 된다. 이것과 병행해서, 보지구의 흡착이 정지하는 것과 동시에 재치대에 있어서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의 흡착이 새로운 흡착 패드(도시하지 않음)로 행해지는 것에 의해서, 필름(49)은 재치대측에 흡착되어 수용체 개구부(48a)를 막은 상태로 이행한다.
다음에, 수용체 개구부(48a)를 막은 상태의 필름(49)을 수용체 개구부(48a)에 부착시킨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용착 지그(예를 들면 용착 헤드)가 필름(49)에 대해서 재치대에 재치된 수용체 케이스(48)와 반대측으로부터 당접해서, 필름(49)을 수용체 개구부(48a)에 용착시켜서 부착시킨다. 원래, 이 수용체 개구부(48a)와의 용착에 있어서, 필름(49)은 잉크실(50) 내의 각 리브(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하는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나 종 리브부(111 내지 118)도 용착된다.
그런데, 도 32에 있어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영역외 부위(49a, 49b, 49c) 중, 예를 들면, 흡착대가 되는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의 수용체 개구부(48a)로부터의 돌출하는 폭을, 흡착성을 높이기 위해서 넓게 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 영역외 부위(49a)는, 탱크 케이스(42)가 장치 본체(13)에 고착된 상태에 있어서, 탱크 케이스(42)의 외측으로는 돌출하는 일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영역외 부위(49d)와 마찬가지로,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를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설치된 간극에 절곡 끼워넣어 수납한다(도 35 참조). 따라서, 이러한 경우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영역외 부위(49a)를 절곡 끼워넣어 수납할 수 있는 간극이 설치된다. 또한, 영역외 부위(49b, 49c)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다음에, 잉크실(5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은, 그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따르는 일면측(도 24에서는 하면측)이 바닥부가 되어 있다. 잉크실(50)의 바닥부에는, 기저면(50a)과, 기저면(50a)보다 높아지도록 단차를 갖고서 기저면(50a)과 전후 방향(Y)으로 늘어선 단차 저면(50b)과, 상단측이 단차 저면(50b)과 교차하는 한편 하단측이 기저면(50a)과 교차하는 단차 측면(50c)이 설치되어 있다.
기저면(50a)은 단차 저면(50b)보다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게 되어 있는 동시에, 기저면(50a) 및 단차 측면(50c)은 바닥부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제 1 단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단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단차 측면(50c)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길이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기저면(50a)의 길이 및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단차 저면(50b)의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잉크실(50)의 바닥부에 있어서, 기저면(50a)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단부측(전단측)으로서, 짧은 방향(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단부측(도 24에 있어서의 왼쪽 기울기 전방측)이 되는 위치에는, 기저면(50a)에 개구하는 집액용 오목부(50d)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집액용 오목부(50d)의 개구부는 전후 방향(Y) 및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길이가 기저면(50a)보다 짧게 되어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에 설치된 도출구(59)는, 집액용 오목부(50d)의 내측면과 대응하는 위치로서, 기저면(50a)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제 1 단측(전단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기저면(50a)은 좌우 방향(X)에 대해 도출구(59)측이 되는 단부측(도 24에 있어서의 왼쪽 기울기 전방측)이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있다. 또한, 기저면(50a)의 상방에는,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하기 위한 주입구(52)가 배치되어 있다.
도 24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 내에는, 주입구(52)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기저면(50a)과 교차하는 적어도 1개, 또는 적어도 2개(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가 설치되어 있다.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전후 방향(Y)(제 1 방향의 일례)에 거리를 두고 기저면(50a)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다. 또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좌우 방향(X)(제 2 방향의 일례)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은 중력 방향과 교차하면서 주입구(5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에 따르는 방향으로서, 잉크실(50)의 길이 방향이다. 또한, 좌우 방향(X)은 중력 방향과 전후 방향(Y)의 쌍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 중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제 2 교차 리브부(102)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보다 도출구(59)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제 2 교차 리브부(102)는 전후 방향(Y)에 대해 주입구(52)와 도출구(59)와의 사이의 위치에 형성되어, 제 2 리브의 일례로서 기능하고 있다. 또한,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제 2 교차 리브부(102)는, 제 1 교차 리브부(101)가 제 2 교차 리브부(102)보다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고, 제 2 교차 리브부(102)가 제 1 교차 리브부(101)에 비해 주입구(52)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제 2 교차 리브부(102)는, 잉크실(50)에 있어서의 기저면(50a)측의 부분을 도출구(59)측(전방측)의 제 1 영역과, 전후 방향(Y)에 대해 전방측의 영역은 반대측의 제 2 영역으로 구획된다.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기저면(50a)으로부터의 상방으로의 돌출 높이가 서로 상이하다. 즉,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 중,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로부터 멀어져 가장 도출구(59)측에 위치하는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돌출 높이는 제 2 교차 리브부(102) 및 제 3 교차 리브부(103)의 돌출 높이에 비해 크다. 또한,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돌출 높이는, 제 2 교차 리브부(102)보다 전후 방향(Y)에 있어서 도출구(59)로부터 멀어진(후방측의) 위치에 위치하는 제 3 교차 리브부(103)의 돌출 높이보다 크다. 환언하면,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도출구(59)로부터 멀어지는 것에 따라 서서히 높이가 낮아진다. 따라서, 주입구(52)가 배치된 잉크실(50)의 상면(50e)과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와의 간격은 각각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2 교차 리브부(102)와 상면(50e)과의 간격이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상면(50e)과의 간격보다 넓고, 제 3 교차 리브부(103)와 상면(50e)과의 간격보다 좁다.
또한, 잉크실(50)의 저면의 일례로서의 기저면(50a) 및 단차 저면(50b)은 주입구(52)보다 하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잉크실(50)의 상면(50e)은 하측을 향하는 면으로서, 또한 기저면(50a) 및 단차 저면(50b)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면이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면(50e)에 주입구(52)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칸막이벽(48b)의 하측의 면이 상면(50e)이 된다.
또한, 각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에는, 도출구(59)와는 반대측(후방측)으로 연장된 연장부의 일례로서의 제 1 연장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연장부(104)는,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측으로부터 잉크실(50)의 우측면(50f)측으로 향해 전후 방향(Y)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표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이 되도록 우측면(50f)과 직교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면(50f)은 전후 방향(Y)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면이다.
즉,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와 제 1 연장부(104)는 수용체 케이스(48)의 우측면(50f)과 직교하는 동시에, 우측면(50f)측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48a)측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수용체 케이스(48)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환언하면,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와 제 1 연장부(104)는 잉크실(50)의 우측면(50f)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X)에 있어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폭은 수용체 케이스(48)의 내측의 면이 되는 우측면(50f)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48a)까지의 폭과 대략 동등하다. 즉,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잉크실(50)에 있어서, 좌우 방향(X)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용체 개구부(48a)에 필름(49)이 접착되면,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좌단이 되는 접착면(101a 내지 103a)에도 필름(49)이 접착된다. 또한, 각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하단은 접착면(101a 내지 103a)으로부터 우측면(50f)측으로 향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에 필름(49)이 접착되면,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오목하게 부분이 제 1 연통부(105)로서 기능한다. 즉, 제 1 연통부(105)는 기저면(50a)과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각각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상면(50e)으로부터 이간해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필름(49)이 접착되면, 각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상측이 제 2 연통부(106)로서 기능한다. 즉, 제 2 연통부(106)는 상면(50e)과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각각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상하 방향(Z)이 상이한 위치에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연통부(105, 10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제 2 교차 리브부(102)에서는, 기저면(5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상이하기 때문에,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각각의 상면(50e)으로부터의 높이가 서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연통부(106)는 상하 방향(Z)이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에 의해서 전후 방향(Y)으로 구획된 영역은 연통부(105, 106)를 거쳐서 연통한다.
또한, 잉크실(50) 내에 있어서, 주입구(52)보다 후방측 위치에는, 적어도 2개, 또는 3개 이상(본 실시형태에서는 8개)의 제 1 리브의 일례로서의 종 리브부(111 내지 11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로부터 보아서 도출구(59)와는 반대측(후방측)의 위치에, 좌우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단차 저면(50b)과 교차하는 방향인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Y)에 거리를 두고 형성되어 있다.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단차 저면(50b) 및 칸막이벽(48b)과 간극을 갖는 동시에, 전후 방향(Y)에 대해 잉크실(50)의 후방 측면(50g)과 간극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즉,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적어도 일부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상면(50e)과 단차 저면(50b)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단차 저면(50b)으로부터 이간하도록 상방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이간하도록 하부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또한, 종 리브부(111 내지 118)의 전후 양측에는,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측으로부터 우측면(50f)측(우측)을 향해 전후 방향(Y)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표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을 이루는 제 2 연장부(119)가 우측면(50f)과 직교해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종 리브부(112)와 제 3종 리브부(113)와의 사이와, 제 5종 리브부(115)와 제 6종 리브부(116)와의 사이에는, 단차 저면(50b)으로부터 상방으로 향해 돌출하는 보강 리브부의 일례로서의 제 1 돌출부(12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돌출부(121)의 상방 위치에는, 칸막이벽(48b)으로부터 하부로 향해 돌출하는 제 2 돌출부(122)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121, 122)는, 우측면(50f)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48a)측(좌측)을 향해 서서히 상하 방향(Z)의 폭이 좁아지도록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들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 제 2 연장부(119), 및 돌출부(121, 122)는 우측면(50f)과 직교하는 동시에, 우측면(50f)측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48a)측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수용체 케이스(48)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환언하면,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 제 2 연장부(119), 및 돌출부(121, 122)는 우측면(50f)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X)에 있어서 종 리브부(111 내지 118)의 폭은 우측면(50f)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48a)까지의 폭과 대략 동등하다. 즉,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잉크실(50) 내에 있어서 좌우 방향(X)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수용체 개구부(48a)에 필름(49)이 접착되면, 종 리브부(111 내지 118)의 좌단이 되는 접착면(111a 내지 118a)에도 필름(49)이 접착된다. 그 때문에, 종 리브부(111 내지 118)에 필름(49)이 접착되면, 각 종 리브부(111 내지 118)에 의해서 전후 방향(Y)을 구획된 영역은,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 단차 저면(50b)과의 사이의 간극, 및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 칸막이벽(48b)과의 사이의 간극을 거쳐서 연통한다.
다음에, 공기실(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4 및 도 32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실(200)은 잉크 탱크(43)에 있어서의 잉크실(50)과 대기 개방구(60)와의 사이에 개재하고, 잉크 탱크(43)가 기록 장치(12)에 고정된 사용시의 자세 상태(도 3 내지 도 26에 도시하는 자세 상태)에 있어서는, 칸막이벽(48b)을 경계로 해서, 잉크실(50)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배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공기실(200)은 벽면이 좌우 방향(X)에 따르는 구획벽(201 내지 209)에 의해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도록 구획된 복수(본 실시형태에서는 10실)의 공기 소실(200a 내지 200j)을 포함해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공기 소실(200a 내지 200j) 중 가장 후방측(도 24 및 도 32에서는 가장 좌측)의 제 1 공기 소실(200a)은, 그 실의 저벽이기도 한 칸막이벽(48b)에 상하 방향(Z)으로 관통 형성된 연통구(210)를 거쳐서 잉크실(50)과 연통되어 있다. 한편, 각 공기 소실(200a 내지 200j) 중 가장 전방측(도 24 및 도 32에서는 가장 우측)의 제 10 공기 소실(200j)은, 그 실 상부 벽이기도 한 수용체 케이스(48) 상부 벽에 형성된 대기 개방구(60)를 거쳐서 대기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각 구획벽(201 내지 209) 중 가장 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구획벽(201)은 제 1 공기 소실(200a)과 그 1개의 전방측의 제 2 공기 소실(200b)을 구획하고, 그 제 2 공기 소실(200b)에 전방측으로부터 면하는 제 2 구획벽(202)은 제 2 공기 소실(200b)과 그 1개의 전방측의 제 3 공기 소실(200c)을 구획하고 있다. 이하 마찬가지로, 제 3 구획벽(203)으로부터 제 8 구획벽(208)까지의 각 구획벽(203 내지 208)은 각각의 전후에 위치하는 공기 소실끼리(예를 들면 공기 소실(200c)과 공기 소실(200d), 공기 소실(200d)과 공기 소실(200e) 등)를 구획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9 구획벽(209)이 가장 전방측의 제 10 공기 소실(200j)과 그 1개 후방의 제 9 공기 소실(200i)을 구획하고 있다.
또한, 각 구획벽(201 내지 209)에 의해 구획되어 전후 방향(Y)으로 직렬로 늘어선 제 1 공기 소실(200a)로부터 제 10 공기 소실(200j)까지의 각 공기 소실(200a 내지 200j)은 전후 방향(Y)에서 서로 인접하는 공기 소실끼리(예를 들면 공기 소실(200a)과 공기 소실(200b), 공기 소실(200b)과 공기 소실(200c) 등)가 서로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각 공기 소실(200a 내지 200j)간의 연통 구성에 대해 이하 설명한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공기 소실(200a)의 내면에 있어서의 제 1 구획벽(201) 이외의 면 부위(도 32에서는 제 1 공기 소실(200a)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에는, 제 1 구획벽(201)에 있어서의 제 1 공기 소실(200a)에 면하는 벽면의 면적보다 개구 면적이 작은 제 1 개구(211)가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와는 반대측의 측벽(48c)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 2 공기 소실(200b)의 내면에 있어서의 제 1 구획벽(201) 이외의 면 부위(도 32에서는 제 2 공기 소실(200b)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에는, 제 1 구획벽(201)에 있어서의 제 2 공기 소실(200b)에 면하는 벽면의 면적보다 개구 면적이 작은 제 2 개구(212)가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제 1 개구(211)에의 거리와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제 2 개구(212)에의 거리가 동일해지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공기 소실(200a) 및 제 2 공기 소실(200b)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에 있어서의 칸막이벽(48b)의 부근으로서 제 1 구획벽(201)의 벽면 부근이 되는 코너의 각 위치에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는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는 제 1 구획벽(201)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이 되는 각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공기 소실(200c)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 및 제 4 공기 소실(200d)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에는, 양 공기 소실(200c, 200d)간의 제 3 구획벽(203)에 있어서의 벽면의 면적보다 개구 면적이 작은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가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도, 칸막이벽(48b)의 부근으로서 제 3 구획벽(203)의 벽면 부근이 되는 코너의 각 위치, 즉 제 3 구획벽(203)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이 되는 각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5 공기 소실(200e)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 및 제 6 공기 소실(200f)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에도, 양 공기 소실(200e, 200f)간의 제 5 구획벽(205)에 있어서의 벽면의 면적보다 개구 면적이 작은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가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의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도, 칸막이벽(48b)의 부근으로서 제 5 구획벽(205)의 벽면 부근이 되는 코너의 각 위치, 즉 제 5 구획벽(205)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이 되는 각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수용체 케이스(48)에 있어서, 그 측벽(48c)에 있어서의 수용체 개구부(48a)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외측면(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면)에는, 일단측이 제 1 개구(211)에 연통하는 동시에 타단측이 제 2 개구(212)에 연통하는 사행한 긴 홈부(213a 내지 213c)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의 외측면에 있어서의 상부에서 가장 후방측이 되는 영역에, 제 1 공기 소실(200a)에 연통하는 제 1 개구(211)와 제 2 공기 소실(200b)에 연통하는 제 2 개구(212)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 1 긴 홈부(21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제 1 긴 홈부(213a)의 형성 영역의 전방측에 서로 인접하는 영역에, 제 3 공기 소실(200c)에 연통하는 제 1 개구(211)와 제 4 공기 소실(200d)에 연통하는 제 2 개구(212)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 2 긴 홈부(213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그 제 2 긴 홈부(213b)의 형성 영역의 전방측에 서로 인접하는 영역에, 제 5 공기 소실(200e)에 연통하는 제 1 개구(211)와 제 6 공기 소실(200f)에 연통하는 제 2 개구(212)와의 사이를 접속하는 제 3 긴 홈부(213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3개의 긴 홈부(213a 내지 213c)의 형성 영역을 피복하도록,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의 외측면에는, 각 긴 홈부(213a 내지 213c)를 가리도록 배치되는 피복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214)이 접착(예를 들면 열 용착)되어 있다. 그 결과,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의 외측면측에는, 제 1, 제 3, 제 5 각 구획벽(201, 203, 205)의 벽면의 면적보다 유로 단면적이 각각 작은 3개의 연통로(221, 223, 225)가 3개의 긴 홈부(213a 내지 213c)와 그들을 피복하는 필름(214)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이들 3개의 연통로(221, 223, 225)는, 사행한 긴 홈부(213a 내지 213c)에 따라서 형성되기 위해, 각 연통로(221, 223, 225)가 각각에 연통되어 있는 공기 소실(예를 들면 공기 소실(200a)과 공기 소실(200b))끼리의 사이의 거리보다 긴 거리로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와의 사이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도 29 및 도 32로부터 이해되도록, 이들 3개의 연통로(221, 223, 225)는,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보다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간한 유로 부분(도 29에서는 각 긴 홈부(213a 내지 213c)에 있어서의 가장 상방 위치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홈의 부분)(221a, 223a, 225a)을 구비하고 있다. 즉,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연통로(221, 223, 225)의 적어도 일부(일례로서 상기의 유로 부분(221a, 223a, 225a)에의 거리는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제 1 개구(211)에의 거리보다 크다.
또한, 도 24 및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구획벽(201 내지 209) 중에서, 제 2 구획벽(202), 제 4 구획벽(204), 제 6 구획벽(206), 및 제 7 구획벽(207)에는, 그러한 구획벽(202, 204, 206, 207)을 전후 방향(Y)으로 관통하는 연통로(222, 224, 226, 227)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러한 구획벽(202, 204, 206, 207)은 벽면의 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직사각형 형상의 벽면에 있어서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측으로서 칸막이벽(48b)측이 되는 코너부에 직사각형의 절결 형상을 이루도록 각 연통로(222, 224, 226, 227)는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각 연통로(222, 224, 226, 227)를 거쳐서, 이들 연통로(222, 224, 226, 227)가 형성된 구획벽(202, 204, 206, 207)의 전후 방향(Y)으로 서로 인접하는 공기 소실끼리, 예를 들면 제 7 공기 소실(200g)과 제 8 공기 소실(200h) 등이 서로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다.
또한, 도 27, 도 28 및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48)의 대기 개방구(60)가 형성된 표면에 있어서 제 8 공기 소실(200h)과 제 9 공기 소실(200i)에 전후 방향(Y)에서 걸치는 위치에는, 좌우 방향(X)의 폭이 좁은 직선 형상의 가는 홈(215)이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는 홈(215) 내에 있어서, 제 8 공기 소실(200h)의 상측 위치가 되는 일단부에는 제 8 공기 소실(200h)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216a)이 상하 방향(Z)으로 관통 형성되는 동시에, 제 9 공기 소실(200i)의 상측 위치가 되는 타단부에는 제 9 공기 소실(200i)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216b)이 상하 방향(Z)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용체 케이스(48)의 표면에 있어서, 좌우 방향(X)으로 가는 홈(215)의 측방(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이 되는 위치에는, 위로부터의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오목한 홈(2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오목한 홈(217) 내에는, 공기 등의 기체는 투과시키지만 잉크나 물 등의 액체의 투과는 규제하는 필터(도시 생략)가 배설된다. 그리고, 이 오목한 홈(217) 내에 있어서 제 9 공기 소실(200i)의 상측 위치가 되는 하나의 코너 부분에는 제 9 공기 소실(200i)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218a)이 상하 방향(Z)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용체 케이스(48)의 표면에 있어서, 가는 홈(215)의 연장선상에서 제 10 공기 소실(200j)의 상측이 되는 위치에는, 제 10 공기 소실(200j)에 연통하는 연통 구멍(218b)이 상하 방향(Z)에 관통 형성되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수용체 케이스(48)의 표면에 있어서, 전후 방향(Y)에서 오목한 홈(217)의 측방(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이 되는 위치에는, 연통 구멍(218a)이 형성된 오목한 홈(217) 내와 연통 구멍(218b)과의 사이를 접속하는 사행 형상의 가는 홈(21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연통 구멍(216a, 216b, 218a, 218b)의 개구 면적은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의 개구 면적과 동일하고, 각 가는 홈(215, 219)의 홈 폭은 각 긴 홈부(213a 내지 213c)의 홈 폭과 동일하다.
그리고,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48)의 표면에는, 각 가는 홈(215, 219)과 오목한 홈(217)을 가리도록 배치되는 피복 부재의 일례로서의 필름(220)이 접착(예를 들면 열용착)되어 있다. 그 결과, 수용체 케이스(48)의 표면에는, 제 8 및 제 9 각 구획벽(208, 209)의 벽면의 면적보다 유로 단면적이 각각 작은 2개의 연통로(228, 229)가, 2개의 가는 홈(215, 219)과 오목한 홈(217) 및 그것들을 피복하는 필름(220)과의 사이에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실(200)을 구성하는 각 공기 소실(200a 내지 200j)간은 이상과 같은 각 연통로(221 내지 229)를 거쳐서 통기 가능하게 연통되어 있다.
다음에, 쵸크 밸브(45)에 대해 설명한다.
도 34 및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쵸크 밸브(45)는, 탱크 케이스(42)의 내측면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43)의 전방이 되는 면 부위로부터 상하 좌우에 간격을 두고 돌출설치된 대략 L자 형상을 이루는 4개의 고정 리브(301)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내측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쵸크 밸브(45)는 잉크 탱크(43)의 전면(43b)과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잉크 탱크(43)의 전면(43b)은, 잉크 탱크(43)에 있어서의 저면(43c)(도 29 참조) 및 상기 저면(43c)과 대향하는 상부면(43d)을 제외한 측면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전면(43b)은 잉크 탱크(43)의 측면 중 가장 폭이 좁은 면 부위가 되어 있다. 그리고, 쵸크 밸브(45)는 이러한 고정 리브(301)에 의해서 상하 좌우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또한, 쵸크 밸브(45)에는, 잉크 탱크(43)로부터 연장되는 튜브(31)가 삽통되어 있다. 그리고, 쵸크 밸브(45)는, 튜브(31)를 통한 잉크의 유동을 허용하는 밸브개방 상태와, 튜브(31)를 통한 잉크의 유동을 규제하는 밸브폐쇄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3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쵸크 밸브(45)의 외장을 구성하는 케이스(302)는, 일면측이 개구한 대략 직사각형 상자 형상을 이루는 한쌍의 케이스 유닛(303, 304)이 서로의 개구단끼리를 좌우 방향(X)으로 중첩하도록 해서 연결되는 것에 의해 중공의 상자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양 케이스 유닛(303, 304)의 개구단은, 전후 방향(Y)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동시에, 상하 방향(Z)이 짧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쌍의 케이스 유닛(303, 304) 중, 좌측의 케이스 유닛(303)에 있어서의 상하 양측의 벽부(303a, 303b)에는,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오목하게 설치된 오목부(30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305)는, 케이스 유닛(303)의 양 벽부(303a, 303b) 중,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의 길이 방향의 중앙보다 전방 가까이의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각 오목부(305)는, 평면에서 볼 때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상하 방향(Z)으로 서로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양 케이스 유닛(303, 304)이 연결되어 케이스(302)를 구성했을 경우에, 각 오목부(305)는 케이스(302)의 내외를 연통시키고 있다. 그리고, 각 오목부(305)에는, 케이스(302)의 내외를 상하 방향(Z)으로 관통하도록 튜브(31)가 삽통 가능하게 되어 있다.
케이스 유닛(303)에 있어서의 상하 양측의 벽부(303a, 303b)의 내측면에는 오목한 홈(307a, 307b)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홈(307a, 307b)은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한 홈(307a, 307b)은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으로부터 케이스 유닛(303)의 가장 내쪽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케이스 유닛(303)에 있어서의 전후 양측의 벽부(303c, 303d)의 내측면에는 오목한 홈(307c, 307d)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홈(307c, 307d)은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에 있어서의 짧은 방향의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한 홈(307c, 307d)은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으로부터 케이스 유닛(303)의 가장 내쪽측으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케이스 유닛(303)의 내측에는, 케이스 유닛(303)의 우측의 개구를 통해서 변위 부재의 일례로서의 슬라이더(310)가 수용되어 있다. 슬라이더(310)는 전후 방향(Y)으로 길게 연장되는 횡으로 길다란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기체(311)를 구비하고 있다. 기체(311)의 전후 방향(Y)의 양 단부는 사각 기둥형상을 이루는 돌기부(312a, 312b)로 되어 있다. 또한, 기체(311)의 전후 방향(Y)의 중앙 위치에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는 벽부(313)가 돌기부(312a, 312b)의 돌출 방향과 평행으로 연장되도록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벽부(313)는 돌기부(312a, 312b)의 돌출 방향이 되는 좌우 방향(X)이 길이 방향으로 되는 동시에, 기체(311)의 두께 방향이 되는 상하 방향(Z)이 짧은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벽부(313)의 길이 방향의 치수는 돌기부(312a, 312b)의 돌출 치수보다 작다. 또한, 벽부(313)의 짧은 방향의 치수는 기체(311)의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다. 그 때문에, 벽부(313)는 기체(311)의 상하 양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기체(311)의 외면 중, 양 돌기부(312a, 312b)의 사이에 돌기부(312a, 312b)의 돌출 방향에 면하는 내저면(314)에는, 대략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는 압압부(315a, 315b)가 연장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체(311)의 내저면(314) 중, 돌기부(312a)와 벽부(31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면 부위로부터 압압부(315a)가 연장되는 동시에, 돌기부(312b)와 벽부(313)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면 부위로부터 압압부(315b)가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압압부(315a, 315b)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의 선단 부위는 볼록한 형상으로 매끄럽게 만곡한 끝이 가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압압부(315a, 315b)의 연장 치수는 돌기부(312a, 312b)의 돌출 치수보다 작다.
기체(311)에 있어서 양 압압부(315a, 315b)가 연장되는 내저면(314)과는 반대측의 외저면(316)에는,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을 이루는 볼록조(317)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조(317)는, 기체(311)의 외저면(316)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기체(311)의 외저면(316)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의 전역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10)는 기체(311)의 돌기부(312a, 312b)가 케이스 유닛(303)의 오목한 홈(307c, 307d)에 대해서 요철 결합되는 동시에, 기체(311)의 벽부(313)가 케이스 유닛(303)의 오목한 홈(307a, 307b)에 대해서 요철 결합되고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310)는, 전후 방향(Y) 및 상하 방향(Z)으로 위치결정되면서 케이스 유닛(303)에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 유닛(303)에 있어서의 상하 양측의 벽부(303a, 303b)의 외측면, 및 케이스 유닛(303)에 있어서의 전후 양측의 벽부(303c, 303d)의 외측면에는, 볼록한 형상의 결합부(320)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부(320)는, 케이스 유닛(303)에 있어서의 상하 양측의 벽부(303a, 303b)의 외측면 중,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 근방이 되는 면 부위로서, 또한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의 길이 방향의 중앙이 되는 면 부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합부(320)는, 케이스 유닛(303)에 있어서의 전후 양측의 벽부(303c, 303d)의 외측면 중, 케이스 유닛(303)의 개구단 집합의 면 부위에 대해서 상하에 거리를 두고 2개소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케이스 유닛(303, 304) 중, 우측의 케이스 유닛(304)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벽부(304c)에는, 케이스 유닛(304)의 개구단으로부터 우측으로 향해서 오목부(325)가 오목하게 설치되어 있다. 오목부(325)의 내측에는 밸브 레버(47)의 회동축(331)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축(331)의 외주면이 오목부(325)의 내면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회동축(331)이 오목부(325)의 내면에 의해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회동축(331)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의 일단측이 되는 전단부에는, 일면측이 개구한 대략 직사각형 통형상을 이루는 부착부(340)가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춤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 레버(47)의 파지부(341)로부터 연장설치된 걸림고정 갈고리(342)가 부착부(340)의 개구를 통해서 부착부(340)에 대해서 내측으로부터 결합되는 것에 의해, 밸브 레버(47)의 파지부(341)가 부착부(340)에 대해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레버(47)의 파지부(341)는, 대략 직방체 형상을 이루고 있고, 밸브 레버(47)의 회동축(331)을 회동 조작할 때에 파지된다. 파지부(341)의 외측면(343)은, 그 길이 방향의 일단측(도 39에서는 상측)이 매끄럽게 만곡한 만곡면으로 되어 있고, 이 만곡면에 오목한 홈(344)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한 홈(344)은 파지부(341)의 외측면(343)에 있어서의 길이 방향의 일단측으로부터 중앙 위치로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도 4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축(331)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의 도중 위치에는 캠(345)이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동축(331)의 외주면에는 끼워맞춤 오목부(346)가 형성되어 있고, 끼워맞춤 오목부(346)에 캠(345)에 설치된 끼워맞춤 볼록부(347)가 끼워맞춰짐으로써, 캠(345)이 회동축(331)에 대해서 일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캠(345)은 회동축(331)의 축선 방향에 따르는 방향에서 본 측면에서 볼 때 있어서 대략 D자 형상을 이루는 외곽 형상을 갖고 있다. 그리고, 캠(345)의 중심 위치는 회동축(331)의 축 중심(J)의 위치로부터 벗어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캠(345)은 회동축(331)에 대해서 편심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캠(345)의 외주면 중 회동축(331)으로부터 가장 멀어진 면 부위는 평탄 형상으로 절결되어서 평탄면(348)으로 되어 있다. 또한, 캠(345)의 외주면 중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평탄면(348)으로부터 약 절반 원주 어긋난 면 부위에는, 볼록부(350)가 형성되어 있다.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볼록부(350)는, 도 40에 있어서의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한 시계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면 부위가 오목한 형상으로 만곡한 제 1 면의 일례로서의 만곡면(351)으로 되어 있고, 도 40에 있어서의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한 반시계 회전 방향에 위치하는 면 부위가 볼록한 형상으로 만곡한 제 2 면의 일례로서의 만곡면(352)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볼록부(350)에 있어서 양 만곡면(351, 352)이 서로 교차하는 부위는 캠(345)의 외주면의 법선 방향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날카로워진 코너부(353)로 되어 있다. 또한, 캠(345)의 외주면에 있어서의 볼록부(350)와 평탄면(348)과의 사이의 면 부위는, 볼록부(350)측으로부터 평탄면(348)측에 향하여 회동축(331)의 축 중심(J)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커지는 만곡면(355)으로 되어 있다.
도 37 및 도 3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 유닛(304)에 있어서의 상하 양측의 벽부(304a, 304b)의 외측면, 및 케이스 유닛(304)에 있어서의 전후 양측의 벽부(304c, 304d)의 외측면에는, 피결합부(360)가 연장설치되어 있다. 피결합부(360)는, 양 케이스 유닛(303, 304)의 중합 방향이 되는 좌우 방향(X)에 있어서 케이스 유닛(303)의 각 결합부(3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 유닛(304)의 개구단보다 좌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양 케이스 유닛(303, 304)의 개구단끼리가 중합된 경우에는, 케이스 유닛(303)의 결합부(320)가 케이스 유닛(304)의 피결합부(360)에 대해서 결합되는 것에 의해, 양 케이스 유닛(303, 304)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양 케이스 유닛(303, 304)이 연결되었을 경우에는, 슬라이더(310) 및 밸브 레버(47)의 회동축(331)이 양 케이스 유닛(303, 304)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와 밸브 레버(47)의 회동축(331)의 외주면이 좌우 방향(X)에 대해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유닛(304)에 있어서의 상측의 벽부(304a)의 외측면에는, 직사각형 판형상을 이루는 브래킷(361)이 수직에 연장설치되어 있다. 브래킷(361)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36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61)의 관통 구멍(362)에 고정 나사(363)(도 35 참조)를 삽통한 상태에서, 탱크 케이스(42)의 내면에 형성된 나사 구멍(364)(도 34 참조)에 대해서 고정 나사(363)가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쵸크 밸브(45)가 탱크 케이스(42)의 내측면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다. 또한, 쵸크 밸브(45)에 있어서의 케이스(302)의 좌우 방향(X)의 치수는 탱크 케이스(42)의 좌우 방향(X)의 치수보다 작다. 그 때문에, 쵸크 밸브(45)는, 탱크 케이스(42)의 두께 방향의 치수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탱크 케이스(42)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하,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에 고착할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4 및 도 3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탱크 케이스(42)의 케이스 개구부(42b)로부터 잉크 탱크(43)를 삽입하고,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와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를 요철 끼워맞춤해서 위치맞춤한다. 이 때, 필름(49)의 좌측의 부분이 탱크 케이스(42) 내에 절곡 끼워넣어진다. 또한, 탱크 걸림고정부(62)와 나사결합부(66)에 장착 나사(61)를 나사결합해서 잉크 탱크(43)를 탱크 케이스(42)에 고착한다. 즉, 탱크 케이스(42)는 잉크 탱크(43)를 외측으로부터 가리는 것에 의해서 상기 잉크 탱크(43)를 보호한다. 또한, 튜브(31)가 삽통된 쵸크 밸브(45)가 탱크 케이스(42)에 장착되는 동시에, 튜브(31)의 선단이 도출구(59)에 삽입된다.
계속해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를 고착한 탱크 케이스(42)를 장착면(13a)에 위치맞춤한다. 즉, 탱크 케이스(42)가 제 1 리브(34)를 둘러싸는 동시에, 보스부(38)와 결합부(69)를 결합시키고, 또한 보강 리브부(34f)와 결합 오목부(72)를 결합시킨다.
또한,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가 장착된 탱크 케이스(42)를 장착면(13a)에 위치맞춤하면, 흡수재(39)는 주입구(52)와 장치 본체(13)와의 사이의 위치에 위치한다. 또한, 흡수재(39)는 상부 리브부(34a)보다 좌우 방향(X)으로 큰 두께를 갖고 있다. 그 때문에,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개재장착된 흡수재(39)는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에 협압되어 압축 변형한다.
또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가 장착면(13a)에 위치맞춤된 상태에서는,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와 나사 보스부(37)가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에 나사(36)를 나사결합시키면, 각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와 나사 보스부(37)가 나사고정되어 탱크 케이스(42)와 장치 본체(13)가 고착한다.
이와 같이 탱크 케이스(42)와 장치 본체(13)가 고착된 상태에 있어서, 수용체 개구부(48a)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 49b, 49c)(도 32 참조)는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설치된 간극에 수납된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d)(도 33 참조)는,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설치된 간극에 절곡 끼워넣어진 상태로 수납된다(도 23 참조). 따라서, 필름(49)은, 탱크 케이스(42)가 장치 본체(13)에 고착된 상태에 있어서, 탱크 케이스(42)의 외측으로는 돌출되지 않는다.
다음에, 잉크가 주입되는 잉크실(50) 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주입되면, 잉크는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에 의해서 차단되도록 해서 후방으로 유도된다. 또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에는, 제 1 연장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잉크는, 제 1 연장부(104)에 의해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를 전방측으로 타고 넘는 방향으로의 흐름이 억제되어, 보다 후방으로 향해 흐르기 쉽다.
또한, 잉크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 단차 저면(50b)과의 사이의 간극을 통해서 후방으로 흐른다. 그 때문에, 잉크의 주입에 수반해서 잉크실(50) 내에 있어서의 액면(51)(도 25 참조)이 상승해서 종 리브부(111 내지 118)가 형성된 위치에 도달하면, 우선 후방에의 잉크의 흐름이 제 1 종 리브부(111)에 의해서 저해되게 된다. 따라서, 후방으로 향하는 잉크의 흐름이 변화한다.
즉, 잉크가 흐르는 유동 방향(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차 저면(50b)에 따르는 후방)에 있어서 종 리브부(111 내지 118)보다 하류측이 되는 후방측 위치에서는, 잉크에 소용돌이가 발생한다. 그 때문에, 잉크에는, 단차 저면(50b)과 교차하는 방향(상방)을 향하는 흐름이 생긴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를 몇번으로 나눠서 주입했을 경우에는, 먼저 주입된 잉크가 나중에 주입된 잉크의 흐름에 수반해 생긴 소용돌이에 의해서 교반되는 동시에, 나중에 주입된 잉크와도 혼합한다.
그런데, 잉크 탱크(43)가 잉크를 대량으로 수용하는 것이 가능한 만큼, 먼저 잉크가 주입되고 나서 다음에 잉크의 주입이 필요하게 될 때까지의 시간이 길어진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의 일례인 안료 잉크를 잉크실(50)에서 수용하는 경우에는, 잉크의 안료 성분이 침강해 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주입구(52)로부터 새로운 잉크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서 잉크실(50) 내에 잔존하고 있던 잉크가 교반되기 때문에, 잉크실(50) 내의 농도의 편향은 저감된다.
다음에, 복합기(11)(기록 장치(12))를 잉크 탱크(43)에 잉크가 수용된 사용 가능한 상태로 운반할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잉크 탱크(43)에 잉크가 수용된 복합기(11)(기록 장치(12))를 운반할 때, 우선 쵸크 밸브(45)가 밸브폐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복합기(11)(기록 장치(12))를 포장한 골판지 상자 등이 상하 역상으로 놓여지거나 하면,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는 공기실(200)보다 잉크실(50)이 상방에 위치하는 도치된 자세 상태가 된다.
그러면, 잉크 탱크(43)의 잉크실(50)측으로부터 연통구(210)를 거쳐서 공기실(200)(구체적으로는 제 1 공기 소실(200a))측으로 향하여, 수두압에 의해 잉크가 유입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통상의 경우는, 곧 수두압과 잉크실(50)의 부압이 균형이 잡히기 때문에, 연통구(210)를 통과한 잉크실(50)측으로부터 공기실(200)측으로 잉크의 유입은 멈춘다.
즉, 도 4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실(200)측에서는, 연통구(210)를 거쳐서 직접적으로 잉크실(50)과 연통하고 있는 제 1 공기 소실(200a)이 유입한 잉크로 채워지고, 또한 도 4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긴 홈부(213a)에 대응한 사행 형상의 연통로(221)에 있어서는, 그 때에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유로 부분(221a)까지가 유입한 잉크로 채워진다. 그리고, 그 연통로(221) 내에서는 가장 하방에 위치하는 유로 부분(221a)에 있어서 기액 교환이 불가능으로 되기 때문에, 잉크실(50)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고, 그 결과 그 부압과 수두압이 균형이 잡히고, 공기실(200)측으로의 잉크의 유입이 멈추게 된다.
또한, 도 44 및 도 4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치된 상태에 있는 잉크 탱크(43)에 또한 전후 방향(Y)으로의 가속도가 걸리는 진동이 더해졌을 경우에는, 도 43에 도시하는 연통로(221) 내의 잉크는, 도 45 및 도 4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연통로(221) 내를 가속도가 걸리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단, 이 경우에서도, 연통로(221) 내의 잉크는, 그 연통로(221) 내의 일단측(제 1 개구(211)측)과 타단측(제 2 개구(212)측)과의 사이를, 가속도의 방향에 따라서 왕래하는 것만으로, 제 2 개구(212)로부터 대기 개방구(60)측이 되는 제 2 공기 소실(200b) 내에 유출하는 일은 없다. 이 연통로(221)의 칸막이벽(48b)에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의 부분인 제 1 긴 홈부(213a)의 길이는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와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되어 있지만, 제 1 긴 홈부(213a)를 더욱 길게 하는 것에 의해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진동에 기인하는 제 2 개구(212)에의 잉크의 도달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잉크 탱크(43)의 자세 상태가, 도 42 등에 도시하는 공기실(200)보다 잉크실(50)이 상측이 되는 도치된 자세 상태로부터, 도 32 등에 도시하는 공기실(200)이 잉크실(50)보다 상측이 되는 사용시의 자세 상태로 되돌려지면, 연통로(221) 내에 유입하고 있던 잉크는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로부터 각 공기 소실(200a, 200b)로 돌아온다. 그 때문에, 유로 단면적이 작은 연통로(221) 내에 잉크가 남아 건조 고화하는 것이 회피된다.
다음에, 쵸크 밸브(45)를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할 때의 작용을 설명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쵸크 밸브(45)가 밸브폐쇄 상태에 있을 때는, 밸브 레버(47)의 파지부(341)에 형성된 오목한 홈(344)이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한 주회 경로상에 있어서의 최하단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도 4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의 선단 부위가 캠(345)의 외주면의 평탄면(348)에 당접하는 밸브폐쇄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슬라이더(310)는 캠(345)의 평탄면(348)에 의해서 케이스 유닛(303)의 가장 내쪽측에 압압된다.
그 때문에, 케이스 유닛(303)의 가장 내쪽측을 상하로 삽통되는 튜브(31)는 슬라이더(310)의 압압부(315a, 315b)의 선단 부위에 의해서 튜브(31)의 외면이 압압되어 눌러 붕괴된다. 그 결과, 튜브(31)는, 슬라이더(310)의 압압부(315a, 315b)에 의해서 눌러 붕괴된 부위를 통해서 잉크 탱크(43)측으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32)측으로 향하여 잉크를 유동시키는 것이 규제된다.
그리고 다음에, 도 5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레버(47)가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도 50에 도시하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 조작된다. 그러면,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평탄면(348)으로부터 만곡면(355)에 올라타서 중간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우, 슬라이더(310)로부터 캠(345)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회동 저항은,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평탄면(348)으로부터 만곡면(355)에 올라타는 경우와,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만곡면(355)을 접동하는 경우로 상이하다. 그 때문에, 밸브 레버(47)를 밸브개방 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때의 저항감이 변화하는 것에 기초하여, 쵸크 밸브(45)가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상태로 변환되기 시작한 것이 용이하게 인식된다.
계속해서, 도 5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밸브 레버(47)가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도 51에 도시하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더욱 회동 조작된다. 이 경우, 캠(345)의 만곡면(355)은 평탄면(348)측으로부터 볼록부(350)측에 향하여 회동축(331)의 축 중심(J)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작아진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310)는, 캠(345)의 회동에 수반해서, 튜브(31)를 눌러 붕괴하는 방향을 향해서 캠(345)의 만곡면(355)으로부터 작용하는 압압력이 점차 저감된다. 이 경우, 슬라이더(310)는 튜브(31)의 외면에 당접하고 있는 압압부(315a)의 선단 부위가 튜브(31)의 탄성 복귀력에 따라서 되밀려진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는 캠(345)의 회동시에 있어서 캠(345)의 만곡면(355)에 미끄럼 접촉한 상태가 유지된다.
그리고 다음에, 밸브 레버(47)가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도 51에 도시하는 시계 회전 방향으로 더욱 회동 조작되면,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넘어간다.
그러면, 도 40 및 도 4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의 선단 부위가, 캠(345)의 외주면 중, 회동축(331)에 대해서 가장 근접한 면 부위(356)(도 41 참조)에 당접하는 밸브개방 위치에 배치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캠(345)은, 슬라이더(310)가 중간 위치로부터 밸브개방 위치로 변위할 경우에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미끄럼 접촉하는 면 부위에 볼록부(35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310)는 튜브(31)를 눌러 붕괴하는 방향을 향해서 캠(345)의 외주면으로부터 작용하는 압압력이 더욱 저감된다. 그 결과, 튜브(31)는 슬라이더(310)의 압압부(315a)에 의해서 눌러 붕괴되는 것이 거의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쵸크 밸브(45)는 잉크 탱크(43)측으로부터 액체 분사 헤드(32)측으로 향한 잉크의 유동이 허용되는 밸브개방 상태가 된다.
여기서,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넘을 때에 슬라이더(310)로부터 캠(345)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회동 저항은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만곡면(355)을 접동하는 경우보다 커진다. 그 때문에, 밸브 레버(47)를 밸브개방 방향으로 회동 조작할 때의 저항감이 변화하는 것에 기초하여,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된 것이 용이하게 인식된다.
또한,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넘으면, 볼록조(317)가 캠(345)의 외주면에 충돌하고 소리를 낸다. 그 때문에, 밸브 레버(47)가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된 것이 용이하게 인식된다.
또한,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되면, 캠(345)의 볼록부(350)가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에 의해서 걸림고정되기 때문에,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에 가고정된다. 따라서, 밸브 레버(47)에 대해서 회동 조작을 위한 외력의 부여가 해제되었다고 해도,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에서 신뢰성 좋게 유지된다.
그리고, 도 3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에 있을 때는, 밸브 레버(47)의 파지부(341)에 형성된 오목한 홈(344)이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한 주회 경로상에 있어서의 최상단 위치에 배치된다.
그런데, 쵸크 밸브(45)를 밸브개방 상태로부터 밸브폐쇄 상태로 전환할 때도 마찬가지로 해서,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넘어간다. 다만, 쵸크 밸브(45)가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에, 볼록부(350)에 있어서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미끄럼 접촉하는 만곡면(351)은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로부터 밸브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에, 볼록부(350)에 대해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미끄럼 접촉하는 만곡면(352)은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하고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넘어갈 때에 슬라이더(310)로부터 캠(345)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회동 저항은, 쵸크 밸브(45)를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의 쪽이, 쵸크 밸브(45)를 밸브개방 상태로부터 밸브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보다 커진다. 그 때문에, 쵸크 밸브(45)를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할 때에, 캠(345)에 작용시키는 회동 토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진다. 그 때문에, 캠(345)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저항감의 변화량이 커지기 때문에,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된 것이 더욱 용이하게 인식된다.
다음에, 복합기(11)가 비스듬하게 설치되었을 경우의 잉크 탱크(43)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고 있다.
복합기(11)에 있어서, 그 장착면이 기울어 있거나, 탱크 유닛(27)(도 1 참조)이 경사한 상태에서 장치 본체(13)에 장착되거나 했을 경우에는, 잉크 탱크(43)가 경사한 상태로 되는 일이 있다.
그리고, 잉크실(50)의 단차 저면(50b)측이 기저면(50a)측보다 높게 되도록 잉크 탱크(43)가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50b)측으로부터 기저면(50a)측으로 잉크가 유동한다. 이 경우에는,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는 집액용 오목부(50d)에 집액된 후, 도출구(59)를 통해서 유출한다.
한편, 도 5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의 기저면(50a)측이 단차 저면(50b)측보다 높게 되도록 잉크실(50)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50b)측으로의 잉크의 유동이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억제된다. 그리고, 도출구(59)는 바닥부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기저면(50a)측(도 52에서는 우단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는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한다.
이 때, 잉크 탱크(43)에 단차 저면(50b) 및 단차 측면(50c)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도 5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낮아진 바닥부측에 모인 잉크가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남아 버린다. 이것에 대해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는 집액용 오목부(50d)에 집액된 후,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한다.
그 결과, 단차 저면(50b)측에 모인 잉크가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잔류하지만, 이 잔량은 단차 저면(50b) 및 단차 측면(50c)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보다 적다. 즉,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도출구(59)가 설치된 길이 방향의 제 1 단측이 높게 되도록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잉크실(50)의 바닥부에 남는 잉크의 양이 적게 된다.
또한, 기록 장치(12)에 있어서는, 수용체 케이스(48)(도 1 참조)에 설치된 시인면(43a)(도 1 참조)을 통해서 잉크실(50) 내의 액면(51)이 저하한 것이 시인되면, 주입구(52)를 통해서 잉크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잉크가 보충된다.
그러나, 잉크가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잉크실(50)의 바닥부에 잔류해 버리면, 수용체 케이스(48)에 설치된 시인면(43a)으로부터 액면(51)이 시인되지만, 그 잉크는 액체 분사 헤드(32)(도 1 참조)에 공급되지 않는다고 하는 일이 생길 수 있다.
그러면, 잉크가 도출구(59)를 통해서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 잉크가 분사되고, 인쇄 불량을 일으키는 우려가 있다. 또한, 액체 분사 헤드(32)로부터의 잉크의 분사량을 적산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50)의 잉크 잔량을 관리하는 경우에서도, 잉크가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잉크실(50)의 바닥부에 잔류해 버리면, 마찬가지의 인쇄 불량이 생기는 우려가 있다. 그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실(50)의 바닥부에 남는 잉크의 양이 적게 되므로, 이러한 우려가 저감된다.
또한, 기록 장치(12)에 있어서는, 수두차를 이용해서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하고 있으므로, 잉크 탱크(43)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폭을 크게 하는 한편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높이를 억제한 횡으로 길다란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할 때에, 잉크실(50)의 바닥부에서 튀어오른 잉크 등이 주입구(52)로부터 흘러 넘쳐 버리는 우려가 있다. 그 점,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차 저면(50b)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기저면(50a)의 상방에 주입구(5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흘러 넘치기 어렵다.
다음에,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도출구(59)로부터 도출하는 경우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는, 주입시에 교반되어 농도의 편향은 저감되어 있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안료 성분이 침강하고, 잉크의 농도에 편향이 생기는 일이 있다. 즉, 하방에 위치하는 잉크는 농도가 진해져(이하, 「진한 잉크」라고 한다), 상방에 위치하는 잉크는 농도가 옅어진다(이하, 「옅은 잉크」라고 한다).
그 때문에, 잉크의 액면(51)이 제 1 교차 리브부(101)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옅은 잉크가 제 1 교차 리브부(101)와 상면(50e)과의 사이의 연통부(106)를 통과해서 도출구(59)측으로 흐른다. 한편, 진한 잉크는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하단에 위치하는 연통부(105)를 통과해서 도출구(59)측으로 흐른다. 따라서, 잉크는 진한 잉크와 옅은 잉크가 섞인 상태로 도출구(59)로부터 도출된다.
그리고, 잉크가 도출되어 액면(51)이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변위하면, 옅은 잉크가 제 2 교차 리브부(102)와 상면(50e)과의 사이를 통해서 도출구(59)측으로 흐른다. 한편, 진한 잉크는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하단에 위치하는 연통부(105)를 통해서 도출구(59)측으로 흐른다. 또한, 잉크는 진한 잉크와 옅은 잉크가 섞인 상태로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연통부(105)를 통과해 도출구(59)로부터 도출된다.
또한, 잉크가 도출되어 액면(51)이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상단보다 낮은 위치까지 변위하면, 옅은 잉크가 제 3 교차 리브부(103)와 상면(50e)과의 사이의 연통부(106)를 통과해서 도출구(59)측으로 흐른다. 한편, 진한 잉크는 제 3 교차 리브부(103)의 하단에 위치하는 연통부(105)를 통과해서 도출구(59)측으로 흐른다. 즉, 잉크는, 진한 잉크와 옅은 잉크가 섞인 상태로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연통부(105) 및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연통부(105)를 통과해서 도출구(59)로부터 도출된다.
상기 실시예 1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1)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에 부착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보지구에 의해 보지되어 이동되는 필름(49)을 보지할 때의 보지구에 대한 위치결정을, 예를 들면 핀 등의 위치결정 부재를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49H)을 이용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필름(49)은, 위치 차이를 일으키지 않은 예정대로의 상태로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를 막는 위치까지 옮겨진 후, 수용체 케이스(48)에 대해서 예를 들면 용착 등에 의해 부착된다. 따라서,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를 밀봉하도록 수용체 케이스(48)에 부착되는 필름(49)의 수용체 개구부(48a)에 대한 위치 차이가 억제된다.
(1-2) 필름(49)이 상대적으로 위치 차이를 일으키기 쉬운 길이 방향을 갖는 형상인 경우에도, 그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진 적어도 2개 위치의 관통 구멍(49H)을 이용해서 필름(49)을 위치결정할 수 있으므로, 수용체 케이스(48)에 부착되는 필름(49)의 수용체 개구부(48a)에 대한 위치 차이를 억제할 수 있다.
(1-3) 잉크 탱크(43)에 대해 수용체 케이스(48)의 수용체 개구부(48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를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의 간극에 노출하지 않게 절곡 끼워넣는 등으로 해서 수납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외관상 바람직한 탱크 유닛(27)을 얻을 수 있다.
(1-4) 수용체 케이스(48)에 부착되는 필름(49)의 수용체 개구부(48a)에 대한 위치 차이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밀폐성이 양호한 잉크실(50)을 구비하는 탱크 유닛(27)을 구비하는 기록 장치(12)(액체 소비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1-5) 탱크 유닛(27)의 잉크실(50)로부터 튜브(31)를 거쳐서 액체 분사 헤드(32)에 잉크를 공급하므로, 예를 들면 대량의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에 계속 공급 가능한 기록 장치(12)(액체 소비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1-6) 필름(49)은 수용체 케이스(48)에의 부착시에 있어서 수용체 개구부(48a)에 대한 위치 차이가 억제되므로, 예를 들면 수용체 케이스(48)와의 사이의 용착 면적의 감소에 의한 밀착력의 저하가 억제되어, 잉크 탱크(43)의 양호한 밀폐성을 얻을 수 있다.
(1-7) 잉크실(50) 내의 단차 저면(50b)으로부터 이간해서 종 리브부(111 내지 11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잉크실(50)에 주입된 잉크는, 단차 저면(50b)에 따르도록 상기 단차 저면(50b)과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의 사이를 유동한다. 또한, 잉크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8)나 잉크실(50)의 단차 저면(50b)과 교차하는 후방 측면(50g) 등에 의해서 흐름이 저해되면, 잉크에는 단차 저면(50b)과 교차하는 방향의 흐름이 생긴다. 따라서,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에 농도의 편향이 생기고 있었을 경우이라도, 새롭게 잉크실(50)에 주입된 잉크의 흐름에 의해서 잉크실(50)에 수용되어 있던 잉크가 교반된다. 즉, 주입구(52)로부터 전후 방향(Y)으로 멀어진 위치에서도 상방으로의 흐름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 내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50) 내에 수용된 잉크의 농도의 편향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다.
(1-8)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된 잉크는 도출구(59)로부터 도출된다. 그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보아서 도출구(59)와는 반대측의 위치에서는, 주입구(52)와 도출구(59)와의 사이의 위치에 비해서, 도출구(59)로부터의 잉크의 도출에 수반한 잉크의 흐름이 일어나기 어렵다. 그 점, 주입구(52)로부터 보아서 도출구(59)와는 반대측에 종 리브부(111 내지 11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출에 수반하는 잉크의 흐름이 일어나기 어려운 위치에 존재하는 잉크를 주입구(52)로부터의 잉크의 주입에 수반해 교반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 내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 잉크실(50) 내에 수용된 잉크의 농도의 편향을 효율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1-9) 종 리브부(111 내지 118)를 잉크실(50) 내의 우측면(50f)으로부터 돌출 형성하는 것으로써, 종 리브부(111 내지 118)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 리브부(111 내지 118)를 적어도 2개 형성하는 것으로써 교반 가능한 영역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잉크실(50)의 사이즈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1-10) 단차 저면(50b)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8)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인 전후 방향(Y)에 따른 잉크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다. 즉, 잉크에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을 일으키게 하는 것으로, 잉크를 교반할 수 있다.
(1-11)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가 주입구(52)와 도출구(59)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도출구(59)로 향하는 잉크의 흐름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주입구(52)로부터 잉크를 힘차게 주입했을 경우에서도, 도출구(59) 부근의 잉크에 걸리는 압력을 저감할 수 있다.
(1-12)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가 도출구(59)를 통해서 도출되면, 잉크에는,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에 위치하는 연통부(105, 106)를 통과하는 흐름이 생긴다. 그 때문에,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에 농도의 편향이 생기고 있는 경우이라도, 상이한 농도의 잉크를 각각의 연통부(105, 106)를 통과시켜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적어도 2개의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연통부(105, 106)의 위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의 잉크를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가 도출되어 액면(51)이 저하했을 경우이라도, 액면(51) 부근의 농도가 옅은 액체와 기저면(50a) 부근의 농도가 진한 액체를 혼합시켜 도출할 수 있다.
(1-13)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기저면(5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크게 하는 것에 의해서, 주입구(52)로부터 도출구(59)로 향하는 잉크의 흐름을 보다 저해할 수 있다. 한편, 주입구(52)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기저면(5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가 작기 때문에, 돌출 높이가 큰 제 1 교차 리브부(101)에 차단된 잉크가 도출구(59)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으로 향하는 흐름이 허용된다. 따라서, 주입구(52)로부터 보아서 도출구(59)로부터 멀어진 측에 있어서 잉크를 보다 교반시킬 수 있다.
(1-14)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제 1 연장부(104)를 구비하기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된 잉크가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를 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도출구(59) 부근의 잉크에 걸리는 압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1-15) 잉크실(50) 내에 수용된 잉크의 농도의 편향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기록 장치(12)를 사용할 수 있다.
(1-16) 잉크 탱크(43)는, 사용시의 자세 상태에서는, 공기실(200)이 잉크실(50)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잉크실(50)측으로부터 연통구(210)를 거쳐서 공기실(200)측에 잉크가 들어가기 어렵기 때문에, 잉크가 대기 개방구(60)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17) 또한, 잉크 탱크(43)는, 사용시의 자세 상태로부터 도치되었다고 해도, 잉크실(50) 내의 잉크는 연통구(210)를 거쳐서 일단은 공기실(200)의 내부 공간에 받아들여지므로, 잉크실(50)로부터 외부에 직접 잉크가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치되었을 경우에도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잉크가 대기 개방구(60)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18) 잉크실(50)로부터 잉크가 연통구(210)를 거쳐서 연통하는 1개의 공기 소실(200a)에 유입했다고 해도, 그 공기 소실(200a)과 연통하는 다음의 공기 소실(200b)에는 작은 유로 단면적의 연통로(221)를 통과할 필요가 있으므로, 대기 개방구(60)가 형성된 공기 소실(200j)측으로의 잉크의 유동이 억제된다. 따라서, 또한,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잉크가 대기 개방구(60)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보다 한층 것을 억제할 수 있다.
(1-19) 잉크실(50)측으로부터 제 1 공기 소실(200a)에 유입한 잉크가 또한 제 1 공기 소실(200a)로부터 제 2 공기 소실(200b)측으로 유동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제 1 공기 소실(200a)과 제 2 공기 소실(200b)과의 거리보다 긴 거리의 연통로(221) 내를 제 1 개구(211)로부터 제 2 개구(212)까지 유동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긴 거리가, 제 1 공기 소실(200a)로부터 제 2 공기 소실(200b)측으로의 잉크의 유동에 대한 유로 저항을 크게 하므로, 내부에 수용하고 있는 잉크가 대기 개방구(60)를 통해서 외부에 누출하는 것을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1-20) 잉크 탱크(43)가 도치된 것에 의해 잉크실(50)측으로부터 공기실(200)측에 유입하고, 또한 제 1 공기 소실(200a)과 제 2 공기 소실(200b)을 연통하는 연통로(221) 내까지 잉크가 유입했을 경우에서도, 사용시의 자세 상태로 되돌리면, 연통로(221) 내의 잉크는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를 거쳐서 연통로(221) 내로부터 유출한다. 그 때문에, 연통로(221) 내에 잉크가 남아 건조하는 것에 의해 고화물이 연통로(221) 내에 생기는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1-21) 기액 계면이 제 1 개구(211) 부근으로 오는 상태에서 잉크 탱크(43)가 도치했을 경우이라도, 그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를 접속하는 연통로(221)는,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보다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이간하는 것에 의해 기액 계면으로부터 멀어지는 유로 부분(221a)을 구비하고 있다. 그 때문에, 도치되었을 경우에 가장 하측의 부위가 되는 유로 부분(221a)의 곳에서, 공기와 잉크와의 기액 교환을 불가능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연통로(221)보다 잉크실(50)측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잉크실(50)측으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을 멈출 수 있다.
(1-22) 사행 형상으로 형성된 긴 홈부(213a 내지 213c)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필름(214)을 접착해서 연통로(221, 223, 225)를 형성하므로, 잉크 탱크(43)가 도치되었을 경우에 잉크실(50)측으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효과를 매우 적합하게 발휘할 수 있는 연통로(221, 223, 225)를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1-23) 슬라이더(310)를 밸브개방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 슬라이더(310)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넘어 갈 필요가 있기 때문에, 캠(345)에 작용시키는 회동 토크가 증대한다. 그 때문에, 캠(345)이 수동 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것에 따라 슬라이더(310)가 밸브개방 위치로 변위할 때에, 캠(345)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저항감이 변화한다. 따라서, 잉크의 유통 상태를 변환시키기 때문에 변위되는 슬라이더(310)가 수동 조작에 따라서 밸브개방 위치로 변위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24) 캠(345)을 수동 조작에 따라서 회동시키는 것에 따라서, 슬라이더(310)를 밸브개방 위치로부터 밸브폐쇄 위치로 향해서 변위시킬 때와, 슬라이더(310)를 밸브폐쇄 위치로부터 밸브개방 위치로 향해서 변위시킬 때에, 슬라이더(310)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넘어 가기 때문에 캠(345)에 작용시키는 회동 토크의 크기에 차이가 생긴다. 그 때문에, 캠(345)이 슬라이더(310)를 밸브개방 위치 및 밸브폐쇄 위치의 어느 방향을 향해서 변위시키기 위해서 회동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25) 캠(345)을 수동 조작에 따라서 회동시키는 것에 따라서, 슬라이더(310)를 밸브개방 위치로 변위시킬 때 슬라이더(310)에 대해서 볼록부(350)의 만곡면(351)을 넘게 하기 위해서 캠(345)에 작용시키는 회동 토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310)가 밸브개방 위치로 변위할 경우에, 캠(345)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저항감의 변화량이 커지기 때문에, 슬라이더(310)가 밸브개방 위치로 변위한 것을 더욱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26) 슬라이더(310)를 밸브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변위시킬 때는, 캠(345)은 슬라이더(310)에 대해서 평탄면(348)에서 당접하는 상태로부터 만곡면(355)에서 당접하는 상태에 변환된다. 그 때문에, 슬라이더(310)를 밸브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변위시킬 때, 캠(345)에 작용시키는 회동 토크가 변화한다. 따라서, 캠(345)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저항감이 변화하는 것으로써, 슬라이더(310)가 밸브폐쇄 위치로부터 중간 위치로 변위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1-27) 쵸크 밸브(45)는 탱크 케이스(42)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탱크 케이스(42)의 외부로부터 쵸크 밸브(45)에 충격이 더해졌다고 해도, 이 충격이 쵸크 밸브(45)로부터 잉크 탱크(43)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쵸크 밸브(45)가 탱크 케이스(42)의 내측면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밸브 개폐 조작에 의한 진동 등이 직접 잉크 탱크(43)에 전해지는 것이 방지되어, 잉크 탱크(43)의 진동에 의해 잉크의 액면이 진동해서 기포가 발생하는 등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쵸크 밸브(45)를 탱크 케이스(42)의 내저면에 장착하는 상이하게, 쵸크 밸브(45)를 탱크 케이스(42)의 내저면에 나사고정하기 위한 브래킷(361)을 쵸크 밸브(45)로부터 탱크 케이스(42)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탱크 케이스(42)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쵸크 밸브(45)를 잉크 탱크(43)와는 독립해서 탱크 케이스(42)에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 케이스(42)에 대한 쵸크 밸브(45)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1-28)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단차 저면(50b)측이 기저면(50a)측보다 높게 되도록 잉크실(50)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50b)측으로부터 기저면(50a)측으로 잉크를 유동시켜 도출구(59)로부터 잉크를 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기저면(50a)측이 단차 저면(50b)측보다 높게 되도록 잉크실(50)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50b)측으로의 잉크의 유동이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억제된다. 그리고, 도출구(59)는 바닥부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기저면(50a)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를 도출구(59)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즉, 잉크 탱크(43)가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잉크실(50) 내의 잉크의 모두가 유출하지 않고 바닥부에 남아 버리는 것이 회피된다. 따라서,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잉크실(50)의 바닥부에 남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1-29) 쵸크 밸브(45)는, 잉크 탱크(43)에 있어서의 저면(43c) 및 상기 저면(43c)과 대향하는 상부면(43d) 이외의 측면을 구성하는 전면(43b)과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배설되고 있다. 그 때문에, 잉크 탱크(43)의 저면(43c) 또는 상부면(43d)과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쵸크 밸브(45)를 배설하는 경우와 비교해서 탱크 유닛(27)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1-30) 쵸크 밸브(45)는, 잉크 탱크(43)에 있어서의 저면(43c) 및 상기 저면(43c)과 대향하는 상부면(43d) 이외의 측면 중, 가장 폭의 좁은 전면(43b)과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잉크 탱크(43)의 측면 중 가장 폭이 좁은 전면(43b)의 폭의 범위 내에 쵸크 밸브(45)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 유닛(27)의 폭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 있다.
(1-31) 잉크 탱크(43)에 있어서는, 기저면(50a)은 단차 저면(50b)보다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가 짧기 때문에, 기저면(50a)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기저면(50a)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단부측이 되는 위치에 설치된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남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1-32) 잉크 탱크(43)에 있어서는, 길이 방향의 제 1 단측이 높게 되도록 잉크실(50)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단차 측면(50c)이 제 1 단측 가까이에 배치되는 만큼, 단차 측면(50c)의 상단 위치가 높아지므로, 제 1 단측에 설치된 도출구(59) 부근에 높은 액면 위치를 보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의 경사 각도가 커졌을 경우에도,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를 도출구(59)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1-33) 잉크 탱크(43)에 있어서는,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를 집액용 오목부(50d) 내에 집액해서, 도출구(59)를 통해서 잉크를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의 바닥부에 있어서 단차 측면(50c)보다 기저면(50a)측에 남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1-34)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주입구(52)는 단차 저면(50b)보다 낮은 위치에 있는 기저면(50a)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잉크를 주입할 때에 잉크가 흘러 넘치기 어렵다.
(1-35) 잉크 탱크(43)에 있어서는, 기저면(50a)은 도출구(59)측이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있으므로,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를 경사에 따라서 도출구(59)측으로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잉크실(50)의 바닥부에 남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는 스캐너 유닛(14)을 구비하지 않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그리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5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체 소비 장치의 일례로서의 기록 장치(85)는 전면측에 조작 버튼(86)을 구비하고 있다. 기록 장치(85)에 있어서 조작 버튼(86)의 하부에 해당하는 위치는, 케이스의 일례로서의 장치 본체(87) 내로부터 용지(P)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88)가 개구하고 있다. 또한, 기록 장치(12)에 있어서의 배출구(88)의 하부에는, 인출 가능한 배지대(89)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기록 장치(85)의 배면측에는, 복수의 용지(P)를 적재 가능한 회동식의 매체 지지체(90)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53 및 도 5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87)에 있어서 탱크 유닛(27)이 장착되는 장착면(87a)의 전방측 위치에는, 상면에서 보았을 때 쐐기 형상의 장출부(87b)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장출부(87b)는, 장치 본체(87)와 탱크 유닛(27)과의 간극을 메우도록 상방으로부터 전방에 걸쳐서 만곡해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장출부(87b)의 전면과 탱크 유닛(27)의 전면이 면일로 된다.
또한, 도 55 및 도 5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유닛(27)은, 장치 본체(87)와의 하측 부분의 간극을 메우는 단면 L자 형상의 스페이서(91)를 거쳐서 장치 본체(87)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91)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장출부(87b)로부터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와 대응하는 결합 오목부(72)에 걸쳐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스페이서(91)는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가 형성된 결합 오목부(72)와 결합한다.
다음에, 탱크 유닛(27)을 기록 장치(85)에 장착할 때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5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잉크 탱크(43)를 고착한 탱크 케이스(42)를, 스페이서(91)를 개재시킨 상태로 장착면(87a)에 위치맞춤한다. 또한, 이때 스페이서(91)는, 도시하지 않는 결합부가 보스부(38)와 결합하는 동시에,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가 형성된 결합 오목부(72)와 결합해서 위치맞춤된다.
그리고, 탱크 케이스(42)가 장착면(87a)에 위치맞춤된 상태에서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에 나사(36)를 나사고정하여 탱크 케이스(42)와 장치 본체(87)를 고착한다.
계속해서, 탱크 케이스(42)가 장치 본체(87)에 고착된 상태에 있어서, 커버(44)를 탱크 케이스(42)의 후방으로부터 레일부(76a, 76b)와 미끄럼 접촉부(80)가 결합하도록 장착한다.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58) 탱크 유닛(27)을 상이한 기록 장치(12, 85)에 장착할 수 있다. 즉, 복수 종류의 기록 장치(12, 85)에 있어서 탱크 유닛(27)을 공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커버(44)의 사이즈를 잉크 탱크(43)의 사이즈보다 작게 해도 좋다. 커버(44)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커버(44)를 잉크 탱크(43) 상에 수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탱크 유닛(27)이 커버(44)를 구비하는 경우에서도, 운반시에 커버(44)가 걸려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배리어 볼록부(55)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는 통부(53)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변형예). 즉, 주입구(52)의 단면(52a)과 주입구 형성면(54)을 일치시켜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통부(53)는 상하 방향(Z)에 따르도록 상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상하 방향(Z)의 중도 위치가 만곡한 통형상의 어태치먼트(93)를 통부(94)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태치먼트(93)를 장착하는 것으로써, 어태치먼트(93)에 형성된 구멍을 주입구(52)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주입구(52)의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할 수 있다(변형예). 또한, 어태치먼트(93)는 변형 가능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통부(53)가 돌출할 방향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치 본체(13)에 고착되었을 경우에 장치 본체(13)측이 되는 좌상 방향을 향해 통부(53)를 돌출시켜도 좋다. 또한, 전상 방향으로 향해 통부(53)를 돌출시켜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 케이스(42)는 재치부(75)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탱크 케이스(42)가 아니라, 잉크 탱크(43)나 커버(44)에 재치부(75)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탱크 유닛(27)은 장치 본체(13)에 고착되기 위해, 예를 들면 장착면(13a)에 재치부(75)를 마련하고, 폐쇄 부재(58)를 재치 가능하게 해도 좋다. 또한, 재치부(75)는 커버(44)의 위치에 관련되지 않고 부감하는 유저로부터 보이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커버(44)는 축을 중심으로 회동해서 주입구(52)를 은폐하는 은폐 위치와, 상기 은폐 위치와는 상이한 비은폐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시켜도 좋다. 예를 들면, 축을 좌우 방향(X) 또는 전후 방향(Y)에 따르도록 마련하고, 은폐 위치에 위치하는 커버(44)를 상방으로 회동시켜 비은폐 위치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축을 상하 방향(Z)에 따르도록 마련하고, 커버(44)를 좌우 방향(X) 및 전후 방향(Y)에 따라서 회동시켜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 유닛(27)은 커버(44)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하한 눈금(64a)으로부터 상한 눈금(64b)까지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높이(h1)를 40㎜보다 크게 해도 좋다. 탱크 유닛(27)을 정밀도 좋게 제조 및 조립하고, 기록 장치(12, 85)를 수평에 설치하고, 또한 액면(51)의 변동을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의 사이에 넣으면 높이(h1)를 70㎜로 하여도 액체 분사 헤드(32)에 잉크를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출구(59)로부터 상한 눈금(64b)까지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높이(h2)를 55㎜보다 크게 해도 좋다. 탱크 유닛(27)을 정밀도 좋게 제조 및 조립하고, 기록 장치(12, 85)를 수평에 설치하고, 또한 액면(51)의 변동을 도출구(59)와 상한 눈금(64b)의 사이에 넣으면 높이(h2)를 70㎜로 하여도 액체 분사 헤드(32)에 잉크를 양호하게 공급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출구(59)로부터 주입구(52)까지의 상하 방향(Z)에 있어서의 높이(h3)를 70㎜보다 크게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주입구(52)의 위치에 맞추어 액체 분사 헤드(32)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주입구(52)로부터 70㎜ 이하의 위치에 하한 눈금(64a)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주입구(52)의 위치에 맞추어 액체 분사 헤드(32)를 배치하면,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흘러 넘칠 때까지 잉크를 주입해 버렸을 경우에서도, 액체 분사 헤드(32)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이 억제될 수 있다. 그 한편, 잉크가 소비되어 액면(51)이 저하하면 잉크실(50) 내에 잉크가 남아 있어도 액체 분사 헤드(32)에 잉크를 공급할 수 없게 되는 우려가 있다. 그 점, 하한 눈금(64a)을 주입구(52)로부터 70㎜ 이하의 위치에 형성하는 것에 의해, 잉크의 공급을 가능하지 않게 되기 전에 잉크의 주입을 촉진시킬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실(50)의 크기는 상하 방향(Z)의 높이에 비해 좌우 방향(X)의 폭을 작게 해도 좋다. 또한, 상하 방향(Z)의 높이에 비해 전후 방향(Y)의 폭을 작게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 중, 어느 한쪽의 눈금을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 이외에도 눈금을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시인면(43a)은 복수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주입구 형성면(54)을 시인면으로서 기능시켜서 시인면(43a)에 하한 눈금(64a)을 형성하는 동시에, 주입구 형성면(54)에 상한 눈금(64b)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의 전면 또는 후면에 창부를 형성하고, 상기 창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잉크 탱크(43)의 전면 및 후면을 시인면으로서 기능시켜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상한 눈금(64b)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에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시인면(43a)은 상하 방향(Z)의 높이에 비해 전후 방향(Y)의 폭을 작게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하한 눈금(64a)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하한 눈금(64a)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도출구(59)가 형성된 측과는 반대측에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동일 측에 형성하는 경우이라도, 전후 방향(Y)에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은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와 위치를 어긋나게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구(52)와 도출구(59)는 잉크 탱크(43)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Y)에 상이한 측에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통부(53)의 상하 방향(Z)에 대한 기울기와 주입구 형성면(54)의 상하 방향(Z)에 대한 기울기는 상이하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5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구 형성면(95)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통부(53)를 형성하지 않고 주입구 형성면(54)에 주입구(52)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주입구 형성면(54)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이기 때문에, 주입구(52)의 단면(52a)이나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된다. 또한, 주입구(52)와 상하 방향(Z)에 있어서 동일 위치 또는 상방 위치에 배리어 볼록부(55)를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53)에 제 2 유로의 일례로서의 유로(410)를 형성하는 동시에, 유로(410)의 선단에 잉크실(50)과 연통하는 주입구(52)를 형성해도 좋다(변형예). 또한, 유로(410)는,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의 일례로서의 기울기 우측 올라감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53)의 내부에 형성되는 동시에, 통부(53)와 마찬가지로 기울기 우측 올라감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잉크 탱크(43)가 액체 분사 헤드(32)를 구비한 기록 장치(12)에 고정되었을 경우, 유로(410)는 주입구(52)측 정도로 기록 장치(1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한다. 또한, 통부(53)는 잉크실(50)로부터 외측으로 향해 연장되는 동시에, 잉크실(50)의 내측으로도 연장되어 있어도 좋다. 즉, 유로(410)는 잉크실(5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좋고, 잉크실(5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는 유로(410)의 경우에는, 상하 방향(Z)과 비직교인 주입구(52)로부터 잉크를 주입하면, 주입된 잉크가 유로(410)의 벽에 부딪쳐, 다시 튀어나오는 것에 의해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다. 그 점, 유로(410)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잉크가 다시 튀어나옴에 의한 오염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유로(410)가 잉크실(50)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유로(410)의 선단에 형성된 주입구(52)로부터 잉크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가 기록 장치(12)에 고정되었을 경우에, 유로(410)는 기록 장치(1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해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를 보다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410)에 대해, 주입구(52)의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변형예).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53)를 잉크실(50)의 외측으로 연장시키지 않고 잉크실(50)의 내측으로 연장시켜도 좋다(변형예). 즉, 유로(410)를 잉크실(50)의 내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또한, 통부(53)가 잉크실(50)의 외측으로 연장되지 않는 경우에는, 주입구(52)의 단면(52a)과 주입구 형성면(54)이 일치한다. 그리고, 주입구 형성면(54)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이기 때문에, 주입구(52)의 단면(52a)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된다.
이와 같이 통부(53)가 잉크실(50)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는, 통부(53)가 잉크실(5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방해가 되기 어렵다. 또한, 유로(410)가 잉크실(50)의 내측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유로(410)가 잉크실(50)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비해 방해가 되기 어렵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부(53)를 상방향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하는 동시에, 통부(53)의 선단면이 상하 방향(Z)과 비직교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에 의해, 주입구(52)의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해도 좋다(변형예). 유로(410)가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기 때문에, 통부(53)도 상하 방향(Z)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통부(53)가 상하 방향(Z) 이외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방해가 되기 어렵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구(52)의 단면(52a)과 주입구 형성면(54)을 비평행으로 해도 좋다(변형예). 즉, 주입구(52)의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시키는 동시에, 주입구 형성면(54)을 상하 방향(Z)과 비직교가 되도록 형성해도 좋다. 주입구 형성면(54)을 경사시키는 것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잉크가 누설되어 버렸을 경우이라도, 주입구 형성면(54)을 따라서 잉크를 흘릴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통부(53)와, 통부(53)에 형성되어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유로(410)를 잉크실(50)의 내측에 형성해도 좋다(변형예). 또한, 주입구(52)의 단면(52a)은 주입구 형성면(54)과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된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에 따라서 연장되는 유로(410)에 대해, 주입구(52)의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형성해도 좋다(변형예). 또한, 주입구 형성면(95)을 상하 방향(Z)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410)에 대해, 주입구(52)의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형성해도 좋다(변형예). 또한, 주입구 형성면(95)을 상하 방향(Z)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410)에 대해, 주입구(52)의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로 형성해도 좋다(변형예). 또한, 주입구 형성면(95)을 상하 방향(Z)과 직교하는 수평 방향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구(52)와 배리어 볼록부(55)와의 상하 방향(Z)에 대한 각각의 기울기를 상이하게 해도 좋다. 즉, 주입구(52)가 형성된 통부(53)와 배리어 볼록부(55)의 상하 방향(Z)에 대한 각각의 기울기를 상이하게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구 형성면(54)은 복수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예를 들면, 주입구 형성면(54)을 전후 방향(Y)의 양측에 위치하는 벽으로부터 리브부(56)로 향해 산형(chevron shape) 또는 골짜기형(inverse chevron shape)으로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5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구 형성면(54)에 차단부 및 홈부의 일례로서의 배리어 오목부(96)를 오목하게 형성해도 좋다(변형예). 주입구 형성면(54)에 오목하게 형성된 배리어 오목부(96)에 의해서 누설 잉크를 포획하는 것에 의해 누설 잉크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배리어 오목부(96)와 배리어 볼록부(55)를 나란하게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주입구 형성면(54)은 시인면(43a)측으로 향해 오름 경사면으로 해도 좋다. 그리고, 배리어 볼록부(55)를 주입구(52)보다 상방에 위치시켜도 좋다. 또한, 장치 본체(13)와 탱크 유닛(27)과의 사이에는 흡수재(39)가 개재되어 있다. 그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누설되어 주입구 형성면(54)을 흐르는 잉크는 흡수재(39)에 흡수된다. 따라서, 흡수재(39)는 누설 잉크의 유로에 설치된다. 누설 잉크의 유로상에 흡수재(39)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누설 잉크를 흡수재(39)에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누설된 잉크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배리어 볼록부(55)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폭은 주입구(52) 또는 통부(53)의 폭보다 작아도 좋다. 또한, 배리어 볼록부(55)의 형상은 U자 형상, V자 형상, W자 형상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배리어 볼록부(55)를 주입구(52)의 주위를 둘러싸는 링 형상이나, 일부분이 떨어진 C자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배리어 볼록부(55)를 주입구 형성면(54)의 단부에 형성해서 단차부(54a)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단차부(54a)는 상하 방향(Z)과 직교하는 면, 또는 배리어 볼록부(55)측으로 경사진 면을 구비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시인면(43a)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하한 눈금(64a) 및 상한 눈금(64b)을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5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흡수재(97)를 개재시켜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탱크 케이스(42)가 보호 부재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5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재(98)를 주입구 형성면(54)까지 연장시켜도 좋다. 즉, 흡수재(98)는 주입구(52)로부터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까지 연속해서 배치되는 동시에, 누설 잉크의 유로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흡수재(98)에 의해서 주입구(52)로부터 누설된 누설 잉크나, 잉크 탱크(43)와 장치 본체(13)와의 사이에 흐른 누설 잉크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흡수재(39)와는 별개로 주입구 형성면(54)에 흡수재를 마련하고, 통부(53)로부터 누설된 잉크를 흡수시켜도 좋다. 누설 잉크의 유로가 되는 주입구 형성면(54) 상에 흡수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누설 잉크를 흡수재에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주입시에 주입구(52) 주변에 부착한 잉크, 또는 부착 후에 흐른 잉크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흡수재 및 흡수재(39, 97, 98) 중 적어도 하나의 흡수재를 잉크 탱크(43)에 접착이나 재치 등으로 해서 장착해도 좋다. 즉, 잉크 탱크(43)가 흡수재(39)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흡수재(98)는 주입구 형성면(54) 뿐만 아니라, 주입구 형성면(5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에 배설해도 좋다. 예를 들면, 잉크실(50) 내의 액면(51)을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43a)이 설치된 잉크 탱크(43)의 우측면에 배설해도 좋다. 즉, 잉크 탱크(43)의 우측면에 흡수재(98)를 배설하는 경우에는, 흡수재(98)를 시인면(43a)보다 상측이 되는 주입구 형성면(54)에 가까운 위치까지 연속해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흡수재(98)는 각 면에 별체로서 설치해도 좋다. 흡수재(98)를 시인면(43a)과 주입구 형성면(54)과의 사이의 위치에 배설하면, 시인면(43a)이 주입구(52)로부터 누설된 잉크로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인면(43a)으로부터의 액면(51)의 시인성이 저하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재(39)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두께를 장치 본체(13)와 잉크 탱크(43)와의 간극의 폭보다 얇게 해도 좋다. 즉, 탱크 유닛(27)을 장치 본체(13)에 고착했을 경우에, 흡수재(39)가 압축 변형되지 않고 개재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재(39)를 장치 본체(13)에 접착하지 않고, 장치 본체(13)와 탱크 유닛(27)에 의해서 사이에 두도록 해도 좋다. 또한, 장치 본체(13)에 탱크 유닛(27)을 고착한 상태로, 장치 본체(13)와 탱크 유닛(27)과의 사이의 간극에 흡수재(39)를 찔러 넣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외표면에 흡수재(39, 97, 99)를 배설해도 좋다(변형예). 즉, 잉크 탱크(43)의 외표면 중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 흡수재(39, 97, 99)를 배설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잉크 주입시에 주입구(52)의 주변에 부착한, 또는, 부착 후에 잉크 탱크(43)의 외표면을 따라서 흐르는 잉크를, 잉크 탱크(43)의 외표면의 적어도 하나의 개소에 배설된 흡수재(39, 97, 99)에 흡수시킬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잉크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 탱크(43)의 외표면 중, 주입구(52)가 설치된 주입구 형성면(54)과 교차하는 면으로서, 기록 장치(12)의 장치 본체(13)측이 되는 면(도 69에서는 좌측의 면)을 구성하는 필름(49)의 표면에, 흡수재(39)를 배설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주입구(52)의 주변에 부착한 잉크가 잉크 탱크(43)의 외표면 중 필름(49)에 의해 형성되는 면을 따라서 흘렀을 경우에서도, 그 잉크는 잉크 탱크(43)의 장착면까지 흐르기 전에 흡수재(39)에 의해 흡수되기 때문에, 그러한 잉크로 주위가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흡수재(39)는 잉크 탱크(43)의 외표면 중 주입구 형성면(54)과 교차하는 면이면, 잉크 탱크(43)의 좌측면에 한정하지 않고, 우측면, 전면, 후면 등에 배설해도 좋다. 또한, 흡수재(39, 97, 99)를 잉크 탱크(43)의 외표면에 대한 배설의 일례로서 장착하는 경우, 그 장착 방법으로서는, 접착제 등에 의한 접착, 양면 테이프나 점착 테이프를 이용한 접착, 갈고리 형상의 결합부나 결합 오목부와의 결합, 고정 부재를 이용한 고착, 잉크 탱크(43)에의 재치 등을 포함한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외표면 중, 주입구(52)가 설치된 주입구 형성면(54)에 흡수재(99)를 배설해도 좋다. 이 경우, 주입구 형성면(54)에 흡수재(99)를 장착하는 것에 의해, 잉크의 주입시에 주입구(52)의 주변에 부착한 잉크를 효율적으로 흡수재(99)에 흡수시킬 수 있다.
또는, 잉크 탱크(43)의 외표면 중, 주입구 형성면(54)과 교차하는 면으로서, 잉크 탱크(43) 내의 잉크의 액면(51)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43a)을 구성하는 면(도 69에서는 우측의 면)의, 연직 방향에서 주입구(52)측이 되는 위치에 흡수재를 배설해도 좋다. 또한, 그러한 위치에 배설된 흡수재로서 도 69에서는, 주입구 형성면(54)에 배설된 흡수재(99) 중, 그 일단측 부위(동 도 69에서는 우단측 부위)로서, 배리어 볼록부(55)를 주입구 형성면(54)측으로부터 단차부(54a)측으로 타고 넘어서 시인면(43a)이 있는 하부로 향하여 늘어진 상태에 있는 부위가 상당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잉크 주입시에 주입구(52)의 주변에 부착한 잉크가, 잉크 탱크(43) 내의 잉크의 액면(51)을 눈으로 확인 가능한 시인면(43a)에 도달하는 것을 억제하기 때문에, 액면(51)의 시인성을 해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외표면 중, 장착면과 대향하는 저면(43c)에 흡수재(97)를 배설해도 좋다. 이 경우, 흡수재(97)를 저면(43c)에 배설하는 것에 의해, 저면(43c)까지 흐른 잉크에 의해서 잉크 탱크(43)의 장착면이 오염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탱크(43)는, 도 5 등에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된 상태로 기록 장치(12)의 장치 본체(13)에 장착되었지만, 도 5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되는 일이 없이, 잉크 탱크(43) 자체가 기록 장치(12)의 장치 본체(13)에 장착되거나 장치 본체(13)의 근방 위치에 재치되거나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재(39, 97, 99)는 어느 1개 또는 어느 2개를 잉크 탱크(43)에 배설해도 좋다. 또한, 흡수재(39, 97, 99) 중, 적어도 1 종류의 흡수재를 2개 이상 배설해도 좋다. 또한, 흡수재(39, 97, 99) 중, 적어도 2개, 또는 3개의 흡수재를 일체로 형성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흡수재(97)는 좌단을 잉크 탱크(43)의 좌측면이 되는 필름(49)에 따르도록 연장해도 좋다. 또한, 흡수재(97)는 우단을 시인면(43a)이 설치된 잉크 탱크(43)의 우측면에 따르도록 연장시켜도 좋고, 마찬가지로 흡수재(97)의 전단과 후단을 잉크 탱크(43)의 전면과 후면에 따르도록 연장시켜도 좋다.
또한, 잉크 탱크(43)의 외표면에 흡수재(39, 97, 99)를 배설하는 경우, 흡수재(39, 97, 99)는 잉크 탱크(43)의 외표면에 대해서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면 탱크 케이스(42)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흡수재(39, 97, 99)를 개재장착하는 배설 형태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구 형성면(54)에 배설된 흡수재(99)의 경우에는, 배리어 볼록부(55)를 주입구 형성면(54)측으로부터 단차부(54a)측으로 타고 넘어서 시인면(43a)이 있는 하부에 향하여 연장된 상태에 있는 부위가, 탱크 케이스(42)의 내면과 배리어 볼록부(55)의 정상부로 협지된 배치 형태로, 주입구 형성면(54) 상에 고정되는 구성이라도 좋다. 또한, 이 경우, 배리어 볼록부(55)와 흡수재(99)와의 사이는 양면 테이프 등의 접착 부재로 접착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6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재(99)는, 배리어 볼록부(55)를 싸도록 설치해도 좋지만, 이 경우, 흡수재(99)는, 그 일단측을 단차부(54a)까지 연장시킬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흡수재(99)의 우단을 배리어 볼록부(55)에 따라서 상방으로 굽히도록 설치해도 좋다. 또한, 흡수재(99)의 전단이나 후단도 주입구 형성면(54)의 전후 양측에 위치하는 벽을 따라서 상방으로 굽히거나, 또는 둘러싸도록 설치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의 흡수재(99)도 잉크 탱크(43)의 외표면에 대해서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탱크 케이스(42)와 잉크 탱크(43)와의 사이에 개재장착되는 배설 형태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흡수재(97, 99)의 크기는 좌우 방향(X)과 전후 방향(Y) 중 적어도 한쪽의 방향에 있어서, 저면(43c)보다 크게 해도 좋다. 또한, 흡수재(39)의 크기는 전후 방향(Y)과 상하 방향(Z) 중 적어도 한쪽의 방향에 있어서, 탱크 개구부(43b)보다 크게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68d)와 제 5 케이스 걸림고정부(68e)와의 사이는 상이한 위치에 손잡이부(71)를 설치해도 좋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에 손잡이부(71)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와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는 서로 요철 끼워맞추는 어느 쪽 1세트로 해도 좋다. 또한, 위치결정 오목부와 위치결정 볼록부를 3세트 이상 설치해도 좋다. 또한, 위치결정 오목부와 위치결정 볼록부를 복수 세트 마련하는 경우이라도, 긴 구멍을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위치결정 오목부(63a, 63b)와 위치결정 볼록부(67a, 67b)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 개구부(42b)는 잉크 탱크(43)의 우측면보다 클 필요는 없고, 잉크 탱크(43)의 전면 또는 후면보다 케이스 개구부(42b)가 크면 잉크 탱크(43)를 탱크 케이스 내에 수용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 케이스(42)는 4면 일체 성형물이나 3면 일체 성형물로 해도 좋다. 예를 들면, 탱크 케이스(42)를, 전면, 후면, 우면, 상면을 일체 성형해서 저면을 갖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실(50)은 상하 방향(Z)의 일부가 형상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좋다. 즉, 예를 들면 형상 조건을 만족하는 직방체 형상 부분에, 형상 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부분이 상하 방향(Z)에 연속해서 설치된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잉크실(50)의 형상은 형상 조건을 만족하고 있으면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평 단면에서 볼 때 형상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다각형, 부분적으로 요철부나 만곡부, 굴곡부, 활형부, 원호부를 가지는 형상이여도 좋다. 또한, 잉크실(50)은 상하 방향(Z)의 각 위치에 있어서 수평 단면에서 볼 때 형상이 변화하는 형상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 취입구(60)는 상한 눈금(64b)보다 상방이라면 임의의 위치에 마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잉크 탱크(43)의 우측면에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의 주입을 하는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경우나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에, 스케일(28a)을 창부(42a)를 따르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스케일(28a)에 형성된 눈금을 기준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탱크(43)의 시인면(43a)에, 눈금이 기재된 시일 등을 접착하는 것에 의해, 하한 눈금(64a) 및 상한 눈금(64b)을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하한 눈금(64a)과 상한 눈금(64b)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을 형성하지 않고, 삼각형상의 마크만으로 해도 좋다. 또한, 삼각형상의 마크를 형성하지 않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라인만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의 수와, 나사 보스부(37)의 수는 차이가 나도 좋다.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 중 적어도 하나의 케이스 걸림고정부와 나사 보스부(37)에 나사(36)가 나사결합하고 있으면, 탱크 유닛(27)을 장치 본체(13)에 고착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유닛(27)의 고착이란, 장치 본체(13)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상태이며, 또한 흔들림이 있는 상태를 포함한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 유닛(27)은 볼트, 양면 테이프, 접착제, 점착 테이프, 코킹, 끈, 결속대 등의 고정 부재에 의해 장치 본체(13)에 대해서 고정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 내에 설치해도 좋다. 즉, 잉크 탱크(43)는, 액체 분사 헤드(32)의 이동 영역(T)외에 배설된다면, 장치 본체(13)의 내부에서, 깊이(D)보다 높이(H)가 크고, 높이(H)보다 폭(W)이 크게 형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에 있어서, 기록 장치(12)의 케이스인 장치 본체(13)에 대해서, 잉크 탱크(43)를 수용하는 탱크 케이스(42)와, 그 탱크 케이스(42)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커버(44)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가 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 탱크(43)는 액체 분사 헤드(32)와 공통의 케이스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액체 분사 헤드(32)의 노즐 형성면과 잉크 탱크(43) 내의 잉크의 액면(51)과의 수두차를 관리하기 쉬운 치수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52)에 기재한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의 주입시에는, 도 7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용의 잉크를 수용한 비교적 대용량의 잉크 용기(400)로부터 잉크 탱크(43)에 잉크를 주입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잉크 용기(400)는 보틀 형상의 본체부(401)와, 그 본체부(401)의 병입구부(402)에 나사결합되는 캡 부재(403)를 구비하고, 캡 부재(403)의 선단측은 병입구부(402)에 나사결합하는 기단측보다 소경의 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잉크를 주입할 경우에는, 캡 부재(403)의 선단부가 절제되는 것에 의해, 잉크 용기(400)에는 잉크를 수용한 본체부(401) 내에 연통하는 주입구(404)가 형성된다. 또한, 캡 부재(403)에 있어서의 소경의 통형상 부분에 있어서, 그 선단부로부터 기단측으로 조금 멀어진 위치에는, 주입구(404)보다 외측으로 돌출된 당접부(40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당접부(405)는 잉크 용기(400)의 주입구(404)를 잉크 탱크(43)의 주입구(52)에 찔러넣었을 때에, 그 주입구(52)가 형성된 통부(53)의 단면(52a)과 당접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당접부(405)가 통부(53)의 단면(52a)에 당접되는 것과 동시에, 주입구(404)가 주입구(52)에 삽입되면, 본체부(40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잉크 탱크(43)의 잉크실(50)에 주입된다.
여기서, 선단에 주입구(52)가 있는 유로(410)는 상하 방향(Z)에 대해 비직교인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내부에 잉크를 수용한 잉크 용기(400)의 주입구(404)를 주입구(52)에 위치맞춤해서 잉크실(50)에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에, 주입구(52)의 주위에 위치하는 부재가 잉크 용기(400)에 당접해서 잉크의 주입 작업을 저해하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7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는, 선단에 주입구(52)가 형성된 통부(53)를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돌출시키는 동시에, 그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 시켜도 좋다. 그리고, 통부(53)에는,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410)를 형성해도 좋다. 또한,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시키는 경우이라도, 주입구 형성면(54)은 어느 쪽의 방향을 향하고 있어도 좋고, 예를 들면 주입구 형성면(54)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해도 좋다. 또한, 통부(53)는 어느 쪽의 방향으로 경사시켜도 좋고, 예를 들면 장치 본체(13)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경사시켜도 좋다.
여기서, 주입구(52)의 단면(52a)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하고 있다(즉, 수평이다). 그 때문에, 유저는 잉크를 주입하는 경우에, 내부에 잉크를 수용한 잉크 용기(400)의 주입구(404)를 주입구(52)에 찔러 넣은 상태에 있어서, 그 잉크 용기(400)의 일부(이 경우는, 당접부(405))를, 주입구(52)가 형성된 통부(53)에 있어서의 수평인 단면(52a)에 대해서 재치 상태로 지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를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통부(53)는 굴곡 또는 만곡하고 있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주입구 형성면(54)측이 되는 통부(53)의 기단측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로 하는 동시에, 통부(53)의 선단측은 상하 방향(Z)에 따르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통부(53)의 일부가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인 경우에는, 단면(52a)을 상하 방향(Z)에 대해서 직교시켜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 케이스(42)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장치 본체(13)에 있어서의 나사 보스부(37)를 잉크 탱크(43)의 탱크 걸림고정부(6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에 직접 고정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73 및 도 7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구멍 부분(501)과 제 2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갈고리부(502)를 장치 본체(13)의 장착면(13a)과 탱크 케이스(42)에 설치해도 좋다(변형예). 즉, 도 7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본 변형예에서는 2개)의 구멍 부분(501)을, 장착면(13a)의 전방 리브부(34b)의 전방측 위치와 후방 리브부(34d)의 상측 위치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7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적어도 1개(본 변형예에서는 2개)의 갈고리부(502)를, 구멍 부분(501)과 대응하는 위치인 케이스 개구부(42b)의 전단 위치와 후단 위치에, 좌측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구멍 부분(501)과 갈고리부(502)를 위치적으로 대응시킨 상태로, 탱크 케이스(42)를 장치 본체(13)에 대해서 접근시키면, 갈고리부(502)가 구멍 부분(501)(구체적으로는, 그 구멍 부분의 가장자리 부분)과의 접촉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한 후, 그 형상이 탄성 복귀하고, 구멍 부분(501)과 갈고리부(502)는 지금까지의 비결합 상태로부터 결합 상태가 된다. 따라서, 각별하게 고정 부재를 이용하는 일이 없이, 탱크 유닛(27)을 장치 본체(13)에 용이하게 고착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부(502)를 장치 본체(13)에 구비하는 동시에, 갈고리부(502)와 결합하는 구멍 부분 등의 결합부를 탱크 케이스(42)에 구비시켜도 좋다. 또한, 갈고리부(502)를 장치 본체(13)와 탱크 케이스(42)의 쌍방에 마련하고, 갈고리부(502)끼리를 결합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갈고리부(502)가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의 일례로서 기능한다.
또한, 구멍 부분(501)과 갈고리부(502)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탱크 케이스(42)에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케이스 걸림고정부(68a 내지 68e) 대신에 장치 본체(13)측의 결합부와 결합 가능한 갈고리부(502) 또는 결합부를 탱크 케이스(42)에 설치해도 좋다.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보호 케이스의 일례로서의 탱크 케이스(42)를 2개 이상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각 탱크 케이스(42) 내에 각각 잉크 탱크(43)를 수용한 다음, 장치 본체(13)의 장착면(13a)에 고착된 1개의 탱크 케이스(42)의 측면에 좌우 방향(X)에 인접하도록 다른 탱크 케이스(42)를 연결시켜도 좋다. 이 경우, 1개의 탱크 케이스(42)의 측면에 제 1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구멍 부분을 마련하는 한편, 다른 탱크 케이스(42)의 대향하는 측면에 제 2 결합부의 일례로서의 갈고리부를 마련하면 좋다. 즉, 잉크 탱크를 수용한 탱크 케이스는, 적어도 한쪽이 탄성 변형해서 결합하는 제 1 결합부 및 제 2 결합부 중, 그 한쪽을 구비하고, 그 다른쪽은 다른 잉크 탱크를 가리는 다른 탱크 케이스가 구비하는 구성이면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탱크 케이스가 구비하는 제 1 결합부 및 다른 탱크 케이스가 구비하는 제 2 결합부 중 적어도 한쪽을 탄성변형시켜서 서로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인접하는 탱크 케이스끼리를 연결해서 증설할 수 있다.
또한, 도 7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호 케이스의 일례로서의 탱크 케이스(42)는 2개 이상(도 75에서는 2개)의 잉크 탱크(43A, 43B)를 수용한 상태로 장치 본체의 장착면(13a)에 고착되는 구성이여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액체 수용체의 일례인 잉크 탱크를 용이하게 증설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케이스(42)에 수용되는 잉크 탱크의 수는 탱크 케이스(42)의 크기에 따라서 3개나 4개 등 2개 이상을 수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에 2개 이상의 잉크 탱크(43A, 43B)가 수용된 상태에 있어서, 길이 방향(전후 방향(Y))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좌우 방향(X))에서 인접하는 2개의 잉크 탱크(43A, 43B)는 각각의 주입구(52A, 52B)가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오프셋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 이상의 잉크 탱크(43A, 43B)에 있어서의 각 주입구(52A, 52B)가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으로 횡렬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비해서, 인접하는 다른 주입구가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각 주입구(52A, 52B)에의 잉크의 주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액체 주입구가 횡렬 상태의 경우와 비해서, 다른 주입구에의 오주입이 방지된다.
또한, 도 7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는, 내부에 수용되는 2개 이상의 잉크 탱크(43A, 43B)에 있어서의 주입구(52A, 52B)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 주입구의 상방을 개방하도록 탱크 케이스(42)의 케이스 개구부(42b)측으로부터 U자 형상으로 절결 형성된 수용부(74A, 74B)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도 7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주입구(52A, 52B)가 통부(53A, 53B)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잉크 탱크(43A, 43B)를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할 때에, 그 통부(53A, 53B)를 수용부(74A, 74B) 내에 케이스 개구부(42b)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부드럽게 잉크 탱크(43A, 43B)를 탱크 케이스(42) 내에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케이스(42)는, 2개 이상의 잉크 탱크(43A, 43B)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 있어서, 잉크 탱크(43B)의 주입구(52B)와 대응하는 수용부(74B)가 잉크 탱크(43A)의 상방에 좌우 방향(X)에서 오버랩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각 잉크 탱크 중 가장 케이스 개구부(42b)측에 위치하는 잉크 탱크(43A) 이외의 잉크 탱크(43B)에 있어서의 주입구(52B)와 대응하는 위치의 수용부(74B)가 케이스 개구부(42b)측에 인접하는 다른 잉크 탱크(43A)에 오버랩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인접하는 2개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각 주입구를 선단에 마련한 통부(53A, 53B)가, 예를 들면 길이 방향(전후 방향(Y))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좌우 방향(X))에서 횡렬 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서도, 1개의 수용부내에 인접하는 2개의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각 통부를 케이스 개구부(42b)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또한, 도 75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잉크 탱크(43A, 43B)는, 다른 잉크 탱크와 인접한 상태에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연결부의 일례로서 구멍 부분(501)과 갈고리부(502)를 각 잉크 탱크(43A, 43B)의 서로에 구비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미리 2개 이상의 잉크 탱크를 길이 방향(전후 방향(Y))과 교차하는 수평 방향(좌우 방향(X))으로 인접한 상태가 되도록 연결한 다음, 그것들을 일괄해서 탱크 케이스(42) 내에 삽입하는 것에 의해, 2개 이상의 잉크 탱크를 탱크 케이스 내에 용이하게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유로의 일례로서의 튜브(31)에 장착되는 쵸크 밸브(45)의 조작부가 되는 밸브 레버(47)를, 2개 이상의 잉크 탱크(43A, 43B)를 내부에 수용한 상태의 탱크 케이스(42)에, 각 잉크 탱크와 대응하는 각 튜브(31)에 대해서, 공통의 조작부로서 설치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공통의 조작부가 되는 1개의 밸브 레버(47)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2개 이상의 잉크 탱크와 대응하는 각 튜브(31)의 쵸크 밸브(45)를 일괄해서 개폐할 수 있으므로, 부품 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 2는 수용체 케이스(125)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는 상이하다. 그리고, 그 이외의 점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에, 수용체 케이스(125)의 내부의 구성이여도, 동일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는 것에 의해 중복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125)는 수용체 개구부(125a)를 갖는 바닥이 있는 상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수용체 케이스(125)에는, 탱크 케이스(도시 생략)에 고착될 때에 장착되는 장착 나사(61)를 걸림고정하는 적어도 1개(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탱크 걸림고정부(126)가 수용체 케이스(125)의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은 탱크 케이스에는, 탱크 걸림고정부(126)와 대응하는 위치에 장착 나사(61)가 나사결합 가능한 나사결합부(도시 생략)가 형성되어 있다.
도 76 내지 도 7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에는, 적어도 2개(본 실시형태에서는 6개)의 제 1 리브의 일례로서의 횡 리브부(131 내지 136)가 형성되어 있다.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단차 저면(50b)에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즉,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전후 방향(Y) 및 좌우 방향(X)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로부터 보아서 도출구(59)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상하 방향(Z)에 간격을 갖고서 적어도 1열(본 실시형태에서는 2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 주입구와 단차 저면(50b)과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열을 구성하는(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횡 리브부끼리는, 전후 방향(Y)에 서로 간격을 갖는 동시에,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잉크실(50)의 후방 측면(50g)도 간격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 1 횡 리브부(131) 내지 제 3 횡 리브부(133)는 전후 방향(Y)에 서로 간격을 갖고, 제 4 횡 리브부(134) 내지 제 6 횡 리브부(136)는 제 1 횡 리브부(131) 내지 제 3 횡 리브부(133)보다 상방 위치에서 전후 방향(Y)에 서로 간격을 갖고 있다.
즉,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단차 저면(50b) 및 칸막이벽(125b)과 간극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단차 저면(50b)에 대해서 상방에 거리를 두고 위치하고 있다. 또한, 각 횡 리브부(131 내지 136)의 상하 양측에는, 수용체 케이스(125)의 수용체 개구부(125a)측으로부터 우측면(50f)측(우측)을 향해 전후 방향(Y)의 폭이 서서히 넓어지도록 정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을 이루는 제 3 연장부(137)가 우측면(50f)과 직교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횡 리브부(131 내지 136)와 제 3 연장부(137)는 수용체 케이스(125)의 우측면(50f)과 직교하는 동시에, 우측면(50f)측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125a)측에 향해 돌출하도록 수용체 케이스(125)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환언하면, 횡 리브부(131 내지 136)와 제 3 연장부(137)는 우측면(50f)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좌우 방향(X)에 대해 횡 리브부(131 내지 136)의 폭은 수용체 케이스(125)의 우측면(50f)으로부터 수용체 개구부(125a)까지의 폭과 대략 동등하다. 그 때문에, 수용체 개구부(125a)에 필름(49)이 접착되면, 횡 리브부(131 내지 136)의 좌단이 되는 접착면(131a 내지 136a)에도 필름(49)이 접착된다.
다음에, 잉크가 주입되는 잉크실(50) 내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그런데, 도 7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된 잉크는 단차 저면(50b)에 따르도록 후방으로 흐른다. 그 때문에, 잉크의 주입에 수반해 잉크실(50) 내에 있어서의 액면(도시 생략)이 상승해서 횡 리브부(131 내지 136)가 형성된 위치에 도달하면, 횡 리브부(131 내지 136)의 하측을 지나 후방으로 향하는 잉크의 흐름이, 잉크의 유동 방향과 교차하는 후방 측면(50g)에 따르도록 상방으로의 흐름에 변화한다. 또한, 잉크는 하측에 위치하는 제 1 횡 리브부(131) 내지 제 3 횡 리브부(133)의 상측을 통해서 전방으로 흐른다.
따라서, 잉크실(50) 내에서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8)를 형성해서 흐름을 저해하는 경우에 비해 보다 빠른 유속으로 잉크가 흐르게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잉크를 몇 번으로 나눠서 주입했을 경우에는, 먼저 주입된 잉크가 나중에 주입된 잉크에 밀리도록 해서 유동한다. 즉, 주입구(52)로부터 새롭게 잉크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서 잉크실(50) 내에 잔존하고 있던 잉크가 교반되기 때문에, 잉크실(50) 내의 잉크에 농도의 편향이 생기고 있었을 경우에서도, 잉크 농도의 편향이 저감된다.
그리고, 또한 잉크가 주입되어 잉크의 액면(51)이 상측에 위치하면, 제 1 횡 리브부(131) 내지 제 3 횡 리브부(133)의 상측을 통과하는 액체의 흐름에 추가해서, 제 4 횡 리브부(134) 내지 제 6 횡 리브부(136)의 상측을 통과하는 흐름도 생긴다.
상기 실시예 2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1) 단차 저면(50b)에 따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횡 리브부(131 내지 136)에 의해, 단차 저면(50b)에 따라서 흐르는 잉크의 흐름이 단차 저면(50b)과 교차하는 상방향으로 변경된 후, 또한 횡 리브부(131 내지 136)에 따라서 잉크를 유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의 흐름이 충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단차 저면(50b)에 따르는 방향으로 흐르는 잉크의 유속을 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탱크 유닛(27)의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액체 분사 헤드(32)에 공급하는 튜브(31)를 반드시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탱크 유닛(27)이 캐리지(29) 상에 배치된 구성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가 수납 가능한 간극이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필름(49)의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가 수용체 개구부(48a)로부터의 돌출하는 폭이 좁아서 외관상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는, 잉크 탱크(43)와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의 간극은 불필요하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49H)은 반드시 수용체 개구부(48a)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떨어진 필름(49)의 2개 위치에 설치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수용체 개구부(48a)의 짧은 방향에 대해 서로 떨어진 필름(49)의 2개 위치에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관통 구멍(49H)은 2개 위치 이상(예를 들면 3개 위치) 설치되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관통 구멍(49H)은 영역외 부위(49a, 49b, 49c, 49d) 중 어느 하나의 부위에만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관통 구멍(49H)의 형상은, 예를 들면 둥근 구멍 이외에 사각형 등의 직사각형 구멍 등이라도 좋다. 또는, 서로 상이한 형상이나 크기이여도 좋다. 요점은 위치결정이 가능한 형상이면 어떠한 형상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7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 내에 단차 저면(50b)에 대해서 기울어진 제 1 사방 리브부(141)를 형성해도 좋다(제 1 변형예). 즉, 제 1 사방 리브부(141)는 좌우 방향(X)에 따르는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상단이 하단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Z)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 1 사방 리브부(141)는 적어도 1개 또는 적어도 2개(도 79에서는 6개) 설치되며, 단차 저면(50b) 및 칸막이벽(48b)과 이간되는 동시에, 전후 방향(Y)에 서로 간격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사방 리브부(141)는 잉크실(50)의 후방 측면(50g)도 전후 방향(Y)에 간격을 구비하고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8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 내에 단차 저면(50b)에 대해서 기울어진 제 2 사방 리브부(142)를 형성해도 좋다(제 2 변형예). 즉, 제 2 사방 리브부(142)는 좌우 방향(X)에 따르는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동시에, 하단이 상단보다 전방측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Z)에 대해서 기울어져 있다. 또한, 제 2 사방 리브부(142)는 적어도 1개 또는 적어도 2개(도 80에서는 6개) 설치되며, 단차 저면(50b) 및 칸막이벽(48b)과 이간하는 동시에, 전후 방향(Y)에 서로 간격을 갖고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2 사방 리브부(142)는 잉크실(50)의 후방 측면(50g)도 전후 방향(Y)에 간격을 구비하고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8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실(50) 내에 제 1 종 리브부(111) 및 제 2 종 리브부(112)와, 제 2 횡 리브부(132), 제 3 횡 리브부(133), 제 5 횡 리브부(135), 제 6 횡 리브부(136)를 설치해도 좋다(제 3 변형예). 즉,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 횡 리브부(131 내지 136)를 임의로 조합해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종 리브부(111 내지 118)와, 횡 리브부(131 내지 136)의 수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후방 리브부를 후방측에 마련하는 동시에, 횡 리브부를 전방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종 리브부와 횡 리브부를 교대로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8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 리브부(111 내지 118)의 상하 방향(Z)에 따르는 크기를 서로 상이하게 해도 좋다(제 4 변형예). 즉, 예를 들면, 종 리브부(111 내지 118)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Z)의 크기를 주입구(52)에 가까운 위치(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종 리브부(111)를 가장 크게 하고,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후방측)에 위치하는 제 8 종 리브부(118)에 걸쳐 서서히 작게 해도 좋다. 그리고,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상하 방향(Z)의 사이즈가 작은 만큼, 단차 저면(50b)으로부터 크게 이간해서 설치된다.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위치하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단차 저면(50b)으로부터 크게 이간하고 있기 때문에, 단차 저면(50b)으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소용돌이를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의 농도의 편향이 커지기 쉬운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있어서, 단차 저면(50b) 부근의 농도가 진한 잉크와 액면(51) 부근의 농도가 옅은 잉크를 교반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의 농도의 편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8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7)끼리의 간격을 상이하게 해도 좋다(제 5 변형예). 즉, 종 리브부(111 내지 117)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제 1 종 리브부(111)와 제 2 종 리브부(112)와의 간격이 가장 좁고, 후방측에 위치하는 만큼 커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종 리브부끼리의 간격이 전방측에 비교해서 후방측이 크다. 또한, 종 리브부의 수도 3개 이상이면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종 리브부(111 내지 117)에 흐름이 저해되는 것에 따라 생기는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은 잉크가 흐르는 방향인 전후 방향(Y)에서 서로 인접하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7)끼리의 사이에 생긴다. 그리고, 종 리브부(111 내지 117)끼리의 간격이 넓을 만큼 큰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이 생긴다. 그 점,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서로 인접하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7)끼리의 간격이 크기 때문에,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서 보다 큰 소용돌이 형상의 흐름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의 농도의 편향이 커지기 쉬운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진 위치에 있어서, 액면(51) 부근의 농도가 옅은 잉크도 유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잉크의 농도의 편향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8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21, 122)의 전방측의 면을 단차 저면(50b)에 대해서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지는 후방향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교차하도록 설치해도 좋다(제 6 변형예). 또한, 돌출부(121, 122)의 후방측의 면을 단차 저면(50b)에 대해서 주입구(52)측에 가까워지는 전방향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교차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된 잉크는 단차 저면(50b)에 따라서 유동한다. 그리고, 돌출부(121)에 있어서의 전방측의 면은, 단차 저면(50b)에 대해서 잉크의 유동 방향이 되는 후방향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교차하고 있다. 즉, 유로 저항이 저감되기 때문에, 잉크 탱크(43)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잉크실(50)에 주입된 잉크를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지는 후방에 양호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돌출부(121)의 후방측의 면이 단차 저면(50b)에 대해서 전방향을 향해서 예각을 이루도록 교차하고 있기 때문에, 또한 유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도 8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121)를 마련하는 경우에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제 1 돌출부(121)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종 리브부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잉크실(50) 내에 제 1 종 리브부(111), 제 4 종 리브부(114), 제 7 종 리브부(117), 제 8 종 리브부(118)를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제 1 돌출부(12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제 1 종 리브부(111)와 제 4 종 리브부(114)끼리의 간격과, 제 4 종 리브부(114)와 제 7 종 리브부(117)끼리의 간격은, 상이한 제 7 종 리브부(117)와 제 8 종 리브부(118)끼리의 간격보다 크다.
돌출부(12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종 리브부끼리의 간격을 크고 하는 것에 의해, 돌출부(121)에 의해서 유동 방향이 변화한 잉크의 흐름이 종 리브부에 의해서 저해되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즉, 돌출부(121)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 종 리브부의 간격을 작게 하는 경우에 비해 주입구(52)로부터 멀어지는 후방향으로 유동하는 유로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탱크(43)의 강성을 확보하면서, 잉크실(50)에 주입된 잉크를 주입구(52)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양호하게 유동시킬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높이는 임의로 변경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전방측에 위치하는 만큼 기저면(50a)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를 작게 해도 좋다(제 7 변형예). 즉,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돌출 높이를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하는 동시에, 제 3 교차 리브부(103)의 돌출 높이보다 작게 해도 좋다.
또한, 도 8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교차 리브부(101)의 돌출 높이를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돌출 높이보다 작게 하는 동시에, 제 3 교차 리브부(103)의 돌출 높이보다 크게 해도 좋다(제 8 변형예).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높이를 변경했을 경우이라도, 잉크실(50)에 수용되는 잉크는 액면(51)의 높이에 따라 각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연통부(105 및 106)를 통과한다. 따라서, 액면이 변동했을 경우에서도,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상이한 위치의 잉크를 통과시킬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돌출부(121, 122)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돌출부(121)는 기저면(50a) 또는 단차 저면(50b)에 설치되어 있으면 좋고, 기저면(50a) 또는 단차 저면(50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으면, 어느 방향에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여도 잉크 탱크(43)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돌출부(121)를 전후 방향(Y) 및 상하 방향(Z)에 따라서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돌출부(121)를 상하 방향(Z)에 대해서 기울여서 형성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연장부(104), 제 2 연장부(119), 제 3 연장부(137)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를 만곡 또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후방으로 향해 만곡 또는 굴곡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상단을 하단보다 후방측에 위치시키는 것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된 잉크가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를 타고 넘는 우려를 저감시키고, 잉크의 흐름을 후방측으로 유도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기저면(50a)으로부터의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돌출 높이를 동일하게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기저면(50a)으로부터 이간해 설치해도 좋다. 즉, 종 리브부(111 내지 118)를 전후 방향(Y)에 있어서 주입구(52)와 도출구(59)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를 1개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를 1개 마련하는 경우에는, 도출구(59)에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는 제 1 교차 리브부(101)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 교차 리브부(101) 및 제 2 교차 리브부(102)는 제 2 연통부(106)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제 1 교차 리브부(101) 및 제 2 교차 리브부를 상면(50e)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해도 좋다. 제 1 교차 리브부(101) 및 제 2 교차 리브부(102)를 상면(50e)으로부터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 주입구(52)로부터 주입된 잉크가 제 1 교차 리브부(101) 및 제 2 교차 리브부(102)를 넘어서 도출구(59)측으로 흐르는 우려가 보다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제 2 연통부(106)는, 상면(50e)과 제 1 교차 리브부(101) 및 제 2 교차 리브부(102)의 각각과의 사이에 설치해도 좋다. 제 2 연통부(106)를 상면(50e)측에 마련하는 것에 의해, 제 1 교차 리브부(101) 및 제 2 교차 리브부에 의해서 구획되는 제 1 영역과 제 2 영역에서 잉크의 액면(51)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2 연통부(106)는, 제 1 연통부(105)와 마찬가지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의 접착면(101a 내지 103a)을 오목하게 형성하는 것에 의해서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 1 연통부(105)는 제 2 연통부(106)와 마찬가지로, 잉크실(50)에 대해 좌우 방향에 걸쳐서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종 리브부(111 내지 118)는 칸막이벽(48b)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는 잉크실(50)의 상면(50e)으로부터 돌출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종 리브부(111 내지 118) 및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에 구획된 영역끼리에서 공기가 왕래 가능한 연통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교차 리브부(101 내지 103)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종 리브부를 전후 방향(Y)에 거리를 두고 마련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Z)에 있어서 서로 위치가 상이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상하 방향의 사이즈가 동일한 종 리브부를 기저면(50a)으로부터의 이간 거리가 상이하도록 설치해도 좋다.
· 상기 실시예 2에 있어서,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일렬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동일 열의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전후 방향으로 연속한 1개의 횡 리브부로 해도 좋다. 또한, 종 리브부(111 내지 118)도 어느 하나 마련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종 리브부(111 내지 118) 또는 횡 리브부(131 내지 136)는 수용체 케이스(48, 125)의 우측면(50f)에 대해서 접착 또는 결합 등에 의해서 고착해도 좋다. 또한, 필름(49)에 종 리브부(111 내지 118) 또는 횡 리브부(131 내지 136)를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는 서로 인접하는 2개의 공기 소실(예를 들면 제 1 공기 소실(200a)과 제 2 공기 소실(200b))의 각각의 가장 내쪽측의 면 부위에 있어서의 칸막이벽(48b)으로부터 가장 멀게 멀어진 천정면의 부근에 각각 형성해도 좋다. 즉, 도 87에 도시하는 제 9 변형예와 같이, 2개의 공기 소실(예를 들면 제 1 공기 소실(200a)과 제 2 공기 소실(200b)) 간의 구획벽(예를 들면 제 1 구획벽(201))의 벽면 부근이 되는 코너의 각 위치에 상기 구획벽(201)을 기준으로 해서 선대칭이 되는 각 위치에 각각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 있어서,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긴 홈부는, 도 88에 도시하는, 직선 형상의 긴 홈부(230a 내지 230c)에 형성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서도, 잉크 탱크(43)가 도치되었을 경우에는, 도 8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실(200)측에서는, 연통구(210)를 거쳐서 직접적으로 잉크실(50)과 연통하고 있는 제 1 공기 소실(200a)이 유입한 잉크로 채워진다. 그리고, 또한 긴 홈부(230a)와 대응한 직선 형상의 연통로(221)를 거쳐서 제 1 공기 소실(200a)과 연통하는 제 2 공기 소실(200b) 내에도 제 1 공기 소실(200a)측으로부터 조금씩 잉크가 유입한다.
그러나, 이 경우도, 도치된 상태에서는 직선 형상의 연통로(221)의 부분이 가장 하방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 연통로(221)의 부분까지 잉크로 채워지면, 그 연통로(221) 내에서는 기액 교환이 불가능으로 된다. 그 결과, 잉크실(50)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어, 그 부압과 수두압이 균형을 이루고, 공기실(200)측으로의 잉크의 유입이 멈추게 된다.
또한, 그 상태에서 전후 방향(Y)에의 가속도가 걸리는 진동이 가해졌을 경우에서도, 도 90 및 도 9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통로(221)로 연결된 제 1 공기 소실(200a) 및 제 2 공기 소실(200b)에 유입하고 있는 잉크는 가속도가 걸리는 방향으로 왕래하는 것만으로, 또한 대기 개방구(60)측이 되는 제 3 공기 소실(200c) 내에 유출하는 일은 없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개구(211) 및 제 2 개구(212)는 칸막이벽(48b)으로부터의 거리가 동일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2에 도시하는 제 10 변형예와 같이, 제 1 개구(211)가 칸막이벽(48b)으로부터 가장 멀게 멀어진 천정면 부근에 형성되는 한편, 제 2 개구(212)가 칸막이벽(48b)의 근처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는, 도 9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체 케이스(48)의 측벽(48c)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긴 홈부는 경사하는 직선 형상의 긴 홈부(230a 내지 230c)에 형성하면 좋다.
이 경우도, 도치된 상태에서는 직선 형상의 긴 홈부(230a)와 대응하는 연통로(221)에 있어서 제 1 개구(211)의 부분이 가장 하방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이 연통로(221)의 제 1 개구(211)의 부분까지 잉크로 채워지면, 그 연통로(221) 내에서는 기액 교환이 불가능으로 된다. 따라서, 잉크실(50)에 부압이 발생하게 되어, 그 부압과 수두압이 균형을 이루고, 공기실(200)측으로의 잉크의 유입이 멈추게 된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제 1 공기 소실(200a)과 제 2 공기 소실(200b), 제 3 공기 소실(200c)과 제 4 공기 소실(200d), 제 5 공기 소실(200e)과 제 6 공기 소실(200f)을 각각 연통하는 연통로(221, 223, 225)가, 이들 각 공기 소실끼리를 구획하고 있는 구획벽(201, 203, 205)에 관통 형성되는 구성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3, 제 5 각 구획벽(201, 203, 205)을 경계로 해서 서로 인접하는 양 공기 제 11 변형예의 소실의 가장 내쪽측의 측면으로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를 형성하는 일이 없이, 도 95의 (a) 및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Y)에서 서로 인접하는 양 구획벽에 칸막이벽(48b)으로부터의 거리가 서로 상이한 연통로를 관통 형성해도 좋다.
이와 관련하여, 도 95의 (a)는 제 1 공기 소실(200a)측으로부터 짝수 번째(2번째)의 제 2 구획벽(202)에 있어서의 칸막이벽(48b)에 가까이에서 수용체 개구부(48a)측이 되는 코너 부분에 연통로(222)가 전후 방향(Y)으로 관통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95의 (b)는 제 1 공기 소실(200a)측으로부터 홀수 번째(5번째)의 제 5 구획벽(205)에 있어서의 칸막이벽(48b)으로부터 가장 멀어진 천정면 가까이에서 제 5 공기 소실(200e)의 가장 내쪽측의 측면측이 되는 코너 부분에 연통로(225)가 전후 방향(Y)으로 관통 형성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환언하면, 제 1 연통로의 일례인 연통로(221, 223, 225)는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홀수 번째의 구획벽의 벽면에 있어서의 1개의 코너부에 관통 형성된다. 그 한편, 제 2 연통로의 일례인 연통로(222, 224, 226)는, 홀수 번째의 구획벽의 벽면을 전후 방향(Y)에서 대향하는 동일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짝수 번째의 구획벽의 벽면에 투영했을 경우에, 그 벽면에 있어서 투영된 하나의 코너부와 대각에 위치하는 다른 1개의 코너부에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는, 홀수 번째의 구획벽에 관통 형성된 연통로(221, 223, 225)를 제 1 연통로로 하고, 짝수 번째의 구획벽에 관통 형성된 연통로(222, 224, 226)를 제 2 연통로로 했을 때, 잉크 탱크(43)가 도치된 상태일 때에는, 제 1 연통로 및 제 2 연통로 중 어느 한쪽의 연통로의 부분이 기액 계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도 잉크실(50)에 부압을 발생시킬 수 있고, 잉크실(50)로부터의 잉크의 유출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는, 전후 방향(Y)에 연속하는 각 구획벽(201 내지 209)에 대해서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를 교대로 형성하는 경우로 한정하지 않고, 예를 들면 전후 방향(Y)으로 연속하는 적어도 2개의 구획벽에 제 1 연통로를 형성하고, 거기에 연속해서 전후 방향으로 연속하는 다른 적어도 하나의 구획벽에 제 2 연통로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이 경우는,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긴 홈부(213a 내지 213c)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또한 그러한 긴 홈부(213a 내지 213c) 등의 개구를 폐쇄하도록 필름(214)을 접착할 필요도 없기 때문에, 간단하게 연통로의 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의 구획벽에 있어서의 대각 위치의 코너 부분에 연통로를 관통 형성하는 것만으로 좋기 때문에, 도치되었을 경우의 잉크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는 구성을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는, 제 1 연통로(예를 들면 연통로(225))와 제 2 연통로(예를 들면 연통로(222))가 제 1 구획벽과 칸막이벽(48b)에 평행한 방향(일례로서 상하 방향(Z) 및 좌우 방향(X))에 대해 서로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하 역상으로 도치되었을 경우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횡으로 넘어진 상태로 되었을 경우에도, 제 1 연통로 및 제 2 연통로 중 기액 계면으로부터 멀어진 측의 연통로의 부분에서 기액 교환을 불가능으로 할 수 있고, 잉크실(50)에 부압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잉크실(50)로부터의 잉크의 누출을 억제할 수 있다.
· 도 94 및 도 95에 도시하는 제 11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는 직사각형의 구획벽의 대각선 위치로 한정하지 않고, 상하 방향(Z) 및 좌우 방향(X)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도치되었을 경우에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 중 어느 한쪽이 기액 계면으로부터 멀어진 위치가 되면 좋기 때문에, 그 의미에서는, 제 1 연통로와 제 2 연통로는 상하 방향(Z)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면 좋고, 그 경우에 있어서 어느 쪽의 연통로가 상측에 있어도 좋다.
· 도 92 및 도 93에 도시하는 제 10 변형예에 있어서, 제 1 개구(211)와 제 2 개구(212)는, 사용시의 자세 상태에서 제 2 개구(212)가 제 1 개구(211)보다 상측에 위치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 사행 형상의 긴 홈부(213a 내지 213c) 및 사행 형상의 가는 홈(219)은 원호 형상이나 V자 형상 등의 곡선 형상으로 홈을 형성해도 좋고, 또한 직선 형상의 가는 홈(215) 및 직선 형상의 긴 홈부(230a 내지 230c)는, 사행 형상이나 만곡 형상 등 비직선 형상으로 홈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이러한 홈을 가리도록 접착되는 피복 부재는 필름 이외에 예를 들면 얇은 수지제 시트나 플레이트 등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 구획벽(201 내지 209)에 관통 형성되는 연통로는, 상기 구획벽의 코너 부분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절결되도록 형성하는 것 외에, 구획벽의 코너 부분 이외의 면 부위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 및 변형예에 있어서, 긴 홈부(213a 내지 213c)에 대응한 연통로(221, 223, 225)에 있어서의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이간한 유로 부분(221a), 223a, 225a)은 비직선 형상을 이루고 있어도 좋다. 또한, 연통로(221, 223, 225)에 있어서 칸막이벽(48b)으로부터의 거리가 칸막이벽(48b)으로부터 제 1 개구(211)에의 거리보다 큰 부분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유로 부분(221a, 223a, 225a)인 것은 필요하지 않고, 그 연통로(221, 223, 225)의 적어도 일부에 있으면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쵸크 밸브(45)는 잉크 탱크(43)의 내부에 탑재해도 좋고, 잉크 탱크(43)의 외면에 장착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잉크 탱크(43)가 횡렬 상태의 배치 형태로 연결되어 구성된 집합체가 탱크 케이스(42)에 수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쵸크 밸브(45)는, 각 잉크 탱크(43)의 저면(43c)이 구성하는 집합체의 저면, 및 각 잉크 탱크(43)의 상부면(43d)이 구성하는 집합체의 상부면을 제외한, 집합체에 있어서의 다른 측면과 탱크 케이스(42)와의 사이에 배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더(310)가 밸브폐쇄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캠(345)의 외주면에 있어서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당접하는 면 부위가 만곡면 형상을 이루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쵸크 밸브(45)가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에, 볼록부(350)에 있어서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미끄럼 접촉하는 만곡면(351)이 볼록한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해도 좋다. 또한,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로부터 밸브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에, 볼록부(350)에 있어서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미끄럼 접촉하는 만곡면(352)이 오목한 형상을 이루도록 만곡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타고 넘을 때에 슬라이더(310)로부터 캠(345)의 외주면에 작용하는 회동 저항은, 쵸크 밸브(45)를 밸브개방 상태로부터 밸브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쪽이, 쵸크 밸브(45)를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보다 커진다. 그 때문에, 캠(345)을 수동 조작에 따라서 회동시키는 것에 수반해서, 슬라이더(310)를 밸브개방 위치로부터 변위시킬 때 슬라이더(310)에 대해서 볼록부(350)의 만곡면(355)을 타고 넘게 하기 위해서 캠(345)에 작용시키는 회동 토크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된다. 따라서, 캠(345)의 볼록부(350)가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에 의해서 안정되게 걸림고정되기 때문에, 쵸크 밸브(45)를 밸브개방 상태에서 신뢰성 좋게 유지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캠(345)의 볼록부(350)는,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와 밸브폐쇄 상태와의 사이에서 전환될 때에 슬라이더(310)가 미끄럼 접촉하는 면은, 반드시 만곡면 현상을 이룰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굴곡면 형상이나 평탄면 형상을 이루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캠(345)의 볼록부(350)는, 쵸크 밸브(45)가 밸브폐쇄 상태로부터 밸브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에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미끄럼 접촉하는 면과, 쵸크 밸브(45)가 밸브개방 상태로부터 밸브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에 슬라이더(310)의 볼록조(317)가 미끄럼 접촉하는 면이 동일한 형상이여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캠(345) 중, 슬라이더(310)가 밸브폐쇄 위치에 위치할 경우에 슬라이더(310)가 당접하는 면 부위가 되는, 회동축(331)으로부터 가장 멀어진 면 부위의 근방에 볼록부(350)를 형성해도 좋다.
이 구성에서는, 슬라이더(310)를 밸브폐쇄 위치로 변위시킬 때에, 슬라이더(310)가 캠(345)의 볼록부(350)를 타고 넘을 필요가 있기 때문에, 캠(345)에 작용시키는 회동 토크가 증대한다. 그 때문에, 캠(345)이 수동 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것에 따라 슬라이더(310)가 밸브폐쇄 위치로 변위할 때에, 캠(345)의 회동 조작시에 있어서의 저항감이 변화한다. 따라서, 잉크의 유통 상태를 변환시키기 위해 변위되는 슬라이더(310)가 수동 조작에 따라서 밸브폐쇄 위치로 변위한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도 96의 제 12 변형예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제 1 단측(도 96에서는 우단측)에 설치된 기저면(50a)에 집액용 오목부(50d)(도 5 참조)를 마련하지 않고, 도출구(59)를 기저면(50a)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제 2 단측(도 96에서는 좌단측이 되는 단차 측면(50c)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96 및 도 97에 있어서는, 필름(49)(도 4 참조)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잉크 탱크(43)의 기저면(50a)측이 단차 저면(50b)측보다 높게 되도록 잉크실(50)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50b)측으로의 잉크의 유동이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억제된다. 그리고, 도출구(59)는 기저면(50a)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단차 측면(50c)측(도 96에서는 좌단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단차 측면(50c)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를 도출구(59)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도 9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잉크 탱크(43)의 단차 저면(50b)측이 기저면(50a)측보다 높게 되도록 잉크 탱크(43)가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단차 저면(50b)측으로부터 기저면(50a)측에 잉크가 유동한다. 그 때문에, 잉크실(50)에 수용된 잉크를 도출구(59)를 통해서 유출시킬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잉크실(50)의 바닥부에 복수(적어도 2개 이상)의 단차 저면(50b)이 전후 방향(Y)에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설치되도록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2개 이상의 단차 저면(50b)이 전후 방향(Y)에 따라서 계단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단차가 형성된 용적의 만큼, 경사에 의해서 단차 측면(50c)보다 단차 저면(50b)측에 모이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남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탱크(43)에 설치된 단차 저면(50b)은 기저면(50a)측이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차 저면(50b)측에 있는 잉크를 경사에 따라서 기저면(50a)측에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잉크 탱크(43)가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잉크실(50)의 바닥부에 남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단차 측면(50c)의 상단측이 단차 저면(50b)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를 짧게 하는 방향을 향해서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기저면(50a)이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 도출구(59)측이 낮아지도록 경사하고 있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기저면(50a)이 경사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기저면(50a)과 단차 저면(50b)의 길이를 동일하게 해도 괜찮고, 기저면(50a)의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길이가 단차 저면(50b)보다 길어지도록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잉크실(50)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의 중앙 부근에 기저면(50a)을 마련하고, 그 양단측에 단차 저면(50b)을 설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잉크 탱크(43)의 경사시에,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어느 쪽의 단부측이 높게 되어도 잉크를 기저면(50a)에 유동시킬 수 있으므로, 기저면(50a) 부근에 마련한 도출구(59)로부터 유출하지 않고 남는 잉크의 양을 한층 더 줄일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도출구(59)가 하부로 향해서 개구하도록 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기저면(50a)의 길이 방향(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중앙 부근에 도출구(59)를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의 단차 저면(50b)을 제 1 단차 저면(50b), 단차 측면(50c)을 제 1 단차 측면(50c)으로 하면, 도 96 및 도 97에 도시하는 제 12 변형예와 같이, 기저면(50a)과 짧은 방향(도 96 및 도 97에서는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이 되는 좌우 방향(X))으로 늘어선 제 2 단차 저면(50h) 및 제 2 단차 측면(50i)을 잉크실(50)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제 2 단차 저면(50h)은 기저면(50a)보다 높고, 또한 제 1 단차 저면(50b)보다 낮아지도록 단차를 구비하여 잉크실(5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단차 측면(50i)은 상단측이 제 2 단차 저면(50h)과 교차하는 한편 하단측이 기저면(50a)과 교차하고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잉크실(50)의 바닥부에 있어서, 도출구(59)를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기저면(50a)측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단차 저면(50h)은 기저면(50a)측이 낮아지도록 경사시켜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하면, 짧은 방향에 있어서 기저면(50a)측이 제 2 단차 저면(50h)측보다 높게 되도록 잉크실(50)이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는, 제 2 단차 저면(50h)측으로의 잉크의 유동이 제 2 단차 측면(50i)에 의해서 억제된다. 그리고, 도출구(59)는 바닥부의 짧은 방향에 있어서의 기저면(50a)측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 2 단차 측면(50i)에 의해서 기저면(50a)측에 의해 차단된 잉크를 도출구(59)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잉크실(50)이 짧은 방향에 있어서 경사 상태가 되었을 경우에도, 잉크실(50)의 바닥부에 남는 잉크의 양을 줄일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의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기저면(50a) 및 단차 측면(50c)에 발액 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기저면(50a)이나 단차 측면(50c)에 모인 잉크를 신속하게 집액용 오목부(50d) 내에 유동시키고, 도출구(59)로부터 유출시킬 수 있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 내에 설치해도 좋다.
·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 있어서, 탱크 케이스(42)를 마련하지 않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즉, 예를 들면 장치 본체(13)에 있어서의 나사 보스부(37)를 잉크 탱크(43)의 탱크 걸림고정부(6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하고, 잉크 탱크(43)를 장치 본체(13)에 직접 고정해도 좋다.
(제 3 실시형태)
상기 각 실시형태, 각 실시예에서는, 탱크 유닛(27)은 보호 케이스로서의 탱크 케이스(42)를 구비하고, 커버(44)를 탱크 케이스(42)에 구비한 기록 장치(12, 85)에 대해 설명했지만,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케이스를 탱크 유닛에 구비하지 않고, 커버(44)를 잉크 탱크에 구비한 기록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98은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체 유닛의 일례로서의 탱크 유닛(600)의 사시도이다.
액체 수용체의 일례로서의 잉크 탱크(601)에는,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양측의 측면으로 탱크 걸림고정부(603a, 603b, 603c, 603d)가 설치된다. 탱크 유닛(600)은 탱크 걸림고정부(603a, 603b, 603c, 603d)와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제 1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12)의 장착면(13a)이나 제 2 실시형태의 기록 장치(85)의 장착면(87a)에 장착된다.
잉크 탱크(601)는, 일체 성형물이며, 내부에 필름 등에 의해 구성된, 잉크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의 일례로서의 잉크실(604)이 형성되어 있다. 잉크 탱크(601)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수지제이며, 잉크 탱크(601)의 외측으로부터 잉크실(604) 내에 수용된 잉크 및 잉크의 액면이 시인 가능하다.
잉크 탱크(601)의 상부에는, 잉크실(604) 내에 잉크를 주입 가능한 액체 주입구의 일례로서의 주입구(605)가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605)는 잉크 탱크(601)에 있어서 길이 방향인 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한쪽측(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방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주입구(605)는, 잉크실(604)의 외측으로 향해 돌출하는 동시에,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 또한 수평 방향보다 상방향이 되는 우상 방향을 향해 돌출하는 통부(606)의 선단에 개구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잉크 탱크(601)의 상부에 있어서 주입구(605) 및 통부(606)가 형성되는 주입구 형성면(607)은 상하 방향(Z)과 교차하는 우상 방향(일 방향)을 향해 형성되어 있다. 즉, 주입구 형성면(607)은, 통부(606)의 기단부가 형성된 위치보다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우측이 낮고, 상하 방향(Z)에 대해서 비직교가 되도록 경사하고 있다. 통부(606)의 선단에는, 주입구(605)를 폐쇄 가능한 폐쇄 부재(58)(도 14 참조)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잉크 탱크(601)의 전면의 하부 위치에는, 잉크실(604)에 수용된 잉크를 튜브(31)(도 1 및 도 53 참조)측으로 도출하는 액체 도출구의 일례로서의 도출구(608)가 형성되어 있다. 잉크 탱크(601)에는, 잉크실(604) 내에 잉크를 수용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보다 상방 위치로부터 잉크실(604) 내에 공기를 도입하는 공기 취입구(609)가 형성되어 있다. 즉, 공기 취입구(609)는, 도 1의 액체 분사 헤드(32)에서의 잉크의 소비에 수반해서 잉크실(604)에 수용하는 잉크가 감소했을 때에, 액면보다 상방 위치로부터 잉크실(604) 내에 외기를 취입한다.
잉크 탱크(601)의 우측의 면에 있어서의 전방측에는, 눈금의 일례로서의 하한 눈금(610a)과 눈금의 일례로서의 상한 눈금(610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하한 눈금(610a)은 잉크실(604)에 잉크를 주입하는 기준이 되는 하한량을 나타내는 눈금이다. 또한, 상한 눈금(610b)은 주입구(605)로부터 주입되어 잉크실(604) 내에 수용되는 잉크의 상한량을 나타내는 눈금이다.
잉크 탱크(601)의 상부에 있어서의 후방측은 공기 취입구(609)가 형성된 공기 취입구 형성면(611)보다 상방으로 돌출한 단차부(613)가 형성된다. 단차부(613)의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우측에는,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된 제 1 레일부(614)가 설치된다. 단차부(613)의 좌우 방향(X)에 있어서의 좌측에는, 전후 방향(Y)으로 연장되는 홈부가 형성된 제 2 레일부(615)가 설치된다.
도 15의 커버(44)의 우측 벽(44b)에 있어서의 좌측 벽(44c)측의 면인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미끄럼 접촉부(80)는 제 1 레일부(614)와 결합해서 미끄럼 접촉한다. 또한, 좌측 벽(44c)에 있어서의 우측 벽(44b)측의 면인 내면에 형성된 한쌍의 미끄럼 접촉부(80)는 제 2 레일부(615)와 결합해서 미끄럼 접촉한다.
이와 같이, 단차부(613)에는, 커버(44)를 전후 방향(Y)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로서의 제 1 레일부(614)와 제 2 레일부(615)가 형성된다. 커버(44)를 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상부 벽(44a)의 전방측 단부가 잉크 탱크(601)의 전방측에 형성된 돌출부(616)를 가리는 상태로 되면, 커버(44)에 의해서, 주입구(605)가 형성된 통부(606)가 은폐된 상태로 된다. 커버(44)를 후방측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주입구(605)가 형성된 통부(606)가 노출된 상태로 된다.
제 1 레일부(614)에는, 전후 방향(Y)으로 떨어져서 늘어서고, 도 15의 스토퍼 볼록부(80a)와 결합 가능한 한쌍의 스토퍼 오목부(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볼록부(80a)가 한쌍의 스토퍼 오목부 중 전방측의 스토퍼 오목부와 결합하는 위치에서는, 통부(606)가 커버(44)에 의해서 은폐된 상태로 되고, 스토퍼 볼록부(80a)가 한쌍의 스토퍼 오목부 중 후방측의 스토퍼 오목부와 결합하는 위치에서는, 통부(606)가 노출된 상태, 즉 비은폐 상태로 된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기록 장치(12, 85)에 장착되는 탱크 유닛(600)은, 잉크를 소비하는 액체 분사 헤드(32)에 튜브(31)를 거쳐서 공급하는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실(604)과, 잉크실(604)에 수용된 잉크를 튜브(31)측에 도출하는 도출구(608)와, 잉크실(604) 내에 잉크를 주입 가능한 주입구(605)를 구비하는 잉크 탱크(601)와, 잉크 탱크(601)에 구비되어 주입구(605)를 은폐 가능한 커버(44)를 구비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는, 커버(44)를 주입구(605)가 노출하는 상태로 하면, 잉크 탱크(601)에 형성된 주입구(605)로부터 잉크실(604)에 잉크를 주입할 수 있다. 또한, 탱크 유닛(600)은 장치 본체(13, 87)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복합기(11), 기록 장치(85)를 운반할 때에 탱크 유닛(600)이 장치 본체(13, 87)로부터 이탈해 버리는 우려를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를 주입 가능한 탱크 유닛(600)을 구비한 복합기(11)나 기록 장치(85)의 운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탱크 유닛(600)에 있어서, 커버(44)는 잉크 탱크(601)의 길이 방향인 전후 방향(Y)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에 의해서 주입구(605)를 은폐하거나 노출하거나 할 때의 조작성이 용이하다.
또한, 탱크 유닛(600)에 있어서, 주입구(605)는 잉크 탱크(601)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보다 한쪽의 측(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전방측)에 구비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입구(605)는 전방측의 단부의 위치에 설치된 돌출부(616)의 후방측 근방에 설치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커버(44) 상부 벽(44a)의 전방측 단부가, 돌출부(616)를 가리는 위치로부터 돌출부(616)의 후방측 근방에 설치된 주입구(605)보다 후방측의 위치로 이동하면, 주입구(605)가 노출되므로, 유저가 커버(44)를 슬라이드 이동시켜 주입구(605)를 은폐 또는 노출할 때의 커버(44)의 이동량을 짧게 할 수 있다. 또한,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주입구(605)와 반대측(전후 방향(Y)에 있어서의 후방측)에, 커버(44)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로서의 제 1 레일부(614), 제 2 레일부(615)를 단차부(613)에 마련할 수 있다.
11 : 복합기 12 : 기록 장치
13 : 장치 본체 13a : 장착면
14 : 스캐너 유닛 15 : 스캐너 본체부
16 : 반송 유닛 17, 18 : 회전 기구
19 : 조작 패널 20 : 표시부
21 : 조작 버튼 22 : 배출구
23 : 배지대 24 : 매체 지지체
25 : 도입구 커버 27 : 탱크 유닛
28 : 스케일 수용부 28a : 스케일
29 : 캐리지 30 : 중계 어댑터
31 : 튜브 32 : 액체 분사 헤드
34 : 제 1 리브 34a : 상부 리브부
34b : 전방 리브부 34c : 만곡 리브부
34d : 후방 리브부 34e : 하부 리브부
34f : 보강 리브부 35 : 제 2 리브
36 : 나사 37 : 보스부
38 : 보스부 39 : 흡수재
40 : 연통 구멍 42 : 탱크 케이스
42M : 홈부 42a : 창부
42b : 케이스 개구부 42c : 골부
43 : 잉크 탱크 43A : 잉크 탱크
43B : 잉크 탱크 43a : 시인면
43b : 전면 43c : 저면
43d : 상부면 44 : 커버
44a : 상부 벽 44b : 우측 벽
44c : 좌측 벽 44d : 후방 벽
45 : 쵸크 밸브 46 : 오목부
47 : 밸브 레버 48 : 수용체 케이스
48 : 수용체 케이스 48a : 수용체 개구부
48b : 칸막이벽 48c : 측벽
49 : 필름 49H : 관통 구멍
49a : 영역외 부위 49b : 영역외 부위
49c : 영역외 부위 49d : 영역외 부위
50 : 잉크실 50a : 기저면
50b : 단차 저면 50c : 단차 측면
50d : 집액용 오목부 50e : 상면
50f : 우측면 50g : 후방 측면
50h : 제 2 단차 저면 50i : 제 2 단차 측면
51 : 액면 52 : 주입구
52A : 주입구 52B : 주입구
52a : 단면 53 : 통부
53A : 통부 54 : 주입구 형성면
54a : 단차부 55 : 배리어 볼록부
56 : 리브부 58 : 폐쇄 부재
58a : 계류부 58b : 노브부
58c : 끼워맞춤부 59 : 도출구
60 : 공기 취입구 62 : 탱크 걸림고정부
63a : 위치결정 오목부 63b : 위치결정 오목부
64a : 하한 눈금 64b : 상한 눈금
66 : 나사결합부 67a : 위치결정 볼록부
67b : 위치결정 볼록부 68a : 제 1 케이스 걸림고정부
68b : 제 2 케이스 걸림고정부 68c : 제 3 케이스 걸림고정부
68d : 제 4 케이스 걸림고정부 68e : 제 5 케이스 걸림고정부
69 : 결합부 71 : 손잡이부
72 : 결합 오목부 73 : 피복부
74 : 수용부 74A : 수용부
74B : 수용부 75 : 재치부
75a : 링부 75b : 크로스부
75c : 돌기 76a : 제 1 레일부
76b : 제 2 레일부 77 : 볼록조
78a : 스토퍼 볼록부 78b : 스토퍼 오목부
80 : 미끄럼 접촉부 80a : 스토퍼 볼록부
82 : 미끄럼 방지부 83 : 라벨
85 : 기록 장치 86 : 조작 버튼
87 : 장치 본체 87a : 장착면
87b : 장출부 88 : 배출구
89 : 배지대 90 : 매체 지지체
91 : 스페이서 93 : 어태치먼트
94 : 통부 95 : 주입구 형성면
96 : 배리어 오목부 97 : 흡수재
98 : 흡수재 99 : 흡수재
101 : 제 1 리브부 101a 내지 103a : 접착면
102 : 제 2 교차 리브부 103 : 제 3 교차 리브부
104 : 제 1 연장부 105 : 연통부
105, 106 : 연통부 106 : 연통부
111 : 제 1 종 리브부 111a 내지 118a : 접착면
112 : 제 2 종 리브부 113 : 제 3 종 리브부
114 : 제 4 종 리브부 115 : 제 5 종 리브부
116 : 제 6 종 리브부 117 : 제 7 종 리브부
118 : 제 8 종 리브부 119 : 제 2 연장부
121 : 제 1 돌출부 122 : 제 2 돌출부
125 : 수용체 케이스 125a : 수용체 개구부
125b : 칸막이벽 126 : 탱크 걸림고정부
131 : 제 1 횡 리브부 131a 내지 136a : 접착면
131 내지 136 : 횡 리브부 132 : 제 2 횡 리브부
133 : 제 3 횡 리브부 134 : 제 4 횡 리브부
135 : 제 5 횡 리브부 136 : 제 6 횡 리브부
137 : 제 3 연장부 141 : 제 1 사방 리브부
142 : 제 2 사방 리브부 200 : 공기실
200a : 제 1 공기 소실 200b : 제 2 공기 소실
200c : 제 3 공기 소실 200d : 제 4 공기 소실
200e : 제 5 공기 소실 200f : 제 6 공기 소실
200g : 제 7 공기 소실 200h : 제 8 공기 소실
200i : 제 9 공기 소실 200j : 제 10 공기 소실
201 : 제 1 구획벽 202 : 제 2 구획벽
203 : 제 3 구획벽 204 : 제 4 구획벽
205 : 제 5 구획벽 206 : 제 6 구획벽
207 : 제 7 구획벽 208 : 제 8 구획벽
209 : 제 9 구획벽 210 : 연통구
211 : 제 1 개구 212 : 제 2 개구
213a : 제 1 긴 홈부 213b : 제 2 긴 홈부
213c : 제 3 긴 홈부 214 : 필름
215 : 가는 홈 215, 219 : 가는 홈
216a : 연통 구멍 216b : 연통 구멍
217 : 오목한 홈 218a : 연통 구멍
218b : 연통 구멍 219 : 가는 홈
220 : 필름 221 내지 229 : 각 연통로
221a : 유로 부분 230a 내지 230c : 긴 홈부
301 : 고정 리브 302 : 케이스
303, 304 : 케이스 유닛 303a, 303b, 303c : 벽부
304 : 케이스 유닛 304a, 304b, 304c : 벽부
305 : 오목부 307a, 307b, 307c : 오목한 홈
310 : 슬라이더 311 : 기체
312a : 돌기부 312b : 돌기부
313 : 벽부 314 : 내저면
315a : 압압부 315b : 압압부
316 : 외저면 317 : 볼록조
320 : 결합부 325 : 볼록부
331 : 회동축 340 : 부착부
341 : 파지부 342 : 걸림고정 갈고리
343 : 외측면 344 : 오목한 홈
345 : 캠 346 : 끼워맞춤 오목부
347 : 끼워맞춤 볼록부 348 : 평탄면
350 : 볼록부 351, 352 : 만곡면
353 : 코너부 355 : 만곡면
356 : 면 부위 360 : 피결합부
361 : 브래킷 362 : 관통 구멍
364 : 나사 구멍 400 : 잉크 용기
401 : 본체부 402 : 병입구부
403 : 캡 부재 404 : 주입구
405 : 당접부 410 : 유로
501 : 구멍 부분 502 : 갈고리부
600 : 탱크 유닛 601 : 잉크 탱크
603a : 탱크 걸림고정부 603b : 탱크 걸림고정부
603c : 탱크 걸림고정부 603d : 탱크 걸림고정부
604 : 잉크실 605 : 주입구
606 : 통부 607 : 주입구 형성면
608 : 도출구 609 : 공기 취입구
610a : 하한 눈금 610b : 상한 눈금
611 : 공기 취입구 형성면 613 : 단차부
614 : 제 1 레일부 615 : 제 2 레일부
616 : 돌출부

Claims (40)

  1.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에 공급하는 상기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 내로부터 상기 액체 소비부에 향하여 상기 액체를 유출시키는 액체 도출구와,
    상기 액체 수용실 내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기 위한 액체 주입구를 구비하는 액체 수용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수용실은, 상기 액체 수용실에 수용된 상기 액체의 액면을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며 또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인면을 가지는 제 1 측면과, 상기 액체 수용실의 바닥부에서 상기 제 1 측면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면과, 상기 기저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 1 측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면을 구비하고,
    상기 기저면은, 상기 제 1 측면보다 상기 제 2 측면에 가까운 측에 상기 액체 도출구가 마련되며, 또한, 상기 기저면의 상기 제 2 측면측이 상기 제 1 측면측보다 낮도록 형성되고,
    상기 시인면에, 상기 액체 수용실에 상기 액체를 주입하는 기준이 되는 하한량을 나타내는 하한 눈금이 형성되고,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하한 눈금보다 낮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저면은, 상기 제 2 측면측이 상기 제 1 측면측보다 낮아지도록 경사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도출구는, 상기 기저면에 마련된 오목부 내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면의 상기 하한 눈금보다 하부는 케이스로 덮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수용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57005222A 2012-08-10 2013-08-02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 KR101953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78147 2012-08-10
JPJP-P-2012-178824 2012-08-10
JPJP-P-2012-178822 2012-08-10
JP2012178826 2012-08-10
JP2012178825 2012-08-10
JPJP-P-2012-178825 2012-08-10
JP2012178824A JP6127406B2 (ja) 2012-08-10 2012-08-10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
JP2012178147 2012-08-10
JP2012178823 2012-08-10
JP2012178822A JP2014037057A (ja) 2012-08-10 2012-08-10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
JPJP-P-2012-178823 2012-08-10
JPJP-P-2012-178821 2012-08-10
JP2012178821 2012-08-10
JPJP-P-2012-178826 2012-08-10
JP2012203717A JP6089523B2 (ja) 2012-09-14 2012-09-14 液体収容体及び液体消費装置
JPJP-P-2012-203719 2012-09-14
JP2012203719A JP6083167B2 (ja) 2012-09-14 2012-09-14 液体収容体及び液体消費装置
JP2012203718A JP5958220B2 (ja) 2012-09-14 2012-09-14 液体収容体及び液体消費装置
JPJP-P-2012-203718 2012-09-14
JPJP-P-2012-203717 2012-09-14
JP2012237565A JP6236762B2 (ja) 2012-08-10 2012-10-29 液体消費装置
JPJP-P-2012-237565 2012-10-29
JP2012241218A JP6115080B2 (ja) 2012-08-10 2012-10-31 液体供給システム、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
JPJP-P-2012-240458 2012-10-31
JP2012240458A JP6155598B2 (ja) 2012-08-10 2012-10-31 液体消費装置、液体供給システム
JPJP-P-2012-241218 2012-10-31
JPJP-P-2012-248363 2012-11-12
JP2012248363A JP5958292B2 (ja) 2012-08-10 2012-11-12 インクタンク
JP2012252657A JP6155606B2 (ja) 2012-08-10 2012-11-16 液体収容体ユニット、液体消費装置
JPJP-P-2012-252657 2012-11-16
PCT/JP2013/004712 WO2014024458A1 (ja) 2012-08-10 2013-08-02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液体供給システム、液体収容体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810A KR20150039810A (ko) 2015-04-13
KR101953429B1 true KR101953429B1 (ko) 2019-02-28

Family

ID=50820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5222A KR101953429B1 (ko) 2012-08-10 2013-08-02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9079413B2 (ko)
EP (1) EP2883704B1 (ko)
KR (1) KR101953429B1 (ko)
CN (8) CN106476443A (ko)
BR (1) BR112015002857A2 (ko)
MX (1) MX2015001738A (ko)
MY (1) MY166230A (ko)
RU (2) RU2018105185A (ko)
TW (5) TWI663072B (ko)
WO (1) WO2014024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28340B (zh) * 2013-06-05 2016-05-1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记录装置
US9109132B2 (en) * 2013-08-19 2015-08-18 Seiko Epson Corporation Ink container
JP6260196B2 (ja) * 2013-10-23 2018-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6303520B2 (ja) * 2014-01-16 2018-04-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ならびに収容ユニット
JP6323091B2 (ja) * 2014-03-14 2018-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US9796185B2 (en) 2014-03-14 2017-10-24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with housing and attached case
JP6287510B2 (ja) 2014-04-08 2018-03-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
JP2015199261A (ja) * 2014-04-08 2015-1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15199264A (ja) 2014-04-08 2015-11-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6387694B2 (ja) 2014-06-12 2018-09-1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JP6460304B2 (ja) * 2014-06-12 2019-01-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及び複合機
JP6459673B2 (ja) * 2014-07-25 2019-01-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6402985B2 (ja) * 2014-09-08 2018-10-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
JP6432261B2 (ja) 2014-09-30 2018-12-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消費装置
JP6447016B2 (ja) * 2014-10-31 2019-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とボトルのセット、及びボトル
JP6467868B2 (ja) * 2014-10-31 2019-02-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及びタンクとボトルのセット
WO2016093304A1 (ja) * 2014-12-10 2016-06-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収容ユニットと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JP6476888B2 (ja) * 2015-01-19 2019-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CN107206804B (zh) * 2015-01-19 2019-04-02 兄弟工业株式会社 液体消耗设备
JP6503801B2 (ja) * 2015-03-12 2019-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ユニット、及び、液体収容体
JP6631019B2 (ja) * 2015-03-12 2020-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ユニット
JP6554835B2 (ja) * 2015-03-12 2019-08-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6609943B2 (ja) * 2015-03-12 2019-11-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16172358A (ja) * 2015-03-17 2016-09-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液体噴射装置
JP2016182731A (ja) * 2015-03-26 2016-10-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TW201641310A (zh) * 2015-03-30 2016-12-01 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液體供給裝置及印刷裝置
TWI675758B (zh) 2015-03-30 2019-11-01 日商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印刷裝置
JP6536178B2 (ja) * 2015-05-29 2019-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WO2016199420A1 (ja) 2015-06-09 2016-12-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装置、タンクユニット、プリンター
JP6790357B2 (ja) * 2015-12-24 2020-11-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
JP6696127B2 (ja) * 2015-08-10 2020-05-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6693076B2 (ja) 2015-09-30 2020-05-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
CA2997341C (en) 2015-10-08 2024-03-26 Sicpa Holding Sa Secure refill system
USD792924S1 (en) * 2015-10-30 2017-07-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ing device
JP6498098B2 (ja) 2015-10-30 2019-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液体収容部材
JP6651806B2 (ja) * 2015-11-20 2020-0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噴射システム
CN205149208U (zh) * 2015-12-02 2016-04-13 兄弟工业株式会社 墨容纳单元和喷墨打印机
JP2017104993A (ja) * 2015-12-07 2017-06-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ユニット及び記録装置
JP6772510B2 (ja) * 2016-03-30 2020-10-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用キャップ、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CN107264046B (zh) 2016-03-30 2020-12-08 精工爱普生株式会社 盖子和打印机
JP7233155B2 (ja) * 2016-03-31 2023-03-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セット及び液体消費装置
JP6775992B2 (ja) * 2016-04-22 2020-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US10093105B2 (en) 2016-04-22 2018-10-09 Canon Kabushiki Kaisha Liquid storage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TWI774588B (zh) * 2016-06-10 2022-08-11 日商精工愛普生股份有限公司 墨水補給容器
US10350901B2 (en) * 2016-06-10 2019-07-16 Seiko Epson Corporation Ink bottle
US10286677B2 (en) 2016-07-11 2019-05-14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supply device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US10166780B2 (en) * 2016-08-24 2019-01-0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accommodating body, liquid filling method,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6819207B2 (ja) 2016-10-21 2021-01-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供給装置
JP6880754B2 (ja) 2017-01-12 2021-06-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滴噴射装置
JP2018144239A (ja) * 2017-03-01 2018-09-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リンター、インクボトル
JP6961962B2 (ja) 2017-03-16 2021-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
JP2018161852A (ja) 2017-03-27 2018-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888427B2 (ja) * 2017-05-31 2021-06-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供給装置
WO2019012786A1 (ja) 2017-07-12 2019-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US11141983B2 (en) 2017-08-07 2021-10-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int fluid tank
CN111527240B (zh) * 2018-01-09 2022-08-16 竹原隆 便携式气体供给装置
JP7056184B2 (ja) * 2018-01-31 2022-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タンク、液体噴射装置
JP7073998B2 (ja) * 2018-09-18 2022-05-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CN211591854U (zh) 2018-09-28 2020-09-29 兄弟工业株式会社 液体收容容器以及记录装置
JP7205295B2 (ja) * 2019-02-27 2023-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JP7379831B2 (ja) * 2019-02-28 2023-1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
CN113840734B (zh) 2019-05-23 2023-02-24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具有可从外部着色剂供应源填充的储存器的打印设备的可选择的填充模式
CN110356121B (zh) * 2019-08-27 2024-06-04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墨水容器和喷墨打印机
WO2021183100A1 (en) * 2020-03-09 2021-09-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ic die with high aspect ratio power bond pads
JP7406442B2 (ja) * 2020-04-10 2023-12-27 株式会社丸山製作所 液体吐出装置
JP7527869B2 (ja) * 2020-07-07 2024-08-05 キヤノン株式会社 貯留装置および液体吐出装置
CN112046161A (zh) * 2020-08-31 2020-12-08 安徽天翔高新特种包装材料集团有限公司 一种凹版印刷与uv同步套印工艺
JP2022126443A (ja) * 2021-02-18 2022-08-3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及び液体吐出装置
CN115107373B (zh) 2021-03-19 2023-08-2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JP2022144519A (ja) 2021-03-19 2022-10-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
JP2023059392A (ja) * 2021-10-15 2023-04-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ユニット及び液体吐出装置
JP2023083127A (ja) * 2021-12-03 2023-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ユニット、ヘッドシステム、インク供給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1145A (en) 1980-04-04 1981-11-04 Nec Corp Gas discharge display unit
US4769658A (en) 1986-09-16 1988-09-06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with pressure adjustable mechanisms for discharging a constant ink amount
JPS63267557A (ja) * 1987-04-24 1988-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エツト用インクタンクのインク充填方法
US6097407A (en) * 1988-11-09 2000-08-01 Canon Kabushiki Kaisha Package for ink jet head
JP2724004B2 (ja) * 1988-11-09 1998-03-0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ヘッドの収納容器
US5231416A (en) 1988-11-09 1993-07-27 Canon Kabushiki Kaisha Container for ink jet head and recovering method of ink jet head using container
JPH02224732A (ja) * 1989-02-28 1990-09-06 Canon Inc 眼科装置
JP3582592B2 (ja) * 2001-04-03 2004-10-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434603A (en) * 1991-06-19 1995-07-18 Hewlett-Packard Company Ink cartridge with passageway for ink level indicator
US5757390A (en) * 1992-08-12 1998-05-26 Hewlett-Packard Company Ink volume sensing and replenishing system
JP2970381B2 (ja) * 1994-01-20 1999-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3062030B2 (ja) * 1995-02-28 2000-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DE29522166U1 (de) 1994-08-24 2000-05-04 Canon K.K., Tokio/Tokyo Tintenbehälter für einen Tintenstrahldrucker, Halter für den Behälterwagen für den Halter und Tintenstrahldrucker
JPH092084A (ja) * 1995-06-21 1997-01-07 Calsonic Corp 紐付きキャップ
JPH09131897A (ja) * 1995-07-29 1997-05-20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におけるインクカートリッヂ並びにそのインク消費状況検出表示装置
JP3510019B2 (ja) * 1995-09-04 2004-03-22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09109407A (ja) * 1995-10-18 1997-04-28 Kao Corp インク補充装置
KR100209510B1 (ko) * 1996-03-08 1999-07-15 윤종용 잉크제트 프린터의 잉크 공급 장치
US6176572B1 (en) * 1996-06-13 2001-01-23 Minolta Co., Ltd. Ink jet recorder
JP3245088B2 (ja) 1996-07-01 2002-01-07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ヘッドカートリッジ及び該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液体収容容器
JPH10100429A (ja) * 1996-09-27 1998-04-21 Citizen Watch Co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10193639A (ja) * 1996-12-28 1998-07-28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TW470707B (en) * 1998-01-27 2002-01-01 Gen Co Ltd Method for supplementing ink and ink supplement jig used for execution of the method
US6059401A (en) * 1998-03-19 2000-05-09 Hewlett-Packard Company Alignment coupling device for manually connecting an ink supply to an inkjet print cartridge
SG100698A1 (en) * 1998-05-13 2003-12-26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for ink-jet printing apparatus
JP2000109075A (ja) * 1998-10-05 2000-04-18 Mitsuhisa Hirayama キャップホルダーを設けたプラスチックボトル
JP2000153619A (ja) * 1998-11-24 2000-06-06 Seiko Epson Corp プリンタ並びにその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2000301732A (ja) 1999-04-19 2000-10-31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6412929B1 (en) * 1999-07-26 2002-07-02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Apparatus for supplying fluid to an ink jet nozzle
JP2001138537A (ja) * 1999-08-30 2001-05-22 Canon Inc インク保持部材へのインク充填方法、インク充填装置、前記インク充填方法によりインクが充填されるインクタンク
US6634746B2 (en) 2000-03-02 2003-10-21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JP3472272B2 (ja) * 2000-03-02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1301196A (ja) * 2000-04-21 2001-10-30 Canon Inc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2001981A (ja) * 2000-06-21 2002-01-08 Canon Inc 液体収納容器及び該容器への液体注入方法
JP2002001987A (ja) 2000-06-23 2002-01-08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方式画像形成装置
JP2002307702A (ja) * 2001-04-09 2002-10-23 Sanwa Supply Kk インクカートリッジ用インク補充器
TWI277533B (en) * 2001-05-17 2007-04-01 Seiko Epson Corp Ink cartridge and method of ink injection thereinto
JP2003266725A (ja) * 2002-03-12 2003-09-24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装着方法
JP2004106300A (ja) * 2002-09-17 2004-04-08 Sharp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4115120A (ja) * 2002-09-20 2004-04-15 Katsuhiko Yamagishi キャップホルダー並びにキャップホルダー付きペットボトル
JP4290962B2 (ja) 2002-11-01 2009-07-0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インク供給機構
JP2004345316A (ja) * 2003-05-26 2004-12-09 Canon Finetech Inc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292929B2 (ja) * 2003-09-19 2009-07-08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415629B2 (ja) * 2003-09-30 2010-02-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217801C (zh) 2003-11-28 2005-09-07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喷墨打印机墨盒
US7192126B2 (en) * 2004-01-06 2007-03-20 Fuji Xerox Co., Ltd. Systems, methods and structure for maximizing efficiency of refillable fluid ejection head
CN2691854Y (zh) * 2004-02-06 2005-04-13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恒压连续供墨器
JP4556540B2 (ja) * 2004-08-06 2010-10-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導出管取り付け構造及び液体噴射装置
JP2006110946A (ja) * 2004-10-18 2006-04-27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N102555503B (zh) * 2005-02-02 2014-12-17 精工爱普生株式会社 附加装置、液体容器、以及液体供应装置
US7290870B2 (en) * 2005-09-29 2007-11-06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JP2007196650A (ja) 2005-11-28 2007-08-09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539517B2 (ja) * 2005-09-29 2010-09-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7287845B2 (en) * 2005-09-29 2007-10-30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s
JP2007160749A (ja) 2005-12-14 2007-06-28 Fujifilm Corp 液体収納容器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0855544B1 (ko) 2006-03-18 2008-09-01 주식회사 잉크테크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 및 잉크충전방법
KR100809884B1 (ko) * 2006-03-28 2008-03-06 주식회사 잉크테크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
JP2007330495A (ja) * 2006-06-15 2007-12-27 Yaizu Suisankagaku Industry Co Ltd 流動物投与用袋状容器
KR100936840B1 (ko) 2006-08-11 2010-01-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주입 방법, 액체 수용 용기 및 액체 수용 용기의 제조 방법
GB2451194B (en) 2006-08-11 2009-07-01 Seiko Epson Corp Liquid injecting method and liquid container
GB2440834B (en) 2006-08-11 2009-04-15 Seiko Epson Corp Liquid injecting method and liquid container
KR20080014664A (ko) 2006-08-11 2008-02-14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액체 주입 방법 및 액체 수용 용기
JP4992338B2 (ja) * 2006-08-11 2012-08-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EP1886822A2 (en) 2006-08-11 2008-02-13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injecting method and liquid container
ATE494148T1 (de) * 2006-11-06 2011-01-15 Seiko Epson Corp Flüssigkeitsbehälter
JPWO2008056736A1 (ja) 2006-11-10 2010-02-25 株式会社クローズアップ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4967736B2 (ja) * 2006-12-26 2012-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4256427B2 (ja) * 2007-01-23 2009-04-22 株式会社東芝 液体容器、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WO2008095077A1 (en) * 2007-01-31 2008-08-07 Fujifilm Dimatix, Inc. Printer with configurable memory
JP5171095B2 (ja) * 2007-04-12 2013-03-27 セーレ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4924830B2 (ja) 2007-07-31 2012-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供給装置及びインクジェット画像記録装置
JP5115237B2 (ja) * 2008-02-29 2013-01-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8616689B2 (en) * 2008-05-23 2013-12-31 Fujifilm Corporation Circulating fluid for fluid droplet ejecting
JP5104548B2 (ja) * 2008-05-27 2012-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56589B2 (ja) * 2008-05-29 2012-10-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
JP5471260B2 (ja) * 2008-11-14 2014-04-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CN201317161Y (zh) * 2008-12-04 2009-09-30 珠海纳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喷墨打印机的墨盒
JP2010168087A (ja) * 2009-01-26 2010-08-05 Toyoda Gosei Co Ltd キャップ装置
JP2010196550A (ja) * 2009-02-24 2010-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軸とレバーの取付構造、回転軸とレバーの取付方法、及び、流体機械
JP5195544B2 (ja) 2009-03-12 2013-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JP2010214920A (ja) * 2009-03-19 2010-09-30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容器
JP5299145B2 (ja) 2009-07-27 2013-09-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供給装置
CN201494097U (zh) * 2009-08-28 2010-06-02 珠海天威飞马打印耗材有限公司 墨盒
JP5522509B2 (ja) * 2009-09-04 2014-06-18 株式会社リコー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316326B2 (ja) * 2009-09-04 2013-10-16 株式会社リコー 液体収容容器、液体収容容器の組立て方法、液体収容容器の分解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5564988B2 (ja) 2010-02-26 2014-08-0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液体還元剤貯蔵タンクのブリーザーパイプ構造
JP2011235538A (ja) * 2010-05-11 2011-11-2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装置
EP2479034A4 (en) * 2010-07-15 2015-04-29 Seiko Epson Corp LIQUID CONTAINER AND LIQUID BEAM SYSTEM
JP5691307B2 (ja) * 2010-09-03 2015-04-0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552931B2 (ja) * 2010-07-15 2014-07-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454398B2 (ja) 2010-07-15 2014-03-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タンクユニット、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644279B2 (ja) 2010-09-03 2014-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2012066563A (ja) 2010-08-24 2012-04-05 Seiko Epson Corp 印刷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5866856B2 (ja) 2010-09-03 2016-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を備える液体消費装置
JP5327168B2 (ja) * 2010-09-03 2013-10-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タンクユニット、タンクユニットを備えた液体噴射システム
JP5633257B2 (ja) * 2010-09-03 2014-1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液体供給システムを備える液体消費装置
JP6021294B2 (ja) * 2010-09-14 2016-11-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5760399B2 (ja) 2010-11-16 2015-08-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補充容器
JP2012111167A (ja) * 2010-11-26 2012-06-1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液体噴射システム
JP5724398B2 (ja) * 2011-01-14 2015-05-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容器ユニット、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TWM410749U (en) * 2011-02-18 2011-09-01 Jing Nan Traffic Engineering Co Ltd Traffic cone ballast structure
CN202271662U (zh) * 2011-06-30 2012-06-13 珠海纳思达企业管理有限公司 一种喷墨打印机用墨盒
CN202225551U (zh) * 2011-08-17 2012-05-23 郑华星 一种透气防尘不漏墨大墨盒
JP6230231B2 (ja) * 2012-12-28 2017-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
BR112016000440B1 (pt) * 2013-07-11 2021-08-31 Smc Corporation Dispositivo de circulação de fluido de temperatura constan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811575A (zh) 2018-04-01
CN107867076A (zh) 2018-04-03
TWI649217B (zh) 2019-02-01
CN103568581A (zh) 2014-02-12
RU2018105185A (ru) 2019-02-25
BR112015002857A2 (pt) 2018-07-24
CN106626785A (zh) 2017-05-10
CN106427222A (zh) 2017-02-22
US20140043408A1 (en) 2014-02-13
US10112399B2 (en) 2018-10-30
EP2883704A4 (en) 2017-01-04
MX2015001738A (es) 2015-10-14
CN105856851A (zh) 2016-08-17
US20150306882A1 (en) 2015-10-29
WO2014024458A1 (ja) 2014-02-13
TW201808662A (zh) 2018-03-16
US20160159099A1 (en) 2016-06-09
TW201808661A (zh) 2018-03-16
MY166230A (en) 2018-06-22
CN103568581B (zh) 2016-11-23
KR20150039810A (ko) 2015-04-13
CN106427222B (zh) 2018-05-29
CN106476443A (zh) 2017-03-08
TWI655104B (zh) 2019-04-01
CN106427223A (zh) 2017-02-22
CN106626785B (zh) 2018-08-28
CN105856851B (zh) 2018-01-26
CN106626784A (zh) 2017-05-10
TW201408504A (zh) 2014-03-01
CN106427223B (zh) 2018-04-10
EP2883704A1 (en) 2015-06-17
RU2015107752A (ru) 2016-09-27
US9079413B2 (en) 2015-07-14
TWI613097B (zh) 2018-02-01
US9290001B2 (en) 2016-03-22
EP2883704B1 (en) 2018-09-26
CN107867076B (zh) 2019-08-30
TWI663072B (zh) 2019-06-21
TW201811576A (zh) 2018-04-01
RU2647099C2 (ru) 2018-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3429B1 (ko) 액체 수용체, 액체 소비 장치, 액체 공급 시스템 및 액체 수용체 유닛
JP6241507B2 (ja) インク消費装置
JP6115080B2 (ja) 液体供給システム、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
US20240173985A1 (en) Ink refill container and ink refill system
JP6083167B2 (ja) 液体収容体及び液体消費装置
JP6155598B2 (ja) 液体消費装置、液体供給システム
JP2014037058A (ja)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
JP2014037057A (ja) 液体収容体、液体消費装置
CN107972361B (zh) 墨水容纳体以及打印机
JP6089523B2 (ja) 液体収容体及び液体消費装置
JP6127582B2 (ja) 液体収容容器
JP5958220B2 (ja) 液体収容体及び液体消費装置
JP6142573B2 (ja) 液体収容容器
JP2014058087A (ja) 液体収容体、液体収容体ユニット、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体の製造方法
JP6236762B2 (ja) 液体消費装置
JP6274259B2 (ja) 液体収容体
JP6155606B2 (ja) 液体収容体ユニット、液体消費装置
JP2014058086A (ja) 液体収容体ユニット及び液体消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