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53218B1 -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218B1
KR101953218B1 KR1020170087314A KR20170087314A KR101953218B1 KR 101953218 B1 KR101953218 B1 KR 101953218B1 KR 1020170087314 A KR1020170087314 A KR 1020170087314A KR 20170087314 A KR20170087314 A KR 20170087314A KR 101953218 B1 KR101953218 B1 KR 101953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alyst
oxygen
hydrocarbon compound
stage
exemplary embodi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385A (ko
Inventor
김가영
하정명
최재욱
제정호
서동진
윤영현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218B1/ko
Publication of KR20190006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21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3/00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from oxygen-containing organic materials, e.g. fatty oils, fatty acids
    • C10G3/42Catalytic treatment
    • C10G3/44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 C10G3/47Catalytic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catalyst used containing platinum group 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38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 B01J23/4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noble metals of the platinum group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Cobal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4Iron group metals
    • B01J23/755Nick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7/00Processes, in general, for preparing catalysts; Processes, in general, for activation of catalysts
    • B01J37/02Impregnation, coating or precipitation
    • B01J37/0201Impregn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atalyst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는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방법은 수소화 촉매를 이용한 제1단 반응;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이용한 제2단 반응을 포함하여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첨탈산소 반응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METHOD OF TWO-STEP REACTION OF PRODUCING DEOXYGENATED FUELS FROM OXYGENATED HYDROCARBONS}
본 명세서에는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목재, 건축 폐기물, 음식물 쓰레기 등 유기성 폐자원과 목재, 초본 등 바이오매스는 미래의 지속가능한 에너지 원료 및 화학 제품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매스의 당 성분을 생물학적으로 발효시키거나 화학적으로 열 및 촉매 반응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이 많이 개발되었으나, 이 경우 당을 제외한 다른 탄소원들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바이오매스 및 유기성 폐자원의 전성분을 활용하는 방법으로 열분해 공정이 제안되었다. 열분해 공정은 고온으로 유기물을 분해하여 액체 저분자 탄화수소, 고체 촤, 기체 생성물을 얻는데, 이 중에서 액체 저분자 탄화수소는 난방 및 수송 연료로 사용할 수 있다.
열분해 공정으로 얻어지는 액체 생성물인 열분해 오일은 탄화수소로서 난방 및 수송 연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높은 산소 함량 때문에 고급 연료로서 가치가 낮으며 기존의 난방기 및 차량 엔진에 직접 사용하기 어렵다. 기존 석유 연료와 유사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혼합물인 열분해 오일로부터 산소를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방법이 수첨탈산소 반응이다.
수첨탈산소 반응은 탈산소 공정으로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기대되나, 실제 연속 반응 운전에서는 촉매층에서 발생하는 급격한 코크 생성, 낮은 촉매 활성 등으로 상업적인 활용이 가능한 반응 시스템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연속 반응기 운전이 가능하도록 코크 생성을 억제하고 촉매 반응 활성을 전체적으로 높이는 촉매 및 반응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1129호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는 제1단의 수소화 촉매와 제2단의 수첨탈산소 촉매를 사용하여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2단 반응의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수소화 촉매를 이용한 제1단 반응;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이용한 제2단 반응을 포함하는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카본 지지체 또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 니켈(Ni) 또는 루테늄(Ru)을 포함하는 수소화 촉매를 이용한 제1단 반응; 및 카본 지지체 또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루테늄(Ru), 팔라듐(Pd), 백금(Pt), 니켈(Ni) 또는 코발트(Co)를 포함하는 수첨탈산소 촉매를 이용한 제2단 반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산화물 지지체는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실리카-알루미나(silica-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텅스테이티드 지르코니아(tungstated-zircon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지지체에 팔라듐(Pd) 또는 니켈(Ni)이 담지된 것이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지지체에 루테늄(Ru)이 담지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카본 지지체 또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Ni) 또는 루테늄(Ru)을 포함하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 또는 니켈(Ni)을 포함하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루테늄(R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을 포함하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백금(Pt), 니켈(Ni) 또는 코발트(Co)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단 및 제2단 반응은 연속식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반응기 내에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과 수소를 투입하는 단계; 수소화 촉매를 가하여 수소화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가하여 수첨탈산소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과 수소는 1:1 내지 1:10,000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반응은 100 내지 20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첨탈산소 반응은 250 내지 50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제1단의 수소화 촉매와 제2단의 수첨탈산소 촉매를 사용하여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2단 반응의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방법은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첨탈산소 반응성을 향상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첨탈산소 반응에 사용되는 종래 1단 반응기(a) 및 본 명세서에 따른 2단 반응기(b)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일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수소화 촉매를 이용한 제1단 반응;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이용한 제2단 반응을 포함하는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방법은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 예컨대 열분해 오일의 수소화 및 수첨탈산소화를 통해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방법은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에 수소화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2단계로 가하여 반응성을 향상시킨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로부터 산소 원자를 제거하는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첨탈산소 반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로부터 고수율의 탈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은 산소 원자를 분자 구조 내에 포함하는 탄화수소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탄소, 수소 및 산소 원자를 포함하며, 예컨대 목재, 초본을 포함하는 다양한 바이오매스, 유기성 폐기물, 플라스틱 등의 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저탄소 화합물의 혼합물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은 바이오매스의 열분해 오일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은 구아이아콜, 다이페닐에테르 및 벤질페닐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구아이아콜, 다이페닐에테르 및 벤질페닐에테르는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열분해 오일에서 얻어진 리그닌 단량체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카본 지지체 또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 니켈(Ni) 또는 루테늄(Ru)을 포함하는 수소화 촉매를 이용한 제1단 반응; 및 카본 지지체 또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루테늄(Ru), 팔라듐(Pd), 백금(Pt), 니켈(Ni) 또는 코발트(Co)를 포함하는 수첨탈산소 촉매를 이용한 제2단 반응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카본 지지체는 카본블랙, 탄소나노튜브(CNT), 그라파이트(Graphite), 그라핀(Graphene), 활성탄(Activated charcoal), 다공성 카본(Mesoporous Carbon), 카본 섬유(Carbon fiber) 및 카본 나노 와이어(Carbon nano wir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금속산화물 지지체는 실리카(silica), 알루미나(alumina), 실리카-알루미나(silica-alumina), 지르코니아(zirconia), 텅스테이티드 지르코니아(tungstated-zirconi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의 지지체는 카본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의 지지체는 금속산화물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의 지지체는 텅스테이티드 지르코니아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촉매에서, 상기 지지체에 담지된 금속은 단일 금속 또는 2종 이상의 금속이 담지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지지체에 팔라듐(Pd) 또는 니켈(Ni)이 담지된 것이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지지체에 루테늄(Ru)이 담지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카본 지지체 또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니켈(Ni) 또는 루테늄(Ru)을 포함하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 또는 니켈(Ni)을 포함하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금속산화물 지지체에 담지된 루테늄(Ru)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을 포함하고, 상기 수첨탈산소 촉매는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백금(Pt), 니켈(Ni) 또는 코발트(Co)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지지체에 담지된 금속 촉매 성분의 함량은 촉매 총 중량에 대해 각각 0.01 내지 30 중량%인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상기 지지체에 담지된 금속 촉매 성분의 함량은 촉매 총 중량에 대해 각각 0.01 중량% 이상, 0.1 중량% 이상, 1 중량% 이상, 3 중량% 이상, 5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15 중량% 이상, 18 중량% 이상 또는 20 중량% 이상이면서 30 중량% 이하, 25 중량% 이하, 23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8 중량% 또는 5 중량% 이하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단 및 제2단 반응은 연속식 반응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따른 2단 반응의 탈산소 반응 방법은 연속 반응기 운전이 가능하도록 코크 생성을 억제하고 촉매 반응 활성을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반응기 내에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과 수소를 투입하는 단계; 수소화 촉매를 가하여 수소화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가하여 수첨탈산소 반응을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과 수소는 1:1 내지 1:10,000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반응은 100 내지 20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첨탈산소 반응은 250 내지 500 ℃, 또는 300 내지 500 ℃, 또는 300 내지 450 ℃, 또는 300 내지 40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수소화 반응 및 수첨탈산소 반응은 촉매 전체 부피에 대해 0.1 내지 5 h-1의 액체공간속도(Liquid Hourly Space Velocity, LHSV)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로부터 탈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은 상기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화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방법은 촉매 성분의 전구체 수용액을 지지체와 혼합하여 함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촉매 성분의 전구체 수용액을 함침시킨 지지체를 환원 소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촉매 성분의 전구체인 금속 전구체는 금속 염 화합물, 금속 아세테이트 화합물, 금속 할로겐 화합물, 금속 나이트레이트 화합물, 금속 하이드록사이드 화합물, 금속 카르보닐 화합물, 금속 설페이트 화합물 및 금속 지방산염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소성 공정은 불활성 기체로 수소가 희석된 분위기 하에서 1 내지 20시간 동안 300 내지 600 ℃에서 실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지지체 5 g과 금속 전구체 (질산화물, 각 금속 전구체에 대해 Ni: 6.26 g, Pd: 0.66 g, Ru: 0.35 g, Co: 2.83 g, Pt: 0.70 g)를 증류수 30 g과 혼합하고 상온 상압 조건에서 12시간 동안 교반시켰다. 혼합물은 70 ℃에서 감압건조한 후 105 ℃에서 진공 건조시켰다. 완전히 건조된 촉매는 Pd, Ru, Co, Pt의 경우 350 ℃에서 2시간, Ni의 경우 550 ℃에서 2시간 동안 아르곤 기체에 혼합된 5 부피% 수소 기체로 환원시켰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촉매로 연속식 2단 반응기를 사용하여 소나무 톱밥의 열분해 오일의 수첨탈산소 반응을 수행하였다(도 1의 (b) 참고). 반응 온도는 1단은 100 내지 190 ℃로 유지하였고, 2단은 300 내지 450 ℃로 유지하였다. 반응기 내 투입 촉매양은 1단은 5 mL, 2단은 10 mL로 고정하였고, 반응기 내 압력은 1, 2단 모두 100 bar를 유지하였다. 2단에만 촉매를 사용할 경우에는 2단에 10 mL의 촉매를 투입하였다. 반응물 유량은 상온 상압 기준으로 6 mL/h로 고정하였다. 수소 유량은 상온 상압 기준으로 6 mL/min로 고정하였다. 반응 후 얻어진 액체 혼합물은 생성물의 질량을 측정하고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하기 표 1과 표 2는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양한 촉매들에 대해 본 명세서에 따른 2단 수첨탈산소 반응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촉매 촉매층 온도 (℃) 액체 생성물 수율
(g/g of feed oil)
물층을
제외한
오일층 수율 (g/g of feed oil)
코크 및 타르 수율
(g/g of feed oil)
1단 2단 1단 2단 1단 2단
None 3 wt% Ru/WZra - 313 - 370 0.60 0.30 - 0.07
5 wt% Pd/C 5 wt% Pd/C 146 - 198 335 - 364 0.65 0.48 0.03 0.09
5 wt% Pt/C 112 - 170 323 - 378 0.45 0.27 0.17 0.23
5 wt% Ru/C 119 - 173 323 - 372 0.69 0.49 0.08 0.01
20 wt% Ni/C 114 - 165 331 - 381 0.53 0.33 0.03 0.04
3 wt% Ru/WZr 111 - 151 337 - 398 0.57 0.41 0.31 0.20
5 wt% Pd/C 3 wt% Ru/WZr 108 - 162 312 - 385 0.74 0.42 0.01 0.03
20 wt% Ni/C 114 - 157 328 - 380 0.62 0.24 0.02 0.02
5 wt% Ru/C 119 - 165 350 - 385 0.56 0.24 0.02 0.05
10 wt% Co/C 121 - 176 368 - 386 0.43 0.11 0.03 0.03
5 wt% Ru/Al2O3 117 - 158 367 - 385 0.55 0.24 0.04 0.06
3 wt% Ru/WZr 115 - 160 360 - 384 0.52 0.14 0.12 0.03
5 wt% Ru/TiO2 115 - 160 360 - 384 0.48 0.14 0.02 0.4
5 wt% Pd/C 5 wt% Pt/C 153 - 188 310 - 364 0.73 0.44 0.02 0.03
5 wt% Ru/C 153 - 188 310 - 364 0.32
(물층만
생성)
~0 0.04 0.06
20 wt% Ni/C 112 - 161 312 - 371 0.65 0.40 0.03 0.06
10 wt% Co/C 110 - 167 349 - 370 0.61 0.29 0.08 0.13
5 wt% Ru/TiO2 117 - 167 341 - 388 0.33
(물층만
생성)
~0 0.10 0.04
5 wt% Ru/Al2O3 108 - 162 312 - 379 0.29
(물층만
생성)
~0 0.05 0.06
aLHSV = 0.72 h-1. 그외 다른 촉매 반응에 대해서는 LHSV = 0.42 - 0.52 h-1.
촉매
C (wt%) H (wt%) N (wt%) S (wt%) O (wt%)a O/C (atom/atom) H/C (atom/atom) 오일층내 수분 (wt%) HHV 열량 (MJ/kg)
1단 2단
Crude bio-oil 55.2 7.2 0.9 ~0b 34.9 0.475 1.57 7.00 22.7
Ether extracted bio-oil 56.6 7.2 1.1 ~0b 31.7 0.42 1.53 6.2 23.8
None 3 wt% Ru/WZra 85.4 13.6 1.0 ~0b 1.2 0.01 1.92 0.4 48.2
5 wt% Pd/C 5 wt% Pd/C 72.0 11.2 1.28 ~0b 11.2 0.12 1.88 2.6 38.4
5 wt% Pt/C 67.7 11.3 0.19 ~0b 18.0 0.20 2.00 0.3 35.9
5 wt% Ru/C 75.0 12.2 0.44 ~0b 10.2 0.10 1.95 3.6 41.0
20 wt% Ni/C 76.7 12.0 0.27 ~0b 6.4 0.07 1.88 2.6 42.1
3 wt% Ru/WZr 75.4 12.1 0.38 ~0b 5.0 0.09 1.92 1.6 41.1
5 wt% Pd/C 3 wt% Ru/WZr 83.9 12.7 0.07 ~0b 0.7 0.01 1.82 0.04 46.5
20 wt% Ni/C 85.0 13.0 0.28 ~0b 1.2 0.01 1.83 0.17 47.1
5 wt% Pd/C 5 wt% Pt/C 78.0 11.7 0.08 ~0b 6.9 0.07 1.80 0.9 41.8
5 wt% Ru/C 물층만 생성
20 wt% Ni/C 79.3 12.4 0.54 ~0b 7.1 0.07 1.87 2.7 43.3
10 wt% Co/C 81.9 12.4 0.32 ~0b 5.0 0.05 1.81 0.5 44.6
5 wt% Ru/TiO2 물층만 생성
5 wt% Ru/Al2O3 물층만 생성
a별도의 산소 정량 장치로 측정.
b최소 측정 한도보다 작음.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보듯이 1단 수소화 촉매 없이 2단의 Ru/WZr 수첨탈산소 촉매만을 사용하여도 0.30 g/g의 높은 오일 수율을 보이나, 1단 Pd/C와 2단 Ru/WZr을 조합하였을 경우 0.42 g/g의 더 높은 오일 수율과 0.7 중량%의 낮은 산소 함량을 보여 매우 효율적인 수첨탈산소 반응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1단 Pd/C, 2단 Pt/C의 조합, 1단 Pd/C, 2단 Ni/C의 조합의 경우에는 각각 0.44, 0.40 g/g의 높은 오일 수율을 보였으나, 이들은 각각 6.9 중량%, 7.1 중량%의 높은 산소 함량으로 수첨탈산소 반응이 완전히 진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단 수소화 촉매로 Pd 촉매 대신 저가의 Ni 촉매를 사용하고 2단 수첨탈산소 촉매로 Ru/WZr을 사용하였을 때, 0.24 g/g의 상대적으로 낮은 오일 수율을 보였으나 이때에도 1.2 중량%의 산소 함량으로 높은 수첨탈산소 효율을 갖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태양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 및 수소 기체
20: 노, 가열 장치
30: 수소화 촉매
40: 수첨탈산소 촉매
50: 수첨탈산소 생성물 및 수소 기체

Claims (12)

  1.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을 포함하는 제1 촉매와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을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촉매와 반응시킨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을 텅스테이티드 지르코니아(tungstated-zirconia) 지지체에 담지된 루테늄(Ru)을 포함하는 제2 촉매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본 지지체에 담지된 팔라듐(Pd)의 함량은 제1 촉매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 중량%인,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텅스테이티드 지르코니아(tungstated-zirconia) 지지체에 담지된 루테늄(Ru)의 함량은 제2 촉매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5 중량%인,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반응 방법은 연속식 반응기에서 수행되는,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산소 반응 방법은 반응기 내에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과 수소를 투입하는 단계;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을 제1 촉매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1 촉매와 반응시킨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을 제2 촉매와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과 수소는 1:1 내지 1:10,000의 부피비로 혼합된 것인,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촉매와 반응시키는 단계는 100 내지 200 ℃에서 실시하는 것인,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촉매와 반응시키는 단계는 250 내지 500 ℃에서 실시하는 것인,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반응 방법.
KR1020170087314A 2017-07-10 2017-07-10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953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14A KR101953218B1 (ko) 2017-07-10 2017-07-10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7314A KR101953218B1 (ko) 2017-07-10 2017-07-10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85A KR20190006385A (ko) 2019-01-18
KR101953218B1 true KR101953218B1 (ko) 2019-02-28

Family

ID=6532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731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3218B1 (ko) 2017-07-10 2017-07-10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2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9120B1 (ko) 2018-06-18 2020-02-1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칼슘염에 담지된 금속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함산소 화합물의 수첨탈산소 반응방법
KR102384688B1 (ko) 2020-02-25 2022-04-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분해 오일 전환 방법
KR102380309B1 (ko) 2020-04-09 2022-03-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매스 열분해 오일의 수첨분해 방법 및 수첨분해 오일을 용매로 이용한 바이오매스 열분해 오일의 용해 방법
KR20240075282A (ko) 2022-11-22 2024-05-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바이오 오일로부터 항공유분을 생산하기 위한 촉매,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 오일 업그레이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429B1 (ko) * 2013-01-18 2014-09-01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귀금속이 담지된 촉매를 사용하여 리그닌 전환 물질로부터 고리모양 탄화수소를 생성하는 방법
KR101571129B1 (ko) * 2014-02-25 2015-11-23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수첨탈산소 반응용 촉매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바이오연료의 제조방법
KR101804625B1 (ko) * 2015-07-22 2017-12-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비 귀금속을 담지한 지르코늄 포스페이트 고리모양 탄화수소 생성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하는 고리모양 탄화수소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Zhan Si, et al. An Overview on Catalytic Hydrodeoxygenation of Pyrolysis Oil and Its Model Compounds, Catalysts 2017, 7, 169 (2017.06.0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385A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et al. Enhanced catalytic transfer hydrogenation of biomass-based furfural into 2-methylfuran over multifunctional Cu–Re bimetallic catalysts
Wang et al. Comparative study of supported monometallic catalysts in the liquid-phase hydrogenation of furfural: Batch versus continuous flow
Lee et al. Catalytic roles of metals and supports on hydrodeoxygenation of lignin monomer guaiacol
KR101953218B1 (ko) 2단 반응으로 함산소 탄화수소로부터 탈산소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Zheng et al. Transition metal–tungsten bimetallic catalysts for the conversion of cellulose into ethylene glycol
Lam et al. Electrocatalytic upgrading of model lignin monomers with earth abundant metal electrodes
Hong et al. Perspective on catalytic hydrodeoxygenation of biomass pyrolysis oils: essential roles of Fe-based catalysts
Ishihara et al. Addition effect of ruthenium on nickel steam reforming catalysts
CN103450940B (zh) 一种由生物质衍生物制备航空煤油和柴油的方法
US20110263916A1 (en) Carbohydrates upgrading and hydrotreating to hydrocarbons
US10960386B2 (en) Method and catalyst for producing methylbenzyl alcohol from ethanol by catalytic conversion
Chen et al. Improved catalytic upgrading of simulated bio-oil via mild hydrogenation over bimetallic catalysts
Shao et al. Selective conversion of furfural into diols over Co-based catalysts: Importance of the coordination of hydrogenation sites and basic sites
CN102911011A (zh) 一种四氢糠醇选择性氢解制备1,5-戊二醇的方法
CN101892079A (zh) 一种生物油中热解木质素的精制方法
CN106866331B (zh) 一种由糠醇制备环戊二烯或双环戊二烯的方法
CN111218308A (zh) 一种由生物质原料制备高密度燃料的方法
EP3828158A1 (en) Method for preparing benzyl alcohol and homologues by means of catalytic conversion of lower alcohol and catalyst used
KR102183308B1 (ko) 수소화 및 수첨탈산소 촉매를 이용한 함산소 탄화수소 화합물의 탈산소 방법
KR101818676B1 (ko) 지방산으로부터 파라핀계 화합물의 선택적 제조를 위한 메조세공 탄소 촉매
Hunns et al. Tuning acid-metal synergy in m-cresol hydrodeoxygenation over bifunctional Pt/Aluminosilicate catalysts
KR101857187B1 (ko) 함산소 화합물의 수첨탈산소 반응용 촉매 및 이를 이용한 탈산소 연료 제조 방법
KR101670515B1 (ko) 케톤으로부터 파라핀 제조 방법
Jeenpadiphat et al. Corncob to value‐added chemical transformation by metal/beta zeolite and metal/mesoporous SBA‐15 catalytic pyrolysis
CN113492012A (zh) 一种非贵金属Ni基催化剂及其制备方法和环戊二烯加氢制备环戊烷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