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냉장고에서 저장용기가 도어에 결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도어와 저장용기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1과 도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20)이 마련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30)와, 상기 본체와 도어 사이에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지지되는 저장용기(100)으로 포함한다.
도시된 냉장고는 저장실(20)로서 상부에 냉장실이 마련되고 하부에 냉동실이 마련되어 있으나, 냉장실과 냉동실이 이와 반대로 마련되거나 좌우로 마련된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의 도어(30,40))는 각각 냉장실과 냉동실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13)를 통해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상기 도어(30)의 내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본체(10)의 전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밀폐를 위해 개스킷(31)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도어(30,40)는 각각 손잡이(32, 42)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상기 저장용기(100)가 장착되는 도어(30)의 손잡이(32)는 도어(30)의 좌측 하부 모서리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와 도어(30)에 선택적으로 착탈가능하게 지지된다.
도1은 사용자가 상기 저장용기(10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배치되어 상기 도어(30)을 열었을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도2는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0)에 물건을 수납하거나 인출하도록 상기 보조 저장실(100)가 상기 도어(30)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30)를 열였을 경우, 상기 저장실(20)의 전면이 노출되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의 상단부에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결합 위치를 본체(10)로부터 도어(30)로 바꾸도록 하는 버튼(610)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도어(30)를 열 때, 사용자가 버튼(610)을 누르면 도 1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와 분리되어 상기 저장실(20)에 결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저장실(100)의 전면이 노출된다.
상기 버튼(610)의 작동관계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는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 중 일부 구성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가 마련되는데,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고, 상기 도어의 외부에서 조작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제어장치는 상기 버튼(610) 및 상기 버튼(610)과 연결되는 여러가지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본체(10)와 냉장실 도어(30)에 각각 지지될 수 있고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고정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에 마련된 제1,2래치장치(520,53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도어(30) 또는 저장실(20)에 선택적으로 지지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도어(30) 또는 본체(10)에 선택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별도의 장치들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장치는 제1래치장치(도4, 520) 및 상기 제2래치장치(도5, 530), 또는 제1가이드 지지부(도3, 510), 제2가이드 지지부(도3, 540),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40)의 일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스토퍼홈(도4,7참조, 111,121)과 걸림안내홈(도4,7참조, 112, 1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장치들을 통칭하여 저장용기 지지장치라고 정의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용기의 테두리부를 이루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과, 상기 프레임(110)과 후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과 분리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의 테두리부를 형성하고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하나 이상의 수납선반(120)이 착탈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선반(120)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대체로 상하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므로, 공간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저장용기(100) 내부의 수납공간을 복수개로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수납선반(120)은 2개 이상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저장용기(100)는 그 내부 수납공간을 상기 본체 내부의 저장실(20)과 분리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110)의 후측에서 결합되는 커버(130)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수납선반(120)이 프레임(1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110)의 후방측에서 프레임(11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나사 등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냉장실(20)에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13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30)가 열린 경우,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본체의 저장실(20) 내부를 볼 수 있다.
또한, 저장용기(100)가 도어(30)에 장착된 상태로 도어가 열린 경우에, 사용자는 투명한 커버(130)를 통해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 수납공간을 볼 수 있어서, 더욱 편리하게 냉장고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수납선반(12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의 일부는 상기 수납선반(1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수납선반(120)과 수납선반(120)사이로 냉장실(20)이 보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도어(30)의 좌하측 모서리에 장착되는 손잡이(32)와,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 모서리와 좌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래치장치(520, 5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우하측 모서리와 우상측 모서리에 마련되는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30)의 손잡이가 설치된 부분에는 상기 래치장치(520)를 가압하여 상기 래치장치(520)를 동작시키는 래치 스위치 장치(600)가 마련되는데,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가 상기 제어장치를 구성한다.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는 상기 버튼(610)과 연동되어 상기 도어(30)의 후방방향으로 힘을 가하며,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의 동작에 의하여 상기 래치장치(520)가 동작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즉, 버튼(610)이 눌러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 간에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유지되고,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면 상기 도어(20)와 상기 저장용기(100)간의 결합상태 또는 걸림상태가 해제되고,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0)간에 결합 또는 걸림상태가 된다.
상기 손잡이(32)는 상기 도어(30)의 일측면에 나사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손잡이(32)에는 손잡이(32)를 이루는 수직의 봉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의 일측면에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연장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600)는 상기 도어(30)의 손잡이(32)가 체결되는 부위 근처에서 상기 도어(30)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도어(3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상기 래치장치(520,530) 및 상기 가이드 지지부(510,540)에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걸리는 고정부재(550)이 상기 도어(30)의 배면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550)은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기 래치장치(520,53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장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가 회동될 때 래치장치(520, 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결합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도 상기 도어(30)와 같이 회동운동을 수행한다.
상기 손잡이(32)에는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600)를 작동시키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되어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600)의 내부에 마련되는 링크구조(미도시)에 의해 상기 래치장치(520,530) 중 냉장고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저장용기(100)의 좌하측에 배치된 래치장치(520)를 눌러주어 그 잠김 상태가 해제되도록 한다.
그래서, 사용자가 도어(30)의 손잡이(32)에 있는 버튼(610)을 눌러서 래치 스위치장치(600)를 통해 상기 래치장치(520)의 잠김상태를 해제한 다음 도어 손잡이(32)를 당기면, 상기 저장용기(100)는 본체(10)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도어(30)만 회동되어 열리게 된다.
상기 저장용기(1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롤러장치(30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저장용기 지지장치에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롤러장치(300)는 복수의 롤러가 장착되어 각 롤러가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의 바닥면 또는 선반 상면, 그리고 선택적으로 도어의 내면에 돌출된 지지턱(35)에 대해 지지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진 것이 아니라, 상기 저장실(20)의 최하부에 마련된 서랍(26)상의 선반(23) 위의 개구부를 막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의 하나 이상의 롤러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에 있는 선반(23)의 전방 상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선반(21, 22)과 상기 최하측 서랍(26)의 위에 있는 서랍(25)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본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소정 깊이로 들어간 위치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과 치수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를 모두 막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저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높이에 가깝도록 형성되고, 저장용기(100)의 폭도 상기 냉장실(20)의 전면 개구부의 폭에 대응하는 치수로 형성될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실(20) 내에 서랍이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최하측 서랍(26)은 그 위의 서랍과 마찬가지로 상기 저장용기(100)와 간섭되지 않도록 안쪽으로 인입된 형상 및 치수로 제작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 롤러장치(300)는 상기 최하측 서랍(26) 위의 선반(25)이 아니라 상기 냉장실(20)의 바닥면에 접촉되도록 배치될 것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는 상기 저장용기(100)를 상기 본체(10) 또는 도어(30)에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래치장치(520,530) 및 가이드 지지부(510,5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래치장치(520,53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프레임(110)에 하부에 마련되는 제1래치장치(520)와, 제2래치장치(5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방에서 볼때 좌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방에서 볼 때 좌상부에 마련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은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의 위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 530)에 선택적으로 걸려서 결합되는 고정부재(550)이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제1,2래치장치(520,530)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도어(30) 배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가 마련되며,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는 상기 도어(30) 배면에 마련되는 또 다른 고정부재들(550)이 걸려서 지지되도록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50)들은 상기 도어(30)의 배면의 4개의 가장자리에 마련되는데, 상기 도어의 회동부에 가까운 곳에는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540)에 삽입가능한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제1,2래치장치(520,530)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고정부재(550)들이 마련된다.
각 고정부재(550)들은 상하 방향으로 두 개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에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롤러장치(300)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는 스토퍼(523)와 걸림핀(5247)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20)의 하부 테두리 또는 상기 서랍(23)의 상부에는 상기 스토퍼(523)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11)과, 상기 걸림핀(5247)이 삽입되는 걸림안내홈(1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안내홈(112)중 상기 스토퍼 홈(111) 방향으로 'C'자 형의 연장홈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용기(제1구조물)(100)가 상기 도어(제3구조물)(30)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30)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에 걸리지 않고 상기 도어(30)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상기 연장홈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523)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봉 또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523)의 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본체(제2구조물)(1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523)가 상기 스토퍼홈(11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그 내부가 비어있고 전방이 개방되는 하우징(521)과,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 또는 상기 걸림안내홈(도4참조, 112)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52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는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고정부재(550)와의 걸림 해제상태 또는 분리상태시 상기 걸림부(52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525)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 내부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제1탄성부재(도6참조,5291)에 의하여 연결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 운동을 안내하는 운동안내부(도6참조, 526)가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전방에는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가압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회동시키는 가압부(522)가 마련된다.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래치 스위치장치(도3참조, 60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의 미는 동작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521) 내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를 이동시키고 궁극적으로 상기 걸림부(524)를 회동시킨다.
상기 걸림부(524)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핀(5247)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24)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가 걸려져 지지되는 걸림홈(524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은 그 측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2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524)가 회동하면 상기 걸림핀(5247)도 회동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안내홈(5212)는 상기 걸림핀(5247)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영역을 갖는다.
상기 이동안내홈(5212)의 영역은 도4에서 나타난 상기 걸림안내홈(도4참조, 112)의 평면도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토퍼(523)가 마련되는데, 상기 스토퍼(523)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은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521)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삽입안내홈(5211)이 마련되고, 하면에는 상기 이동안내홈(5212)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21)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회동제한부(525)와, 상기 이동안내부(526)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266;5267,5268,5269)들이 삽입되는 삽입공(5213,5214,5215)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상면의 전방에는 상기 가압부(522)가 삽입되어 지지되고, 상기 가압부(522)의 전후 방향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공(5216)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21)의 내부에는 제2탄성부재(5292)가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봉(5217)이 마련된다.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탄성부재(5292)는 상기 지지봉(5217)과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걸림편(5254)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외력(상기 고정부재(550)의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후 그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하우징(521)의 후벽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5218)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공(5218)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도3참조, 110)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524)는 몸체부(5241)와, 상기 몸체부(5241)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걸림홈(5242)과, 상기 몸체부(5241)의 상면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43)와, 상기 걸림홈(5242)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홈(5244) 및 제2삽입홈(5245)과, 제1회전축(5247)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공(5246)과, 상기 몸체부(524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핀(5247)을 포함한다.
상기 걸림돌기(5243)에는 제1탄성부재(5291)의 일단부가 걸리고, 상기 제1탄성부재(5291)의 타단부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걸림돌기(5265)에 걸린다. 상기 제1탄성부재(5291)도 코일 스프링 형태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상기 가압부(522)에 밀려서 회동운동을 하면 상기 탄성부재(5291)에 의하여 그 운동이 전달되어 상기 걸림부(524)도 회동운동을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전방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제1회전축(5267)은 삽입공(52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회전축공(5246)에 삽입된다.
다만, 상기 걸림부(524)의 상하면에는 제1상부 보스(5271)와, 제1하부보스(5281)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하우징(521)의 상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몸체부(5251)와, 상기 몸체부(5251)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장부(5252)와, 상기 제1연장부(5252)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25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251)에는 제2회전축공(5256)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부(5253)의 단부에는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54)가 마련된다.
상기 제2연장부(5253)의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55)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5255)가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제한되는데, 이 경우는 상기 고정부재(550)과 상기 걸림부(524)가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2회전축(5269)는 상기 제2회전축공(5256)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5214)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상부 보스(5272) 및 제2하부 보스(5282)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제한부(525)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520)의 하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제2회전축(5269)은 상기 제2상부보스(5272) 및 상기 제2회전축공(5256), 제2하부보스(528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상부보스(5272) 및 상기 제2하부보스(5282)는 와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은 몸체부(5261)와, 상기 몸체부(5261)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며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하도록 마련되는 접촉편(5263)과, 상기 몸체부(5261)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262)와, 상기 몸체부(5261)의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5292)가 걸리는 걸림돌기(5265)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261)의 회동 중심에는 제3회전축공(5264)가 마련된다.
상기 회전축공(5264)의 상부와 하부에는 제3상부 보스(5273)와 제3하부보스(5283)이 마련된다.
그리고, 제3회전축(5268)이 마련되는데, 상기 제3회전축(5268)은 상기 삽입공(5213)을 통과하고, 상기 제3하부보스(5283), 상기 제3회전축공(5264), 상기 제3상부보스(5273)을 통과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도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10)의 상부에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가 설치된다.
상기 제2래치장치(530)에는 스토퍼(533)와 걸림핀(5347)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실(20)의 상부 테두리에는 상기 스토퍼(523)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21)과, 상기 걸림핀(5347)이 삽입되는 걸림안내홈(12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안내홈(122)중 상기 스토퍼 홈(121) 방향으로 'C'자 형의 연장홈이 마련된다.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에 결착되어 상기 도어(30)와 같이 움직이는 경우, 상기 걸림핀(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22)의 연장홈에 걸리지 않고 상기 도어(30)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핀(5347)이 상기 연장홈 방향으로 움직이고 상기 연장홈의 걸림단차(122a)에 걸려서 상기 저장용기(10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스토퍼(533)은 상기 제2래치장치(530)의 하부에 하방으로 연장되게 마련되며 봉 또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533)의 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533)가 상기 스토퍼홈(12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도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그 내부가 비어있고 전방이 개방되는 하우징(531)과, 상기 하우징(53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 또는 상기 걸림안내홈(도7참조, 122)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5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하우징(531) 내부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34)보다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걸림부(534)와 상기 고정부재(550)와의 걸림 해제상태 또는 분리상태시 상기 걸림부(52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제한하는 회동제한부(535)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부(534)의 상면에는 상기 걸림핀(5347)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되고, 상기 걸림부(534)의 측단부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가 걸려져 지지되는 걸림홈(5342)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31)은 그 측단면이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531)의 상면과 하면에는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삽입안내홈(5311)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31)의 하면에 마련되는 삽입안내홈(531)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핀(5347)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안내홈(5312)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534)가 회동하면 상기 걸림핀(5347)도 회동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는데, 상기 이동안내홈(5312)는 상기 걸림핀(5347)의 이동 궤적에 대응되는 영역을 갖는다.
상기 이동안내홈(5312)의 영역은 도7에서 나타난 상기 걸림안내홈(도7참조, 122)의 평면도 형상에 대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531)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스토퍼(533)이 마련되는데, 상기 스토퍼(533)은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9은 상기 제1래치장치(530)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하우징(531)은 상술한바와 같이 그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기 삽입안내홈(5311)이 마련되고, 상면에는 상기 이동안내홈(5312)이 마련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531)의 하면에는 상기 걸림부(534)와, 상기 회동제한부(535)와, 상기 이동안내부(536)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536;5361,5262)들이 삽입되는 삽입공(5314,5315)이 마련된다.
상기 하우징(531)의 내부에는 탄성부재(5392)가 걸려서 지지되는 지지봉(5317)이 마련된다.
상기 탄성부재(5392)는 상기 지지봉(5317)과 상기 회동제한부(535)의 걸림ㄷ도돌기(5354) 사이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35)가 외력(상기 고정부재(550)의 가압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회전한 후, 그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회동제한부(535)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하우징(531)의 후벽에는 소정의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고정공(5318)이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고정공(5318)을 통과하여 상기 프레임(도3참조, 110)에 결합된다.
상기 걸림부(534)는 몸체부(5341)와, 상기 몸체부(5341)의 일측에 마련되는 상기 걸림홈(5342)과, 상기 걸림홈(5342)의 반대편에 각각 형성되는 제1삽입홈(5344) 및 제2삽입홈(5345)과, 제1회전축(5361)이 삽입되는 제1회전축공(5346)과, 상기 몸체부(5341)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걸림핀(5347)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이 상기 걸림홈(5342)이 걸려서 지지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홈(5342)은 측방을 바라보도록 마련되고, 상기 고정부재(550)이 빠져서 상기 걸림홈(5342)로 부터 분리된 경우에는 상기 걸림홈(5342)이 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제1회전축(5361)은 삽입공(531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534)의 제1회전축공(5346)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부(534)의 상하면에는 제1상부 보스(5371)와, 제1하부보스(5381)가 마련되어 상기 걸림부(534)를 상기 하우징(531)의 상하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회동제한부(535)는 몸체부(5351)와, 상기 몸체부(5351)로부터 일측으로 절곡되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고정부재(도3참조, 550)와 접촉가능하게 마련되는 제1연장부(5353)와, 상기 제1연장부(5353)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부(5353)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5351)에는 제2회전축공(5356)이 마련되고, 상기 제2연장부(5353)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부재(5392)가 걸리는 걸림돌기(5354)가 마련된다.
상기 제2연장부(5353)의 상면에는 상부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534)의 제2삽입홈(5345)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부(5355)가 마련된다.
상기 삽입부(5355)가 상기 제2삽입홈(5345)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534)의 회동이 제한되는데, 이 경우는 상기 고정부재(550)과 상기 걸림부(534)가 분리되는 경우에 해당된다.
제2회전축(5362)은 상기 제2회전축공(5356)에 삽입된 후, 상기 삽입공(5314)를 통과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회동제한부(535)의 상면과 하면에는 제2상부 보스(5372) 및 제2하부 보스(5382)가 마련되어 상기 회동제한부(535)를 지지하고, 상기 하우징(530)의 하면과 상면으로부터 이격시킨다.
상기 제2회전축(5369)은 상기 제2상부보스(5372) 및 상기 제2회전축공(5356), 제2하부보스(538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상기 제2상부보스(5372) 및 상기 제2하부보스(5382)는 와셔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제1,2래치장치(520, 530)는 기계식으로 구현되었으나, 상기 래치장치들은 전기식 또는 전자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솔레노이드 장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30)에 마련되는 제어장치인 래치 스위치 장치(600)와 상기 래치장치가 상호 연동되어 상기 래치스위치 장치(600)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래치장치가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0)간의 연결, 또는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도어(30)와의 연결을 구현할 수 있다.
도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30)의 전방에는 손잡이(32)가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32)의 위에는 상기 버튼(610)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후면 테두리에는 가스켓(31)이 마련된다.
상기 도어(30)의 후면에는 상기 손잡이(32)와 연결되는 래치 스위치 장치(600)가 마련되는데,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에는 돌출부(630)가 마련된다.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 내부에는 상기 버튼(610)의 동작에 따라 움직이는 링크구조(미도시)가 마련되고, 이 링크 구조의 단부에 상기 돌출부(630)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버튼(610)이 눌러지면 상기 링크구조가 움직이고, 이로 인하여 상기 돌출부(63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가압부(도5참조, 522)를 누른다.
상기 래치 스위치 장치(600)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부재(550)가 마련되는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도어(30)의 후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다리(551)와, 상기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되는 고정핀(552)을 포함한다.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하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고, 상기 고정핀(550)은 상하로 마련되는 연장다리(551)의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연장다리(551)는 상호 이격되어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의 걸림홈(도5,6참조, 5242)에 걸려서 지지될 수 있다.
도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의 상부 일측, 도어 후방에서 바라볼때 우상측(도어 전방에서 바라볼때 좌상측)에도 상기 고정부재(550)가 마련된다.
상기 고정부재(550)의 구성은 도10의 그것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겠다.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가이드 지지부(510)는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전방에서 바라볼때 상기 제1가이드 지지부(510)는 상기 프레임(110)의 우하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어(30)의 후방에 마련되는 고정부재(550)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와 결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30)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제1가이드 지지부(510)에 삽입 되거나 이탈된다.
상기 제1가이드 지지부(510)는 하우징(511)과, 상기 하우징(511)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판(512)과, 상기 지지판(512)에 마련되는 삽입 안내홈(513)과, 상기 지지판(512)의 하부에 마련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1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14)는 상기 저장실 입구 하부 우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스토퍼홈(13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14)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514)가 상기 스토퍼홈(13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스토퍼 홈(131)은 상기 도어의 회전 궤적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도록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측벽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에 가까운 상기 고정부재(550)의 회전궤적은 곡선을 그리기 때문에 이러한 궤적에 대응되도록 그 측벽이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가이드 지지부(540)는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된다.
전방에서 바라볼때 상기 제1가이드 지지부(540)는 상기 프레임(110)의 우상측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도어(30)의 후방에 마련되는 고정부재(550)가 삽입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와 결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30)가 회동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제2가이드 지지부(540)에 삽입 되거나 이탈된다.
상기 제2가이드 지지부(540)는 하우징(541)과, 상기 하우징(541) 내부에 마련되는 지지판(542)과, 상기 지지판(542)에 마련되는 삽입 안내홈(543)과, 상기 하우징(541)의 상부에 마련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는 스토퍼(544)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토퍼(544)는 상기 저장실 입구 상부 우측 테두리에 마련되는 스토퍼홈(141)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44)역할은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도어(30)와 결착된 상태에서 회동하며 움직이되, 상기 저장실(20) 전방을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깊이 들어가지 않도록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스토퍼(544)가 상기 스토퍼홈(141)의 후면에 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20) 방향으로 일정 깊이 이상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스토퍼 홈(141)은 상기 도어의 회전 궤적에 따른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회전궤적에 대응되도록 사선방향으로 연장되되 그 측벽이 일정한 곡률을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도어(30)의 회동부에 가까운 상기 고정부재(550)의 회전궤적은 곡선을 그리기 때문에 이러한 궤적에 대응되도록 그 측벽이 곡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14(a)는 상기 제1래치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14(b)는 상기 제2래치장치의 평단면도이다.
도14(a) 및 도14(b)에서는 상기 저장용기가 상기 도어에 결착된 상태를 구현하도록 상기 제1,2래치장치에 상기 고정부재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나타낸다.
도14(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하우징(521)의 삽입 안내홈(5211)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1)이 상기 걸림홈(5242)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홈(5242)의 측벽이 상기 고정핀(55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홈(5242)이 상기 고정핀(551)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도4, 11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와의 결착이 해제된다.
상기 걸림부(524)가 상기 고정부재(550)를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이 상태애서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이 방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에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삽입부(5262)가 삽입되어 회동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지지핀(552)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전체적으로 회동하여 위치한다.
도14(b)에서도,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하우징(531)의 삽입 안내홈(5311)에 삽입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1)이 상기 걸림홈(5342)에 위치하고, 상기 걸림홈(5342)의 측벽이 상기 고정핀(551)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걸림홈(5342)이 상기 고정핀(551)에 대하여 스토퍼 역할을 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34)의 걸림핀(5347)은 상기 이동안내홈(5344)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도7, 12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본체(1)와의 결착이 해제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35)의 제1연장부(53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지지핀(552)에 의하여 밀려서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35)가 전체적으로 회동하여 위치한다.
도15에서 상기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534)의 위치는 도14(a)와 도14(b)의 걸림부(524, 534)의 위치와 동일하며, 이때, 상기 도어(30)는 상기 본체의 저장실(20)을 폐쇄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에 걸리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111, 121)는 상기 스토퍼홈(523, 53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 533)는 상기 스토퍼(111,12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다만,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동시에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실(20)이 개방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우측에 위치하는데, 상기 걸림안내홈(112,122)는 전방으로 개방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를 따라서 앞으로 이동하여도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에 걸리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30) 및 상기 저장용기(10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도16(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 534)는 상기 고정부재(55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홈(5242, 5342)은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를 둘러싸고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결착될 수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상기 가압부(522)의 가압동작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되므로, 상기 운동안내부(526)도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될 필요가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는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상기 접촉편(5263)은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전진하는 경우, 언제든지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1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 540)에도 상기 고정부재(550)가 삽입된다.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 540)에 마련되는 삽입 안내홈(513, 543)은 사선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고정핀(552)이 상기 삽입안내홈(513, 543)의 최후방에 위치하면, 상기 고정핀(552)의 전방은 상기 하우징(551,541)로부터 연장된 걸림턱(516, 546)이 가리면서 상기 고정핀(552)이 사선방향이 아닌 정면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도17(a)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분리되는 중간과정을 도시한 것이도, 도17(b)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에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10에 개시된 상기 손잡이(32)에 마련되는 버튼(610)을 누르면, 내부의 링크 구조가 동작을 하고, 상기 돌출부(630)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에 의하여 도17(a)과 도17(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630)에 의하여 상기 가압부(522)가 상기 하우징(521) 내부로 이동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연장부(5263)을 가압한다.
상기 접촉편(5263)이 가압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회동을 하는데,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회동방향은 본 도면에서 시계방향이다.
이에 의하여 상기 삽입부(5263)는 상기 걸림부(524)의 제1삽입홈(5244)로부터 이탈을 한다.
상기 걸림부(524)는 상기 운동안내부(526)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의하여 잡아당겨져 상기 걸림부(524)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걸림홈(5242)이 측방에서 전방으로 회동을 하고, 이에 듸하여 상기 걸림핀(552)과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걸림핀(552)이 앞으로 이동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한편, 상기 걸림부(52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하면, 상기 걸림핀(5247)은 상기 이동안내홈(5244)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후술하겠지만, 이에 이하여 상기 걸림안내홈(도10, 112)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걸림안내홈(112)의 연장홈의 걸림단차(112a)에 둘러싸이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와 접촉한 상태를 취하고 있는데,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상기 제1탄성부재(5291)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탄성부재(5291)은 상기 제2연장부(5292)쪽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연장부(5292)를 잡아당기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하려는 성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와 걸림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상기 제1연장부(5252)는 상기 걸림핀(552)를 전방방향으로 밀어낸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도어(도1참조, 30)를 앞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으로 부터 앞으로 빠져나온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상기 래치장치(520)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회동제한부(525)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더 회전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에 마련되는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에 마련된 상기 제2삽입홈(5245)에 삽입된다.
이로써, 상기 걸림부(524)가 더 회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가 되어 상기 봅조저장실(100)가 본체에 위치하고,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겨 개방하면 상기 저장용기(100)의 전면에 노출되어 사용자가 물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제2래치장치(530)는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비교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생략된 것이고, 걸림부와 고정부재간의 결합 및 분리는 상기 제2래치장치(530)와 동일하므로 제2래치장치(530)와 상기 고정부재(550)의 분리 동작은 상술한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간의 분리동작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하도록 하겠다.
도18에서 나타난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 534)의 위치는 도17(a)와 도17(b)의 걸림부(524, 534)의 위치와 동일하며, 이때, 상기 도어(30)는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저장용기(100)는 상기 저장실(20) 입구에 배치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좌측에 위치한 연장홈에 위치하고, 상기 연장홈의 전방 테두리에 형성된 걸림단차(112a, 122a)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111, 121)는 상기 스토퍼홈(523, 533)에 위치하며, 상기 스토퍼홈(523, 533)는 상기 스토퍼(111,121)의 후방과 측방을 둘러싸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되어 사용자가 도어(30)를 잡아당기면 상기 도어(30)만 앞으로 회동하고, 상기 저장용기(100)가 개방되는 것이다.
상기 걸림핀(5247, 5347)은 상기 걸림안내홈(112,122)의 좌측에 마련되는 연장홈에 위치하는데, 상기 연장홈은 상기 걸림단차(112a,122a)에 의하여 그 전방이 막혀 있기 때문에, 상기 도어(30)를 앞으로 개방하여도 상기 걸림단차(112a, 122a)에 사상기 걸림핀(5247, 5347)이 걸려서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의 원활한 개방을 구현할 수 있다.
도19(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래치장치의 걸림부(524, 534)는 상기 고정부재(550)와 분리된다.
상기 걸림부(524, 534)의 걸림홈(5242, 5342)은 전방을 향하고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를 둘러싸는 상태가 해제되고, 이에 의하여 상기 고정부재(550)가 앞으로 빠질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30)와 상기 저장용기(100)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는 상기 가압부(522)의 가압동작에 의하여 움직이는데, 상기 가압부(522)는 상기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되므로, 상기 운동안내부(526)도 제1래치장치에만 마련될 필요가 있다.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는 상기 제1삽입홈(5244)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안내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에 마련되는 상기 접촉편(5263)은 상기 가압부(522)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압부(522)가 전진하여, 회동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의 회동을 유발할 수 있다.
도19(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가이드지지부(510, 540)로부터 상기 고정부재(550)가 이탈된다.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 540)에 마련되는 삽입 안내홈(513, 543)은 사선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부재(550)의 고정핀(552)의 이탈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에 인접한 고정부재(550)는 곡선을 그리면서 회동하기 때문에, 상기 사선방향으로 형성되는 상기 삽입안내홈(513, 543)의 안내를 받아서 앞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제1,2가이드 지지부(510, 540)는 상기 고정부재(540)와 분리될 수 있다.
위에서는 상기 저장용기(100)와 상기 도어(30)가 결합된 상태에서 분리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분리된 상태에서 다시 결합되는 과정은 상기 서술한 과정의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간이 결합 및 분리 과정은 실질적으로 제2래치장치(520)와 상기 고정부재(550) 간의 결합 분리 과정과 유사하므로 제1래치장치(520)에 관한 설명을 통하여 제2래치장치(530)에 대한 설명을 대체하도록 하겠다.
즉. 도17(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와 상기 제1래치장치(530)가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30)를 밀어서 도17(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550)를 상기 래치장치(520)에 진입시킨다.
상기 고정부재(550)는 상기 삽입안내홈(5211)에 삽입되고,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제1연장부(5252)를 뒤로 밀게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의하여 상기 회동제한부(525)의 삽입부(5255)가 상기 걸림부(524)의 제2삽입홈(5245)로 부터 이탈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걸림부(524)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50)의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진입하고, 상기 걸림홈(5242)를 뒤로 밀어서 상기 걸림부(524) 자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걸림부(5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와 상기 제2탄성부재(5292)에 의하여 연결된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잡아당겨진다.
이에 의하여 상기 운동안내부(52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제1삽입홈(5244)와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근접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550)가 완전하게 진입을 하면, 상기 걸림부(524)의 걸림홈(5242)는 측방을 바라보게 되고, 상기 고정핀(552)은 상기 걸림홈(5242)에 의하여 둘러싸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동안내부(526)의 삽입부(5262)가 상기 제1삽입홈(5244)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부(526)의 회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상기 고정부재(550)가 상기 걸림부(524)에 완전하게 구속되어 전방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2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용기(도1참조, 100)이 상기 저장실에 배치된 경우에서는 상기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가 상기 저장실 입구(24) 또는 서랍(23) 상면에 마련되는 상기 스토퍼 홈(111,121)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는 상기 저장실 입구(24) 또는 서랍(23)의 상면에 지지되는 상기 스토퍼 홈(131,141)에 위치한다.
여기서,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11,121)과,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가 삽입되는 스토퍼 홈(131, 141)은 서로 다른 형상을 취하고 있다.
이는 도어(도1참조, 30) 및 도어에 결합된 상기 저장용기(100)가 회동을 하는 경우, 회동부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곳에서는 미세한 회동궤적이 곡선을 그리지만, 회동부에서 멀리 있는 곳에서는 미세한 훼동궤적이 직선에 가까운 곡선을 그리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가 삽입되는 스토퍼홈(111,121)은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그 입구에서 끝으로 갈수록 줄어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그 입구는 전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그러나,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가 삽입되는 스토퍼 홈(131, 141)의 경우에는 곡선 궤적에 대응되도록 사선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그 입구도 사선 방향을 바라보도록 마련된다.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와,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는 모두 그 단면이 원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스토퍼 홈(111,121, 131, 141) 들의 후방 형상은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와,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에 대응되도록 곡면 형태가 된다.
다만, 후방형상은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와,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의 형상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하에서 상기 도어(30)와 저장용기(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21과 같이 도어(30)가 개방되어 있다가 상기 도어(30)를 닫으면, 상기 저장용기(100)가 상기 저장실(도2참조, 20)의 입구에 위치한다.
상기 도어(30)가 밀리는 힘에 의하여 상기 저장용기(30)이 상기 저장실(20)방향으로 밀려서 들어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와,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가 상기 스토퍼 홈(111,121, 131, 141)에 진입하고, 상기 스토퍼 홈(111,121, 131, 141)의 후방에 걸려서 도2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하여 상기 제1,2래치장치의 스토퍼(523,524)와, 제1,2 가이드지지부에 마련되는 스토퍼(514, 544)는 더 이상 저장실 내부 방향으로 진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저장용기(100)도 상기 저장실 내부에 소정 거리 이상 진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