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50587B1 -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 Google Patents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587B1
KR101950587B1 KR1020170075580A KR20170075580A KR101950587B1 KR 101950587 B1 KR101950587 B1 KR 101950587B1 KR 1020170075580 A KR1020170075580 A KR 1020170075580A KR 20170075580 A KR20170075580 A KR 20170075580A KR 101950587 B1 KR101950587 B1 KR 1019505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otation
belt
unit
belt convey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6631A (ko
Inventor
양헌식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7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5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6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6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58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9/00Gyroscopes; Turn-sensitive devices using vibrating masses; Turn-sensitive devices without moving masses; Measuring angular rate using gyroscopic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는: 철편검출기의 전방에 위치하며 벨트부재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에 과적된 원료에 밀려서 회전되는 이동패널부 및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이동패널부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DEVICE FOR DETECTING OVERLOAD ORE OF BELT CONVEYOR}
본 발명은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과적된 원료에 의해 철편검출기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벨트컨베이어는, 다수개의 롤러에 의해 지지되는 벨트에 의해 다량의 수송물을 이송시키는 장치로, 주로 이송장치나 자동화 라인에 사용된다. 또한 벨트컨베이어는, 제철산업에서 철광석 및 석탄과 같은 원료를 이송시키는데 주로 사용된다. 수송물을 운반하는 벨트부재의 양측에는 구동롤러가 구비되며, 구동롤러의 사이에 위치하는 벨트부재의 하측에는 복수의 롤러부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118014호(2010.11.04 공개, 발명의 명칭: 벨트 컨베이어)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과적된 원료에 의해 철편검출기가 손상됨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는: 철편검출기의 전방에 위치하며 벨트부재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에 과적된 원료에 밀려서 회전되는 이동패널부 및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이동패널부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레임부는, 벨트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며 벨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연결프레임 및 연결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이동패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측지지부는, 연결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및 연장부재의 하측에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패널부는, 회전지지부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어부재와, 코어부재의 양측에 연결되며 회전지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전롤러 및 회전롤러에서 연장되며 벨트부재에 과적된 연료에 밀려서 이동되는 회전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센서부는, 연장부재에 고정되는 센서브라켓 및 센서브라켓에 설치되며 회전롤러에 연결된 피감지부재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는, 벨트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과적된 원료에 의해 이동패널부가 회전되면서 벨트컨베이어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과적된 원료에 의한 철편검출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가 동작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1)는, 철편검출기(20)의 전방에 위치하며 벨트부재(12)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컨베이어프레임(14)과, 컨베이어프레임(1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2)에 과적된 원료(70)에 밀려서 회전되는 이동패널부(40) 및 프레임부(30)에 설치되며 이동패널부(40)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철소에서 사용되는 원료(70)는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2)를 통해 이송된다. 벨트컨베이어(10)의 벨트부재(12)는 무한궤도 방식으로 회전되며, 벨트부재(12)의 하부에는 복수의 지지롤러부(16)가 설치되어 벨트부재(12)의 하부를 지지한다.
벨트컨베이어(10)의 내측에 위치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컨베이어프레임(14)에는 철편검출기(20)와 프레임부(30) 등이 연결된다. 벨트컨베이어(10)의 뼈대를 형성하는 컨베이어프레임(14)과 연료를 이동시키는 벨트부재(12)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철편검출기(20)는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1)의 후방에 설치되며,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1)를 통과한 연료에 포함된 철편을 검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검출기(20)는 컨베이어프레임(14)에 고정되며, "ㅁ"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철편검출기(20)의 중앙에는 벨트부재(12)와 연료가 이동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컨베이어프레임(14)의 상측에 고정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철편검출기(20)는 자기장을 형성하므로, 철편이 통과할 때 자기장이 변화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철편을 검출한다.
프레임부(30)는 철편검출기(20)의 전방에 위치하며, 벨트부재(12)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30)는 지지프레임(32)과 연결프레임(34)과 내측지지부(36)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32)은 벨트부재(12)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형성한다. 연결프레임(34)은 지지프레임(32)의 상측을 수평방향으로 연결하며, 벨트부재(12)의 상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지지프레임(32)과 연결프레임(34)은 하측이 개구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내측지지부(36)는 연결프레임(34)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이동패널부(4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지지부(36)는 연장부재(37)와 회전지지부재(38)를 포함한다.
연장부재(37)는 연결프레임(34)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이다. 회전지지부재(38)는 연장부재(37)의 하측에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한다.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 연장부재(37)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연장부재(37)의 내측에는 이동패널부(40)의 코어부재(4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패널부(40)는 프레임부(3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벨트부재(12)에 과적된 원료(70)에 밀려서 회전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패널부(40)는 코어부재(42)와 회전롤러(44)와 피감지부재(46)와 회전패널(47)과 웨이트부재(48)를 포함한다.
코어부재(42)는 회전지지부재(38)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봉 형상이다. 코어부재(42)의 양측은 회전지지부재(38)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회전롤러(44)에 연결된다.
회전롤러(44)는 코어부재(42)의 양측에 연결되며, 회전지지부재(38)의 외측에 위치하므로 코어부재(42)와 함께 회전이 이루어진다. 회전롤러(44)에서 연장된 피감지부재(46)는 센서부(50)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회전패널(47)과 함께 회전롤러(44)가 회전되면, 피감지부재(46)는 센서부(50)와 어긋나는 위치로 이동되므로 센서부(50)는 회전패널(47)의 회전 여부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회전패널(47)은 회전롤러(44)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이며, 벨트부재(12)에 과적된 연료에 밀려서 이동된다. 회전패널(47)은 사각형의 패널이며, 회전패널(47)의 상측은 회전롤러(44)에 연결된다. 그리고 회전패널(47)의 하단과 벨트부재(12) 사이의 간격은 벨트부재(12)에 과적되는 연료의 높이를 고려하여 설정된다.
회전패널(47)의 하단에는 웨이트부재(48)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웨이트부재(48)는 회전패널(47)의 폭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회전패널(47)과 함께 과적된 연료에 밀려서 회전된다. 회전된 회전패널(47)은 웨이트부재(48)의 자중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센서부(50)는 프레임부(30)에 설치되며, 이동패널부(40)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센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50)는 센서브라켓(52)과 측정센서(54)를 포함한다.
센서브라켓(52)의 일측은 연장부재(37)에 고정되며 타측은 연장부재(37)의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측정센서(54)는 센서브라켓(52)에 설치되며, 회전롤러(44)에 연결된 피감지부재(46)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광선을 조사하는 측정센서(54)는 피감지부재(46)에 반사된 빛을 측정하므로 피감지부재(46)의 이동여부를 감지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벨트부재(12)에 적재된 연료가 설정된 양 이하이면, 벨트부재(12)와 이동패널부(40)의 하단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이동되어 철편검출기(20)를 통과한다. 만약 철편검출기(20)를 통과하는 연료에 철편이 있는 경우에는 철편검출기(20)가 철편을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전달한다. 따라서 벨트컨베이어(10)의 동작이 자동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연료에 포함된 철편을 제거한다.
만약, 설정된 양 이상으로 과적된 연료가 벨트부재(12)를 따라 이동되는 경우, 과적된 연료의 높이가 이동패널부(40)의 하단 높이보다 높으므로 연료에 밀려서 이동패널부(40)가 회전된다. 웨이트부재(48)가 결합된 회전패널(47)은 코어부재(4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코어부재(42)의 회전으로 회전롤러(44)와 피감지부재(46)도 회전된다.
따라서 측정센서(54)가 피감지부재(46)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어부(60)로 측정값을 보내므로, 제어부(60)는 벨트컨베이어(10)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과적된 연료가 철편검출기(20)로 이동되어 철편검출기(20)의 상부를 파손시키는 현상을 방지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과적된 연료의 이송으로 철편검출기(20)가 파손됨을 방지하므로 철편검출기(20)의 교환에 의해 생산성이 저하되는 현상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벨트부재(12)를 따라 이동되는 과적된 원료(70)에 의해 이동패널부(40)가 회전되면서 벨트컨베이어(10)의 작동이 정지되므로 과적된 원료(70)에 의한 철편검출기(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10: 벨트컨베이어 12: 벨트부재
14: 컨베이어프레임 16: 지지롤러부
20: 철편검출기 30: 프레임부
32: 지지프레임 34: 연결프레임
36: 내측지지부 37: 연장부재
38: 회전지지부재 40: 이동패널부
42: 코어부재 44: 회전롤러
46: 피감지부재 47: 회전패널
48: 웨이트부재 50: 센서부
52: 센서브라켓 54: 측정센서
60: 제어부 70: 원료

Claims (5)

  1. 철편검출기의 전방에 위치하며, 벨트부재의 외측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벨트부재에 과적된 원료에 밀려서 회전되는 이동패널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며, 상기 이동패널부의 회전을 측정하여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센서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벨트부재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벨트부재의 상측에 위치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이동패널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내측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내측지지부는, 상기 연결프레임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재; 및
    상기 연장부재의 하측에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중공을 형성하는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패널부는,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코어부재;
    상기 코어부재의 양측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지지부재의 외측에 위치하는 회전롤러; 및
    상기 회전롤러에서 연장되며, 상기 벨트부재에 과적된 상기 원료에 밀려서 이동되는 회전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연장부재에 고정되는 센서브라켓; 및
    상기 센서브라켓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롤러에 연결된 피감지부재의 회전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측정값을 전달하는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KR1020170075580A 2017-06-15 2017-06-15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Active KR101950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580A KR101950587B1 (ko) 2017-06-15 2017-06-15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5580A KR101950587B1 (ko) 2017-06-15 2017-06-15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31A KR20180136631A (ko) 2018-12-26
KR101950587B1 true KR101950587B1 (ko) 2019-04-29

Family

ID=6500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5580A Active KR101950587B1 (ko) 2017-06-15 2017-06-15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5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41951A (zh) * 2019-09-29 2020-01-03 伟创力电子技术(苏州)有限公司 一种用于送板机卡板保护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72Y1 (ko) * 2004-12-17 2005-05-25 박창현 이물질 감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722Y1 (ko) * 1998-04-30 2004-07-07 주식회사 포스코 벨트콘베어의철편위치검출장치
KR20100118028A (ko) * 2009-04-27 2010-1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컨베이어 벨트용 이물질 감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5172Y1 (ko) * 2004-12-17 2005-05-25 박창현 이물질 감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6631A (ko) 2018-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2633B1 (ko) 벨트 컨베이어의 사행 및 편적 제어장치
KR101167162B1 (ko) 벨트컨베이어의 이물체 제거장치
KR102177869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504423B1 (ko) 빗물 유입 방지 기능을 갖는 벨트 컨베이어 어셈블리
KR10135551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안전장치
KR101950587B1 (ko) 벨트컨베이어용 원료 과적 검출장치
KR101388022B1 (ko) 트리퍼 장치
KR101818374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938065B1 (ko) 벨트컨베이어
KR101295599B1 (ko) 벨트컨베이어용 손상 감지장치
KR101320120B1 (ko) 트리퍼카용 낙광 방지장치
KR20130046565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20120121547A (ko) 벨트 컨베이어의 편적 방지장치
KR10134431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089144B1 (ko) 벨트컨베이어용 철편제거장치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KR101257462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이송물 넘침 방지장치
KR101225731B1 (ko) 벨트 컨베이어 감지장치
KR102133100B1 (ko) 철편 검출기 테스트 장치
KR101399880B1 (ko) 벨트 컨베이어 손상 감지장치
KR101277537B1 (ko) 벨트 사행 방지장치
KR101357537B1 (ko) 컨베이어 벨트 손상 감지장치
KR101399858B1 (ko) 벨트컨베이어용 낙광 제거장치
KR20160126758A (ko) 벨트컨베이어용 사행 방지장치
KR101277501B1 (ko) 벨트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2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2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