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58615B1 - 파력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파력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615B1
KR101958615B1 KR1020180046948A KR20180046948A KR101958615B1 KR 101958615 B1 KR101958615 B1 KR 101958615B1 KR 1020180046948 A KR1020180046948 A KR 1020180046948A KR 20180046948 A KR20180046948 A KR 20180046948A KR 101958615 B1 KR101958615 B1 KR 101958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power generation
energy
barge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회
장성수
Original Assignee
대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4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61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B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 F03B13/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 F03B13/12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 F03B13/14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 F03B13/16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 F03B13/2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with driving or driven apparatus; Power stations or aggregates characterised by using wave or tide energy using wave energy using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a wave-operated member, i.e. a "wom" and another member, i.e. a reaction member or "rem" wherein both members, i.e. wom and rem are movable relative to the sea bed or sho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90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 F05B2240/93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 F05B2240/932Mounting on supporting structures or systems on a structure floating on a liquid surface which is a catamaran-like stru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30Energy from the sea, e.g. using wave energy or salinity gradient
    • Y02E10/3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전터빈을 구동시키는 파력에너지를 정압의 구동압으로 전환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발전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바지선(10)에 일측에 고정됨 지지플레이트(11)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파력에 의해 회동되는 부력체(2)와;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바닷물에 의한 수압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수압형성수단(3)과; 상기 수압형성수단(3)에서 형성된 수압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발전터빈(4)과; 상기 발전터빈(4)을 통해 얻어진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된 발전기(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력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압형성수단(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1)에 고정되며 바닷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 따라 내부공간면적이 신축되는 펌프실이 구비되어 상기 펌프실의 신축에 따라 상기 입구로 유입된 바닷물을 상기 출구로 펌프하여 배출하도록 된 펌프하우징(31)과; 상기 바지선(10)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1)의 펌프에 따라 공급되는 바닷물을 저장하며 외부로 저장된 바닷물을 토출하도록 된 배수구가 구비된 저장탱크(32)와; 상기 바지선(10)의 상면에서 상기 저장탱크(32)의 하부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상기 발전터빈(4)으로 바닷물을 유도하도록 된 연결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파력발전시스템{Wave power generation system}
본 발명은, 바지선 상에서, 파도의 롤링에 따른 파력에너지를 통해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하도록 된 파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터빈을 구동시키는 파력에너지를 정압의 구동압으로 전환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발전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파력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에너지를 획득하여 이를 사용처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발전기를 가동하고 발전기의 가동에 따라 얻어지는 전기에너지를 각종 소비처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발전기는, 엔진의 기계적 운동에 의해 발생 되는 에너지를 공급받아 이를 발전기 내부의 고정자와 회전자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사용처에 전기에너지를 직접 공급하거나 별도의 축전지에 저장하여 두었다가 필요한 경우에 공급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근자에는 상기 석유화학에너지의 고갈 및 각종 환경공해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그 대체에너지에 대한 연구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특히 근래 고유가시대에 직면하여 해양산업분야를 비롯하여 다른 산업분야에서도 대체에너지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이에 따라, 파랑, 조석, 조류, 해류, 해수의 온도차에 의한 에너지로서 고갈될 염려가 전혀 없고, 인류의 에너지 수요를 충족시키고도 남을 만큼 풍부할 뿐 아니라 공해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므로 에너지 수요 급증에 따른 에너지 자원 부족 및 에너지 자원의 가격 상승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 가능하며 현재 주 에너지원으로 활용되는 화석 에너지의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환경 오염 및 그에 따른 지구 온난화 문제또한 극복하는 것이 가능한 파도의 운동에너지는 차세대 주목받는 에너지원이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장점을 가지는 해양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해양발전방법이 개발되어 실험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해양발전방법으로, 조력발전, 파력발전, 온도차발전, 해류발전, 풍력발전, 및 염도차발전 등이 있다.
상기에서 파력발전은, 파도의 상하 운동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하는 방식으로, 파력발전장치로는, 수면에 떠있는 부력채가 파랑의 운동에 의하여 상하 또는 회전운동을 하도록 하여 발전기를 회전시키는 고정식파력발전장치와 파랑의 작용에 의하여 공기실 내의 수위가 변동함에 따라 공기실 내의 공기가 압축, 팽창될 시에 노즐을 통과하는 공기의 흐름을 이용하여 터빈을 돌려 발전을 하는 부유식파력발전장치 등이 있다.
기존에 알려진 파력발전시스템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0989594호에 개시된 것으로, 해수면에 설치되어 파도의 고저차에 의해 상하 왕복운동을 하는 부유식 구조물과, 그 일측이 부유식 구조물의 하단부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나사산 연결부와, 그 일측이 나사산 연결부의 나사산 부분에 연결되고, 나사산 연결부의 축방향 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장치, 회전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장치의 회전에 따라 전기에너지를 발생하는 발전장치와, 그 일측이 회전장치의 타측에 연결되고, 그 타측이 고정부를 통하여 해저면에 고정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파력 발전 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리고, 수상에 부유하는 바지선을 통해 발전을 하도록 된 다수의 발전장치 및 방법들에 제안되고 있고, 그 중 하나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361`28호(명칭: 파력을 이용한 동력 및 전기발생장치가 구비된 선박)이 있으며, 상기 선박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동체의 측 부에 파도에 의하여 상하운동 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면 일 측에 튜브가 형성되어 있는 노; 상기 동체 내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노의 상하이동에 따라 작동되도록 설치되어 있는 동력 전달 부; 상기 동력 전달 부의 작동에 의해서 작동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 상기 동력 전달 부 및 발전기가 고정 설치되는 수용 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해양의 파도를 동력원으로 이용함에 의하여 발전기를 가동하여 전력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섬마을이나 육지의 마을 또는 공장 등에서 전력을 사용할 수 있고 공해를 발생함이 없이 저렴한 비용으로 전력을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바지선에 적용되어 수면의 파고를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된 것으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03976호(명칭: 부유 식 수력발전 장치)가 있으며, 상기 부력발전 장치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력발전 장치에 있어서, 부력에 의하여 수면위에 부유되고, 그 좌, 우 양측 소정위치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장착 공이 그 길이 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 되어 다수개의 군으로 이루어지는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에 한 쌍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방향으로 구비되는 각 장착 홈 상에 결합되고, 외부 면에 다수개의 날개가 사상으로 형성되며, 내측 면 중심에 기어가 구비되는 활 차와; 상기 활 차의 기어에 연결되는 제너레이터와; 상기 바지선의 좌, 우 양 측면에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그 하부가 물속 암반에 소정깊이 매립되어 고정되며, 일 측 단 부가 쐐기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타 측 단 부에 단턱이 형성되는 'ㄴ' 자 형상의 지주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경제적이고 효과적으로 양질의 에너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조류를 이용하여 발전하도록 된 장치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27654호(명칭: 조류와 풍력을 이용한 발전시스템)이 있으며, 상기 발전시스템은,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후방의 양측이 앵커를 통해서 고정설치되어 바닷물에 부유(浮遊)해 있는 바지선; 날개, 변속장치 및 발전기를 구비하여 상기 바지선 상부의 전후방에 설치되어서 불어오는 바람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하는 풍력발전기; 및 상기 바지선의 하부인 바닷물 속에 설치되어서 유동하는 바닷물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게 하는 조류발전기;로 구성되되, 해양에서 바지선을 중심으로 해수면 위에는 풍력발전장치를 설치하고 해수면 아래에는 조류발전장치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간단한 설비의 구성으로 조력 및 풍력에 의한 에너지 생성 효과
를 동시에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파도의 파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를 얻도록 된 장치들 중 하나로,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11933호(명칭: 바지선 식 월 파형 파력 발전기)가 있으며, 상기 발전기는, 공보에 기재된 바와 같이, 단면 경사가 완만한 이등변 사다리꼴, 또는 이등변 삼각형이고 상부가 수면에 위치하도록 부력과 수평이 조절된 바지선이 칸막이로 분할된 월 파 수로에 설치된 복수의 수평형 수차를 통과하는 파도로 연쇄적으로 회전시킨 복수의 수차동력을 하나 또는 복수로 통합하고 파도의 통과방향과 상관없이 발전기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접속장치로 조정하며, 발전량 기복을 완화하고 거센 파도는 수평형 수차 위로 통과시켜 파도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함으로써 공장에서 제작하고 전력이 필요한 해상이나 해안에 신속하게 정박하여 재생성이 무한한 파도에너지로 발전하도록 되어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2-0061264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431188호 한국특허등록번호 제10-1567263호 한국특허공개번호 제10-2014-011617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파력을 원천에너지로 하는 발전시스템 및 장치들은, 파도의 세기나 흐르는 물살 세기는 일정하지 않고 수시로 변화하여 발전기로 공급되는 에너지가 않고 수시로 변화하여 발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전터빈을 구동시키는 파력에너지를 정압의 구동압으로 전환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되어 발전효율을 극대화하도록 된 파력발전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은, 바지선과; 상기 바지선에 일측에 고정됨 지지플레이트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파력에 의해 회동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의 회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바닷물에 의한 수압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수압형성수단과; 상기 수압형성수단에서 형성된 수압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발전터빈과; 상기 발전터빈을 통해 얻어진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된 발전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력발전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압형성수단은, 상기 지지플레이트에 고정되며 바닷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부력체의 회동에 따라 내부공간면적이 신축되는 펌프실이 구비되어 상기 펌프실의 신축에 따라 상기 입구로 유입된 바닷물을 상기 출구로 펌프하여 배출하도록 된 펌프하우징과; 상기 바지선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펌프하우징의 펌프에 따라 공급되는 바닷물을 저장하며 외부로 저장된 바닷물을 토출하도록 된 배수구가 구비된 저장탱크와; 상기 바지선의 상면에서 상기 저장탱크의 하부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상기 발전터빈으로 바닷물을 유도하도록 된 연결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지선에는, 복수의 상기 부력체들과 상기 부력체들과 각각 연결된 상기 펌프하우징들이 각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펌프하우징들의 출구들은, 상기 저장탱크에 각각 접속하여 바닷물을 저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은, 바지선에 배치된 각각의 부력체들의 불규칙적인 회동에너지들을 각각 인가받도록 된 펌프하우징들을 통해 바닷물을 저장탱크로 공급하여 바닷물에 위치에너지를 부여하고, 저장탱크에 저장된 바닷물의 위치에너지를 연결관을 통해 낙하시켜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터빈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바닷물의 운동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발전터빈을 회전에 따른 발전기의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전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을 보인 개략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펌프하우징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펌프하우징의 작동상태를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의 사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을 구성하는 조절수단을 보인 일부 발췌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을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1)은, 수상을 부유하는 바지선(10)과; 상기 바지선(10)에 일측에 고정됨 지지플레이트(11)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파력에 의해 회동되는 부력체(2)와;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바닷물에 의한 수압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수압형성수단(3)과; 상기 수압형성수단(3)에서 형성된 수압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발전터빈(4)과; 상기 발전터빈(4)을 통해 얻어진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된 발전기(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파도의 파력을 전달받아 상기 바지선(10)에 배치된 상기 부력체(2)가 상기 지지플레이트(11)에 대하여 축회전함으로써 회동에너지를 발생하게 되며; 상기 수압형성수단(3)을 통해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너지를 수압에너지로 전환하고, 전환된 수압에너지를 통해 상기 발전터빈(3)이 회전하면서 상기 발전터빈(3)과 연결된 상기 발전기(4)가 발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친환경적인 전기에너지의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1)에서, 상기 수압형성수단(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1)에 고정되며 바닷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 따라 내부공간면적이 신축되는 펌프실이 구비되어 상기 펌프실의 신축에 따라 상기 입구로 유입된 바닷물을 상기 출구로 펌프하여 배출하도록 된 펌프하우징(31)과; 상기 바지선(10)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1)의 펌프에 따라 공급되는 바닷물을 저장하며 외부로 저장된 바닷물을 토출하도록 된 배수구가 구비된 저장탱크(32)와; 상기 바지선(10)의 상면에서 상기 저장탱크(32)의 하부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상기 발전터빈(4)으로 바닷물을 유도하도록 된 연결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발전터빈(4)이 상기 저장탱크의 배수구와 연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연결관(33)을 통해 바닷물이 낙하하면서 형성된 운동에너지를 상기 발전터빈(4)에서 공급받아 회전에너지로 전환한 후 외부로 바닷물을 배출하는 중에, 상기 발전기(5)가 상기 발전터빈(4)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인가되는 회전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하여 발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펌프하우징(31)을 통해 바닷물을 상기 저장탱크(32)로 공급하여 바닷물에 위치에너지를 부여하고, 상기 저장탱크(32)에 저장된 바닷물의 위치에너지를 상기 연결관(33)을 통해 낙하시켜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발전터빈(4)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바닷물의 운동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발전터빈(4)을 회전에 따른 상기 발전기(5)의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전효율이 극대화된다.
상기에서 펌프하우징(31)은,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가 각각 배치되는 고정챔버(311)와, 상기 고정챔버(311)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2)와 연결대(2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챔버(312)와; 상기 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확장시에는 개방되고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수축시에는 폐쇄되는 입구체크밸브(313)와; 상기 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확장시에는 폐쇄되고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수축시에는 개방되는 출구체크밸브(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부력체(2)의 회동운동에 따라,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확장시에는, 상기 입구를 통해 바닷물이 상기 고정챔버(311)로 유입되고;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수축시에는, 상기 출구를 통해 바닷물이 상기 저장탱크(32)로 펌프되어 공급되도록 된다.
한편, 상기 펌프하우징(31)의 입구에는, 종단이 수중에 위치하여 바닷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입구관(34)이 관접속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1)의 출구에는, 종단이 상기 저장탱크(32)와 관접속되어 펌프되는 바닷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출구관(35)이 관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1)에서, 상기 바지선(10)에는, 복수의 상기 부력체(2)들과 상기 부력체(2)들과 각각 연결된 상기 펌프하우징(31)들이 각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1)들의 출구들이 상기 저장탱크(32)에 각각 접속하여 바닷물을 저장하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지선(10)에 배치된 각각의 부력체(2)들의 불규칙적인 회동에너지들을 각각 인가받도록 된 상기 펌프하우징(31)들을 통해 바닷물을 상기 저장탱크(32)로 공급하여 바닷물에 위치에너지를 부여하고, 상기 저장탱크(32)에 저장된 바닷물의 위치에너지를 상기 연결관(33)을 통해 낙하시켜 운동에너지로 전환하여 상기 발전터빈(4)을 구동시키도록 되어 있어, 바닷물의 운동에너지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발전터빈(4)을 회전에 따른 상기 발전기(5)의 발전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전효율이 극대화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파력발전시스템(1)에서, 상기 연결관(33)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탱크(32)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1)의 감지에 따라, 설정된 수위보다 바닷물이 저장될 경우에 상기 연결관(33)을 폐쇄하도록 된 개폐밸브(6)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저장텡크(32)에 상기 발전기(5)의 발전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정도의 수위가 저장되는 경우에만 발전을 수행하도록 되어, 안정적인 발전을 구현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파력발전시스템 10 : 바지선
11 : 지지플레이트 2 : 부력체
21 : 연결대 3 : 수압형성수단
31 : 펌프하우징 311 : 고정챔버
312 : 신축챔버 313 : 입구체크밸브
314 : 출구체크밸브 32 : 저장탱크
33 : 연결관 34 : 입구관
35 : 출구관 4 : 발전터빈
5 : 발전기 6 : 개폐밸브
61 : 감지센서

Claims (2)

  1. 바지선(10)과; 상기 바지선(10)에 일측에 고정됨 지지플레이트(11)에 축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파력에 의해 회동되는 부력체(2)와;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너지를 전달받아 바닷물에 의한 수압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수압형성수단(3)과; 상기 수압형성수단(3)에서 형성된 수압에너지를 전달받아 회전에너지로 전환하도록 된 발전터빈(4)과; 상기 발전터빈(4)을 통해 얻어진 회전에너지를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된 발전기(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수압형성수단(3)은, 상기 지지플레이트(11)에 고정되며 바닷물이 유입되는 입구와 배출되는 출구를 가지며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 따라 내부공간면적이 신축되는 펌프실이 구비되어 상기 펌프실의 신축에 따라 상기 입구로 유입된 바닷물을 상기 출구로 펌프하여 배출하도록 된 펌프하우징(31)과; 상기 바지선(10)의 상면에서 상부로 높이를 가지면서 배치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1)의 펌프에 따라 공급되는 바닷물을 저장하며 외부로 저장된 바닷물을 토출하도록 된 배수구가 구비된 저장탱크(32)와; 상기 바지선(10)의 상면에서 상기 저장탱크(32)의 하부에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상기 발전터빈(4)으로 바닷물을 유도하도록 된 연결관(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파력발전시스템(1)에 있어서;
    상기 펌프하우징(31)은,
    상기 입구와 상기 출구가 각각 배치되는 고정챔버(311)와, 상기 고정챔버(311)와 공간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부력체(2)와 연결대(21)를 통해 연결되어 상기 부력체(2)의 회동에 따라 신축되는 신축챔버(312)와; 상기 입구에 구비되며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확장시에는 개방되고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수축시에는 폐쇄되는 입구체크밸브(313)와; 상기 출구에 구비되며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확장시에는 폐쇄되고 상기 신축챔버(312)의 공간수축시에는 개방되는 출구체크밸브(3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펌프하우징(31)의 입구에는,
    종단이 수중에 위치하여 바닷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입구관(34)이 관접속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1)의 출구에는,
    종단이 상기 저장탱크(32)와 관접속되어 펌프되는 바닷물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도록 된 출구관(35)이 관접속되고;
    상기 바지선(10)에는, 복수의 상기 부력체(2)들과 상기 부력체(2)들과 각각 연결된 상기 펌프하우징(31)들이 각각 사이간격을 가지면서 병렬로 배치되며;
    상기 펌프하우징(31)들의 출구들은, 상기 저장탱크(32)에 각각 접속하여 바닷물을 저장하도록되고;
    상기 연결관(33)에는,
    상기 저장탱크(32)의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61)의 감지에 따라, 설정된 수위보다 바닷물이 저장될 경우에 상기 연결관(33)을 폐쇄하도록 된 개폐밸브(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력발전시스템.
  2. 삭제
KR1020180046948A 2018-04-23 2018-04-23 파력발전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958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48A KR101958615B1 (ko) 2018-04-23 2018-04-23 파력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948A KR101958615B1 (ko) 2018-04-23 2018-04-23 파력발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615B1 true KR101958615B1 (ko) 2019-03-14

Family

ID=65759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948A Expired - Fee Related KR101958615B1 (ko) 2018-04-23 2018-04-23 파력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61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394A (ja) * 2008-12-08 2010-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波力発電装置
KR20120015903A (ko) * 2010-08-12 2012-02-22 강순석 파력에너지를 이용한 양수장치
KR20120061264A (ko) 2010-12-03 2012-06-13 (주)알파쏠라테크 다중 종속 블레이드를 갖는 수직축형 터빈
KR101211321B1 (ko) * 2012-08-30 2012-12-11 송재동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431188B1 (ko) 2013-08-06 2014-08-2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블레이드 수직 가변형 터빈
KR20140116170A (ko) 2011-12-30 2014-10-01 시바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에 의한 회전체의 제작법 및 그 회전체
KR101567263B1 (ko) 2014-12-05 2015-11-06 황창수 소수력 발전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394A (ja) * 2008-12-08 2010-06-17 Mitsubishi Heavy Ind Ltd 波力発電装置
KR20120015903A (ko) * 2010-08-12 2012-02-22 강순석 파력에너지를 이용한 양수장치
KR20120061264A (ko) 2010-12-03 2012-06-13 (주)알파쏠라테크 다중 종속 블레이드를 갖는 수직축형 터빈
KR20140116170A (ko) 2011-12-30 2014-10-01 시바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에 의한 회전체의 제작법 및 그 회전체
KR101211321B1 (ko) * 2012-08-30 2012-12-11 송재동 조수간만의 차이를 이용한 발전장치
KR101431188B1 (ko) 2013-08-06 2014-08-21 주식회사 금성이앤씨 블레이드 수직 가변형 터빈
KR101567263B1 (ko) 2014-12-05 2015-11-06 황창수 소수력 발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0832B2 (en) Wave energy converter
NO323274B1 (no) Utvinning av kraft fra vann i bevegelse
CN113135272B (zh) 一种兼具风能、太阳能与波浪能发电的浮式海洋平台模块与海洋平台
JP5579735B2 (ja) 波エネルギーを捕捉するためのプラットホーム
AU2009289048B2 (en) Fluid power generator
JP2016517923A (ja) 潜水式水力発電機装置およびかかる装置から水を排出する方法
KR20150072491A (ko) 진동 수주형 파력 발전 장치
US10100803B1 (en) Ocean wave-crest powered electrical generator in combination with pumped storage
KR101039124B1 (ko) 부양식 방파제 겸용 파력발전 시스템
CN108590967A (zh) 一种利用海洋能的综合发电平台
CN109779825B (zh) 矩形环管式振荡水柱对称翼透平发电装置
KR100822089B1 (ko) 조격 정수 부치 이중 발전 시스템
KR101958615B1 (ko) 파력발전시스템
KR101190780B1 (ko) 유체 흐름의 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유수력 발전장치
CN202203034U (zh) 浮力发动机及应用该浮力发动机的发电机组
KR100795516B1 (ko) 파도 에너지 변환장치
KR101631066B1 (ko) 조류와 파력을 이용한 발전장치
CN103452744A (zh) 一种可移动安装的海洋潮汐落差泵水储能发电系统
CN102102621B (zh) 浮力发动机及应用该浮力发动机的发电机组
WO2016177858A1 (en) A wave-powered electrical energy generation device
KR101452689B1 (ko) 파력 발전장치
KR20110042253A (ko) 수상 직립식 소수력 복합 발전선
JP7199001B1 (ja) 潮流発電装置及び潮流発電方法
JP4902800B1 (ja) 船舶
KR20110013094A (ko) 해상 직립 부유식 소수력 복합 발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9012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90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9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