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57953B1 -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953B1
KR101957953B1 KR1020180037902A KR20180037902A KR101957953B1 KR 101957953 B1 KR101957953 B1 KR 101957953B1 KR 1020180037902 A KR1020180037902 A KR 1020180037902A KR 20180037902 A KR20180037902 A KR 20180037902A KR 101957953 B1 KR101957953 B1 KR 101957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discharge
cable
pipe member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7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주
김동석
Original Assignee
(주)클래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클래시스 filed Critical (주)클래시스
Priority to KR1020180037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953B1/ko
Priority to PCT/KR2019/003736 priority patent/WO2019194479A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10Cooling bags, e.g. ice-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 A61M35/003Portable hand-held applicators having means for dispensing or spreading integral med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18/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with open-end cryogenic probe, e.g. for spraying fluid directly on tissue or via a tissue-contacting porous ti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0Containers, covers, furniture or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e.g. sterile covers
    • A61B50/3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packaging, protecting, dispensing, collecting or disposing of surgical or diagnostic appliance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9/00Pneumatic or hydraulic massage
    • A61H9/0021Hydraulic massage
    • A61H9/0028Hand-held devices for spraying and removing liquid while moved on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16Skin treatment other than tan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7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using laser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 A61B18/2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apply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microwaves using la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17/225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 A61B17/2251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between the apparatus, e.g. shock wave apparatus or locating means, and the patient, e.g. details of bags, pressure control of bag on patient
    • A61B2017/2253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for invasive removal or destruction of calculus using mechanical vibration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xtracorporeal shock wave lithotripsy [ESWL], e.g. by using ultrasonic waves characterised by coupling elements between the apparatus, e.g. shock wave apparatus or locating means, and the patient, e.g. details of bags, pressure control of bag on patient using a coupling gel or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58Deeper parts of the skin, e.g. treatment of vascular disorders or port wine stains
    • A61B2018/00464Subcutaneous fat, e.g. liposuction, lipo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 A61B2018/0047Upper parts of the skin, e.g. skin peeling or treatment of wri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cooling, e.g. cryogenic techniques
    • A61B2018/0231Characteristics of handpieces or pro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63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cooling or 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4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 A61B2090/0472Protection of tissue around surgical sites against effects of non-mechanical surgery, e.g. laser surgery against ultrasound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8/00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218/001Details of 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having means for irrigation and/or aspiration of substances to and/or from the surgical site
    • A61B2218/007As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8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for particular medical treatments or effects
    • A61F2007/029Fat cell removal or destruction by non-ablative heat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2005/002Cooling systems
    • A61N2005/007Cooling systems for cooling the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5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haracterised by the body area to be irradiated
    • A61N2005/0643Applicators, probes irradiating specific body areas in close proximity
    • A61N2005/0644Handheld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8Destruction of fat ce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04Applications of ultrasound therapy
    • A61N2007/0034Skin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체 케이싱 내에 핸드피스의 젤 흡입구과 젤 흡입구와 연결된 젤 흡입라인부에 연결되어 젤을 저장할 수 있는 젤 보관통부재, 젤 보관통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젤 보관통부재 내의 젤을 회수하는 젤 회수통부재를 포함하고, 젤 회수통부재와 연결되는 젤 보관통부재의 젤 배출부가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되어 본체 케이싱을 열지 않고, 본체 케이싱의 외측에서 젤 보관통부재 내에 보관된 젤을 젤 회수통부재로 간단하게 회수할 수 있어 젤 보관통부재를 비우기 위한 젤 회수 작업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SKIN TREATMENT APPARATUS RECOVERABLE OF GEL}
본 발명은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피부 치료 시 치료 대상자의 피부에 사용되는 젤을 회수하는 기능을 구비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추세로 다양한 피부 치료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피부 치료 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페이스 리프팅(face lifting) 또는 스킨 타이트닝(skin tightening) 시술을 위한 피부 관리 장치, 냉각 지방 분해 치료 장치 등 다양한 구조로 제안되고 있다.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는 치료 대상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피부 내로 초음파를 조사하는 초음파 치료용 핸드피스 및 초음파 치료용 핸드피스의 조작을 제어하는 본체를 포함한다.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는 초음파 치료용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피부 표면으로부터 일정 깊이에 있는 피부 조직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에 의한 열적 병변(thermal lesion)을 발생시켜, 특정 피부 조직을 의도적으로 손상시키거나 지방 조직을 녹여 분해시키는 시술에 주로 이용된다.
또한,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는 탈모 방지나 발모 촉진, 피부 박피, 피부 재생, 미백, 주름이나 반점 제거, 기미 제거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레이저를 일정크기의 점으로 피부에 조사하되, 치료 대상 부위에만 레이저로 열을 가해 피부조직을 손상시키는 방식으로 치료한다.
또한, 피부 관리를 위한 피부 관리 장치는 피부 표면을 연마하여 피부 표면을 일부 연마하면서 피부 내 기능성 화장성분을 침투시키기 위한 세정액을 배출하는 피부 관리용 핸드피스와 피부 관리용 핸드피스로 세정액을 제공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또한, 냉각 지방 분해 치료를 위한 냉동 지방 분해 장치는 하나의 핸드피스에 피시술자의 시술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 컵이 장착되어 사용된다.
냉각 컵은 피시술자의 피부를 흡입하여 냉각시키는 흡입형과 그렇지 않은 비흡입형으로 나뉘며, 냉각 컵에 부착되는 열전소자의 종류 및 수량에 따라 성능이 달라진다. 시술자는 피시술자의 비만 상태나 시술 부위에 따라 여러 종류의 냉각 컵 중에서 피시술자에게 가장 적합한 냉각 컵을 선택하여 시술함으로써 냉동 지방 분해 시술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페이스 리프팅(face lifting) 또는 스킨 타이트닝(skin tightening) 시술을 위한 피부 관리 장치, 냉각 지방 분해 치료 장치 등과 같은 피부 치료 장치는 해당 피부 치료를 위해 치료 대상자의 피부에 접촉되는 핸드피스,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본체, 제어본체와 핸드피스를 연결하는 케이블체를 포함한다.
그리고,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페이스 리프팅(face lifting) 또는 스킨 타이트닝(skin tightening) 시술을 위한 피부 관리 장치, 냉각 지방 분해 치료 장치 등과 같은 피부 치료 장치는 해당 피부 치료 시 치료 대상자의 피부를 보호하거나, 핸드피스의 피부 치료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치료 대상자의 피부에 젤이 도포될 수 있다.
일 예로 냉각 지방 분해 치료를 위한 냉동 지방 분해 장치로 냉각 지방 분해 치료 시 치료 대상자의 피부에 동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동상방지용 냉각젤을 바르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피부 치료 장치는 대부분 피부 치료 시 사용되는 냉각젤을 회수하는 장치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시술 후 휴지나 수건 등으로 치료대상자의 피부에 발라진 젤을 닦아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피부에 발라진 젤은 시술 후 휴지나 수건 등으로 닦아 제거되므로 재사용이 불가하여 피부 치료 시 매번 새로운 젤을 사용해야 하므로 젤과 휴지 등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피부 치료 장치는 핸드 피스에 젤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위치되고, 흡입 라인을 통해 피부에 사용된 젤을 흡입하여 본체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젤 회수탱크로 저장하고, 젤 회수탱크가 채워진 경우 본체 하우징의 내부를 개방하고 젤 회수탱크를 본체 하우징에서 분리하여 젤을 회수하고 있다.
즉, 종래의 피부 치료 장치는 본체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젤 회수탱크에 저장된 젤을 회수하기 위해 본체 하우징의 내부를 개방하고, 젤 회수탱크를 본체 하우징에서 분리하여 젤 회수 탱크 내 저장된 젤을 회수 처리하고, 비운 젤 회수 탱크를 다시 본체 하우징 내로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던 것이다.
선행문헌1 : 한국특허공개 제2012-0116908호 '초음파 치료 장치를 이용하는 가변 처리 사이트 몸 윤곽성형'(2012.10.23. 공개) 선행문헌2 :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40395호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 방법'(2014.12.09.공개) 선행문헌3 : 한국특허등록 제10-1649602호 '휴대용 피지제거기'(2016.08.19 공고) 선행문헌4 : 한국특허등록 제10-1759116호 '피하 지질 과다 세포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2017.07.12.등록)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 치료 시 사용되는 젤을 핸드피스로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체 케이싱을 열지 않고, 본체 케이싱의 외측에서 젤 보관통부재 내에 보관된 젤을 젤 회수통부재로 간단하게 회수할 수 있어 젤 보관통부재를 비우기 위한 젤 회수 작업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는, 피부에 접촉되어 치료에 사용되며 피부 치료에 사용된 젤을 흡입할 수 있는 젤 흡입구가 위치된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본체가 내부에 위치되는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위치되며 젤 흡입구로부터 젤을 흡입하는 젤 흡입라인부와 연결되어 피부 치료 시 사용되는 젤을 회수하여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젤을 배출하는 젤 배출부가 구비된 젤 보관통부재,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젤 배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젤 보관통부재 내의 젤을 회수하는 젤 회수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젤 배출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본체 케이싱은 내부에 제어본체가 내장되는 메인 하우징 및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 측에 세워져 위치되고 상기 핸드피스와 상기 제어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체가 통과되는 케이블 거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젤 보관통부재는 케이블 거치 하우징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케이블 거치 하우징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는 지지대부재 및 상기 지지대부재의 상부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전, 후 방향으로 케이블체가 통과되는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젤 보관통부재는 상기 지지대부재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 흡입라인부는 상기 젤 흡입구와 상기 젤 보관통부재를 연결하는 제1젤 흡입호스부재, 상기 제어본체에서 젤을 흡입하는 젤 흡입부와 상기 젤 보관통부재를 연결하는 제2젤 흡입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젤 흡입호스부재가 연결되는 제1호스 연결부, 상기 제2젤 흡입호스부가 연결되는 제2호스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 배출부는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일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젤 배출관부재 및 상기 젤 배출관부재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젤 회수통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젤 배출유로를 열고 상기 젤 회수통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젤 배출유로를 닫는 젤 배출제어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 회수통부재는 상부 측에 젤 배출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젤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젤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젤 회수부가 위치되고, 상기 젤 회수부는 상기 젤 회수통부재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관부재와 결합되는 젤 회수관부재 및 상기 젤 회수관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 배출제어밸브는 상기 젤 배출유로 내에 위치되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유로를 막는 밸브 축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젤 회수관부재가 상기 젤 배출관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폐 제어부에 의해 밀리면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젤 배출유로를 열고, 상기 젤 회수관부재가 상기 젤 배출관부재에서 분리되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젤 배출유로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젤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젤 배출구가 위치되고, 상기 젤 배출유로는 상기 젤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배출유로 및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배출유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내부에는 제1배출유로와 제2배출유로를 구분하는 유로경계 단턱부가 위치되고, 상기 밸브 축부재는 상기 제2배출유로 내로 삽입되며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배출용 슬릿홈부가 외주면에 위치되는 삽입축부, 상기 삽입축부의 일단부 측에 상기 삽입축부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어 상기 유로경계 단턱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2배출유로를 막는 밸브판부, 및 상기 밸브판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스프링 결합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젤 회수관부재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젤 회수관부재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배출용 슬릿홈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회수용 개방부가 위치된 돌기 지지부재; 및 상기 돌기 지지부재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관부재가 상기 젤 회수관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밸브 축부재를 가압하는 밸브 가압돌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밸브 축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밸브 가압돌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가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는, 상기 젤 회수관부재와 젤 배출관부재의 결합상태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관 연결부는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 상기 젤 회수관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슬릿부가 위치되는 원통형 노브부재 및 상기 젤 회수관부재와 상기 원통형 노브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원통형 노브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젤 보관통부재에는 상기 젤 보관통부재 내에 보관되는 젤의 보관량을 감지하여 젤의 보관량을 감지하는 젤 용량 감지센서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어본체는 젤 용량 감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젤 용량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젤의 보관량이 기설정된 용량 이상인 경우 알림하는 알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부 치료 시 사용되는 젤을 핸드피스로 흡입하여 회수하여 젤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피부 치료 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본체 케이싱을 열지 않고, 본체 케이싱의 외측에서 젤 보관통부재 내에 보관된 젤을 젤 회수통부재로 간단하게 회수할 수 있어 젤 보관통부재를 비우기 위한 젤 회수 작업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젤 보관통부재와 젤 회수통부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젤 보관통부재와 젤 회수통부재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젤 회수통부재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거치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거치 하우징에 대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케이블 거치 하우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케이블 거치 하우징에서 케이블 길이조절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는, 피부에 접촉되어 치료에 사용되며 피부 치료에 사용된 젤을 흡입할 수 있는 젤 흡입구가 위치된 핸드피스(10)와 핸드피스(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본체(미도시)가 내부에 위치되는 본체 케이싱(20, 100), 핸드피스(10)와 제어본체를 연결하여 핸드피스(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케이블체를 포함한다.
케이블체(30)는 케이블 보호관부재의 내부에 핸드피스(10)와 제어본체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여 제어본체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 제어라인부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작동 제어라인부 이외에도 피부 치료 장치의 종류에 따라 핸드피스(10) 또는 피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 라인부, 음압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용 라인부, 젤 등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치료용액 공급라인부, 치료 대상자의 피부에 발라진 젤 등의 치료용 용액을 흡입하기 위한 젤 흡인라인부 등이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어본체는 본체 케이싱(20, 100)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며 핸드피스(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하는 제어 디스플레이패널체를 포함하고, 제어 디스플레이패널체는 터치스크린으로 시술자의 터치에 의한 입력으로 핸드피스(1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는 냉각 지방 분해 치료를 위한 냉동 지방 분해 장치인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초음파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 페이스 리프팅(face lifting) 또는 스킨 타이트닝(skin tightening) 시술을 위한 피부 관리 장치 등과 같이 핸드피스(10)를 포함하는 다양한 공지의 의료 기기일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즉, 본 발명에서 케이블체(30)의 단부에 연결되는 핸드피스(10)는 냉동 지방 분해용 핸드피스인 것을 일 예로 한다.
그리고, 본체 케이싱(20, 100)은 내부에 제어본체가 내장되는 메인 하우징(20), 메인 하우징(20)의 상부 측에 세워져 위치되고 핸드피스(10)와 제어본체를 연결하는 케이블체(30)가 통과되는 케이블 거치 하우징(100)을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체(30)의 일단부 측에는 피부에 접촉되어 치료에 사용되는 피부 치료용 장치의 핸드피스(10)가 연결되고, 케이블체(30)의 타단부 측은 제어본체에 연결된다.
케이블 보호관부재는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마디부(31)가 연속되게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플렉시블 관부재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케이블체(30)는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도록 길이 방향으로 마디부(31)가 연속되게 형성된 합성수지 재질의 플렉시블 관부재 내에 핸드피스(10)와 제어본체를 연결하며 핸드피스(1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작동 제어라인부와 젤 흡입구와 연결되어 젤을 흡입하는 젤 흡입라인부(32)가 위치되고, 피부 치료 장치의 종류에 따라 핸드피스(10) 또는 피부의 냉각을 위한 냉각수를 공급하고 배출하기 위한 냉각수 라인부, 음압을 형성하기 위해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 흡입용 라인부, 젤 등을 포함하는 피부 치료용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치료용액 공급라인부 등이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제어본체는 젤 흡입라인부(32)와 연결되는 진공 펌프를 포함하여 젤 흡입라인부(32)를 통해 피부에 발라져 사용된 젤을 흡입하도록 하는 젤 흡입부를 포함한다.
케이블 거치 하우징(100)은 메인 하우징(20)의 상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는 지지대부재(110), 지지대부재(110)의 상부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전, 후 방향으로 케이블체(30)가 통과되는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젤 보관통부재(300)와 젤 회수통부재(400)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를 참고하면 본체 케이싱(20, 100) 내에는 젤 흡입라인부(32)와 연결되어 피부 치료 시 사용되는 젤을 회수하여 보관하는 젤 보관통부재(300)가 위치된다.
젤 보관통부재(300)는 보관된 젤을 배출하기 위한 젤 배출부(310)가 구비되고, 젤 배출부(310)는 본체 케이싱(20, 100)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된다.
젤 배출부(310)에는 젤 보관통부재(300) 내의 젤을 회수하는 젤 회수통부재(40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젤 보관통부재(300)는 케이블 거치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더 상세하게 지지대부재 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젤 보관통부재(300)는 본체 하우징의 상부에 세워진 지지대부재 내에 위치되어 작업자가 작업하기 용이한 높이에서 젤 배출부(310)가 위치될 수 있어 젤 배출부(310)에 젤 회수통부재(400)를 쉽게 결합시키고,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젤 흡입라인부(32)는 젤 흡입구와 젤 보관통부재(300)를 연결하는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 젤 보관통부재(300)와 젤 흡입부를 연결하는 제2젤 흡입호스부를 포함한다.
젤 보관통부재(300)의 상면에는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가 연결되는 제1호스 연결부(301), 제2젤 흡입호스부가 연결되는 제2호스 연결부(302)가 구비된다.
젤은 젤 흡입라인부(32)를 통해 흡입될 때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를 통해 젤 보관통부재(300) 내로 흡입되면서 낙하되어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보관되고, 제2젤 흡입호스부재(32b)를 통해서는 흡입된 젤이 제거되고 공기만 흡입되어 통과되게 된다.
젤 흡입라인부(32) 중 실질적으로 젤이 유동되는 부분은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이고, 젤 보관통부재(300)가 케이블 거치 하우징 내에 위치됨으로써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의 길이를 최대한 단축시킬 수 있다.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는 실질적으로 젤이 흡입되어 통과되는 라인으로 내벽에 잔류된 젤이 고착될 수 있고, 고착된 젤에 의해 유로가 막힐 수 있으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하거나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 내부를 세척수를 흡입시킴으로써 청소해야 하는데 제1젤 흡입호스의 길이를 최대한 단축시켜 설계함으로써 제1젤 흡입호스부재(32a)의 교체 및 청소 작업을 용이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젤 배출부(310)는 젤 보관통부재(300)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젤 보관통부재(300)의 일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젤 배출관부재(311), 젤 배출관부재(311) 내에 위치되고 젤 회수통부재(400)가 결합되면 젤 배출관부재(311)의 유로를 열고 젤 회수통부재(400)가 분리되면 젤 배출관부재(311)의 유로를 닫는 젤 배출제어밸브(312)를 포함한다.
또한, 젤 회수통부재(400)는 상부 측에 젤 배출부(31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젤 배출부(310)를 통해 배출되는 젤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젤 회수부(410)가 위치된다.
젤 회수부(410)는 젤 회수통부재(400)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젤 배출관부재(311)와 결합되는 젤 회수관부재(411)를 포함한다.
젤 회수관부재(411)와 젤 배출관부재(311)는 관 연결부(500)에 의해 결합상태가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젤 보관통부재(300)와 젤 회수통부재(400)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를 확대한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젤 회수통부재(4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한편, 젤 회수부(410)는 젤 회수관부재(411)에 위치되어 젤 배출제어밸브(312)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4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젤 회수부(410)는 젤 배출부(310)에 결합 시 개폐 제어부(412)가 젤 배출제어밸브(312)를 열어 젤 보관통부재(300) 내 보관 중인 젤을 배출시켜 젤 회수통부재(400) 내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젤 배출제어밸브(312)는 젤 배출관부재(311)의 젤 배출유로(311a) 내에 스프링부재(314)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젤 배출유로(311a)를 막는 밸브 축부재(313)를 포함하여 젤 회수부(410)가 젤 배출부(310)에 결합됨으로써 밸브 축부재(313)가 젤 회수부(410)에 의해 밀리면 젤 배출관부재(311)의 젤 배출유로(311a)를 열고, 젤 회수부(410)가 젤 배출부(310)에서 분리되면 스프링부재(314)의 탄성 복원력으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젤 배출유로(311a)를 막는 구조를 가진다.
더 상세하게 젤 보관통부재(300)의 하부면에는 젤 배출관부재(311)의 젤 배출유로(311a)와 연결되는 젤 배출구(311b)가 위치되고, 젤 배출유로(311a)는 젤 배출구(311b)와 연결되는 제1배출유로(311c), 젤 배출관부재(311)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제1배출유로(311c)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배출유로(311d)를 포함하여 젤 배출관부재(311)의 내부에 제1배출유로(311c)와 제2배출유로(311d)를 구분하는 유로경계 단턱부(311e)가 위치된다.
밸브 축부재(313)는 제2배출유로(311d) 내로 삽입되며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배출용 슬릿홈부(313b)가 위치되는 삽입축부(313a), 삽입축부(313a)의 일단부 측에 삽입축부(313a)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어 유로경계 단턱부(311e)에 밀착되어 제2배출유로(311d)를 막는 밸브판부(313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밸브판부(313c)의 후면에는 스프링부재(314)가 결합될 수 있는 스프링 결합축부(313d)가 돌출될 수 있고, 스프링부재(314)는 코일 스프링으로 밸브판부(313c)와 젤 배출관부재(311)의 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밸브판부(313c)를 탄성 지지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스프링 결합축부(313d)는 코일 스프링인 스프링부재(314) 내로 삽입되어 스프링부재(314)가 압축되거나 신장될 때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젤 배출관부의 단부 측에는 스프링부재(314)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스프링 삽입홈부(311f)가 위치되어 스프링부재(314)의 위치가 고정되고, 스프링부재(314)가 압축되거나 신장될 때 더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밸브판부(313c) 또는 유로경계 단턱부(311e)에는 밀폐용 오링이 위치되며, 밀폐용 오링은 밸브판부(313c)가 스프링부재(314)에 의해 탄성 지지되어 유로경계 단턱부(311e)에 밀착될 때 밸브판부(313c)와 유로경계 단턱부(311e)의 사이를 실링하여 젤 보관통부재(300) 내의 젤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축부(313a)는 외주면이 제2배출유로(311d) 내에 밀착된 상태로 위치되어 젤 회수부(410)에 의해 가압 시 제2배출유로(311d)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직선 이동되고, 젤 회수부(410)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스프링부재(31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밀려 다시 원위치로 복귀할 때 제2배출유로(311d)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직선 이동될 수 있다.
개폐 제어부(412)는 젤 회수관부재(411) 내에 위치되며 젤 회수관부재(411)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배출용 슬릿홈부(313b)와 연결되는 복수의 회수용 개방부(412b)가 위치된 돌기 지지부재(412a), 돌기 지지부재(412a)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젤 배출관부가 젤 회수관부재(411)에 결합되면 밸브 축부재(313)를 가압하는 밸브 가압돌기부재(412c)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삽입축부(313a)의 단부에는 밸브 가압돌기부재(412c)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313e)가 위치되고, 결합홈부(313e)의 깊이는 밸브 가압돌기부재(412c)의 길이보다 작은 깊이로 형성되어 밸브 축부재(313)가 밀려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밸브 가압돌기부재(412c)는 결합홈부(313e)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젤 배출관부재(311)와 젤 회수관부재(411)의 결합상태를 더 견고하게 함은 물론 밸브 가압돌기부재(412c)가 밸브 축부재(313)를 안정적으로 밀어 가압할 수 있도록 한다.
밸브 가압돌기부재(412c)는 돌기 지지부재(412a)의 중앙에 위치되어 제2배출유로(311d) 내에 위치된 삽입축부(313a)를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젤 배출관부재(311)는 젤 회수관부재(411)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젤 배출관부재(311)의 외주면 또는 젤 회수관부재(411)의 내주면 중 어느 한 측에는 오링이 위치되어 젤 배출관부재(311)과 젤 회수관부재(411)가 결합될 때 젤 배출관부재(311)과 젤 회수관부재(411)의 사이를 실링한다.
젤 회수통부재(400)를 젤 보관통부재(300)에 결합시키면 즉, 젤 배출관부재(311)가 젤 회수관부재(411)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면 밸브 가압돌기부재(412c)가 밸브 축부 즉, 제2배출유로(311d) 내에 위치된 삽입축부(313a)를 가압하여 밸브판부(313c)를 유로경계 단턱부(311e)에서 이격시킴으로써 회수용 개방부(412b), 배출용 슬릿홈부(313b)를 통해 젤 배출유로(311a)가 열리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젤 배출유로(311a)가 열리면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보관 중인 젤이 중력에 의해 하부에 위치된 젤 배출관부재(311)와 이와 연결된 젤 회수관부재(411)를 통해 젤 회수통부재(400) 내로 회수된다.
젤 회수통부재(400)는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에 채워지는 젤의 양을 확인할 수 있고, 내부에 채워지는 젤의 양을 확인하여 기설정된 량의 젤이 회수되면 즉, 젤 보관통부재(300) 내의 젤이 모두 회수되었다고 확인될 때 젤 보관통부재(300)와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젤 보관통부재(300)에서 젤 회수통부재(400)가 분리되면 밸브판부(313c)가 스프링부재(314)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 즉, 밸브판부(313c)가 유로경계 단턱부(311e)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젤 배출유로(311a)를 밀폐시키게 되고, 다시 젤 보관통부재(300)는 내부로 젤을 채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관 연결부(500)는 젤 배출관부재(311)와 젤 회수관부재(411)가 결합된 상태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한다.
관 연결부(500)는 젤 배출관부재(311)와 젤 회수관부재(411)의 결합 상태를 잠금하여 젤 배출관부재(311)와 젤 회수관부재(411)를 통해 젤이 젤 회수통부재(400) 내로 안정적으로 회수될 수 있도록 하고, 젤 회수가 완료된 후 잠금이 해제되어 젤 회수관부재(411)를 젤 배출관부재(311)에서 분리할 수 있게 한다.
관 연결부(500)는 젤 배출관부재(311)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510), 젤 회수관부재(411)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걸림돌기(510)가 삽입되어 걸리는 슬릿부(521)가 위치되는 원통형 노브부재(520), 젤 회수관부재(411)와 원통형 노브부재(520) 사이에 위치되어 원통형 노브부재(520)를 탄성 지지하는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젤 회수관부재(411)의 외주면에는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530)의 일단부 측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 지지링부(531)가 돌출되게 위치되고, 원통형 노브부재(520)의 단부 측에서 내주면에는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530)의 타단부 측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 지지링부(532)가 위치될 수 있다.
슬릿부(521)는 원통형 노브부재(520)의 축방향으로 위치되고, 원통형 노브부재(520)의 단부 측에 일단부 측이 개방되게 위치되는 제1결합용 슬릿(521a), 제1결합용 슬릿(521a)의 타단부에서 일단부 측이 제1결합용 슬릿(521a)과 연결되고 원통형 노브부재(520)의 원주 방향으로 나선형태로 형성되는 제2결합용 슬릿(521b), 제2결합용 슬릿(521b)의 타단부 측에서 원통형 노브부재(520)의 단부 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되는 걸림용 슬릿(521c)을 포함한다.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530)는 원통형 노브부재(520)를 축방향으로 탄성 지지하여 걸림돌기(510)가 걸림용 슬릿(521c) 내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원통형 노브부재(520)는 젤 회수관부재(41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위치되고, 젤 회수관부재(411)의 단부 측에 위치되도록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530)로 탄성 지지된다.
원통형 노브부재(520)의 제1결합용 슬릿(521a)으로 걸림돌기(510)를 삽입하고 원통형 노브부재(520)를 회전시키면서 걸림돌기(510)를 제2결합용 슬릿(521b)을 따라 이동시키면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530)의 탄성 복원력으로 원통형 노브부재(520)가 젤 배출관부재(311)를 향해 이동되면서 걸림돌기(510)가 걸림용 슬릿(521c) 내에 위치되어 젤 회수관부재(411)와 젤 배출관부재(311)의 결합 상태를 잠금할 수 있다.
그리고, 원통형 노브부재(520)를 반대 방향으로 당기고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결합용 슬릿(521a)의 타단부 측에 위치시키면 원통형 노브부재(520)는 젤 배출관부재(311)를 향해 이동되면서 걸림돌기(510)가 제1결합용 슬릿(521a) 내로 위치되게 됨으로써 젤 회수관부재(411)와 젤 배출관부재(311)의 결합 상태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관 연결부(500)는 젤 회수관부재(411)와 젤 배출관부재(311) 중 어느 한 측에 회전 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젤 회수관부재(411)와 젤 배출관부재(311) 중 다른 한 측에 나사 결합되는 원통형 나사결합 노브일 수도 있고, 관을 서로 연결하는 공지의 관연결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젤 보관통부재(300)에는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보관되는 젤의 보관량을 감지하여 젤의 보관량을 감지하는 젤 용량 감지센서부(600)가 위치되고, 제어본체는 젤 용량 감지센서부(6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젤 용량 감지센서부(600)에서 감지된 젤의 보관량이 기설정된 용량 이상인 경우 알림하는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젤 용량 감지센서부(600)는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채워지는 젤의 보관량이 기설정된 용량 이상인 경우 이를 감지하여 제어본체로 전달하고, 제어본체는 젤 용량 감지센서부(600)에서 전달받은 신호로 알림부를 작동시켜 외부에서 젤 보관통부재(300) 내의 젤이 채워진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자가 젤 보관통부재(300)에 젤 회수통부재(400)를 결합시켜 젤 회수통부재(400)로 젤을 회수하여 젤 보관통부재(300)를 비울 수 있도록 한다.
알림부는 제어 디스플레이패널체의 화면으로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젤이 채워졌음을 알림할 수도 있고, 본체 케이싱(20, 100)의 외측에 노출되게 위치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 램프부 또는 알림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여 빛 또는 소리로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젤이 채워졌음을 알림할 수 있다.
알림부는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젤이 기설정된 양 이상으로 채워졌을 때 이를 외부로 알림하여 작업자가 젤 회수통부재(400)를 젤 보관통부재(300)로 결합시켜 젤 보관통부재(300) 내의 젤을 회수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피부 치료 시 사용되는 젤을 핸드피스(10)로 흡입하여 회수하여 젤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피부 치료 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체 케이싱(20, 100)을 열지 않고, 본체 케이싱(20, 100)의 외측에서 젤 보관통부재(300) 내에 보관된 젤을 젤 회수통부재(400)로 간단하게 회수할 수 있어 젤 보관통부재(300)를 비우기 위한 젤 회수 작업 시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거치 하우징의 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에서 케이블 거치 하우징에 대한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케이블 거치 하우징의 일 실시예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길이조절부(200)에 대한 일 실시 예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120)의 내부에는 케이블체(3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거나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케이블 길이조절부(200)가 구비된다.
케이블 길이조절부(200)는 케이블 거치 케이싱의 내부에서 케이블체(30)를 탄성 지지하여 케이블체(30)가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겨지거나 밀리는 경우에 케이블체(3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케이블 길이조절부(200)는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에 삽입되고 케이블체(30)를 탄성 지지하여 케이블체(30)가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겨지거나 밀리는 경우에 케이블체(30)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탄성 스토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 상세하게 케이블 길이조절부(200)는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120)를 통과하는 케이블체(30)가 상부에 안착되는 케이블 받침부재(210),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상부면으로 돌출되고 탄성적으로 지지된 상태로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 내로 삽입되는 탄성 스토퍼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받침부재(210)는 상부로 케이블체(30)가 안착되는 원호 형상의 안착부(211)를 구비하여 케이블체(30)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안착부(211)는 상부면이 케이블체(30)의 외경과 같거나 큰 원호면으로 형성되며 되도록 케이블체(30)의 외경과 유사한 원호로 형성되어 안착되는 케이블체(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탄성 스토퍼부(220)는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상부로 일부분이 돌출되어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로 삽입되는 걸림부재(221), 걸림부재(221)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스토퍼 스프링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211)에는 걸림부재(221)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 개방부가 구비되며, 스토퍼 개방부는 걸림부재(221)의 일부만 상부로 돌출되고 걸림부재(221)의 나머지 부분이 하부면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탄성 스토퍼부(220)는 복수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케이블체(30)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탄성 스토퍼부(220)는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앞측과 뒷쪽에 각각 1개씩 총 2개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케이블체(30)의 중량, 케이블체(30)와 연결되는 핸드피스(10)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간격 및 개수가 조절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걸림부재(221)는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로 삽입되어 각 마디부(31)의 경계부분에서 걸려 케이블체(30)의 이동을 제한하고, 기설정된 이상의 힘으로 케이블체(30)가 당겨지거나 밀려질 때 마디부(31)의 경계부분에 의해 눌려 스토퍼 스프링부재(222)를 압축하면서 하강되어 케이블체(30)가 이동될 수 있게 한다.
즉, 케이블체(30)는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겨지거나 밀려지지 않는 경우 걸림부재(221)에 의해 걸려져 위치가 고정되고,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당겨지거나 밀리면 이동되어 케이블체(30)에서 사용 케이블부분에 대한 길이 즉, 케이블 입구를 통과한 지점에서 핸드피스(10)가 장착된 단부까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재(221)는 볼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돌출되는 일부분이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구형부분이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로 삽입되어 각 마디부(31)의 경계부분에서 걸려 케이블체(30)의 이동을 제한하되,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케이블체(30)가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경우 원활하게 밀려 하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걸림부재(221)는 케이블체(30)의 이동방향 양쪽에서 각각 원호형상을 가지거나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케이블체(30)가 당겨지거나 밀려지는 경우 케이블체(30)의 경계부에 의해 원활하게 밀려 하강될 수 있다.
케이블 길이조절부(200)는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하부 측에 위치되며 케이블 받침부재(210)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 받침부재(230), 베이스 받침부재(230)와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사이에 위치되어 케이블 받침부재(210)를 탄성지지하는 받침 스프링부재(240),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1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받침부재(210)는 안착부(211)의 양 측에 각각 세워져 케이블체(30)의 양 측을 지지하는 제1측면 패널부(212)와 제2측면 패널부(213)가 구비될 수 있고, 제1측면 패널부(212)와 제2측면 패널부(213)의 양 측으로 각각 하부 측에 받침 스프링부재(240)가 위치되는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와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가 구비될 수 있다.
케이블 받침부재(210)는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 상에 세워지고 일 측이 제1측면 패널부(212)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제1보강 리브패널부(216),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의 폭방향을 가로질러 배치되어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 상에 세워지고 일 측이 제2측면 패널부(213)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제2보강 리브패널부(217)를 구비할 수 있다.
제1보강 리브패널부(216)는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고, 제2보강 리브패널부(217)는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의 상부면에 이격되게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1보강 리브패널부(216)는 제1측면 패널부(212)와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며, 제2보강 리브패널부(217)는 제2측면 패널부(213)와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를 연결하여 강성을 보강하여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의 가압력에 의해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와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가 각각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전체 내구성 및 강성을 증대시킨다.
받침 스프링부재(240)는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의 하부 측과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의 하부 측에 각각 위치되어 케이블 받침부재(210)를 탄성 지지하도록 위치된다.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는 케이싱부재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시술자에 의해 가압되어 눌려질 수 있다.
받침 스프링부재(240)는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214)의 앞쪽과 뒷쪽,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215)의 앞쪽과 뒷쪽에 각각 총 4개 구비되어 케이블 받침부재(2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받침 스프링부재(240)는 코일 스프링인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케이블 받침부재(210)를 탄성 지지하고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는 공지의 다양한 스프링 구조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케이블 받침부재(210)와 베이스 받침부재(230)의 사이에는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하강 가이드부(260)가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하부면과 베이스 받침부재(230)의 상부면에는 각각 받침 스프링부재(240)의 상단부가 고정되는 제1스프링 지지부(261), 받침 스프링부재(240)의 하단부가 고정되는 제2스프링 지지부(262)가 구비될 수 있다.
받침 스프링부재(240)는 코일 스프링부재이고 받침 스프링부재(240)의 상단부와 하단부는 각각 제1스프링 지지부(261)와 제2스프링 지지부(262)가 내부로 끼워져 결합되면서 케이블 받침부재(210)와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승하강 가이드부(260)는 제1스프링 지지부(261)와 제2스프링 지지부(262) 중 어느 한 측에 돌출되어 다른 한 측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이동 가이드부재(263)인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는 하부면에 제1측면 패널부(212)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제1측면 패널부(212)와 겹쳐지는 제1작동 패널부(251), 제2측면 패널부(213)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제2측면 패널부(213)와 겹쳐지는 제2작동 패널부(252)를 포함하고, 제1보강 리브패널부(216)의 상부에는 제1작동 패널부(251)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1패널끼움홈부(216a), 제2보강 리브패널부(217)의 상부에는 제2작동 패널부(252)가 끼워져 결합되는 제2패널끼움홈부(217a)가 구비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제1작동 패널부(251)는 제1측면 패널부(212)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제1패널끼움홈부(216a)에 끼워져 고정되고, 제2작동 패널부(252)는 제2측면 패널부(213)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제2패널끼움홈부(217a)에 끼워져 고정된다.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의 가압력은 제1측면 패널부(212)에 밀착되어 제1패널끼움홈부(216a)에 끼워져 고정된 제1작동 패널부(251)와 제2측면 패널부(213)에 밀착되어 제2패널끼움홈부(217a)에 끼워져 고정된 제2작동 패널부(252)로부터 하중이 손실없이 케이블 받침부재(210) 상으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작동 패널부(251)의 안쪽면과 제2작동 패널부(252)의 안쪽면에는 각각 제1측면 패널부(212)의 상단부와 제2측면 패널부(213)의 상단부에 올려지는 제1가압 리브부(253)와 제2가압 리브부(254)가 각각 돌출된다.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의 가압력은 제1작동 패널부(251)의 하단부와 제2작동 패널부(252)의 하단부를 통해 제1측면 패널부(212)와 제2측면 패널부(213)의 양 측으로 전달됨과 동시체 제1가압 리브부(253)와 제2가압 리브부(254)가 직접 제1측면 패널부(212)의 상단부와 제2측면 패널부(213)의 상단부를 가압하여 케이블 받침부재(210)를 안정적으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의 가압력은 제1보강 리브패널부(216)와 제2보강 리브패널부(217)의 상부, 제1측면 패널부(212)의 상부와 제2측면 패널부(213)의 상부로 각각 분산됨으로써 케이블 받침부재(210)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강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안착부(211)의 하부면에는 내부에 탄성 스토퍼부(220)가 위치되는 탄성 스토퍼 삽입부(218)가 돌출되고, 베이스 받침부재(230)에는 탄성 스토퍼 삽입부(218)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승하강 가이드 삽입부(231)가 구비될 수 있다.
승하강 가이드 삽입부(231)는 안착부(211)의 하부면으로 돌출된 탄성 스토퍼 삽입부(218)가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로 개방된 형상을 가진다.
탄성 스토퍼 삽입부(218)는 승하강 가이드 삽입부(231)에 상, 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케이블 받침부재(210)의 상, 하 이동을 안내하는 승하강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케이블 받침부재(210)는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의 가압력을 전달받아 더 원활하게 하강될 수 있고, 받침 스프링부재(240)를 일정 위치에서 가압하게 되어 더 안정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이에 시술자는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를 작은 힘으로 눌러 탄성 스토퍼부(220)의 잠금 상태를 간단하고 편하게 해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성 스토퍼부(220)는 탄성 스토퍼 삽입부(218)의 내부에 나사결합되고, 내부에 스토퍼 스프링부재(222)가 위치되는 탄성 조절체(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 조절체(223)의 하부면은 탄성 스토퍼 삽입부(218)의 하부로 노출되고, 탄성 조절체(223)의 하부면에는 드라이버 등의 회전용 도구를 삽입할 수 있는 도구 삽입홈부(223a)가 구비된다.
승하강 가이드 삽입부(231)의 하부면은 도구 삽입홈부(223a)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1도구 관통구멍(231a)이 형성되고,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120)의 하부면에는 도구 삽입홈부(223a)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제2도구 관통구멍(121)이 형성된다.
드라이버 등의 회전용 도구는 제2도구 관통구멍(121)과 제1도구 관통구멍(231a)을 통과하여 도구 삽입홈부(223a)에 결합될 수 있다.
시술자는 드라이버 등의 회전용 도구를 이용하여 탄성 조절체(223)를 회전시켜 탄성 스토퍼 삽입부(218) 내에서 상, 하 이동시킴으로써 걸림부재(221)가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에 삽입된 상태에서 케이블체(30)를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탄성 조절체(223)를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승강시키면 스토퍼 스프링부재(222)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므로 더 강한 힘으로 케이블체(30)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야만 케이블체(3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조절체(223)를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하강시키면 스토퍼 스프링부재(222)가 인장되면서 탄성력이 감소하므로 더 약한 힘으로 케이블체(30)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 케이블체(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의 케이블 거치 하우징에서 케이블 길이조절부의 작동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에 볼형상의 걸림부재(221)가 삽입되게 위치되어 케이블체(30)의 위치가 고정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와 같이 케이블체(30)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시술자가 핸드피스(10)를 사용하여 환자의 피부를 치료하거나 지방 분해 시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서와 같이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에 볼형상의 걸림부재(221)가 삽입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케이블체(30)의 사용 케이블부분에 대한 길이를 조금 조절해야 될 경우 시술자가 기설정된 힘 이상으로 케이블체(30)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 케이블체(30)의 사용 케이블 부분에 대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 때 케이블체(30)의 사용 케이블부분에 대한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케이블체(30)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야 되는 힘은 탄성 조절체(223)를 회전시켜 탄성 조절체(223)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즉, 탄성 조절체(223)를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승강시키면 스토퍼 스프링부재(222)가 압축되면서 탄성력이 증가하므로 더 강한 힘으로 케이블체(30)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야만 케이블체(30)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탄성 조절체(223)를 드라이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회전시켜 하강시키면 스토퍼 스프링부재(222)가 인장되면서 탄성력이 감소하므로 더 약한 힘으로 케이블체(30)를 잡아 당기거나 밀어 케이블체(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0은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가 눌려져 가압됨으로써 케이블 받침부재(210)가 하강된면서 걸림부재(221)가 마디부(31)에서 분리되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가 눌려 가압되면 케이블 받침부재(210)가 하강되면서 탄성 스토퍼부(220) 즉, 걸림부재(221)도 함께 하강한다.
이 때 케이블체(30)는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120)의 케이블 입구와 케이블 출구 측에서 지지되면서 원위치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걸림부재(221)는 케이블체(30)의 마디부(31)에서 이탈되어 케이블체(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250)를 누르면 케이블체(30)를 잡아 당기거나 밀면서 쉽게 케이블체(30)의 길이 즉, 케이블체(30)의 사용 케이블부분에 대한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특히 많은 량의 길이를 조절할 경우 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케이블 길이조절부(200)는 필요한 길이만큼 케이블체(30)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 시 불필요한 케이블체(30)의 길이로 인해 케이블체(30)가 바닥에 끌리면서 발생되는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바닥에 끌리는 케이블체(3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거치 하우징(100)은 핸드피스(10)의 중량 및 케이블체(30)의 중량을 분산하여 지지함으로써 시술 시 환자의 환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최소화할 뿐만 아니라 시술자가 핸드피스(10)를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힘을 최소화할 수 있어 시술 중 환부에 가해지는 통증을 최소화하여 환자가 편안하게 시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시술자의 팔과 손목에 디스크 등의 관절 질환이 발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케이블 거치 하우징(100)와 케이블 길이조절부(200)는 환자의 시술 시 만족도와 시술자의 시술 편의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시술 정확도와 시술 시 치료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핸드 피스 20 : 제어본체
30 : 케이블체 31 : 마디부
32 : 젤 흡입라인부 32a : 제1젤 흡입호스부재
32b : 제2젤 흡입호스부재
100 : 케이블 거치 하우징 110 : 지지대부재
120 :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 121 : 제2도구 관통구멍
200 : 케이블 길이조절부 210 : 케이블 받침부재
211 : 안착부 212 : 제1측면 패널부
213 : 제2측면 패널부 214 : 제1스프링 지지패널부
215 : 제2스프링 지지패널부 216 : 제1보강 리브패널부
216a : 제1패널끼움홈부 217 : 제2보강 리브패널부
217a : 제2패널끼움홈부 218 : 탄성 스토퍼 삽입부
231a : 제1도구 관통구멍 220 : 탄성 스토퍼부
221 : 걸림부재 222 : 스토퍼 스프링부재
223 : 탄성 조절체 223a : 도구 삽입홈부
230 : 베이스 받침부재 231 : 승하강 가이드 삽입부
240 : 받침 스프링부재 250 : 스토퍼 해제 스위치부재
251 : 제1작동 패널부 252 : 제2작동 패널부
253 : 제1가압 리브부 254 : 제2가압 리브부
260 : 승하강 가이드부 261 : 제1스프링 지지부
262 : 제2스프링 지지부 263 : 이동 가이드부재
300 : 젤 보관통부재 301 : 제1호스 연결부
302 : 제2호스 연결부 310 : 젤 배출부
311 : 젤 배출관부재 311a : 젤 배출유로
311b : 젤 배출구 311c : 제1배출유로
311d : 제2배출유로 311e : 유로경계 단턱부
311f : 스프링 삽입홈부 312 : 젤 배출제어밸브
313 : 밸브 축부재 313a : 삽입축부
313b : 배출용 슬릿홈부 313c : 밸브판부
313d : 스프링 결합축부 313e : 결합홈부
314 : 스프링부재 400 : 젤 회수통부재
410 : 젤 회수부 411: 젤 회수관부재
412 : 개폐 제어부 412a : 돌기 지지부재
412b : 회수용 개방부 412c : 밸브 가압돌기부재
500 : 관 연결부 510 : 걸림돌기
520 : 원통형 노브부재 521 : 슬릿부
521a : 제1결합용 슬릿 521b : 제2결합용 슬릿
521c : 걸림용 슬릿 530 :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
531 : 제1스프링 지지링부 532 : 제2스프링 지지링부
600 : 젤 용량 감지센서부

Claims (13)

  1. 피부에 접촉되어 치료에 사용되며 피부 치료에 사용된 젤을 흡입할 수 있는 젤 흡입구가 위치된 핸드피스;
    상기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본체가 내부에 위치되는 본체 케이싱;
    상기 본체 케이싱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젤 흡입구로부터 젤을 흡입하는 젤 흡입라인부와 연결되어 피부 치료 시 사용되는 젤을 회수하여 보관할 수 있고 보관된 젤을 배출하는 젤 배출부가 구비된 젤 보관통부재; 및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젤 배출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젤 보관통부재 내의 젤을 회수하는 젤 회수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젤 배출부는 상기 본체 케이싱의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 케이싱은,
    내부에 제어본체가 내장되는 메인 하우징;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 측에 세워져 위치되고 상기 핸드피스와 상기 제어본체에 연결되어 상기 핸드피스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케이블체가 통과되는 케이블 거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젤 보관통부재는 케이블 거치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거치 하우징은 상기 메인 하우징의 상부 측으로 세워져 위치되는 지지대부재; 및
    상기 지지대부재의 상부에서 전방 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되고 전, 후 방향으로 케이블체가 통과되는 케이블 거치 케이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젤 보관통부재는 상기 지지대부재 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젤 흡입라인부는 상기 젤 흡입구와 상기 젤 보관통부재를 연결하는 제1젤 흡입호스부재, 상기 제어본체에서 젤을 흡입하는 젤 흡입부와 상기 젤 보관통부재를 연결하는 제2젤 흡입호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제1젤 흡입호스부재가 연결되는 제1호스 연결부, 상기 제2젤 흡입호스부가 연결되는 제2호스 연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젤 배출부는,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하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일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젤 배출관부재; 및
    상기 젤 배출관부재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젤 회수통부재가 결합되면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젤 배출유로를 열고 상기 젤 회수통부재가 분리되면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젤 배출유로를 닫는 젤 배출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젤 회수통부재는 상부 측에 젤 배출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젤 배출부를 통해 배출되는 젤을 내부로 유입시키는 젤 회수부가 위치되고,
    상기 젤 회수부는 상기 젤 회수통부재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관부재와 결합되는 젤 회수관부재; 및
    상기 젤 회수관부재에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제어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젤 배출제어밸브는 상기 젤 배출유로 내에 위치되는 스프링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고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유로를 막는 밸브 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젤 회수관부재가 상기 젤 배출관부재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개폐 제어부에 의해 밀리면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젤 배출유로를 열고, 상기 젤 회수관부재가 상기 젤 배출관부재에서 분리되면 상기 스프링부재의 탄성 복원력으로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젤 배출유로를 막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젤 보관통부재의 하부면에는 상기 젤 배출유로와 연결되는 젤 배출구가 위치되고,
    상기 젤 배출유로는 상기 젤 배출구와 연결되는 제1배출유로; 및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배출유로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배출유로를 포함하여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내부에는 제1배출유로와 제2배출유로를 구분하는 유로경계 단턱부가 위치되고,
    상기 밸브 축부재는 상기 제2배출유로 내로 삽입되며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배출용 슬릿홈부가 외주면에 위치되는 삽입축부;
    상기 삽입축부의 일단부 측에 상기 삽입축부의 외측 둘레로 돌출되어 상기 유로경계 단턱부에 밀착되어 상기 제2배출유로를 막는 밸브판부; 및
    상기 밸브판부의 후면에 돌출되어 상기 스프링부재가 결합될 수 있는 스프링 결합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젤 회수관부재 내에 위치되며 상기 젤 회수관부재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배출용 슬릿홈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회수용 개방부가 위치된 돌기 지지부재; 및
    상기 돌기 지지부재에 돌출되게 위치되어 상기 젤 배출관부재가 상기 젤 회수관부재에 결합되면 상기 밸브 축부재를 가압하는 밸브 가압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밸브 축부재의 단부에는 상기 밸브 가압돌기부재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부가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젤 회수관부재와 젤 배출관부재의 결합상태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하는 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관 연결부는,
    상기 젤 배출관부재의 외주면에 돌출되는 걸림돌기;
    상기 젤 회수관부재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걸리는 슬릿부가 위치되는 원통형 노브부재; 및
    상기 젤 회수관부재와 상기 원통형 노브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원통형 노브부재를 탄성 지지하는 노브 지지 스프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젤 보관통부재에는 상기 젤 보관통부재 내에 보관되는 젤의 보관량을 감지하여 젤의 보관량을 감지하는 젤 용량 감지센서부가 위치되고,
    상기 제어본체는 젤 용량 감지센서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젤 용량 감지센서부에서 감지된 젤의 보관량이 기설정된 용량 이상인 경우 알림하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KR1020180037902A 2018-04-02 2018-04-02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Active KR101957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02A KR101957953B1 (ko) 2018-04-02 2018-04-02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PCT/KR2019/003736 WO2019194479A1 (ko) 2018-04-02 2019-03-29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7902A KR101957953B1 (ko) 2018-04-02 2018-04-02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953B1 true KR101957953B1 (ko) 2019-03-15

Family

ID=65762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7902A Active KR101957953B1 (ko) 2018-04-02 2018-04-02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7953B1 (ko)
WO (1) WO201919447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79A1 (ko) * 2018-04-02 2019-10-10 (주)클래시스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WO2025116685A1 (ko) * 2023-11-28 2025-06-05 (주)클래시스 석션용 핸드피스 및 이를 구비한 피부 미용장치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720Y1 (ko) * 2004-04-22 2004-07-19 홍광표 박피 마사지 장치의 회수통 구조
JP2011139722A (ja) * 2010-01-05 2011-07-2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超音波診断装置
KR20110099597A (ko) * 2010-03-02 2011-09-08 (주)맥아이코스 피부 미용 장치
KR20110120191A (ko) * 2010-04-28 2011-11-03 나가호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커플링
KR20120116908A (ko) 2009-09-29 2012-10-23 리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초음파 치료 장치를 이용하는 가변 처리 사이트 몸 윤곽성형
KR20140140395A (ko) 2013-05-29 2014-12-09 김유인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 방법
KR101505813B1 (ko) * 2012-08-10 2015-03-25 김양수 피부관리장치
KR101649602B1 (ko) 2014-07-01 2016-08-19 주식회사 정훈기공 휴대용 피지제거기
KR101759116B1 (ko) 2009-04-30 2017-07-18 젤티크 애스세틱스, 인코포레이티드. 피하 지질 과다 세포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101836310B1 (ko) * 2008-01-04 2018-03-08 엣지 시스템즈 엘엘씨 피부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953B1 (ko) * 2018-04-02 2019-03-15 (주)클래시스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6720Y1 (ko) * 2004-04-22 2004-07-19 홍광표 박피 마사지 장치의 회수통 구조
KR101836310B1 (ko) * 2008-01-04 2018-03-08 엣지 시스템즈 엘엘씨 피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759116B1 (ko) 2009-04-30 2017-07-18 젤티크 애스세틱스, 인코포레이티드. 피하 지질 과다 세포로부터 열을 제거하는 디바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20116908A (ko) 2009-09-29 2012-10-23 리포소닉스 인코포레이티드 초음파 치료 장치를 이용하는 가변 처리 사이트 몸 윤곽성형
JP2011139722A (ja) * 2010-01-05 2011-07-21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超音波診断装置
KR20110099597A (ko) * 2010-03-02 2011-09-08 (주)맥아이코스 피부 미용 장치
KR20110120191A (ko) * 2010-04-28 2011-11-03 나가호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체 커플링
KR101505813B1 (ko) * 2012-08-10 2015-03-25 김양수 피부관리장치
KR20140140395A (ko) 2013-05-29 2014-12-09 김유인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치료용 레이저 조사 방법
KR101649602B1 (ko) 2014-07-01 2016-08-19 주식회사 정훈기공 휴대용 피지제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94479A1 (ko) * 2018-04-02 2019-10-10 (주)클래시스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WO2025116685A1 (ko) * 2023-11-28 2025-06-05 (주)클래시스 석션용 핸드피스 및 이를 구비한 피부 미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4479A1 (ko) 2019-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3825B2 (en) Medical/surgical lavage unit including internal ribs that extend into a void space of a suction tube attached to the lavage unit
US20050187529A1 (en) Waste collection unit
US8277287B2 (en) Skin treatment system
US8062216B2 (en) Otoscope with attachable ear wax removal device
KR101957953B1 (ko) 젤 회수가 가능한 피부 치료 장치
JP6250681B2 (ja) 動力式外科用ハンドピースに取外し可能に連結されて該ハンドピースによって動力供給される医療/外科用灌注器
JP2000185068A (ja) 排尿処理装置
JPH0558339B2 (ko)
KR101886863B1 (ko) 이동식 피부 치료장치
US5528776A (en) Portable pump operated washing basin
WO2002089722A1 (en) Medical rinsing and sucking device
CN203736370U (zh) 尿便自动护理装置
KR101927489B1 (ko) 피부 치료 장치의 핸드피스용 거치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피부 치료 장치
CN113425372B (zh) 一种肝胆外科临床用取石器
US8277472B2 (en) Deflector shield for use with multiple wound care devices
JP6284615B2 (ja) ハンドグリップを基準としたピボット動作が可能な胴体を有するハンドピースを備えた医用/外科用洗浄ユニット
KR101179217B1 (ko) 대변 처리 장치
KR20170021550A (ko) 질 또는 항문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핸드비데
JP2007330544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
JP3556562B2 (ja) 口腔用洗浄装置
US20180311021A1 (en) Dental cleaning instrument
US2023032973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kin Treatment
KR100941517B1 (ko) 환자용 다용도 위생 관리장치
KR101874531B1 (ko) 피부 관리용 핸드피스
CN117959112A (zh) 一种普外科用便携式清创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