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856B1 -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6856B1 KR101956856B1 KR1020180083358A KR20180083358A KR101956856B1 KR 101956856 B1 KR101956856 B1 KR 101956856B1 KR 1020180083358 A KR1020180083358 A KR 1020180083358A KR 20180083358 A KR20180083358 A KR 20180083358A KR 101956856 B1 KR101956856 B1 KR 1019568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shing
- input terminal
- terminal connection
- lead
- housing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6—Lead-in insulators; Lead-through insulators
- H01B17/265—Fastening of insulators to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20—Instruments transformers
- H01F38/22—Instruments transformers for single phase ac
- H01F38/28—Current transformers
- H01F38/30—Constru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기류 부싱 구조에 관한 것으로, 내장한 성형품인 각 개별 부품에 대한 절연체 성형으로 1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1차 하우징된 개폐기류의 각 개별 부품을 전체적으로 절연체 성형하는 2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부싱 성능을 만족하면서 성형불량, 파손, 균열 등이 되도록 발생하지 않도록 부싱을 개선하여, 개폐기 제품의 고장을 줄이면서 정전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어 기대효과가 매우 크다.
이에 따라, 기존의 부싱 성능을 만족하면서 성형불량, 파손, 균열 등이 되도록 발생하지 않도록 부싱을 개선하여, 개폐기 제품의 고장을 줄이면서 정전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어 기대효과가 매우 크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폐기류 부싱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존의 개폐기류의 부싱 성능을 만족하면서 성형불량, 파손, 균열 등이 되도록 발생하지 않도록 부싱 구조를 개선하여 개폐기류의 고장을 줄이면서 정전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개폐기류의 부싱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로부터 약 20,000V 정도의 전압을 가진 전기가 송전에 적합하도록 초고압으로 승압되어 1차 변전소로 송전된다. 이후, 1차 변전소로 송전된 전기는 약 22.9kv로 강압되어 2차 변전소 또는 각 수용가로 공급된다. 이렇게 2차 변전소로부터 공급된 전기는 가공 배전선과 지중 배전선으로 구성된 배전 계통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수전 설비로 공급되며, 특고압 수용가, 고압 수용가 및 각종 옥외설치 변압기를 통하여 전기를 공급받는 저압 수용가까지 공급된다.
이때 고압 배전계통의 선로구분, 분기 및 변압기 보호 등을 목적으로 부하개폐기가 사용된다. 부하개폐기는 도시, 주거단지에서 사용하는 장치로 전력을 분배해주고, 전력계통에 발생되는 서지나 사고 발생 시 차단기 작동 후 안전을 위하여 신속한 개폐를 하여 고장구간을 분리하고, 타 건전계통으로부터 정전구간에 전력을 공급하여 정전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부하개폐기에는 선로에 따라 가공용 개폐기와 지중용 개폐기가 있다.
가공용 부하 개폐기로는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로 밀봉하거나 공기 중으로 분산시키는 가스절연 개폐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가스 절연의 경우 SF6 가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온실가스 감축 대상이므로 친환경 가스로 전환되고 있다.
현재에는 전술한 가스 절연 개폐기에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체 절연 개폐기로 전환되고 있고 에폭시 몰딩 절연형 부싱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가령, Eco 부하 개폐기는 22.9kV-y 가공 배전선로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에폭시 절연방식의 진공부하 개폐기로 배전선로 고장복구, 휴전작업, 부하전환 등의 필요시에 선로 개폐용으로 사용한다.
또한, 폴리머 리클로저는 22.9kV-y 가공 배전선로에 사용하는 디지털 제어 방식의 배전자동화용 폴리머 절연 방향성 리클로저(Recloser)로서, 순간 사고 시 선로를 차단한 후 자동으로 재폐로 하고 영구 고장 시 배전계통 분리한다.
이러한 Eco 부하 개폐기 또는 폴리머 리클로저 등의 부하 개폐기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에폭시 부싱 구조를 적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부싱(bushing)은 배전선의 안전한 전원공급을 위해 전력기기 전기절연 및 선로를 기계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로서, 변압기 또는 차단기 등의 단자로서 사용하며, 부싱 외부는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내부로는 도체(전선)을 관통시킨다.
도 3b는 도 3a의 부하 개폐기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부하 개폐기는 외부 하우징 및 지지체로서 부싱(15)과, 입력단자로서 인입용 전극(11)과 출력단자로서 인출용 전극(12)과, 상기 인입용 전극(11)과 인출용 전극(1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진공차단기(VI)(13)와, 부하 개폐시 상기 진공차단기(17)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상/하 이동하는 절연봉(16)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부싱(15)내에는 변류기(CT)(14), 전압 검출용 인출선(17) 및 전류 검출용 인출선(18)이 더 추가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하 개폐기류 에폭시 부싱(15)은 내부에 VI(13), CT(14), 절연봉(16), 전압 및 전류 검출용 인출선(17)(18), 인입 및 인출용 전극(11)(12) 등을 내장한 성형품으로 복잡한 형상, 성형압력, 가스빼기 불량 등으로 인해 내부에 기포가 내재되어 성형불량이 높게 발생한다.
한편, 한국전력공사에 따르면 2016년도 개폐기 고장분석결과 고장양상이 수분침투에 따른 부싱균열 18%, 외력에 의한 부싱파손이 18%, 에폭시 성형불량이 약 9%로 에폭시 부싱에 의한 불량이 높은 편에 속한다. 이러한 문제는 배전용 개폐기에 적용되는 Eco 개폐기, 폴리머 리클로저 등에 공통적인 문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에폭시 부싱(15)의 경우 높은 성형불량과, 부싱균열 및 부싱파손 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고가의 VI, CT 등도 폐기처분해야 하므로, 고가 부속품 폐기에 따른 원가상승을 초래할 수밖에 없다. 이들 부속품 가격은 성형비용과 거의 비슷하여 한번 불량이 발생 시 손실비용이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에폭시 부싱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개폐기 부싱구조 개선이 필요하다.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이 건 출원의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기존의 개폐기류의 부싱 성능을 만족하면서 성형불량, 파손, 균열 등이 되도록 발생하지 않도록 부싱 구조를 개선하여 개폐기류의 고장을 줄이면서 정전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는 개폐기류의 부싱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는, 내장한 성형품인 VI, CT 등의 각 개별 부품별로 폴리머 고무 또는 절연물로 사출하는 절연체 성형으로 1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고, 1차 하우징된 개폐기류의 각 개별 부품들 전체에 대해서 일체형으로 사출하는 절연체 성형으로 2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개별 부품은 VI 또는 CT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VI 또는 CT를 커버하는 1차 절연부싱과, 상기 1차 절연부싱으로 1차 하우징된 VI 및 CT와 그 외 개별 부품 모두를 전체적으로 절연체 성형하는 2차 절연부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차 절연부싱의 재질은 FRP 또는 폴리머 절연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차 절연부싱의 재질은 EPDM 고무 또는 폴리머 고무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차 절연부싱의 상부에 3차 절연부싱을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2차 하우징 구조에서 몸체를 사출 성형한 다음 낱개로 사출된 다수개의 부싱 갓을 상기 몸체에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들은, 아래에서 설명될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또는 첨부된 '도면' 등의 예시를 통해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설명될 것이며,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주요한 과제 해결 수단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과제 해결 수단들이 추가로 제시되어 설명될 것이다.
기존의 단일 형태의 에폭시 부싱에서는 에폭시 성형불량 시 고가의 내장 부품인 VI, CT 등을 폐기처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성형후 불량시에도 고무류의 2차 절연부싱으로 손쉽게 탈피하여 고가의 내부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단일 형태의 에폭시 부싱은 에폭시와 VI 사이에 크랙 발생으로 절연 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나, FRP 1차 절연부싱을 통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고, 3차 절연부싱을 통해 절연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절연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부싱 성능을 만족하면서 성형불량, 파손, 균열 등이 되도록 발생하지 않도록 부싱을 개선하여, 개폐기 제품의 고장을 줄이면서 정전사고 발생률을 낮출 수 있어 기대효과가 매우 크다.
도 1a 및 도 1b는 일반적인 가스절연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고체 절연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2a 및 도 2b의 부하 개폐기에서 에폭시 부싱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부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종래 개폐기류 부싱 구조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일체형 제작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조립형 제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일반적인 고체 절연 개폐기를 나타낸 도면,
도 3a는 도 2a 및 도 2b의 부하 개폐기에서 에폭시 부싱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부싱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종래 개폐기류 부싱 구조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일체형 제작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조립형 제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5a는 종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b는 도 4의 부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나타낸 측단면도로 상호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는, 전체적으로 T자 형태로 성형된 2차 절연부싱(130)과, 상기 2차 절연부싱(130)의 일단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고 입력단자로서 인입용 전극(11)과, 상기 인입용 전극(11)과 90도 각도를 갖고 상기 2차 절연부싱(130)의 타단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어 출력단자로서 인출용 전극(12)과, 상기 2차 절연부싱(130) 내에 설치되어 상기 인입용 전극(11)과 인출용 전극(12)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차단하는 진공차단기(VI)(13)와, 교류 전류계의 측정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사용되는 측정용 또는 제어용 변압기로 변류기(CT)(14)와, 부하 개폐시 상/하 이동으로 상기 진공차단기(13)를 온/오프시키는 절연봉(미도시)와, 전압 및 전류 검출용 인출선(17)(18)를 구비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100)는, 내부에 VI(13), CT(14), 절연봉(미도시), 전압 및 전류 검출용 인출선(17)(18), 인입 및 인출용 전극(11)(12) 등을 내장한 성형품으로, 삼상이기 때문에 크게 3개의 외부 하우징(150)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갖는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개폐기류 부싱 구조는 에폭시 몰딩 절연형 부싱(15)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장한 성형품인 VI(13), CT(14) 등을 전체적으로 에폭시 몰딩으로 일체형으로 사출하여 단일 하우징 구조를 형성한다.
도 4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개폐기류 부싱 구조(100)는 내장한 성형품인 VI(13), CT(14) 등의 각 개별 부품별로 폴리머 고무 또는 절연물 로 사출하는 절연체 성형으로 1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고, 1차 하우징된 개폐기류의 각 개별 부품들 전체에 대해서 일체형으로 사출하는 절연체 성형으로 2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한다.
먼저, VI(13)를 커버하는 원통 형태의 1차 절연부싱(110)을 형성한다. 원통형 1차 절연부싱(110)은 상부면에 입력단자 즉, 인입용 전극(11)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연결부(112)을 형성하고, 일측면에 출력단자로서 인출용 전극(12)과 연결되는 출력단자 연결부(111)을 형성한다. 이때, 출력단자 연결부(111)는 인출용 전극(12)이 인입용 전극(11)과 90도 각도를 갖고 형성되므로 원통 형태에서 측면에 형성되고, 입력단자 연결부(112)와 출력단자 연결부(111)는 인입용 전극(11) 또는 인출용 전극(12)이 삽입되는 크기의 소정의 직경을 갖는 홀(hole)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1차 절연부싱(110)의 형태는 원통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진공차단기(VI)를 전체적으로 커버하여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큐브 형태 등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1차 절연부싱(110)의 재질은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어야 하고 진공차단기(VI)를 보호할 필요가 있어, 진공차단기(VI)의 외부 하우징 재질과 비슷한 것이 바람직하다. 즉, 현재 외부 하우징으로 사용되는 세라믹 재질과 유사한 FRP(유리섬유강화 플라스틱)이 사용될 수 있고, 세라믹 재질과 같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비슷한 열팽창계수를 갖는 폴리머(polymer) 절연물이 바람직하다.
이때, VI(13)의 1차 절연 부싱 과정을 예시하였으나, 진공차단기 이외에 CT(14)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CT(14)에 개별적으로 1차 절연부싱을 하거나 진공차단기(VI)와 CT(14)를 일체화하여 1차 절연 부싱 성형을 할 수 있다. 다만, CT의 외부 하우징 재질이 진공차단기(VI)의 재질과 동일 또는 다르게 성형할 수 있어, VI와 CT를 일체화할 경우에는 FRP 재질로 하고, 각 부품별로 개별적으로 1차 절연 부싱 성형할 경우에는 CT 외부 하우징 재질과 동일 또는 유사한 재질의 절연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CT 개별 1차 절연부싱시에는 출력단자와 연결되므로 별도의 입력단자 연결부의 형성없이 출력단자 연결부만으로도 가능하다.
이어, 1차 절연부싱(110)으로 1차 하우징된 개폐기류 성형품인 VI(13), CT(14) 등을 전체적으로 절연체 성형하는 2차 절연부싱(130)을 형성한다.
여기서, 2차 절연부싱(130)은 개폐기류 외부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수 있어야 하고 개폐기류 내장 성형품 전부를 보호하고 커버하는 외부 하우징이다. 또한, 2차 절연부싱(130)의 재질은 성형 후 불량 시에도 다시 분해 재활용 가능한 EPDM 고무가 바람직하며, EPDM 고무와 유사하게 2차 절연부싱(130)을 손쉽게 탈피할 수 있는 폴리머 고무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2차 절연부싱(130)의 사출 원료를 고무 재질로 성형할 경우 사출 불량이 발생하면 고무 재질은 손쉽게 탈피할 수 있어 2차 절연부싱(130) 내의 VI, CT 등의 고가의 내부 부품을 재활용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부하 개폐시 절연봉을 통해 진공차단기(13)를 온/오프시키기 위해 상/하 이동시키는데, 이때, 진공차단기(13)의 상/하 이동이 잦고 이에 따라 VI(13)의 1차 절연부싱(110)이 2차 절연부싱(130)과 상호 부딪치거나 충돌이 빈번하므로 소음이 발생하거나 충격에 따른 파손의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FRP 1차 절연부싱(110)과 진공차단기(13)를 조립할 때 FRP 1차 절연부싱(110)의 상부에 원통형 3차 절연부싱(120)을 삽입하여 충격을 완화시키거나 소음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러한 3차 절연 부싱(120)의 충돌시의 파손 방지 또는 소음 저감의 완충재로서 저탄성 발포우레탄 폼 또는 발포 폴리에틸렌 폴리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 개별 부품에 대한 1차 절연부싱(110)과 전체적으로 외부와 절연하는 2차 절연부싱(130)을 수행하더라도, 입력단자 연결부(112) 또는 출력단자 연결부(111)는 2차 절연부싱(130)이 고무 재질로서 탈피가 용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FRP 1차 절연부싱(110)의 상부에 삽입된 원통형 3차 절연부싱(120)은 입력단자 연결부(112)를 커버할 수 있어 완벽한 절연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3차 절연부싱(120)은 출력단자 연결부(111)에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3차 절연부싱(120)의 형태는 입력단자 연결부(112) 또는 출력단자 연 결부를 완전히 커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원통 형태 또는 동심형으로 직경의 크기를 달리하는 2단 또는 그 이상이 적층된 다단의 원통 형태로 형성할 수 있고, 원통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큐브 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3차 절연부싱(120)의 재질은 충돌시의 파손 방지 또는 소음 저감의 완충재이고 절연성이 우수한 폴리머 재질로서, 폴리에틸렌(PE) 및 폴리우레탄 폴리머 절연물로서 발포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존의 단일 형태의 에폭시 부싱(15)에서는 에폭시 성형불량 시 고가의 내장 부품인 VI, CT 등을 폐기처분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도 성형후 불량시에도 고무류의 2차 절연부싱(120)으로 손쉽게 탈피하여 고가의 내부 부품을 재활용 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단일 형태의 에폭시 부싱(15)은 에폭시와 VI 사이에 크랙 발생으로 절연 파괴가 발생할 수 있으나, FRP 1차 절연부싱(110)을 통해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여 크랙 발생을 최소화하고, 3차 절연부싱(120)을 통해 완충재로서 파손 방지 또는 소음을 저감하거나 절연 사각지대를 해소하여 절연성능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일체형으로 제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기류 부싱 구조를 조립형으로 제작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100)는 내장한 성형품인 VI(13), CT(14) 등의 각 개별 부품에 대한 절연체 성형으로 1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고, 이는 내부 하우징에 해당될 수 있다.
이어, 1차 하우징된 개폐기류의 각 개별 부품을 전체적으로 절연체 성형하는 2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고, 이는 외부 하우징(150)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개폐기류 부싱 구조(100)는 내장 부품에 대한 전체적인 2차 절연부싱(120)을 통해, 삼상이기 때문에 크게 3개의 외부 하우징(150)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갖는다.
이때, 도 6을 참조하면, 2차 절연부싱(120)을 일체로 사출하여 T자형 외부 하우징(1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을 참조하면, 2차 절연부싱(120) 형성시에 조립형으로 형성한다.
가령, 외부 하우징(150)의 몸체를 사출 성형한 다음 낱개로 사출된 다수개의 부싱 갓(151, 152, 153)을 외부 하우징 몸체에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 조립하는 방식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외부 하우징(150)의 몸체의 직경에 해당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도넛 형태를 갖는 제1 부싱갓(151)을 끼워 넣고, 이어 제1 부싱갓(151)의 상부에 일측에 단면이 갓 모양을 형성한 중공이 형성되고 도넛 형태를 갖는 제2 부싱갓(152) 및 상기 제2 부싱갓과 동일한 형태의 제3 부싱갓(153)을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 조립한다. 또한, 삼상이기 때문에 크게 3개의 외부 하우징(150)으로 형성되고 전체적으로 T자 형태를 갖게 조립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에폭시 부싱의 형성시에 성형작업시간이 길고, 불량률이 매우 높아 원가 상승의 문제점을 도 7과 같이, 조립형으로 성형작업시간 단축과 불량율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기술적 사상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서로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 1차 절연부싱 111 : 출력단자 연결부
120 : 3차 절연부싱 112 : 입력단자 연결부
130 : 2차 절연부싱
151, 152, 153: 부싱갓
120 : 3차 절연부싱 112 : 입력단자 연결부
130 : 2차 절연부싱
151, 152, 153: 부싱갓
Claims (7)
- 개폐기류 부싱 구조에 있어서,
내장한 성형품인 VI를 커버하는 원통 형태로 VI 절연부싱을 형성하고,
상기 VI 절연부싱은 상부면에 입력단자로서 인입용 전극과 연결되는 입력단자 연결부를 형성하고, 일측면에 출력단자로서 인출용 전극과 연결되는 출력단자 연결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력단자 연결부와 상기 출력단자 연결부는 상기 인입용 전극 또는 인출용 전극이 삽입되는 크기의 소정의 직경을 갖는 홀 형태로 형성하며, 상기 VI 절연부싱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입력단자 연결부를 커버하는 구조로서 탄성 부재의 입력단자 절연부싱을 형성하여, 1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1차 하우징 구조를 커버하는 개폐기류 부싱 구조로서, 상기 1차 하우징 구조와 함께 일체형으로 절연체 성형하는 2차 하우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2차 하우징 구조에서 몸체를 일체형으로 성형한 다음 낱개로 사출된 다수개의 부싱 갓을 상기 몸체에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류 부싱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VI 절연부싱의 재질은 FR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류 부싱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하우징 구조의 재질은 EPDM 고무 또는 폴리머 고무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류 부싱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자 절연부싱은, 상기 입력단자 연결부 또는 출력단자 연결부를 모두 커버할 수 있는 구조로서, 원통 형태 또는 동심형으로 직경의 크기를 달리하는 2단 또는 2단 이상이 적층된 다단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류 부싱 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 갓은, 상기 몸체의 직경에 해당되는 중공이 형성되고 도넛 형태를 갖는 제1 부싱갓을 끼워 넣고, 상기 제1 부싱갓의 상부에 일측에 단면이 갓 모양을 형성한 중공이 형성되고 도넛 형태를 갖는 제2 부싱갓 및 상기 제2 부싱갓과 동일한 형태의 제3 부싱갓을 순차적으로 끼워 넣어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폐기류 부싱 구조.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358A KR101956856B1 (ko) | 2018-07-18 | 2018-07-18 |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83358A KR101956856B1 (ko) | 2018-07-18 | 2018-07-18 |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6856B1 true KR101956856B1 (ko) | 2019-03-12 |
Family
ID=6580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83358A KR101956856B1 (ko) | 2018-07-18 | 2018-07-18 |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6856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8351A (ja) * | 2001-11-30 | 2003-06-13 | Meidensha Corp | 真空バルブ |
JP2005086925A (ja) * | 2003-09-10 | 2005-03-31 | Japan Ae Power Systems Corp | 開閉装置 |
KR20100027732A (ko) * | 2008-09-03 | 2010-03-11 | 주식회사 평일 | 고체절연 가공선로용 고전압 부하개폐기 |
KR101051230B1 (ko) | 2005-05-20 | 2011-07-21 | 한국전력공사 |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 선로용 다회로 개폐기 및차단기 |
KR20110108868A (ko) * | 2010-03-30 | 2011-10-06 |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
-
2018
- 2018-07-18 KR KR1020180083358A patent/KR10195685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68351A (ja) * | 2001-11-30 | 2003-06-13 | Meidensha Corp | 真空バルブ |
JP2005086925A (ja) * | 2003-09-10 | 2005-03-31 | Japan Ae Power Systems Corp | 開閉装置 |
KR101051230B1 (ko) | 2005-05-20 | 2011-07-21 | 한국전력공사 |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 선로용 다회로 개폐기 및차단기 |
KR20100027732A (ko) * | 2008-09-03 | 2010-03-11 | 주식회사 평일 | 고체절연 가공선로용 고전압 부하개폐기 |
KR20110108868A (ko) * | 2010-03-30 | 2011-10-06 | 이엔테크놀로지 주식회사 | 개폐기/차단기용 조립식 절연하우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10388B2 (en) | Switchgear and method for operating switchgear | |
KR101098488B1 (ko) | 진공 절연 스위치 기어 | |
US20020060204A1 (en) | Gas-insulated switching apparatus | |
KR100860528B1 (ko) | 고전압 부하개폐기 및 그 제조방법 | |
US8462485B2 (en) | Switchgear for undergrou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 |
KR101956856B1 (ko) | 개폐기류 폴리머 부싱 구조 및 그것의 제조방법 | |
KR100888541B1 (ko) |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용 개폐기 및 차단기의개폐차단부 | |
CN103296609B (zh) | 中压配电站 | |
CN102882148B (zh) | 一种固体绝缘开关 | |
KR101729688B1 (ko) | 전력 기기용 부싱 제조방법 및 전력 기기용 부싱 | |
JP6071209B2 (ja) | ガス絶縁開閉装置、及びガス絶縁母線 | |
KR101137967B1 (ko) | 폴리머 몰드 절연형 부하개폐기 | |
JP2010041859A (ja) | 固体絶縁スイッチギヤ | |
KR101051230B1 (ko) | 에폭시 몰딩 절연형 지중 배선 선로용 다회로 개폐기 및차단기 | |
KR100819508B1 (ko) | 환경친화형 고압개폐기 겸용 차단기 | |
KR101247538B1 (ko) | 고체절연 개폐장치 | |
KR101497068B1 (ko) | 지상 및 지중 겸용 에폭시몰딩 절연형 다회로 부하개폐기 및 차단기 | |
KR100857253B1 (ko) | 지중용 고체절연 개폐기 및 차단기용 분리형 상연결접속장치 | |
KR102557129B1 (ko) | 회로차단기 | |
AU2013201083B2 (en) | Gas outlet device for a medium-voltage functional unit and distribution substation comprising same | |
KR101664176B1 (ko) | 재활용 수지에 의한 절연부싱을 갖는 고장구간 자동 개폐기 | |
US10600594B2 (en) | Gas-insulated vacuum load break switch | |
KR101036147B1 (ko) | 개폐차단기의 개폐차단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구비한 개폐차단기 | |
JP2011160637A (ja) | ガス絶縁開閉装置 | |
CN201319346Y (zh) | 一种sf6复合式高压组合电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