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40741B1 - orthodontic bite guide - Google Patents

orthodontic bite gui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741B1
KR101940741B1 KR1020170067404A KR20170067404A KR101940741B1 KR 101940741 B1 KR101940741 B1 KR 101940741B1 KR 1020170067404 A KR1020170067404 A KR 1020170067404A KR 20170067404 A KR20170067404 A KR 20170067404A KR 101940741 B1 KR101940741 B1 KR 10194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ite
supported
adhesiv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0994A (en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067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741B1/en
Publication of KR2018013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교정시 사용 편의성 및 결합 안정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의 저작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착유도면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접착되는 접합지지부; 및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상면부에 변형유도홈이 함몰 형성된 바이트몸체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한다.In order to improve ease of use and stability of the tooth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chewing surface of a predetermined tooth to be supported, and based on the obtained three-dimensional image of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 bonding supporting portion formed with an adhesive surface having an inner surfac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and bonded to the supporting object teeth; And a chewing surface of a supporting tooth opposed to the tooth to be supported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upport for maintaining a calibration gap between the tooth to be calibrated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and an opposed tooth to be opposed thereto, And a bite body portion having a deformation inducing groove recessed in an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ite support portion so that deformation of the bite support portion is induced when the bite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support target tooth.

Description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orthodontic bite guide}Orthodontic bite guide < RTI ID = 0.0 >

본 발명은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교정시 사용 편의성 및 결합 안정성이 개선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ite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ite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which improves ease of use and stability of bonding in orthodontic treatment.

일반적으로, 부정교합이란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 위치를 벗어나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In general, malocclusion refers to an inaccurate occl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teeth are not arranged in an array, or the engagement state of the upper and lower malleus is out of the normal position and is a functional and aesthetic problem.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아나 턱 관절의 손상, 잇몸 질환 등을 유발할 우려가 높으므로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치열교정치료가 수행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malocclusion occurs,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causing damage to teeth, jaw joints, gum disease, etc., so orthodontic treatment for treating the malocclusion is performed.

상세히, 상기 치열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In detail, the orthodontic treatment utilizes the property that the teeth move when receiving an external force, such as a device for suppressing or enhancing the development of the jawbone, and a device for gradually moving the tooth to a desired position.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type is a fixed treatment method in which a device called a bracket is attached to a tooth and the tooth is moved by the tension of a wire such as an orthodontic wire or an elastic band, which can be used for various kinds of orthodontic treatment.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이 되는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In detail, the brackets are each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aligned, and the wires are fix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s. The teeth to be calibrated can be gradually moved by regulating the tension applied to the wire and variously adjusting the direction and size of the force applied to the wire. Accordingly, the orthodontic treatment is performed while the position and posture of the tooth to be aligned is changed by the tension of the wire and the tooth moves little by little.

이때, 상악의 전치부 또는 하악의 전치부가 대향되는 악궁의 전치부를 정상보다 깊게 덮인 상태로 물리는 과개교합의 경우, 대상악궁의 전치부에 부착된 브라켓이 그에 대향되는 대합악궁의 전치부와 부딪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저작시 브라켓이 전치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구강 내부의 연조직에 상처를 입히거나, 음식물과 함께 삼켜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whe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upper arch of the maxilla or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is opposed to the anterior portion of the arch opposing the anterior portion of the arch, the bracket attached to the anterior portion of the arch of the target collides with the anterior portion of the opposed arch. Accordingly,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the bracket is separated from the anterior portion during mastication, and the soft tissue inside the oral cavity is wounded or swallowed together with food.

또한,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의 전치부가 상호 맞물림된 상태에서는 와이어 등의 탄성부재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이 교정대상치아에 정확하게 전달되기 힘들었으며, 교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치아의 각도 또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the state where the anterior portions of the subject arch and the cervical arch are mutually engaged, it is difficult for the pressure applied through the elastic member such as the wire to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correction target tooth, and the time required for calibration is increased, It is difficult to precisely control the temperature.

이에, 종래에는 대상악궁과 대합악궁 사이의 간격 유지를 위해, 구치부의 저작면에 레진을 도포하는 방법이 고안된 바 있으나, 점성 유체 상태의 레진은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 간의 간격 방향으로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도포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Conventionally, a method of applying resin to the chewing surface of the posterior portion has been devis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target arch and the cervical arch, but the resin in the viscous fluid state has a sufficient thickness in the direction of the gap between the target arch and the cervical arch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be applied.

또한, 도포된 레진은 대상 구치부에 대한 결합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표면부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어 대합 구치부를 통한 가압압력이 접착면의 수선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부하되므로 저작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상기 레진에 접촉된 대합 구치부가 라운드진 표면부을 따라 미끌어지는 경우에는, 대상악궁과 대합악궁이 정상적인 물림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이 발생되므로 저작시 이물감이 크고, 턱관절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since the applied resin has a low bonding force to the target molar, the surface portion is formed in a rounded shape, and the pressing pressure through the mating mouth portion is loaded in a direction deviating from the water line direction of the bonding surface, . In addition, when the mating mating part contacted with the resin slips along the rounded surface part, pressure is genera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bject arch and the mating arch are moved away from the normal mating position, so that the foreign body feeling during mastication is large, There was a problem.

더욱이, 상기 레진은 대합 구치부 또는 대상 구치부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치아의 강도 미만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대합 구치부의 저작 마찰시 쉽게 마모됨에 따라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 사이의 안정적인 간격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since the resin is generally provided to less than the strength of the teeth so as to prevent damage to the mating posterior part or the target posterior p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tably maintain a gap between the target arch and the mating arch due to wear of the mating posterior part there was.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9058호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6905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교정시 사용 편의성 및 결합 안정성이 개선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0006]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ite guide for orthodontic appliances improved in ease of use and stability of bonding during orthodontic treatment.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의 저작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착유도면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접착되는 접합지지부; 및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상면부에 변형유도홈이 함몰 형성된 바이트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유도홈은 상기 지지대상치아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인접한 인접치아를 연결하는 치열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외주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축소유도슬릿과,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도록 상기 치열궁의 접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폐쇄단부가 형성된 확장유도슬릿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correcting a tooth of a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the method comprising: A bonding support portion formed with an adhesive surface having an inner surface profile and adhered to the support target tooth; And a chewing surface of a supporting tooth opposed to the tooth to be supported protruding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support for maintaining a calibration gap between the tooth to be calibrated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and an opposed tooth to be opposed thereto, And a bite body portion having a deformation inducing groove recessed in an upper surface portion thereof so as to induce deformation of the joint support portion when detached from a tooth to be supported, wherein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connects the tooth to be supported and the adjacent tooth adjacent to the tooth to be supported A reduction guide slit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nd opened at both ends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ite body, and a guide member formed at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angent line of the dental arch so as to intersect with the reduction guide sl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xtension guide slit in which a closed end to be pressed is formed The site provides a guide.

여기서, 상기 확장유도슬릿에는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는 중앙부에 상기 치열궁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유도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extension guide slit may have an extension guide surf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t a central portion intersecting with the reduction guide slit.

삭제delete

또한,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합지지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mold stopper surface corresponding to a masticating surface profile of the supporting tooth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ite body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이때, 상기 접착유도면에는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되, 상기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분리저항력이 증가되도록 요철엠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지지부에는 상기 접착제의 초과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변형유도홈과 연통되는 배출유도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concave-convex embossing portion is formed on the adhesive-guiding surface so as to increase the separation resistance against the applied dental adhesive, and the bonding support portion is provided with a groove And a discharge inducing hole is formed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접합지지부는 저작면을 감싸 밀착되며 지지대상치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도, 상면부에 돌설된 바이트몸체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어 치열궁 방향으로 개구된 축소유도슬릿 내의 여유공간을 통해 오므라들면 그에 연동하여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변형되어 손쉽게 분리되므로 제품의 결합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First, the abutting support part is stuck to the supporting object teeth by tightly covering the chewing surface, and the bite body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part is pushed radially inward to come in through the free space in the reduction inducing slit opened toward the dental arch The teeth are deformed to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eeth to be supported and are easily separated, so that the joint stability and the ease of us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둘째, 상기 축소유도슬릿에 교차 배치된 확장유도슬릿의 양단부를 가압하기만 하면, 가압방향 및 축소유도슬릿의 축소방향이 정렬되어 손쉬운 일차 변형이 가능하되 확장유도면을 통해 이차적인 확장유도슬릿의 확장 변형이 유도되므로 동일 방향의 연속 가압으로 접합지지부의 테두리 부분 및 중앙부가 순차적으로 완전 분리되어 제품이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Second, by merely pressing both ends of the extension induction slit cross-disposed on the reduction induction slit, the pressing direction and the reduction direction of the reduction inducing slit are aligned so that an easy primary transformation is possible. However, Since the extended deformation is induced, the edge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joint support portion are successively separated completely by continuous pressing in the same direction,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셋째,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상면부에 구비된 형합지지면이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형합 지지하여 안정감 있는 저작감도를 제공하므로 이물감이 저감되되, 저작시 미끄러짐으로 인한 경사방향의 압력 발생 및 그에 따른 접착층의 분리, 턱관절의 부담이 감소되므로 제품의 결합안정성 및 사용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Third, since the die pad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ite body supports the chewing surface of the supporting tooth to provide a stable feeling of chewing feeling, the foreign body feeling is reduced, and the pressure generation in the oblique direction due to slipping during chewing, The separation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burden on the jaw joint are reduced, so that the binding stability and the satisfaction of us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넷째, 상기 접합지지부 및 지지대상치아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요철엠보부에 내삽되어 접합지지부의 변형시 접착유도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측 잔여 접착제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잔여 접착제의 제거작업 및 그에 따른 치아 손상이 저감되어 제품의 사용 편의성 및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Fourth, an adhesive applied between the bonding support and the teeth to be supported is inserted into the embossed embossed portion and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of being bonded to the adhesive induction surface when the bonding support is deformed. The remaining adhesive can be minimized, and the removal work of residual adhesive and the resulting damage to the teeth can be reduced, so that the usability and satisfaction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bite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dontic appliance.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ite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of a bite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bottom view of a tooth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tooth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bite guide for a teeth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ate of a bite guide for a teeth corr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view of a tooth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100)는 접합지지부(10) 및 바이트몸체부(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4, a tooth guide 100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joint support portion 10 and a bite body portion 20.

여기서, 상기 바이트가이드(100)는 교정대상치아(2a) 및 교정대상치아(2a)에 대향 배치되어 맞물림되는 교정대합치아(2f) 사이에 충분한 교정간극을 유지하기 위해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Here, the bite guide 100 is provided inside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to maintain a sufficient clearance gap between the to-be-aligned teeth 2a and the to-be-matched teeth 2f which are disposed opposite to the to-be- Means a device to be installed.

이때, 상기 교정대상치아(2a)는 상악 또는 하악 중 교정대상이 되는 대상악궁의 전체 치아 중에서 치열 변형 또는 부정교합으로 치열교정이 요구되는 치아를 의미하며,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등의 교정보철물(3)이 실질적으로 설치되는 치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tooth to be corrected (2a) refers to a tooth requiring orthodontic correction by dental deformation or malocclusion among the whole teeth of the subject's arch to be subjected to correction of the maxillary or mandibular heights.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is actually a tooth to be installed.

그리고, 상기 교정간극은 저작시 교정대상치아(2a)에 설치된 교정보철물(3)이 교정대합치아(2f)의 간섭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교정대상치아(2a)가 교정보철물(3)을 통한 압력에 따라 목표된 위치 및 각도로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교정대상치아(2a) 및 교정대합치아(2f) 간의 현재 교합상태를 반영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installed in the orthodontic tooth 2a during chewing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by the interference of the orthodontic tooth 2f or the orthodontic tooth 2b is inserted through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It is preferable to reflect the current occlusal state between the to-be-corrected tooth 2a and the to-be-corrected tooth 2f so as to secure a space that can be deformed at the target position and angle according to the pressure.

이때, 상기 바이트가이드(100)는 상기 교정대상치아(2a)의 치열 교정시 변형이 없거나 적은 지지대상치아(2b)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상치아(2b)는 교정대상치아(2a)를 포함하는 대상악궁이나 교정대합치아(2f)를 포함하는 대합악궁 중 하나에 포함된 치아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교정대상치아(2a)인 전치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치열 교정시 변형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넓고 평탄한 형태의 저작면을 갖는 구치(molar) 부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bite guide 100 is provided on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with little or no deformation at the time of orthodontic correction of the tooth 2a to be aligned. Here,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can be set as a tooth included in one of the object arches including the object tooth 2a to be calibrated or the confrontation arch including the correcting object tooth 2f, and the object tooth 2a ),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 molar portion having a wide and flat shape of chewing surface while being less likely to deform during orthodontic correction.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지지부(10)는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을 감싸는 크기의 라운드진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의 접착유도면(11)이 형성되어 레진 등의 치과용 접착제를 통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크기 및 외형, 접착유도면(11)의 프로파일은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2 to 4,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provided in a rounded plate shape having a size to cover the chewing surfac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and a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chewing surface The adhesive surface 11 is formed and adhered to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via a dental adhesive such as a resin.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and the outer shape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nd the profile of the adhesive-guiding surface 11 are set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obtained for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상세히, 상기 3차원 이미지(1)는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를 나타내는 3차원 외형 데이터를 의미하며, 대상악궁과 대합악궁에 대한 오랄스캔 이미지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오랄스캔 이미지는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직접 촬상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채득된 인상모형을 간접 촬상하여 획득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refers to three-dimensional outline data representing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and may be provided as an oral scan image of the target arch and the arch arch. Of course, such an oral scan image can be obtained by directly capturing an image of the inside of the mouth of the subject of orthodontic correction or indirectly capturing an image of the impression model obtained with respect to the interior of the oral cavity of the orthodontist.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에는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에 포함된 모든 치아의 외형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획득된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치열교정대상자에게 적합한 치열교정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며, 수립된 치열교정계획에 따라 교정보철물(3)이 설계되어 상기 3차원 이미지(1) 내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outline information of all the teeth included in the target arch and the antagonism arch is displayed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and an orthodontic correction plan suitable for the subject of orthodontic correction is established based on the obtained three- And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can be designed and placed virtually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thodontic plan.

여기서, 상기 교정보철물(3)이 가상 배치된다는 말은 상기 교정보철물(3)이 상기 교정대상치아(2a)에 설치된 상태에서 3차원 좌표가 산출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정보철물(3)의 3차원 외형정보가 이미지화되어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표시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act that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is virtually disposed means that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 is calculated in a state where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is installed on the orthodontic tooth 2a. Dimensional imag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물론, 상기 3차원 이미지(1)는 오랄스캔 이미지만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치열교정계획 수립 및 교정보철물(3)의 설계시 치근, 치조골 밀도, 신경 등의 내부조직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CT 이미지 및 오랄스캔 이미지의 정합을 통한 정합 이미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may be composed of only the oral scan image. In order to establish the orthodontic correction plan and to design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information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ot, alveolar bone densit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atched image through registration of an image and an oral scan image.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에 표시된 교정보철물(3)과 상기 교정대합치아(2f)의 위치 및 각도를 고려하여 교정간극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이미지(1)의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이 상기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상태에서 교정간극 유지에 적합한 지지대상치아(2b)가 선택되고, 접합지지부(10) 및 바이트가이드(20)의 제반 설계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calibration gap can be set considering the positions and angles of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and the orthodontic tooth 2f displayed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The supporting object tooth 2b suitable for holding the calibration gap can be selected in the state where the opposing arch is lift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mentioned calibration clearance, and the various designing processes of the bonding support 10 and the bite guide 20 can be performed.

여기서, 상기 접합지지부(10)는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저작면의 중앙부와, 상기 저작면의 설측(lingual) 및 순측(labial) 테두리를 감싸도록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provided at a size corresponding to the mastication surface of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and the middle portion of the mastic surface and the lingual and labial rims of the masticatory surface are wrapped As shown in FIG.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는 상기 저작면의 설측 및 순측 테두리를 따라 라운드지게 휘어져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설측 내면 및 순측 외면을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That is, both end portions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may be rounded along the lingual and protruding edges of the masticating surface, and may exten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teeth 2b.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의 3차원 외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면 및 상기 저작면에 연결된 측면부를 감싸는 형상의 접합지지부(10)가 정확하게 설계될 수 있다. At this time,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of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which is set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the joining support 10 having a shape to wrap the joining surface and the side surface connected to the joining surface can be accurately designed have.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상치아(2b) 및 상기 접합지지부(10) 간의 접촉지지면적이 증가되되,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가 지지대상치아(2b)에 걸림 지지되므로 제품의 결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contact support area between the support target tooth 2b and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increased, and both ends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re hooked to the support target tooth 2b, .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에 가해지는 설측 및 순측 방향의 압력이, 상기 접합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2b) 사이에 얇게 형성된 접착층으로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내면 및 외면에 걸림 지지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로 분산되므로 상기 접합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2b)가 접착층 방향으로 슬립 분리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저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하방향의 외력뿐만 아니라, 칫솔질이나 수면 중 이갈이 등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That is, the pressure in the lingual and lateral directions applied to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not concentrated to the adhesive layer formed thinly between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nd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And thus the phenomenon that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nd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are slipped and separated in the adhesive layer direction can be minimized.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not only the vertical external force generated in the general chewing process but also the horizontal external forc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rushing or the like during the sleeping.

또한, 상기 접착유도면(11)은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접착유도면(11)은 상기 저작면과 유사한 표면 구배를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저작면에 형합되도록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 표면 프로파일이 반전된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adhesion inducing surface 11 is provided with a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chewing surfac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dhesive inducing surface 11 is formed to have a surface gradient similar to that of the chewing surface, and that the chewing surface surface profil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is inverted so as to match the chewing surface.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상치아(2b)가 구치인 경우, 중앙부가 함몰되고 라운드지 테두리 부분이 돌출된 형태의 라운드진 요철표면을 갖는 저작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착유도면(11)은 중앙부가 하향 돌출되고 테두리부분이 상향 함몰된 표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where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is a prefecture, the adhesive guiding surface 11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a chewing surface having a rounded concavo-convex surfac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recessed and the rounded rim portion is protruded, And the rim portion may be formed with an upwardly recessed surface profile.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의 3차원 외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면의 표면 형상과 마모 상태에 정밀하게 매칭되어 형합되는 접착유도면(11)이 설계될 수 있다. At this time, by using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of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which is set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the adhesion guide surface 11, which is precisely matched to the surface shape and the wear state of the chewing surface, .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과 상기 접합지지부(11) 사이의 접착면적이 극대화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2b)와 접합지지부(11) 사이에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가 저작면 및 접착유도면(11) 각각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유지하며 제품의 결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area of adhesion between the surface of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and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1 is maximized, and the dental adhesive applied between the support target tooth 2b and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1 is a chewing surface And the adhesion-inducing surface 11, and the bonding s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와 더불어, 상기 접착유도면(11)이 저작면에 반전 형합되는 프로파일로 구비되므로, 저작면의 돌출부가 내삽되도록 함몰된 부분과, 저작면의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부분을 통해 횡방향의 걸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 방향의 수선방향 및 수평방향 분리 저항력이 동시에 증가될 수 있어 제품의 결합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inducing surface 11 is provided with a profile that is inversely fused on the chewing surface, the portion of the chewing surface which is recessed so that the protrusion of the chewing surface is inserted and the portion protruding to be inserted into the depressed portion of the chewing surface, A latching structure can be formed. Accordingly, the water-splitting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separation resistance in the adhesive layer direction can be simultaneously increased, and the bonding st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이트몸체부(20)는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2a)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2f)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을 지지한다. 1 and 2, the bite body 20 includes a bite body 20 for holding the calibration gap between the tooth 2a to be calibrated to the orthodontic subject and the opposed tooth 2f facing the tooth, And supports the chewing surface of the opposing tooth 2e which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portion 10 and is opposed to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물론, 치열교정대상자의 치열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지지대상치아(2b)에 대합악궁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이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은 대합악궁의 전체 치아에 대한 저작면 중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Of course, depending on the dentition form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 one or more teeth of the opposed arch may be contacted with one tooth to be supported (2b), so that the masticating surface of the supporting mating tooth is a mating surface But it is understood that it means a portion which is substantial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ite body portion 20. [

여기서, 상기 바이트몸체부(20)는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열교정계획 및 교정보철물(3)의 설계에 사용되는 3차원 이미지(1)에는 교정대상치아(2a)를 포함하는 대상악궁 및 교합대상치아(2f)를 포함하는 대합악궁의 모든 치아에 대한 외형정보 및 치아 간 교합관계가 표시된다. Here, the bite body 20 is preferably design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obtained for the inside of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used for designing the orthodontic correction plan and orthodontic prosthesis (3) includes all the teeth of the confrontation arch including the target arch and the tooth to be occluded (2f) And the occl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eth is displayed.

또한, 상기 3차원 이미지(1)에는 교정보철물(3)과 상기 교정대합치아(2f)의 위치 및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교정간극에 따라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이 가상 거상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교정간극 유지에 적합한 지지대상치아(2b)가 선택되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접합지지부(10)가 설계되고, 설계된 접합지지부(10)의 3차원 외형정보가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the object arch and the cervical arch are displayed as a virtual image in accordance with a calibration gap set in consideration of the positions and angles of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and the orthodontic tooth (2f). At this time, when the support target tooth 2b suitable for the calibration gap maintenance is selected,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profile of the support target tooth 2b is designed and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of the designed bonding support portion 10 Information can be virtually arrang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여기서, 상기 접합지지부(10)가 가상 배치된다는 말은, 상기 접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에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3차원 좌표가 산출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합지지부(10)의 3차원 외형정보가 이미지화되어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표시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e fact that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virtually disposed means that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re calculated in a state where the bonding guide surface 11 is fused to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And it is preferable to understand that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of the joint support part 10 is imaged and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10)가 가상 배치되면,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지지대합치아(2e)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가상 거상된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까지의 간격에 따라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 높이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when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virtually disposed, the bite body portion 20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space between the support teeth 2e, which are virtually piled up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long the calibration gap. Can be set. That is, the heigh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ite body 20 is preferably set according to the distanc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to the chewing surface of the supporter tooth 2e.

이에 따라,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에 상기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간극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교정대합치아(2f)의 간섭으로 인한 교정보철물(3)의 분리가 방지되고, 교정대상치아(2a)가 충분한 교정간극 내에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교정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rrecting gap can be stably maintained in a state in which the chewing surface of the supporting tooth 2e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ite body 20, The separation of the orthodontic prosthesis 3 is prevented, and the tooth 2a to be aligned can be stably and smoothly moved and corrected within a sufficient correcting gap.

여기서, 상기 바이트몸체부(20)는 상기 접합지지부(10) 중 상기 저작면을 커버하는 상면 중앙부에 돌설되되 상면부(26)가 평탄한 원형단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면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bite body 20 has a flat circular cross section, which is protruded from a central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covering the masticating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t is preferable to have a maximum diameter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서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지지대합치아(2e) 저작면과,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가상 배치된 접합지지부(10)를 기반으로,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돌설 방향 및 상면부(26) 위치가 설계되므로 상기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에 대한 지지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on the basis of the joint supporting portion 10 virtually arranged on the supporting object teeth 2b and the mating face of the supporting mating teeth 2e virtualized in the calibration gap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Since the projecting direction of the portion 20 and the position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26 are designed, the support stability against the mastic surface of the supporting tooth 2e can be improved.

즉, 상기 접합지지부(10)가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설치된 상태에서, 저작시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가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과 평행하게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저작시 압력이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에 수선방향으로 부하될 수 있으며 접합지지부(10) 및 지지대상치아(2b)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에 안정적으로 분산 지지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surface portion 26 of the masticating bite body 2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mating surface of the supporting tooth 2e in parallel with the mating supporting portion 10 in the state of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Pressure can be appli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26 of the bite body portion 20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ite portion 20 and a stable dispersion of the adhesive layer provided between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nd the teeth to be supported 2b .

이에 따라, 종래에 레진을 이용한 교합 거상시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 압력이 대각선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레진 및 지지대상치아(2b) 간 접착층의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과 달리, 상기 접합지지부(10) 및 지지대상치아(2b)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의 면적방향으로 분산되어 결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us, unlike in the prior art in which the chewing pressure of the supporting tooth 2e is concentrated in a diagonal or inclined direction on a part of the adhesive layer between the resin and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during the occlusion of the resin, ) And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so that the bonding stability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접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결합 및 장착 방향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이트몸체부(20)가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최초 설계된 방향으로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Since the bonding and mounting direction can be guided in such a shape that the bonding guide surface 11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matched with the mating surfac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Can be accurately placed in the direction originally designed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이때,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에는 장착 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대응되는 기준치식이 표시되는 표식부(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식은 치아를 구분하기 위해 치아의 위치 및 악궁별로 부여된 번호를 의미한다. 2 to 3, it is preferable that a marking part 25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ite body part 20 so that a reference value expression corresponding to the to-be-supported tooth 2b is displayed so that the mounting position is guided . Here, the reference value expression refers to the position of a tooth and the number assigned to each arch to distinguish the teeth.

즉, 상기 표식부(25)는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면에 함몰된 홈 또는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준치식은 상기 3차원 이미지(1)를 통한 설계시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marking portion 25 is formed in a groove or protruding protrusion shape recessed i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ite body 20, and the reference value expression is formed in the support target tooth 2b.

이에 따라, 상기 접합지지부(10)가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접착유도면(11)과 지지대상치아(2b)의 형합 과정에서 결합 및 장착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트몸체부(20)가 지지대합치아(2e)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교정간극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품의 설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us,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can be accurately installed on the predetermined support target tooth 2b, and the bonding and mounting directions can be guided in the process of bonding the adhesive-guiding surface 11 and the to-be-supported tooth 2b have. That is, since the bite body 20 can be installed in the correct position and direction so as to stably support the supporting tooth 2e, the calibration gap can be stably maintained and the installation convenienc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

이때, 상기 치과용 접착제는 광경화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트몸체부(20) 및 상기 접합지지부(10)는 상기 접착제의 경화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제의 경화 품질이 개선됨과 더불어 외부에서 시인성이 감소되어 착용시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ental adhesive may be photocurable, and the bite body 20 and the bonding support 10 are preferably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rough which cured light of the adhesive is transmitted. As a result, the curing quality of the adhesive is improved, and visibility is reduced from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the aesthetics of the adhesive.

한편,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에는 상기 지지대상치아(2b)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변형유도홈(21)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1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26 of the bite body 20 such that the deformation of the bonding support 10 is induced when the bite tooth 2b is separated from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여기서, 상기 변형유도홈(21)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되, 바이트몸체부(2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선형 슬릿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1 may be formed in a straight slit shape that is recess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26 of the bite body 20 and extend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bite body 20 .

이때,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가 크라운 리무버 등을 통해 그립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면, 변형유도홈(21)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므려지고, 바이트몸체부(20)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가 변형된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중앙부가 지지대상치아(2b)의 중앙부 표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변형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들려,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테두리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 압력이 상기 접착층의 테두리 부분에 집중되므로 상기 접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bite body 20 is gripped through the crown remover and pressed radially inward, the inner space of the bending deformation groove 21 is reduced and the upper end of the bite body 20 is radially inward And the joint support portion 10 connected to the bite body portion 20 is deformed. That is, both ends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are sloped along the deformation direction of the bite body portion 20 in a state where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supported on the center surfac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Side surface of the to-be-supported tooth 2b. At this time, since the deformation pressure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concentrated on the edge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the bonding guide surface 11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upport target tooth 2b.

또한, 치과용 일자 드라이버 등을 상기 변형유도홈(2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벌리면,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변형되고, 상기 바이트몸체부(20)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가 변형된다. When the dental screwdriver or the like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deformation guide groove 21 and opened, the upper end of the bite body 20 is expanded and deformed in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bite body 20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deformed.

즉, 접합지지부(10)의 테두리가 지지대상치아(2b)의 테두리측 표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접합지지부(10)의 중앙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변형 방향을 따라 상승되어 지지대상치아(2b)의 중앙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the center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raised along the deformation direction of the bite body portion 20 in a state where the rim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supported on the rim side surface of the to-be-supported tooth 2b, Can be separated from the central portion surface of the base 2b.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 압력이 상기 접착층의 중앙부에 집중되므로 상기 접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접합지지부(10)가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반경방향 가압시 변형되며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deformation pressure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concentrated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adhesive layer, the bonding guide surface 11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upport target tooth 2b. In this way, while the joint support portion 10 maintains stable engagement, the bite body portion 20 is deformed at the time of pressing in the radial direction and can be easily separated, so that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변형유도홈(21)은 축소유도슬릿(21a)과 확장유도슬릿(21b)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1 may include a reduction inducing slit 21a and an extension inducing slit 21b.

상세히,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은 상기 지지대상치아(2b)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인접한 인접치아(2c,2d)를 연결하는 치열궁(t)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와 연통되도록 개구(23)되어 형성된다. In detail,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is formed along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t connecting the support target teeth 2b and the adjacent teeth 2c and 2d adjacent to the support target teeth 2b, And an opening (23) communicating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ite body (20).

즉,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은 치열궁 방향의 양단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한 가압시 손쉽게 축소 변형될 수 있다. That is,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can be easily reduced and deformed when pressing toward the radially inward side in a shape in which both end portions in the dental arch direction are opened.

이때, 상기 바이트몸체부(20)가 치열궁(t)의 접선(t1)과 직교하는 방향(w)으로 가압되면, 축소유도슬릿(21a) 내의 여유공간을 통해 바이트몸체부(20)의 상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바이트몸체부(20)의 하단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가 상기 지지대상치아(2b)로부터 이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bite body 20 is pressed in the direction w orthogonal to the tangential line t1 of the dental arch t, the upper end of the bite body 20 is inserted through the clearance in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bite body 20 can be de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즉, 축소유도슬릿(21a)에 의해 분할된 바이트몸체부(20)의 양측이 축소유도슬릿(21a)의 여유공간을 통해 상호 경사지게 밀착되며,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축소유도슬릿(21a)에 대응되는 접합지지부(10)의 중앙측이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분할된 바이트몸체부(20)의 양측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의 양단측이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접착제를 통한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That is, both sides of the bite body 20 divided by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learance of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to induce deformation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 At this time, in the state in which the center side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corresponding to the reduction inducing slit 21a is support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2b,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divided byte body portion 20 Can be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tooth 2b to be released, and the engagement state through the adhesive can be released.

또한,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은 접합지지부(10)의 장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식부(25)를 통해 지지대상치아(2b)가 안내되며,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양단 개구(23)를 인접치아(2c,2d)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접합지지부(10)가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유도면(11) 및 저작면 간 형합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Further,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can guide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That is, the teeth to be supported 2b are guided through the marking portion 25 and the both end openings 23 of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ar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the adjacent teeth 2c and 2d, Can be installed in the correct direction. Accordingly, the joining induction surface 11 and the chewing surface can be easily engaged with each other.

그리고,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은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교차되도록 상기 치열궁(t)의 접선(t1)과 직교하는 방향(w)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의 양단부에는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폐쇄단부(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은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교차하되 양단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폐쇄된 양단부가 크라운 리무버 등과 같은 핀셋 형태의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is formed in a direction w perpendicular to the tangential line t1 of the dental arch t to intersect with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At this time, a closed end portion 24 to be pressed by the dental grip device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extension inducing slit 21b. That is,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is formed in a shape that intersects with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and has both ends closed, and both closed ends can be pressed by a dental grip device such as a crown remover or the like .

이때, 상기 폐쇄단부(24)를 통해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축소 방향 및 치과용 그립장치의 그립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확장유도슬릿(21b)의 단부측 폐쇄단부(24)를 가압하면, 축소유도슬릿(21a)의 축소 방향과 치과용 그립장치를 통한 가압 방향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용이한 수축 변형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reduction direction of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and the grip direction of the dental grip apparatus can be guided through the closed end portion 24. That is, when the end side closed end portion 24 of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formed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is pressed, the reduction direction of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and the direction The shrinkage inducing slit 21a can be easily shrunk and de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pressing direction is aligned.

또한,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은 치과용 일자 드라이버 등을 통한 확장 변형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치과용 일자 드라이버가 삽입되면 양단부가 폐쇄된 확장유도슬릿(21b)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벌림 방향의 압력이 바이트몸체부(20)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Further,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can be used for an expansion deformation through a dental flathead screwdriver or the like. That is, when the dental flathead screwdriver is inserted, both ends of the dental flathead screwdriver are not released from the inside of the expanded extension inducing slit 21b, so that the pressure in the opening direction can be accurately transmitted to the bite body 20.

이처럼, 상기 폐쇄단부(24)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 접합지지부(10)의 테두리 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의 내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면 접합지지부(10)의 중앙 부분이 분리되며, 두번의 동작으로 접합지지부(10)가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closed end portion 24 is radially inwardly pressed, the rim portion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is separated. When the inside of the expansion inducing slit 21b is radially outwardly pressed, the center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The part is separated, and the joint support 10 can be completely separated by two operations.

이때,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에는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교차되는 중앙부에 상기 치열궁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유도면(24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is preferably formed with an extension guide surface 24a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t a central portion intersecting with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여기서, 상기 확장유도면(24a)은 상기 확장유도슬릿(21b) 및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이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교차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교차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테이퍼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치열궁의 외곽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의 내면 전체에 상기 확장유도면(24a)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확장유도면(24a)은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내면 간 접촉시 라운드 또는 경사진 형태로 인해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수축방향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폐쇄단부(24)를 통해 축소유도슬릿(21a)의 수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추가 외력을 치열궁(t) 외곽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Here, the extension guide surface 24a may be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and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intersect with each other, and the intersection portion may be formed to be roundly connected, It may be formed by tapering.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extension guide surface 24a is formed on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as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is extende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dental arch as it goes toward the center. At this time, the extension guide surface 24a is kept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shrinking direction of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due to the round or inclined shape when the inner surfaces of the shrinkage inducing slit 21a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switch the additional external force exerted in the shrinking direction of the reduction contraction slit 21a to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t.

이에 따라, 상기 폐쇄단부(24)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축소유도슬릿(21a)이 1차 수축 변형되되, 축소유도슬릿(21a)의 내면 간 밀착시 상기 확장유도면(24a)을 통해 확장유도슬릿(21b)이 치열궁(t) 방향으로 2차 확장 변형될 수 있다. Accordingly, by simply pressing the closed end portion 24 radially inward,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is first shrunk and deformed, and when the expansion guide surface 24a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reduction guide slit 21a, The extension guide slit 21b can be secondarily expanded and de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t.

즉, 동일한 방향의 연속적인 가압으로 접합지지부(10)의 테두리 부분 및 중앙부가 순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이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rim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nding support portion 10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by continuous pressing in the same direction,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종래에 지지대상치아(2b)에 대한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지지대합치아(2e)의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치과용 레진 등으로 소재가 제한되는 것과 달리, 바이트가이드(100)의 소재와 지지대상치아(2b)에 대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치과용 접착제가 상이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지지대합치아(2e)에 대한 지지력이 개선되는 고품질의 교정 보조 도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Unlike the prior art in which the material is limited by a dental resin or the like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strength to provide the support force of the support tooth 2e while having a predetermined adhesive force to the tooth 2b to be supported, 100 and the dental adhesive for providing the fixing force to the teeth 2b to be supported may be made of different materials so that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supporting tooth 2e is improved while having a more stable adhesive force, It can provide the base technology that can provide the tool.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 형상과 접합지지부(210)의 하면부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ooth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bottom view of a tooth guide for orthodontic treat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ther embodiment, the basic structure except for the shap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bite body 220 and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joint support part 21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structure will be omitted.

도 5 내지 도 6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합지지면(2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5 to 6, a mold stopper surface 226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ite body 220 to correspond to the stitching surface profile of the supporting tooth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desirable.

즉, 상기 3차원 이미지(1)에 표시된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이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상태에서 지지대상치아에 접합지지부(210)가 가상 배치되면,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거상된 지지대합치아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bonding support part 210 is virtually disposed on the supporting object teeth in a state where the object arch and the cervical arch display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1 are virtually elevated along the calibration gap, The height of the bite body 220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space between the raised supporting teeth.

이때,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에는 그에 대향 배치되어 저작시 접촉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과 유사한 표면 구배를 갖도록 형합지지면(226)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형합지지면(226)은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는 표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a mold stopper surface 226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ite body 220 so as to have a surface gradient similar to that of a chewing surface of the supporting tooth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tooth during chewing. Of cours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die-like joint surface 226 is provided so as to have a surface profile that matches the chewing surface profile of the supporting tooth.

여기서, 치열교정대상자의 치열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지지대상치아에 하나 이상의 대합악궁측 치아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은 대합악궁의 전체 치아에 대한 저작면 프로파일 중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since one or more opposed arch tooth-side teeth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one tooth to be supported according to the dentition form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the chewing surface profile of the tooth- And it is understood that it means a portion which substantially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 portion 220.

이에 따라, 상기 형합지지면(226)이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과 형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 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저작감도를 제공하여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Thus, in a state in which the die holding surface 226 is mated with the chewing surface of the supporting tooth, it is possible to stably support the chewing pressure of the supporting tooth without slipping and to provide stable writing sensitivity, .

즉, 지지대합치아가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로부터 미끌어짐에 따라 저작시 압력이 접합지지부(210)에 경사 방향으로 부하되어 접착층이 분리되거나 치열교정대상자의 턱관절에 부담을 주는 등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other words, as the support slidably slides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bodyside body 220, the pressure at the time of chewing is loaded on the bonding support portion 210 in an oblique direction, thereby separating the adhesive layer or imposing a burden on the jaw joint of the subject Discomfort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접착유도면(211)에는 상기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분리저항력이 증가되도록 요철엠보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The embossed emboss part 212 may be formed on the adhesive guiding surface 211 to increase the separation resistance against the applied dental adhesive.

이때, 상기 요철엠보부(212)는 상기 접착유도면(211)으로부터 상향 함몰된 미소한 면적의 홈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접착유도면(211)의 전체면적에 분산 배치되도록 복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The concavo-convex embossing portion 212 is formed in a groove having a small area which is depressed upward from the adhesive inducing surface 211 and is formed so as to be distributed over the entire area of the adhesive inducing surface 211 .

즉, 상기 접합지지부(2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요철엠보부(212)에 내삽되며 접착유도면(2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및 접착유도면(211) 간의 결합력이 접착제 및 지지대상치아 간의 결합력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adhesive applied between the bonding supporting portion 210 and the teeth to be supported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embossing portion 212 and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adhesive guiding surface 211. At this time,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adhesive-guiding surface 211 can be formed to be higher tha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adhesive and the subject tooth.

이처럼,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변형시 요철엠보부(212)를 통한 접착력 편차에 따라 접착제가 접착유도면(211)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에 잔존하는 접착제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분리 후 버(bur) 등을 이용하여 잔여 접착제를 긁어내는 후속 작업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되, 버를 통한 접착제 제거 작업에 따른 불편함 및 치아 손상 우려가 저감되므로 제품의 사용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bonding support portion 210 is deformed, the bonding agent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support target tooth in a state in which the adhesive is stably held in the bonding guide surface 211 in accordance with the adhesive force deviation through the embossed emboss portion 212 , The amount of adhesive remaining on the surface of the tooth to be supported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after the separation of the bonding support part 210, the subsequent operation of scraping the residual adhesive by using a bur or the like is minimized,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However, Since the risk of damage is reduced, the satisfaction of use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상기 접합지지부(210)에는 상기 접착제의 초과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변형유도홈과 연통되는 배출유도홀(21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출유도홀(213)은 상기 요철엠보부(212) 중 상기 변형유도홈과 대향 배치된 일부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요철엠보부(212)와 구분되는 별도의 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Meanwhile, the bonding support part 210 may be formed with a discharge inducing hole 213 communicating with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so as to discharge excess of the adhesive. At this time,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13 may be formed so as to penetrate part of the convex-concave embossing portion 212 which is opposed to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and may be provided as a separate hole separated from the concave- It is also possible.

이하에서는 상기 배출유도홀(213)이 상기 변형유도홈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슬릿형으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discharge inducing holes 213 are provided in a pair of slit-like shapes intersecting each other in a shape similar to the shape of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하면부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측으로 밀착되면, 상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에 의해 가압된 접착제가 자연스럽게 상기 배출유도홀(213)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도한 접착제로 인한 이격이나 장착 방향의 어긋남이 최소화되고, 상기 접합지지부(2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가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adhesive agent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onding support part 210 in a state of being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object tooth, the adhesive pressed by the surface of the object tooth naturally flows into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13 Can be discharged. Accordingly, separation due to excessive adhesive or deviation in the mounting direction is minimized, and the bonding support portion 210 and the object tooth can be stably and tightly bonded.

또한, 상기 접합지지부(210) 및 지지대상치아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와, 상기 배출유도홀(213)의 내부를 따라 유동된 접착제가 연결되어 일체로 경화되므로 접합지지부(210) 및 지지대상치아 간 결합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disposed between the bonding support part 210 and the teeth to be supported and the adhesive flowing along the inside of the discharge guide hole 213 are connected and cured integrally, the bonding support part 210 and the supporting object teeth The bonding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이와 함께, 상기 변형유도홈을 통한 바이트몸체부(210)의 변형시, 상기 변형유도홈에 대응되는 배출유도홀(213)을 통해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연동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접합지지부(210) 및 지지대상치아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다. At the time of deformation of the bite body 210 through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the amount of the deformation of the joint supporting portion 210 may be increased through the discharge inducing hole 213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210) and the teeth to be supported can be smoothly separat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se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3차원 이미지 100,200: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10,210: 접합지지부 11: 접착유도면
20,220: 바이트몸체부 21: 변형유도홈
1: 3D image 100,200: Bite guide for orthodontics
10, 210: bonding supporting portion 11:
20, 220: Byte body portion 21:

Claims (5)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의 저작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착유도면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접착되는 접합지지부; 및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상면부에 변형유도홈이 함몰 형성된 바이트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유도홈은 상기 지지대상치아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인접한 인접치아를 연결하는 치열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외주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축소유도슬릿과,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도록 상기 치열궁의 접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폐쇄단부가 형성된 확장유도슬릿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Wherein an adhesive inducing surface having an inner surface profile corresponding to the chewing surface is formed on the basis of the three-dimensional image obtained for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A bonding support which is adhered to a tooth to be supported; And
Supporting the chewing surface of the opposing tooth projected to the upper surface portion of the abutment supporting portion so as to maintain the calibration gap between the tooth to be calibrated of the subject to be orthodonticized and the opposed opposed tooth to be opposed to the tooth to be supported, And a bite body portion having a deformation inducing groove recessed in an upper surface portion thereof to induce deformation of the joint support portion when detached from a target tooth,
Wherein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is formed along the dental arch direction connecting the teeth to be supported and the adjacent teeth adjacent to the teeth to be supported and has both ends opened to communicate with the outer periphery of the bite body, And an extension guide slit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a tangent line of the dental arch so as to intersect and having a closed end portion which is pressed at both ends by a dental grip devic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도슬릿에는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는 중앙부에 상기 치열궁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유도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xtension guide slit is formed with an extension guide surface extending in the direction of the dental arch at a central portion intersecting with the reduction guide sl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합지지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ite support surface corresponding to a bite surface profile of the support tooth i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bite body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imag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유도면에는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되, 상기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분리저항력이 증가되도록 요철엠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지지부에는 상기 접착제의 초과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변형유도홈과 연통되는 배출유도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mbossed embo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adhesion inducing surface so that the dicing adhesive is applied and the separation resistance against the applied dental adhesive is increased,
And a discharge induc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deformation inducing groove is formed through the joint supporting portion so as to discharge an excess amount of the adhesive.
KR1020170067404A 2017-05-31 2017-05-31 orthodontic bite guide KR101940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04A KR101940741B1 (en) 2017-05-31 2017-05-31 orthodontic bite gui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04A KR101940741B1 (en) 2017-05-31 2017-05-31 orthodontic bite gui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94A KR20180130994A (en) 2018-12-10
KR101940741B1 true KR101940741B1 (en) 2019-01-21

Family

ID=6467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04A KR101940741B1 (en) 2017-05-31 2017-05-31 orthodontic bite gui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74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08B1 (en) * 2020-09-01 2021-07-06 이노범 Bracket indirect attachment jig for orthodontics formed as integral with bite block,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method of us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384B2 (en) 1993-02-22 2001-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Display device drive circuit
KR101631261B1 (en) 2015-03-09 2016-06-16 주식회사 디오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with open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7892B1 (en) * 1997-10-28 2001-07-10 Flexible Dimensions, Llc Shells for temporary and provisional crowns with an hourglass shaped occlusal profile
US6652276B2 (en) * 2001-11-01 2003-11-25 Ultradent Products, Inc. Customizable dental bite blocks and methods for forming customized dental bite blocks
KR200269058Y1 (en) 2001-12-07 2002-03-20 배성민 Orthodontic device using multiple hooks
GB201216224D0 (en) * 2012-09-12 2012-10-24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improved virtual splint
JP3202384U (en) * 2015-09-30 2016-02-04 盧 育華 Tooth traction suppor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384B2 (en) 1993-02-22 2001-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Display device drive circuit
KR101631261B1 (en) 2015-03-09 2016-06-16 주식회사 디오 surgical guide for dental implant with open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94A (en)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7092B2 (en) Dental appliance with repositioning jaw element
US10898296B2 (en)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383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attachment fabrication and placement
JP4870677B2 (en) Orthodontic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composition to a patient's teeth
JP6325096B2 (en) Dental transfer template
US20100279245A1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20210244507A1 (en) An orthodontic system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 method for the placement of an appliance for the orthodontic treatment of a patient's teeth, and a use of the appliance of such an orthodontic system
EP0837657A1 (en) Orthopedic incline appliance and method
KR101565801B1 (en) Tooth correction device
JP5635575B2 (en) Orthodontic bracket and method of making orthodontic bracket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JPS6312623B2 (en)
KR101804991B1 (en) Mould type jig for bonding orthodontic brackets and mould type jig
KR20070108020A (en) Bracket for revising a set of teeth and system for revising a set of teeth using the same
KR101940741B1 (en) orthodontic bite guide
EP33482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US20160256247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US4834656A (en) Adjustable composite dental crown and associated procedure
EP3482714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KR20230151790A (en) bite guide for measuring occlusal vertical dimension
CA2923708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CN115137505A (en) Manufacturing process of standard dental retention guide plate based on digitization technology
KR19990022757A (en) Tongue Relief Oral Habits Training Device
US20160157972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JP6174829B1 (en) Harves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