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39297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297B1
KR101939297B1 KR1020170068997A KR20170068997A KR101939297B1 KR 101939297 B1 KR101939297 B1 KR 101939297B1 KR 1020170068997 A KR1020170068997 A KR 1020170068997A KR 20170068997 A KR20170068997 A KR 20170068997A KR 101939297 B1 KR101939297 B1 KR 101939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rack
guider
inlet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2286A (ko
Inventor
이해웅
김성환
배진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297B1/ko
Priority to EP17182170.5A priority patent/EP3409826B1/en
Priority to US15/663,079 priority patent/US10724170B2/en
Publication of KR20180132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 D06F29/005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the other separate apparatus being a drying applianc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28Electric hea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9/00Combinations of a washing machine with other separate apparatus in a common frame or the like, e.g. with rins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이 구비된 수용바디; 상기 바닥면, 상기 전방면, 상기 후방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챔버 바닥면, 챔버 전방면, 챔버 후방면, 챔버 제1측면 및 챔버 제2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 상기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건조챔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챔버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공급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세탁대상물(의류 등)을 세탁하는 장치, 건조대상물을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있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켜 의류를 교반키면서 가열된 공기를 의류에 공급함으로써 의류에서 수분을 제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을 회전시키면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기 때문에 의류에 주름이 남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상술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종래 의류처리장치 중에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다수의 랙(rack), 상기 건조챔버의 바닥면을 통해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를 포함하도록 구비된 것이 있었다. 랙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주름이 남는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지만, 건조챔버의 바닥면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할 경우 건조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랙의 회전각도를 조절 가능한 힌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구분된 두 개의 건조공간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이 구비된 수용바디; 상기 바닥면, 상기 전방면, 상기 후방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챔버 바닥면, 챔버 전방면, 챔버 후방면, 챔버 제1측면 및 챔버 제2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 상기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구;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건조챔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챔버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챔버로 유입시키는 공급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랙은 상기 챔버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이 지지되는 메쉬가 구비된 제1랙; 및 상기 제1랙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랙과 이격되며 건조대상물이 지지되는 메쉬가 구비된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챔버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방면과 상기 챔버 전방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과 상기 챔버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형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급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더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챔버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와 상기 수용바디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급구는 상기 챔버 전방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로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공급구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공급구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유입구로 구비되며,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 및 상기 제2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유로형성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3가이더 및 제4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입구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제3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4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챔버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와 상기 수용바디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챔버 외주면과 상기 수용바디 내주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챔버로 향을 공급하는 첨가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첨가제 공급부; 상기 챔버 전방면, 상기 챔버 후방면, 상기 챔버 제1측면 및 상기 챔버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첨가제 공급부에서 배출되는 향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첨가제 공급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수용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면이 위치된 방향에 형성된 인출구;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투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제2캐비닛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인출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연통하는 제2캐비닛 투입구;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투입구; 상기 제1캐비닛 또는 상기 건조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캐비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제2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연통하는 제2캐비닛 투입구;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건조효율이 높은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랙의 회전각도를 조절 가능한 힌지부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로 구분된 두 개의 건조공간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2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구비된 드로워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구비된 유로형성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구비된 첨가제 공급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구비된 랙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구비된 힌지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제1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와 도 15는 랙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장치의 구성이나 제어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함은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는 건조대상물(의류 등)을 건조하는 제1처리장치만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건조하는 제1처리장치 및 의류를 건조하거나 세탁하도록 구비된 제2처리장치를 모두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가 의류를 건조하는 제1처리장치(A) 및 제1처리장치의 상부면에 안착된 제2처리장치(B)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A)는 전방면에 인출구(11)가 구비된 제1캐비닛(1), 상기 인출구(11)를 통해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드로워(2), 상기 드로워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C), 상기 건조챔버(C)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기공급부(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처리장치(B)는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로 구비될 수도 있고,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제2처리장치(B)가 건조기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처리장치(B)는 상기 제1캐비닛(11)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41), 상기 제2캐비닛(41)의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저장되는 드럼(42),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제2공기공급부(461, 463, 467, 46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캐비닛(41)이 제공하는 공간 중 제1캐비닛의 인출구(11)가 구비된 방향을 향하는 면(제2캐비닛의 전방면)에는 제2캐비닛 투입구(411)가 구비되고, 상기 제2캐비닛 투입구는 제2캐비닛 도어(413)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드럼(42)은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상의 드럼바디(421)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드럼바디(421)의 전방면은 상기 제2캐비닛(41) 내부에 고정된 제1지지부(42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드럼바디(421)의 후방면은 제2캐비닛(41) 내부에 고정된 제2지지부(426)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422)에는 상기 제2캐비닛 투입구(411)와 드럼바디(421) 내부를 연통시키는 드럼 투입구(423)가 구비된다.
상기 제2공기공급부는 상기 드럼바디(421)로 공기를 안내하는 공급덕트(461), 상기 드럼바디(421) 내부의 공기를 제2캐비닛(41)의 외부로 안내하는 배기덕트(463), 상기 공급덕트(461)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가열부(468), 상기 배기덕트(463)에 구비되어 드럼바디(421) 내부의 공기를 배기덕트(463)로 이동시키는 제2처리장치 임펠러(46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덕트(461)는 제2지지부에 구비된 흡기구(427)를 통해 드럼바디(421)에 연통하고, 상기 배기덕트(463)는 제1지지부에 구비된 배기구(425)를 통해 드럼바디(421)에 연통할 수 있다.
상기 드럼바디(421)와 상기 제2처리장치 임펠러(467)는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데, 상기 구동부는 드럼모터(44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럼모터(441)에 구비된 드럼모터 회전축(443)의 일단에는 풀리(445)가 고정되고, 상기 드럼모터 회전축(443)의 타단에는 상기 제2처리장치 임펠러(467)가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풀리(445)의 회전력은 벨트(447)를 통해 상기 드럼바디(421)에 전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여 제1처리장치(A)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는 인출구(11)를 통해 제1캐비닛(1)에서 제1캐비닛의 외부로 인출 가능한 수용바디(21), 건조챔버(C)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바디(21)에 고정된 챔버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21)의 전방면에는 패널(29)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21)가 상기 제1캐비닛(1)에 삽입되면 상기 패널(29)은 상기 인출구(11)를 폐쇄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바디(21)가 제1캐비닛(1)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 있더라도 상기 패널(29)은 제1캐비닛(1)의 외부에 위치될 것이므로, 상기 패널(29)에는 컨트롤패널(291)이 구비될 수 있다. 도 3은 상기 컨트롤패널(291)이 패널(29)의 상부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으로, 상기 컨트롤패널(291)에는 입력부(291a) 및 표시부(291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291b)는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의 표시 및 선택된 제어명령의 실행과정을 표시하는 수단이고, 상기 입력부(291a)는 제1처리장치(A)에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수단이다.
상기 수용바디(21)의 내주면과 상기 챔버바디(23)의 외주면 사이에는 상기 제1공기공급부(5)에서 공급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C)로 안내하는 유로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바디(21)는 바닥면(211),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방면(212),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면(213),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212)과 상기 후방면(213)을 연결하는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바디(21)의 상부면에는 상기 챔버바디(23)가 삽입되는 개방면(216)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부면이 개방면(216)으로 구비된 육면체 형상의 수용바디(21)를 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수용바디(21)의 형상이 반드시 육면체 형상일 필요는 없다. 즉, 상부면에 관통홀이 구비되거나 상부면이 개방면(216)으로 구비되는 한 상기 수용바디(21)의 형상은 다른 형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수용바디(21)에는 상기 제1공기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상기 수용바디(21) 내부로 유입시키는 유입구(217, 제1유입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전방면(212), 후방면(213),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챔버바디(23)는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C),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어 의류를 상기 건조챔버(C)로 유입시키는 투입구(236), 상기 건조챔버(C)를 수용바디(21)에 고정시키는 고정부(237)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챔버(C)는 상기 수용바디(21)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챔버 바닥면(231), 챔버 전방면(232), 챔버 후방면(233),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챔버 바닥면(231), 챔버 전방면(232), 챔버 후방면(233),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은 상기 수용바디의 바닥면(211), 전방면(212), 후방면(213),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 각각을 마주보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챔버 전방면(232)은 상기 수용부의 전방면(212)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챔버 후방면(233)은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213)을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며, 상기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은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 및 후방면(213)을 각각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37)는 상기 투입구(236)의 가장자리에서 투입구(236)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판(plate)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바디의 상단이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고정부(237)에 의해 상기 챔버 전방면(232)은 상기 전방면(212)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챔버 후방면(233)은 상기 후방면(213)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은 상기 제1측면(214) 및 제2측면(215)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챔버 바닥면(231)은 상기 챔버 전방면, 챔버 후방면, 챔버 제1측면 및 제2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바닥면(211)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챔버 바닥면(231)은 상기 수용바디(21)의 바닥면(211)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챔버 전방면(232)을 향해 이동 가능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함이다.
상기 챔버바디(23)에는 상기 수용바디(21)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C)로 유입시키는 공급구(238a, 제1공급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 챔버 후방면(213), 챔버 제1측면(234) 및 챔버 제2측면(23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는 의류가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rack)이 구비되는데, 상기 랙은 상기 챔버 바닥면(231)과 이격되도록 구비된 제1랙(81), 상기 제1랙(81)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1랙(81)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랙(8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랙(81)은 건조챔버(C) 내주면에 지지되는 프레임(811),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프레임 관통홀에 위치하는 메쉬(813, mesh)를 포함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랙(82) 역시 프레임(821) 및 메쉬(82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의 구체적 구조는 후술한다.
상기 제1공기공급부(5)는 상기 수용바디(21)의 후방면(213)에 고정되어 상기 수용바디(21)가 형성하는 공간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공급부(5)는 상기 유입구(217)로 공기를 안내하는 하우징(51),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상기 유입구(217)로 이동시키는 팬,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57, 제1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은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임펠러(53, 제1임펠러), 상기 임펠러(53)를 회전시키는 회전축(551)이 구비된 모터(55)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551)에 의해 상기 임펠러(53)가 회전하면, 제1캐비닛의 배면에 구비된 배면 관통홀(15)이나 인출구(11) 등을 통해 상기 제1캐비닛(1)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하우징(51)을 따라 상기 유입구(217) 방향으로 이동하고, 이 과정에서 히터(57)에 의해 가열될 것이다.
상기 수용바디(21)에 구비되는 유입구(217)와 상기 건조챔버(C)에 구비되는 공급구(238a)는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213)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건조챔버(C) 내부에 저장된 의류와 공기가 열교환을 시작하는 시점을 앞당기기 위함이다.
상기 유입구(217)와 상기 공급구(238a)가 서로 마주보는 수용바디의 일면과 챔버바디의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유입구는 후방면에 구비되고, 공급구는 챔버 후방면에 구비되는 경우 등),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공급되는 열풍은 공급구(238a)를 통해 곧바로 건조챔버(C)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그러나, 가열된 공기와 의류의 열교환은 건조챔버 및 수용바디 등의 온도가 의류의 온도 이상이 된 때 개시되고,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위치된 의류는 공기가 건조챔버(C)나 수용바디(21)에 접촉하는 것을 방해하므로 상기 유입구(217)와 상기 공급구(238a)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 수용바디의 일면과 챔버바디의 일면에 각각 구비되면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유입구(217) 및 공급구(238a)를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된 수용바디의 일면 및 건조챔버의 일면에 각각 구비시킴으로써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기공급부(5)에서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수용바디(21)와 챔버바디(23)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된 뒤 건조챔버(C)로 유입되도록 유로를 설계하면, 상기 수용바디(21) 및 챔버바디(23)가 빨리 가열되고 이를 통해 의류와 공기가 열교환을 시작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단축 가능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수용바디의 후방면(213)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후방면(233)에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제1측면(214)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제2측면(235)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랙이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구비된 제1랙(81)과 제2랙(82)으로 구비될 경우,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종래 랙을 구비한 건조기의 건조방식은 상기 제1랙(81)과 챔버 바닥면(23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건조챔버(C)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함으로써 의류를 건조하는 방식이었다.
상술한 종래 건조방식에 의하면, 제1랙(81)과 챔버 바닥면(231) 사이로 유입된 공기는 메쉬(813)를 통해 제1랙(81)에 안착된 의류로 공급되어 의류와 열교환을 하고, 상기 제1랙(81)에 안착된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제2랙의 메쉬(823)를 거쳐 제2랙(82)에 안착된 의류에 공급되어야 한다. 그러나, 제1랙에 안착된 의류와 열교환을 마친 공기는 제2랙의 메쉬(823)를 통해 제2랙(82)에 안착된 의류로 이동하는 것보다 제2랙(82)의 가장자리와 건조챔버(C)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건조챔버의 투입구(236)로 이동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제2랙의 메쉬(823)를 거쳐 상기 투입구(236)로 이동하는 경로의 유로 저항이 상기 제2랙의 가장자리를 거쳐 상기 투입구(236)로 이동하는 경로의 유로 저장보다 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현상은 의류와 열교환 가능한 에너지를 가진 공기를 건조챔버(C)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것과 다르지 않기 때문에, 종래 건조방식은 건조효율이 낮은 문제, 건조시간이 증가하는 문제, 에너지를 낭비하는 문제 등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는 상기 공급구(238a)를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즉, 가열된 공기가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유입되면, 큰 운동에너지를 가진 상태의 공기가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에 동시에 공급되기 때문에 상기 메쉬(813, 823)의 유로 저항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공기가 의류에 공급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공급구(238a)의 위치를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 사이에 위치시킴으로써 종래 건조방식에 비해 10% 이상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상기 공급구(238a)로 공급되는 공기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유입구와 공급구 사이에 형성된 공기유로의 유로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후방면(213)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챔버 바닥면(231)과 상기 바닥면(21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1처리장치(A)는 상기 바닥면(211)과 상기 챔버 바닥면(231)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238a)로 안내하는 유로형성부(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로형성부(25)는 상기 전방면(212)과 상기 챔버 전방면(23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공급구(238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로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고). 상기 제1가이더(251)와 상기 제2가이더(253)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서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을 향해 돌출된 판(plate)으로, 상기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도 7 참고).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21)로 공급된 공기의 운동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유입구(217)는 상기 제1가이더(251)가 후방면(213)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253)가 후방면(213)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R1, 도 6 참고)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유입구(217)의 지름(L2)은 상기 제1가이더와 상기 제2가이더 사이의 간격(L1) 이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도 7 참고).
또한, 상기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을 벗어나지 않는 길이(H1)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수용바디의 바닥면(211)까지 연장(H2)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217)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21)로 유입된 공기가 신속히 상기 공급구(238a)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상기 공급구(238a)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의 너비방향 중앙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급구(238a)가 챔버 전방면의 너비방향 중앙에 구비되면, 상기 건조챔버(C) 내부공간 전체에 공기 순환류(F1, F2)를 형성할 수 있어 건조효율이 향상될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챔버(C)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공급구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공급구(238a) 및 제2공급구(238b)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용바디(21)에 구비되는 유입구는 제1유입구(217) 및 제2유입구(219)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제1유입구(217)는 상기 제1공급구(238a)가 상기 후방면(213)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고, 상기 제2유입구(219)는 상기 제2공급구(238b)가 상기 후방면(213)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공급구(238a) 및 제2공급구(238b)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의 너비방향 중심에 대해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순환류를 통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공기가 골고루 전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유입구(217)와 상기 제2유입구(219) 각각으로 가열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제1공기공급부(5)는 모터의 회전축(551) 일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1유입구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1임펠러(53), 모터의 회전축(551) 타단에 고정되어 상기 제2유입구로 공기를 이동시키는 제2임펠러(54), 상기 제1임펠러와 제1유입구 사이에 위치하는 제1히터(57), 및 상기 제2임펠러(54)와 제2유입구(219) 사이에 위치하는 제2히터(58)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공급구(238a)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251, 253) 및 상기 제2공급구(238b)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유로형성부(255, 2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공급구(238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로 구비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는 상기 제2공급구(238b)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3가이더(255) 및 제4가이더(257)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더(251), 제2가이더(253), 상기 제3가이더(255) 및 제4가이더(257)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서 상기 수용바디의 전방면(212)을 향해 돌출된 판(plate)으로, 상기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유입구(217)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R1)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입구(219)는 상기 제3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4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R2)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제1유입구(217)의 지름은 상기 제1가이더와 제2가이더 사이의 간격(L1) 이하로 설정되고, 상기 제2유입구(219)의 지름은 상기 제3가이더와 제4가이더 사이의 간격 이하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처리장치(A)는 상기 챔버 바닥면(231)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C)와 상기 수용바디(21)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238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실험에 의하면 상기 챔버 바닥면 관통홀(238c)를 통해 건조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처리장치(A)에는 상기 건조챔버(C)로 첨가제를 공급하는 첨가제 공급부(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언급된 첨가제는 의류에 향기를 공급하거나 의류에서 냄새를 제거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시트형(sheet) 방향제가 일례가 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 공급부(7)는 상기 건조챔버(C)의 외주면과 상기 수용바디(21)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도 1은 상기 챔버 전방면(232)과 전방면(212) 사이에 구비된 장착부(27)에 상기 첨가제 공급부(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착부(27)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된 케이스 수용부(271), 상기 챔버바디(23)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를 외부와 연통시키는 삽입구(27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삽입구(273)는 챔버바디에 구비된 고정부(237)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가이더(251) 및 제2가이더(253)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의 바닥면에서 상기 건조챔버(C)의 높이방향을 따라 상기 챔버 바닥면(231) 또는 상기 바닥면(211)까지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첨가제 공급구(239)를 통해 건조챔버(C)와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의 바닥면에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키는 관통홀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보다 효과적으로 첨가제를 건조챔버(C)로 공급하기 위함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첨가제 공급부(7)는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구비되어 첨가제(78)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케이스(71) 및 제2케이스(7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케이스(71)와 제2케이스(73)는 힌지(75)를 통해 서로 결합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케이스(71)에는 첨가제(78)가 수용된 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제1홀(731) 및 제2홀(7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홀(731)과 제2홀(733)은 홀 개폐부(77)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는데, 상기 홀 개폐부(77)는 상기 제1케이스(71)와 제2케이스(73) 내부에서 왕복 가능한 플레이트(771), 상기 플레이트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플레이트 관통홀(773), 상기 플레이트에 고정된 핸들(77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핸들(775)은 상기 제1케이스(71)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슬릿(735)에 삽입되어 상기 제1케이스(71)의 외부에 노출되며, 사용자는 상기 슬릿(735)을 따라 핸들(775)을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1홀(731), 제2홀(733) 및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773)은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771)의 너비가 상기 제1홀(731)과 제2홀(733) 사이의 최대 간격과 동일하게 구비될 경우,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773)이 제1홀(731)과 제2홀(733) 사이에 위치하면, 제1홀(731)과 제2홀(733)은 플레이트(771)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나, 상기 핸들(775)이 제1홀이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홀(731)과 상기 플레이트 관통홀(773)이 겹쳐지면 상기 제1홀(731) 및 제2홀(733)은 모두 개방된 상태가 될 것이다.
따라서, 의류에 향기를 공급하거나 의류에서 냄새를 제거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제1홀(731)과 제2홀(733)이 개방시킨 뒤 상기 첨가제 공급부(7)를 상기 케이스 수용부(271)에 장착하면 된다.
도 10은 본 발명에 구비된 랙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구비된 제1랙(81)은 프레임(811),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관통홀(811a),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위치하는 메쉬(813)을 포함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관통홀(811a)에는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다수의 바(814)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2랙(82)은 제1랙(81)과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랙(82)은 프레임(821), 프레임 관통홀(821a), 및 상기 프레임 관통홀(821a)에 구비되는 메쉬(823) 또는 다수의 바(82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은 힌지부(9)를 통해 건조챔버(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제1랙(81)은 제1전방지지부(241)와 제1힌지부(9a)에 의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제2랙(82)은 제2전방지지부(243)와 제2힌지부(9b)에 의해 상기 건조챔버(C)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전방지지부(241)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되어 제1랙의 프레임(811)의 일단을 지지하는 수단이고, 상기 제2전방지지부(243)는 상기 챔버 전방면(232)에 구비되어 제2랙의 프레임(821)의 일단을 지지하는 수단이다. 상기 제2전방지지부(243)은 상기 제1전방지지부(241)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제1랙(81)은 제1힌지부(9a)를 통해 건조챔버(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랙(82)은 제2힌지부(9b)를 통해 건조챔버(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랙(82)이 제2힌지부(9b)를 통해 회전될 수 있게 한 것은 제1랙(81)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랙에 안착된 의류를 건조챔버(C)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고, 상기 제1랙(81)이 제1힌지부(9a)를 통해 회전될 수 있게 한 것은 상기 제1랙(81)을 제1힌지부(9a)에서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1랙(81)을 건조챔버(C)에 결합시키는 제1힌지부와 상기 제2랙(82)을 건조챔버(C)에 결합시키는 제2힌지부는 서로 동일한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힌지부 및 제2힌지부는 상기 건조챔버(C)를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각 프레임(811, 821)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는 랙 회전축(911), 상기 건조챔버의 외부에 위치하며 상기 랙 회전축(911)에 의해 회전하는 제1작동바디(91), 상기 건조챔버(C)의 외부에 위치하며 제1스토퍼(955) 및 제2스토퍼(957)가 구비되는 스토퍼 바디(95), 상기 제1스토퍼(955)와 상기 제2스토퍼(957)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제2작동바디(9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작동바디(93)는 상기 제1작동바디(91)의 회전 시 상기 제1작동바디(91)에 접촉하여 상기 제1작동바디(9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바디(95)는 상기 제1스토퍼(955) 및 제2스토퍼(957)와 함께 상기 제2작동바디(93)가 수용되는 공간(수용부)을 형성하는 제1베이스(951) 및 제2베이스(95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에는 상기 제2작동바디(9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 제공부(98)가 구비되는데, 상기 탄성력 제공부(98)는 상기 스토퍼 바디(95)에 고정된 체결부(981), 상기 수용부 내부를 왕복 가능한 지지부(983), 상기 지지부(983)에 구비되어 상기 제2작동바디(9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바디 회전축(984), 및 상기 체결부(981)와 상기 지지부(983)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98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98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바디 회전축(984)은 제2작동바디(93)에 구비된 체결홀(931)을 통해 제2작동바디(93)에 결합된다.
상기 체결부(981), 지지부(983) 및 연결부(985)가 동일한 재질로 구비될 경우, 상기 연결부(985)는 상기 체결부(981) 및 지지부(983)보다 작은 너비를 가지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연결부(985)는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랙(81)은 상기 제1힌지부(9a)의 랙 회전축(9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제2랙(82)은 상기 제2힌지부(9b)의 랙 회전축(9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랙과 제2랙 각각에는 축 체결부(815, 82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축 체결부는 상기 프레임(811, 82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랙 회전축(911)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1홈(815a, 825a), 및 상기 제1홈(815a, 825a)에서 상기 프레임(811, 821)의 전방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랙 회전축(911)이 이동하는 경로를 제공하는 제2홈(815b, 825b)로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1랙과 제2랙을 투입구 방향으로 회전시킨 뒤 건조챔버(C)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각 랙을 당기면 각 랙을 건조챔버(C)에서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건조챔버(C) 내부를 청소하거나 부피가 큰 건조대상물을 건조할 때 사용자는 각 랙(81, 82)을 건조챔처(C)에서 분리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힌지부(9)의 작동과정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2(a)는 제1랙(81)과 제2랙(82)이 제1전방지지부(241) 및 제2전방지지부(243)에 각각 안착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랙이나 제2랙을 회전시키면 랙 회전축(911)에 의해 제1작동바디(91)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작동바디(91)가 기 설정된 제1각도(A1)까지 회전하면, 상기 제1작동바디(91)의 자유단은 제2작동바디(93)에 연결된다. 상기 제2작동바디(93)는 탄성력 제공부(98)에 의해 상기 제1작동바디(91)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상기 제1작동바디(91)가 제2작동바디(93)에 결합되면 제1랙(81)과 제2랙(82)은 제1각도(A1)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랙(82)이 제1각도(A1)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 사용자는 제1랙(81)에 의류를 투입하거나 제1랙에 저장된 의류를 건조챔버의 외부로 인출하는 것이 용이할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작동바디(93)의 반시계방향 최대 회전각도는 제2스토퍼(957)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제2작동바디(93)의 시계방향 최대 회전각도는 제1스토퍼(955)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제1각도(A1)보다 더 큰 각도로 설정된 제2각도(A2)까지 제1랙이나 제2랙이 회전하면, 상기 제2작동바디(93)는 상기 제2스토퍼(957)에 접촉하고, 각 랙은 제2각도(A2)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제1랙(81)과 제2랙(82)이 제2각도(A2)만큼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면 사용자는 제1랙(81) 및 제2랙(82)을 편리하게 건조챔버(C)에서 분리하거나 결합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랙의 프레임(811, 821)에는 절곡부(811b, 821b)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절곡부(811b, 821b)는 상기 랙 회전축(911)이 결합되는 프레임의 일면이 상기 건조챔버(C)의 내주면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구비된다. 상기 절곡부(811b, 821b)는 각 랙(81, 82)에 의해 구분되는 두 개의 공간(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된 공간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을 서로 연통시키는 수단이다.
의류와 같은 건조대상물이 접히지 않은 상태로 랙(81, 82)에 거치되어야만 건조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데, 상기 절곡부(811b, 821b)는 의류가 접힘 없이 랙에 거치될 수 있게 하는 수단이다. 상기 절곡부(811b, 821b)가 각 프레임(811, 821)에 구비되면, 의류의 소매와 같이 길이가 긴 건조대상물은 각 랙(81, 82)의 하부에 위치된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어 사용자는 길이가 긴 의류를 접지 않고도 랙에 거치할 수 있다.
도 13은 제1처리장치(A)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처리장치(A)는 제1랙(81)은 제1전방지지부(241) 및 제1후방지지부(242)에 의해 건조챔버(C)에 지지되고, 제2랙(82)은 제2전방지지부(243) 및 제2후방지지부(244)에 의해 건조챔버(C)에 지지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 경우, 상기 제1랙과 제2랙은 도 14와 같이 구비될 수 있다. 도 14의 랙은 프레임(81),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프레임 관통홀(811a), 상기 프레임 관통홀에 구비되는 메쉬(83) 또는 바(bar), 상기 프레임(81)의 마주보는 양측면에 구비되는 제1회전판(86) 및 제2회전판(88)을 포함한다.
상기 제1회전판(86)은 제1힌지(863)을 통해 상기 프레임(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회전판(86)에는 제1회전판(86)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다수의 제1회전판 관통홀(86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판(88) 역시 제2회전판 고관통홀(881) 및 제2힌지(883)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구조를 가진 랙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1회전판(86)과 제2회전판(88)을 도 15와 같이 접을 수 있어, 상술한 절곡부(821b)와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6은 제1처리장치(A)가 제2처리장치(B)의 상부에 위치된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처리장치(B)는 도 2를 통해 설명한 제2처리장치(B)와 동일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구비된 제1처리장치(A)는 제1캐비닛(1)의 상부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관통홀(13), 및 상기 제1캐비닛(1) 또는 드로워(2)에 구비되어 건조챔버(C)의 투입구(236)를 개폐하는 도어(236a)를 더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의류처리장치 A: 제1처리장치 B: 제2처리장치
1: 제1캐비닛 11: 인출구 13: 관통홀
2: 드로워 21: 수용바디 23: 챔버바디
236: 투입구 236a: 도어 238a: 제1공급구
238b: 제2공급구 238c: 챔버 바닥면 관통홀
239: 첨가제 공급구 251: 제1가이더 253: 제2가이더
255: 제3가이더 257: 제4가이더 27: 장착부
271: 케이스 수용부 273: 삽입구 29: 패널
291: 컨트롤패널 5: 제1공기공급부 51: 하우징
3: 제1임펠러 54: 제2임펠러 57: 제1히터
58: 제2히터 7: 첨가제 공급부 81: 제1랙
811: 프레임 811a: 프레임 관통홀 811b: 절곡부
813: 메쉬 814: 바 815: 축 체결부
82: 제2랙 9: 힌지부 91: 제1작동바디
911: 랙 회전축 93: 제2작동바디 931: 체결홈
95: 스토퍼 바디 955: 제1스토퍼 957: 제2스토퍼
98: 탄성력 제공부 981: 체결부 983: 지지부
984: 작동바디 회전축 985: 연결부

Claims (17)

  1. 바닥면, 상기 바닥면에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된 후방면, 상기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전방면과 상기 후방면을 연결하는 제1측면 및 제2측면이 구비된 수용바디;
    상기 바닥면, 상기 전방면, 상기 후방면,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으로부터 각각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는 챔버 바닥면, 챔버 전방면, 챔버 후방면, 챔버 제1측면 및 챔버 제2측면으로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에 위치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 내부에 구비되어 건조대상물이 안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랙;
    상기 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유입구;
    상기 수용바디에 구비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상기 수용바디와 상기 건조챔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상기 챔버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바디 내부의 공기를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공급구;
    상기 수용바디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캐비닛;
    상기 제1캐비닛을 관통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방면이 위치된 방향에 형성된 인출구; 및
    상기 건조챔버의 상부면에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투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바디는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제1캐비닛에서 인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챔버 바닥면과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건조대상물이 지지되는 메쉬가 구비된 제1랙; 및 상기 제1랙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랙과 이격되며 건조대상물이 지지되는 메쉬가 구비된 제2랙;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구는 상기 제1랙과 상기 제2랙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챔버 바닥면보다 낮은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면과 상기 챔버 전방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바닥면과 상기 챔버 바닥면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유로형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급구의 일측에 위치하는 제1가이더; 및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가이더의 마주보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와 상기 수용바디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이더 및 상기 제2가이더는 상기 바닥면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구는 상기 챔버 전방면의 너비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제1공급구 및 제2공급구로 구비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제1공급구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1유입구 및 상기 제2공급구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위치에 구비되는 제2유입구로 구비되며,
    상기 유로형성부는 상기 제1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유로형성부 및 상기 제2공급구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유로형성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1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가이더 및 제2가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제2유로형성부는 상기 챔버 전방면에서 상기 전방면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건조챔버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제2공급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3가이더 및 제4가이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입구는 상기 제1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2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2유입구는 상기 제3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과 상기 제4가이더가 상기 후방면에 투영된 지점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건조챔버와 상기 수용바디를 연통시키는 챔버 바닥면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챔버 외주면과 상기 수용바디 내주면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건조챔버로 향을 공급하는 첨가제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첨가제 공급부;
    상기 챔버 전방면, 상기 챔버 후방면, 상기 챔버 제1측면 및 상기 챔버 제2측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첨가제 공급부에서 배출되는 향을 상기 건조챔버로 유입시키는 첨가제 공급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캐비닛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제2캐비닛;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드럼;
    상기 제2캐비닛이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인출구가 위치된 방향을 향하는 공간에 구비되고, 상기 제2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드럼에 연통하는 제2캐비닛 투입구;
    상기 드럼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기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068997A 2017-06-02 2017-06-02 의류처리장치 KR101939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997A KR101939297B1 (ko) 2017-06-02 2017-06-02 의류처리장치
EP17182170.5A EP3409826B1 (en) 2017-06-02 2017-07-19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5/663,079 US10724170B2 (en) 2017-06-02 2017-07-28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8997A KR101939297B1 (ko) 2017-06-02 2017-06-02 의류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2294A Division KR102107802B1 (ko) 2019-01-08 2019-01-08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286A KR20180132286A (ko) 2018-12-12
KR101939297B1 true KR101939297B1 (ko) 2019-01-16

Family

ID=5938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8997A KR101939297B1 (ko) 2017-06-02 2017-06-02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4170B2 (ko)
EP (1) EP3409826B1 (ko)
KR (1) KR1019392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5569B1 (en) * 2018-05-21 2021-03-16 Sibu Varghese Body dryer system and method of use
KR102650343B1 (ko) * 2018-06-01 2024-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AU2019279431B2 (en) * 2018-06-01 2022-11-17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ment apparatus
US11486085B2 (en) * 2020-11-03 2022-11-01 Barry G. Erickson Apparatus for securing items to a drum of a washer and dry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120A1 (en) * 2005-12-30 2007-07-05 Tomasi Donald M Non-tumble clothes dry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136A (en) * 1985-02-19 1987-02-17 Watchman Kenneth C Towel warmer
JPH02119900A (ja) * 1988-10-28 1990-05-07 Sanyo Electric Co Ltd 乾燥機
US5369892A (en) * 1993-06-04 1994-12-06 Dhaemers; Gregory L. Armoire
JP2001113098A (ja) * 1999-10-21 2001-04-24 Yamamoto Seisakusho:Kk 布団乾燥機
US6973740B2 (en) * 2003-01-14 2005-12-13 Whirlpool Corporation Stationary clothes drying apparatus
US6928752B2 (en) * 2003-04-04 2005-08-16 Maytag Corporation Combination tumble and cabinet dryer
KR100531836B1 (ko) * 2004-04-07 2005-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처리장치를 구비한 의류 건조기
EP1959050A1 (en) * 2007-02-16 2008-08-20 Domoplast S.r.l. Method for drying and smoothing clothes and garment items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uch method
KR100830478B1 (ko) * 2007-04-04 2008-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KR100857799B1 (ko) * 2007-04-04 2008-09-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조건조기
US8119070B2 (en) * 2008-05-05 2012-02-21 Jamie Zimmerman Apparatus for removing scent from clothing
KR20100060889A (ko) 2008-11-28 2010-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US20120055039A1 (en) * 2010-09-08 2012-03-08 General Electric Company Drying and warming appliance
EP2773807A4 (en) 2011-11-03 2015-10-21 Stan Cennon CONVEXION SUSPENSION LAUNDRY DRYER
JP2017532102A (ja) * 2014-09-12 2017-11-0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衣類を乾燥させ且つ衛生的にする衣類ケア装置
WO2016070896A1 (en) 2014-11-03 2016-05-12 Arcelik Anonim Sirketi Foldable drying rack and laundry dryer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1120A1 (en) * 2005-12-30 2007-07-05 Tomasi Donald M Non-tumble clothes dr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09826B1 (en) 2019-09-11
KR20180132286A (ko) 2018-12-12
EP3409826A1 (en) 2018-12-05
US20180347103A1 (en) 2018-12-06
US10724170B2 (en) 202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8559E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627704B1 (ko) 의류관리장치
US9764053B2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93929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011817B1 (ko) 의류처리장치
US12134853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EP3812504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294609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189488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150009326A (ko) 의류 건조장치
AU2017205824B2 (en) Clothes-handling apparatus
KR101319881B1 (ko) 복합 의류 처리 장치
AU2024201959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10210780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47483A (ko) 의류처리장치
KR20210136295A (ko) 의류처리장치
KR20180113012A (ko) 의류처리장치
KR20080010703A (ko) 신발 수납형 랙을 구비하는 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