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37554B1 -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554B1
KR101937554B1 KR1020170020958A KR20170020958A KR101937554B1 KR 101937554 B1 KR101937554 B1 KR 101937554B1 KR 1020170020958 A KR1020170020958 A KR 1020170020958A KR 20170020958 A KR20170020958 A KR 20170020958A KR 101937554 B1 KR101937554 B1 KR 101937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raw material
workpiece
feeding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4609A (ko
Inventor
박조환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조환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조환,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조환
Priority to KR102017002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554B1/ko
Publication of KR201800946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46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5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4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welding and severing, or by joining and severing, the severing being performed in the area to be joined, next to the area to be joined, in the joint area or next to the joint are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02Bending or folding
    • B29C53/04Bending or folding of plates or sheets
    • B29C53/06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 B29C53/063Forming folding lines by pressing or scoring combined with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9/00Surface shaping of articles, e.g. embossing; Apparatus therefor
    • B29C59/007Forming single grooves or ribs, e.g. tear lines, weak sp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0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ultrasonic vib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5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feeding movement of the parts to be joined
    • B29C65/7888Means for handling of moving sheets 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02Filing appliances comprising only one pocket or compartment, e.g. single gussetted p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6Office equipment or 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서류(문서 등)를 철할 때 쓰는 L홀더를 제조함에 있어, 원스톱(one-stop) 공정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 형태로 준비된 원소재의 장착 및 장착된 상기 원소재를 권출시켜 다음공정의 경로로 공급하는 소재공급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공급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공급기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소재를 미리 정한 형태로 재단 및 재단된 대상소재의 중앙에 절첩선이 절곡형성되도록 1차 가공하는 외형재단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외형재단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외형재단기에 의해 1차 가공된 상기 대상소재를 반으로 접어 다음공정의 경로로 이송하는 소재절첩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절첩기에 의해 반으로 절첩 이송되는 상기 대상소재의 하단부를 접합시켜 접첩부와 상기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도록 2차 가공하는 초음파접합기; 및,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 일측에 더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절첩기를 통과하는 잔여소재를 임의길이로 절단하는 소재절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L-HOLDER MANUFACTURE MACHINE AND L-HOLDER MANUFACTURE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량의 서류(문서 등)를 철할 때 쓰는 L홀더를 제조함에 있어, 원스톱(one-stop) 공정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한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류철(書類綴, folder)이라 함은, 분류 및 보호를 위해 종이로 된 문서를 묶거나 매어 모을 수 있게 만든 도구를 일컫는 것으로, 보통 플라스틱이나 종이로 이루어져 있으며 때로는 천공한 종이를 끼워 가지런히 모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양한 크기와 모양의 바인더(binder) 또는 홀더파일(holder file)이 사용되고 있는바, 비교적 보관되는 서류의 매수가 적을 경우에는 상기 홀더파일을 주로 사용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파일은 디자인과 잠금처리에 따라 L홀더, 포켓홀더, 봉투홀더 등으로 구분되며, L홀더(h)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으로 폴딩(folding)되고 하단부는 초음파접착(ultrasonic bonding, 超音波接着)됨에 따라 L자 모양으로 접힘부(좌측)와 하단부는 막히고 접힘부의 대향부(우측)와 상단부는 개방된 구조를 이룸에 더해, 상기 대향부 상측에는 썸네일커팅(h-1) 처리가 되어 있어 문서를 간편히 철(綴)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L홀더(L-holder)는, 전용 절단기기를 이용하여 전개도 형태로 1차 가공(외형가공)을 하고, 이렇게 전개도 형태로 1차 가공된 낱장의 소재들을 다음공정수행의 가공장치를 이용한 폴딩공정(반으로 절첩)과 접합공정(하단부를 접합)을 통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적 형태로 제조한다.
하지만, 상기 전용 절단기기를 이용한 1차 가공에 의해 낱장의 형태로 준비된 대량의 소재들을 다음공정수행을 위한 가공장치의 공급대로 작업자가 직접 옮겨(적치)놓아야만 하는 작업의 번거로움 및 그에 따른 공정지체와 공정효율 저하의 문제점 발생은 차치하더라도, 상기 공급대에 다량적치된 낱장의 소재들이 다음공정(폴딩공정, 접합공정)을 위해 정해진 경로로 순차 이송되는 과정이 명확하지 못하면 제조정밀도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한 완제품의 품질저하 및 제품불량 등의 하자발생 확률이 크게 높아지게 되는 폐단으로 이어져 왔다.
또한, 최근 들어서는 제품의 차별화와 판촉효과의 목적에 따라 각종 이미지 혹은 라벨이 표면에 인쇄되는바, 전술한 바와 같이 낱장으로 공급되는 1차 가공 소재의 그 표면에 이미지나 라벨 등을 추가인쇄하는 작업공정이 생각처럼 쉽지않아 결국 대량생산·주문생산의 공정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로 이어져 왔다.
이에, L홀더 제조공정 전반의 작업효율 증대는 물론이거니와 하자발생 최소화를 통한 제조정밀도 및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3-0001949호(공개일자 : 2013.03.26.)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조장치의 구조개선을 통해, 낱장이 아닌 권출 방식으로의 소재 공급과 더불어 이후 제조공정 전반의 원스톱 진행에 따라 더욱 정밀한 제조공정 보다 효율적인 공정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L홀더 제조장치는, 롤 형태로 준비된 원소재의 장착 및 장착된 상기 원소재를 권출시켜 다음공정의 경로로 공급하는 소재공급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공급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공급기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소재를 미리 정한 형태로 재단 및 재단된 대상소재의 중앙에 절첩선이 절곡형성되도록 1차 가공하는 외형재단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외형재단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외형재단기에 의해 1차 가공된 상기 대상소재를 반으로 접어 다음공정의 경로로 이송하는 소재절첩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절첩기에 의해 반으로 절첩 이송되는 상기 대상소재의 하단부를 접합시켜 접힘부와 상기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도록 2차 가공하는 초음파접합기; 및,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 일측에 더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절첩기를 통과하는 잔여소재를 임의길이로 절단하는 소재절단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재공급기는, 상기 원소재가 수용되는 공급기본체와, 롤 형태의 상기 원소재 장착 및 권출을 위해, 상기 공급기본체에 자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된 롤축과, 상기 공급기본체에 더 구비된 상태로, 상기 원소재를 권출시켜 다음공정의 경로로 이송하는 피딩부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외형재단기는, 재단기본체와, 상기 재단기본체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소재공급기로부터 상기 원소재의 공급을 이어받아 공정진행 경로로 이송을 이어가는 급지부와, 상기 재단기본체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의 승강작동에 따라, 상기 급지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소재를 재단하여 상기 대상소재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렇게 재단된 상기 대상소재의 중앙에 절첩선을 절곡형성하는 커터헤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재절첩기는, 절첩기본체와, 상기 절첩기본체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한편, 하강시 상기 잔여소재를 가압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착헤드와, 상기 절첩기본체 상측에 더 설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한편, 하강시 상기 잔여소재에 내측에 위치한 상기 대상소재를 분리해 냄과 동시에 반으로 접어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승강체 및 회전체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초음파접합기는, 접합기본체와, 상기 소재절첩기로부터 낙하된 상기 대상소재들을 공정방향으로 개별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개별이송되는 상기 대상소재의 이동정지를 통해 공정수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의해 이동정지된 상기 대상소재를 일측으로 밀어붙여 공정수행의 정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보정판과, 상기 위치보정판에 의해 정위치에 배치된 상기 대상소재를 가압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착플레이트와, 상기 압착플레이트에 의해 위치고정된 상기 대상소재의 하단부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압착으로 초음파접착되도록 한 초음파헤드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소재절단기는, 절단기본체와, 상기 소재절첩기를 통과하는 상기 잔여소재를 임의길이로 잘라낼 수 있도록 간헐적 승강작동을 하는 제2커터와, 상기 잔여소재의 이송을 돕는 가이드롤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피딩부는, 상기 롤축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피딩부에 의해 권출되는 상기 원소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테이블과, 상기 원소재를 끌어당겨 권출시키기 위해 상호 맞대응 회전구동하는 한 쌍의 피딩롤과, 상기 피딩롤들에 의해 권출되는 상기 원소재의 이송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지부는, 상기 소재공급기로부터 권출 이송되는 상기 원소재를 끌어당겨 공정진행방향으로 이송을 이어가기 위해 서로 맞대응 회전구동하는 한 쌍의 급지롤과, 상기 급지롤들에 의한 상기 원소재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제2가이드롤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커터헤드는, 실린더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재단기본체 상측에 연계설치되고,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하강시 상기 원소재를 가압하여 미리 정한 형태로 1차 가공하기 위한 제1커터 및 절곡편이 하단에 돌출형성된 커터베이스와, 상기 커터베이스 저면에 부착구비된 상태로, 상기 커터베이스 하강시 상기 원소재와의 밀착으로 상기 원소재가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커터 및 절곡편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마감시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절첩기본체에는, 재단기본체의 제2가이드테이블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단기본체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를 떠받쳐 원활히 이송되도록 하는 제3가이드테이블과, 상기 제3가이드테이블 상측으로 상기 압착헤드와 승강체가 견인설치되는 상부프레임패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는, 실린더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3가이드테이블과 상기 상부프레임패널 사이 공간 중앙에 배치구성되는 한편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하강시 상기 회전체에 밀착된 상태로 무부하 대응회전을 이루는 복수의 압착롤과, 상기 압착롤의 조립결합과 더불어, 하강하는 상기 압착롤이 상기 회전체에 밀착될 때의 완충작용을 위한 서스펜션과, 상기 로드 진출에 따른 하강시, 상기 대상소재의 절첩선을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 대상소재가 반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절곡헤드로 구성된다.
더하여, 상기 회전체는, 한 쌍의 회전롤과, 상기 회전롤들이 서로 반대되는 대응회전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서로 맞물림 회전하는 회동기어와 연동기어가 상기 회전롤 각각의 동일위치에 축결합된다.
또한, 상기 접합기본체에는, 대상소재가 안착된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원활히 이송되도록 함에 더해 상기 초음파헤드 하강에 의한 상기 대상소재의 프레싱 가공이 가능토록 한 제4가이드테이블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은, 실린더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의 하측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상승시,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대상소재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 하나 이상의 이송제한봉이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된다.
더하여, 상기 마감시트는,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써, 상기 제1커터 및 절곡편의 내재수용과 더불어, 상기 원소재와의 밀착압력에 의한 두께 축소시 상기 원소재의 재단 및 절곡을 위한 상기 제1커터와 절곡편의 외부돌출을 가능케 하는 출입홈이 절개형성된다.
삭제
삭제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은, 전용 절단기기를 이용하여 외형이 가공된 낱장의 소재들을 다음공정의 수행을 위한 가공장치로 작업자가 직접 이동공급시켜주어야만 했던 종래와 달리, 소재의 공급부터 완제품의 회수까지의 모든 공정이 원스톱으로 진행되는 것에 따라 보다 수월하고 신속한 L홀더의 제조생산이 가능케 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함께, 사람에 의존한 작업공정의 간소화는 물론이거니와 기계적 오류발생 및 그로 인한 작업지연과 능률저하 그리고 안전사고 발생의 문제점 해소로, 작업환경 개선의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아울러 제조정밀도 극대화에 따른 제품품질 향상의 효과, 이로 인한 관련기업의 이익창출 및 관련산업의 기술발전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아주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L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의 구성관계 및 공정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와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각 공정에 의한 소재의 가공형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공급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외형재단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외형재단기의 커터헤드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절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절첩기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초음파접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초음파접합기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절단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방법의 공정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중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의 구성관계 및 공정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와 공정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각 공정에 의한 소재의 가공형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공급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외형재단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외형재단기의 커터헤드 구조를 나타낸 저면도와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절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9a 내지 도 9c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절첩기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초음파접합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며,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초음파접합기의 동작관계를 나타낸 작동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에 있어서 소재절단기의 구성관계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A)는, 롤 형태로 준비된 소재(이하 "원소재"라 함)의 장착 및 장착된 그 원소재를 권출(捲出, unroll)시켜 다음공정의 경로로 공급하는 소재공급기(1)와, 상기 소재공급기(1)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원소재를 미리 정한 형태로 재단 및 재단된 대상소재의 중앙에 절첩선이 형성되도록 1차 가공하는 외형재단기(2)와, 상기 외형재단기(2)에 의해 1차 가공된 대상소재를 반으로 접어 다음공정의 경로로 이송하는 소재절첩기(3)와, 상기 소재절첩기(3)에 의해 반으로 절첩된 대상소재의 하단부를 접합시켜 L모양으로 접힘부와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도록 2차 가공하는 초음파접합기(4)와, 상기 소재절첩기(3)를 통과하는 잔여소재(원소재의 나머지가 되는 부분)를 임의길이로 절단하는 소재절단기(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원소재(f-1)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제공되기 이전에 별도의 인쇄공정을 통해 각종 이미지나 문구 또는 라벨 등이 바탕(표면)에 프린팅(printing)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제공되는 원소재(f-1), 그리고 상기 외형재단기(2)에 의해 1차 가공되는 대상소재(f-2)와 상기 대상소재(f-2) 이외 원소재(f-1)의 나머지부분인 잔여소재(f-3)로 구분할 수 있다.
소재공급기(1)는, 별도의 전용 압출기(押出機, extruder / 도시하지 않음)를 이용한 연속성형공정에 의해 정해진 폭과 임의의 길이를 가지며 두루마리식으로 권취(捲取 : inroll)된 롤 형태의 상기 원소재(f-1)를 다음공정의 경로로 지속해서 공급(feeding)시켜주기 위한 수단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소재(f-1)가 수용되는 공급기본체(11)와, 롤 형태의 상기 원소재(f-1) 장착 및 권출을 위해 상기 공급기본체(11)에 자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된 롤축(12)과, 상기 공급기본체(11)에 더 구비된 상태로 상기 원소재(f-1)를 권출시켜 다음공정의 경로로 이송하는 피딩부(13)로 구성된다.
상기 공급기본체(11)는, 상기 원소재(f-1)가 일측에 위치되는 수직형 조립측판(111)과, 상기 조립측판(111)의 지지 및 지탱을 위한 복수의 지지대(112)로 구성된다.
상기 롤축(12)은, 무부하자전(無負荷自轉, no-load rotation) 상태로 상기 조립측판(111)에 구비됨으로써, 상기 원소재(f-1)의 장착은 물론 그 장착 상태로의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피딩부(13)는, 상기 롤축(12)에 장착된 상태로 피딩부(13)에 의해 권출되는 원소재(f-1)의 처짐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테이블(131)과, 상기 원소재(f-1)를 끌어당겨 권출시키기 위해 모터 등과 같은 동력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호 맞대응 회전구동하는 한 쌍의 피딩롤(132)과, 상기 피딩롤(132)들에 의해 권출되는 원소재(f-1)의 이송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롤(133)로 구성된다.
외형재단기(2)는, 상기 소재공급기(1)를 통해 공급되는 원소재(f-1)를 L홀더 제조에 필요한 전개도의 형태로 1차 가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단기본체(21)와, 상기 재단기본체(21)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소재공급기(1)로부터 원소재(f-1)의 공급을 이어받아 공정진행 경로로 이송을 이어가는 급지부(22)와, 상기 재단기본체(21)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의 승강(昇降, 오르고 내림)작동에 따라 상기 급지부(22)를 통과하는 상기 원소재(f-1)를 재단(cutting)하여 미리 정한 형태(L홀더의 전개도)의 대상소재(f-2)를 만들고 그렇게 재단된 상기 대상소재(f-2)의 그 중앙에 절첩선을 절곡형성하는 커터헤드(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급지부(22) 하측 상기 재단기본체(21)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소재공급기(1)로부터 권출되는 원소재(f-1)의 처짐 감지를 통한 상기 피딩롤(132)의 회전수 조절을 통해 상기 급지부(22)로 이공급되는 상기 원소재(f-1)의 공급속도 및 공급장력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1감지센서(24)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급지부(22)와 근접한 상기 재단기본체(21) 상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급지부(22)를 통과하는 원소재(f-1)의 이송 감지를 통한 상기 피딩부(13) 및 급지부(22)의 구동을 자동으로 컨트롤(가동 및 중단)하여 상기 커터헤드(23) 하강 프레싱(pressing)으로 가공되는 원소재(f-1)의 이송이 간헐적(間歇的)으로 정지되도록 하기 위한 제2감지센서(25)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단기본체(21)의 상단에는, 소재가 안착된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원활히 이송되도록 함에 더해 상기 커터헤드(23) 하강에 의한 상기 원소재(f-1)의 프레싱 가공이 가능토록 한 제2가이드테이블(211)이 구성된다.
상기 급지부(22)는, 상기 소재공급기(1)로부터 권출 이송되는 원소재(f-1)를 끌어당겨 공정진행방향으로 이송을 이어가기 위해 모터 등과 같은 동력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서로 맞대응 회전구동하는 한 쌍의 급지롤(221)과, 상기 급지롤(221)들에 의한 원소재(f-1)의 그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제2가이드롤(222)로 구성된다.
상기 커터헤드(23)는, 실린더(230)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재단기본체(21) 상측에 연계설치되고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하강시 원소재(f-1)를 가압하여 미리 정한 형태로 1차 가공(재단 및 절곡)하기 위한 커터베이스(231)와, 상기 커터베이스(231) 저면에 부착구비된 상태로 커터베이스(231) 하강시 원소재(f-1)와의 밀착으로 상기 원소재(f-1)가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이후 후술할 제1커터 및 절곡편의 노출방지를 위하는 마감시트(232)로 구성된다.
상기 커터베이스(231)의 저면으로부터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소재(f-1)를 미리 정한 형태로 재단하게 된 제1커터(231-1)와, 상기 제1커터(231-1)에 의해 재단된 대상소재(f-2)의 중앙에 절첩선을 절곡형성하기 위한 절곡편(231-2)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마감시트(232)는, 스펀지 등과 같이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커터(231-1) 및 절곡편(231-2)의 내재수용은 물론 상기 원소재(f-1)와의 밀착압력에 의한 두께 축소시 원소재(f-1)의 재단 및 절곡을 위한 제1커터(231-1)와 절곡편(231-2)의 외부돌출을 가능케 하는 출입홈(232-1)이 절개형성되어 있다.
소재절첩기(3)는, 상기 외형재단기(2)에 의해 1차 가공된 대상소재(f-2)를 반으로 접어 서류(문서 등)를 내부에 끼워넣을 수 있는 홀더의 구조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외형재단기(2) 일측에 연이어 배치되는 절첩기본체(31)와, 상기 절첩기본체(31)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한편 하강시 잔여소재(f-3)를 가압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착헤드(32)와, 상기 절첩기본체(31) 상측에 더 설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한편 하강시 잔여소재(f-3)에 내측에 위치한 대상소재(f-2)를 상기 잔여소재(f-3)로부터 분리해 냄과 동시에 반으로 접어서 아래로 낙하시키는 승강체(33) 및 회전체(34)로 구성된다.
상기 절첩기본체(31)에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단기본체(21)의 제2가이드테이블(211)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단기본체(21)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를 떠받쳐 원활히 이송되도록 하는 제3가이드테이블(311)이 구성되고, 상기 제3가이드테이블(311) 상측으로는 상기 압착헤드(32)와 승강체(33)가 견인설치되는 상부프레임패널(312)이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압착헤드(32)는, 실린더(320)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3가이드테이블(311)과 상부프레임패널(312) 사이 공간 양측에 각각 배치구성되는 한편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하강시 그 하말단면이 상기 잔여소재(f-3)만을 가압하는데 용이한 "ㄱ"형 단면구조를 갖는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체(33)는, 실린더(330)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3가이드테이블(311)과 상부프레임패널(312)의 사이 공간 중앙에 배치구성되는 한편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하강시 상기 회전체(34)에 밀착된 상태로 무부하 대응회전을 이루는 복수의 압착롤(331)과, 상기 압착롤(331)의 조립결합과 더불어 하강하는 압착롤(331)이 상기 회전체(34)에 밀착될 때의 완충작용을 위한 서스펜션(332)과, 상기 로드 진출에 따른 하강시 대상소재(f-2)의 그 중앙에 절곡형성된 절첩선을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한 대상소재(f-2)가 반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절곡헤드(333)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체(34)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한 쌍의 회전롤(341)과, 상기 회전롤(341)이 서로 반대되는 대응회전을 위해 서로 맞물림 회전하는 회동기어(342)와 연동기어(343)가 상기한 회전롤(341) 각각의 동일위치에 축결합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롤(341)은 두 개가 한 쌍으로 조합되는바, 상기 대상소재(f-2)의 절첩효율 및 낙하효율의 극대화를 위해 낙하경로를 따라 다수의 쌍이 연속되게 배치구성할 수도 있음이 가능하다.
초음파접합기(4)는, 상기 소재절첩기(3)에 의해 반으로 절첩된 대상소재(f-2)의 그 하부를 접합시켜 접힘부와 더불어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도록 2차 가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0 내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3) 일측에 연이어 배치되는 접합기본체(41)와, 상기 소재절첩기(3)로부터 낙하 공급된 대상소재(f-2)들을 공정방향으로 개별이송시키는 이송부(42)와, 상기 이송부(42)에 의해 개별로 이송되는 대상소재(f-2)의 이동정지를 통해 공정수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승강판(43)과, 상기 승강판(43)에 의해 이동정지된 대상소재(f-2)를 일측으로 밀어붙여 공정수행의 정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보정판(44)과, 상기 위치보정판(44)에 의해 정위치에 배치된 상기 대상소재(f-2)를 위에서 가압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착플레이트(45)와, 상기 압착플레이트(45)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소재(f-2)의 하단부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압착으로 초음파접착(超音波接着, ultrasonic bonding)이 이루어지도록 한 초음파헤드(46)로 구성된다.
상기 접합기본체(41)에는, 대상소재(f-2)가 안착된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원활히 이송되도록 함에 더해 상기 초음파헤드(46) 하강에 의한 상기 대상소재(f-2)의 프레싱 가공이 가능토록 한 제4가이드테이블(411)이 구비되고,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411)의 상단 일측 가장자리에는 상기 위치보정판(44)에 의해 정위치에 배치되도록 일측으로 밀려나는 대상소재(f-2)의 이동제한을 위한 지지부재(412)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이송부(42)는, 모터 등과 같은 동력장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기어(420)가 각각 축결합된 복수의 구동샤프트(421)와, 복수의 상기 구동샤프트(421)를 연이어 두르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구동기어(420)에 의해 무한궤도로 회전구동하여 상기 소재절첩기(3)로부터 낙하된 대상소재(f-2)들을 공정진행방향으로 정밀한 속도로 이송시켜주는 타이밍벨트(422)로 구성된다.
상기 타이밍벨트(422)의 외둘레면에는, 대상소재(f-2)를 공정진행방향으로 밀어내어 정밀한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한 간섭돌기(422-1)가 일정간격마다 다수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승강판(43)은,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411)의 하측에 근접배치되는바, 그 상단에는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상승시 상기 이송부(42)에 의해 이송되는 대상소재(f-2)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 하나 이상의 이송제한봉(431)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상기 위치보정판(44)은, 실린더(도시하지 않음)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411) 상에 배치되는바, 상기 이송부(42)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승강판(43)에 의해 이동정지된 대상소재(f-2)를 일측으로 밀어붙여 일측단이 상기 지지부재(412)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대상소재(f-2)가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압착플레이트(45)는, 실린더(450)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바, 상기 로드 진출에 따른 하강시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411)과의 밀착으로 제4가이드테이블(411) 상의 정위치에 배치된 대상소재(f-2)가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초음파헤드(46)는, 실린더(460)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바, 상기 로드 진출에 따른 하강시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411)과의 밀착으로 제4가이드테이블(411) 상에 배치되고 상기 압착플레이트(45)에 의해 위치고정된 대상소재(f-2)의 하단부가 접합될 수 있다.
소재절단기(5)는, 상기 외형재단기(2) 및 소재절첩기(3)에 의해 가공되는 소재 중 상기 소재절첩기(3)에 의해 초음파접합기(4) 측으로 낙하된 대상소재(f-2)를 제외한 잔여소재(f-3)를 절단하여 폐기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3)의 일측에 연이어 배치되는 절단기본체(51)와, 상기 소재절첩기(3)를 통과하는 잔여소재(f-3)를 임의길이로 잘라낼 수 있도록 간헐적 승강작동을 하는 제2커터(52)와, 공정진행 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잔여소재(f-3)의 이송을 돕는 가이드롤(53)로 구성된다.
상기 절단기본체(51)에는, 상기 소재절첩기(3)의 제3가이드테이블(311)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소재절첩기(3)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를 떠받쳐 원활히 이송되도록 하는 동시에 잔여소재(f-3)의 프레싱 가공이 가능토록 한 제5가이드테이블(511)이 구성되어 있다.
참고로, 상기 초음파접합기(5)의 공정진행방향 외측에 별도의 이송장치(이송컨베이어 등)를 더 설치하여, 지금까지 설명한 각 공정을 거쳐 완성제조된 L홀더(h)를 정해진 경로로 이송시켜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방법의 공정단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도로써,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A)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B)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준비된 원소재(f-1)를 권출 이송시켜 다음공정으로 공급하는 소재공급단계(S100)와, 상기 원소재공급단계(S100)를 통해 권출 이송되는 원소재(f-1)를 미리 정한 형태로 재단하고 그렇게 재단된 대상소재(f-2)의 중앙에 절첩선을 절곡형성하는 외형재단단계(S200)와, 상기 외형재단단계(S200)에 의해 1차 가공된 상기 대상소재(f-2)를 잔여소재(f-3)로부터 분리 및 반으로 절첩 후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소재절첩단계(S300)와, 상기 소재절첩단계(S300)에 의해 반으로 접힌 대상소재의 하부를 초음파접착하여 접힘부와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도록 하는 초음파접합단계(S400)와, 대상소재(f-2) 이외의 잔여소재(f-3)를 임의길이로 절단하는 소재절단단계(S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초음파접합단계(S400)에 의한 2차 가공을 끝으로 완성제조된 제품을 별도의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정해진 경로로 최종 이송시키는 제품회수단계(S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재공급단계(S100)는, 별도의 전용 압출기를 이용한 연속성형에 의해 정해진 폭과 임의의 길이를 가지며 두루마리식으로 권취된 롤 형태의 상기 원소재(f-1)를 다음공정의 경로로 지속해서 공급시켜주기 위한 공정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L홀더 제조장치(A) 중 소재공급기(1) 작동에 따라 롤 형태의 원소재(f-1)를 권출 후 상기 외형재단기(2)로 계속해서 이송시켜주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외형재단단계(S200)는, 상기 소재공급기(1)를 통해 공급되는 원소재(f-1)를 L홀더 제조에 필요한 전개도의 형태로 1차 가공하기 위한 공정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L홀더 제조장치(A) 중 외형재단기(2)가 상기 원소재(f-1)를 미리 정한 형태로 재단하여 L홀더의 전개도가 되는 대상소재(f-2)가 형성되도록 함에 더하여 그렇게 재단된 상기 대상소재(f-2)의 중앙에 절첩선을 절곡형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소재절첩단계(S300)는, 상기 외형재단기(2)에 의해 1차 가공된 대상소재(f-2)를 반으로 접어 서류를 내부에 끼워넣을 수 있는 홀더의 구조달성을 위한 공정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L홀더 제조장치(A)의 소재절첩기(3)가 상기 대상소재(f-2)를 잔여소재(f-3)로부터 분리해 냄과 동시에 반으로 절첩시키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초음파접합단계(S400)는, 상기 소재절첩기(3)에 의해 반으로 절첩된 대상소재(f-2)의 그 하단부를 접합시켜 접힘부와 더불어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도록 2차 가공하기 위한 공정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L홀더 제조장치(A) 중 초음파절합기(4)가 상기 대상소재(f-2)의 하단부를 초음파접합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소재절단단계(S500)는, 상기 외형재단기(2) 및 소재절첩기(3)에 의해 가공되는 소재 중 상기 소재절첩기(3)에 의해 초음파접합기(4) 측으로 낙하된 대상소재(f-2)를 제외한 잔여소재(f-3)를 절단하여 폐기가 용이토록 하기 위한 공정으로써, 본 발명의 상기 L홀더 제조장치(A) 중 소재절단기(5)가 상기 대상소재(f-2) 이외의 잔여소재(f-3)를 임의길이로 절단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제품회수단계(S600)는, 상기 공정단계의 수행을 통해 최종적으로 완성된 제품을 정해진 경로로 이송시켜 회수하기 위한 공정으로써,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송컨베이어 등과 같이 각종 물품을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는데 사용하는 별도의 이송장치를 상기 소재절단기(5)의 공정진행방향 외측에 근접배치시켜 상기 소재절단기(5)를 통과하는 제품의 수집 및 그렇게 수집된 제품들을 정해진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미 설명부호, (c)는 상기 외형재단기의 재단기본체, 소재절첩기의 절첩기본체, 그리고 상기 소재절단기의 절단기본체에 설치하여 각 기기의 구동설정 및 조작을 위한 컨트롤러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A)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B)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원소재(f-1)는 롤 형태로 제공되기 이전에 별도의 인쇄공정을 통해 각종 이미지나 문구 또는 라벨 등이 바탕(표면)에 프린팅될 수 있다. 또한, 각 공정을 거치는 과정에서 상기 원소재(f-1), 대상소재(f-2), 잔여소재(f-3)로 구분 명시될 수 있다.
먼저, 상기와 같이 롤 형태로 제공된 원소재(f-1)를 소재공급기(1)의 롤축(12)에 장착한 후 풀어낸 선단을 잡아끌어 상기 제1가이드롤(133)과 제1가이드테이블(131)을 경유 후 상기 피딩부(13)를 통과하도록 하고, 이어서 외형재단기(2)의 급지부(22)의 제2가이드롤(222)과 급지롤(221)을 통과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피딩부(13)에 의해 상기 급지부(22)로 권출 이송되는 원소재(f-1)는, 상기 피딩부(13)의 피딩롤(132)의 회전수와 상기 급지롤(221)의 회전수에 따라 아래로 처지는바, 이는 상기 외형재단기(2)의 재단기본체(21) 일측 하부에 구비된 제1감지센서(24)가 지속적으로 감지하게 되고 적정이 과다하거나 부족할 경우 상기 피딩롤(132)의 회전수를 자동으로 조절하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급지부(22)로 이송될 때의 원소재(f-1) 이송속도 및 이송장력이 적절히 유지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각 기기들을 구동시켜 상기 원소재(f-1)가 소재공급기(1)의 상기 피딩부(13)에 의해 권출됨과 동시에 상기 외형재단기(2)의 급지부(22)에 의해 상기 외형재단기(2), 소재절첩기(3), 소재절단기(5)로 이어지는 공정진행방향으로 계속적인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원소재(f-1)의 가공을 통한 L홀더(h)의 제조공정이 진행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재공급기(1)의 피딩부(13)로부터 권출 이송되어 상기 급지부(22)를 지나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송(소재공급단계 : S100)되는 원소재(f-1)는 상기 외형재단기(2)의 상측에 설치된 커터헤드(23)의 승강작동에 의한 프레싱 가압에 의해 L홀더의 제조대상이 되는 전개도형태의 대상소재(f-2)로 가공되는바, 상기 커터헤드(23) 하강으로 상기 커터헤드(23) 하측에 구비된 커터베이스(231)가 동시 하강하게 되고 상기 커터베이스(231)의 하측에 부착된 마감시트(232)가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원소재(f-1)를 가압하는 과정에서의 밀착압력에 의해 두께가 축소(수축)되는 현상으로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커터베이스(231)의 제1커터(231-1)와 절곡편(231-2)에 의해 재단되고 그렇게 재단된 대상소재(f-2)의 중앙에 절첩선이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원소재(f-1)에는 일정한 범위마다 표식이 되어 있는바, 이러한 표식을 상기 외형재단기(2)의 재단기본체(21) 상측에 구비된 제2감지센서(25)가 감지하면 상기 급지부(22)의 구동이 자동중되고 그로써 원소재(f-1)의 이송이 간헐적으로 정지케 되는 것에 의해 각 공정마다에서의 소재 가공이 가능케 된다.
계속해서, 상기 외형재단기(2)에 의한 1차 가공에 따라 원소재(f-1)의 내측으로 대상소재(f-2)가 재단되고 그에 따라 잔여소재(f-3)가 주변에 형성되는 것이며, 진행방향으로 잔여소재(f-3)의 이송이 이어지게 되는 것에 의해 상기 잔여소재(f-3) 내측에 형성된 대상소재(f-2)가 이탈방지된 상태로 잔여소재(f-3)와 함께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이송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외형재단기(2)를 통과한 원소재(f-1)는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소재절첩기(3)로 이송된 후 반으로 접히게 되는바,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재절첩기(3)의 절첩기본체(31) 상측의 상부프레임패널(312)에 설치된 압착헤드(32)가 하강하여 제3가이드테이블(311)과 밀착되는 것에 의해 유동이 방지되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프레임패널(312)에 더 설치된 승강체(33)가 하강하여 상기 승강체(33)의 압착롤(331)이 회전체(34) 상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대상소재(f-2)의 양측 가장자리가 가압된 상태에서 상기 회전체(34)의 회전롤(341)들이 회전구동케 되는 것에 의해 대상소재(f-2)의 양측이 상호 동일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체(33)의 절곡헤드(333)가 더 하측으로 하강하여 대상소재(f-2)의 절첩선을 아래로 가압하게 되는 것에 의해 반으로 절첩됨과 동시에 상기 회전롤(341)들 회전에 따라 아래로 낙하 후 초음파접합기(4)로 이송되는 것이다(소재절첩단계 : S300).
이에 따라, 상기와 같이 반으로 절첩된 상태로 낙하된 대상소재(f-2)는 상기 초음파접합기(4)의 이송부(42)에 의해 다음공정 경로로 개별이송되는 것이며, 이러한 이송에 따라 적정위치로 도달하고 별도의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가 이를 감지하게 되면,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지센서에 의해 제4가이드테이블(411) 하측에 배치되어 있던 승강판(43)이 상승하게 되고 상기 승강판(43) 상단으로부터 돌출된 이송제한봉(431)에 의해 상기 대상소재(f-2)의 이동이 정지될 수 있다.
이후,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위치보정판(44)이 대상소재(f-2)를 일측으로 밀어붙여 상기 대상소재(f-2)의 일측 끝단이 지지부재(412)에 밀착되는 것에 의해 정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착플레이트(45)가 제4가이드테이블(411)과 밀착하도록 하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대상소재(f-2)의 유동이 방지된 상태에서,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초음파헤드(46)가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411)과 밀착하도록 하강하는 것에 따라 반으로 절첩된 대상소재(f-2)의 하단부가 초음파접합되고, 그로써 결국 L형으로 접힘부와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L홀더(h)의 제작이 완료된다(초음파접합단계 : S400).
마지막으로, 상기 소재절첩기(3)에 의해 대상소재(f-2)가 분리된 소재의 나머지부분이 되는 잔여소재(f-3)는 진행공정방향을 따라 계속적으로 이송되고 상기 소재절단기(5)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소재절단기(5)의 제2커터(52)의 간헐적 승강작동에 의해 임의길이로 절단됨에 따라 폐기처리를 위한 회수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소재절단단계 : S500).
부가적으로, 이송컨베이어 등과 같이 각종 물품을 다른 위치로 이송시키는데 사용하는 별도의 이송장치에 의해 제품이 수집되고 그렇게 수집된 제품들을 정해진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에 의해 완제품을 최종적으로 회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제품회수단계 : S600).
정리하자면, 본 발명에 따른 L홀더 제조장치(A)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B)에 의하면, 별도의 공정을 통해 원소재를 낱장으로 가공한 후 다음공정을 수행을 위한 제조장치로 공급하는 것이 아니라, L홀더 제조를 위한 공정을 단일시스템(장치)을 이용하여 다이렉트 및 원스톱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L홀더(h) 제조공정의 수행이 가능케 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A : L홀더 제조장치, B : L홀더 제조방법
1 : 소재공급기, 2 : 외형재단기
3 : 소재절첩기, 4 : 초음파접합기
5 : 소재절단기, 11 : 공급기본체
12 : 롤축, 13 : 피딩부
21 : 재단기본체, 22 : 급지부
23 : 커터헤드, 24 : 제1감지센서
25 : 제2감지센서, 31 : 절첩기본체
32 : 압착헤드, 33 : 승강체
34 : 회전체, 41 : 접합기본체
42 : 이송부, 43 : 승강판
44 : 위치보정판, 45 : 압착플레이트
46 : 초음파헤드, 51 : 절단기본체
52 : 제2커터, 53 : 제3가이드롤
111 : 조립측판, 112 : 지지대
131 : 제1가이드테이블, 132 : 피딩롤
133 : 제1가이드롤, 211 : 제2가이드테이블
221 : 급지롤, 222 : 제2가이드롤
230, 320, 330, 450, 460 : 실린더, 231 : 커터베이스
231-1 : 제1커터, 231-2 : 절곡편
232 : 마감시트, 232-1 : 출입홈
311 : 제3가이드테이블, 312 : 상부프레임패널
331 : 압착롤, 332 : 서스펜션
333 : 절곡헤드, 341 : 회전롤
342 : 회동기어, 343 : 연동기어
411 : 제4가이드테이블, 412 : 지지부재
420 : 구동기어, 421 : 구동샤프트
422: 타이밍벨트, 422-1 : 간섭돌기
511 : 제5가이드테이블, 431 : 이송제한봉
S100 : 소재공급단계, S200 : 외형절단단계
S300 : 소재절첩단계, S400 : 초음파접합단계
S500 : 소재절단단계

Claims (15)

  1. 롤 형태로 준비된 원소재의 장착 및 장착된 상기 원소재를 권출시켜 다음공정의 경로로 공급하는 소재공급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공급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공급기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상기 원소재를 미리 정한 형태로 재단 및 재단된 대상소재의 중앙에 절첩선이 절곡형성되도록 1차 가공하는 외형재단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외형재단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외형재단기에 의해 1차 가공된 상기 대상소재를 반으로 접어 다음공정의 경로로 이송하는 소재절첩기;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 일측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절첩기에 의해 반으로 절첩 이송되는 상기 대상소재의 하단부를 접합시켜 접힘부와 상기 하단부가 막힌 상태가 되도록 2차 가공하는 초음파접합기; 및,
    공정진행방향을 따르는 상기 소재절첩기 일측에 더 배치된 상태로, 상기 소재절첩기를 통과하는 잔여소재를 임의길이로 절단하는 소재절단기;로 구성되고,
    상기 소재공급기는, 상기 원소재가 수용되는 공급기본체와, 롤 형태의 상기 원소재 장착 및 권출을 위해, 상기 공급기본체에 자전 가능한 상태로 힌지결합된 롤축과, 상기 공급기본체에 더 구비된 상태로, 상기 원소재를 권출시켜 다음공정의 경로로 이송하는 피딩부로 구성되며,
    상기 외형재단기는, 재단기본체와, 상기 재단기본체 일측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소재공급기로부터 상기 원소재의 공급을 이어받아 공정진행 경로로 이송을 이어가는 급지부와, 상기 재단기본체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의 승강작동에 따라, 상기 급지부를 통과하는 상기 원소재를 재단하여 상기 대상소재가 형성되도록 하고 그렇게 재단된 상기 대상소재의 중앙에 절첩선을 절곡형성하는 커터헤드로 구성되고,
    상기 커터헤드는, 실린더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재단기본체 상측에 연계설치되고,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하강시 상기 원소재를 가압하여 미리 정한 형태로 1차 가공하기 위한 제1커터 및 절곡편이 하단에 돌출형성된 커터베이스와, 상기 커터베이스 저면에 부착구비된 상태로, 상기 커터베이스 하강시 상기 원소재와의 밀착으로 상기 원소재가 위치고정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커터 및 절곡편의 노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마감시트로 구성되며,
    상기 소재절첩기는, 절첩기본체와, 상기 절첩기본체 상측에 설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한편, 하강시 상기 잔여소재를 가압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착헤드와, 상기 절첩기본체 상측에 더 설치된 상태로 승강작동하는 한편, 하강시 상기 잔여소재에 내측에 위치한 상기 대상소재를 분리해 냄과 동시에 반으로 접어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승강체 및 회전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접합기는, 접합기본체와,
    상기 소재절첩기로부터 낙하된 상기 대상소재들을 공정방향으로 개별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개별이송되는 상기 대상소재의 이동정지를 통해 공정수행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승강판과,
    상기 승강판에 의해 이동정지된 상기 대상소재를 일측으로 밀어붙여 공정수행의 정위치에 배치시키는 위치보정판과,
    상기 위치보정판에 의해 정위치에 배치된 상기 대상소재를 가압하여 유동이 방지되도록 하는 압착플레이트와,
    상기 압착플레이트에 의해 위치고정된 상기 대상소재의 하단부에 초음파 진동을 가하는 압착으로 초음파접착되도록 한 초음파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절단기는, 절단기본체와,
    상기 소재절첩기를 통과하는 상기 잔여소재를 임의길이로 잘라낼 수 있도록 간헐적 승강작동을 하는 제2커터와,
    상기 잔여소재의 이송을 돕는 가이드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상기 롤축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피딩부에 의해 권출되는 상기 원소재의 처짐을 방지하는 제1가이드테이블과,
    상기 원소재를 끌어당겨 권출시키기 위해 상호 맞대응 회전구동하는 한 쌍의 피딩롤과,
    상기 피딩롤들에 의해 권출되는 상기 원소재의 이송을 안내하는 하나 이상의 제1가이드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지부는, 상기 소재공급기로부터 권출 이송되는 상기 원소재를 끌어당겨 공정진행방향으로 이송을 이어가기 위해 서로 맞대응 회전구동하는 한 쌍의 급지롤과,
    상기 급지롤들에 의한 상기 원소재의 이송을 안내하는 다수의 제2가이드롤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기본체에는, 재단기본체의 제2가이드테이블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구성됨으로써 재단기본체를 통해 공급되는 소재를 떠받쳐 원활히 이송되도록 하는 제3가이드테이블과, 상기 제3가이드테이블 상측으로 상기 압착헤드와 승강체가 견인설치되는 상부프레임패널이 더 형성되고,
    상기 승강체는, 실린더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3가이드테이블과 상기 상부프레임패널 사이 공간 중앙에 배치구성되는 한편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하강시 상기 회전체에 밀착된 상태로 무부하 대응회전을 이루는 복수의 압착롤과,
    상기 압착롤의 조립결합과 더불어, 하강하는 상기 압착롤이 상기 회전체에 밀착될 때의 완충작용을 위한 서스펜션과,
    상기 로드 진출에 따른 하강시, 상기 대상소재의 절첩선을 아래로 가압하여 상기 대상소재가 반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절곡헤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는, 한 쌍의 회전롤과,
    상기 회전롤들이 서로 반대되는 대응회전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 서로 맞물림 회전하는 회동기어와 연동기어가 상기 회전롤 각각의 동일위치에 축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12.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기본체에는, 대상소재가 안착된 상태로 공정진행방향을 따라 원활히 이송되도록 함에 더해 상기 초음파헤드 하강에 의한 상기 대상소재의 프레싱 가공이 가능토록 한 제4가이드테이블이 더 구비되고,
    상기 승강판은, 실린더 로드의 진퇴작용에 따라 상,하 이동 가능한 상태로 상기 제4가이드테이블의 하측에 근접배치되고,
    상기 로드 진출에 의한 상승시,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대상소재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한 하나 이상의 이송제한봉이 상단으로부터 돌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시트는, 신축성을 가진 소재로써,
    상기 제1커터 및 절곡편의 내재수용과 더불어, 상기 원소재와의 밀착압력에 의한 두께 축소시 상기 원소재의 재단 및 절곡을 위한 상기 제1커터와 절곡편의 외부돌출을 가능케 하는 출입홈이 절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L홀더 제조장치.
  14. 삭제
  15. 삭제
KR1020170020958A 2017-02-16 2017-02-16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Active KR101937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58A KR101937554B1 (ko) 2017-02-16 2017-02-16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0958A KR101937554B1 (ko) 2017-02-16 2017-02-16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09A KR20180094609A (ko) 2018-08-24
KR101937554B1 true KR101937554B1 (ko) 2019-01-10

Family

ID=634544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0958A Active KR101937554B1 (ko) 2017-02-16 2017-02-16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705B1 (ko) * 2018-11-02 2019-04-25 (주)휴플러스 인쇄부가 형성되는 바인더 제조장치
CN110130007B (zh) * 2019-05-16 2023-11-14 奥美医疗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医用腹部片在线缝制医带的设备及方法
CN114425863B (zh) * 2022-01-25 2024-03-22 广东宝佳利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镀铝膜高阻隔型包装袋的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752A (ja) * 2011-08-17 2013-02-28 Nippon Future Co Ltd プラスチックシート小型溶着器
JP2014198456A (ja) 2013-03-13 2014-10-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クリアファイ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6102009A (ja) * 2014-11-28 2016-06-02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39752A (ja) * 2011-08-17 2013-02-28 Nippon Future Co Ltd プラスチックシート小型溶着器
JP2014198456A (ja) 2013-03-13 2014-10-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クリアファイル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6102009A (ja) * 2014-11-28 2016-06-02 ニスカ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4609A (ko) 2018-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18416B2 (ja) カウンタエゼクタ及び製函機
JP5473138B2 (ja) カウンタエジェクタ
CN112262030A (zh) 包装机进给、分离和压痕机构
KR101937554B1 (ko) L홀더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l홀더 제조방법
AU2003203466A1 (en) A system for turning over stacks of material in sheet form
EP2508353A2 (de) Maschine zum Herstellen von Büchern, insbesondere Fotobüchern und/oder Bildbänden
KR102033737B1 (ko) 스테치와 풀접착시 폭 조정이 가능한 체인식 박스제작 기계장치
TW201829163A (zh) 波紋滾筒單元搬送裝置與波紋滾筒單元之更換裝置及方法
CN105690860A (zh) 一种全自动纸箱生产设备
WO2014177030A1 (zh) 一种开卷落料方法
EP3023240B1 (en) Box-making machine with a squaring device in a counter ejector
US20190134840A1 (en) Device for carrying out cutting operations on open format edges of a printed product
CN107934020A (zh) 覆膜机
JPH0435895A (ja) シート積み上げ装置
JP6691362B2 (ja) コイル材搬送装置、プレスシステム、およびコイル材搬送方法
CN109159475B (zh) 箱体输送线、包装箱组装设备及箱体预处理方法
CN109159476B (zh) 包装箱组装装置
KR100711195B1 (ko) 급지 및 절취수단을 갖는 라미네이팅 장치
KR102101294B1 (ko) 면봉 포장 가압 이송장치
CN1550321A (zh) 单张工件的冲切组件及折迭组件
CN115107316A (zh) 一种自动堆码的纸箱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CN114906654A (zh) 全自动褶皱纸复卷机构
CN210553345U (zh) 一种折纸裁切装置
CN211186000U (zh) 一种环形带制带装置和加工设备
JP2018138481A (ja) シート供給装置及び製函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05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