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4466B1 -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4466B1 KR101934466B1 KR1020140035126A KR20140035126A KR101934466B1 KR 101934466 B1 KR101934466 B1 KR 101934466B1 KR 1020140035126 A KR1020140035126 A KR 1020140035126A KR 20140035126 A KR20140035126 A KR 20140035126A KR 101934466 B1 KR101934466 B1 KR 101934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battery
- motor
- voltage
- genera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38000011067 equilib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07 flux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1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는 제1 모터발전기(121) 및 제2 모터발전기(122)가 회전축(123)을 통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모터발전기(121) 및 제2 모터발전기(122)가 각각의 기어(121a, 121b)를 통해 직접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모터발전기(121) 및 제2 모터발전기(122)가 벨트(124)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10 : 교류 전력 공급부
120 : 전력변환부
121 : 제1 모터발전기 121a : 제1 기어
122 : 제2 모터발전기 122a : 제2 기어
123 : 회전축 123a : 제2 기어
124 : 벨트
130 : 제어부
140 : 배터리
141 :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142-1 : 제1 스위치 143-1 : 제2 스위치
142-2 : 제1 스위치 143-2 : 제2 스위치
142-n : 제1 스위치 143-n : 제2 스위치
150 : 제어스위치
160 : 저항부
Claims (22)
-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배터리에 교류(Alternating Current; AC) 전력을 공급하는 교류 전력 공급부;
상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력변환부;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전압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전력변환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일부에 전압편차가 발생하여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낮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력변환부를 통해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상기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낮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셀에 공급하고, 또한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높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높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셀의 +극과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극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온(On)시킴으로써,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높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배터리 셀을 통해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제2 모터 발전기를 회전시키며, 그에 따라 회전되는 제1 모터 발전기를 통해 생성되는 교류 전력이 상기 교류 전력 공급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도록 제어스위치를 온(On)시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평형화(Equilibration)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극과 상기 전력변환부의 +극 사이에 연결되는 제1 스위치; 및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극과 상기 전력변환부의 -극 사이 및 외부 접지부와 연결되는 제2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극과 연결된 각각의 상기 제1 스위치는,
서로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전력변환부의 +극과 연결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극과 연결된 각각의 상기 제2 스위치는,
서로 병렬 연결되어 상기 전력변환부의 -극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변환부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 제1 모터발전기 및 제2 모터발전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터발전기는 상기 교류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통해 작동되는 교류 모터발전기에 해당하고,
상기 제2 모터발전기는 상기 제1 모터발전기의 작동에 의하여 작동되며 직류 전력을 발전하는 직류 모터발전기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터발전기는,
회전축, 하나 이상의 기어 또는 하나 이상의 벨트 중 하나 이상을 통해 서로 상응하게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모터발전기는,
서로 절연된 상태에 해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삭제
- 삭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중에서 전압상태가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낮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저압 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저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1 스위치를 온(On) 시키고, 또한 상기 저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 전력 공급부와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온(On) 시켜 교류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제1 모터발전기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회전되는 제2 모터발전기를 통해 생성되는 직류 전력이 상기 저압 셀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저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중에서 전압상태가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높은 전압 상태에 해당하는 고압 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고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상기 고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온(On)시킴으로써 상기 직류 전력이 상기 저항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 제어부에서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의 전압상태에 대한 전압편차를 체크하는 단계;
교류 전력 공급부에서 전력변환부에 교류(Alternating Current; AC)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
전력변환부에서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직류 전력을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에 공급하여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평형화(Equilibration)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이용하여 제2 모터발전기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회전되는 제1 모터 발전기를 통해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을 평형화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모터 발전기를 통해 변환된 교류 전력이 교류 전력 공급부를 통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도록 제어스위치를 온(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편차를 체크하는 단계는,
제어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의 평균 전압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제어부에서 상기 평균 전압값과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이 가지는 전압값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값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는,
제어부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각각의 전압상태를 고압상태 또는 저압상태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값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중에서 전압상태가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높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고압 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고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상기 고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값을 비교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중에서 전압상태가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낮은 전압상태에 해당하는 저압 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저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상기 저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온(On)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거나, 또는 직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는,
교류 전력 공급부와 연결된 제어스위치를 온(On) 시켜 교류 전력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력을 이용하여 제1 모터발전기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회전되는 제2 모터발전기를 통해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저항부를 통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 전력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력을 제거하는 단계는,
상기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 중에서 전압상태가 타 배터리 셀에 비해 높은 전압 상태에 해당하는 고압 셀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고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1 스위치 및 상기 고압 셀의 -극과 연결된 제2 스위치를 온(On)시킴으로써 상기 직류 전력이 상기 저항부에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126A KR101934466B1 (ko) | 2014-03-26 | 2014-03-26 |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35126A KR101934466B1 (ko) | 2014-03-26 | 2014-03-26 |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1606A KR20150111606A (ko) | 2015-10-06 |
KR101934466B1 true KR101934466B1 (ko) | 2019-01-02 |
Family
ID=54344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35126A Active KR101934466B1 (ko) | 2014-03-26 | 2014-03-26 |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446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050572A (ko) * | 2017-11-03 | 2019-05-13 | 주식회사 카리스 | 에너지 저장장치를 이용한 발전시스템 |
KR102464670B1 (ko) * | 2021-09-06 | 2022-11-09 |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터리 셀의 균등화 충전장치 및 방법 |
KR102495098B1 (ko) * | 2022-03-21 | 2023-02-06 | 이승권 | 유기전류세기 선택기능을 갖는 순차 독립 발전형 발전장치를 이용한 배터리 클러스터링 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9589B1 (ko) * | 2009-03-03 | 2010-07-12 | 대호전자(주) | 급속 충전용 배터리 모듈 관리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116589B2 (ja) * | 2004-05-14 | 2008-07-09 | パナソニックEvエナジー株式会社 | 容量均等化装置 |
KR20060040055A (ko) * | 2004-11-04 | 2006-05-10 | 주용기 | 전기엔진 |
KR101241237B1 (ko) * | 2010-12-22 | 2013-03-14 | (주)엠피에스코리아 | 전기 이중층 콘덴서를 이용한 회생 제동 장치 |
US9318910B2 (en) * | 2012-09-06 | 2016-04-19 | Samsung Sdi Co., Ltd. | Cell balancing circuit and cell balancing method using the same |
-
2014
- 2014-03-26 KR KR1020140035126A patent/KR101934466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9589B1 (ko) * | 2009-03-03 | 2010-07-12 | 대호전자(주) | 급속 충전용 배터리 모듈 관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1606A (ko) | 2015-10-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367258B1 (en) | A combined battery charger and battery equalizer | |
WO2014141487A1 (ja) | 無停電電源装置 | |
US10312789B2 (en) | Electrical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 |
JP6346887B2 (ja) | バッテリの充電平衡 | |
JP2014003771A (ja) | 電源装置 | |
RU2010148553A (ru) | Система аккумулирования электроэнергии, которая максимизирует использование возобновляемой энергии | |
WO2016121273A1 (ja) | 電力制御装置、電力制御方法及び電力制御システム | |
KR20120096060A (ko) | 풍력 기반 부하 분리 전기 충전 시스템 | |
US10050509B2 (en) | Electrical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 |
EP3607627B1 (en) | High efficiency electric power generation and charging system | |
KR101934466B1 (ko) |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 |
US10547179B2 (en) | High efficiency electric power generation and charging system | |
CN105209287A (zh) | 电能储存以及电力管理系统 | |
KR20080040579A (ko) | 잠수함 | |
US10826371B2 (en) | Electrical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 |
KR101579647B1 (ko) | 모터와 발전기를 이용한 배터리 평형화 장치 및 방법 | |
KR102637683B1 (ko) | 전력 생성 및 분배 | |
US11760212B1 (en) | Electrical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 |
CN107078530B (zh) | 改进的双蓄电池组件 | |
WO2019135789A1 (en) | Electrical power generation and distribution | |
KR101576249B1 (ko) | 디지털 제어를 통한 배터리의 고효율 다중 충전기 시스템 | |
RU2796080C1 (ru) | Генерация и распределение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ощности | |
JP2007209092A (ja) | 蓄電システム | |
KR20140117735A (ko) | 회생발전을 이용하는 배터리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326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3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403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02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2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2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