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3898B1 - 염도(鹽度)와 신도(辛度)를 낮춘 배추김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염도(鹽度)와 신도(辛度)를 낮춘 배추김치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3898B1 KR101923898B1 KR1020170009545A KR20170009545A KR101923898B1 KR 101923898 B1 KR101923898 B1 KR 101923898B1 KR 1020170009545 A KR1020170009545 A KR 1020170009545A KR 20170009545 A KR20170009545 A KR 20170009545A KR 101923898 B1 KR101923898 B1 KR 10192389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kimchi
- chinese cabbage
- taste
- fermentation
- cabbage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21109 kimchi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6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5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5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2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39000001511 capsicum annuum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40000002234 Allium sativ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5000004611 garlic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5000019600 saltiness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YKPUWZUDDOIDPM-SOFGYWHQSA-N 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1O YKPUWZUDDOIDPM-SOFGYWHQSA-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17663 capsaicin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9
- 229960002504 capsaicin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5554 pick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XJQPQKLURWNAAH-UHFFFAOYSA-N dihydro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1O XJQPQKLURWNAA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RBCYRZPENADQGZ-UHFFFAOYSA-N dihydrocapsaicin Natural products COC1=CC(COC(=O)CCCCCCC(C)C)=CC=C1O RBCYRZPENADQG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267 bri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938 salt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HPALAKNZSZLMCH-UHFFFAOYSA-M sodium;chloride;hydrate Chemical compound O.[Na+].[Cl-] HPALAKNZSZLMCH-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3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08000005156 Dehydra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5000019633 pungent tast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abstract 1
- 235000014659 low sodium diet Nutrition 0.000 abstract 1
- 239000008267 milk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10000004080 milk Anatomy 0.000 abstract 1
- 235000013336 milk Nutrition 0.000 abstract 1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0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9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5
- 241001454694 Clupe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513 anchovy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05 sweet taste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5000019647 acidic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WCUXLLCKKVVCTQ-UHFFFAOYSA-M Potass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Cl-].[K+] WCUXLLCKKVVCTQ-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654 immer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3
- DGAQECJNVWCQMB-PUAWFVPOSA-M Ilexoside XXIX Chemical compound C[C@@H]1CC[C@@]2(CC[C@@]3(C(=CC[C@H]4[C@]3(CC[C@@H]5[C@@]4(CC[C@@H](C5(C)C)OS(=O)(=O)[O-])C)C)[C@@H]2[C@]1(C)O)C)C(=O)O[C@H]6[C@@H]([C@H]([C@@H]([C@H](O6)CO)O)O)O.[Na+] DGAQECJNVWCQMB-PUAWFVPOSA-M 0.000 description 3
- 241001468192 Leuconostoc citreum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2130 Leuconostoc mesenteroides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4000052616 bacterial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734 s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08 s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21023 sodium intak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1474374 Blenn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4000020518 Carthamus tinctori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55 Carthamus tinctor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557 Dec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8109 developmental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64 nutr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164 potass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103 potass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 salt salt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185 salting ou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4102 sea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KLYCPFXDDDMZNQ-UHFFFAOYSA-N Benzyne Chemical compound C1=CC#CC=C1 KLYCPFXDDDMZN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1608472 Bifidobacterium long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3911 Dysgeu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9123 Fib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385 Fib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BWGVNKXGVNDBDI-UHFFFAOYSA-N Fibrin monomer Chemical compound CNC(=O)CNC(=O)CN BWGVNKXGVNDB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2605 Lactobacillus helveti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67 Lactobacillus helvetic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6024 Lactobacillus plantar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65 Lactobacillus planta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12 Lactobacillus sake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1001097860 Lithospermum erythrorhizon Phenylalanine ammonia-ly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145 Metabolic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722363 Piper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01000000690 abdominal obesity-metabolic syndrom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291 bifidobacterium long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95 br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88 br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VKZGUZCCUSVTD-UHFFFAOYSA-N carbonic acid Chemical compound OC(O)=O BVKZGUZCCUSVT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4 depress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8 dipp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50003499 fib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96 gastr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4346 lactobacillus helvetic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205 lactobacillus plantarum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85 liver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755 minera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7 poultry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5 sal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50 salt effec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77 scor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5 sensatio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046 side d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 A23B7/105—Leaf vegetables, e.g. sauerkraut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5—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2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by pickling, e.g. sauerkraut or pickl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31—Leuconostoc
- A23V2400/315—Citreu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31—Leuconostoc
- A23V2400/321—Mesenteroides
-
- A23Y2260/21—
-
- A23Y2260/3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torage Of Fruits Or Vege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를 비롯하여 매운 맛에 익숙치 않은 외국인 그리고 위장관등의 질병으로 인한 저염식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적합한 염도(鹽度)와 신도(辛度)를 낮춘 배추김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조한 배추 김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김치 고유의 발효의 결과로 나타나는 김치 고유의 신맛, 단맛, 시원함, 감칠 맛들이 함께 어울러지면서 약간의 익숙치 않은 사람도 부담이 없는 정도의 매운 맛도 잔류시킨 배추 김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을 이루고자 본 발명은 배추를 염수로 절이는 절임 단계,
절여진 배추를 수세한 후 탈수처리하여 배추의 염농도를 조절하는 탈수 및 염농도 조절단계,
선별된 파프리카와 홍고추 그리고 마늘을 분쇄혼합하는 부재료 준비 단계,
절여진 배추와 부재료를 액젖을 첨가하면서 혼합하는 혼합단계로 이루어진 짜고 맵지 않은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더나아가서 김치 발효를 돕는 혼합균주의 배합으로 초기 발효에서 부터 발효 후기인 60일이상 이상발효가 없으면서 저염의 김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김치는 거부감이 거의 없는 매운 맛을 지니면서도, 발효김치의 고유한 신맛, 단맛 그리고 시원한 맛과 액젓의 어울림에 의한 감칠 맛들이 그대로 발휘되어 누구나 먹기 쉬우면서도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배추 김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김치 고유의 발효의 결과로 나타나는 김치 고유의 신맛, 단맛, 시원함, 감칠 맛들이 함께 어울러지면서 약간의 익숙치 않은 사람도 부담이 없는 정도의 매운 맛도 잔류시킨 배추 김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발명을 이루고자 본 발명은 배추를 염수로 절이는 절임 단계,
절여진 배추를 수세한 후 탈수처리하여 배추의 염농도를 조절하는 탈수 및 염농도 조절단계,
선별된 파프리카와 홍고추 그리고 마늘을 분쇄혼합하는 부재료 준비 단계,
절여진 배추와 부재료를 액젖을 첨가하면서 혼합하는 혼합단계로 이루어진 짜고 맵지 않은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더나아가서 김치 발효를 돕는 혼합균주의 배합으로 초기 발효에서 부터 발효 후기인 60일이상 이상발효가 없으면서 저염의 김치를 제공하게 되었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김치는 거부감이 거의 없는 매운 맛을 지니면서도, 발효김치의 고유한 신맛, 단맛 그리고 시원한 맛과 액젓의 어울림에 의한 감칠 맛들이 그대로 발휘되어 누구나 먹기 쉬우면서도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배추 김치를 개발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통상의 전통 한국의 배추 김치에 비하여 짜고 맵지 않은 배추김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맵고 짜고 자극적인 김치 맛에 길들여지지 않은 외국인과 성장기 어린이들이 김치를 접할 경우 가장 어려운 것은 매운 자극성으로 인하여 기피현상이 두드러지는 것이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고추가루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고추가루를 사용하더라도 맵지 않은 고추가루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맵지 않은 김치의 제조 방식이다.
한국 특허 공개 2003-64436호는 소금에 절인 배추에 통상의 고추가루와 마늘을 첨가하여 가공하는 김치에 있어서, 고추가루 20-40%, 파프리카 분말 80-60%의 비율로 배합된 것이 고추가루를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지 않은 김치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파프리카를 분말화하여 마치 고추가루처럼 사용한다는 것으로, 고추가루를 최저 20%를 사용하였으나, 파프리카를 건조한 경우 고추가루와 달리 김치 발효가 정상적으로 진행된다하여도 파프리카는 고추가루와 달리 거친 식감을 그대로 유지하고, 특히 색상이 탁하여 호감도를 낮추는 단점을 노출하고 있다.
한국 특허 공개 2016-129565호도 상기 특허와 유사하게 건조된 파프리카를 발효시킨 다음, 분말형태로 준비하여 고추가루를 대신하여 첨가하는 것이다. 상기 특허의 경우 파프리카를 발효처리함에 있어 발효조건에 대한 구성이 불명확하여 발효후의 파프리카 분말이 어떤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다.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파프리카의 종류도 단맛에서부터 상당히 매운맛을 갖는 다양한 것이 있음에도 정확한 설명이 부족하여 실시하기 어려운 기술로 판단된다.
앞서 지적하듯이 건조 파프리카를 고추가루처럼 사용시 가장 문제로 되는 것은, 한국산 고추가루와 달리 건조후에는 수분을 접하여도 수분의 흡수가 안되면서 팽화가 안되어 굉장히 거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파프리카를 건조시켜 고추가루 형태의 제품의 실물 사진은 아래와 표 1 과 같으며, 이를 액상젓갈 혹은 물로 버무린 상태는 표 2와 김치로서 제조한 상태은 표 3과 같다. 실물사진에 나오듯이 파프리카 입자가 거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며, 색상이 약간 거무튀튀한 상태를 보여 시식에 대한 거부감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종래 한국산 고추가 아닌 일부 수입산 고추가루를 수입하여 사용시 대단히 거칠어 식감을 해치는 단점을 노출한 것과 동일한 현상으로 파악된다. 즉, 한국산 고추와 달리 수입산 고추가루와 파프리카 가루는 김치양념과 배합하여 일정기간 숙성 발효를 거쳐도 고추가루 입자가 충분히 팽화(膨化)하지 않고 조직상태를 그대로 유지함에 따라 거친 식감을 유지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유아 청소년 그리고 외국인을 비롯한 한국인의 입맛에도 전혀 적응이 될 수 없는 단점을 노출시키면서, 파프리카를 이용한 맵지 않은 김치의 개발이 대부분 실패하고 있다.
또 다른 김치의 문제점은 소금의 농도가 높아 다른 좋은 유기산, 무기물, 유산균, 섬유소의 다양한 유익한 점에도 불구하고 과량의 염분 섭취라는 단점을 안고 있다.
세계보건기구 (WHO)의 1일 나트륨 권장량은 2g (2,000mg), 소금량으로 환산하면 22.5=5g 즉 소금량 5g (5,000mg)이 세계보건기구의 일일 권고 섭취량에 부합할 수 있는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의 하루 평균 나트륨 섭취량은 남자 2,659 mg, 여자 3,348mg 으로 세계보건기구 권고 상한치의 2배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2016년 현재 2013년 보다 나트륨 섭취량이 감소하였지만 권장량 2,000mg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국 민 영양조사에 따른 나트륨 주 급원 식품 중 김치류가 25%를 차지하고 있으며 sodium intake(mg)은 1,125mg 에 이르고 있으며, 결국 김치의 염도를 50% 이하로 낮추게 되면, 적어도 570mg 이상의 나트륨 섭취양을 줄일 수 있다고 쉽게 예측할 수 있다. 염도를 낮추기 위하여 저염으로 절이면 배추가 쉬 물러지면서 맛이 변하므로 상품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다.
본 발명은 외국인들이 흔히 접하는 샐러드와 거의 같은 수준의 상큼함과 단맛을 함께 느끼면서도, 한국 전통의 배추 김치로서의 독특한 발효에 따른 발효미, 감칠 맛과 산미(酸味) 그리고 적절한 매운 맛들을 함께 느낄 수 있는 배추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한국 전통의 젓갈을 사용하면서도 젓갈 특유의 비린 맛이나 생선의 향이 전혀 느끼지 않으면서도 젓갈 특유의 구수함, 감칠 맛 그리고 약간의 단맛 등을 함께 느껴, 외국인은 물론 유아기 와 초등 어린이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배추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전통적인 배추 김치에 비하여 염도가 낮아, 고염식으로 인한 각종 성인병의 위험에 노출된 성인 또한 위장관계에 손상이 있어 매운 맛이나 짠 맛에 노출이 되지 않아야 하는 환자를 비롯한 성인병의 발생요인이 될 수 있는 대사증후군이 예상되는 노년층에게도 유익한 배추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절임 염도가 통상의 김치보다 낮으면서도 30일 이상의 저온 저장상태에서도 배추가 물러지거나 군내가 나지 않고 김치 고유의 맛과 향을 유지할 수 있는 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배추를 일반적인 절임 농도보다 낮은 농도의 염수로 절이는 단계,
선별된 파프리카와 홍고추 그리고 마늘을 믹싱하여 분쇄하는 부재료 준비 단계,
절여진 배추와 부재료를 액젓으로 혼합하는 혼합단계로 이루어진 짜고 맵지 않은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설탕을 사용하지 않고 단맛을 제공하기 위하여 매실 엑기스를 첨가하며,
특히 초기 발효( 10일 에서 40일)에 관여하는 유산균과 초기발효후 완숙단계( 40 일에서 60 일)에 관여하는 미생물을 혼합 접종하는 배추 김치 제조 방법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더 나아가서 상기 제조 방법에 있어서,
유산균 혼합균주의 배합으로 초기 저염 절임에 따른 이상 발효를 차단하고, 염도가 낮음에 따라 발생하는 장기간 경과 후의 잡균의 번식을 차단하도록, 발효 후기까지 유산균이 성장가능한 유산균의 첨가가 된 김치 제조 방법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은 저염과 함께 신도(매운 맛)가 낮으면서도, 김치 고유의 신 맛, 발효시의 특유의 시원한 맛 그리고 장기간 경과 후에도 저염임에도 불구하고 김치가 물러지거나 급격하게 시어지면서 맛을 버리게 하는 단점을 모두 해소한 김치를 개발하였다.
국내에 거주중인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관능검사에서도 전체적인 선호도가 월등히 우세함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실험에서 이루고자 하는 짠 맛과 매운 맛을 낮추고 단 맛을 높여 기호도를 높인 결과에서도 우세함을 알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공정의 흐름도임.
이하 본 발명의 대표적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염도는 절임 배추의 세포 조직내의 염 농도와 함께 김치로 배합한 후의 김치 전체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정량 취하여 염도 측정계로 측정한 염농도를 함께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채용한 신도(辛度 = 매운 맛의 정도)는 김치의 매운 맛을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신설된 용어로서,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을 합하여 단위 ㎏ 당 함유된 양을 의미한다. 김치제조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완성된 김치내의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의 함량이 단위 ㎏당 4.0 mg 미만이면 순한 맛, 4.0 ~ 12.0 이면 보통 매운 맛, 12.0 이상이면 매운 맛으로 분류하며, 본 발명에서는 어린이 외국인이라도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매운 맛을 크게 느끼지 않는 순한 맛을 갖는 김치의 제조를 위한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홍고추란 고추를 건조하지 않은 고추인 물고추와 동일한 것으로 이하 홍고추로 통일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생물(生物) 파프리카는 건조하지 않은 생 파프리카를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적색의 색상을 갖는 생 파프리카를 사용하며, 다양한 품종과 산지별 차이점으로 인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하고 정의한 상기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배추를 염수로 절이는 절임 단계(S1),
절여진 배추를 수세한 후 탈수처리하여 배추의 염농도를 조절하는 세척 탈수 및 염농도 조절단계(S2),
선별된 파프리카와 홍고추 그리고 마늘을 분쇄혼합하는 부재료 준비 단계(S3),
절여진 배추와 부재료를 액젓을 첨가하면서 혼합하는 혼합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짜고 맵지 않은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 방법에 대하여 단계별로 설명한다.
1. 배추 절임 단계(단계1),
포기배추를 정선하여 염농도 5 ~ 7 %의 농도에서 20 내지 28 시간 침지시켜 절인다.
본 발명은 특히 20시간 이상 최대는 28 시간 절임처리하였다. 일반적인 김치의 제조에 있어, 일반적인 배추 절임 공정의 염수농도를 10에서 15 % 로 조절하여 약 10 내지 25 시간 절임처리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하듯이 염농도를 반 이상 낮추었다. 따라서 염농도가 5 % 일 경우에는 적어도 28시간 절여주며 24 시간 미만으로 절일 경우 절임이 덜되며, 7% 일 경우에는 20 시간 절여주며 20 시간보다 많게 절여주면 배추내 염농도가 목적으로한 저염 김치를 위한 농도이상으로 되어 저염배추김치 제조의 목적을 이룰 수 없다. 이러한 저염 농도에서 절임에 따라 절여진 배추의 세포 조직내의 염농도도 절반 이하로 낮추게 되면서도, 충분한 절임이 이루어져, 발효중 발생 가능한 세포내 수분의 유출에 따른 침출수의 발생현상도 막을 수 있게 되었다.
2. 탈수 및 염 농도 조절 단계(단계2)
절임이 완료된 배추는 다량의 청수(fresh water)에 침지시켜 준다. 침지 시간은 적어도 2 내지 3 분간 지속하여 표면의 염수의 제거는 물론 배추 조직내의 염이 외부로 용출토록 유도하였다. 침지가 된 후에는 다시 외부로 배출후 다시 청수를 외부에서 분무 처리하여 준다. 이러한 침지와 세척의 동작을 3 회 이상 반복한다. 가장 적합하게는 4회를 반복하였다. 배추의 종류, 즉 배추의 옆 두께, 조직의 견고성 등에 따라 절임 과정에서 염의 침투가 다르기 때문에 3 에서 4회 까지 침지세척을 반복한다. 그러나 4 회 보다 많이 할 경우 배추 조직의 물러짐이 발생할 수 있다. 침지와 세척이 된 배추는 적재용기에 적재하되, 적재하면서 배추 표면에 다시 청수를 분무하면서 적재한다. 그 이유는 잔류한 이물질의 제거는 물론 염을 낮추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적재한 배추를 4 ℃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탈수조에 적재하여, 자중에 의한 탈수를 7 내지 9시간 유지한다.
세척된 배추를 적재하면서 흐르는 청수를 분사하면서 적재함에 적재하며, 적재된 것을 4 ℃ 이하의 저온에서 7 내지 10시간 자중에 의한 탈수처리로 배추의 조직내 염도를 1.4% 이하로 낮추는 것이다.
김치를 저농도의 염수로 절인다 하여도 목적으로 하는 저염의 효과를 보다 잘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절여진 배추를 적어도 4회 청수에 전체를 담구어 2 ~ 3 분간 유지하고, 탈수하는 동작을 반복하여 배추 조직내의 염을 가능한 배출시키는 것이다. 세척과 탈수의 공정에 의하여 배추 조직내 염도를 1.4 % 이하로 낮추어 주었다.
3. 부재료 준비 단계(단계3)
3.1 파프리카 준비
본 발명은 고추가루를 전혀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김치 고유의 적색을 유지하 기 위하여 적색의 생(生)파프리카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파프리카 중에서 브릭스(Brix) 측정장치로 측정한 측정 농도 4.5 ~ 5.5 인 품종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비교적 높은 브릭스 농도의 파프리카를 사용하여, 단 맛을 부여함에 따라 어린이와 외국인도 거부감이 없게 접근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과도한 당분의 섭취가 제한되는 성인병에 노출된 환자들에게도 부담없이 섭취가능하기 위한 것이다. 생 파프리카는 수분을 유지한 상태로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절여진 배추의 중량을 기준으로 20.0 ~ 25.0 %를 사용한다. 생 파프리카를 20.0 % 보다 적게 사용하면 김치로서의 빨간 색상이 충분히 표현되지 못하며, 특히 맛에 있어서 단 맛과 함께 파프리카 고유의 감칠 맛과 야채로서의 맛이 적어진다. 반대로 25 % 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 생 파프리카에서 우러나는 수분에 의하여 염도가 지나치게 낮아져 이상 발효의 원인이 될 수 있다.
3.2 홍고추의 준비
본 발명은 김치 고유의 약간의 매운 맛을 어느 정도 유지하면서도 어린이 혹은 외국인이 접근하기 어려운 매운 맛을 순화시키기 위하여, 고추가루가 아닌 물고추를 사용하였다.
본 발명은 특히 신도(辛度)를 표시하는 캡사이신(capsaicin)류 (캡사이신 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dehydrocapsaisin)의 합한 함량)의 함량이 150.0 ~ 170.0 ㎎/㎏ 미만의 품종을 사용하였다. 150 보다 적은 것은 매운 맛이 너무 낮아 한국 전통의 배추 김치로서의 매운 맛을 나타내지 못하며, 170 보다 많게 사용시에는 매운 맛이 강하게 되어 목적으로 한 어린이 와 외국인의 기호에 맞지 않게 된다.
일반적인 김치에 대한 매운 맛의 기준은 당업계의 통상적 기준으로 순한 맛은 상기 캡사이신류가 4.0 미만이며, 보통 매운 맛은 4.0 ~ 12.0이며, 매운 맛은 12.0 이상이다. 순한 맛은 약간의 매운 맛으로, 매운 맛을 어느 정도는 즐길 수 있는 외국인을 포함하여 유아기를 벗어난 유치원 혹은 초등학생들도 접할 수 있는 정도의 매운 맛이기 때문에 이것에 기준을 맞추었다. 홍고추는 배추의 중량을 기준으로 3 ~ 6 % 가 되도록 하였다. 홍고추는 3 % 보다 적게 사용시 고추 특유의 알싸한 매운 맛이 적어져 한국 김치로서의 맛과 향을 유지하기 어려우며, 반대로 6 % 보다 많이 사용시 매운 맛이 강해지면서 매운 맛에 거부감을 갖게 된다.
3.3 액젓 준비
액젓 특유의 비린 냄새가 나지 않으면서 김치의 향미는 잃어버리지 않도록, 상기 배추의 중량을 기준으로 멸치 액젓을 2.0 ~ 3.0 % 첨가하였다.
멸치 액젓을 선정한 이유는 3년 이상 숙성을 거친 맑은 액젓이므로 젓갈 특유의 비린 냄새가 시중제품에 비해 많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새우 젓의 경우 파프리카와 함께 사용하였을 때 비린 맛이 부각이 되고, 멸치 육젓은 1% 이하로 사용하여도 비린 맛과 냄새가 많이 났다. 본 발명자는 멸치 육젓을 아무리 소량 첨가하여도 비린 맛과 냄새 때문에 김치 특유의 감칠 맛을 저하시키고, 특유의 비린내가 강해지면서 거부감을 줄 수 있었다. 까나리 액젓의 경우 새우젓과 멸치육젓을 사용하였을 때 보다는 비린 맛이 덜하였지만, 비린내와 특유의 냄새가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 멸치 액젓은 2.0 % 보다 적게 사용할 경우 고유의 감칠 맛과 향미를 거의 느낄 수 없으며, 3.0 % 보다 많이 사용시 감칠 맛은 증가하지만 액젓 특유의 향이 강해지면서 어린이 외국인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다.
3.4 마늘의 준비
본 발명은 마늘을 상기 부재료의 중량을 기준으로 4.0 ~ 6.0 %를 첨가하였다. 마늘의 첨가로 서양의 피클이나 일본의 기무치와 다른 마늘 특유의 향과 맛에 의하여 일반적인 서양의 피클와 다른 향과 맛을 느낄 수 있게 한다. 시중 김치와 다르게 마늘을 4.0 % 이하로 넣을 경우 저염 상태이므로 부패균 발생과 이취 연부현상이 우려되므로 향균성이 높은 마늘을 첨가하였다. 반대로 6.0 % 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 마늘 특유의 향과 아린 맛에 의하여 거부감이 발생할 수 있다.
4. 혼합단계(단계4)
상기 부재료의 준비가 되면, 탈수 처리된 배추와 부재료를 혼합한다.
본 발명은 부재료의 혼합시 저염 소금을 첨가하였다. 특히 정제소금 74.5 %이고 나머지는 염화칼륨인 저염 소금을 배추의 중량을 기준으로 0.7 ~ 0.8 % 를 혼합하였다. 소금의 사용으로 적절한 간을 주어 시식감을 높이지만, 0.7 % 보다 적게 사용시 너무 싱겁게 되어 반찬으로서의 기능이 낮아지며, 특히 저염에 의하여 이상 발효균의 발생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0.8 % 보다 많이 사용할 경우 염도가 높아져 이상 발효의 가능성이 낮아지는 반면 목적으로 하는 저염 김치의 제조는 이룰 수 없다.
배추와 부재료가 충분히 혼합되면, 0 ~ 5 ℃ 로 유지하는 저온 저장고에서 숙성시켜주어, 목적으로 하는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배추를 염수로 절이는 절임 단계(단계1),
절여진 배추를 수세한 후 탈수처리하여 배추의 염농도를 조절하는 탈수 및 염농도 조절단계(단계2),
선별된 파프리카와 홍고추 그리고 마늘을 분쇄혼합하는 부재료 준비 단계(단계3),
절여진 배추와 부재료를 액젓을 첨가하면서 혼합하는 혼합단계(단계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짜고 맵지 않은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부재료 준비 단계에서 부재료와 배추를 포함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Leuconostoc mesenteroides, Leuconostoc citreum, Lactobacillus sakei, Lactobacillus plantarum 의 혼합균주를 0.005 ~ 0.007 % 를 부재료에 배합하며,
배합후 0 ℃ 이하의 온도에서 20 내지 26 시간 혐기상태로 숙성후 절여진 배추와 혼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와 신도를 낮춘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혼합 유산균 배양액을 사용하는 이유는 본 발명이 일반 배추의 절임보다 반이상 낮은 염도로 절여지면서 발생가능한 잡균의 번식을 차단하고 조기에 유산균의 번식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며, 동시에 외국인과 어린이를 위한 샐러드처럼 먹을 수 있으면서도 발효 식품인 김치 고유의 향과 맛을 최대한 느낄 수 있기 위한 것이다. 김치는 시간이 지나면서 발효가 되어 유산균수가 증가되므로 김치 특유의 새콤함과 청량감을 주기 위한 것이며, 몇 달 혹은 몇 년간 장기간 숙성을 하여 먹는 묵은지의 개념과는 다르다. 상기하듯이 유산균의 적절한 첨가로 김치 고유의 새콤함과 청량감을 단기간에 최대한으로 도달하게 되었다. 혼합 유산균은 상기 Leuconostoc mesenteroides 와 Leuconostoc citreum의 혼합 유산균외에도 lactobacillus helveticus, bifidobacterium longum 등이 채용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Leuconostoc mesenteroides 와 Leuconostoc citreum의 혼합 유산균의 사용은 김치의 발효 초기에 충분한 발효가 이루어지기 전 초기 유산균의 신속한 성장으로 산도를 높이어 발생가능한 균에 의한 오염과 이상발효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구분 | 4/16 | 4/26 | 5/1 | 5/8 |
가루 유산균 | 5.3×105 | 7.6×105 | 1.1×109 | 1.3×109 |
본 발명 | 4.2×106 | 1.1×109 | 7.5×105 | 7.4×105 |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배추를 염수로 절이는 절임 단계(S1),
절여진 배추를 수세한 후 탈수처리하여 배추의 염농도를 조절하는 탈수 및 염농도 조절단계(S2),
선별된 파프리카와 홍고추 그리고 마늘을 분쇄혼합하는 부재료 준비 단계(S3),
절여진 배추와 부재료를 액젓을 첨가하면서 혼합하는 혼합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짜고 맵지 않은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합 단계에서 매실 엑기스를 더 첨가하는 제조 방법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매실중량을 기준으로 설탕을 50 ~ 60 % 에 적재하여 추출과 발효처리가 적어도 3 개월 ~ 6 개월 간 진행된 매실엑기스를 첨가하는 것이다. 당에 의하여 추출한 매실 엑기스는 pH 2.3 ~ 2.8이고 브릭스 농도 45 ~ 55 % 를 배추의 중량을 기준으로 4.0 ~ 6.0 % 첨가하였다. 매실의 추출 및 발효 처리는 3개월보다 적게 하는 경우 충분한 매실 성분의 추출이 되지 않으며, 특히 다양한 잡균이 잔류하므로 김치 발효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6 개월이 경과하면 더 이상의 발효와 추출이 진행되지 않거나 진행된다하여도 대단히 미미하므로 경제성이 거의 없다.
유산균의 번식이 초기에 충분치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매실 추출 엑기스의 첨가로 초기 배추와 각종 양념혼합물 상태를 산성상태로 유지하여 잡균의 초기 증식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서 매실추출 엑기스에 함유된 다양한 유기산을 비롯한 다양한 영양성분에 의한 영양 증진 효과를 누릴 수 있기 위한 것이다.
매실 엑기스는 4.0 % 보다 적게 첨가시 전체적인 산도의 낮춤과 매실 특유의 새콤함을 발휘하지 못하며, 반대로 6.0 % 보다 많이 첨가할 경우 강한 매실향은 물론 단맛이 강해지면서 김치 본연의 맛과 향을 변하게 된다.
실시예 1
이물질을 제거하고 2 ~ 4분 절개한 포기 배추 210 ㎏을 배추를 5 % 농도의 염수에 24 시간 침지시켜 절여 주었다. 절인 배추를 꺼내어 흐르는 청수(淸水)에 부유시키면서 기포에 의한 기계적 세척과 배추의 반전동작으로 80 내지 100 초간 세척하는 동작을 4회 반복하였다. 세척된 배추를 적재조에 담아 0℃로 유지한 채 8시간 방치하여 자중에 의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수분이 제거된 배추는 종방향 길이 1.8 ~ 2.2 ㎝의 길이로 절단하였다.
파프리카는 시로코종으로서 브릭스 농도 5.0 인 것 42 ㎏과 순한 맛의 홍고추 8.5 ㎏, 그리고 마늘 8.5 ㎏ 을 함께 갈아 주었다. 상기 갈아진 부재료에 3년간 숙성된 멸치 액젓을 4.5 ㎏ 그리고 저염소금(정제소금 74.5%에 염화칼륨을 22.25%를 포함한 것) 1.5 ㎏ 을 가하고 균질혼합하여 부재료를 제조하였다. 배합된 부재료는 밀봉된 용기에 넣고 24 시간 숙성하였다.
숙성된 부재료를 상기 절단한 배추와 혼합하여 목적한 배추김치를 제조하였다.
제조한 김치는 저온( 0 ~ 5 ℃) 저장고에 30일간 숙성하였다.
상기 기재한 실시예 2 ~ 6 은 상기 실시예 1과 하기 표 기재한 성분의 함량만 다르게 하고 동일하게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는 매실 엑기스를 첨가하였으며, 실시예 6 은 부재료를 혼합균주의 혼합후 24 시간 숙성한 후 배추와 혼합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실시예 6 | |
염수 농도(%) | 5.0 | 5.5 | 6.0 | 6.5 | 7.0 | 7.0 |
파프리카(㎏) | 42.0 | 45.0 | 52.0 | 42.0 | 45.0 | 52.0 |
홍고추(㎏) | 8.5 | 10.0 | 12.0 | 8.5 | 10.0 | 12.0 |
마늘(㎏) | 8.5 | 10.0 | 12.0 | 8.5 | 10.0 | 12.0 |
젓갈(㎏) | 4.5 | 5.0 | 6.0 | 4.5 | 5.0 | 6.0 |
소금(㎏) | 1.5 | 1.5 | 1.6 | 1.5 | 1.5 | 1.6 |
매실(㎏) | 10.0 | 12.0 | 11.0 | |||
혼합균주(㎏) | 0.01 | 0.015 |
하기 비교예는 상기 본 발명의 절임조건을 비롯한 제조 방법과 비교하기 위한 것으로, 공정은 동일하며, 부재료 함량과 절임수의 염도를 하기 표 6 과 같이 달리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
염수 농도(%) | 3.5 | 8 | 9 | 10 | 12 |
파프리카(㎏) | 35 | 55.0 | 35 | 60 | 좌동 |
홍고추(㎏) | 8.0 | 13.0 | 10.0 | 12.0 | 좌동 |
마늘(㎏) | 8.0 | 13.0 | 8.0 | 12.0 | 좌동 |
젓갈(㎏) | 4.0 | 7.0 | 4.0 | 6.0 | 좌동 |
소금(㎏) | 1.4 | 1.7 | 1.4 | 1.6 | 좌동 |
매실(㎏) | - | - | 10.0 | 10.0 | 12.0 |
혼합균주(㎏) | - | - | - | 0.01 | 0.02 |
상기 제조 실시예와 비교 실시예에 의하여 제조된 김치를 하기 표와 같이 염도, 산도, 당도 그리고 신도(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의 농도)를 측정
염도(鹽度) | 산도(酸度) | 당도(糖度) | 신도(辛度) | 30일 숙성후 pH와 육안식별 | |
실시예1 | 1.13 | 3.84 | 5.8 | 0.9 | 배추 물러짐과 이상발효 없음 |
실시예2 | 1.20 | 3.90 | 6.1 | 1.2 | 상동 |
실시예3 | 1.24 | 3.86 | 6.1 | 1.2 | 상동 |
실시예4 | 1.27 | 3.99 | 8.2 |
0.9 | 상동 |
실시예5 | 1.38 | 4.02 | 8.6 | 1.2 | 상동 |
실시예6 | 1.39 | 4.02 | 8.6 | 1.2 | 상동 |
비교예1 | 1.29 | 3.51 | 0.9 | 0.9 | 배추 물러짐과 횐곰팡이 발생 |
비교예2 | 1.41 | 4.10 | 7.4 | 1.4 | 배추 물러짐과 흰곰팡이 발생 |
비교예3 | 1.44 | 4.08 | 8.1 | 1.2 | 배추 물러짐 없음 |
비교예4 | 1.48 | 4.18 | 8.2 | 1.5 | 배추 물러짐 없음 |
비교예5 | 1.53 | 4.26 | 8.4 | 1.5 | 배추 물러짐 없음 |
비고 : 염도는 완성된 김치를 채취하여 갈아서 착즙처리한 액을 측정한 측정값임
산도는 pH 측정값임
당도는 브릭스 당도계에 의한 측정값임.
신도는 30일 캡사이신과 디하이드로 캡사이신의 배추김치 전체 kg 당 함량임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의 김치는 30일 숙성후 pH는 30일, 5도 이하 보관후의 pH 측정값과 육안 식별형태임.
브릭스 당도계의 제원 : 일본 ATAGO 사 ,모델 PAL-1, 측정범위 0.0 ~ 53 %, Resolutin 0.1 %, Accuracy ±0.2 %,
염도계의 제원 : 일본 ATAGO 사, 모델 ES-421, 측정범위 0.01 ~ 2.00 %, 3.0 ~ 10.0 %( g/100 g), Accuracy 1.00 % 미만시 ±5 % 미만, 1.00% ~ 10.0 % 상대적 지시값에 ±5% 미만
pH 미터기의 제원 : ELMETRON 사, 모델 CP-411P ( P20 / 복합전극), 측정 범위 0.00 ~ 14.00 Temp. 0.0 ~ 100 ℃
신도는 한국 식품연구원에 의뢰한 것으로 자세한 측정 장치의 제원은 미정이며, u - HPLC법으로 측정하였음.
30일 숙성후 pH 값은 과도한 발효로 인한 배추의 짓무름이나 군내가 나는 것을 표기하는 것으로, pH 값이 과도하게 낮아져버리거나, 배추가 물러져 버리는 것 그리고 상부에 하얀 곰팡이와 같은 형태의 이상 발효현상을 육안으로 관찰한 것임.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김치와 본 발명의 출원인측에서 제조하는 일반 고추를 배합하여 제조한 김치를 아래 조건과 같이 관능 시험하였다.
시험 대상 : 본 출원인이 생산하는 일반 배추김치 와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김치
검사 대상 : 6세 ~ 13세의 어린이 30명과, 국내에 거주하고 있는 외국인(성인 20세 이상으로 연령 미확인하였음) 30명
검사 항목 : 김치의 짠맛, 단맛, 매운맛, 전체적인 선호도
채점법 : 5점 척도법.
판단기준 : 짠맛 1점=매우 싱겁다, 2점=안 짜다, 3점=보통이다, 4점=조금 짜다, 5점=매우 짜다
단맛 1점 = 매우 달지 않다, 2점=달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조금 달다, 5점=매우 달다
매운맛 1점 = 매우 맵지 않다, 2점=맵지 않다, 3점=보통이다, 4점=조금 맵다, 5점=매우 맵다
전체적인 맛 1점 = 아주 나쁘다, 2점=나쁘다, 3점=보통이다, 4점=좋다, 5점=아주 좋다
전체적인 선호도 1점 = 아주 나쁘다, 2점=나쁘다, 3점=보통이다, 4점=좋다, 5점=아주 좋다
비고 : 위 기준에서 전체적인 맛은 배추김치의 조직이 아삭한 맛과 숙성된 김치로서의 감칠맛, 발효된 맛, 혐기발효에 따른 탄산에 의한 시원한 맛 들을 종합한 것임
비고 : 짠 맛, 단 맛, 매운 맛의 기준은 본래 브릭스 측정계를 이용한 염도, 당도 그리고 캡사이신 함량으로 정하여야 하지만, 완제품에 대하여는 순전히 소비자의 주관적 입맛에 기준하여 실험하였으며, 개인적 차이가 존재하며, 하기 점수표는 본 발명에서 기준으로 하는 염도, 당도 그리고 캡사이신 농도에 따른 신도의 기준값과는 다른 값임.
|
짠 맛 | 단 맛 | 매운 맛 | 전체적인 맛 | 전체적인 선호도 | |||||
어린이 | 외국인 | 어린이 | 외국인 | 어린이 | 외국인 | 어린이 | 외국인 | 어린이 | 외국인 | |
비교예 1 | 2.24 | 2.11 | 2.09 | 2.12 | 2.54 | 2.68 | 2.97 | 2.68 | 3.01 | 2.03 |
비교예 2 | 4.24 | 3.38 | 3.80 | 3.78 | 3.98 | 3.88 | 3.21 | 2.32 | 2.24 | 2.01 |
비교예 3 | 4.04 | 3.46 | 2.13 | 2.15 | 3.56 | 3.62 | 3.17 | 3.31 | 2.68 | 2.84 |
비교예 4 | 4.12 | 2.08 | 3.98 | 3.99 | 2.26 | 3.23 | 3.24 | 2.25 | 2.18 | 2.23 |
비교예 5 | 4.15 | 2.23 | 4.01 | 4.11 | 2.18 | 3.26 | 2.08 | 2.33 | 2.12 | 2.36 |
실시예 1 | 2.80 | 3.68 | 3.52 | 3.68 | 2.28 | 2.55 | 4.22 | 4.02 | 4.36 | 4.81 |
실시예 2 | 3.78 | 3.66 | 3.48 | 3.62 | 2.15 | 2.11 | 4.33 | 4.52 | 4.33 | 4.15 |
실시예 3 | 3.26 | 3.48 | 4.02 | 4.16 | 2.69 | 2.03 | 4.58 | 4.43 | 4.16 | 4.24 |
실시예 4 | 3.36 | 3.64 | 3.99 | 4.01 | 2.52 | 2.66 | 4.68 | 4.69 | 4.62 | 4.53 |
실시예 5 | 3.86 | 4.19 | 4.56 | 4.88 | 2.02 | 2.18 | 4.46 | 4.76 | 4.52 | 4.62 |
실시예 6 | 3.03 | 4.21 | 4.66 | 4.85 | 2.63 | 2.55 | 4.76 | 4.61 | 4.39 | 4.83 |
짠 맛의 경우, 외국인과 어린이라도 염농도가 높은 비교예 4, 5의 경우 선호도가 낮아지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경우라도 5 % 정도의 저염 절임보다는 6 에서 7 %의 절임 농도의 배추에서 선호도가 높아지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어느 정도 김치에 짠 맛이 선호도가 높아지는 결과를 보인다. 그러나 비교예 4, 5에 나타나듯이 염농도가 10 % 이상의 경우에는 선호도에 있어 현저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단 맛의 경우, 단 맛을 부여하는 파프리카의 함량이 높을 수록 선호도가 높아지며, 특히 매실청의 첨가로 인하여 보다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매운 맛의 경우, 홍고추의 사용량이 늘어나면 전체적인 매운 맛의 증가로 어린이 외국인 모두 선호도가 낮아짐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홍고추의 함량이 12 % 미만일 경우 먹기 좋은 매운 맛으로 선호도가 오히려 높아짐을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한 짠 맛, 단 맛, 매운 맛의 총합적인 어우러짐에 따라 전체적인 맛과 선호도에 있어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한 배추 김치가 최적의 제조법임을 보여주고 있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관능검사에서도 김치에 비해 본 발명의 김치가 짜지 않고 달며 매운맛이 덜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체적인 맛과 선호도에서도 우세함을 알 수 있다.
S1: 절임단계, S2: 탈수 및 염 농도 조절 단계, S3 : 부재료 준비 단계, S4 : 혼합 단계
Claims (11)
- 삭제
- 배추를 염수로 절이는 절임 단계(S1),
절여진 배추를 수세한 후 탈수처리하여 배추의 염농도를 조절하는 세척 탈수 및 염농도 조절단계(S2),
선별된 생물 파프리카와 홍고추 그리고 마늘을 분쇄혼합하는 부재료 준비 단계(S3),
절여진 배추와 부재료를 액젓을 첨가하면서 혼합하는 혼합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염도와 신도를 낮춘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절임 단계에서 배추를 염농도 5 ~ 7 %의 농도에서 20 내지 28 시간 침지시켜 절이며,
상기 절여진 배추를 7 ~ 9시간 탈수 처리하고,
절여진 배추를 청수(fresh water)에서 4 회 연속적으로 침지와 탈수를 반복하여 세척하되,
부재료인 파프리카는 생물(生物)로서 브릭스 농도 4.5 ~ 5.5이며,
배추의 중량을 기준으로 20 ~ 25% 를 사용하며,
홍고추는 캡사이신 과 디하이드로캡사이신의 합한 함량의 농도가 150.0 ~ 170.0 ㎎/㎏ 인 품종으로서, 배추 중량을 기준으로 3 ~ 6%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도와 신도를 낮춘 배추 김치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9545A KR101923898B1 (ko) | 2017-01-20 | 2017-01-20 | 염도(鹽度)와 신도(辛度)를 낮춘 배추김치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9545A KR101923898B1 (ko) | 2017-01-20 | 2017-01-20 | 염도(鹽度)와 신도(辛度)를 낮춘 배추김치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5900A KR20180085900A (ko) | 2018-07-30 |
KR101923898B1 true KR101923898B1 (ko) | 2018-11-30 |
Family
ID=63048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9545A KR101923898B1 (ko) | 2017-01-20 | 2017-01-20 | 염도(鹽度)와 신도(辛度)를 낮춘 배추김치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389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2791B1 (ko) * | 2020-02-21 | 2020-07-10 | 조은영 | Diy 김장재료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1961B1 (ko) | 2012-02-24 | 2012-06-01 | 손규용 | 야생초를 이용한 저(低)나트륨, 저(低)염소, 고(高)칼륨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김치 |
KR101663457B1 (ko) | 2016-03-23 | 2016-10-07 | 주식회사 씨앤에프코리아 | 어린이용 백김치와 그 제조방법 |
-
2017
- 2017-01-20 KR KR1020170009545A patent/KR10192389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51961B1 (ko) | 2012-02-24 | 2012-06-01 | 손규용 | 야생초를 이용한 저(低)나트륨, 저(低)염소, 고(高)칼륨 김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김치 |
KR101663457B1 (ko) | 2016-03-23 | 2016-10-07 | 주식회사 씨앤에프코리아 | 어린이용 백김치와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5900A (ko) | 2018-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748671B (zh) | 加工食品 | |
KR20140004421A (ko) | 기능성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661715B1 (ko) | 부대찌개 및 그의 제조 방법 | |
CN105054059A (zh) | 三文鱼降血脂雪菜肉丝及其制备方法 | |
CN105995917B (zh) | 泡椒酱汁及其制备方法 | |
KR101957599B1 (ko) | 훈제 단무지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훈제 단무지 | |
KR100515973B1 (ko) | 식품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 |
KR20150027896A (ko) | 들기름을 함유한 김치양념, 이를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및 상기 김치양념으로 제조되는 김치 | |
KR101540867B1 (ko) | 단호박 및 치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백김치 조성물 | |
CN105614789A (zh) | 桂花味泡榨菜及其制备方法 | |
KR101923898B1 (ko) | 염도(鹽度)와 신도(辛度)를 낮춘 배추김치 제조 방법 | |
KR102235139B1 (ko) | 백색 또는 금색 고춧가루를 사용한 무 곁들이 하얀 배추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068882B1 (ko) | 자색고구마김치의 제조방법 | |
CN107252070A (zh) | 一种锌硒糟辣椒的制作方法 | |
KR101915708B1 (ko) | 기능성 김치의 제조방법 | |
KR101177382B1 (ko) | 다시마 포 및 그 제조방법 | |
CN104222921A (zh) | 一种甜咸大头菜的加工工艺 | |
KR102040395B1 (ko) | 해초류 소곱창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해초류 소곱창 | |
KR102440036B1 (ko) | 중국향(向) 김치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809823B1 (ko) | 어린이용 김치의 제조방법 | |
KR20160125729A (ko) | 과일 장아찌 제조방법 | |
KR102667887B1 (ko) | 유자 중과피 과자 제조방법 | |
KR101813218B1 (ko) | 표고버섯과 표고버섯 발효물이 함유된 양념 젓갈 제조방법 | |
KR102671378B1 (ko) | 김치 제조방법 | |
KR102630182B1 (ko) | 레토르트 이유식의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