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22851B1 - 측정기용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측정기용 후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851B1
KR101922851B1 KR1020120108788A KR20120108788A KR101922851B1 KR 101922851 B1 KR101922851 B1 KR 101922851B1 KR 1020120108788 A KR1020120108788 A KR 1020120108788A KR 20120108788 A KR20120108788 A KR 20120108788A KR 101922851 B1 KR101922851 B1 KR 101922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measuring device
inner tube
measuring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266A (ko
Inventor
이용길
이강녕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건영종합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건영종합전기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2010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851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02Constructional details
    • G01J5/026Control of working procedures of a pyrometer, other than calibration; Bandwidth calculation; Gain contro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02Details
    • G01J1/0271Housings; Attachments or accessories for pho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1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easuring Temperature Or Quantity Of Heat (AREA)
  • Radiation Pyrome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정기용 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측정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통부와, 경통부에 결합되고, 측정대상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Description

측정기용 후드 장치{HOOD DEVICE FOR MEAS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측정기용 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상기기의 온도 측정 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줄여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 온도계(Infrared Radiation Thermometer)는 측정대상물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방사 에너지를 검출소자를 사용하여 계측하고, 측정대상물의 온도정보를 얻는 장치이다. 방사 에너지가 공간을 전파하므로, 적외선 온도계는 비접촉의 온도측정이 가능하고, 회전이나 이동체 등의 표면온도를 측정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적외선 온도계를 활용하여 맨홀 내부의 케이블의 온도는 물론, 지상기기와 같이 실외에 설치된 설비의 온도를 측정하고 있다.
관련 배경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공보 10-0387591호(발명의 명칭 : 복사 가열 온도 측정 방법, 2003. 06. 02. 등록)가 있다.
적외선 온도계를 통해 지상기기의 온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적외선 온도계가 직사광선이나 외부의 대기에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외부 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지상기기의 온도 측정 시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 지상기기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지상기기의 온도 측정 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줄여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는: 일측이 측정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와, 접속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통부와, 경통부에 결합되고, 측정대상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부는 내측부가 측정기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측정기의 외측면에 억지끼움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부에는 복수의 체결홀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체결홀부를 관통하여 측정기를 가압한다.
바람직하게는, 경통부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고, 중공을 이루는 내측관을 더 포함하고, 내측관은 일측이 경통부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내측관은 타측이 경통부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접속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구비되고, 단턱부는 경통부의 내주면과, 내측관의 내주면과 각각 나사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속부와, 경통부와, 접촉부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접촉부는 측정대상체와의 접촉 시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상기기의 온도 측정 시 외부 환경의 영향을 줄여 온도 측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부가 측정기에 억지끼움 결합됨에 따라, 접속부를 측정기에 견고하게 위치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탈부착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부와 경통부, 그리고 접촉부를 절연 재질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므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가 측정대상체의 외형에 맞춰 변형되므로, 접촉부와 측정대상체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어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와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와 측정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와 측정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와 측정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측정기용 후드 장치(1)는 접속부(10), 경통부(20), 접촉부(30), 내측관(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속부(10)는 측정기(T)와 경통부(20)를 연결한다. 접속부(1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은 측정기(T)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접속부(10)의 타측(도 1 기준 우측)은 경통부(20)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접속부(10)는 억지끼움 결합에 의해 측정기(T)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접속부(10)의 일측(도 1 기준 좌측)의 내측부(11)는 측정기(T)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접속부(10)의 내측부(11)가 측정기(T)의 외측면에 결합될 때, 자연스레 억지끼움 결합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측정기(T)의 외측면이 사각 형상을 이루므로, 접속부(10)의 내측부(11)는 이와 동일하게 사각 형상을 이루게 된다.
접속부(10)에는 복수의 체결홀부(12)가 형성된다. 체결홀부(12)는 접속부(10)의 둘레를 관통하면서 동일한 회전각도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체결홀부(12)는 4개가 형성됨에 따라 90˚ 회전각도로 배치된다. 만약 체결홀부(12)가 3개 형성된다면, 120˚ 회전각도로 형성될 것이다.
체결부재(S)는 체결홀부(12)를 관통하여 측정기(T)의 외측면에 도달한다. 측정기(T)의 외측면에 도달한 체결부재(S)는 측정기(T)를 가압하게 되므로, 접속부(10)가 측정기(T)로부터 무단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10)를 측정기(T)에 억지끼움 결합하는 데 더해, 체결부재(S)에 의해 측정기(T)를 가압하므로, 접속부(10)가 측정기(T)로부터 의도치 않게 이탈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반대로, 접속부(10)를 측정기(T)로부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체결부재(S)를 해제한 후 접속부(10)를 측정기(T)로부터 탈거하면 된다.
접속부(10)에는 복수의 단턱부((13, 14)가 구비된다. 이러한 단턱부(13, 14)는 외경은 줄어들면서 경통부(20)측으로 돌출되어 계단 형상을 이룬다(도 4 참조). 바닥(도 4 기준 좌측)에 있는 단턱부(13)를 제1단턱부(13)라 하고, 제1단턱부(13)보다 경통부(20)측으로 돌출된 단턱부(14)를 제2단턱부(14)라 한다.
제1단턱부(13)에는 경통부(20)와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3a)이 형성되고, 제2단턱부(14)에는 내측관(40)과의 결합을 위한 나사산(14a)이 형성된다.
경통부(2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경통부(20)는 측정대상체(E)로부터 측정기(T)를 경통부(20)의 길이 이상 이격시킬 수 있다. 통상적으로 측정기(T)는 측정대상체(E)로부터 40cm 정도 이격되어 사용된다.
경통부(2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경통부(20)의 내부 공간을 통해 측정기(T)는 측정대상체(E)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경통부(20)는 접속부(10)에 탈부착 가능하게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된다. 경통부(2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20a)이 형성되고, 제1단턱부(13)의 외주면에는 이에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13a)이 형성되어, 경통부(20)의 내주면과 제1단턱부(13)의 외주면은 서로 치합되면서 결합된다.
접촉부(30)는 일측이 경통부(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측정대상체(E)에 직접 접촉한다.
접촉부(30)는 억지끼움 결합에 의해 경통부(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접촉부(30)의 내측면(31)은 경통부(20)의 단부에 형성되는 테두리홈부(21)에 안착된다. 테두리홈부(21)에 의해 접촉부(30)는 경통부(20)에 안착된 후 접속부(10)측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접촉부(30)는 측정대상체(E)에 직접 접촉되므로, 고온의 측정대상체(E)와의 접촉에 의해 열화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열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접촉부(30)는 측정대상체(E)와의 접촉시, 접촉부(30)와 측정대상체(E) 사이 공간을 통해 열이 누설되지 않도록 측정대상체(E)의 외관 형상에 맞게 변형된다. 이와 같이 접촉부(30)는 측정대상체(E)와의 접촉 시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접속부(10), 경통부(20), 그리고 접촉부(30)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측정대상체(E)에서 전기 누설이 발생하더라도 접촉부(30), 경통부(20), 그리고 접속부(10)를 통해 작업자가 파지하고 있는 측정기(T)로 전기가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덧붙여, 내측관(40) 역시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관(40)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경통부(20)의 내부에 설치된다. 내측관(40)은 일측(도 4 기준 좌측)이 경통부(20)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타측(도 4 기준 우측)이 경통부(20)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어 고정된다.
경통부(20)의 내주면과 내측관(40)의 일측이 이격됨에 따라, 경통부(20)의 내주면과 내측관(40)의 일측 사이에는 공간부(5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경통부(20)의 내부에 공간부(50)가 구비됨에 따라, 측정기(T)로 지상기기의 온도를 측정할 때 외부 환경(태양빛, 습도, 온도 등)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어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즉, 공간부(50)는 완충구간 역할을 수행하므로, 경통부(20)가 강렬한 직사광선, 영하의 기온 등에 노출되더라도 이러한 환경적 요인은 공간부(50)에서 차단된다.
또한, 공간부(50)는 은박막과 같은 반사체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즉, 공간부(50)를 이루는 경통부(20)의 내주면과 내측관(40)의 일측 외주면에는 은박막이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경통부(20)의 외부 환경적 요인은 공간부(50)는 물론, 은박막에 의해 내측관(40)의 내부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게 된다. 이에 따라 측정기(T)를 통한 온도 측정의 정확도는 더욱 향상된다.
본 실시예에서 접속부(10), 경통부(20), 그리고 접촉부(30)를 각각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어, 교체 시간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접속부(10), 경통부(20), 접촉부(30), 그리고 내측관(40)은 검은색을 띄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부(10), 경통부(20), 접촉부(30), 그리고 내측관(40)이 검은색을 띄게 됨에 따라, 측정대상물(E)의 표면에서 방출되는 적외선 에너지를 손실없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측정기(T)를 통한 온도 측정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기용 후드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측정대상체(E)의 온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경우 작업자는 측정기(T)에 측정기용 후드 장치(1)를 체결한다. 이후 측정기(T)를 파지하고, 측정기용 후드 장치(1)의 접촉부(30)를 측정대상체(E)에 접촉시킨다. 접촉부(30)는 측정대상체(E)를 둘러싸도록 완만한 곡률로 홈부가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측정대상체(E)의 형상에 따라 소정의 변형이 가능하다.
접촉부(30)와 측정대상체(E) 사이에 누설이 없게끔 접촉부(30)가 측정대상체(E)에 접촉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측정기(T)를 작동시켜 측정대상체(E)의 온도를 측정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측정기 중 적외선 온도계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적외선 온도계가 아닌 다른 방식의 온도계, 온도센서, 적외선카메라 등과 같이 측정대상체의 열이나 온도 등을 측정하는 각종 기기에 본 발명의 후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접속부 11 : 내측부
12 : 체결홀부 13 : 제1단턱부
14 : 제2단턱부 20 : 경통부
21 : 테두리홈부 30 : 접촉부
40 : 내측관 50 : 공간부

Claims (8)

  1. 일측이 측정기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타측에 결합되고, 중공의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통부; 및
    상기 경통부에 결합되고, 측정대상체에 접촉되는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경통부의 내부에 위치 고정되고, 중공을 이루는 내측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관은 일측이 상기 경통부의 내주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접속부에는 복수의 단턱부가 구비되고,
    상기 단턱부는 상기 경통부의 내주면과, 상기 내측관의 내주면과 각각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내측부가 상기 측정기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정기의 외측면에 억지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에는 복수의 체결홀부가 형성되고,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홀부를 관통하여 상기 측정기를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관은 타측이 상기 경통부의 내주면과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상기 경통부, 및 상기 접촉부는 절연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측정대상체와의 접촉 시 변형이 가능한 고무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정기용 후드 장치.
KR1020120108788A 2012-09-28 2012-09-28 측정기용 후드 장치 KR101922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88A KR101922851B1 (ko) 2012-09-28 2012-09-28 측정기용 후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788A KR101922851B1 (ko) 2012-09-28 2012-09-28 측정기용 후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66A KR20140042266A (ko) 2014-04-07
KR101922851B1 true KR101922851B1 (ko) 2018-11-28

Family

ID=5065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788A KR101922851B1 (ko) 2012-09-28 2012-09-28 측정기용 후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85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708A (ja) * 1999-06-03 2000-12-15 Sumitomo Metal Ind Ltd 放射温度測定装置
KR100387591B1 (ko) 2000-12-22 2003-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복사 가열 온도 측정 방법
US20070164562A1 (en) 2004-05-28 2007-07-19 New Objecti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mall diameter tubing
KR101155775B1 (ko) * 2011-01-11 2012-06-12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지상 전력설비 점검방법 및 점검장치
KR200460579Y1 (ko) * 2011-11-30 2012-06-13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6453B1 (en) * 1997-09-16 2001-05-01 Applied Materials, Inc. Temperature probe with fiber optic cor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708A (ja) * 1999-06-03 2000-12-15 Sumitomo Metal Ind Ltd 放射温度測定装置
KR100387591B1 (ko) 2000-12-22 2003-06-1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복사 가열 온도 측정 방법
US20070164562A1 (en) 2004-05-28 2007-07-19 New Objectiv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ng small diameter tubing
KR101155775B1 (ko) * 2011-01-11 2012-06-12 주식회사 건영종합전기 지상 전력설비 점검방법 및 점검장치
KR200460579Y1 (ko) * 2011-11-30 2012-06-13 주식회사 한성시스코 레이저빔출력기의 설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266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8256B2 (ja) 管内を流れる液体の物理的値を判定する装置
US10101225B2 (en) Pressure sensor with light detection of diaphragm protrusion
US10145749B2 (en)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including a sensor module and a joint for locking the sensor module
WO2016000034A9 (en) Deformation measurement method and apparatus
CN105103205A (zh) 具有用于确立环境温度的非接触式热辐射传感器的危险探测器
BR112012007171B1 (pt) membro e dispositivo de medição de pressão e conjunto de um pneumático e de um membro e/ou de um dispositivo de medição de pressão
ATE555501T1 (de) Organische elektrische kamera
US11293824B2 (en) Sensor assembly and physical quantity measuring device
TWI674398B (zh) 物理量測定裝置及其製造方法
JP2019039672A (ja) 赤外線カメラの温度補正方法
KR101922851B1 (ko) 측정기용 후드 장치
WO2019111909A1 (ja) 温度測定装置および温度測定機構
US9046416B2 (en) Device for the radiometric calibration of infra-red measuring devices
CA3206677A1 (en) Infrared temperature measurement and stabilization thereof
JP6527048B2 (ja) センサ装置
US11022506B2 (en) Force sensor with strain gauge attached to flexible wall of a main beam of the force sensor
EP2676108B1 (en) Optical sensor enclosure with integral window and optical alignment features
JP6506104B2 (ja) 電磁界計測装置
KR20150045810A (ko) 적외선 온도 측정 장치
JP7031646B2 (ja) 検出装置及び検出装置の製造方法
KR101704197B1 (ko) 온도 계측장치
CN204330285U (zh) 一种红外目标源计量设备
US10171722B2 (en) Lens unit and rear-side focus adjustment system of infrared camera
JP7330161B2 (ja) 圧力センサ
JP6325378B2 (ja) セン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