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22052B1 - 선반가공장치 - Google Patents

선반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052B1
KR101922052B1 KR1020170000927A KR20170000927A KR101922052B1 KR 101922052 B1 KR101922052 B1 KR 101922052B1 KR 1020170000927 A KR1020170000927 A KR 1020170000927A KR 20170000927 A KR20170000927 A KR 20170000927A KR 101922052 B1 KR101922052 B1 KR 101922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ing tool
cylinder workpiece
bed
cylinder
cut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0043A (ko
Inventor
홍사봉
Original Assignee
홍사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사봉 filed Critical 홍사봉
Priority to KR102017000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052B1/ko
Publication of KR20180080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0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00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3B5/08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 B23B5/12Turning-machine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work;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urning axles, bars, rods, tubes, rolls, i.e. shaft-turning lathes, roll lathes; Centreless turning for peeling bars or tubes by making use of cutting bits arranged around the work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10Arrangements for cooling or lubricating tools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7/00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 B23Q17/22Arrangements for observing, indicating or measuring on machine tool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existing or desired position of tool or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50/00Compensating adverse effects during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50/12Cooling and lubr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2717/00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 B23Q2717/003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measuring in la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실린더 공작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하는 선반가공장치가 개시된다.
이 선반가공장치는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실린더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척이 일측에 구비된 베드와, 실린더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공구와, 베드 상에서 절삭공구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기와, 절삭유를 실린더 공작물에 분사하도록 베드의 타측에 마련되는 절삭유 공급유닛과, 절삭공구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부위에 절삭유를 분사하기 위해, 위치측정기로부터 절삭공구의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절삭유 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반가공장치{DEVICE FOR WORKING LATHE}
본 발명은 실린더 공작물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절삭유를 실린더 공작물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실린더 공작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가공장치는 공작물 또는 가공물을 척에 고정시키고 바이트(bite)를 이송하면서 선삭작업을 하는 장치를 통칭하며, 공작물의 파지, 다수의 절삭공구들을 사용해 소정의 형상으로 다단절삭, 작업이 완료된 공작물의 방출들이 완전히 자동화된 자동선반들이 주지되어 있다.
현대 기계가공산업에 있어서 선반가공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선반이 존재하지만, NC선반, CNC선반, 머시닝 센터 등의 주축대 왕복형 자동선반은 크게 주축대(head stock)와 공구대(tool post)로 이루어지는 서보기구를 수치제어시스템에 의하여 자동으로 제어하면서 회전절삭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선반가공장치에서 진행할 수 있는 가공작업으로는, 외경절삭, 내경절삭, taper 절삭, 모방절삭, 단면절삭, 절단작업, 릴리빙(relieving), 총형절삭(formed cuttint, forming), 나사절삭(threading) 등이 있다. 이는 선반에 구비된 척에 공작물을 고정시킨 후, 척을 회전시켜 바이트를 통해 가공물의 내·외경을 절삭가공하는 것이다.
특히, 선반가공장치를 통해 유압 실린더를 가공하는 경우, 유압 실린더의 로드는 최대한 실린더 내부로 유입된 상태에서도 로드의 선단이 외부로 돌출되어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며, 다단으로 펼쳐지는 유압장치의 실린더의 로드는 실린더의 기능과 로드의 기능을 모두 구비해야 하므로, 작동유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해, 실린더의 내경 및 외경이 정밀하게 가공되어야 한다.
파이프 형태의 실린더의 내경 및 외경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가공면의 온도가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며 절삭공정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종래 실린더 가공장치의 경우, 실린더 가공면에 절삭유를 공급하면서 절삭공정을 진행하므로, 절삭유가 과도하게 낭비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린더의 외경을 가공하는 경우, 실린더 외벽에 공급하는 절삭유가 실린더 외벽에 머무르는 시간이 짧아 실린더 가공 중에 발생되는 열을 충분하게 식히기 어려우므로 실린더에 열변형이 발생되기 쉽고, 결국, 실린더에 대한 정밀 가공이 어려울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0-0020909호(2000. 12. 15.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절삭유를 실린더 공작물에 연속적으로 공급하여 실린더 공작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반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절삭유의 추가 공급없이도, 실린더 공작물의 연속적인 냉각이 가능하여 절삭유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선반가공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반가공장치는,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실린더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척이 일측에 구비된 베드; 상기 실린더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공구; 상기 베드 상에서 상기 절삭공구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기; 절삭유를 상기 실린더 공작물에 분사하도록 상기 베드의 타측에 마련되는 절삭유 공급유닛; 및 상기 절삭공구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부위에 상기 절삭유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위치측정기로부터 상기 절삭공구의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절삭유 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삭유 공급유닛은 상기 베드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상기 베드와 나란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내부에 절삭유가 수용 가능한 분사탱크; 상기 분사탱크에 구동연결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삭유를 상기 실린더 공작물을 향해 분사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분사탱크에 제공하는 구동스크류; 상기 분사탱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삭유 공급유닛은 상기 절삭유가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내측공간에서 수용되도록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양단부측에 위치되는 누유방지부재; 및 상기 내측공간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분사탱크에 제공하도록 상기 분사탱크에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유방지부재는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단부 내벽에 배치되는 마감링; 및 상기 마감링과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단부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측정기는 상기 절삭공구를 향해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절삭공구에서 반사되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광 특성을 측정하는 수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절삭유를 실린더 공작물에 공급함으로써, 가공시 실린더 공작물을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가공 중 발생되는 실린더 공작물의 열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급호스를 통해 실린더 공작물의 냉각을 위해 사용된 절삭유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절삭유의 추가 공급없이도, 실린더 공작물의 냉각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절삭유의 과도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절삭공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절삭공구가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절삭공구의 이동속도와 분사탱크의 이동속도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절삭유를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부위에 대한 정확하게 분사함으로써, 적은 양의 절삭유를 사용하더라도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부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가공장치를 도시한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절삭유 공급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B-B"선부에서 바라본 도시한 절삭유 공급유닛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가공장치의 제어로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가공장치에서, 절삭공구의 이동에 따라 절삭유 공급유닛의 분사탱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가공장치를 도시한 전체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절삭유 공급유닛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B-B"선부에서 바라본 도시한 절삭유 공급유닛의 후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가공장치의 제어로직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가공장치는, 베드(100), 절삭공구(200), 위치측정기(300), 절삭유 공급유닛(400) 및 컨트롤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드(100)는 공작물의 가공 작업을 위한 작업대로 제공될 수 있다. 베드(100)의 일측에는 공작물을 홀딩하여 회전시키는 가공척(110)이 마련될 수 있고, 베드(100)의 타측에는 절삭유(O)의 공급을 위한 절삭유 공급유닛(40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베드(100)에는 실린더 공작물(S)을 가공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들, 예를 들어, 절삭공구(200), 위치측정기(300), 절삭유 공급유닛(400) 및 컨트롤러(50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드(100)에는 중공 형태의 실린더 공작물(S)의 절삭 작업이 이루어지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며, 베드(100)에는 본 발명의 세부 장치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공작물에 대한 가공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절삭공구(200)는 실린더 공작물(S)을 가공하기 위해,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절삭공구(200)가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실린더 공작물(S)은 절삭공구(200)의 이동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가공(절삭)될 수 있다.
위치측정기(300)는 베드(100) 상에서 이동하는 절삭공구(200)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절삭공구(200)의 위치에 대한 위치신호를 컨트롤러(500)에 인가할 수 있다. 위치측정기(300)에 의해 측정된 절삭공구(200)의 위치신호는 컨트롤러(500)에 전달되어, 컨트롤러(500)에서 절삭공구(200)의 이동속도로 계산될 수 있다. 이때, 절삭공구(200)의 이동속도는 절삭공구(200)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부위의 이동속도와 동일하다.
위치측정기(300)는 광을 이용하여 절삭공구(200)의 위치를 측정하는 광 측정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측정기(300)는 절삭공구(200)를 향해 광을 발산하는 발광부(310)와, 절삭공구(200)에서 반사되는 광을 측정하여 절삭공구(200)의 거리를 측정하는 수광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발광부(310)는 각각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절삭공구(200)를 향해 매트릭스 형태(행과 열을 이루는 형태)로 이격 배치되므로, 절삭공구(200)에 의해 실린더 가공물(S)의 가공부위를 포함한 절삭공구(200)의 주위 구성을 향해 광을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 있다.
수광부(320)는 절삭공구(200)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수광된 광의 광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수광부(320)에서 측정된 발광 다이오드에서 조사된 광 특성은, 광도, 색도, 피크 파장, 주파장, 조도, 색온도, 연색성을 포함할 수 있다. 수광부(320)는 절삭공구(200)에서 반사되는 광을 수광하여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배치 형태에 매칭시켜 분석함으로써, 절삭공구(200)에 반사된 특정 위치에서의 광의 특정, 예컨대, 실린더 가공물(S)의 가공부위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광부(320)는 절삭공구(200)에 반사된 여러 색의 광 중에서, 실린더 가공물(S)의 가공부위에서 반사되는 광을 발광 다이오드가 배치된 배치 형태에 매칭할 수 있으므로, 절삭공구(200)에 의해 절삭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가공물(S)의 가공부위에 대한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수광부(320)를 통해 측정된 실린더 가공물(S)의 가공부위에 대한 위치정보는, 컨트롤러(500)에 인가된다.
위치측정기(300)는 광 측정기 이외에도, 절삭공구(200)의 위치를 효과적으로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측정기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초음파를 이용하여 절삭공구(200)의 위치를 측정하는 초음파 측정기로 구성되거나, 레이저 센서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측정기 등이 위치측정기(300)로 사용될 수 있다.
절삭유 공급유닛(400)은 절삭공구(200)에 의해 가공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부위 또는 가공부위의 이면에 절삭유(O)를 분사함으로써, 실린더 공작물(S)의 원활한 가공 및 냉각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절삭유 공급유닛(400)은 본체(410)와, 분사구(431)를 통해 절삭유(O)를 가공부위에 분사하는 분사탱크(430)와, 분사탱크(430)를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스크류(420)와, 분사탱크(43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스크류(440)와, 분사탱크(43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45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이송스크류(420), 구동스크류(440) 및 가이드바(450)는 베드(100)와 나란하도록 본체(410)에 서로 수평하게 연결될 수 있고, 이들 이송스크류(420), 구동스크류(440) 및 가이드바(450)의 끝단은 지지편(4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410)에는 분사탱크(430)를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이송모터(미도시)와, 분사탱크(430)에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이송스크류(420)는 이송모터와 구동 연결되어 분사탱크(430)를 이동시킬 수 있고, 구동스크류(440)는 구동모터와 구동 연결되어 절삭유(O)의 분사 및 공급에 필요한 구동력을 분사탱크(430)에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바(450)는 분사탱크(430)의 이동시 분사탱크(430)의 이동경로를 안내하여, 분사탱크(430)의 균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분사탱크(430)를 통해 분사된 절삭유(O)를 실린더 공작물(S)의 내측공간에 수용하기 위해, 절삭유 공급유닛(400)은 실린더 공작물(S)의 양단부측에 위치되는 누유방지부재(470)와, 내측공간에 수용된 절삭유(O)를 분사탱크(430)에 제공하기 위해 분사탱크(430)에 연결되는 공급호스(4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누유방지부재(470)는 실린더 공작물(S)의 단부 내벽에 배치되는 튜브 형태의 마감링(471)과, 누수 방지를 위해 마감링(471)과 실린더 공작물(S)의 단부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링 형상의 탄성재질의 실링부재(47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감링(471)에 에어가 공급되면, 마감링(471)이 소정 부피로 팽창되면서 실린더 공작물(S)의 단부를 막게 되고, 실린더 공작물(S)의 내측 공간에 분사된 절삭유(O)는 마감링(471)에 의해 실린더 공작물(S)의 내측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물론, 누유방지부재(470)는 마감링(471) 및 실링부재(472) 구성 이외에도 절삭유(O)를 일정 시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삭유 공급유닛(400)이 실린더 공작물(S)의 외측에 설치되는 경우, 누유방지부재(470)는 실린더 공작물(S)의 하측에 위치되는 저장조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공급호스(480)는 구동모터로부터 절삭유(O)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력을 제공받아, 실린더 공작물(S)의 내측공간에 수용된 절삭유(O)를 분사탱크(430)에 공급할 수 있다. 공급호스(480)는 실린더 공작물(S)의 내측공간에 수용된 절삭유(O)를 분사탱크(430)에 재순환시킴으로써, 절삭유(O)의 추가 공급없이도, 실린더 공작물(S)의 냉각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절삭유(O)의 과도한 낭비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500)는 위치측정기(300)로부터 절삭공구(200)의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절삭공구(200)의 이동속도로 계산할 수 있고, 계산된 절삭공구(200)의 이동속도와 매칭되는 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된 회전속도로 절삭유 공급유닛(400)의 회전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절삭공구(200)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부위에 절삭유(O)를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다.
예컨대, 절삭공구(200)의 이동속도는 가공부위의 이동속도와 동일하고, 회전모터의 회전속도는 가공부위의 이동속도와 비례하므로, 컨트롤러(500)는 위치측정기(300)로부터 인가받은 절삭공구(200)의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가공부위의 이동속도와 절삭유(O)의 분사위치가 동일해지는 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500)는 산출된 회전모터의 회전속도에 부합하는 작동신호를 절삭유 공급유닛(400)에 인가함으로써, 적은 양의 절삭유(O) 만으로도,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부위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가공장치에서, 절삭공구의 이동에 따라 절삭유 공급유닛의 분사탱크가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는 실린더 공작물(S)의 일단부를 베드(100)의 가공척(11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도록 설치하고, 절삭공구(200)를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에 적합한 베드(100)의 적정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때, 실린더 공작물(S)의 양단부에는 절삭유(O)를 수용하기 위한 누유방지부재(470)가 마련된다.
이후,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작업을 위한 전원이 선반가공장치에 인가되면, 컨트롤러(500)의 작동신호에 따라 절삭공구(200)를 통한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이 진행되며, 이와 동시에, 절삭유 공급유닛(400)의 분사탱크(430)를 통해, 가공부위의 이면에 절삭유(O)가 분사된다.
이때, 실린더 공작물(S)의 내경면에 분사된 절삭유(O)는, 누유방지부재(470)에 의해 실린더 공작물(S)의 내측공간에서 수용되어, 실린더 공작물(S)로부터 충분히 열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린더 공작물(S)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실린더 공작물(S)의 내측공간에서 수용된 절삭유(O)는, 공급호스(480)를 통해 다시 분사탱크(430)로 공급될 수 있는데, 이때, 분사탱크(430)로 공급된 절삭유(O)는 분사탱크(430)를 통해 다시 실린더 공작물(S)의 내경면에 분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공급호스(480)를 통해 절삭유(O)의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절삭유(O)의 추가 공급없이도, 실린더 공작물(S)의 냉각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절삭유(O)의 과도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공구(200)가 베드(10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절삭공구(200)의 이동속도와 분사탱크(430)의 이동속도를 서로 매칭시키면, 적은 양의 절삭유(O)를 사용하더라도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부위 이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컨트롤러(500)는 위치측정기(300)로부터 인가받은 절삭공구(200)의 위치신호를 이용하여, 가공부위의 이동속도와 절삭유(O)의 분사위치가 동일해지는 회전모터의 회전속도를 계산할 수 있는데, 이때, 계산된 회전모터의 회전속도에 부합하는 작동신호를 절삭유 공급유닛(400)에 인가함으로써, 절삭공구(200)의 이동속도와 분사탱크(430)의 이동속도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은 양의 절삭유(O)를 통해 실린더 공작물(S)의 가공부위 이면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된 절삭유를 실린더 공작물에 공급함으로써, 가공시 실린더 공작물을 효과적으로 냉각하여, 가공 중 발생되는 실린더 공작물의 열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공급호스를 통해 실린더 공작물의 냉각을 위해 사용된 절삭유를 회수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절삭유의 추가 공급없이도, 실린더 공작물의 냉각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절삭유의 과도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광 측정기를 이용하여 절삭공구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함으로써, 절삭공구가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때, 절삭공구의 이동속도와 분사탱크의 이동속도를 서로 매칭시킬 수 있다고, 절삭유를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부위에 대한 정확하게 분사함으로써, 적은 양의 절삭유를 사용하더라도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부위를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베드 200: 절삭공구
300: 위치측정기 400: 절삭유 공급유닛
410: 본체 420: 이송스크류
430: 분사탱크 440: 구동스크류
450: 가이드바 460: 지지편
470: 누유방지부재 480: 공급호스
500: 컨트롤러

Claims (5)

  1.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이 이루어지는 작업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실린더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척이 일측에 구비된 베드;
    상기 실린더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상기 베드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절삭공구;
    상기 베드 상에서 상기 절삭공구의 위치를 측정하는 위치측정기;
    절삭유를 상기 실린더 공작물에 분사하도록 상기 베드의 타측에 마련되는 절삭유 공급유닛; 및
    상기 절삭공구의 이동에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가공부위에 상기 절삭유를 분사하기 위해, 상기 위치측정기로부터 상기 절삭공구의 위치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절삭유 공급유닛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위치측정기는
    상기 절삭공구를 향해 서로 다른 색의 광을 조사하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절삭공구에서 반사되는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의 광 특성을 측정하는 수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가공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유 공급유닛은
    상기 베드의 타측에 고정 설치되는 본체;
    상기 베드와 나란하도록 상기 본체에서 연장 형성되는 이송스크류;
    상기 이송스크류를 따라 이동 가능하고, 내부에 절삭유가 수용 가능한 분사탱크;
    상기 분사탱크에 구동연결되도록 상기 이송스크류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절삭유를 상기 실린더 공작물을 향해 분사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상기 분사탱크에 제공하는 구동스크류; 및
    상기 분사탱크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가공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유 공급유닛은
    상기 절삭유가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내측공간에서 수용되도록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양단부측에 위치되는 누유방지부재; 및
    상기 내측공간에 수용된 절삭유를 상기 분사탱크에 제공하도록 상기 분사탱크에 연결되는 공급호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가공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누유방지부재는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단부 내벽에 배치되는 마감링; 및
    상기 마감링과 상기 실린더 공작물의 단부 내벽면 사이에 배치되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가공장치.
  5. 삭제
KR1020170000927A 2017-01-03 2017-01-03 선반가공장치 Active KR101922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27A KR101922052B1 (ko) 2017-01-03 2017-01-03 선반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927A KR101922052B1 (ko) 2017-01-03 2017-01-03 선반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43A KR20180080043A (ko) 2018-07-11
KR101922052B1 true KR101922052B1 (ko) 2018-11-27

Family

ID=62917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927A Active KR101922052B1 (ko) 2017-01-03 2017-01-03 선반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0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79B1 (ko) 2021-02-25 2022-03-11 박병국 Cnc 가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34388A (zh) * 2021-08-30 2021-12-24 河南北方红阳机电有限公司 一种用于加工火炸药柱的切削装置
CN114161212B (zh) * 2021-12-23 2023-10-20 东莞市楚兴制辊有限公司 一种转辊加工装置及加工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61437U (ko) * 1996-05-16 1997-12-10 자동차시트용 s형 스프링 훅
JP5138258B2 (ja) * 2007-03-28 2013-02-06 シチズン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ガイドブッシュを備えた数値制御旋盤及びこの数値制御旋盤を用いたワークの加工方法
KR20110104600A (ko) * 2010-03-17 2011-09-23 신요섭 위치선택이 자유로운 오일미스트 공급노즐
KR101762950B1 (ko) * 2010-12-07 2017-07-28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기계용 롱칩 제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3979B1 (ko) 2021-02-25 2022-03-11 박병국 Cnc 가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043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2052B1 (ko) 선반가공장치
US20180056465A1 (en) Fluid ejection device
ITBO20030043A1 (it) Testa porta utensili per macchine utensili pluri asse
JP2016124046A (ja) 工作機械への切削液供給システム
KR101942002B1 (ko) 지능형 절삭유 분사장치 및 이의 분사방법
US20200122283A1 (en) Swarf-guiding device
JP2019123021A (ja) 工作機械のノズル制御装置
JP2011056603A (ja) 深穴加工方法および深穴加工装置
JP7262201B2 (ja) 冷却液供給装置
JP4080145B2 (ja) 加工点自動照準型クーラント液供給装置
KR101839767B1 (ko) 선반가공장치
KR100597907B1 (ko) 레이저빔을 이용한 공작물 가공장치 및 가공방법
JP3236805B2 (ja) 精密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5401223B2 (ja) 深穴加工方法および深穴加工装置
KR101593832B1 (ko) 세정도구
CN210024956U (zh) 一种水射流切割设备及其定位装置
JP2019188505A (ja) 工作機械
KR100649152B1 (ko) 씨엔씨 선반의 절삭유 분사장치
KR100835614B1 (ko) 복합가공기
JPH0541655U (ja) 可動式クーラントノズル
KR101672543B1 (ko) 쿨런트 분사 압력 제어 방법
KR101355270B1 (ko) 터렛공구대의 절삭유 공급장치
JP4078366B2 (ja) 工作機械の熱変位補正装置
JPH088054Y2 (ja) 旋削加工機の切削剤供給装置
KR0121404Y1 (ko) 공작기계의 절삭유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1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1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