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1514B1 - Storage box for farm product - Google Patents
Storage box for farm produc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21514B1 KR101921514B1 KR1020160130861A KR20160130861A KR101921514B1 KR 101921514 B1 KR101921514 B1 KR 101921514B1 KR 1020160130861 A KR1020160130861 A KR 1020160130861A KR 20160130861 A KR20160130861 A KR 20160130861A KR 101921514 B1 KR101921514 B1 KR 1019215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rface portion
- main body
- storage unit
- storage box
- agricultural produ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3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 B65D85/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 B65D85/34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particularly sensitive to damage by shock or pressure for fruit, e.g. apples, oranges or tomatoes having a meshed or apertured closure to allow contents to breath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5/00—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Cart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산물 보관 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농산물 보관 상자는 하부면부, 측면부 및 상부면부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측면부에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를 구비하고 있는 본체,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보관대, 그리고 상기 보관대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관대를 관통하여 상기 본체의 하부면과 상기 보관대 사이의 공간에 연결되는 공간을 구비한 통풍관을 포함한다.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lower surface portion, a side surface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the main body having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in the side surface portion, a storage portion disposed inside the main body, And a ventilation pipe protruding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space passing through the main body and connected to a spac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the main body.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산물 보관 상자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일반적으로, 고구마, 감자 또는 사과 등과 같은 농산물의 경우, 종이로 만들어진 상자에 담겨 운반되거나 보관된다.Generally, in the case of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sweet potatoes, potatoes or apples, they are carried or stored in boxes made of paper.
이때, 상자로의 통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상자 내에 보관 중인 농산물의 신선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t this time, the ventilation to the box is not smoothly performed, and the freshness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stored in the box is deteriorated.
따라서, 생산지에서 소비자로의 운반 도중 신선도가 하락하여 농산물의 가치가 떨어지게 되고, 소비자의 경우 상자 안에 농산물을 보관할 경우, 신선도의 하락뿐만 아니라 싹이 나거나 썩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농산물을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Therefore, the value of agricultural products is lowered due to the drop of freshness during transportation from the production site to the consumer. In case of storing the agricultural products in the box, the consumers can not use the agricultural products due to the problem of sprouting or rotting as well as the drop of freshness Lt; / RTI >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농산물의 보관 기간을 연장시키기 위한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long the shelf life of agricultural products.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는 하부면부, 측면부 및 상부면부를 구비하고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가 형성된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면부와 떨어져 있는 보관대, 상기 보관대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관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면과 상기 보관대 사이 빈 공간(S1)을 상기 보관대와 상기 상부면부 사이 빈 공간(50)과 연결하는 공간(41)이 형성된 통풍관, 상기 보관대와 상기 하부면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돌기가 형성된 받침부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는 상기 하부면부와 상기 보관대 사이에서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풍관은 상기 상부면부와 떨어져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including a main body having a lower surface portion, a side surface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having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formed therein, a storage unit located inside the main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상기 특징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는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기 복수의 결합구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may be formed at an edge of the storage bar.
삭제delete
상기 복수의 결합구의 형성 높이는 상기 통풍구의 형성 높이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is preferably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air vents.
이러한 발명에 따르면, 상자 내부의 가운데 부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통풍구를 설치하여 상자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이 발생하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entilation hole for introducing outside air into the center of the box is provided to allow the air flow inside the box to be generated.
이로 인해, 농산물이 보관된 상자 내부에서 외부와 내부 간의 공기 흐름이 발생하므로, 상자 내의 신선도가 향상되어 상자에 보관된 농산물의 보관 기간이 증가한다.As a result, the air flow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is generated inside the box where the agricultural product is stored, thereby improving the freshness in the box and increasing the storage period of the agricultural products stored in the box.
또한, 통풍구의 상자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자 내에서의 공기 흐름은 더욱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Further, since the air vent is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ox, the air flow inside the box is more efficient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에서 상부면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의 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perspective view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upper surface thereof being opened.
3 is a side view of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접속되어" 있다거나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어 있거나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거나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other elements in between do. 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5를 참고로 하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농산물 보관 상자는 본체(10), 본체(10) 내부에 안착되는 받침부(20), 받침부(20) 위에 위치하는 보관대(30), 그리고 보관대(30)에 설치되는 있는 통풍관(40)을 구비한다.1 to 5, a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본 예에서, 농산물 보관 상자의 모든 구성요소(10-40)는 종이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xample, all components 10-40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are made of paper,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plastic.
또한, 도 1에서 농산물 보관 상자는 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고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기둥이나 오각 기둥과 같은 다각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1, 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has a hexahedral shape and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of a polygonal column such as a cylinder or a pentagonal column.
본체(10)는 하부면부(11), 측면부(12) 및 상부면부(13)를 구비하고 있다.The
하부면부(11)는 농산물 보관 상자의 바닥면을 구성한다.The lower surface portion 11 constitutes the bottom surface of 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본 예에서, 하부면부(11)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하나의 하부면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상면부의 구조와 동일하게 네 개의 하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is example, the lower surface portion 11 is formed of one lower surface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bu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may be composed of four lower surfaces as in the structure of the upper surface portion.
측면부(11)은 하부면부(11)와 상부면부(13) 사이에서 하부면부(11)와 상부면부(13)에 끊임없이 연결되어, 본체(10) 내부에 측면부(11)로 에워싸여진 빈 공간(5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The side surface portion 11 is constantly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portion 11 and the
도 1의 경우 농산물 보관 상자는 육면체 형상을 갖고 있으므로, 측면부(12)의 개수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총 네 개의 측면(즉 제1 내지 제4 측면)(121-124)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측면부(11)를 구성하는 측면의 개수는 농산물 보관 상자의 형상에 따라 가변된다.1, 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has a hexahedron shape, so that the number of the
제1 내지 제4 측면(121-124)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H1)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통풍구(H1)를 통해 외부 공기가 농산물 보관 상자 내부로 유입된다.At least one of the first to
이때, 본 예의 경우, 모든 측면(121-124)에 동일한 개수의 통풍구(H1)가 설치되어 있고, 서로 대향하고 있는 측면(121-122, 123-123)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통풍구(H1)의 위치는 서로 마주보게 위치하고 있다. 이로 인해, 서로 마주보고 있는 두 통풍구(H1)를 통해 공기의 흐름이 원활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in this example, the same number of ventilation holes H1 are provided on all sides 121-124, and the ventilation holes H1 formed on the side surfaces 121-122 and 123-123 facing each other The locations are located facing each other. As a result, air flows smoothly through the two ventilation openings H1 facing each other.
또한, 각 측면(121-124)의 동일한 높이에는 복수의 결합구(H2)가 형성되어, 보관대(30)의 체결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결합구(H2)의 형성 높이는 통풍구(H1)의 형성 높이보다 높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H2 are formed at the same height of each of the side surfaces 121-124 so that the fastening operation of the storage table 30 can be performe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coupling hole H2 is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vent hole H1.
받침부(20)는 본체(10)의 하면부(10)와 보관대(30) 사이에 위치하여 보관대(30)를 지지한다. The
따라서, 받침부(20)로 인해, 농산물이 위치하는 보관대(30)의 무게로 인해, 보관대(30)의 적어도 일부가 하부면(10) 쪽으로 가라앉는 현상을 방지한다.Therefore, the
이러한 받침부(20)에는 보관대(30) 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복수의 지지 돌기(21)가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지지 돌기(21) 위에 보관대(30)가 위치하게 된다.A plurality of
보관대(30)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고 있고, 가장자리부에는 측면(121-124)에 형성된 각 결합구(H2)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31)가 형성되어 있다.The holding table 30 has a rectangular planar shape and a plurality of
따라서, 받침부(20)의 지지 돌기(21) 위에 위치된 후, 보관대(30)의 복수의 결합 돌기(31)는 대응하는 해당 결합구(H2) 속으로 각각 삽입되므로, 보관대(30)의 위치는 측면(121-124)의 해당 높이에 고정된다.The plurality of
통풍관(40)은 보관대(30)의 대략 가운데 부분에서 농산물 보관 상자의 높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때, 통풍관(40)은 상부면부(10) 쪽으로 돌출되어 있다.The
통풍관(40)의 내부는 비어 있고 통풍관(50)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보관대(30)를 관통하여 하부면부(10)와 보관대(30) 사이에 형성된 공간, 즉 받침부(20)과 위치하는 공간인 이격 공간과 통해 있다.The space inside the
이미 설명한 것처럼, 도면에서 화살표로 도시한 것처럼, 이격 공간에는 복수의 통풍구(H1)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고, 이격 공간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통풍관(50) 등을 통해 농산물이 위치하는 보관대(30) 쪽으로 흐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outside air flows into the spacing space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1,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spacing space passes through the
따라서, 보관대(30)와 상부면부(1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인 농산물이 위치하는 보관 공간에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Thus, outside air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where agricultural products, which is a space formed between the
상부면부(13)는 각 측면(121-124)에 끊임없이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상부면(131-134)을 구비하고 있고 복수의 상부면(131-134)의 접힘 동작으로 인해, 상부면부 본체(10) 내부에 형성된 보관 공간을 덮어 보관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킨다.The
따라서, 사용자는 본체(10)의 하부면에 발침부(20)를 위치시키고, 받침부(20) 위에 보관대(30)를 위치시킨다.Therefore, the user places the
그런 다음, 사용자는 보관대(30)에 형성된 결합 돌기((31)는 각 대응하는 결합구(H2)에 삽입시켜, 보관대(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The user then inserts the
그런 다음, 감자나 고구마 등과 같은 농산물을 보관대(30) 위의 보관 공간에 위치시킨 후 상부(131-134)를 접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이격된 상부면을 밀봉시켜 농산물 보관 상자 내에 농산물의 포장 동작을 실시하게 된다.Then, the agricultural products such as potatoes and sweet potatoes are placed in the storage space on the
이런 상태에서는 복수의 통풍구(H1)를 통해 외부 공기가 농산물 보관 상자 내부로 유입되고, 상자 내부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통풍관(40)을 따라 농산물이 보관되어 있는 보관 공간 내로 유입되어 농산물이 보관된 보관 공간으로의 외부 공기 유입이 이루어져 농산물의 신선도를 연장시키게 된다.In this state,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through the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H1, and the outside air introduced into the box flows into the storage space where the agricultural products are stored along the
또한, 상부면부(13)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있는 경우, 농산물 보관 상자의 하부에서부터 상부로의 공기 흐름이 이루어져, 농산물 보관 상자 내에 위치한 농산물의 보관 기간이 연장된다.Further, when at least a part of the
본 예와 달리, 대안적인 예에서, 받침부(20)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보관대(30)는 결합 돌기(31)과 결합구(H2) 간의 연결을 통해 위치가 고정된다.In contrast to this example, in an alternative example,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 본체 20: 받침부,
30: 보관대 40: 통풍관
11: 하부면부 12: 측면부
13: 상부면부 21: 지지 돌기
31: 결합 돌기 H1: 통풍구
H2: 결합구10: main body 20:
30: Storage stand 40: Ventilation pipe
11: lower surface portion 12: side surface portion
13: upper surface portion 21: support projection
31: Coupling protrusion H1: Vents
H2:
Claims (4)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면부와 떨어져 있는 보관대,
상기 보관대에서 상기 본체의 상부면부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보관대를 관통하여 상기 하부면과 상기 보관대 사이 빈 공간(S1)을 상기 보관대와 상기 상부면부 사이 빈 공간(50)과 연결하는 공간(41)이 형성된 통풍관,
상기 보관대와 상기 하부면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보관대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돌기가 형성된 받침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는 상기 하부면부와 상기 보관대 사이에서 상기 측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풍관은 상기 상부면부와 떨어져 있는
농산물 보관 상자.A main body having a lower surface portion, a side surface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portion and formed with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A storage unit located inside the body and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A space 41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in the storage unit and passing through the storage unit and connecting the empty space S1 between the lower surface and the storage unit to the empty space 50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upper surface portion The formed vent pipes,
And a plurality of support protrusions disposed between the storage unit and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supporting the storage unit,
/ RTI >
Wherein the at least one ventilation opening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between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the storage space, and the ventilation pipe is separated from the upper surface portion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상기 측면부에는 복수의 결합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보관대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상기 복수의 결합구에 삽입되는 복수의 결합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농산물 보관 상자.The method of claim 1,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in the side portion, and a plurality of coupling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coupling holes are formed at an edge of the storage case
Agricultural product storage box.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0861A KR101921514B1 (en) | 2016-10-10 | 2016-10-10 | Storage box for farm produc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30861A KR101921514B1 (en) | 2016-10-10 | 2016-10-10 | Storage box for farm produc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9803A KR20180039803A (en) | 2018-04-19 |
KR101921514B1 true KR101921514B1 (en) | 2018-11-26 |
Family
ID=62087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30861A Active KR101921514B1 (en) | 2016-10-10 | 2016-10-10 | Storage box for farm produc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21514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623Y1 (en) * | 2004-08-27 | 2004-11-26 | 박현자 | Air Cooiling Vegetable Box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40009918B1 (en) * | 1991-12-23 | 1994-10-18 | 주식회사금호 | Bead setting device for tire forming |
JPH10211969A (en) * | 1996-11-28 | 1998-08-11 | Hankyu Kyoei Bussan Inc | Paper-made packaging container |
KR20000016424U (en) * | 1999-02-01 | 2000-09-25 | 박종규 | an aerator of mushroom box |
KR100807123B1 (en) * | 2007-11-30 | 2008-03-03 | 주식회사 대동그린산업 | Fruit vegetable packaging box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with an inner coating layer |
-
2016
- 2016-10-10 KR KR1020160130861A patent/KR1019215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68623Y1 (en) * | 2004-08-27 | 2004-11-26 | 박현자 | Air Cooiling Vegetable Box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39803A (en) | 2018-04-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56859B2 (en) | Stackable elevated planter | |
US9321584B1 (en) | Potted tree support assembly | |
US8312674B2 (en) | Stackable planter | |
AU2022200427B2 (en) | A Produce Container | |
KR101451680B1 (en) | Strawberry packing individual packing box | |
US20190239639A1 (en) | Compact shelf assembly | |
KR20120008160A (en) | Adjustable storage box | |
KR101921514B1 (en) | Storage box for farm product | |
US20150034502A1 (en) | Soap Container Convertible to Soap Holder | |
US20130015147A1 (en) | Rack with holder sheet members for holding cap-shaped items | |
KR20200143978A (en) | Packing Box Assembly | |
JP5778618B2 (en) | Planting tools | |
JP3142628U (en) | Food packaging container with protrusions to prevent bottom deflection | |
KR200488612Y1 (en) | paper box for containning foods | |
KR20190015676A (en) | Packing box for transporting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 | |
JP2005124519A (en) | Pot storage tray | |
KR20090087250A (en) | Squid Freezing Base | |
ES1134239U (en) | Stackable box for the storage and transport of vegetable products live (Machine-translation by Google Translate, not legally binding) | |
JP6814025B2 (en) | Assembly container | |
KR20200001719U (en) | Packing box | |
KR101011720B1 (en) | Packing box | |
BR202014029586U2 (en) | modular box with air vents for general shoe packaging | |
JP3139546U (en) | Storage dish | |
KR20150019396A (en) | a stackable basket | |
KR20200073924A (en) | a tangerine fresh storage conta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01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11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