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25909B1 -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5909B1
KR101925909B1 KR1020180072581A KR20180072581A KR101925909B1 KR 101925909 B1 KR101925909 B1 KR 101925909B1 KR 1020180072581 A KR1020180072581 A KR 1020180072581A KR 20180072581 A KR20180072581 A KR 20180072581A KR 101925909 B1 KR101925909 B1 KR 101925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ume
soil
gypsum
blueberry
sulf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병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농바이오텍
하병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농바이오텍, 하병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농바이오텍
Priority to KR102018007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59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590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2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natural organic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1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 A01G24/1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based on or containing inorganic material containing soil miner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4/4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 A01G24/42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f granular or aggregated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3/00Calcareous fertilisers
    • C05D3/02Calcareous fertilisers from limeston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ate, slaked lime, calcium oxide, waste calcium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9/00Other inorganic fertilisers
    • C05D9/02Other in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trace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2Other organic fertilisers from peat, brown coal, and similar vegetable deposits
    • C05F11/04Horticultural earth from pe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블루베리의 생육에 적합한 산도(pH), 유기물·무기물 함량, 배수성 및 통기성을 나타내어 블루베리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베리 재배 토양 환경에 부족한 미량의 원소들을 포함시켜, 블루베리 재배시 잎의 백화 현상이나 내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Culture soil for growing blueberr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베리 생육 특성에 적합한 산도, 유기물 함량, 배수성 및 통기성을 보이며, 블루베리의 백화현상이나 내한성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에 관한 것이다.
블루베리는 쌍떡잎 식물 진달래목 진달래과 정금나무속에 속하는 식물로, 품종은 크게 하이부쉬 계열과 래빗아이 계열로 나뉜다.
블루베리는 진달래과에 속하기 때문에 산성 토양과 물빠짐이 좋은 사양토에서 잘 자라며, 뿌리에 가는 세근(細根)이 많고 토양 표면 주위로 뿌리 분포가 발달하기 때문에 토양내 유기물 함량이 높아야 하며 일반적으로 토양내 유기물 함량이 5 % 이하인 곳에서는 잘 자라지 않는 경향이 있다. 특히 블루베리는 토양 pH에 민감한 영향을 받는데 하이부쉬 계열은 토양 pH 4.0~5.2, 래빗아이 계열은 토양 pH 4.2~5.5 정도에서 잘 자라며 토양 pH가 6.0 이상에서는 생육 피해를 받는다.
이에 따라, 토양 pH가 높은 재배지에서는 토양 산도 개량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고체 유황이 많이 사용된다. 토양 pH가 7.0인 사토(沙土) 및 양토(壤土)를 pH 4.5로 낮추는데 필요한 고체 유황의 양은 각각 825kg/ha, 2,640kg/ha 정도인데, 고체 유황은 물에 잘 녹지 않아 황산염 이온으로 전환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일반 농가에서는 고체 유황의 높은 가격과 독성으로 시비하는데 어려움이 있어 시비하기를 꺼리는 경향이 있다.
블루베리 생육은 토양의 화학성인 산도뿐만 아니라 토양의 물리성인 물빠짐과 토양 경도에도 많은 영향을 받아, 일반 과일나무처럼 토양을 개량하지 않고 나무를 식재하면 블루베리 나무가 잘 자라지 않고 몇 년 이내에 고사하는 경향이 많다. 따라서 일반 농가에서는 유기물 함량이 높고 pH가 낮은 피트모스를 구입하여 토양과 혼합하여 블루베리를 식재하고 있으나 여름 장마철 또는 우기철이나 상습 배수 불량지에서는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피트모스(peat moss)는 약 3,000년 이전 늪지대의 수생식물, 갈대, 이끼 등의 식물이 높아진 지하수위에 의해 혐기상태로 오랜 세월 동안 퇴적 침적된 유기물이기 때문에 수분 흡수력이 높아 과습되기 쉽고 피트모스 자체의 덩어리짐 현상이 발생되어 통기성 및 배수성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친다.
이와 같은 불루베리 작물의 특이한 생육환경으로 인해, 일반 노지 토양에 블루베리 묘목을 정식하기 보다는 블루베리 생육환경에 맞춘 블루베리 맞춤형 인공 상토를 재배용기에 채워 블루베리 묘목을 정식하여 재배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일부 농가에서는 블루베리의 생육생리를 무시한 채, 피트모스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톱밥, 마사토, 퇴비 등과 혼합하여 안정성 평가를 위한 연구 없이 자체적으로 상토를 제조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결과로 굼벵이 발생 피해, 잡초 발생, 뿌리 장애, 가스 피해, 생육불량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1673호 에서는 블루베리 낙과 방지를 위하여 칼슘 공급용으로 석고를 이용한 석고비료를 제조하여 토양에 시비하는 것을 제안하였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0240호 에서는 블루베리에 장기간 영양성분을 공급하기 위해 유채박, 면실박, 대두박, 골분 등과 같은 유기질 물질을 혼합, 발효 및 건조하여 유기비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다만, 상기 기술들은 대부분 블루베리 재배용 양분공급을 위한 비료에 관한 것으로, 블루베리 생리특성에 알맞은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에 관한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8167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0240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블루베리의 재배생육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물 30 ~ 80 부피 % ;
인산부산석고, 천연석고 및 탈황석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석고 5 ~ 50 부피 % ;
규조토, 사문석, 제올라이트, 마사토, 황토, 고령토, 질석 및 펄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물 5 ~ 50 부피 % ; 및
황산아연, 황산철, 킬레이트 철, 황산구리, 황산망간, 몰리브덴산나트륨 및 붕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량원소 함유 물질 0.1 ~ 1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를 제공한다.
상기 유기물은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1 : 0.1 ~ 1 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석고는 인산부산석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규조토 1 ~ 10 부피 % , 사문석 1 ~ 10 부피 % , 제올라이트 1 ~ 30 부피 % 및 펄라이트 1 ~ 10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미량원소 함유 물질은 황산아연 및 황산철을 1 : 0.1 ~ 10 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블루베리의 생육에 적합한 산도(pH), 유기물·무기물 함량, 배수성 및 통기성을 나타내어 블루베리의 생육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베리 재배 토양 환경에 부족한 미량의 원소들을 포함시켜, 블루베리 재배시 잎의 백화 현상이나 내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 시험의 블루베리 배양토 혼합 처리전 전경과 블루베리 생육 조사 시 전경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물 30 ~ 80 부피 % ;
인산부산석고, 천연석고 및 탈황석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석고 5 ~ 50 부피 % ;
규조토, 사문석, 제올라이트, 마사토, 황토, 고령토, 질석 및 펄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물 5 ~ 50 부피 % ; 및
황산아연, 황산철, 킬레이트 철, 황산구리, 황산망간, 몰리브덴산나트륨 및 붕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량원소 함유 물질 0.1 ~ 1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물 30 ~ 80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유기물 30 ~ 8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0 ~ 75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7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유기물이 상기 기재된 부피 %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블루베리 생육에 충분한 유기물 함량이 확보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재된 부피 %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상대적으로 석고, 무기물, 미량원소 함유 물질의 함량이 낮아져 블루베리 생육 개선에 필요한 성분들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피트모스(peat moss)는 이탄토, 습지, 늪 등에 수생식물류 및 그 밖의 것이 다소 부식화되어 쌓인 것으로, 선태이탄 이라고도 한다.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 마른 피트모스를 기준으로 자기 무게의 15 ~ 20 배까지 흡수할 수 있고, pH 3.5 ~ 4.5 로 산성이며, 양분 보존 능력이 높다.
또한, 보온, 보수, 통기성이 우수하여 토양이 단단해지는 것을 막고, 토양의 미생물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코코피트(coco peat)는 열대지방에서 많이 나는 코코넛 열매의 껍질(husk)에서 코이어 섬유를 제거한 잔류 물질이다. 즉, 코코넛 껍질에서 섬유질인 코코넛 파이버를 추출 제거한 다음에 남은 코코넛 더스트를 물리화학적 과정을 거켜 생산된 재료를 의미한다.
코코피트는 화학적으로는 리그닌, 셀룰로오스 등 불활성 섬유질 성분이면서 상당한 유기 양분과 미량요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보수, 보비, 통기, 흡수성이 좋고 pH는 5.5 ~ 6.5의 범위를 갖는다.
특히, 통기성, 보수력, 보비력이 좋아 뿌리 성장에 좋으며, 토양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하여 토양에 유용한 화학반응을 촉진시키고 토양 속에서 장기간 부패하지 않아 물리성을 개선시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유기물은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1 : 0.1 ~ 1 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기물은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1 : 0.1 ~ 1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 3 ~ 0.8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 4 ~ 0. 6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에서,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상기 기재된 범위의 부피비로 포함할 경우, 블루베리 생육에 최적화된 산도(pH) 및 보온, 보수, 통기성과 같은 물리적 성질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유기물은 피트모스 10 ~ 70 부피 % 및 코코피트 5 ~ 50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유기물은 피트모스 10 ~ 70 부피 % 및 코코피트 5 ~ 5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트모스 20 ~ 60 부피 % 및 코코피트 10 ~ 4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피트모스 30 ~ 50 부피 % 및 코코피트 15 ~ 3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의 부피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배양토의 산도가 pH 4.0 ~ 5.5 의 범위 내로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피트모스의 비율이 높아지면 pH가 낮아지고, 코코피트의 비율이 높아지면 pH가 높아지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피트모스의 함량이 상기 기재된 부피비 범위를 초과할 경우, 과습되어 덩어리짐 현상이 발생되어 통기성 및 배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인산부산석고, 천연석고 및 탈황석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석고 5 ~ 50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석고 5 ~ 5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 4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석고가 상기 기재된 부피 % 범위를 벗어날 경우, 블루베리 재배용 토양의 산도가 조절되지 않거나, 블루베리 생육에 필요한 칼슘, 유황, 규산, 철, 인산과 같은 성분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석고는 인산부산석고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인산부산석고는 화학비료 인산생산 공정에서 부산물로 생성되는 것으로, pH가 약 2~4 정도의 강산이며, CaSO2H2O 93 % , SiO2 3.3 % , Al2O3 0.9 % , Fe2O3 1.1 % , P2O5 1.0 % 의 화학조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인산석고는 인광석이 황산에 의해 반응되어 나온 생산물이어서 자체 표면적이 넓고 밀도가 낮아 토양의 배수성과 물리성을 향상시키며, 작물 뿌리 발달에 효과가 있다.
또한, 블루베리 작물에 부족하기 쉬운 철성분과 유황 성분을 부수적으로 충분히 공급할 수 있고, 블루베리 열매 낙과 문제와 저장성 향상을 위해 칼슘 성분도 충분히 들어 있어 블루베리 생육에 특히 적합한 성분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규조토, 사문석, 제올라이트, 마사토, 황토, 고령토, 질석 및 펄라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무기물 5 ~ 50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무기물 5 ~ 5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 ~ 4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3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무기물이 상기 기재된 부피 % 범위를 벗어나 포함될 경우, 블루베리 재배용 토양의 산도가 조절되지 않거나, 블루베리 생육에 필요한 무기물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기물은 규조토 1 ~ 10 부피 % , 사문석 1 ~ 10 부피 % , 제올라이트 1 ~ 30 부피 % 및 펄라이트 1 ~ 10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규조토 1 ~ 10 부피 % , 사문석 1 ~ 10 부피 % , 제올라이트 1 ~ 30 부피 % 및 펄라이트 1 ~ 10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규조토 2 ~ 8 부피 % , 사문석 2 ~ 8 부피 % , 제올라이트 2 ~ 25 부피 % 및 펄라이트 1 ~ 8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규조토 4 ~ 6 부피 % , 사문석 4 ~ 6 부피 % , 제올라이트 3 ~ 20 부피 % 및 펄라이트 2 ~ 5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규조토는 평균 크기 50 ~ 100 ㎛ 크기의 단세포 생물인 규조류의 유해가 해저 또는 호수 밑에 퇴적되어 생성된 퇴적물 집합체이다. 규조토는 내부에 수많은 다공성 공극을 이용하여 비료 양분과 같은 기능성 물질을 담지시켜 비료 양분을 외부로 서서히 방출시키는 서방성 효과도 가질 수 있다.
화학적 성분은 SiO2 78 ~ 86 % , Al2O3 5 ~ 10 % , Fe2O3 1 ~ 3 % , MgO 0.5 ~ 1.0 % , CaO 0.1 ~ 2.0 % 정도이고, pH는 약 3.5 ~ 5.0 정도로 pH 조절제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게의 2 ~ 3배나 되는 액체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며, 토양 내 해충 표면 겉에 붙어 습기를 빨아들여 죽이는 효과를 나타내어 해충 구제에 사용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규조토를 일정 함량 포함함으로써, pH를 일정 범위로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규조토 내부의 다공성 공극에 비료 성분을 보관시켜 비료 유실을 예방할 수 있으며 토양 해충 발생 억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사문석은 감람석이나 휘석이 물과 반응하여 변질되어 생긴 규산염광물로, 화학식은 Mg3Si2O5(OH)4 이다. 주로 기름진 얇은 판 모양의 안티고라이트(antigorite)와 섬유모양의 온석면, 리자다이트(lizardite) 등으로 나타나며, 분해되면 적갈색의 미끄러운 흙으로 된다. 산화 마그네슘(MgO)이 풍부하여 토양 개량제로 사용되기에 적합한 특성을 가지며, 마그네슘 비료 공급원으로 전 세계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충남과 경북 지역에 많이 매장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사문석은 국내 사문석 광산에서 채취한 원석을 1mm 이하로 분쇄하고, 분쇄된 분말을 1,000 ~ 1,200 ℃ 정도의 소성로에서 약 2 ~ 3 시간 소성 처리하여 불순물을 태워 비료의 성분함량과 물에 대한 용해도를 높인 소성 제품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때 화학 조성은 SiO2 38.5 % , CaO 2.6 % , MgO 36.2 % , Fe2O3 5.8 % 를 나타내었다.
블루베리는 물 빠짐이 좋은 산성계 사질 토양에서 잘 자라는 특징이 있으나, 대부분의 산성계 사질 토양은 마그네슘이 부족하여 블루베리의 엽록소를 파괴하고 이로 인해 조기 낙엽되어 꽃눈 형성에 장애를 일으키며 내한성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사문석을 일정 함량 포함함으로써, 토양의 산도를 유지하면서도 마그네슘을 충분히 공급하여 블루베리 재배시 나타날 수 있는 내한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알루미늄 산화물과 규산 산화물의 결합으로 생겨난 음이온에 알칼리 금속 및 알칼리 토금속이 결합되어 있는 광물을 총칭하는 것으로, 결정질 알루미늄 규산염광물을 의미한다.
결정구조 내에 있는 양이온의 작용에 의해 불포화 탄화수소나 극성물질을 선택적으로 강하게 흡착하는 성질을 가지며, 일정한 크기의 세공경을 가지고 있어 이보다 작은 분자를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흡착하는 분자체 효과를 가진다.
또한, 결정구조 내에 교환가능한 양이온을 함유하고 있어 용이하게 다른 양이온과 자유롭게 교환되는 이온교환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제올라이트를 일정 함량 포함함으로써, 제올라이트의 다공성 구조로 인한 배수성, 투습성을 향상시키고 수분을 충분히 공습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제올라이트는 마사토, 황토, 고령토, 질석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펄라이트는 진주암(pearlite)을 분쇄하여 고온과열·발포처리하여 제조한 백색의 다공질체이다. 펄라이트의 전 공극량은 77 ~ 93 % , 조공극은 45 ~ 50 % 이며 유효모관공극도 30 ~ 40 % 에 해당하여, 토양의 유효수분 보유공극을 크게 증가시켜 보수성을 개량할 수 있다.
또한, 전용적밀도가 극히 낮으며 고상률이 10 % 에 미치치 못할 정도로 가볍기 때문에 혼합하는 토양을 경량화 하면서 통기성, 투수성을 높이고, 토양경도, 응집성 및 부착성을 개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펄라이트를 일정 함량 포함함으로써, 배수성 및 통기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황산아연, 황산철, 킬레이트 철, 황산구리, 황산망간, 몰리브덴산나트륨 및 붕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미량원소 함유 물질 0.1 ~ 1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상기 미량원소 함유 물질 0.1 ~ 1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미량원소 함유 물질 0.3 ~ 0.9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미량원소 함유 물질 0.4 ~ 0.8 부피 % 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미량원소 함유 물질가 상기 기재된 부피 % 범위를 벗어나 포함될 경우, 블루베리 재배용 토양에 필요한 성분들이 충분히 공급되지 않거나, 소량으로 필요한 성분들이 불필요하게 공급되어 결핍증 및 과잉증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미량원소 함유 물질은 황산아연 0.1 ~ 0.5 부피 % 및 황산철 0.1 ~ 0.5 부피 %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토양의 pH가 높거나 장마철 우기 때 침수 피해를 받았을 때, 또는 인산질 비료를 과용 시비하여 철과 아연 성분인 인산과 결합하여 불용화 되었을 때 블루베리의 잎이 흰색으로 변하는 백화현상이 자주 나타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는 특히 미량원소 함유 물질로 황산아연 및 황산철을 일정 함량 포함함으로써, 블루베리 재배시 토양에 부족할 수 있는 철과 아연 성분 부족문제를 해결하여 백화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량원소 함유 물질은 황산아연 및 황산철을 1 : 0.1 ~ 10 의 부피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미량원소 함유 물질은 황산아연 및 황산철을 1 : 0.1 ~ 10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 : 0. 3 ~ 5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0. 5 ~ 2 의 부피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황산아연 및 황산철이 상기 기재된 범위의 부피비로 포함될 경우, 아연 및 철 성분이 블루베리 생육에 최적화된 함량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석고 함량 10 부피 %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의 제조
피트모스 40 부피 % , 코코피트 19.4 부피 % , 인산부산석고 10 부피 % , 사문석 5 부피 % , 규조토 6 부피 % , 제올라이트 17 부피 % , 펄라이트 2 부피 % , 황산아연 0.3 부피 % , 황산철 0.3 부피 % 비율로 혼합하여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석고 함량 20 부피 %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의 제조
피트모스 40 부피 % , 코코피트 19.4 부피 % , 인산부산석고 20 부피 % , 사문석 4 부피 % , 규조토 4 부피 % , 제올라이트 10부피 % , 펄라이트 2 부피 % , 황산아연 0.3 부피 % , 황산철 0.3 부피 % 비율로 혼합하여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석고 함량 30 부피 %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의 제조
피트모스 40 부피 % , 코코피트 19.4 부피 % , 인산부산석고 30 부피 % , 규조토 4 부피 % , 제올라이트 3 부피 % , 펄라이트 3 부피 % , 황산아연 0.3 부피 % , 황산철 0.3 부피 % 비율로 혼합하여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피트모스 100 부피 % 배양토의 제조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하여, 피트모스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피트모스 100 부피 % 의 배양토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의 구성성분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피트모스
(부피 % )
40 40 40 100
코코피트
(부피 % )
19.4 19.4 19.4 -
인산부산석고
(부피 % )
10 20 30 -
규조토
(부피 % )
6 4 4 -
사문석
(부피 % )
5 4 - -
제올라이트
(부피 % )
17 10 3 -
펄라이트
(부피 % )
2 2 3 -
황산아연
(부피 % )
0.3 0.3 0.3 -
황산철
(부피 % )
0.3 0.3 0.3 -
<실험예 1>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내 산도(pH) 및 전기전도도(EC) 변화 조사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의 화학성 변화 조사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배양토를 3개월마다 파포하여 농촌진흥청 추천 상토분석 기준법에 의하여 상토의 pH 및 EC를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결과를 하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pH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3개월 5.2 5.1 4.8 4.5
6개월 5.3 5.0 4.9 4.6
9개월 5.5 5.2 5.1 4.8
12개월 5.3 5.1 5.0 4.7
EC(ds/m)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3개월 0.79 0.81 1.10 0.40
6개월 0.77 0.85 1.11 0.43
9개월 0.81 0.83 1.13 0.45
12개월 0.82 0.91 1.10 0.41
상기 표 2 및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고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배양토 내 pH는 낮아지고 EC는 증가하였으나, 시간 경과일에 따라서는 배양토내 pH 및 EC 변화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산도(pH)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pH가 낮아지진 않았지만 블루베리가 잘 자라기 위한 산도인 pH 4.0 ~ 5.5 범위의 값을 보였다.
또한, 전기전도도(EC)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 모두에서 0.77 ~ 1.13 ds/m 범위로 1.2 ds/m 미만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블루베리 재배 시험
재배 용기 약 60L에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배양토를 채운 후, 블루베리 2년생 묘목(품종 : 브릿지타)을 5반복 식재하여 평균 실험결과 값을 얻었다(도 1 참조).
묘목 식재 후 1, 2 년 경과일에 각각 생육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식재년수 배양토 수고(m) 수폭(m) 주축갯수
(개/주)
신초수
(개/주)
1년차 실시예 1 0.7 0.8 1.1 1.1
실시예 2 0.7 0.9 1.2 1.3
실시예 3 0.7 0.7 1.1 1.1
비교예 1 0.5 0.5 1.0 0.6
2년차 실시예 1 1.8 1.5 4.2 1.7
실시예 2 1.9 1.8 4.6 1.8
실시예 3 1.7 1.5 4.3 1.6
비교예 1 1.2 0.9 3.4 1.2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의 배양토를 이용하여 용기 재배를 실시한 결과, 피트모스 단독으로 구성된 비교예 1의 배양토와 비교하여 블루베리의 생육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인산부산석고가 20 부피 % 로 혼합된 실시예 2에서 블루베리의 수고, 수폭, 주축갯수, 신초수가 모두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Claims (5)

  1. 피트모스 및 코코피트를 포함하는 유기물 50 ~ 70 부피 % ;
    인산부산석고, 천연석고 및 탈황석고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석고 10 ~ 30 부피 % ;
    규조토, 사문석, 및 펄라이트를 포함하고, 제올라이트, 마사토, 황토, 고령토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무기물 10 ~ 30 부피 % ; 및
    황산아연 및 황산철을 포함하고, 킬레이트 철, 황산구리, 황산망간, 몰리브덴산나트륨 및 붕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미량원소 함유 물질 0.4 ~ 0.8 부피 % 를 포함하며,
    상기 유기물은 피트모스 30 ~ 50 부피 % 및 코코피트 15 ~ 30 부피 %를 포함하고,
    상기 무기물은 규조토 1 ~ 10 부피 %, 사문석 1 ~ 10 부피 %, 펄라이트 1 ~ 10 부피 % 및 제올라이트, 마사토, 황토, 고령토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1 ~ 30 부피 % 를 포함하며,
    상기 황산아연 및 황산철은 황산아연 0.1 ~ 0.5 부피 % 및 황산철 0.1 ~ 0.5 부피 %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석고는 인산부산석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2581A 2018-06-25 2018-06-25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Active KR101925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81A KR101925909B1 (ko) 2018-06-25 2018-06-25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81A KR101925909B1 (ko) 2018-06-25 2018-06-25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5909B1 true KR101925909B1 (ko) 2018-12-06

Family

ID=64671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581A Active KR101925909B1 (ko) 2018-06-25 2018-06-25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59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0436A (zh) * 2019-09-29 2019-12-06 曲靖佳沃现代农业有限公司 适合高原蓝莓种植的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2173970B1 (ko) * 2020-07-01 2020-11-04 윤정미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4766342A (zh) * 2022-04-22 2022-07-22 大连大学 一种蓝莓容器栽培的新方法
CN116138134A (zh) * 2023-01-17 2023-05-23 北京林业大学 一种土质材料培养基、制备方法及其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560A1 (ja) * 2014-12-26 2016-06-30 吉野石膏株式会社 ブルーベリー用石膏肥料及びブルーベリーの落果抑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04560A1 (ja) * 2014-12-26 2016-06-30 吉野石膏株式会社 ブルーベリー用石膏肥料及びブルーベリーの落果抑制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40436A (zh) * 2019-09-29 2019-12-06 曲靖佳沃现代农业有限公司 适合高原蓝莓种植的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2173970B1 (ko) * 2020-07-01 2020-11-04 윤정미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14766342A (zh) * 2022-04-22 2022-07-22 大连大学 一种蓝莓容器栽培的新方法
CN116138134A (zh) * 2023-01-17 2023-05-23 北京林业大学 一种土质材料培养基、制备方法及其应用
CN116138134B (zh) * 2023-01-17 2023-09-19 北京林业大学 一种土质材料培养基、制备方法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8276B1 (ko) 바이오차를 활용한 유기 탄소 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N102020506B (zh) 草木灰育苗基质及其制备方法
KR101925909B1 (ko) 블루베리 재배용 배양토 및 이의 제조방법
CA3098901A1 (en) Plant growth matrix
CN103130561A (zh) 优质花卉生长培养土
KR101657964B1 (ko) 목섬유를 포함하는 육묘장 전용 원예용 상토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4119168A (zh) 凹凸棒压缩营养土的生产方法
CN109618870B (zh) 一种花卉或树木移栽用培养土及其制备方法
CN102976849A (zh) 用于种植蓝莓的复合土壤及其制备方法
KR101925910B1 (ko) 인산부산석고 및 사문석을 이용한 수도용 상토 조성물
CN106905055A (zh) 一种园艺凹凸棒营养土及其制备方法
KR100841782B1 (ko) 수도용 압축 상토 및 그 제조방법
KR101168754B1 (ko) 광물을 이용한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214897B1 (ko) 퇴비, 토양개량 및 비료 효과가 동시에 있는 종합 토양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56285B1 (ko) 탄닌 저감 방식의 코코피트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코코피트를 포함하는 식물처리제
KR100696099B1 (ko) 임해지, 쓰레기매립지, 척박지, 골프장 조성지의토양개량을 위한 배합토 및 그 제조방법
CN108633547A (zh) 一种木本植物保育箱及其制备方法与使用方法
RU2367140C2 (ru) Способ укоренения зеленых черенков легкоразмножаемых ягодных и декоративных кустарников
KR102405579B1 (ko) 색다른 영양공급과 보비력 및 보수력 등에 의해 작물성장을 활성화시키는 상토조성물의 제조방법과 그로 인한 상토조성물
KR100478194B1 (ko) 경량화된 뗏장의 생산 방법
KR100742503B1 (ko) 수목의 생육 촉진을 위한 액체 비료가 함유된 숯볼의 제조방법
JPH01312934A (ja) 植物栽培用培地
KR102043132B1 (ko) 제오라이트를 포함하는 염해지용토양개량제조성물
CN106242688A (zh) 一种白芨专用栽培介质及白芨栽培方法
KR101410250B1 (ko) 미생물 생장 제어 및 근권 강화를 위한 수도용 상토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7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9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01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