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13639B1 - 전기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3639B1
KR101913639B1 KR1020170110934A KR20170110934A KR101913639B1 KR 101913639 B1 KR101913639 B1 KR 101913639B1 KR 1020170110934 A KR1020170110934 A KR 1020170110934A KR 20170110934 A KR20170110934 A KR 20170110934A KR 101913639 B1 KR101913639 B1 KR 101913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
electrical connection
push plate
electrical
cam foll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일식
장광진
김정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헬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헬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헬릭스
Priority to KR1020170110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3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3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3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푸시 플레이트,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일면에는 경사 구간이 형성될 수 있고 타면에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타면 쪽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연결 장치{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전기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장치, 검사 장치 등의 사용에서는 전기 연결 장치를 사용하여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다수개의 접속 핀들을 갖는 전기 접속체들이 개발됨에 따라 전기 연결 장치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개발되어야 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다수개의 접속 핀들을 갖는 전기 접속체들을 보다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푸시 플레이트, 제1 클램프, 및 제2 클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부가 타면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타면과 반대되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전기 연결 장치는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가압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위치하는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포저 커넥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일면에는 경사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면에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부가 형성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타면 쪽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경사 구간의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경사 구간의 상부 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제2 클램프 쪽으로 가압됨에 의해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1 캠 팔로워, 상기 제1 캠 팔로워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캠 팔로워가 상기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게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1 캠 팔로워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 캠 팔로워, 및 상기 제2 캠 팔로워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경사 구간의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기 연결부가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푸시 플레이트가 가압됨으로써 전기 연결부가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위치하는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포저 커넥터를 전기 연결부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기능 보드 등과 같은 전기 접속체들에 대해서도 보다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연결에 따른 신뢰도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전기 연결 장치의 전기 연결부가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전기 연결 장치의 전기 연결부가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연결 장치에 구비되는 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푸시 플레이트, 제1 클램프, 제2 클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부가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클램프는 푸시 플레이트의 타면과 반대되는 푸시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푸시 플레이트가 가압됨으로써 푸시 플레이트에 구비되는 전기 연결부가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가압되지 않을 경우 전기 연결부는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고,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가압될 경우 전기 연결부는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위치하는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포저 커넥터를 전기 연결부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는 기능 보드 등과 같은 전기 접속체들에 대해서도 보다 용이하게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 연결 장치의 전기 연결부가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전기 연결 장치의 전기 연결부가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200, 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연결 장치(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기 접속체들(200, 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연결부(14)를 인터포저 커넥터(interposer connect) 구조를 갖도록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접속체들(200, 300)을 다수개의 접속 핀들을 갖는 기능 보드(boar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전기 연결 장치(100)가 서로 마주보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언급한 바와 같이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구비되는 전기 연결 장치의 경우에는 반도체 소자 검사용 전기 연결 장치일 수 있는 것으로써 검사 장치 쪽에 구비되는 시스템 보드 및 반도체 소자 쪽에 구비되는 실장용 보드를 연결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구비되기 때문에 마주하는 부분에서의 전기적 연결은 유연 인쇄회로기판(flexible PCB)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전기 연결 장치가 한 쌍이 마주하게 구비될 경우에는 예들 들어 시스템 보드와 실장용 보드가 유연 인쇄회로기판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하우징 등을 구비함으로써 도 1에서의 전기 연결 장치(100)를 한 쌍이 서로 마주하게 배치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시스템 보드, 실장용 보드 등과 같은 기능 보드(300)와 유연 인쇄회로기판(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기능 보드(300)와 유연 인쇄회로기판(200)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푸시 플레이트(11), 제1 클램프(15), 제2 클램프(23), 탄성부(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11)는 기능 보드(300) 및 유연 인쇄회로기판(200)의 폭 길이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11)의 일면에는 경사 구간(13)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 구간(13)은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경사 구간(13)은 기능 보드(300) 쪽을 향하는 부분에 상부가 위치하고 유연 인쇄회로기판(200)을 향하는 부분에 하부가 위치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푸시 플레이트(11)의 타면에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200, 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부(14)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전기 연결부(14)는 인터포저 커넥터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연결부(14)의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유연 인쇄회로기판(200) 및 기능 보드(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전기 연결부(14)의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기능 보드(300) 및 유연 인쇄회로기판(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다. 즉, 전기 연결 장치(100)는 전기 연결부(14)를 사이에 두고 유연 인쇄회로기판(200) 및 기능 보드(3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유연 인쇄회로기판(200)은 푸시 플레이트(11)의 하면과 전기 연결부(14) 사이에 삽입되는 구조로 접착이 이루어지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유연 인쇄회로기판(200)은 푸시 플레이트(11)의 전기 연결부(14)와 전기적으로 일체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클램프(15)는 푸시 플레이트(1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제1 클램프(15)는 푸시 플레이트(11)의 경사 구간(13)을 따라 이동하도록 푸시 플레이트(111)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클램프(15)는 푸시 플레이트(11)의 경사 구간(13)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1 클램프(15)는 제1 캠 팔로워(cam follower)(17), 제1 지지부(19), 구동부(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캠 팔로워(17)는 경사 구간(1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캠 팔로워(17)는 경사 구간(13)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게 이동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이다.
제1 지지부(19)는 제1 캠 팔로워(17)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지지부(19)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제1 캠 팔로워(17)가 지지되기 때문에 제1 지지부(19)는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되고 제1 캠 팔로워(17)는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21)는 제1 캠 팔로워(17)가 경사 구간(1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게 구비되는 것으로써 제1 지지부(19)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부(21)는 제1 지지부(19)의 단부와 연결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구동부(21)는 제1 지지부(19)를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제1 클램프(15)는 언급한 바와 같이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구간(13)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으로써 구동부(21)를 사용하여 제1 지지부(19)를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시킴에 의해 제1 캠 팔로워(17)가 경사 구간(13)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할 수 있는 것이다.
제2 클램프(23)는 푸시 플레이트(11)의 타면 쪽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2 클램프(23) 상에 기능 보드(300)가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는 제1 클램프(15), 푸시 플레이트(11), 유연 인쇄회로기판(200), 전기 연결부(14), 기능 보드(300) 및 제2 클램프(23)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순서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제2 클램프(23)는 제2 캠 팔로워(cam follower)(25), 제2 지지부(2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캠 팔로워(25)는 제1 캠 팔로워(17)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제1 캠 팔로워(17)가 경사 구간의 상부에 위치할 때에는 유연 인쇄회로기판(200), 전기 연결부(14), 기능 보드(300)를 사이에 두고 제2 캠 팔로워(25)와 제1 캠 팔로워(17)가 서로 마주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7)는 제2 캠 팔로워(25)를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지지부(19)와 마찬가지로 제2 지지부(27)도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2 캠 팔로워(25)는 제2 지지부(27)에 의해 지지되면서 제1 캠 팔로워(17)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경우 배치 방향에는 제한이 없다.
이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푸시 플레이트(11), 제1 클램프(15), 제2 클램프(23)를 포함함과 아울러 제1 클램프(15)가 푸시 플레이트(11)의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클램프(15)가 경사 구간(13)의 상부 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푸시 플레이트(11)가 제2 클램프(23) 쪽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한, 제1 클램프(15)가 경사 구간의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푸시 플레이트(11)의 제2 클램프(23) 쪽으로의 가압이 해제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제1 클램프(15)가 경사 구간(13)의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 전기 연결부(14)는 전기 접속체들(200, 300), 즉 유연 인쇄회로기판(200)과 기능 보드(30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고, 도 3에서와 같이 제1 클램프(15)가 경사 구간(13)의 상부 쪽에 위치할 경우 전기 연결부(14)는 전기 접속체들(200, 300), 즉 유연 인쇄회로기판(200)과 기능 보드(300) 사이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클램프(15)를 경사 구간(13)의 상부로 이동시켜 푸시 플레이트(11)를 가압하여 전기 접속체들(200, 3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 이후에 도 2에서와 같이 제1 클램프(15)를 경사 구간(13)의 하부로 이동시켜 푸시 플레이트(11)의 가압을 해제할 경우 전기 접속체들(200, 300)의 전기적 연결 또한 끊어져야 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언급한 탄성부(29)를 구비함으로써 제1 클램프(15)가 경사 구간(13)의 상부에서 하부로 이동할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전기 접속체들(200, 300)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탄성부(29)는 제1 클램프(15)와 제2 클램프(23)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전기 연결 장치(100)에 있어서 제1 클램프(15)와 제2 클램프(23) 사이에 푸시 플레이트(11)가 구비될 수 있기 때문에 탄성부(29)는 제1 클램프(15)와 제2 클램프(23) 사이에서 푸시 플레이트(11)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것으로도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탄성부(29)는 주로 푸시 플레이트(11)의 양단부 쪽에 배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연결 장치(100)는 제1 클램프(15)가 경사 구간(13)의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 전기 연결부(14)가 탄성부(29)에 의해 제1 클램프(15)와 제2 클램프(23) 사이, 특히 푸시 플레이트(11)에 탄성력이 제공됨으로써 전기 접속체들(200, 300)도 서로 분리되어 전기 접속체들(200, 3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빠른 시간에 테스트 처리가 가능한 검사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특히 인터포저 커넥터 구조로 이루어지는 전기 연결부(14)를 구비함으로써 504개의 핀들을 갖는 전기 접속체들에 접촉되는 종래의 단순 커넥터 구조의 전기 연결부에 비해 2배가 많은 1024개의 핀들을 갖는 전기 접속체들에 대해서도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 연결이 가능할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예시적인 실시예들과는 달리 전기 연결 장치(100)의 경사 구간(13)이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이 아닌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클램프(15)가 기능 보드(300)의 폭 방향을 따라 움직이도록 함에 의해 경사 구간(13)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300)에서 구동부(21)는 제1 지지부(19)의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구동부(21)가 구비되는 위치는 제한적이지 않은 것이다. 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전기 연결 장치(100)의 구동부(21)는 제1 지지부(19)와 연결되는 구조일 경우 언급한 하우징 내부에 내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푸시 플레이트가 휘어지거나, 가공 오차 등이 있을 경우 전기 연결부는 전기 접속체들을 정확하게 연결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전기 연결 장치는 전기 연결부 접촉 부위에 조정 나사를 부착하여 조정 나사의 나사 조절을 통하여 휘어지거나, 가공 오차 등이 있는 푸시 플레이트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전기 연결부 각각에 최소 4개의 조정 나사를 부착하여 전, 후, 좌, 우의 사방에서 휘어지거나, 가공 오차 등이 있는 푸시 플레이트를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전기 연결 장치는 전기 연결부 접촉 부위에 움직임에 여유가 있는 누름 블록을 구비시키고, 그리고 푸시 플레이트 쪽에 탄성력에 의해 누름 블록을 가압할 수 있는 누름 핀을 구비시켜 푸시 플레이트를 가압할 때 탄성력을 갖는 누림 핀이 누름 블록을 가압함으로써 휘어지거나, 가공 오차 등이 있는 푸시 플레이트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전기 연결부 각각에 대하여 누름 핀도 최소 4개를 구비하여 전, 후, 좌, 우의 사방에서 휘어지거나, 가공 오차 등이 있는 푸시 플레이트를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 핀의 가압에 의해 누름 블록이 받는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누름 블록과 접촉하는 누름 핀의 접촉면은 구면을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에서의 정렬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의 전기 연결 장치에 구비되는 정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전기 연결 장치(100)에 구비되는 정렬부는 제1 정렬부(41) 및 제2 정렬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정렬부(41)는 제2 클램프(23)에 구비되는 제1 돌출부(43) 및 전기 연결 장치(100)의 본체인 하우징(35)에 형성되는 제1 수용부(4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돌출부(43)는 제2 클램프(23)로부터 하우징(35) 쪽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제2 클램프(23)에 구비될 수 있고, 제1 수용부(45)는 제1 돌출부(43)를 수용하는 구조를 갖도록 하우징(35)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정렬부(47)는 푸시 플레이트(11)에 구비되는 제2 돌출부(49) 및 기능 보드(300)에 형성되는 제2 수용부(5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돌출부(49)는 푸시 플레이트(11)로부터 기능 보드(300) 쪽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푸시 플레이트(11)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수용부(51)는 제2 돌출부(49)를 수용하는 구조를 갖도록 기능 보드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제1 돌출부(43) 및 제1 수용부(45)로 이루어지는 제1 정렬부(41)를 사용하여 기능 보드(300)와 하우징(35) 사이를 정렬시키고, 제2 돌출부(49) 및 제2 수용부(51)로 이루어지는 제2 정렬부(47)를 사용하여 기능 보드(300)와 푸시 플레이트(11) 사이를 정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전기 연결 장치(100)는 정확한 전기 연결을 위한 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전기 연결 장치는 전기적 연결이 필요한 장치, 특히 기존 대비 더 많은 접속 핀들을 갖는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써 예들 들면 프로브 카드, 테스트 핸들러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세부적으로는 IC 소켓, DUT 보드, 인서트 링, 퍼포먼스 보드, 하이픽스 보드 등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 : 푸시 플레이트 13 : 경사 구간
14 : 전기 연결부 15 : 제1 클램프
17 : 제1 캠 팔로워 19 : 제1 지지부
21 : 구동부 23 : 제2 클램프
25 : 제2 캠 팔로워 27 : 제2 지지부
29 : 탄성부 35 : 하우징
41 : 제1 정렬부 43 : 제1 돌출부
45 : 제1 수용부 47 : 제2 정렬부
49 : 제2 돌출부 51 : 제2 수용부
100 : 전기 연결 장치
200, 300 : 전기 접속체(유연 인쇄회로기판, 기능 보드)

Claims (6)

  1.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부가 타면에 형성되는 푸시 플레이트;
    상기 타면과 반대되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게 구비되는 제1 클램프; 및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타면에 배치되게 구비되는 제2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가압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클램프와 상기 제2 클램프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가압될 경우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푸시 플레이트는 상기 일면에는 경사 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타면에는 서로 다른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전기 연결부가 형성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의 타면 쪽에 배치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경사 구간의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경사 구간의 상부 쪽에 위치할 경우에는 상기 푸시 플레이트가 상기 제2 클램프 쪽으로 가압됨에 의해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연결부는 상부면 및 하부면 각각에 위치하는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인터포저 커넥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장치.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는,
    상기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제1 캠 팔로워;
    상기 제1 캠 팔로워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1 캠 팔로워가 상기 경사 구간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동시킬 수 있게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클램프는,
    상기 제1 캠 팔로워와 대응되도록 구비되는 제2 캠 팔로워; 및
    상기 제2 캠 팔로워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제2 지지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램프가 상기 경사 구간의 하부 쪽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전기 연결부가 상기 전기 접속체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상기 제1 클램프와 제2 클램프 사이에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탄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연결 장치.
KR1020170110934A 2017-08-31 2017-08-31 전기 연결 장치 KR101913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34A KR101913639B1 (ko) 2017-08-31 2017-08-31 전기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934A KR101913639B1 (ko) 2017-08-31 2017-08-31 전기 연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3639B1 true KR101913639B1 (ko) 2018-11-01

Family

ID=64398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934A KR101913639B1 (ko) 2017-08-31 2017-08-31 전기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363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992B1 (ko) * 2007-09-04 2009-11-09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에스에스디(ssd)용 소켓 가이드장치
JP2010257967A (ja) 2009-04-23 2010-11-11 Tyco Electronics Corp コネクタ組立体、及びフレキシブル回路を有するシステム
US20110230067A1 (en) * 2010-03-22 2011-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having contact overlapping via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992B1 (ko) * 2007-09-04 2009-11-09 에버테크노 주식회사 에스에스디(ssd)용 소켓 가이드장치
JP2010257967A (ja) 2009-04-23 2010-11-11 Tyco Electronics Corp コネクタ組立体、及びフレキシブル回路を有するシステム
US20110230067A1 (en) * 2010-03-22 2011-09-22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system having contact overlapping via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5407B2 (en) Assembly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test component to a testing machine for testing electrical circuits on the test component
US6572396B1 (en)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and electrical devices
US5871362A (en) Self-aligning flexible circuit connection
US6707311B2 (en) Contact structure with flexible cable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KR100781379B1 (ko) 프로브장치
CN108028211B (zh) 接口装置、接口单元、探针装置和连接方法
US20180376610A1 (en) Socket
EP0829187A2 (en) Chip socket assembly and chip file assembly for semiconductor chips
WO2004008163A2 (en) Assembly for connecting a test device to an object to be tested
JP2023121805A (ja) プローブピン、検査治具および検査ユニット
JP2000055983A (ja) Icデバイスのテスト用キャリアボ―ド
JP2007017234A (ja) 検査装置用ソケット
US10295566B2 (en) Method of providing a high density test contact solution
KR100767191B1 (ko) 회로기판 연결 유닛 및 그것을 갖는 평판표시패널 검사장치
WO2000030417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device interconnections
KR101913639B1 (ko) 전기 연결 장치
KR102186192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측면 컨택 그립퍼장치
US20200174039A1 (en) Inspection jig
KR100875679B1 (ko) 테스트 장치용 커넥터 및 이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 테스트장치
JP2007200811A (ja) ソケット
TWM627329U (zh) 電子裝置之檢測構造
KR20220153013A (ko) 검사 지그 및 그것을 구비한 기판 검사 장치
CN221261048U (zh) 光学测试平台和柔性线路转接件
KR102392927B1 (ko) 전자부품 테스트용 그립퍼장치
KR20220014634A (ko) 집적 회로 모듈의 테스트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