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549B1 -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8549B1 KR101918549B1 KR1020160150911A KR20160150911A KR101918549B1 KR 101918549 B1 KR101918549 B1 KR 101918549B1 KR 1020160150911 A KR1020160150911 A KR 1020160150911A KR 20160150911 A KR20160150911 A KR 20160150911A KR 101918549 B1 KR101918549 B1 KR 1019185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ylindrical portion
- liquid
- gas discharge
- cylindrical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6—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 B03C3/361—Controlling flow of gases or vapour by static mechanical means, e.g. deflec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클론 구조를 갖는 집진 장치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이때 발생하는 미세한 액적을 분무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자상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가스 유입관이 외면 소정에 위치에 구비되며,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원통부, 상광하협 구조이며, 상부는 상기 원통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는 액체배출구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원뿔부,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가스 배출관이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부 상부에 구비되는 뚜껑, 상기 원통부와 연결된 ‘+’ 리드선 및 상기 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 리드선을 포함하되, 상기 가스 배출관 외주연부에는 1개 이상의 액체분사구가 형성된 액체 수용 용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습식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이클론 구조를 갖는 집진 장치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이때 발생하는 미세한 액적을 분무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하는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력발전소나 폐기물 소각 시 배출되는 가스에는 각종 대기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들 중 입경이 작은 분진은 인체에 유입되어 호흡기 질환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등 환경에 유해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대기오염물질 중 특히 유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지름이 2.5 ㎛보다 작은 미세먼지(PM2.5)를 관리하기 위하여, 미환경보호국(EPA)과 유럽연합(EU)은 2013년, 우리나라는 2015년부터 법을 개정하여 이들 물질에 대한 환경 규제를 강화 실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중력집진, 관성력 집진, 여과집진, 세정집진, 전기집진 기술들은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집진 기술이다. 중력집진기술은 입자가 갖는 중력을 이용하여 공기가 이동하면서 자연적으로 입자를 침전시키는 기술이고, 관성력 집진 기술은 기체의 흐름 방향을 급변시켜 전환점 부분에서 관성에 의하여 먼지를 집진하는 원리를 이용한 기술로서, 비교적 큰 입자의 제거에는 효과적이지만 미세한 입자는 거의 제거할 수 없다.
이에 반해, 미세한 공극을 갖는 필터에 가스를 통과시켜 입자를 제거하는 여과기술과 전기를 공급하여 먼지에 하전을 부여하여 제거하는 전기집진 기술은 비교적 집진효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여과기술의 경우에는 입자가 미세한 공극을 막기 때문에 배출가스의 처리량이 급격히 저하되며, 이로 인한 필터의 빈번한 교체는 배기가스처리비용 증가로 직결된다.
또 전기집진 기술 중 건식방법은 입자 하전, 입자의 집진극 부착, 집진극에 부착된 입자의 탈착, 집진극에 쌓인 입자 제거의 순으로 집진 과정이 진행되지만, 불안정한 코로나 방전, 입자의 전기적 특성인 전기비저항(Particle’s resistivity)에 따라 재비산, 역코로나(Back corona) 등이 발생하여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진극에 부착된 입자를 물로 씻어내는 습식전기집진방법(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은 다량의 물 사용, 집진극의 불균일한 수막 형성, 부식은 큰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대기오염물질, 특히 입자가 작은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강화된 대기환경기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이면서도 높은 제거 효율을 갖는 새로운 집진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기가스에 포함된 작은 입자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습식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발명에서는 운전이 용이하면서도 구조가 간단하고, 게다가 2차 오염물질의 발생량을 저감할 수 있는 습식 집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는, 입자상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가스 유입관이 외면 소정에 위치에 구비되며,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전도성 재질의 원통부; 상광하협 구조이며, 상부는 상기 원통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는 액체배출구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원뿔부;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가 비어 있는 전도성 재질의 원통형 가스 배출관이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뚜껑; 일측 단부는 상기 뚜껑 위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스 배출관 외주연부에 구비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원통부와 연결된 ‘+’ 리드선과 상기 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 리드선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가스 배출관의 외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내측 벽면은 개방되며, 외측 벽면, 바닥면 및 천정면은 폐쇄되어 있는 ‘ㄷ’ 자 모양으로, 원통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외측 벽면에는 1개 이상의 액체분사구가 구비되고, 뚜껑 위로 돌출한 일측 단부 소정 위치에는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액체 주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게다가 상기 원통부 내면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분사구에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는, 입자상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가스 유입관이 외면 소정에 위치에 구비되며,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전도성 재질의 원통부; 상광하협 구조이며, 상부는 상기 원통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는 액체배출구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원뿔부;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가스 배출관이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뚜껑; 일측 단부는 상기 뚜껑 위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원통부 내벽과 원통형 가스 배출관 사이 공간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액체 주입용 배관; 상기 원통부와 액체 주입용 배관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 외면에 구비된 절연애자; 및 상기 원통부와 연결된 ‘+’ 리드선과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과 연결된 ‘-’ 리드선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은, 뚜껑 위로 돌출된 일측은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원통부 내부에 위치하는 타측은 밀폐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원통부 내부에 위치하는 둘레 표면에는 1개 이상의 액체분사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게다가 상기 원통부 내면으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액체분사에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에 의하면, 고전압을 인가하여 미세한 액적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미세 액적과 배기가스를 접촉시키기 때문에, 입경이 작은 입자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습식 집진 장치는, 선회류에 의해 생기는 원심력으로 입자를 제거하는 사이클론 구조이기 때문에, 장치의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입자의 비중과 충돌에 의한 제거효과를 함께 기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습식 집진 장치는, 미세한 액적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입자를 포함하는 폐액체의 발생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2차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원통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수직방향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원통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수직방향 절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원통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수직방향 절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원통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수직방향 절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원통부 절개 단면도 그리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수직방향 절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습식 집진 장치는, 원통부(100), 원뿔부(200), 뚜껑(300) 및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들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원통부(100)는 소정의 높이와 내경을 갖는 긴 원통형이다. 또 상기 원통부(10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축 중심에서 외측으로 편향된 소정의 단면적을 갖는 배기가스 유입관(110)이 구비되어, 각종 입자상 오염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배기가스가 상기 원통부(100)의 공간으로 유입된다.
상기 원뿔부(200)는, 아래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이 줄어드는 상광하협 구조이며, 원뿔부(200) 상부는 상기 원통부(100)의 하부와 연결되어 있고, 원뿔부(200) 하부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던 입자상 물질과 후술할 액체가 함께 배출되는 액체배출구(210)가 구비되어 있다.
또 상기 원통부(100) 상부에는 후술할 가스 배출관(310)과 액체 수용 용기(320)가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상기 원통부(10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뚜껑(300)이 부착되어 있다.
가스 배출관(310)은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내부가 비어 있는 긴 원통형으로, 상기 뚜껑(300)의 중앙부근에 위치하며, 일측 단부는 상기 뚜껑(300) 위로 일정 높이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원통부(100)의 소정 깊이에 위치한다.
게다가 상기 뚜껑(300)의 소정 위치에는 원통부(100) 내측 공간부로 이온화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 수용 용기(320)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액체 수용 용기(320)는 수용된 액체가 상기 가스 배출관(310)의 외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내측 벽면은 개방되어 있으며, 후술할 액체주입구(330)와 액체분사구(340)를 제외하고는 외측 벽면, 바닥면 및 천정면은 패쇄되어 있는 대략 ‘ㄷ’ 자 모양이며, 일측 단부는 상기 뚜껑(300) 위로 소정 높이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원통부(100)의 소정 깊이에 위치한다.
여기서, 상기 액체주입구(330)는 뚜껑(300)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소정 위치에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고, 또 액체주입구(330)와 연통되는 튜브(미도시)와 액체 공급 펌프(미도시)를 연결하여 상기 액체 수용 용기(320)에 액체를 간헐 또는 비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체분사구(340)는 상기 액체 수용 용기(320)에 수용된 액체를 원통부(100) 내부 벽면을 향하도록 분사하기 위하여 장착되는 노즐(350)이 체결되는 구멍이며, 액체주입구(330)와 연결되어 있는 액체 공급 펌프(미도시)의 가압력에 의하여 액체가 분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사구(340)에 노즐(350)이 체결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노즐(350)을 구비하지 않고 액체분사구(340)를 통해서도 바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액체는 이온화될 수 있는 액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순수 물 혹은 물에 용해가 잘되는 이온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사구의 노즐팁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다각형, 무정형 중 어느 하나의 노즐팁일 수 있고, 노즐의 직경 범위는 0.02~2mm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원통부(100)에는 전원공급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 리드선(410)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가스 배출관(310)에는 ‘-’ 리드선(420)이 연결되어 있어, 고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노즐(350)을 통하여 미세한 액적들이 원통부(100) 내부 벽면을 향하여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고전압을 이용한 정전분무방식(Electrospray)의 원리를 설명하면, 전도성 액체를 노즐에 통과시키면서 양(+)과 음(-)의 고전압을 인가하면 노즐과 액체속의 이온들이 척력과 인력에 의해 액체표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쿨롱반발력이 표면장력 이상의 힘이 되면 미세한 액적으로 분사되며, 전극에 걸리는 전압이 작을 경우 액체 곡면에 작용하는 전기력과 양이온들의 반발력이 액체의 표면장력 보다 작기 때문에 액적이 분무되지 않지만, 전압을 증가시키게 되면 액체 곡면에 작용하는 전기력과 양이온들의 반발력이 액체의 표면장력보다 커지게 되면서, 모세관 팁에서 액적이 분무되는 원리이다.
여기서, 상기 고전압은 정전분무가 가능하며 절연재의 전열이 파괴되는 전압이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0kV 내지 50kV 일 수 있다.
종래 액체 분무 방식을 이용한 집진 장치에서는 분무하는 액적이 크기 때문에 입경이 작은 입자를 포집하는 것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과량의 액체를 사용할 수밖에 없어 이로 인한 2차 처리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하여 액적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액적의 직경이 매우 작고, 특히 발생된 액적은 노즐에 가한 극과 같은 극성을 띄며 매우 높은 하전량을 가지고 있어 액적간의 응집현상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장시간 초기의 직경을 유지할 수 있어 0.1 ㎛ 이하의 입경을 갖는 미세입자도 포집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에 관하여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 리드선(410)은 원통부(100), ‘-’ 리드선(420)은 가스 배출관(310)에 연결하고, 액체 수용용기(320)의 액체 주입구(330)에 액체를 공급하면서 고전압을 인가하여 원통부(100) 내부 공간부에 미세한 액적을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과 함께 또는 후에, 원통부(100) 측면 유입관(110)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면, 배기가스 내의 입자상 물질은 미세한 액적에 포집되어 원뿔부(200) 아래의 액체 배출구(210)로 배출되고,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가스는 뚜껑부(300)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가스 배출관(3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에 관하여,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의 개략도, 도 7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원통부 절개 단면도 그리고 도 9는 도 6에 도시한 집진 장치의 수직방향 절개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습식전기 집진 장치는, 원통부(100), 원뿔부(200), 뚜껑(300) 및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원통부(100)와 원뿔부(2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원통부(100) 상부에는 가스 배출관(310)과 절연애자(370)가 외부로 돌출되는 영역을 제외하고는, 상기 원통부(100)를 밀폐시킬 수 있도록 뚜껑(300)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가스 배출관(310)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가 비어 있는 긴 원통형이며, 상기 뚜껑(300)의 중앙부근에 위치하고, 일측 단부는 상기 뚜껑(300) 위로 일정 높이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원통부(100)의 소정 깊이에 위치한다.
상기 뚜껑(300) 소정 위치에는 원통부(100) 내측 공간부로 이온화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액체 주입용 배관(360)이 1개 이상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360)은 전도성 재질로서 가늘고 긴 원통형 관으로 일측 단부는 개구되어 상기 뚜껑(300) 위로 소정 높이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밀폐되어 상기 원통부(100)의 소정 깊이에 위치한다.
게다가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360)에는 1개 이상의 액체분사구(34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300)과 접촉하는 부위 외측면에는 뚜껑(300)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의 두께를 갖는 절연애자(370)가 감싸고 있다.
여기서,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360)에 구비되는 액체분사구(340)와 노즐(350)은 원통부(100) 측면의 유입관(11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가 선회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원통부(100) 내부 벽면에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뚜껑(300) 위로 소정 높이 돌출되어 있는 액체 주입용 배관(360)은 튜브(미도시)와 액체 공급 펌프(미도시)를 연결하여 액체를 간헐 또는 비간헐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액체분사구(340)는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360)으로 공급되는 액체를 원통부(100) 내부 공간부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350)이 체결되는 구멍이며, 액체 주입용 배관(360)의 입구측과 연결되어 있는 액체 공급 펌프(미도시)의 가압력에 의하여 액체가 분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분사구(340)에 노즐(350)이 체결된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노즐(350)을 구비하지 않고 액체분사구(340)를 통해서도 바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상기 원통부(100)에는 전원공급부(4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 리드선(410)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360)에는 ‘-’ 리드선(420)이 연결되어 있어, 고전압을 인가하면 상기 노즐(350)을 통하여 미세한 액적들이 원통부(100) 내부 공간부로 분사된다.
상기와 같은 고전압을 이용한 정전분무방식(Electrospray)의 원리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집진 장치의 작동상태에 관하여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 리드선(410)은 원통부(100), ‘-’ 리드선(420)은 액체 주입용 배관(360)에 연결하고, 액체 주입용 배관(360)에 액체를 공급하면서 고전압을 인가하여 원통부(100) 내부 공간부에 미세한 액적을 발생시킨다.
상기 조작과 함께 또는 후에, 원통부(100) 측면 유입관(110)으로 배기가스를 유입시키면, 배기가스 내의 입자상 물질은 미세한 액적에 포집되어 원뿔부(200) 아래의 액체 배출구(210)로 배출되고,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가스는 뚜껑부(300)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된 가스 배출관(310)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하다.
100 : 원통부
110 : 유입관
200 : 원뿔부
210 : 액체 배출구
300 : 뚜껑부
310 : 가스 배출관 320 : 액체 수용용기
330 : 액체주입구 340 : 액체분사구
350 : 노즐 360 : 액체 주입용 배관
370 : 절연애자
400 : 전원공급부
410 : ‘+’ 리드선 420 : ‘-’ 리드선
110 : 유입관
200 : 원뿔부
210 : 액체 배출구
300 : 뚜껑부
310 : 가스 배출관 320 : 액체 수용용기
330 : 액체주입구 340 : 액체분사구
350 : 노즐 360 : 액체 주입용 배관
370 : 절연애자
400 : 전원공급부
410 : ‘+’ 리드선 420 : ‘-’ 리드선
Claims (8)
- 입자상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가스 유입관이 외면 소정에 위치에 구비되며,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전도성 재질의 원통부;
상광하협 구조이며, 상부는 상기 원통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는 액체배출구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원뿔부;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가 비어 있는 전도성 재질의 원통형 가스 배출관이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절연재질로 이루어진 뚜껑;
일측 단부는 상기 뚜껑 위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원통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가스 배출관 외주연부에 구비되는 액체 수용 용기; 및
상기 원통부와 연결된 ‘+’ 리드선과 상기 가스 배출관과 연결된 ‘-’ 리드선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체 수용 용기는, 상기 가스 배출관의 외측면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내측 벽면은 개방되며, 외측 벽면, 바닥면 및 천정면은 폐쇄되어 있는 ‘ㄷ’ 자 모양으로, 원통부의 내부에 위치하는 외측 벽면에는 1개 이상의 액체분사구가 구비되고, 뚜껑 위로 돌출한 일측 단부 소정 위치에는 액체 수용 용기에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1개 이상의 액체 주입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 내면으로 물을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액체분사구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입자상 오염물질을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유도하는 배기가스 유입관이 외면 소정에 위치에 구비되며, 빈 공간부를 형성하는 전도성 재질의 원통부;
상광하협 구조이며, 상부는 상기 원통부의 하부와 연결되고, 하부에는 액체배출구가 구비된 내부가 비어 있는 원뿔부;
입자상 물질이 제거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내부가 비어 있는 원통형 가스 배출관이 관통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상기 원통부 상부에 구비되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진 뚜껑;
일측 단부는 상기 뚜껑 위로 돌출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원통부 내벽과 원통형 가스 배출관 사이 공간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액체 주입용 배관;
상기 원통부와 액체 주입용 배관이 전기적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 외면에 구비된 절연애자; 및
상기 원통부와 연결된 ‘+’ 리드선과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과 연결된 ‘-’ 리드선을 포함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액체 주입용 배관은, 뚜껑 위로 돌출된 일측은 액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개구되어 있으며 원통부 내부에 위치하는 타측은 밀폐되어 있는 원통형으로, 원통부 내부에 위치하는 둘레 표면에는 1개 이상의 액체분사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삭제
- 삭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부 내면으로 액체를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상기 액체분사구에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911A KR101918549B1 (ko) | 2016-11-14 | 2016-11-14 |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0911A KR101918549B1 (ko) | 2016-11-14 | 2016-11-14 |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850A KR20180053850A (ko) | 2018-05-24 |
KR101918549B1 true KR101918549B1 (ko) | 2018-11-14 |
Family
ID=6229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0911A KR101918549B1 (ko) | 2016-11-14 | 2016-11-14 |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8549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14427A (zh) * | 2019-06-17 | 2019-10-11 | 昆明理工大学 | 一种水沙分离装置 |
KR20200062911A (ko) * | 2018-11-27 | 2020-06-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습식 전기 집진장치 |
KR20210026922A (ko) | 2019-09-02 | 2021-03-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디스크 회전형 스크러버 |
KR20210026914A (ko) | 2019-09-02 | 2021-03-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임펠러 회전형 스크러버 |
KR20210156084A (ko) | 2020-06-17 | 2021-12-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Ox-NOx-PM 동시 저감을 위한 회전형 정전분무 스크러버 시스템 |
KR20210156083A (ko) | 2020-06-17 | 2021-12-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비도전성 재질의 정전분무 유닛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타입 정전분무 장치 |
KR102598566B1 (ko) | 2023-06-22 | 2023-11-06 | (주)규원테크 |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51185B1 (ko) * | 2017-08-03 | 2019-02-2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
WO2019216451A1 (ko) * | 2018-05-09 | 2019-11-1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WO2019231264A2 (ko) * | 2018-05-31 | 2019-12-05 | (주)벨트란코리아 | 습식 전기 집진장치 및 이를 위한 방전극 설치용 기구 |
KR102115966B1 (ko) * | 2018-05-31 | 2020-05-27 | (주)벨트란코리아 | 습식 전기 집진장치 |
KR102050262B1 (ko) * | 2018-06-20 | 2020-01-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고효율 유가 입자 회수장치 |
WO2020045694A1 (ko) * | 2018-08-28 | 2020-03-0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고체 및 가스상 먼지 동시 저감용 정전분무 스크러버 |
KR102257548B1 (ko) * | 2018-10-29 | 2021-05-31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정전분무 사이클론 내 초미세입자 추가 제거를 위한 링전극 구조 |
KR102143116B1 (ko) * | 2018-11-28 | 2020-08-10 | 주식회사 포스코 | 집진장치 및 집진방법 |
KR102198334B1 (ko) | 2018-12-06 | 2021-01-0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수두차를 이용한 정전분무 다중 노즐 |
KR102237958B1 (ko) * | 2019-07-01 | 2021-04-08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복수 개의 쉘을 가지는 SOx 및 NOx 처리용 스크러버 |
KR102237818B1 (ko) * | 2019-09-02 | 2021-04-0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듀얼 코일을 이용한 전자기 유도 사이클론 |
WO2021070985A1 (ko) * | 2019-10-10 | 2021-04-15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고효율 유가 입자 회수장치 |
CN112973325B (zh) * | 2019-12-17 | 2022-05-17 |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 吸尘器用团聚灰尘分离器 |
KR102577333B1 (ko) * | 2021-06-15 | 2023-09-12 | (주)일신종합환경 | 다중 오염물질 처리장치 |
KR102421707B1 (ko) * | 2022-05-23 | 2022-07-15 | 주식회사 동우이엔티 |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이 혼합된 복합가스 처리를 위한 습식 스크러버장치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376B1 (ko) | 2007-05-14 | 2008-01-14 |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 하이브리드 스크러버 시스템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52383A (ja) * | 1994-08-09 | 1996-02-27 | Mitsubishi Heavy Ind Ltd |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 |
KR100720114B1 (ko) * | 2005-07-19 | 2007-05-18 | 케이디아이 주식회사 | 전기 사이클론 및 이를 포함한 전기 사이클론 스크러브 |
KR20100009691U (ko) * | 2009-03-24 | 2010-10-04 | 신호산기(주) | 사이크론 전기집진기 |
KR101519553B1 (ko) * | 2013-04-03 | 2015-05-14 | 씨에스케이(주) | 사이클론을 이용한 반도체 폐가스 처리용 스크러버 |
-
2016
- 2016-11-14 KR KR1020160150911A patent/KR1019185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93376B1 (ko) | 2007-05-14 | 2008-01-14 | 주식회사 길광그린텍 | 하이브리드 스크러버 시스템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2911A (ko) * | 2018-11-27 | 2020-06-0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습식 전기 집진장치 |
KR102160788B1 (ko) * | 2018-11-27 | 2020-09-29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습식 전기 집진장치 |
CN110314427A (zh) * | 2019-06-17 | 2019-10-11 | 昆明理工大学 | 一种水沙分离装置 |
KR20210026922A (ko) | 2019-09-02 | 2021-03-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디스크 회전형 스크러버 |
KR20210026914A (ko) | 2019-09-02 | 2021-03-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임펠러 회전형 스크러버 |
KR20210156084A (ko) | 2020-06-17 | 2021-12-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SOx-NOx-PM 동시 저감을 위한 회전형 정전분무 스크러버 시스템 |
KR20210156083A (ko) | 2020-06-17 | 2021-12-24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비도전성 재질의 정전분무 유닛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타입 정전분무 장치 |
KR102598566B1 (ko) | 2023-06-22 | 2023-11-06 | (주)규원테크 | 싸이클론 전기 집진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3850A (ko) | 2018-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18549B1 (ko) | 정전분무와 선회류를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
US10888813B2 (en) | Wet type dust collector using electrospray and vortex | |
KR102257548B1 (ko) | 정전분무 사이클론 내 초미세입자 추가 제거를 위한 링전극 구조 | |
KR101965189B1 (ko) |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
KR101995733B1 (ko) | 액체분사부와 액체흐름판을 포함하는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
KR101951185B1 (ko) | 습식 집진 장치의 액체 분사 장치 | |
KR101882283B1 (ko) | 정전분무 싸이클론 공기청정기 | |
KR101892256B1 (ko) | 선회류형 유니플로 전기집진기 | |
KR101852163B1 (ko) | 정전분무 시스템과 전기집진기가 결합된 미세먼지 제거장치 | |
KR102003744B1 (ko) | 용량 대응형 습식 전기 집진 시스템 | |
KR102562742B1 (ko) | 내부 온도조절이 가능한 정전분무 사이클론 | |
KR101971917B1 (ko) | 정전분무 집진장치 | |
KR102198334B1 (ko) | 수두차를 이용한 정전분무 다중 노즐 | |
KR101995742B1 (ko) | 액체분사부를 포함하는 정전분무방식을 이용한 습식 집진 장치 | |
KR100646139B1 (ko) | 양극성 정전분무식 복합응집 집진 장치 | |
WO2020045694A1 (ko) | 고체 및 가스상 먼지 동시 저감용 정전분무 스크러버 | |
KR100561550B1 (ko) | 정전분사세정집진방법 및 그 장치 | |
KR20210026922A (ko) |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디스크 회전형 스크러버 | |
JP5918616B2 (ja) | 密閉式廃棄物処分場の粉塵除去システム | |
KR102379363B1 (ko) | 비도전성 재질의 정전분무 유닛을 포함하는 사이클론 타입 정전분무 장치 | |
KR200343967Y1 (ko) | 정전분사세정집진장치 | |
JP2007330898A (ja) | 集塵装置 | |
KR102160788B1 (ko) | 습식 전기 집진장치 | |
KR102259902B1 (ko) | SOx-NOx 동시 저감을 위한 임펠러 회전형 스크러버 | |
KR102433228B1 (ko) | 선회류형 유니플로 정전분무 집진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