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8373B1 - 금속판 부착 단셀, 연료전지 스택 및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금속판 부착 단셀, 연료전지 스택 및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8373B1 KR101918373B1 KR1020167016172A KR20167016172A KR101918373B1 KR 101918373 B1 KR101918373 B1 KR 101918373B1 KR 1020167016172 A KR1020167016172 A KR 1020167016172A KR 20167016172 A KR20167016172 A KR 20167016172A KR 101918373 B1 KR101918373 B1 KR 1019183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tal plate
- brazing material
- solid electrolyte
- single cell
- metal
- Prior art date
Links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8000005219 braz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9
- 239000007784 solid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0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PNEYBMLMFCGWSK-UHFFFAOYSA-N alumin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O-2].[O-2].[O-2].[Al+3].[Al+3] PNEYBMLMFCGWS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10018072 Al 2 O 3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3917 TEM im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2737 fuel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507 m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453 electron probe micro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878 scanning electron micrograp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233 yttria-stabilized zirc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1 Ag-Cu0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29910018575 Al—Ti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UFHFLCQGNIYNRP-UHFFFAOYSA-N Hydrogen Chemical compound [H][H] UFHFLCQGNIYNR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72 Sama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21526 gadolinium-doped cer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Substances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7 yttr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2918 Fraxinus excelsi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5745 Ge—C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41000968352 Scandia <hydrozoa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HHEIGDWATABVLZ-UHFFFAOYSA-N [Mg].[Mg].[La] Chemical compound [Mg].[Mg].[La] HHEIGDWATABVL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JBSIFOTJSUDHY-UHFFFAOYSA-N [O-2].[Fe+2].[Co+2].[Sr+2].[La+3] Chemical compound [O-2].[Fe+2].[Co+2].[Sr+2].[La+3] RJBSIFOTJSUDH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YMVZSICZWDQCMV-UHFFFAOYSA-N [O-2].[Mn+2].[Sr+2].[La+3] Chemical compound [O-2].[Mn+2].[Sr+2].[La+3] YMVZSICZWDQCM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56 as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CETPSERCERDGAM-UHFFFAOYSA-N ceric oxide Chemical compound O=[Ce]=O CETPSERCERDGA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422 cerium(IV)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95 cerm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84 ion-beam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5 mic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18 mica group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510 noble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JGMWXTVGKLUAQ-UHFFFAOYSA-N oxygen(2-);scandium(3+) Chemical compound [O-2].[O-2].[O-2].[Sc+3].[Sc+3] HJGMWXTVGKLUAQ-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KZUNJOHGWZRPMI-UHFFFAOYSA-N samarium atom Chemical compound [Sm] KZUNJOHGWZRP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76 stabilized zirconia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2 stront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5 vermicu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02 vermicul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4 vermicu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06—Metals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04—Non-porous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8/0223—Composites
- H01M8/0228—Composites in the form of layered or coated produ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97—Arrangements for joining electrodes, reservoir layers, heat exchange units or bipolar separators to each o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8/1213—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electrode/electrolyte combination or the supporting materia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5—High-temperature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2432—Grouping of unit cells of planar configur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2—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operating at high temperature, e.g. with stabilised ZrO2 electrolyte
- H01M2008/1293—Fuel cells with solid oxide electrolyt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02E60/521—
-
- Y02E60/525—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은 고체 전해질과,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방의 면에 설치된 연료극과,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방의 면에 설치된 공기극을 구비한 연료전지의 단셀과, 상기 단셀에 대해서, 납땜재에 의해서 접합된 금속판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판은 Ti:0.05∼1질량%와 Al:2∼10질량%를 함유하고, 당해 금속판의 표면에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을 가짐과 아울러, 당해 산화물층의 표면에 Ti을 포함하지 않는 Al산화물 피막을 가지며, 상기 Al산화물 피막의 표면 중, 상기 납땜재와 접하는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과 이간하고, 또한, 다른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을 가지며, 상기 고체 전해질과 상기 납땜재의 계면에는 Ti반응상을 더 가진다.
Description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국제출원은 2013년 12월 20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3-264204호에 의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일본국 특허출원 제2013-264204호의 전체 내용을 참조에 의해 본 국제출원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연료전지의 연료극 및 공기극을 가지는 고체 전해질과 금속판을 구비한 금속판 부착 단셀, 이 금속판 부착 단셀을 복수 구비한 연료전지 스택 및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연료전지로서 고체 전해질(고체 산화물)을 이용한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이하 「SOFC」라고 부르기도 한다)가 알려져 있다.
이 SOFC로서는, 예를 들면 판 형상의 고체 전해질의 각 면에 연료극과 공기극을 구비한 단셀을 다수 적층하여 연료전지 스택을 형성한 것이 제조되고 있다.
이 SOFC에서는 연료극에 연료 가스를 공급함과 아울러, 공기극에 공기를 공급하고, 연료 가스 속의 수소 및 공기 속의 산소를 고체 전해질을 통하여 화학반응시킴으로써 전력을 발생시키고 있다.
또한, 상술한 SOFC에서는 연료 가스의 유로(연료 유로)와 공기의 유로(공기 유로)를 분리하기 위해서,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제인 판 형상의 세퍼레이터(즉 금속제 세퍼레이터)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있다. 상세하게는 평면에서 보는 것(이하, 평면시(平面視)라고 하는 일도 있다)이 직사각형인 단셀과, 단셀의 주위를 둘러싸는 4각 프레임 형상의 금속제 세퍼레이터를 납땜에 의해서 접합하여 단셀과 금속제 세퍼레이터가 일체로 된 세퍼레이터 부착 단셀을 형성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표면을 알루미나화한 금속 부재와 세라믹을 접합하는 밀봉 부재로서 Ag-Cu0, Ag-V2O5, Pt-Nb2O5와 같은 금속 산화물과 귀금속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납땜재를 이용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금속 부재와 세라믹을 Ti을 첨가한 Ag납땜재를 이용하여 납땜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하기와 같은 문제가 있으며, 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종래 기술에서는 금속 부재와 그 표면의 Al산화물 피막(알루미나 피막)의 열망(熱望) 팽창차에 의해서, 열 사이클이 가해지면 알루미나 피막이 벗겨지는 일이 있었다.
또한, 금속 부재 표면의 알루미나 피막의 납땜재에 대한 습윤성이 나쁘기 때문에 납땜재의 접합 강도가 낮다(약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체 전해질에 대해서도 납땜재의 습윤성은 나쁘기 때문에 납땜재와 단셀의 고체 전해질의 접합 강도가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종래에서는 연료전지의 단셀에 금속판을 접합할 때에 전체적으로 접합 강도가 낮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서는 금속판과 단셀 사이의 접합 강도가 높은 금속판 부착 단셀, 연료전지 스택 및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본 발명의 제 1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은 고체 전해질과,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방의 면에 설치된 연료극과,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방의 면에 설치된 공기극을 구비한 연료전지의 단셀과, 상기 단셀에 대해서, 적어도 상기 고체 전해질과 접하도록 납땜재에 의해서 접합된 금속판을 구비한 금속판 부착 단셀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Ti:0.05∼1질량%와 Al:2∼10질량%를 함유하는 것이고, 당해 금속판의 표면에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을 가짐과 아울러, 당해 산화물층의 표면에 Ti을 포함하지 않는 Al산화물 피막을 가지며, 상기 Al산화물 피막의 표면 중, 상기 납땜재와 접하는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相)과 이간하고, 또한, 다른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을 가지며, 상기 고체 전해질과 상기 납땜재의 계면에는 Ti반응상을 더 가진다.
제 1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예를 들면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의 단셀)에서는 Ti과 Al을 함유하는 금속판과 Al산화물 피막의 사이에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즉 금속판의 열팽창 계수와 Al산화물 피막의 열팽창 계수 사이의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산화물층)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이 열팽창 완충층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금속판과 Al산화물 피막의 계면 밀착 강도(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제 1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에서는 Al산화물 피막의 표면(외측)에 Ti을 포함하는 상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납땜 접합시에 납땜재의 습윤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Al산화물 피막과 납땜재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금속판과 단셀을 납땜 접합할 때에는 Al산화물 피막의 외측에 형성된 Ti을 포함하는 상 속의 Ti은 납땜재 속으로 확산함과 아울러, 또한, 고체 전해질측으로 확산하며, 그곳에서 고체 전해질의 표면에 Ti반응상이 형성된다. 그것과 동시에, 납땜재의 성분(예를 들면 Ag)이 고체 전해질측을 침식하여 고체 전해질 속으로 잠입하기 때문에 납땜재와 고체 전해질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납땜시에는 Al산화물 피막과 납땜재의 계면에 있었던 Ti을 포함하는 상은 Ti이 납땜재 속으로 확산함으로써 없어진다. 이 Ti은 산화나 환원 등의 분위기에 노출되면 변화하기 쉽기 때문에, Ti이 Al산화물 피막과 납땜재의 계면으로부터 없어지는 것에 의해 Al산화물 피막과 납땜재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납땜재와 고체 전해질 계면의 Ti반응상은 10∼500㎚인 경우에는 Ti이 산화나 환원으로 변화해도 영향이 적으며, 게다가, 납땜재의 성분이 고체 전해질로 잠입하여 있음으로써 높은 접합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납땜재와 고체 전해질의 계면의 Ti반응상은 층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것이 Ti이 산화나 환원으로 변화해도 영향이 적기 때문에 접합 강도가 높고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이, 제 1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금속판과 단셀의 전체적으로서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이룬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Ti과 Al을 함유하는 금속판으로서는 Fe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금속판 속의 Ti으로서는 0.05∼1질량%의 범위, Al으로서는 2∼10질량%의 범위를 채용할 수 있다.
또한, Ti이 0.05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납땜재의 습윤성 향상의 효과가 충분하지 않으며, 한편, 1질량%를 상회할 경우에는 내산화성이 저하된다. 또한, Al이 2질량% 미만인 경우에는 Al산화물 피막이 형성되기 어려우며, 한편, 10질량%를 상회할 경우에는 경도가 너무 높게 되므로 균열하기 쉬워 가공하기 어렵다.
상기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이란, 복합상으로 이루어지는 산화 피막의 것이며, 예를 들면 Al2O3(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산화물층의 내부에 Ti이 점재하고 있는 상태를 들 수 있다.
상기 Al산화물 피막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피막을 들 수 있다.
상기 Ti을 포함하는 상으로서는, 금속판으로부터 Al산화물 피막의 외측으로 확산한 Ti산화물과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상기 Ti반응상이란, Ti과 고체 전해질이 반응한 결정상의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Ti이 Sr, Ca, Y, Sc, Gd, Sm과 같은 고체 전해질을 형성하는 원소와 반응하여 형성하는 복합 산화물상과 같은 구성을 들 수 있다.
(2) 본 발명의 제 2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에서는, 상기 금속판은 상기 연료극측의 공간과 상기 공기극측의 공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라도 좋다.
제 2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에서는 금속판의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 세퍼레이터(금속제 세퍼레이터)에 의해서, 연료극측과 공기극측을 분리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제 3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에서는, 상기 납땜재는 Ag, Au, Pd, Pt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제 3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에서는, 납땜재로서 Ag, Au, Pd, Pt을 포함하는 재료(예를 들면 이들의 금속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납땜재)를 사용하므로, 예를 들면 대기 중에서 납땜하는 경우라도 산화 부식을 발생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납땜재로서는, 예를 들면 Ag-CuO, Ag-Cr2O3, Ag-Al2O3, Al-SiO2와 같은 Ag과 산화물의 혼합체나, Ag-Ge-Cr, Ag-Al, Ag-In과 같은 Ag과 다른 금속의 합금 등을 채용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제 4 국면의 연료전지 스택은 상기 제 1∼제 3 국면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금속판 부착 단셀을 복수 구비하고 있다.
제 4 국면의 연료전지 스택(예를 들면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 스택)은 상술한 금속판 부착 단셀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판과 단셀의 접합성이 높으며,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이 높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5) 본 발명의 제 5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 1∼제 3 국면의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납땜재에 의한 접합 전에 상기 금속판을 900℃ 이상(더욱 바람직하게는 950℃ 이상) 1200℃ 이하의 범위에서 열처리한다.
제 5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에서는 Al과 Ti을 함유하는 금속판을 납땜의 전에 산소 분위기하(예를 들면 대기하)에서 소정 온도로 열처리하므로, 금속판의 표면에 제 1 국면의 금속판 부착 단셀과 같이,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과, 그 산화물층 표면의 Al산화물 피막과, Al산화물 피막 표면의 Ti을 포함하는 상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표면 구조를 구비한 금속판을 이용하여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제조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높은 접합 강도를 가지는 금속판 부착 단셀을 얻을 수 있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열처리하는 온도가 900℃를 하회하면, Al산화물 피막의 표면에 Ti을 포함하는 상이 형성되기 어려워진다. Al산화물 피막의 표면에 Ti을 포함하는 상을 어느 정도 이상 형성시키기 위해서는 950℃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1200℃를 상회하면,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에 있어서 Ti이 과잉으로 되고, 층이 형성되게 된다. 그로 인해, 그 Ti과잉인 층에서 벗겨지기 쉬워진다.
또한, 납땜시에는 예를 들면 대기하에서, 예를 들면 800℃ 이상 1200℃ 이하의 범위에서 가열할 수 있지만, 납땜의 온도는 납땜재의 용융 온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연료전지 스택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연료전지 스택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연료전지 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일부 파단하고, 그 상면측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도 7c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단셀의 상면측에 도포된 납땜재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 중, 납땜의 구체적인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험에 이용하는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함과 아울러, 관찰 개소(A∼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a∼도 13b는 실험예 1에 있어서, 도 13a는 관찰 개소(A)에 있어서의 SEM 화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13b는 동일 개소(A)에 있어서의 EPMA 원소 매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a∼도 14b는 실험예 1에 있어서, 도 14a는 관찰 개소(B)에 있어서의 TEM 화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14b는 동일 개소(B)에 있어서의 EDX 원소 매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a∼도 15b는 실험예 1에 있어서, 도 15a는 관찰 개소(C)에 있어서의 TEM 화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15b는 동일 개소(C)에 있어서의 EDX 원소 매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6a∼도 16b는 도 15a에 있어서의 EDX 라인 분석을 나타내며, 도 16a는 분석 위치를 나타내는 사진, 도 16b는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연료전지 스택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실시예 1에 있어서의 연료전지 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여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일부 파단하고, 그 상면측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a∼도 7c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단셀의 상면측에 도포된 납땜재층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 중, 납땜의 구체적인 작업 내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0은 실시예 2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실시예 3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하여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실험에 이용하는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적층 방향으로 파단하고, 그 접합부의 주변을 확대함과 아울러, 관찰 개소(A∼C)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3a∼도 13b는 실험예 1에 있어서, 도 13a는 관찰 개소(A)에 있어서의 SEM 화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13b는 동일 개소(A)에 있어서의 EPMA 원소 매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4a∼도 14b는 실험예 1에 있어서, 도 14a는 관찰 개소(B)에 있어서의 TEM 화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14b는 동일 개소(B)에 있어서의 EDX 원소 매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5a∼도 15b는 실험예 1에 있어서, 도 15a는 관찰 개소(C)에 있어서의 TEM 화상을 나타내는 사진, 도 15b는 동일 개소(C)에 있어서의 EDX 원소 매핑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6a∼도 16b는 도 15a에 있어서의 EDX 라인 분석을 나타내며, 도 16a는 분석 위치를 나타내는 사진, 도 16b는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실시예)로서 금속판 부착 단셀, 그 금속판 부착 단셀을 복수 구비한 연료전지 스택 및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의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연료전지로서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시예
1
a) 우선, 본 실시예 1의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의 단셀을 구비한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 스택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고체 산화물형」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의 연료전지 스택(1)은 연료 가스(예를 들면 수소: F)와 산화제 가스[예를 들면 공기(상세하게는 공기 속의 산소): O]의 공급을 받아서 발전하는 장치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도 1 및 도 2에 있어서의 상하를 연료전지 스택(1)에 있어서의 상하로서 설명한다.
이 연료전지 스택(1)은 양 도면의 상하 방향에 배치된 엔드 플레이트(3, 5)와, 그 사이에 배치된 층 형상의 연료전지 셀(7)이 적층된 것이다. 엔드 플레이트 (3, 5) 및 각 연료전지 셀(7)에는 그들을 적층 방향(양 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예를 들면 10개)의 관통 구멍(9)이 설치되고, 그 관통 구멍(9)에 배치된 각 볼트(11)와 볼트(11)에 나사 결합하는 너트(13)에 의해서, 엔드 플레이트(3, 5)와 각 연료전지 셀(7)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하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4층의 연료전지 셀(7)이 적층된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엔드 플레이트(3, 5)는 적층되는 연료전지 셀(7)을 압압하여 유지하는 유지판이며, 연료전지 셀(7)로부터의 전류의 출력 단자이기도 하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 셀(7)은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연료 가스와 공기의 공급을 받아 발전하는 발전 단위이다.
b) 다음에, 연료전지 셀(7)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료전지 셀(7)은 이른바 연료극 지지막형 타입의 구조를 가진다.
이 연료전지 셀(7)은 박막의 고체 전해질층(21)과, 그 일방의 측(동일 도면 하방: 이하에서는 하면측으로 기재한다)에 형성된 연료극층(애노드, 23)과, 타방의 측(동일 도면 상방: 이하에서는 상면측으로 기재한다)에 형성된 박막의 공기극층(캐소드, 25)을 구비한다. 이하에서는, 고체 전해질층(21)과 연료극층(23)과 공기극층(25)으로 이루어지는 일체로 적층된 부재를 단셀(27)로 부른다. 또한, 단셀 (27)의 공기극층(25)측에는 공기 유로(29)가 설치되고, 연료극층(23)측에는 연료 유로(3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전지 셀(7)은 단셀(27)에 더불어서 상하 1쌍의 인터 커넥터(33, 35)와 공기극층(25)측의 판 프레임 형상의 공기극 프레임(37) 및 절연 프레임(39)과, 단셀(27)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상면에 접합하여 공기 유로(29)와 연료 유로(31)를 차단하는 판 프레임 형상의 금속제 세퍼레이터(41)와, 연료극층(23)측에 배치된 판 프레임 형상의 연료극 프레임(43)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들이 적층되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평면시로, 연료전지 셀(7)의 4각 프레임 형상의 외주 부분에는 각 볼트(11)가 삽입되는 관통 구멍(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평면시」란, 상기 적층 방향에서 본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이하 동일).
이하, 각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공기극층(25)으로서는 페로브스카이트계 산화물[예를 들면 LSCF(란탄 스트론튬 코발트철산화물), LSM(란탄 스트론튬 망간 산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고체 전해질층(21)으로서는 YSZ(이트리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ScSZ(스칸디아 안정화 지르코니아), LSGM(란탄 스트론튬 마그네슘 갈레이트), SDC(사마륨 도프 세리아), GDC(가돌리늄 도프 세리아), 페로브스카이트계 산화물 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연료극층(23)으로서는 금속이 바람직하고, Ni 및 Ni과 세라믹의 서멧 (cermet)이나 Ni기 합금을 사용할 수 있다.
인터 커넥터(33, 35)는 단셀(27) 사이의 도통을 확보하고, 또한, 단셀(27) 사이에서의 가스의 혼합을 방지하는 것이며, 도전성을 가지는 판재(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판)이다.
이 인터 커넥터(33, 35)의 상면측에는 연료극층(23)에 접촉하는 연료극측 집전체(45)가 일체로 형성되고, 하면측에는 공기극층(25)에 접촉하는 공기극측 집전체(4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공기극 프레임(37)은 금속제인 사각형의 프레임체이며, 중앙부에는 공기 유로(29)로서 이용되는 개구부(37a)를 가지고 있다. 공기극 프레임(37)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절연 프레임(39)은 인터 커넥터(33, 35) 사이를 절연하는 사각형의 프레임체이며, 그 중앙부에는 공기 유로(29)로서 이용되는 개구부(39a)를 가지고 있다. 또한, 절연 프레임(39)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루미나 등의 세라믹스나, 마이카, 버미큘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금속제 세퍼레이터(41)는 나중에 상세히 서술하지만, 개구부(41a)를 가지는 사각형의 프레임체이며, 내열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박판이다.
이 금속제 세퍼레이터(41)는 단셀(27)의 고체 전해질층(2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접합부(51)에 의해서 접합되어 있으며, 공기와 연료 가스가 혼합되지 않도록 공기 유로(29)와 연료 유로(31)를 분리하고 있다. 또한, 금속제 세퍼레이터(41)가 접합된 단셀(27)을 금속판 부착 단셀(53)로 부른다.
연료극 프레임(43)은 절연성을 가지는 사각형의 프레임체이며, 중앙부에는 연료 유로(31)로서 이용되는 개구부(43a)를 가지고 있다. 연료극 프레임(43)으로서는, 예를 들면 절연 프레임(39)과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c) 다음에, 본 실시예의 주요부인 금속판 부착 단셀(5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속판 부착 단셀(53)을 구성하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와 단셀(27)은 평면 도형에 있어서의 무게 중심인 면적 중심이 일치하도록, 또한, 세로ㆍ가로의 각 변이 평행이 되도록 배치되고, 접합부(51)에 의해서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이 중, 금속제 세퍼레이터(41)의 외형 치수(평면시)는 세로 180㎜×가로 180㎜이며, 그 폭은 30㎜이고, 한편, 단셀(27)의 외형 치수(평면시)는 세로 120㎜×가로 120㎜이다.
상기 금속제 세퍼레이터(41)는 두께 0.02∼0.5㎜(예를 들면 0.1㎜)의 박판이다. 이 금속제 세퍼레이터(41)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18Cr-Al-Ti스테인리스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Al의 비율로서는 2∼10질량%의 범위를 채용할 수 있으며, Ti의 비율로서는 0.05∼1질량%의 범위를 채용할 수 있다.
상기 접합부(51)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의 하면측(도 5의 이면측)에 있어서의 개구부(41a)를 따른 내주 가장자리부와, 단셀(27)의 상면측(도 5의 표면측)에 있어서의 외주 가장자리부의 사이에 배치된 4각 프레임 형상의 납땜재로 이루어지는 접합 부분이며, 그 외형 치수(평면시)는 세로 120㎜×가로 120㎜이며, 폭이 3㎜, 두께가 10∼80㎛이다.
또한, 접합부(51)의 내주와 개구부(41a)의 내주의 사이에는 약간의(예를 들면 0.05∼1.5㎜ 정도의) 틈새가 있어도 좋다. 또한, 접합부(51)의 외주와 단셀(27)의 외주의 사이에는 약간의(예를 들면 0.05∼1.5㎜ 정도의) 틈새가 있어도 좋다.
또한, 접합부(51)를 구성하는 납땜재로서는 대기 납땜할 때에 산화 부식이 발생하기 어려운, 예를 들면 Ag, Au, Pd, Pt의 적어도 1개의 재료를 포함하는 각종의 납땜재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g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납땜재로서는 예를 들면, Ag과 산화물의 혼합체, 예를 들면 Ag-Ag2O3, Ag-CuO, Ag-Cr2O3, Ag-SiO2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g과 다른 금속의 합금, 예를 들면 Ag-Ge-Cr, Ag-A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 1에서는, 금속판 부착 단셀(53)은 도 6에 나타내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의 베이스가 되는 중심 부분의 기판부(55)와, 기판부(55)의 표면을 덮는 표면 구조(57)를 가지고 있다.
기판부(55)는 Fe을 주된 성분으로 하여 Al과 Ti을 함유하는 두께 0.02∼0.5㎜의 판 형상 부분이다. 또한, 표면 구조(57)는 중심측으로부터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59)과, Al산화물 피막(61)과, Ti을 포함하는 상(63)을 가지고 있다.
이 표면 구조(57) 중,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59)은 Al2O3(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산화물층의 내부에 Ti이 점재하고 있는 복합상이며, Ti이 층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
또한, Al산화물 피막(61)이란 알루미나 피막이며, 그 속에는 Ti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또한, Ti을 포함하는 상(63)이란 Ti이 산화물 혹은 금속 상태로 점재하는 입자와 같은 구성이다. 또한, 이 Ti을 포함하는 상(63)은 납땜재[즉 접합부(51)]와 접하는 부분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접합부(51)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측에 있어서의 Al산화물 피막(61)과 접하는 메인 접합부(65)와, 고체 전해질층(21)에 접하는 Ti반응상(67)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 메인 접합부(65)는 7.5체적%의 Al2O3를 포함하는 Ag납땜재로 이루어진다.
또한, Ti반응상(67)이란, Ti과 고체 전해질이 반응한 결정상이다. 또한, Ti반응상(67)의 두께는 10∼500㎚(예를 들면 200㎚)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서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는 기판부(55)의 표면에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59)을 가짐과 아울러, 그 산화물층(59)의 표면에 Al산화물 피막(61)을 가진다. 게다가, 그 Al산화물 피막(61)의 표면 중, 납땜재와 접하는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63)과 이간하고, 또한, 다른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63)을 가진다. 또한, 고체 전해질층(21)과 납땜재의 계면에는 Ti반응상(67)을 가진다.
d) 다음에, 연료전지의 금속판 부착 단셀(53)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주지하는 바와 같이, 연료극층(23)용의 그린 시트의 일방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층(21)용의 그린 시트를 붙여서 적층체를 형성하고, 이 적층체를 소성한다. 그 후, 소성 후의 적층체의 고체 전해질층(21)의 표면에 공기극층(25)이 되는 재료를 인쇄하고, 소성하여 단셀(27)을 제조한다.
한편,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18Cr-Al-Ti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금속판을 펀칭하여 기판부(55)를 제조한다.
그리고 이 기판부(55)를 대기 중에서 900∼1200℃(예를 들면 1000℃)로 1∼8시간(예를 들면 5시간) 가열하고(열처리하고), 자연 냉각한다.
이것에 의해서, 기판부(55)의 표면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59)과 Al산화물 피막(61)과 Ti을 포함하는 상(63)이 적층된 표면 구조(57)가 형성된다.
다음에,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페이스트 형상의 Ag납땜재(8체적%의 Al2O3를 포함하는 Ag납땜재)를 이용하여 스크린 인쇄에 의해서, 고체 전해질층(21)의 상면의 외주 가장자리부(도 8 참조)에 4각 프레임 형상의 납땜재층(69)을 형성한다. 또한, 이 납땜재층(69)의 외형 치수(평면시)는 세로 122㎜×가로 122㎜이며, 그 폭은 2∼6㎜의 범위의 것(예를 들면 4㎜)이고, 두께는 10∼100㎛의 범위의 것(예를 들면 30㎛)이다.
또한, 납땜재층(69)의 외주와 단셀(27)의 외주의 사이에 약간의(예를 들면 0.05∼1.5㎜의) 틈새가 있어도 좋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납땜재층(69)을 형성한 단셀(27)의 상면측으로부터 금속제 세퍼레이터(41)를 꽉 누른다.
그리고 하기와 같이, 소정의 납땜 온도로 가열하여 납땜을 실시한다.
상세하게는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알루미나로 이루어지는 기대(基台, 71) 위에 4각 프레임 형상의 예를 들면 알루미나 펠트로 이루어지는 내열 완충재(73)를 깔고, 그 위에 [사이에 납땜재층(69)을 끼워 넣은]금속제 세퍼레이터(41)와 단셀(27)을 금속제 세퍼레이터(41)를 아래로 하여 배치한다.
또한, 단셀(27)의 위에 동일한 내열 완충재(75)를 깔고, 그 위에 분동(77)을 얹어 20∼500g/㎠(2㎪∼50㎪)의 하중(예를 들면 300g/㎠)을 가한다.
그리고 800∼1200℃(예를 들면 1000℃)로 0.1∼8.0시간(예를 들면 1시간) 가열하여 납땜재를 용융시키고, 그 후 냉각하여 고체화시켜서 납땜을 실시한다.
이 납땜시의 가열에 의해서, 금속제 세퍼레이터(41)의 최표면(最表面)의 Ti을 포함하는 상(63) 속의 Ti은 납땜재 속으로 확산하여 이동한다. 따라서, 금속제 세퍼레이터(41)의 표면 중, 접합부(51)와 접하는 부분에는 Ti을 포함하는 상(63)은 존재하지 않는다(즉 Ti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납땜재 속으로 이동한 Ti의 일부는 고체 전해질층(21)의 표면 근방의 납땜재 속까지 이동하여 Ti반응상(67)이 형성된다.
또한, 이 납땜시에는 납땜재 속의 Ag이 고체 전해질층(21)의 표면을 침식하고, 고체 전해질층(21) 내로 잠입한다.
이것에 의해서, 상기 도 6에 나타내는 금속판 부착 단셀(53)이 얻어진다.
e) 다음에, 본 실시예 1의 효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에서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에 있어서, Ti과 Al을 함유하는 기판부(55)와 Al산화물 피막(61)의 사이에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즉 양 부재 (55, 61)의 열팽창 계수 사이의 열팽창 계수를 가지는 산화물층, 59]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이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59)이 열팽창 완충층으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기판부(55)와 Al산화물 피막(61)의 계면 밀착 강도(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기판부(55)의 열팽창 계수 H1,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59)의 열팽창 계수 H2, Al산화물 피막(61)의 열팽창 계수 H3으로 하면, H1>H2>H3의 관계가 성립된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Al산화물 피막(61)의 표면(외측)에 Ti을 포함하는 상(6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납땜 접합시에 납땜재의 습윤성이 좋아진다. 따라서, Al산화물 피막(61)과 납땜재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금속제 세퍼레이터(41)와 단셀(27)을 납땜 접합할 때에는 Al산화물 피막(61)의 외측에 형성된 Ti을 포함하는 상(63) 속의 Ti은 납땜재 속으로 확산함과 아울러, 고체 전해질층(21)측으로 더 확산하여 그곳에서 고체 전해질층(21)의 표면에 Ti반응상(67)이 형성된다. 그것과 동시에, 납땜재의 성분(Ag)이 고체 전해질층 (21)측을 침식하여 고체 전해질층(21) 속으로 잠입하기 때문에, 납땜재와 고체 전해질층(21)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또한, 납땜시에는 Al산화물 피막(61)과 납땜재의 계면에 있었던 Ti을 포함하는 상(63)은 Ti이 납땜재 속으로 확산함으로써 없어진다. 이 Ti은 산화나 환원 등의 분위기에 노출되면 변화하기 쉽기 때문에, Ti이 Al산화물 피막(61)과 납땜재의 계면으로부터 없어지는 것에 의해, Al산화물 피막(61)과 납땜재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 1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의해서, 금속제 세퍼레이터 (41)와 단셀(27)의 전체적으로서의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현저한 효과를 이룬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납땜재로서 Ag, Au, Pd, Pt을 포함하는 재료(예를 들면 이들의 금속을 주된 성분으로 하는 납땜재)를 사용하므로, 대기 중에서 납땜하는 경우라도 산화 부식을 발생시키기 어렵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게다가, 본 실시예 1의 연료전지 스택(1)은 상술한 금속판 부착 단셀(53)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제 세퍼레이터(41)와 단셀(27)의 접합성이 높고, 따라서, 제품의 내구성이 높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의 금속판 부착 단셀(53)의 제조방법에서는 납땜재에 의한 접합 전에, 기판부(55)를 대기하에서 900℃ 이상 1200℃ 이하의 범위에서 열처리하므로, 상술한 표면 구조(57)를 가지는 금속제 세퍼레이터(41)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내용의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의 번호로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한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2의 연료전지의 금속판 부착 단셀 (81)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금속제 세퍼레이터(41)와 단셀(83)이 납땜재로 이루어지는 4각 프레임 형상의 접합부(85)로 접합된 것이다.
이 중, 단셀(83)은 연료극층(23) 및 공기극층(25)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고체 전해질층(87)은 세로ㆍ가로의 외형 치수(평면시)가 실시예 1보다 작다. 즉, 고체 전해질층(87)의 외주는 단셀(83)의 외주보다 약간 내측으로(예를 들면 0.5∼4㎜) 물러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2에서는, 접합부(85)는 연료극층(23)의 상면측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고체 전해질층(87)의 상면측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접합부(85)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상면측의 메인 접합부 (89)와 하면측의 Ti반응상(9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Ti반응상(91)이 연료극층 (23)의 외주 가장자리부와 고체 전해질층(87)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걸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2에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이룸과 아울러, 다공질체인 연료극층(23)에 납땜하는 것에 의해, 납땜재가 입체적으로 비집고 들어가기 때문에, 앵커 효과에 의해서 접합 강도가 향상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실시예 3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내용의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또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부재의 번호로서는 동일한 번호를 사용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 3의 연료전지의 금속판 부착 단셀 (101)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금속제 세퍼레이터(41)와 단셀(103)이 납땜재로 이루어지는 4각 프레임 형상의 접합부(105)로 접합된 것이다.
이 중, 단셀(103)은, 연료극층(23) 및 공기극층(25)은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지만, 고체 전해질층(107)은 세로ㆍ가로의 외형 치수(평면시)가 실시예 1, 2보다 작다. 즉, 고체 전해질층(107)의 외주는 단셀(103)의 외주보다 약간 내측으로(예를 들면 0.5∼4㎜) 물러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 3에서는 접합부(105)의 하면측의 전체가 연료극층(23)의 상면에 접함과 아울러, 접합부(105) 하면측의 측면 일부가 고체 전해질층(107)의 측면에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접합부(105)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상면측의 메인 접합부(109)와 하면측의 Ti반응상(11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Ti반응상(111)의 하면측이 연료극층(23)의 상면과 접함과 아울러, Ti반응상(111)의 측면이 고체 전해질층(107)의 측면과 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3에서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효과를 이룸과 아울러, 연료극층 (23)에 접하는 영역이 많은 것으로부터 실시예 2보다도 더욱 접합 강도가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
실험예
]
다음에, 본 발명의 효과를 확인한 실험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a) 실험예 1
실험예 1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금속판 부착 단셀의 시료를 제조했다.
그리고 그 시료에 대해서 CP(크로스 섹션 폴리셔) 가공에 의해서, 도 12의 위치 A에 있어서의 샘플을 잘라냈다. 이 샘플에 대해서, 주지의 SEM 화상을 촬영함과 아울러, 주지의 EPMA로 원소 매핑을 실시했다. 그 결과로서, SEM 화상을 도 13a에 나타내고, EPMA 원소 매핑 화상을 도 13b에 나타낸다.
또한, FIB(집속 이온 빔) 가공에 의해서, 도 12의 위치 B, C에 있어서의 샘플을 잘라냈다. 이 샘플에 대해서, 주지의 TEM 화상을 촬영함과 아울러, 주지의 EDX로 원소 매핑을 실시했다.
그 결과로서, B위치에 대응한 TEM 화상을 도 14a에 나타내고, 동일 B위치에 대응한 EDX 원소 매핑 화상을 도 14b에 나타낸다. 또한, C위치에 대응한 TEM 화상을 도 15a에 나타내고, 동일 C위치에 대응한 EDX 원소 매핑 화상을 도 15b에 나타낸다.
또한, 도 15a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주지의 EDX 라인 분석을 실시했다. 이 EDX 라인 분석을 실시한 상세한 위치 및 방향을 도 16a의 흑색의 선분 및 백색의 화살표로 나타낸다. 그리고 EDX 라인 분석의 결과(분석 결과)를 도 16b에 나타낸다. 또한, 도 16b에 있어서, 가로축은 거리를 나타내고 세로축은 카운트 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3a, 도 13b∼도 15a, 도 15b에서는 흰점이 각 원소의 존재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 도 13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열처리된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표면 구조에서는, 중심측으로부터 Ti과 Al을 함유하는 금속(X1), Ti과 Al을 포함하는 산화물층(X2), Al산화물 피막(X3), Ti을 포함하는 상(X4)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4a, 도 14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납땜 후의 금속제 세퍼레이터와 접합부의 계면에서는 상면측(동일 도면 우측)으로부터 Ti과 Al을 함유하는 금속(X1), Ti과 Al을 포함하는 산화물층(X2), Al산화물 피막(X3), Ag납땜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부(X5)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Al산화물 피막과 Ag납땜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부의 사이에 Ti을 포함하는 상이 소실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4a, 도 14b의 각 도면에서는 우측이 상면측(금속제 세퍼레이터측)을 나타내고 있다.
도 15a, 도 15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납땜 후의 접합부와 YSZ로 이루어지는 고체 산화물층(고체 전해질층)의 계면에서는 상면측(동일 도면 우측)으로부터 Ag납땜재로 이루어지는 접합부(X5), Ti반응상(X6), 고체 전해질층(X7)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접합부와 고체 전해질층의 계면에 Ti반응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15a, 도 15b의 각 도면에서는 우측이 상면측(금속제 세퍼레이터측)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6b에 나타내는 라인 분석으로부터 계면에 Ti반응상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Ti과 같은 개소에 Y가 많이 검출되어 있지만 Zr의 검출량이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고체 전해질층 속의 Y와 Ti이 반응한 흔적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b) 실험예 2
실험예 2에서는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재료로서 조성이 다른 시료(즉 Al과 Ti의 비율이 다른 스테인리스강의 시료)를 이용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서 4종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제조하고, 그 표면 구조를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1> Ti 0.06질량%, Al 3질량%의 금속제 세퍼레이터, <2> Ti 1.0질량%, Al 3질량%의 금속제 세퍼레이터, <3> Al 2질량%, Ti 0.2질량%의 금속제 세퍼레이터, <4> Al 10질량%, Ti 0.2질량%의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4종의 금속제 세퍼레이터를 사용하여 4종의 금속판 부착 단셀의 시료를 제조했다.
그리고 각 시료에 대해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 표면 구조를 조사했다. 그 결과, 각층의 두께는 다소 다르지만 동일한 표면 구조가 얻어졌다.
c) 실험예 3
실험예 3에서는 금속제 세퍼레이터의 열처리온도를 달리하고,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각종의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제조했다.
구체적으로는, 열처리온도를 800℃, 900℃, 1000℃, 1100℃, 1200℃, 1300℃로 하여 열처리를 실시했다. 또한, 그 밖의 조건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했다.
그리고 각 시료에 대해서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하게 하여 그 표면 구조를 조사했다. 그 결과, 900℃∼1200℃로 열처리한 것은, 각층의 두께는 다소 다르지만 동일한 표면 구조가 얻어졌다.
또한, 800℃로 가열한 것은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이 형성되지 않았다. 한편, 1300℃로 가열한 것은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 내부에서 Ti이 층을 형성하고 있었다.
실험예 4
실험예 4에서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제조하고, 그 접합 강도(즉 금속제 세퍼레이터와 단셀의 접합 강도)를 조사했다.
또한, 비교예로서 열처리하지 않은 금속제 세퍼레이터를 이용하여 금속판 부착 단셀을 제조하고, 그 접합 강도를 조사했다. 또한, 금속제 세퍼레이터를 800℃, 1300℃로 열처리한 시료도 제작하고, 동일하게 접합 강도를 조사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세퍼레이터를 단셀로부터 걷어올려 박리하는 시험[필 시험(peel test)]으로 접합 강도를 구했다. 그 결과, 본 발명예에서는 접합 강도는 5N/㎟로 높지만, 비교예에서는, 열처리없음이 2N/㎟, 800℃ 열처리가 3N/㎟, 1300℃ 열처리가 3N/㎟으로 낮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하등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 예를 들면, 각 실시예의 구성은 가능한 범위에서 적절하게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2) 또한, 각 실시예에 기재한 치수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3)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평판 형상의 금속판 부착 단셀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원통형이나 편평통형의 금속판 부착 연료전지 셀에도 적용할 수 있다.
1: 연료전지 스택 7: 연료전지 셀
21, 87, 107, X7: 고체 전해질층 23: 연료극층
25: 공기극층 27, 83, 103: 단셀
41: 금속제 세퍼레이터 51, 85, 105, X5: 접합부
53, 81, 101: 금속판 부착 단셀 55: 기판부
57: 표면 구조 59, X2: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
61, X3: Al산화물 피막 63, X4: Ti을 포함하는 상
67, 91, 111, X6: Ti반응상 69: 납땜재층
21, 87, 107, X7: 고체 전해질층 23: 연료극층
25: 공기극층 27, 83, 103: 단셀
41: 금속제 세퍼레이터 51, 85, 105, X5: 접합부
53, 81, 101: 금속판 부착 단셀 55: 기판부
57: 표면 구조 59, X2: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
61, X3: Al산화물 피막 63, X4: Ti을 포함하는 상
67, 91, 111, X6: Ti반응상 69: 납땜재층
Claims (6)
- 고체 전해질과, 상기 고체 전해질의 일방의 면에 설치된 연료극과, 상기 고체 전해질의 타방의 면에 설치된 공기극을 구비한 연료전지의 단셀과,
상기 단셀에 대해서, 적어도 상기 고체 전해질과 접하도록 납땜재에 의해서 접합된 금속판을 구비한 금속판 부착 단셀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Ti:0.05∼1질량%와 Al:2∼10질량%를 함유하는 것이고, 당해 금속판의 표면에 Al과 Ti을 포함하는 산화물층을 가짐과 아울러, 당해 산화물층의 표면에 Ti을 포함하지 않는 Al산화물 피막을 가지며,
상기 Al산화물 피막의 표면 중, 상기 납땜재와 접하는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相)과 이간하고, 또한, 다른 표면은 Ti을 포함하는 상을 가지며,
상기 고체 전해질과 상기 납땜재의 계면에는 Ti반응상을 더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부착 단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판은 상기 연료극측의 공간과 상기 공기극측의 공간을 분리하는 세퍼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부착 단셀.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납땜재는 Ag, Au, Pd, Pt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부착 단셀.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납땜재는 Ag, Au, Pd, Pt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부착 단셀.
-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판 부착 단셀을 복수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 스택.
- 상기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납땜재에 의한 접합 전에 상기 금속판을 900℃ 이상 1200℃ 이하의 범위에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3-264204 | 2013-12-20 | ||
JP2013264204 | 2013-12-20 | ||
PCT/JP2014/083395 WO2015093523A1 (ja) | 2013-12-20 | 2014-12-17 | 金属板付単セ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並びに金属板付単セルの製造方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88370A KR20160088370A (ko) | 2016-07-25 |
KR101918373B1 true KR101918373B1 (ko) | 2018-11-13 |
Family
ID=53402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6172A KR101918373B1 (ko) | 2013-12-20 | 2014-12-17 | 금속판 부착 단셀, 연료전지 스택 및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10186715B2 (ko) |
EP (1) | EP3086393B1 (ko) |
JP (1) | JP6014278B2 (ko) |
KR (1) | KR101918373B1 (ko) |
CN (1) | CN105900273B (ko) |
CA (1) | CA2933149C (ko) |
DK (1) | DK3086393T3 (ko) |
WO (1) | WO201509352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1046B1 (ko) * | 2016-07-15 | 2022-03-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엔드셀 히터 |
CN110653442B (zh) * | 2019-10-12 | 2021-03-02 | 哈尔滨工业大学 | 一种钛合金表面渗铝辅助空气反应钎焊的方法 |
JP6876768B2 (ja) * | 2019-10-25 | 2021-05-26 | 日本碍子株式会社 | 接合体 |
JP6756027B1 (ja) * | 2019-12-25 | 2020-09-16 | 日本碍子株式会社 | セルスタック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200568A (ja) * | 2006-01-23 | 2007-08-09 | Ngk Spark Plug Co Ltd |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US20080220313A1 (en) * | 2005-09-29 | 2008-09-11 | Elringklinger Ag | Seal arrangement comprising a metallic braze for a high-temperature fuel cell sta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el cell stack |
WO2012143118A1 (en) * | 2011-04-20 | 2012-10-26 | Topsøe Fuel Cell A/S | Process for surface conditioning of a plate or sheet of stainless steel and application of a layer onto the surface, interconnect plate made by the process and use of the interconnect plate in fuel cell stacks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38623A (en) * | 1992-02-28 | 1994-08-16 | Ceramatec, Inc. | Series tubular design for solid electrolyte oxygen pump |
JPH11317236A (ja) * | 1997-12-22 | 1999-11-16 | Aqueous Reserch:Kk | 燃料電池システム |
US7055733B2 (en) | 2002-01-11 | 2006-06-06 | Battelle Memorial Institute | Oxidation ceramic to metal braze seals for applications in high temperature electrochemical devices and method of making |
US7270906B2 (en) * | 2002-06-24 | 2007-09-18 | Delphi Technologies, Inc. | Solid-oxide fuel cell module for a fuel cell stack |
CA2627786C (en) * | 2004-11-30 | 2012-03-27 |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 Braze system with matched coefficients of thermal expansion |
JP5204958B2 (ja) | 2006-06-19 | 2013-06-05 | 日本発條株式会社 | 接合体 |
US7691488B2 (en) * | 2007-06-11 | 2010-04-06 | Battelle Memorial Institute | Diffusion barriers in modified air brazes |
JP2010021038A (ja) | 2008-07-11 | 2010-01-28 |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
JP5645417B2 (ja) * | 2010-02-12 | 2014-12-24 |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 耐酸化性と電気伝導性に優れたAl含有フェライト系ステンレス鋼 |
JP5576146B2 (ja) * | 2010-03-01 | 2014-08-20 | 日新製鋼株式会社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導電部材 |
-
2014
- 2014-12-17 CN CN201480069839.9A patent/CN105900273B/zh active Active
- 2014-12-17 JP JP2015553580A patent/JP6014278B2/ja active Active
- 2014-12-17 US US15/101,063 patent/US10186715B2/en active Active
- 2014-12-17 EP EP14871180.7A patent/EP3086393B1/en active Active
- 2014-12-17 DK DK14871180.7T patent/DK3086393T3/en active
- 2014-12-17 CA CA2933149A patent/CA2933149C/en active Active
- 2014-12-17 WO PCT/JP2014/083395 patent/WO201509352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17 KR KR1020167016172A patent/KR1019183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20313A1 (en) * | 2005-09-29 | 2008-09-11 | Elringklinger Ag | Seal arrangement comprising a metallic braze for a high-temperature fuel cell stack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fuel cell stack |
JP2007200568A (ja) * | 2006-01-23 | 2007-08-09 | Ngk Spark Plug Co Ltd |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2143118A1 (en) * | 2011-04-20 | 2012-10-26 | Topsøe Fuel Cell A/S | Process for surface conditioning of a plate or sheet of stainless steel and application of a layer onto the surface, interconnect plate made by the process and use of the interconnect plate in fuel cell stack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86393A4 (en) | 2017-08-16 |
CA2933149A1 (en) | 2015-06-25 |
EP3086393A1 (en) | 2016-10-26 |
CA2933149C (en) | 2018-06-26 |
CN105900273A (zh) | 2016-08-24 |
US10186715B2 (en) | 2019-01-22 |
DK3086393T3 (en) | 2018-09-03 |
US20160359175A1 (en) | 2016-12-08 |
EP3086393B1 (en) | 2018-08-15 |
KR20160088370A (ko) | 2016-07-25 |
CN105900273B (zh) | 2019-01-01 |
JP6014278B2 (ja) | 2016-10-25 |
JPWO2015093523A1 (ja) | 2017-03-23 |
WO2015093523A1 (ja) | 2015-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69376B1 (ko) | 세퍼레이터 부착 연료 전지 셀, 그 제조 방법, 및 연료 전지 스택 | |
KR102072374B1 (ko) | 전기 화학 반응 단위 및 연료 전지 스택 | |
JP6336382B2 (ja) | セパレータ付単セ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並びにセパレータ付単セルの製造方法 | |
KR101918373B1 (ko) | 금속판 부착 단셀, 연료전지 스택 및 금속판 부착 단셀의 제조방법 | |
JP6147606B2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 |
JP5727428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 |
JP6185316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及びその製造方法、燃料電池スタック | |
JP2004319290A (ja) | 固体電解質型燃料電池 | |
JP6389133B2 (ja) | 燃料電池スタック | |
JP7172481B2 (ja) | 構造体および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セルスタック | |
JP2006202727A (ja) | 固体電解質形燃料電池 | |
JP2010199058A (ja) | 反応装置、及び、反応装置の製造方法 | |
JP6298807B2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 |
JP6917182B2 (ja) | 導電性部材、電気化学反応単位、および、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
JP6850187B2 (ja) | 電気化学反応単セル、および、電気化学反応セルスタック | |
JP6242377B2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スタック | |
JP5727432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その製造方法,および燃料電池スタック | |
JP5890244B2 (ja) | 接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 | |
JP2016039004A (ja) | 燃料電池 | |
JP5727429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 |
JP2004319266A (ja) | 固体酸化物形燃料電池のシール構造体及びシール方法 | |
JP5727430B2 (ja) | セパレータ付燃料電池セル,および燃料電池 | |
JP6663470B1 (ja) | 燃料電池セル及びセルスタック装置 | |
JP2013026221A (ja) | ろう付けインターコネクトを有する燃料電池及びその組立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