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00741B1 -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741B1
KR101900741B1 KR1020170006910A KR20170006910A KR101900741B1 KR 101900741 B1 KR101900741 B1 KR 101900741B1 KR 1020170006910 A KR1020170006910 A KR 1020170006910A KR 20170006910 A KR20170006910 A KR 20170006910A KR 101900741 B1 KR101900741 B1 KR 10190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ount
mobile terminal
login
scree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69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191A (ko
Inventor
강민정
강지영
황재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69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741B1/ko
Priority to EP18151643.6A priority patent/EP3349106B1/en
Priority to EP20153043.3A priority patent/EP3660647B1/en
Priority to US15/872,611 priority patent/US10587429B2/en
Publication of KR20180084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741B1/ko
Priority to US16/748,268 priority patent/US107850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18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from a device located outside both the home and the home net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6Pc applications
    • G05B2219/2642Domotique, domestic, home control, automation, smart ho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5Generic home appliances, e.g. refrigera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 및,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계정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들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 및, 계정 기반의 계정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소정 공간에서 사용되는 세탁기, 공기조화기, 청소기 등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고유의 기능과 동작을 수행하였다.
예를 들어,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장하고, 세탁기는 세탁물을 처리하며, 공기조화기는 실내 온도를 조정하고,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 등을 수행한다.
근래에는, 다양한 통신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들이 유/무선 통신으로 네트워크 연결되고 있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홈 어플라이언스들은,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어느 하나의 기기에서 다른 기기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 등 스마트 기기(smart device)를 포함하여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언제 어디서든 자신의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들의 정보를 확인하고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가정 내 기기들의 네트워크는 스마트 홈(smart home)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마트 홈 기술과 관련하여 종래기술(출원번호 10-2003-0093196)은, 세탁기 등을 포함하는 홈 네트워크를 구성한다.
종래기술은 세탁 종료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세탁물의 존재 여부 및 습도를 기준으로 세탁기 스스로가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그 결과에 따라 후속 조치를 하므로 세탁물의 장시간 방치에 의한 손상을 원천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세탁 종료 후에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로 세탁물 방치에 관한 정보 및 후속 조치의 진행 여부를 묻는 질문 메시지를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이 수신되면 응답에 따라 후속 조치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통상적으로 스마트 홈 기술은 사용자가 휴대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하려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기기 기반, 계정 기반으로 홈 어플라이언스를 쉽게 등록하고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의 제공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계정을 편리하게 전환,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다.
출원번호 10-2003-0093196 (출원일 2003년 12월 18일)
본 발명의 목적은,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들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과 계정 기반의 계정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서 일반 계정으로 쉽게 전환하고, 계정에 등록된 정보를 편리하게 전환,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 및,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계정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들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 및, 계정 기반의 계정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서버는,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모듈,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되도록 제어하고,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들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과 계정 기반의 계정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서 일반 계정으로 쉽게 전환하고, 계정에 등록된 정보를 편리하게 전환,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그 외의 다양한 효과는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과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로그인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를 포함하는 스마트 홈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 서버(70)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에는 통신 모듈을 구비한 공조 기기(10), 청소기(20), 냉장고(31), 세탁기(32)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조 기기(10)는 공기조화기(11), 공기 청정기(12, 13), 가습기(14), 후드(Hood, 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청소기(20)는, 진공 청소기(21), 로봇 청소기(22) 등일 수 있다.
한편,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는,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소정 서버(70)와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은,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등 이동 단말기(5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 이동 단말기(50),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 이동 단말기(50),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은, 유/무선 공유기(미도시)를 통하여, 통신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기기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통신 연결되는 메쉬 토폴로지(mesh topology)를 구성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유/무선 공유기(미도시)를 경유하여 서버(7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이더넷(Ethernet)에 의해서 서버(7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구성도로, 게이트웨이(Gateway)를 포함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기기들 간에 직접 또는 게이트웨이(미도시)를 경유하여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직접 또는 게이트웨이(25)를 경유하여 서버(70)와 통신 가능하도록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게이트웨이(미도시)는 이더넷(Ethernet)에 의해서 서버(7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유/무선 공유기를 경유하여 서버(7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서버(70) 및/또는 게이트웨이에 기기 작동 상태 정보, 설정값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에 관한 정보를 확인하거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50)는 통화(call)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서버(70) 및/또는 게이트웨이에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이동 단말기(50)의 통화(call) 수신에 대응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하거나 소정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70) 및/또는 게이트웨이는 이동 단말기(50) 등을 통한 사용자 명령 입력이 있거나,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내의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에서 발생하는 특정 이벤트(event)에 대응하여,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들을 제어하는 신호를 각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등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한 영상과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웨이(25)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게이트웨이의 동작과 관련된 영상,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버(70)는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 이동 단말기(50), 기타 기기로부터 전달되는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서버(70)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조사 또는 제조사가 서비스를 위탁한 회사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와 관련된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될 수 있고, 상기 이동 단말기(50)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상기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거나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는 상기 서버(70)로 각종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서버(70)가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로부터 수신한 정보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70)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10, 20, 31, 32)로부터 수신한 정보 그 자체 또는 수신한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5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는 상기 서버(70)가 하나인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2개 이상의 서버와 연동하여 동작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게이트웨이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서 서버(70)나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하고, 제2 통신 방식에 의해서 사물인터넷(IoT) 기기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들을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서버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50) 등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도 2는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다른 기기, 서버와 통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smart home appliance, 1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10)에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한 냉장고(111), 세탁기(112), 로봇 청소기(113), 공기 조화기, 공기청정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10)가 구비하는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는,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10)는 다른 종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하거나 복수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10)는 NFC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등을 통해 소정 서버와 연결 가능하고, 원격 모니터링, 원격 제어 등 스마트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120, 140)와 게이트웨이(Gateway, 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사물인터넷(IoT) 기기(120, 140)들은,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을 구비하여 자체적으로 인터넷 접속, 서버와 연결 가능한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20)와 게이트웨이(130)를 통하여 인터넷 접속, 서버와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20)에는 IP 카메라(121), 온도조절기(122) 등이 해당될 수 있고, 게이트웨이(130)를 통하지 않고 서버에 연결 가능하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에는 스마트 조명(141), 스마트 플러그(142), 먼지 센서(143), 모션 센서(144), 다용도 센서(145)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는 적어도 게이트웨이(130)와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는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웨이(130)는 제1 통신 방식에 의해서 서버나 이동 단말기와 통신하고, 제2 통신 방식에 의해서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통신 방식일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방식은 지그비(zigbee) 통신 방식일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는 상기 게이트웨이(130)를 통하여 서버로 연결될 수 있고,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 등으로 모니터링 및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스마트 조명(141)을 원하는 시간에 켜고 끌 수 있고, 상기 스마트 플러그(142)의 전력 사용량 등 사용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먼지 센서(143), 모션 센서(144), 다용도 센서(145) 등에서 측정되는 센싱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용도 센서(145)는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 모듈을 구비하지 않는 홈 어플라이언스도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된다.
상기 다용도 센서(145)가 부착될 수 있는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는,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냉장고, 세탁 장치, 공기 조화기, 로봇 청소기 등 중에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탁 장치는, 의류 등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 의류 등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 식기를 세척하기 위한 식기 세척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용도 센서(145)는 특정 홈 어플라이언스에 추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다용도 센서(145)는 특정 홈 어플라이언스로 작동과 관련한 명령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다용도 센서(145)는 홈 어플라이언스의 작동과 무관하게 다용도 센서(145)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다용도 센서(145)는 홈 어플라이언스에 부착되어 사용되거나, 실내 벽 또는 창문이나 도어(door) 등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조명(141), 스마트 플러그(142), 먼지 센서(143), 모션 센서(144), 다용도 센서(145) 등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는, 상태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발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하나 이상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배터리의 상태, 외부 기기(서버나 이동 단말기 등)와의 통신 연결 여부, 에러 상태 등과 같은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에서 조사되는 광의 색상은, 상기 배터리의 상태, 외부 기기(서버나 이동 단말기 등)와의 통신 연결 여부, 에러 상태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색상 광원을 포함하여, 각 상황에 대응하는 색상 광원에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40)가 정상 작동 중 일때는 청색광을 출력하고, 이상 발생 시 적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특정 동작 수행 전에 사용자가 곧 특정 동작이 수행된다는 사실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소정 시간 동안 황색광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등 서버에 연결 가능한 통신 모듈 구비 여부에 따라 사물인터넷(IoT) 기기(120, 140)들을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20)와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로 구분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1을 참조하여 상기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20)와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로 예시된 기기들도 사양에 따라 다른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기기가 여러 기능을 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는 게이트웨이로써 상기 사물인터넷 액세서리(140)과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게이트웨이(130)와 관련된 내용은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에도 적용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는 그 자체가 센서, 제어 기능 등을 구비하여 사물인터넷 디바이스(120)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는 디스플레이, 오디오 출력부 등 출력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에 저장되어 있거나, 수신되는 신호에 기초한 영상과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에 저장된 음악 파일을 재생하여 상기 오디오 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와 오디오 출력부는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의 동작과 관련된 영상, 오디오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을 세분화하여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120, 140)와 상기 게이트웨이(130)를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으로 명명하고, 상기 사물인터넷(IoT) 기기(120, 140). 상기 게이트웨이(130) 및 상기 스마트 홈 어플라이언스(110)를 스마트 홈 시스템으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홈 및 사물인터넷(IoT) 시스템은, 상기 게이트웨이(130)를 대체하여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를 포함하거나, 상기 게이트웨이(130) 및 상기 스마트 허브 게이트웨이(125)를 함께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5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5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40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50)는 프론트 케이스(401)와 리어 케이스(4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401)와 리어 케이스(4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401)와 리어 케이스(4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4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51)의 윈도우(451a)는 프론트 케이스(4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4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4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4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4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 커버(4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403)가 리어 케이스(4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4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 커버(403)가 리어 케이스(4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4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402)는 후면 커버(4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 커버(403)에는 카메라(미도시)나 음향 출력부(미도시)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401, 402, 4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5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5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451a)와 프론트 케이스(401) 사이, 프론트 케이스(401)와 리어 케이스(4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402)와 후면 커버(4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에는 디스플레이부(4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452a, 미도시), 근접 센서(441), 조도 센서(442), 광 출력부(454), 제1 및 제2 카메라(421a, 미도시), 제1 및 제2 조작유닛(423a, 미도시), 마이크로폰(422), 인터페이스부(4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451), 제1 음향 출력부(452a), 근접 센서(441), 조도 센서(442), 광 출력부(454), 제1 카메라(421a) 및 제1 조작유닛(4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미도시), 마이크로폰(422) 및 인터페이스부(4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미도시) 및 제2 카메라(미도시)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5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5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5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5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4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4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451a)와 윈도우(4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4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4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 조작유닛(4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4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윈도우(4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4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451a)와 프론트 케이스(4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5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4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4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4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4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423a, 미도시)은 이동 단말기(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430)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423a, 미도시)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423a, 미도시)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4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4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423a, 미도시)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4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452a, 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4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452a, 미도시)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4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4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4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4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4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4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451) 또는 사용자 입력부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4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4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60)는 이동 단말기(50)를 외부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4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4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는 제1카메라(4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미도시)는 제2카메라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는 제2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미도시)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는 제1 음향 출력부(4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411, 도 4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4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5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490, 도 4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4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인터페이스부(4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4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4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403)는 리어 케이스(4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5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5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4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5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5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7)은, 이동 단말기(5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4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5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5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417)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5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5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5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사용자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및 전원 공급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동 단말기(50)는, 디스플레이부(451), 서버(7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510), 및,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고,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계정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7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하는 제어부(48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통신 모듈(413), 무선 인터넷 모듈(415), 근거리 통신 모듈(417), 및 GPS 모듈(4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4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5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인터넷 모듈(415)은, 와이파이(WiFi) 기반의 무선 통신 또는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기반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7)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417)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5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50)와 다른 이동 단말기(5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50)와 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4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무선 통신부(41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서버(70)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405)를 포함할 수 있고,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A/V(Audio/Video) 입력부(4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이를 위해, 사용자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4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5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5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5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5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센싱부(440)는, 감지 센서(441), 압력 센서(443), 및 모션 센서(44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션 센서(4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중력 센서 등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50)의 움직임이나 위치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특히, 자이로 센서는 각속도를 측정하는 센서로서, 기준 방향에 대해 돌아간 방향(각도)을 감지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디스플레이부(451), 음향출력 모듈(453), 알람부(455), 및 햅틱(haptic) 모듈(457)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5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한편, 디스플레이부(4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4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출력 모듈(453)은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출력 모듈(4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55)는 이동 단말기(5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
햅틱 모듈(457)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7)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 효과가 있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5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5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이동 단말기(5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이동 단말기(5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5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이동 단말기(5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간략한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서버(70)는, 통신 모듈(520), 저장부(530), 및 프로세서(510)를 구비할 수 있다.
서버(70)는, 이동 단말기(50)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모듈(520),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530), 상기 이동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되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52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51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520)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게이트웨이 등으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 모듈(520)은, 수신되는 각종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게이트웨이 등으로 송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 모듈(520)은, 인터넷 모듈, 이동 통신 모듈 등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통신 모듈(520)은,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저장부(530)는, 수신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정보를 저장하고,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 생성을 위한 데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정보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정보인 경우, 저장부(530)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제품 등록을 위해, 수신되는 제품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정보가,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작동 상태 정보이거나 설정값 정보인 경우, 저장부(530)는,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의 작동 상태 정보, 설정값 정보를 기기별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510)는, 서버(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510)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시스템 관련 정보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결과 정보를 이동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서버(70)는, 홈 어플라이언스, 사물인터넷(IoT) 기기 제조사가 운영하는 서버 또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운영자가 운영하는 서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시나리오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동 단말기(50)의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는 화면에 포함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홈 어플라이언스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고,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S610).
이동 단말기(50)의 제어부(480)는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라 표시되는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인트로(intro) 화면일 수 있다.
이 경우에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복수의 로그인 항목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로그인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로딩(loading)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 실행을 환영하는 웰컴(welcome) 화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이후 상기 로그인 화면이 표시되기까지의 연속적인 화면의 집합을 인트로(intro) 화면으로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그인 화면은, 이동 단말기(50)의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간편 로그인 항목과 사용자에 대응하여 생성되는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계정 로그인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 계정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어 있다면(S620), 제어부(480)는 자동 로그인을 실행하여 로그인을 완료하고, 디스플레이부(451)에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50).
한편,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사용자 계정 자동 로그인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면(S620), 제어부(480)는 간편 로그인 가입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S630).
간편 로그인은 아이디(ID)와 패스워드(PW)를 등록 설정하는 회원 계정이 없으므로 종래의 통상적인 의미의 로그인과는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간편 로그인 동작은 이동 단말기(50)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 및 유저 세션(user session)이 발급되어 애플리케이션 사용이 준비되기까지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간편 로그인의 완료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의 준비 완료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편 로그인이 완료되면 디스플레이부(451)에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해당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간편 로그인 가입이 되어있다면(S630), 사용자의 간편 로그인 항목 선택 없이 또는 로그인 화면의 표시 없이 바로 간편 로그인 동작이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동 단말기(50)의 제어부(480)는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여 계정 로그인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유도하는 팝업(pop-up)이 상기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1).
한편, 상기 팝업은 기설정된 소정 시간의 경과 이후 자동으로 표시 종료되거나, 사용자의 조작으로 표시 종료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간편 로그인을 실행하여 로그인을 완료하고, 디스플레이부(451)에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50).
한편,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에 표시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S642), 제어부(480)는 이용 약관 동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3).
간편 로그인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ID), 패스워드(PW), 기타 개인 정보가 필요 없지만, 기기 정보의 전송,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및 이용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의 전송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소한의 약관 동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사용자 동의를 받게 된다.
사용자가 약관에 동의하면, 제어부(48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간편 로그인을 실행하여 로그인을 완료하고, 디스플레이부(451)에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50).
이 경우에, 제어부(480)는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서버(70)로부터 발급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 및 유저 세션이 수신되면,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에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50).
여기서, 서버(70)로부터 발급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에 대응하는 계정은, 서버(70)가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와 동일한 계정이거나, 서버(70)가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수신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에 대응하여 발급한 신규 아이디 계정일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에 표시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을 선택하는 경우(S644), 제어부(480)는 계정 로그인 입력 화면이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45).
사용자가 상기 계정 로그인 입력 화면을 통하여 아이디(ID), 패스워드(PW)를 입력하면, 제어부(480)는 입력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70)로 전송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 자동 로그인이 설정된 경우에는,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제어부(480)는 기등록된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70)로 전송하여 로그인할 수 있다.
한편, 로그인이 완료되면,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에 홈 화면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50).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로그인 과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7은 애플리케이션 화면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계정 로그인 항목(710), 간편 로그인 항목(720)을 포함하는 로그인 화면(7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로그인 화면(710)은 "SmartThinQ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여러분의 스마트한 홈 라이프를 경험하세요" 등 사용자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및 서비스 이용을 환영하는 웰컴(welcome) 안내 문구를 포함할 수 있고, 웰컴 화면으로도 명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그인 화면(710)은 국가 및 언어 설정 항목(701)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국가 및 언어 설정 항목(701)으로 현재 설정을 확인할 수 있고, 국가 및 언어 설정 항목(701)을 선택하여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그인 화면(710)은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확인하거나 도움말, 동영상 가이드(guide)들을 제공할 수 있는 둘러보기 항목(7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로그인 화면(700)에 포함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720)이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480)는 이동 단말기(50)의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7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계정 로그인 항목(710)을 탭(tab)하여 선택하면, 도 8과 같이, 제어부(480)는 사용자가 아이디 및 패스워드 등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계정 로그인 화면(800)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상기 계정 로그인 화면(800)을 통하여 사용자 계정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480)는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서버(7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지문 인식, 홍채 인식 등의 사용자 인증 방법에 따라 사용자를 인식하여 로그인하는 경우, 사용자가 계정 로그인 항목(710)을 탭(tab)하여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480)는 상기 계정 로그인 화면(800)으로의 전환 없이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70)로 전송하도록 무선 통신부(4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계정 로그인 화면(800)은 아이디/패스워드 입력창(810), 로그인 항목(820), 가타 계정 관련 메뉴 항목(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아이디/패스워드 입력창(810)에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로그인 항목(820)을 선택하여 계정 로그인할 수 있다.
도 9는 사용자 로그인 완료 후,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는 홈 화면을 예시한 것으로, 도 9의 (a)는, 등록된 제품이 있는 경우에 표시되는 홈 화면(910)을 도시하고, 도 9의 (b)는, 등록된 제품이 없는 경우에 표시되는 홈 화면(920)을 도시한다.
도 9의 (a)를 참조하면, 홈 화면(910)은 등록된 기기들에 대한 정보(911, 912, 913, 9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된 기기들은 사용자가 해당 계정에 등록한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사물인터넷 기기, 게이트웨이들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등록된 기기들에 대한 정보(911, 912, 913, 914)는 해당 기기의 명칭과 현재 상태 정보, 적용 모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의 (b)를 참조하면, 계정 로그인 완료 후, 해당 사용자 계정으로 등록된 제품이 없는 경우에는 등록된 제품이 없음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고, 소정 기기를 등록할 수 있는 제품 등록 항목(921)을 포함하는 홈 화면(920)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로그인 화면(700)에 표시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720)을 선택하는 경우, 제어부(480)는 이용 약관 동의 화면이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은 서비스 이용 약관 동의 화면(1000)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간편 로그인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아이디(ID), 패스워드(PW), 기타 개인 정보가 필요 없지만, 기기 정보의 전송, 이후 홈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및 이용에 필요한 최소한의 정보의 전송이 필요할 수 있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을 위한 최소한의 약관 동의가 필요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사용자 동의를 받게 된다.
사용자가 약관에 동의하면, 제어부(480)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요구하지 않고, 간편 로그인을 실행하여 로그인을 완료하고, 디스플레이부(451)에 홈 화면(910, 920)이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 예시된 홈 화면은, 사용자 계정에 의한 계정 로그인과 이동 단말기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의 경우에 동일하게 제공될 수 있다.
다만, 계정 로그인의 경우에는 해당 이동 단말기가 아닌 다른 기기를 통해서 계정 로그인 후 등록된 기기에 대한 정보가 더 제공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어부(480)는, 상기 간편 로그인 항목(720)의 선택에 따라, 간편 로그인된 경우, 사용자 계정 등록을 가이드(guide)하는 팝업(pop-up, 1100)을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팝업(1100)은 팝업(1100)을 닫을 수 있는 닫기 항목(1110)과 사용자 계정을 만들 수 있는 새 계정 만들기 항목(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닫기 항목(1110)을 선택하여 간편 로그인에 의한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새 계정 만들기 항목(1120)을 선택하여 사용자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새 계정 만들기 항목(1120)은 계정 전환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가 닫기 항목(1110)을 선택하면, 애플리케이션 홈 화면(910, 920)이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되고, 사용자가 새 계정 만들기 항목(1120)을 선택하면, 계정 생성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어부(480)는, 상기 팝업(1110) 내의 계정 전환 버튼(1120)이 선택되면, 계정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정 로그인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사용자가 별도의 사용자 계정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계정 로그인을 위한 화면은 새로운 계정을 생성하기 위한 화면일 수 있다.
한편, 상기 팝업(1100)은 소정 기간 팝업(1100)이 표시되지 않도록 설정하는 항목(1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간편 로그인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기반의 서비스 사용 구조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간편 로그인 서비스를 위한 약관에 동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480)는 이동 단말기(50)의 기기 정보를 활용해 랜덤(random) 문자열로 고유 식별자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생성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서버(70)로 전달하고, 상기 서버(70)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에 대응하는 계정을 신규 발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70)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와 등록된 IoT 기기, 홈 어플라이언스(1200)의 식별자(ID)를 맵핑(mapping)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버(70)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기반으로 발급된 세션을 사용하여 IoT 기기, 홈 어플라이언스(12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이용한 서비스와 사용자 계정(LG 계정을 이용한 서비스를 비교한 표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시스템이 자동 발급한 계정 사용자로, 계정 가입 및 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 없이 바로 서비스에 진입한 사용자이다.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는 이동 단말기별로 사용자가 구분된다.
사용자 계정 회원은 사용자가 회원 가입 등으로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한 사용자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서비스에 진입한 사용자잉다. 사용자 계정 사용자는 사용자 계정별로 구분된다.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와 사용자 계정은 모두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동등한 레벨의 계정으로, 하나의 서비스에서 두 계정 모두 사용 가능하지만, 두 계정을 동시에 사용할 수는 없다. 즉,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와 사용자 계정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는 회원 가입 없이 홈 어플라이언스 등의 제어 등 관련 서비스 사용이 가능하고, 계정 생성 목적의 개인정보 수집이 없으므로 이메일, 이름 생년월일 등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서비스는 회원 계정이 없으므로 종래 통상적인 의미의 로그인/로그아웃 기능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서비스는 서비스 탈퇴를 통해 해지할 수 있으며 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의 연결 관계도 끊어진다.
도 14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생성 과정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50)를 통하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S1410), 서비스 약관에 동의할 수 있다(S1420).
이에 따라, 제어부(480)는 이동 단말기(50)는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생성할 수 있다(S1430). 여기서, 상기 기기 정보는 이동 단말기(50)의 제조사, 모델명, 시리얼 넘버(serial number)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는 생성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S1440).
신규 사용자인 경우에, 상기 서버(70)는 그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75)에 정보확인 및 정보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S1451), 상기 데이터베이스(75)는 이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S1452).
또는, 이미 등록한 사용자인 경우에, 상기 서버(70)는 그 내부에 구비되거나 외부에 구비되는 데이터베이스(75)에 정보입력을 수행할 수 있고(S1456), 상기 데이터베이스(75)는 이에 대해 응답할 수 있다(S1457).
신규 사용자인 경우에, 데이터베이스(75)에 정보를 입력한 후, 입력된 정보 기반으로 기종네 생성된 정보가 있다면 삭제한 후에 다시 생성해서 사용자 아이디(ID) 및 유저 세션(user session)을 발급하여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준비할 수 있다(S1460).
이미 등록한 사용자인 경우에, 데이터베이스(75)에 등록되어 있으면 이미 활성화된 사용자로 인식하고, 사용자 아이디(ID) 및 유저 세션(user session)을 회신하고, 애플리케이션 사용을 준비할 수 있다(S1460).
유저 세션이 발급된 이동 단말기(50)는 홈 어플라이언스 등록 등 서비스 사용을 준비하고(S1470), 애플리케이션 실행 화면을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동작 방법에 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할 때에 간편 로그인 아이디를 일반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할 수 있고, 계정 전환 전에 이용하던 서비스,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도 11에서 예시된 팝업 내의 계정 전환 버튼을 선택하거나 설정 화면에 포함되는 계정 전환 버튼을 선택하여 계정을 전환할 수 있다.
제어부(480)는, 팝업 내의 계정 전환 버튼이 선택되거나 설정 화면에 포함되는 계정 전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에, 계정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정 로그인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5와 도 16은 설정 화면들을 예시한 것으로, 도 15는 일반 사용자 계정 로그인에 의한 설정 화면을 도시하고, 도 16은 간편 로그인에 의한 설정 화면을 도시한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설정 화면(1500, 1600)은, 제품 닉네임, 제품 네트워크, 표준시간대, 제품 편집을 설정하는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계정 및 제품 관리 영역(1510, 1610), 알림 기능 제공을 설정하는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알림 정보 설정 영역(1520, 1620), 기타 일반 설정 관련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일반 영역(1530, 163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반 사용자 계정 로그인에 의한 설정 화면(1500)의 경우에는, 계정 및 제품 관리 영역(1510)은, 아이디(ID)와 로그아웃 버튼(1511)을 포함하는 계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계정 정보는, ID/이메일(e-mail) 정보를 포함하지 않고, 로그아웃 버튼(1511)만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그아웃 버튼(1511)을 탭하면, 제어부(480)는 로그아웃 확인 팝업을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480)는 로그아웃 후 웰컴 화면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계정 및 제품 관리 영역(1510, 1610)은 등록한 제품이 있을 경우에 등록된 제품 닉네임 항목, 등록한 제품 중 제품 네트워크 설정을 지원하는 모델이 있는 경우에는 제품 네트워크 항목, 등록한 제품 중 표준 시간 설정이 필요한 제품이 있을 경우에 표준 시간대 항목, 제품 편집이 가능한 제품 편집 항목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 화면(1500, 1600) 중 어느 하나의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메뉴의 상세 화면으로 이동하거나 추가 화면이 팝업으로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닉네임 항목이 선택되면 닉네임 관리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고, 제품 네트워크 항목이 선택되면 등록 제품 리스트 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표준 시간대 항목이 선택되면 표준 시간대 변경 가능한 등록 제품 리스트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품 편집 항목이 선택되면 등록된 제품 편집 화면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알림 정보 설정 영역(1520, 1620)은, 등록한 제품 중 푸쉬(PUSH) 알림 설정을 지원하는 경우에 푸쉬 알림 설정 항목을 포함할 수 있고, 온/오프(ON/OFF)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알림 설정 항목을 선택하면, 알림 상세 설정화면으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일반 영역(1530, 1630)은 등록한 제품 중 스마트 데이터(Smart data)를 지원하는 모델이 있는 경우에 제공되는 스마트 데이터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간편 로그인에 의한 설정 화면(1600)의 경우에는, 계정 및 제품 관리 영역(1610)은, 계정 전환 버튼(16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간편 로그인된 경우의 홈 화면은 상기 계정 로그인된 경우의 홈 화면은 동일하고, 상기 간편 로그인된 경우의 설정 화면(1600)은 상기 계정 로그인된 경우의 설정 화면(1500)과 다를 수 있다.
상기 계정 전환 버튼(1611)이 선택되면, 제어부(480)는 계정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정 로그인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7과 같이 계정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는 계정 전환 안내 팝업(1700)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계정 전환 안내 팝업(1700)은 '간편 로그인에서 LG 계정으로 전환됩니다. (단, 계정 전환 후에도 등록된 제품 및 설정 정보는 최신의 상태로 유지됩니다.)' 등의 계정 전환 안내 메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정 전환 안내 팝업(1700)은 계정 전환을 취소할 수 있는 취소 항목(1710)과 팝업(1700)을 닫고 계정 전환을 진행할 수 있는 확인 항목(172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확인 항목(1720)을 선택하면, 제어부(480)는 간편 로그인 로그아웃 후 로그인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는, 계정 전환 안내 팝업(1700)은 확인 항목(1720) 등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을 포함하지 않고 소정 시간 표시 후 자동으로 표시 종료될 수 있다.
한편, 간편 로그인 서비스 사용 중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전환은 사용자 계정을 신규 생성한 후에 통합될 수 있고, 기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통합될 수도 있다.
간편 로그인 서비스 사용 중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 시, 각각의 계정에 연동되어 있는 홈 어플라이언스 목록은 통합된다.
계정 전환 시,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및 사용자 계정에 연동된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합하는 이유는 기존에 사용하던 홈 어플라이언스를 재등록 절차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8은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및 사용자 계정에 연동된 홈 어플라이언스를 통합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기생성되어 하나의 홈 어플라이언스를 등록, 연동한 사용자 계정으로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를 통합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에는 2대의 홈 어플라이언스가 연동되어 있고, 사용자 계정에는 1대의 홈 어플라이언스가 연동되어 있는 상태에서 통합되면, 통합된 사용자 계정에는 3대의 홈 어플라이언스가 모두 통합될 수 있다.
만약, 기존의 사용자 계정에 연동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없거나 사용자 계정이 신규 생성되었다면, 계정 전환으로 통합된 사용자 계정에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에 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만 연동되고, 목록에 노출된다.
또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에 연동된 홈 어플라이언스가 없다면, 계정 전환으로 통합된 사용자 계정에는 계정 전환 전의 사용자 게정에 등록된 홈 어플라이언스만 연동되고, 목록에 노출된다.
또한, 계정 전환 시,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및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기기 사용 이력도 통합 관리될 수 있다.
기기 사용 이력은 서비스에 기기를 연동하여 사용함에 따라 제어, 상태 변화, 에러 등의 이벤트 발생 기록이 간편 로그인 아이디 및/또는 사용자 계정을 기반으로 축적된다.
간편 로그인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별로 축적된 기기 이력 정보도 전환되어 통합된 사용자 계정에 통합, 관리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 또는 신규 생성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로그인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50)의 제어부(480)는,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 또는 신규 생성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로그인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서버(70)의 프로세서(510)는, 상기 이동 단말기(50)로부터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계정 전환 요청을 수신하고,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 또는 신규 생성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전환되면,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적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통합된 사용자 계정에 적용되는 설정 정보는 이동 단말기(50)의 기기 정보에 기초하여 생성, 관리되던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적용된 설정을 우선 적용할 수 있다.
도 19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 및 사용자 계정에 설정된 사용자 설정을 통합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알림 설정을 통합하는 예를 도시한다.
사용자 설정은 서비스 사용자가 기기 혹은 서비스 기능에 대해 설정한 값으로서 사용자 계정 1개당 1개의 설정 정보만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계정 전환시 해당 기기에 적용된 설정 정보 즉, 간편 로그인 아이디에 적용된 설정 정보를 우선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도 19를 살펴보면, 사용자 계정의 알림 수신 설정에 무관하게 간편 로그인 아이디(UUID)에 적용된 알림 수신 설정이 계정 전환으로 통합된 사용자 계정의 알림 수신 설정으로 적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50)의 제어부(480) 및/또는 서버(70)의 프로세서(510)는,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로그인되면, 상기 간편 로그인에 대응하는 콘텐츠(contents)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통합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 중 홈 어플라이언스에서 정의된 고정 콘텐츠는 중복 없이 통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 중 사용자가 직접 생성 또는 변경한 콘텐츠는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콘텐츠라도 삭제 없이 통합되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이동 단말기(50)의 제어부(480) 및/또는 서버(70)의 프로세서(510)는, 상기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명칭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50)의 제어부(480) 및/또는 서버(70)의 프로세서(510)는,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가 저장 최대 개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저장 최대 개수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콘텐츠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서비스 콘텐트(content)는 제품 정의 콘텐트와 사용자 정의 콘텐트로 구분된다.
제품 정의 콘텐트는, 제품에서 기 정의된 고정 콘텐트를 사용자가 선택, 설정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콘텐트로 사용자는 고정된 콘텐트 목록에서 선택만 할 수 있으며, 사용자 계정 1개당 복수의 콘텐트가 선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정의 콘텐트는 세탁기 세탁코스가 해당될 수 있고, 사용자는 즐겨찾기 설정이 가능하다.
사용자 정의 콘텐트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 저장한 콘텐트로 콘텐트 내용은 개인적이고, 가변적이다. 또한, 사용자 계정 1개당 복수의 콘텐트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의 콘텐트는 오븐 레시피, 냉장고 보관식품 목록이 해당될 수 있고, 사용자는 직접 작성하여 저장하거나, 개별 기기에서 센싱된 데이터에 기초해서 생성이 가능하다.
도 20을 참조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UUID)의 사용자 계정(LG) 전환시, 각 계정에 저장된 제품 정의 콘텐트는 중복 없이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UUID)에는 표준 코스, 이불 코스, 셔츠 한 벌의 3가지 세탁기 코스 정보가 즐겨찾기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 계정(LG)에는 표준 코스, 셔츠 한 벌의 2가지 세탁기 코스 정보가 즐겨찾기 등록되어 있다면, 계정 전환 후 통합 사용자 계정에 유지될 정보는 표준 코스, 이불 코스, 셔츠 한 벌의 3가지 세탁기 코스 정보이다.
즉, 두 계정에 등록된 제품 정의 콘텐트는 모두 유지되고, 중복되는 제품 정의 콘텐트는 하나만 유지된다.
도 21을 참조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UUID)의 사용자 계정(LG) 전환시, 각 계정에 저장된 제품 정의 콘텐트가 통합되면서, 제품 정의 콘텐츠의 합은 저장 최대 개수로 설정된 개수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저장 최대 개수를 넘어서는 개수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는 없으므로, 일부 콘텐츠가 삭제된다.
이 경우에, 홈 어플라이언스 별 허용하는 저장 최대 개수를 유지하면서, 최신 선택 콘텐트를 우선으로 유지한다.
즉,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가 저장 최대 개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저장 최대 개수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콘텐츠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세탁 코스 즐겨찾기 저장 최대 개수가 200개라고 가정한다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100개, 사용자 계정에 200개의 세탁 코스 즐겨찾기 설정이 되어 있을 때는 가장 최근에 쌓인 200개의 콘텐츠만 유지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200개의 콘텐츠는 중복되지 않는다.
도 21을 참조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UUID)의 사용자 계정(LG) 전환시, 각 계정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 콘텐트는 모두 유지 통합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콘텐트는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콘텐트이므로, 같은 제목이라 할지라도 동일한 내용의 중복 콘텐츠로 취급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UUID)에는 미역국, 카레라이스, 김밥의 3가지 오븐 레시피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사용자 계정(LG)에는 미역국, 김밥의 2가지 오븐 레시피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면, 계정 전환 후 통합 사용자 계정에 유지될 정보는 미역국, 카레라이스, 김밥, 미역국, 김밥의 5가지 오븐 레시피 정보이다. 즉, 두 계정에 등록된 사용자 정의 콘텐트는 모두 유지된다.
이 경우에, 실시예에 따라서는,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명칭을 변경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미역국, 김밥은 중복되므로 중복되는 정보에 1,2 등 식별할 수 있는 숫자, 기호, 명칭을 부가할 수 있다.
도 24를 참조하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UUID)의 사용자 계정(LG) 전환시, 각 계정에 저장된 사용자 정의 콘텐트가 통합되면서, 사용자 정의 콘텐츠의 합은 저장 최대 개수로 설정된 개수보다 클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저장 최대 개수를 넘어서는 개수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는 없으므로, 일부 콘텐츠가 삭제된다.
이 경우에, 홈 어플라이언스 별 허용하는 저장 최대 개수를 유지하면서, 최신 선택 콘텐트를 우선으로 유지한다.
즉,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가 저장 최대 개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저장 최대 개수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콘텐츠를 유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오븐 레시피 저장 최대 개수가 999개라고 가정한다면,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500개, 사용자 계정에 600개의 오븐 레시피가 저장되어 있을 때는 가장 최근에 쌓인 999개의 콘텐츠만 유지할 수 있다.
도 24와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도시한 것으로 홈 화면을 예시한다.
도 24와 도 25를 참조하면, 애플리케이션 화면(2400, 2500)은, 적어도 2이상의 기기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대시보드(dashboard) 화면과 복수의 모드(mode)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탭(tab) 메뉴 항목들(2411, 2412, 2511, 25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상기 탭(tab) 메뉴 항목들(2411, 2412, 2511, 2512) 중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대시보드 화면 또는 모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4는 대시보드 탭 메뉴 항목(2411, 2511)가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한다.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대시보드 화면(2400)은, 다른 종류의 기기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종류의 기기들은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항목, 사물인터넷 기기 항목과 게이트웨이 항목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시보드 화면(2400)은,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과 상기 게이트웨이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2420, 2430, 2440, 2450)은 해당 기기의 명칭과 현재 상태 정보, 적용 모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장고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2420)을 예로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을 상세히 살펴보면, 냉장고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2420)은 냉장고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고, 와이파이 모듈을 구비하는 제품이라면 와이파이 아이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냉장고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2420)은 제품 등록시 등록한 제품의 닉네임, 제품별 상태 및 설정 값 정보, 설정된 모드를 나타내는 아이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2430, 2440, 2450)도 냉장고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2420)과 유사한 텍스트, 그래픽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홈 어플라이언스 항목(2420, 2430, 2440, 2450) 중 어느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된 홈 어플라이언스에 대응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상세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특별한 설정이 없다면 애플리케이션 실행시 대시보드 화면이 첫 화면으로 표시되도록 디폴트(default) 설정될 수 있다.
도 25는 모드 탭 메뉴 항목(2412, 2512)가 선택된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예시한다.
도 25를 참조하면, 모드 화면(2500)은 취침 모드(2521), 귀가 모드(2522), 외출 모드(2523), 쾌적 모드(2524), 휴가 모드(2525) 등 복수의 모드 항목들(2521, 2522, 2523, 2524, 2525)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모드 항목들(2521, 2522, 2523, 2524, 2525) 중 어느 하나의 모드 항목을 선택하여 세부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모드 항목들(2521, 2522, 2523, 2524, 2525) 중 외출 모드(2521)가 선택되면, 외출 모드 상세 화면으로 전환되고, 외출 모드 상세 화면는 해당 모드의 적용 메뉴, 기기 별 세부 동작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들을 제어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과 계정 기반의 계정 로그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기기 기반의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서 일반 계정으로 쉽게 전환하고, 계정에 등록된 정보를 편리하게 전환, 통합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복수의 홈 어플라이언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서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 및, 서버의 동작 방법은,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홈 어플라이언스: 10, 20, 31, 32
이동 단말기: 50
무선 통신부: 410
디스플레이부: 451
제어부: 480
서버: 70
프로세서: 510
통신 모듈: 520
저장부: 530

Claims (20)

  1. 디스플레이부;
    서버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무선 통신부; 및
    홈 어플라이언스(Home Appliance) 관련 애플리케이션 실행 입력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화면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간편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이동 단말기의 기기 정보에 기초한 간편 로그인 아이디(ID) 계정을 생성하고, 생성된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에 포함되는 계정 로그인 항목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계정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 로그인 항목의 선택에 따라, 간편 로그인된 경우, 사용자 계정 등록을 가이드(guide)하는 팝업(pop-up)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팝업 내의 계정 전환 버튼이 선택되거나 설정 화면에 포함되는 계정 전환 버튼이 선택되는 경우에, 계정 전환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하고, 계정 로그인을 위한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 또는 신규 생성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로그인되면,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로그인되면, 상기 간편 로그인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통합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 중 홈 어플라이언스에서 정의된 고정 콘텐츠는 중복 없이 통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 중 사용자가 직접 생성 또는 변경한 콘텐츠는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콘텐츠라도 삭제 없이 통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명칭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가 저장 최대 개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저장 최대 개수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콘텐츠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로그인된 경우의 홈 화면은 상기 계정 로그인된 경우의 홈 화면은 동일하고, 상기 간편 로그인된 경우의 설정 화면은 상기 계정 로그인된 경우의 설정 화면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적어도 2 이상의 기기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대시보드(dashboard) 화면과 복수의 모드(mode) 중 하나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화면을 선택할 수 있는 탭(tab) 메뉴 항목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 화면은, 상기 탭(tab) 메뉴 항목들 중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대시보드 화면 또는 모드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대시보드 화면은, 다른 종류의 기기들에 대한 아이콘 및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를 교환하는 통신 모듈;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간편 로그인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에 기초하여 로그인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홈 어플라이언스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 대상 홈 어플라이언스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을 상기 사용자 계정으로 전환하는 계정 전환 요청을 수신하고,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 또는 신규 생성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전환되면,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홈 어플라이언스 관련 애플리케이션의 설정 정보가 적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삭제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으로 계정 전환되면, 상기 간편 로그인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를 통합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 중 홈 어플라이언스에서 정의된 고정 콘텐츠는 중복 없이 통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 중 사용자가 직접 생성 또는 변경한 콘텐츠는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콘텐츠라도 삭제 없이 통합되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콘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명칭을 변경하여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간편 로그인 아이디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와 상기 기설정된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콘텐츠의 개수가 저장 최대 개수보다 큰 경우에, 상기 저장 최대 개수 범위 내에서 가장 최근에 저장된 콘텐츠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70006910A 2017-01-16 2017-01-16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190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10A KR101900741B1 (ko) 2017-01-16 2017-01-16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EP18151643.6A EP3349106B1 (en) 2017-01-16 2018-01-15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EP20153043.3A EP3660647B1 (en) 2017-01-16 2018-01-15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5/872,611 US10587429B2 (en) 2017-01-16 2018-01-16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16/748,268 US10785051B2 (en) 2017-01-16 2020-01-21 Mobile terminal, serv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6910A KR101900741B1 (ko) 2017-01-16 2017-01-16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191A KR20180084191A (ko) 2018-07-25
KR101900741B1 true KR101900741B1 (ko) 2018-11-08

Family

ID=6115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6910A KR101900741B1 (ko) 2017-01-16 2017-01-16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0587429B2 (ko)
EP (2) EP3349106B1 (ko)
KR (1) KR1019007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479A (ko) * 2022-01-11 2023-07-18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실내 공간 미세 먼지 알림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3646B1 (en) * 2018-12-09 2020-06-02 Olibra Llc System, device, and method of multi-path wireless communication
USD872738S1 (en) * 2017-08-29 2020-0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KR102347208B1 (ko) * 2017-09-07 2022-0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장치를 이용한 태스크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서버 및 저장 매체
US20190245935A1 (en) * 2018-02-07 2019-08-08 The Nielsen Company (U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create opportunistic network of iot collaboration agents to collect data from mobile devices
KR101980039B1 (ko) * 2018-03-26 2019-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기기 자동 등록 시스템 및 방법
WO2019228842A1 (en) * 2018-05-29 2019-12-05 Belimo Holding Ag A method of generating for a user augmented reality information related to an hvac component
CN110838958B (zh) * 2018-08-16 2021-09-24 成都华迈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复合型安全接入物联网关及接入方法
CN109150676A (zh) * 2018-09-14 2019-01-04 杭州若奇技术有限公司 智能设备的应用编码、解码方法和装置以及应用系统
WO2021110263A1 (en) * 2019-12-04 2021-06-1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Method of controlling a home appliance and control system
KR20210076415A (ko) * 2019-12-16 2021-06-2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4087206A4 (en) * 2020-02-05 2023-01-18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INTERNET OF THINGS DEVICE RECORD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STORAGE MEDIA
CN111352602A (zh) * 2020-02-26 2020-06-30 中国建设银行股份有限公司 一种led屏幕的控制方法、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CN111464990B (zh) * 2020-03-31 2021-10-22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第一设备
KR102599345B1 (ko) * 2020-08-13 2023-11-06 (주)대우건설 다세대 주택의 거주자 및 방문자 관리가 가능한 스마트 홈 시스템
CN111964220A (zh) * 2020-08-14 2020-11-20 苏州酷牛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空气净化器用控制系统
CN112068451A (zh) * 2020-09-03 2020-12-11 东北林业大学 一种基于阿里云物联的家居电器智能控制系统
CN112782994B (zh) * 2020-12-31 2022-10-04 重庆房慧科技有限公司 基于用户数据分析的智能家居控制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854B1 (ko) * 2014-12-10 2015-02-23 주식회사 인포바인 웹 혹은 어플리케이션 내 로그인 필드를 자동 감지하여 입력하는 간편 로그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00352D0 (en) 2001-01-08 2001-02-14 Ucb Sa Films packaging and methods for making them
CN102301738B (zh) * 2009-11-30 2015-09-30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通信装置
US8578139B2 (en) * 2010-08-05 2013-11-05 Arm Limited Checkpointing long latency instruction as fake branch in branch prediction mechanism
US9172693B2 (en) * 2010-11-11 2015-10-27 Paypal, Inc. Quick payment using mobile device binding
KR101276857B1 (ko) * 2011-07-27 2013-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제품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KR101819510B1 (ko) * 2011-08-22 2018-0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및 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온라인 시스템
EP2755374B1 (en) * 2011-09-09 2018-08-22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1924962B1 (ko) * 2012-10-04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방법
JP5944920B2 (ja) * 2013-06-07 2016-07-05 株式会社東芝 端末、電子機器のログイン設定情報の入力方法、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情報記録媒体、電子機器
KR101631435B1 (ko) * 2014-09-05 2016-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홈 어플라이언스,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854B1 (ko) * 2014-12-10 2015-02-23 주식회사 인포바인 웹 혹은 어플리케이션 내 로그인 필드를 자동 감지하여 입력하는 간편 로그인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8479A (ko) * 2022-01-11 2023-07-18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실내 공간 미세 먼지 알림 시스템
KR102666662B1 (ko) * 2022-01-11 2024-05-16 경남도립거창대학산학협력단 실내 공간 미세 먼지 알림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9106A1 (en) 2018-07-18
US10587429B2 (en) 2020-03-10
US10785051B2 (en) 2020-09-22
US20200162279A1 (en) 2020-05-21
EP3349106B1 (en) 2020-03-04
KR20180084191A (ko) 2018-07-25
EP3660647A1 (en) 2020-06-03
US20180205570A1 (en) 2018-07-19
EP3660647B1 (en) 202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741B1 (ko) 이동 단말기,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US8938261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4928508B (zh) 用于基于附件状态生成场景的系统、方法和介质
CN104639966A (zh) 遥控方法及装置
US10511456B2 (en) Presenting accessory group controls
US11003147B2 (en) Automatically grouping accessories
KR100657778B1 (ko) 시스템과 그 환경 장치들간에 태스크를 수행하기 위한태스크-연관 객체들의 클러스터링 방법
US11394575B2 (en) Techniques for utilizing a coordinator device
CN105207864A (zh) 家电设备控制方法和装置
CN104407592A (zh) 一种调整智能家居设备运行状态的方法及装置
CN104898505A (zh) 智能场景配置方法及装置
CN105872655A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113205B (zh)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CN105827489A (zh) 智能家电的控制方法、装置及智能家电
CN107592629A (zh) 设备控制方法及装置
CN106385351A (zh) 智能家居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
CN107817929A (zh) 智能设备的快捷控制方法及装置
CN106797333B (zh) 基于用户日常习惯修改自动环境行为
CN106506562A (zh) 智能设备的网络连接方法、装置及智能设备
CN106254624B (zh) 终端、网络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584412A (zh) 一种获取设备控制权的方法与通信系统
KR20170132020A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CN107809545A (zh) 智能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US10425241B2 (en) Electronic device, smart home system using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mart home system
CN107294818A (zh) 闹钟提醒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