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900567B1 -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0567B1
KR101900567B1 KR1020160148491A KR20160148491A KR101900567B1 KR 101900567 B1 KR101900567 B1 KR 101900567B1 KR 1020160148491 A KR1020160148491 A KR 1020160148491A KR 20160148491 A KR20160148491 A KR 20160148491A KR 101900567 B1 KR101900567 B1 KR 101900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bar
apparatus body
moving
support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1766A (ko
Inventor
박정인
주지한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5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51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2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moto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42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 B66C1/44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 B66C1/445Gripping members engaging only the external or internal surfaces of the articles and applying frictional forces motor actu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66C1/625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for gripping drums or barr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장치바디를 개폐토록, 상기 장치바디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와 외부 이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바디를 이동토록, 상기 장치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체결러그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에서 이동대상물이 고정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크기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라운드 바, 롤러 등과 같은 이동대상물의 직경 등과 같은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조절 가능하므로, 이동대상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결속장치{BINDING DEVICE}
본 발명은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라운드 바, 롤러 등과 같은 이동대상물의 직경 등과 같은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조절 가능형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라운드 바(R)와 같은 이동대상물을 들어올려 이동시키는 리프팅 방식에 게시되어 있다. 종래 리프팅 방식은 라운드 바(R)를 결박벨트(B)로 양측부를 지지하고, 호이스트, 크레인 등의 이동장치를 이용하여 들어올려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이동시켰다. 여기서 라운드 바(R)는 롤러와 같은 원통형 물체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개념일 수 있다.
그런데, 결박벨트(B)로 단순히 거치하면서 이동시키기 때문에, 리프팅과정이나 리프팅 후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외부 충격, 진동 등에 의해 결박벨트(B)가 흔들리거나 심한 경우 끊어지면서 라운드 바(R)가 이탈하여 낙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만약 라운드 바(R)가 설비 상부로 낙하되는 경우에는 장비 손상의 위험이 있으며, 그 하부에 작업자가 작업 중이었다면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라운드 바(R)와 같은 이동대상물을 보다 더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리프팅 이동시킬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된다.
국내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7833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라운드 바, 롤러 등과 같은 이동대상물의 직경 등과 같은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조절이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장치바디와 상기 장치바디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힌지부와 상기 장치바디를 개폐토록, 상기 장치바디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개폐부와 외부 이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바디를 이동토록, 상기 장치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체결러그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에서 이동대상물이 고정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크기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핀홀이 형성된 슬라이딩바와 이동대상물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핀홀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딩바를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나사산홀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부가 형성된 조절바와 이동대상물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바와 접촉하며 배치되고, 상기 조절바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고, 내측 둘레 일부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이동바와 이동대상물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이동바의 나사산부와 기어박스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바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블록은, 이동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면부 및 상기 접촉면부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한 쌍의 이동부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지지블록이 접촉되며 지지할 때, 이동대상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배치되는 마찰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이동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조절부는, 이동대상물을 수직 방향으로 결속하여 이동할 때, 이동대상물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배치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되, 이동대상물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대상물에 동일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센서간에 측정된 오차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보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 베벨기어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고, 타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의 나사산부와 맞물리며 배치되는 제2 베벨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운드 바, 롤러 등과 같은 이동대상물의 직경 등과 같은 크기에 대응하여 지지하는 부분의 크기조절이 가능하므로, 리프팅 작업시 이동대상물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이동대상물의 수직 또는 수평방향 이동이 안정적으로 이뤄지도록 한다.
또한 압력센서, 접촉센서, 마찰패드, 구동모터 등을 추가적으로 구성하여 대형 이동대상물의 이동간에 적절하게 지지되고 있는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자동적으로 상황에 따른 가압력 조절, 미접촉부위 파악 및 모터 구동으로 인한 접촉상태 유지 등의 다양한 대처를 가능하게 한다.
도 1은 종래 결속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인 결속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크기조절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크기조절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크기조절부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결속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결속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결속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결속장치(100)는 장치바디(110), 힌지부(120), 개폐부(130), 체결러그(140) 및 크기조절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대상물은 원칙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이동대상물은 라운드 바로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결속장치(100)의 재질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기본적으로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동대상물의 무게, 크기 등의 조건에 따라 플라스틱 등과 같은 비금속재질로도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기 장치바디(110)는 라운드 바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방사방향으로 형성된 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바디(110)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힌지부(120)가 배치되어 상기 장치바디(110)가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힌지부(120)는 상기 장치바디(110)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힌지블록(122)에 형성된 힌지홀(미도시)에 힌지핀(121)을 끼워 회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130)는 상기 장치바디(110)의 양단부에 배치되고,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되며 상기 장치바디(110)를 개폐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개폐부(130)는 상기 장치바디(110)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연결블록(132)에 형성된 연결홀(미도시)에 연결핀(131)을 끼워거나 또는 분리함으로써, 상기 장치바디(110)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체결러그(140)는 호이스트, 크레인 등과 같은 외부 이동장치(C)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바디(110)를 이동토록, 상기 장치바디(11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체결러그(140)는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라운드 바를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해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체결러그(140a, 140c, 140f)가 배치될 수 있으며, 라운드 바를 수평방향으로 들어올려 이동시키기 위핸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는 체결러그(140c, 140d)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체결러그(140)의 손상, 고중량의 라운드 바 이송 등을 대비하여 추가적으로 체결러그(140b, 140e)가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a 및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크기조절부(20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면, 상기 크기조절부(200)의 제1 실시예는 슬라이딩바(211), 지지블록(280) 및 고정핀(2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바(211)는 상기 장치바디(110)에 형성된 관통홀(119)에 끼워져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핀홀(211a)이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바디(110)상에도 고정홀(118)이 형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고정홀(118)과 핀홀(211a)에 고정핀(213)을 끼워 원하는 위치에서 지지블록(28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80)은 라운드 바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21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블록(280)은 라운드 바에 접촉하는 접촉면부(281) 및 상기 접촉면부(281)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부(2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280)은 상기 한 쌍의 이동부(283)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바디(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28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바디(110)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구체적으로 상기 크기조절부(200)는 상기 장치바디(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사용자는 각각의 슬라이딩바(211)에 형성된 핀홀(211a)과 상기 고정홀(118)에 상기 고정핀(213)을 끼워 라운드 바의 직경에 대응하며 가변되도록 하여 라운드 바의 외주면을 지지토록 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고정핀(213)의 나사산(213b)에 고정너트(213a)를 결합시켜 고정핀(213)를 고정하게 된다.
한편,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크기조절부(200)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고하면, 상기 크기조절부(200)의 제2 실시예는 조절바(221), 지지블록(280) 및 지지볼(2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조절바(221)는 상기 장치바디(110)에 형성된 나사산홀(117)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부(221a)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80)은 라운드 바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바(22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블록(280)은 라운드 바에 접촉하는 접촉면부(281) 및 상기 접촉면부(281)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부(2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280)은 상기 한 쌍의 이동부(283)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바디(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28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볼(223)은 상기 지지블록(280)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바(221)와 접촉하며 배치되고, 상기 조절바(221)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볼(223)은 상기 조절바(221)의 회전시 상기 지지블록(280)간의 마찰을 완화하는 역할을 하며, 이때 상기 지지볼(223)의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윤활제가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바디(110)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구체적으로 상기 크기조절부(200)는 상기 장치바디(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며, 사용자는 각각의 조절바(221)를 돌러, 라운드 바의 직경에 대응하여 가변되도록 하여 라운드 바의 외주면을 지지토록 하게 된다.
한편, 도 5a 및 도 5b는 도 2에 도시된 발명에서 크기조절부(200)의 제3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고하면, 상기 크기조절부(200)의 제3 실시예는 이동바(231), 지지블록(280), 구동모터(233), 마찰패드(250), 접촉센서(260) 및 압력센서(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231)는 상기 장치바디(110)에 형성된 관통홀(119)에 배치되고, 내측 둘레 일부에 나사산부(231a)가 형성되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블록(280)은 라운드 바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바(231)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블록(280)은 라운드 바에 접촉하는 접촉면부(281) 및 상기 접촉면부(281)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부(28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블록(280)은 상기 한 쌍의 이동부(283)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바디(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1)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28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33)는 상기 이동바(231)의 나사산부(231a)와 기어박스(240)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바(231)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어박스(240)는 상기 구동모터(233)의 샤프트에 볼트체결되어 연결되는 제1 베벨기어(241)와 일단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241)와 맞물리고 타단부는 나사산(243a)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바(231)의 나사산부(231a)와 맞물리도록 배치되는 제2 베벨기어(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베벨기어(243)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상기 장치바디(110)상에서 상기 제2 베벨기어(243)의 주변부에는 베어링(445)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상기 구동모터(233)를 구동함으로써, 상기 이동바(231)를 라운드 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지지블록(280)이 라운드 바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하며 지지토록 하게 된다.
상기 장치바디(110)는 링 형상이고, 상기 지지블록(280)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므로, 상기 구동모터(233)에 의해 지지블록(280)은 자동적으로 이동하며 라운드 바의 표면을 방사방향에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마찰패드(250)는 상기 지지블록(280)이 라운드 바의 표면에 접촉되며 지지할 때, 라운드 바가 미끄러지거나 또는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블록(280)의 접촉면부(28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마찰패드(250)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플라스틱 등의 어느 정도 탄성력을 가진 재질일 수 있다. 이는 밀착력을 발휘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접촉센서(260)는 상기 지지블록(280)의 접촉면부(281)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233)와 연결되며, 라운드 바의 표면에 접촉시 상기 구동모터(233)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블록(280)이 라운드 바의 표면에 접촉될 때, 우선 상기 마찰패드(250)가 눌리면서 단단히 밀착되게 되고, 이후 접촉센서(260)에 마찰패드(250)의 눌림에 따른 신호가 전달되면, 접촉센서(260)는 제어부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제어부는 자동적으로 구동모터(233)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물론 제어부가 사용자에게 표시부를 통해 접촉여부를 인지시켜주고, 사용자가 버튼과 같은 수단을 통해 구동모터(233)의 구동을 수동적으로 정지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다음 상기 압력센서(270)는 라운드 바를 수직 방향으로 결속하여 이동시킬 때, 라운드 바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지지블록(280)의 접촉면부(281)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장치바디(110)는 링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구체적으로 상기 압력센서(270)는 상기 지지블록(280)상에서 상기 장치바디(110)의 내측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된다. 사용자가 지지블록(280)으로 지지하고 라운드 바를 수직 방향으로 상승시킬 때, 상기 압력센서(270)가 라운드 바의 원주방향에 각각 인가되는 가압력을 측정하게 된다.
이때 오차가 발생한다면, 상기 압력센서(270)가 제어부에 신호를 주게 되고, 제어부는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측정된 부분의 지지블록(280)과 연계된 구동모터(233)는 조금 더 구동하게 되고, 반대로 가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된 부분의 지지블록(280)과 연계된 구동모터(233)는 반대로 구동하여 가압력을 풀어줌으로써, 전체적으로 라운드 바를 지지하는 가압력의 균형을 맞춘다.
이를 통해 라운드 바는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인 결속장치(100)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우선 도 6a에서는 본 발명인 결속장치(100)를 이용하여 라운드 바를 수직 방향으로 리프팅할 때의 체결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외부 이동장치(C)에 체결되는 체결러그(140)는 도면부호상 140a, 140c, 140f를 지칭하는 체결러그가 된다. 물론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음 도 6b에서는 본 발명인 결속장치(100)를 이용하여 라운드 바를 수평 방향으로 리프팅할 때의 체결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외부 이동장치(C)에 체결되는 체결러그(140)는 도면부호상 140c, 140d를 지칭하는 체결러그가 된다. 물론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상의 사항은 결속장치(100)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
100:결속장치 110:장치바디
111:가이드홈 117:나사산홀
118:고정홀 119:관통홀
120:힌지부 121:힌지핀
122:힌지블록 130:개폐부
131:연결핀 132:연결블록
140:체결러그
200:크기조절부 280:지지블록
281:접촉면부 283:이동부
285:가이드돌기
[제1 실시예}
211:슬라이딩바 211a:핀홀
213:고정핀 213a:고정너트
213b:나사산
[제2 실시예]
221:조절바 221a:나사산부
223:지지볼
[제3 실시예]
231:이동바 231a:나사산부
233:구동모터 240:기어박스
241:제1 베벨기어 243:제2 베벨기어
243a:나사산 445:베어링
250:마찰패드 260:접촉센서
270:압력센서
R: 라운드 바
C:외부 이동장치
P:제어부

Claims (11)

  1. 장치바디;
    상기 장치바디의 중간 부분에 배치되는 힌지부;
    상기 장치바디를 개폐토록, 상기 장치바디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개폐부;
    외부 이동장치와 연결되며 상기 장치바디를 이동토록, 상기 장치바디의 외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체결러그; 및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에서 이동대상물이 고정되도록,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크기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크기조절부는 적어도 이동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지지블록은,
    이동대상물에 접촉하는 접촉면부;
    상기 접촉면부의 양단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한 쌍의 이동부; 및
    상기 한 쌍의 이동부상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배치되는 가이드돌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관통홀에 끼워져 배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핀홀이 형성된 슬라이딩바;
    이동대상물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고정홀과 상기 핀홀에 끼워지며 상기 슬라이딩바를 고정하는 고정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에 형성된 나사산홀에 배치되고, 외측 둘레를 따라 나사산부가 형성된 조절바;
    이동대상물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조절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지지블록의 내부에서 상기 조절바와 접촉하며 배치되고, 상기 조절바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형성된 관통홀에 배치되고, 내측 둘레 일부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이동바;
    이동대상물에 접촉되며 지지하도록, 상기 이동바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블록; 및
    상기 이동바의 나사산부와 기어박스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바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지지블록이 접촉되며 지지할 때, 이동대상물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배치되는 마찰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며, 이동대상물의 표면에 접촉시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출하는 접촉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는,
    이동대상물을 수직 방향으로 결속하여 이동할 때, 이동대상물에 인가되는 가압력을 측정하도록, 상기 지지블록의 접촉면부에 배치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크기조절부는 상기 장치바디의 내측 둘레를 따라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배치되되, 이동대상물을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이동대상물에 동일한 가압력이 인가되도록,
    상기 복수의 지지블록에 배치되는 복수의 압력센서간에 측정된 오차를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박스는,
    상기 구동모터의 샤프트에 연결되는 제1 베벨기어; 및
    일단부는 상기 제1 베벨기어와 맞물리고, 타단부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바의 나사산부와 맞물리며 배치되는 제2 베벨기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장치.
KR1020160148491A 2016-11-09 2016-11-09 결속장치 KR101900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91A KR101900567B1 (ko) 2016-11-09 2016-11-09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491A KR101900567B1 (ko) 2016-11-09 2016-11-09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66A KR20180051766A (ko) 2018-05-17
KR101900567B1 true KR101900567B1 (ko) 2018-09-19

Family

ID=62486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491A KR101900567B1 (ko) 2016-11-09 2016-11-09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56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89557B2 (ja) * 1996-12-06 1999-12-1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物品把持装置
KR20090111666A (ko) * 2008-04-22 2009-10-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버터플라이 밸브 권양용 지그
KR20120003718U (ko) * 2010-11-19 2012-05-3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파이프 이송용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766A (ko) 2018-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26651B2 (en) Hinge for opening/closing door
RU240124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тропления детали с компенсацией усилия и подъемная система с таким устройством
US10273128B2 (en) Rope hoist
CN106458549B (zh) 钢索吊车
CN101745912B (zh) 缓冲装置
CN202897818U (zh) 一种自夹紧吊具
US20190016565A1 (en) Length adjustable wire rope rigging device and lifting system employing the same
KR101996385B1 (ko) 밸브 조립 장치
JP6153909B2 (ja) 主ロープテンション測定装置及び主ロープテンション調整方法
KR20160120728A (ko) 교체가능한 롤러-탑재 유닛을 갖는 롤러 헤밍 헤드
US20090295179A1 (en) Tire lifting mechanism
CN104923681A (zh) 一种模具板料定位感应器装置
KR101900567B1 (ko) 결속장치
CN204917652U (zh) 预制楼板吊具
JP2015212676A (ja) 電子部品測定用のコンタクトモジュール
JP2011240448A (ja) ワイヤ駆動式ロボット
US20140165377A1 (en) Bearing plate with pressure elements
CN210754827U (zh) 一种压机安全辅助装置
CN104142232B (zh) 一种滚轮寿命试验机
CN102748569A (zh) 一种显示器升降装置
KR102251568B1 (ko)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CN202691501U (zh) 一种显示器升降装置
US20160068378A1 (en) Chain hoist
KR102251567B1 (ko) 스프링백 검사 및 개선시스템의 스프링백 검사장치
CN108033396B (zh) 一种建筑施工起吊收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