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2472B1 -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92472B1 KR101892472B1 KR1020180030647A KR20180030647A KR101892472B1 KR 101892472 B1 KR101892472 B1 KR 101892472B1 KR 1020180030647 A KR1020180030647 A KR 1020180030647A KR 20180030647 A KR20180030647 A KR 20180030647A KR 101892472 B1 KR101892472 B1 KR 1018924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rizontal
- tripod
- height
- leveling
- contro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3827 upregula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1494510 Arund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4—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 F16M11/26—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hangeable in height or length of legs, also for transport only, e.g. by means of tubes screwed into each other by telescoping, with or without folding
- F16M11/32—Undercarriages for supports with three or more telescoping leg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에 따르면, 작업자가 전원만 연결하면 아두이노 센서 및 아두이노 보드를 통해 모터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수평을 맞추는 시간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고, 수평을 맞춘 후에는 측량용 삼각대가 고정된 상태에서 수직점(지형상에 설정된 포인트)만 맞추면 바로 측량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측량 시간을 기존에 비해 2배 이상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수평점 조절을 위한 제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100)에서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110)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100)에서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110)의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11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100)의 제어를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의 제어 시스템에 적용되는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100)의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11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10 :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
111 : 장치 하우징
112 : 하중 측정 센서
113 : 원형 아날로그 수평계
114 : 중앙 출력부
115 : 수평 제어부
115-1 내지 115-3 : 제 1 내지 제 3 수평 제어부
115a-1 내지 115a-3 : 제 1 내지 제 3 모터 제어 모듈
15b-1 내지 115b-3 : 제 1 내지 제 3 수평 제어 모터
115g : 수평 제어부 집합
116 : 아두이노 수평 센서
116-1 내지 116-3 : 제 1 내지 제 3 아두이노 수평 센서
116g : 아두이노 수평 센서 집합
117 : 아두이노 보드
118 : 블루투스 모듈
119 : GPS 모듈
120 : 받침형 삼각대
121 : 장치 받침 플레이트
200 : 작업자 모바일 디바이스
Claims (5)
-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작업자 모바일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는,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 및 받침형 삼각대를 포함하며,
상기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는,
장치 상부 하우징, 장치 하부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치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장치 하부 하우징 모두 삼각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하부에서 포개져서 볼팅 체결 결합으로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장치 하부 하우징이 상기 받침형 삼각대의 장치 받침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별도의 고정 장치에 의해 상기 받침형 삼각대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장치 하부 하우징에는 수평 제어부 집합을 구성하는 제 1 내지 제 3 수평 제어 모터의 상하부 이동축(R.A.)이 통과하도록 상기 상하부 이동축(R.A.)의 직경보다 큰 관통홀을 각 모서리인 3곳에 형성되며, 상기 장치 하부 하우징의 관통홀을 통과한 상하부 이동축(R.A.)의 끝단은 상기 장치 상부 하우징의 바닥면에 맞닿아 고정되도록 하는 장치 하우징;
상기 장치 상부 하우징의 세 군데의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에 연장된 형태로 형성되어,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에 의한 기계 설치를 위한 수평 및 수직의 자동 맞춤 과정 수행 과정 이전, 이후에 작업자에 의한 수평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 아날로그 수평계;
아두이노 보드에 의한 수평 측정 과정에서 현재의 수평 상태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로 형성되는 중앙 출력부;
제 1 모터 제어 모듈 및 제 1 수평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제 1 수평 제어부, 제 2 모터 제어 모듈 및 제 2 수평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제 2 수평 제어부, 제 3 모터 제어 모듈 및 제 3 수평 제어 모터를 포함하는 제 3 수평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수평 제어부 집합;
높이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광 삼각방식을 이용한 길이 측정 방식을 사용한 높이 측정 센서, 그리고 수평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기울기 센서로 각각 이루어진 제 1 내지 제 3 아두이노 수평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장치 상부 하우징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등거리에 위치한 삼각 플레이트 형상의 각 모서리 영역에 형성되되, 상기 장치 상부 하우징의 내부, 상부면, 하부면, 측면부 중 하나에 형성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 아두이노 수평 센서가 각 모서리의 수평 상태 정보를 상기 아두이노 보드로 전송하여 상기 아두이노 보드에 의한 현재의 각 제 1 내지 제 3 모서리 수평 상태 정보를 통해 수평 측정 과정이 수행되도록 하는 아두이노 수평 센서 집합; 및
GPS 모듈을 통해 현재의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의 좌표에 해당하는 GPS 좌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중앙 출력부로 출력하며, 상기 GPS 모듈에서 수신되는 GPS 좌표 정보에 대한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작업자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수직 동기화 신호를 수신시, 상기 제 1 내지 제 3 아두이노 수평 센서로부터 삼각의 각 모서리의 높이 상태 정보 및 수평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반환받은 뒤, 수평 상태가 아닌 경우 각 높이 상태 정보를 통해 제 1 내지 제 3 모서리의 높이 차이를 연산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 모서리의 높이 차이 연산 정보를 이용해 수평화하는 자동적인 1차적인 수평 레벨 조절을 수행시 제 1 내지 제 3 모서리의 높이 중 가장 높거나 낮은 높이를 중심으로 수평 레벨링을 수행하는 아두이노 보드; 를 포함하며,
상기 1차적인 수평 레벨 조절을 수행시, 각 수평 제어부의 모터 제어 모듈은 수평 제어 모터의 끝단에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 상하부 이동축(R.A.)에 대한 상향 수평 레벨링 제어 명령을 상기 아두이노 보드로부터 수신시 수평 제어 모터에 대한 정회전을 통해 상하부 이동축(R.A.)을 상부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 하우징 중 제 1 내지 제 3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를 높이도록 제어하거나, 반대로, 하향 수평 레벨링 제어 명령을 상기 아두이노 보드로부터 수신시 수평 제어 모터에 대한 역회전을 통해 상하부 이동축(R.A.)을 하부로 이동시켜, 상기 장치 하우징 중 제 1 내지 제 3 모서리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높이를 낮추도록 제어하며, 1차적인 수평 레벨링 과정에서, 상기 아두이노 보드가 제 1 내지 제 3 모서리에 위치한 제 1 내지 제 3 아두이노 수평 센서로부터 수신되는 수평 상태 정보가 수평 상태로 확인되기까지 진행하며, 각 진행 과정에서 조절된 제 1 내지 제 3 모서리의 상향 또는 하향 높이 정보에 대해서는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작업자 모바일 디바이스로 전송하며,
상기 작업자 모바일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에서 상기 아두이노 기반 수평 측정 및 조절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제 1 내지 제 3 아두이노 수평 센서에 의해 측정된 삼각의 각 모서리의 높이 상태 정보 및 수평 상태 정보를 요청하여 수신하여, 각 수평 제어부의 모터 제어 모듈에 의한 수평 제어 모터에 대한 제어를 통한 높이를 조절하도록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평 레벨 제어를 수행하되,
상기 장치 하부 하우징의 3군데의 모서리 영역과 접합되는 받침형 삼각대의 장치 받침 플레이트의 3군데 영역에는 하중 측정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의 아두이노 보드에 의한 상기 1차적인 수평 레벨 조절이 수행된 뒤, 상기 하중 측정 센서에 의해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로부터 하중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하중 정보 각각에 대해서 동일 범위 하중 임계치 내에 속하는지 여부를 분석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이 분석결과 동일 범위 하중 임계치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하고,
하나의 세트로 작용하는 세 개의 모서리 중 가장 많이 초과하는 모서리를 제 1 하중 초과 모서리로 추출한 뒤, 추출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한 하나의 모서리만 동일 범위 하중 임계치를 초과한 것인지 모두 초과한 것인지를 분석하고, 추출된 모서리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위치한 모서리 중 하나의 모서리도 동일 범위 하중 임계치를 초과한 것이 있는 경우 제 2 하중 초과 모서리로 추출하고, 작업자의 수동 높이 제어 명령을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로 전송하기 이전에, 제 1 하중 초과 모서리의 높이를 제 2 하중 초과 모서리의 높이로 조절하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로 전송함으로써, 제 1 하중 초과 모서리와 제 2 하중 초과 모서리의 높이를 일차적으로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상에서 자동 제어되도록 하여 하중 초과 모서리에 대한 동일한 높이 조절을 상대적으로 하중을 덜 받는 모서리로 통일하는 높이 상향 조절 자동 보정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의 제어 시스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 모바일 디바이스는,
세 군데의 모서리 중 제 1 하중 초과 모서리 및 제 2 하중 초과 모서리를 제외하고 나머지 남은 하나의 모서리의 높이를 제어하는 수평 제어부의 모터 제어 모듈에 의한 수평 제어 모터에 대한 단계별 높이 제어를 위한 작업자의 터치스크린을 통한 입력 요청에 따라 단계별 높이 제어 명령을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로 전송하고,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로부터 하중 측정 센서에 의한 세 군데의 모서리의 하중 정보가 동일할 때까지 피드백 정보로 수신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 의한 단계별 높이 제어 입력에 따른 높이 조절 정보, 그리고 제 1 하중 초과 모서리와 제 2 하중 초과 모서리의 높이차에 대한 정보도 상기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의 제어 시스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647A KR101892472B1 (ko) | 2018-03-16 | 2018-03-16 |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647A KR101892472B1 (ko) | 2018-03-16 | 2018-03-16 |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92472B1 true KR101892472B1 (ko) | 2018-08-31 |
Family
ID=63407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0647A Active KR101892472B1 (ko) | 2018-03-16 | 2018-03-16 |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92472B1 (ko) |
Cited B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43410A (zh) * | 2018-11-30 | 2019-03-08 |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 一种大行程自动调平信号接收机三脚架部署系统及实现方法 |
CN109557950A (zh) * | 2019-01-17 | 2019-04-02 | 陕西华明普泰医疗设备有限公司 | 一种三维水箱水平面自动调平装置及方法 |
CN110241696A (zh) * | 2019-04-01 | 2019-09-17 |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 移动式高精度测量机器人系统及其测量方法 |
CN110514229A (zh) * | 2019-09-25 | 2019-11-29 | 哈工大机器人(合肥)国际创新研究院 | 一种测量测绘仪器的调平设备及调平方法 |
CN112540626A (zh) * | 2019-09-20 | 2021-03-23 | 吴江华 | 一种自动化水平调节方法及调节机构 |
KR102310846B1 (ko) * | 2021-07-14 | 2021-10-08 | 주식회사 그린블루 |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CN114165702A (zh) * | 2021-12-02 | 2022-03-11 | 深圳市宏升交通科技有限公司 | 一种工程测量仪器用安装平台及使用方法 |
CN114909551A (zh) * | 2022-04-02 | 2022-08-16 | 中咨华源(北京)咨询有限公司 | 一种多功能全站仪 |
CN115900664A (zh) * | 2022-08-16 | 2023-04-04 | 深圳市创荣发电子有限公司 | 水平调节装置、用于遥控器测试的激光水平仪及电子设备 |
US11788683B2 (en) * | 2018-12-03 | 2023-10-17 | Sicher Protection Ltd. | Protecting apparatus for appliance supported by tripod |
CN118257946A (zh) * | 2024-05-30 | 2024-06-28 | 河南汉博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工程造价测距仪的固定支撑机构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5653A (ko) * | 2009-12-10 | 2011-06-16 |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측량장치 |
KR20120087680A (ko) * | 2011-01-28 | 2012-08-07 | 한국과학기술원 | 광삼각법을 이용한 3차원 형상 측정기를 사용하여 pcb 범프 높이 측정 방법 |
KR20130088784A (ko) | 2012-01-31 | 2013-08-08 |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금형 장치, 사출 성형 장치 및 사출 성형 방법 |
KR20170055178A (ko) * | 2015-11-11 | 2017-05-19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사고 알림시스템 |
KR101807989B1 (ko) * | 2017-02-17 | 2017-12-13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험상황을 인식하여 제동하는 유모차 |
-
2018
- 2018-03-16 KR KR1020180030647A patent/KR101892472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5653A (ko) * | 2009-12-10 | 2011-06-16 | 주식회사 영화키스톤건축사사무소 | 자동제어기능을 갖는 측량장치 |
KR20120087680A (ko) * | 2011-01-28 | 2012-08-07 | 한국과학기술원 | 광삼각법을 이용한 3차원 형상 측정기를 사용하여 pcb 범프 높이 측정 방법 |
KR20130088784A (ko) | 2012-01-31 | 2013-08-08 |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 금형 장치, 사출 성형 장치 및 사출 성형 방법 |
KR20170055178A (ko) * | 2015-11-11 | 2017-05-19 |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 차량사고 알림시스템 |
KR101807989B1 (ko) * | 2017-02-17 | 2017-12-13 |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 위험상황을 인식하여 제동하는 유모차 |
Non-Patent Citations (3)
Title |
---|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97874호 "수준 측량용 삼각대 고정장치(Tripod fixing apparatus for geodetic surveying instrument)" |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3-0097878호 "수준측량용 삼각대 높낮이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tripod in geodetic surveying instrument)" |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7-0098588호 "측량용삼각대의 수평유지장치(Apparatus for Maintaining Horizontal of Tripod in Geodetic)"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443410A (zh) * | 2018-11-30 | 2019-03-08 | 中国人民解放军火箭军工程大学 | 一种大行程自动调平信号接收机三脚架部署系统及实现方法 |
US11788683B2 (en) * | 2018-12-03 | 2023-10-17 | Sicher Protection Ltd. | Protecting apparatus for appliance supported by tripod |
CN109557950A (zh) * | 2019-01-17 | 2019-04-02 | 陕西华明普泰医疗设备有限公司 | 一种三维水箱水平面自动调平装置及方法 |
CN109557950B (zh) * | 2019-01-17 | 2023-09-08 | 陕西华明普泰医疗设备有限公司 | 一种三维水箱水平面自动调平装置及方法 |
CN110241696A (zh) * | 2019-04-01 | 2019-09-17 |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 移动式高精度测量机器人系统及其测量方法 |
CN112540626A (zh) * | 2019-09-20 | 2021-03-23 | 吴江华 | 一种自动化水平调节方法及调节机构 |
CN110514229A (zh) * | 2019-09-25 | 2019-11-29 | 哈工大机器人(合肥)国际创新研究院 | 一种测量测绘仪器的调平设备及调平方法 |
KR102310846B1 (ko) * | 2021-07-14 | 2021-10-08 | 주식회사 그린블루 | 측지측량용 삼각대의 수평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측지측량장치 |
CN114165702A (zh) * | 2021-12-02 | 2022-03-11 | 深圳市宏升交通科技有限公司 | 一种工程测量仪器用安装平台及使用方法 |
CN114909551A (zh) * | 2022-04-02 | 2022-08-16 | 中咨华源(北京)咨询有限公司 | 一种多功能全站仪 |
CN115900664A (zh) * | 2022-08-16 | 2023-04-04 | 深圳市创荣发电子有限公司 | 水平调节装置、用于遥控器测试的激光水平仪及电子设备 |
CN118257946A (zh) * | 2024-05-30 | 2024-06-28 | 河南汉博建筑工程有限责任公司 | 一种工程造价测距仪的固定支撑机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92472B1 (ko) | 오토 레벨링이 가능한 측량용 삼각대 및 그 제어 시스템 | |
US6449856B1 (en) | Laser plumbing device, long member plumbing device and long member plumbing method | |
KR101833057B1 (ko) | 기준점과 수준점 적용을 통한 3차원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 |
JP3638198B2 (ja) | 制御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 |
KR100888716B1 (ko) | 지피에스 수신기와 항공촬영 정보를 이용한 지아이에스수치지도 보정시스템 | |
CN107339981B (zh) | 一种工程测量电动三角架及快速对中整平方法 | |
US20180356223A1 (en) | Method for Checking and/or Calibrating a Horizontal Axis of a Rotating Laser | |
EP2998701A1 (en) | Surveying instrument and method to install surveying instrument | |
KR100887361B1 (ko) | 수치지도 오차 보정을 위한 기준거리의 실시간 측정용위치정보시스템 | |
KR101789211B1 (ko) | 측지측량의 효율적인 수행을 위한 삼각대 자동 수평조절 장치 | |
KR20130087031A (ko) | 수평으로 연장하는 컨투어 라인들을 따라 공간 지점들을 측정하고 마킹하는 장치 | |
KR100892442B1 (ko) | 기준점 및 수준점 적용을 통한 삼차원 공간영상 도화시스템 | |
KR101531025B1 (ko) | 측지측량 시 삼각대 보호장치 | |
KR100892439B1 (ko) | 지표정보 및 수준정보의 변화량을 감지하여 지피에스정보의 오차를 수정, 갱신하는 측지시스템 | |
US10690499B2 (en) | Analysis system, analysis method, and storage medium in which analysis program is stored | |
KR101791955B1 (ko) | 측량정보의 오차발생 범위를 최소화하는 수준 측지측량 장치 | |
KR100878890B1 (ko) | 수치지도의 업그레이드를 위한 지형지물의 높이측정 변경확인시스템 | |
KR101436434B1 (ko) | 오차 수정으로 영상이미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킨 영상이미지 처리방법이 적용된 시스템 | |
KR102154984B1 (ko) | 지아이에스를 기반으로 공간정보의 위치변화 영상을 처리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 |
CN110068314A (zh) | 一种自动调平全站仪基座装置 | |
EP3076126A1 (en) | Automatic leveling method and automatic leveling device | |
KR101318257B1 (ko) | 지형변화 측량을 통한 통합기준점 및 수준점의 성과 수집장치 | |
KR102056755B1 (ko) | 측지측량용 삼각대 수평 유지 장치 | |
KR100892438B1 (ko) | 기준점 및 수준점 확인을 통한 지리정보 측지시스템 | |
KR102024238B1 (ko) | 측지측량용 영상이미지 확보장치의 좌표정보 수정유지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4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1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6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81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1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