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90943B1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943B1
KR101890943B1 KR1020110144750A KR20110144750A KR101890943B1 KR 101890943 B1 KR101890943 B1 KR 101890943B1 KR 1020110144750 A KR1020110144750 A KR 1020110144750A KR 20110144750 A KR20110144750 A KR 20110144750A KR 101890943 B1 KR101890943 B1 KR 101890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device
display
unit
antenna
display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4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6239A (ko
Inventor
유청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4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943B1/ko
Publication of KR20130076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6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되어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중 안테나의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아날로그 TV보다 우수한 신호 처리 및 저장 능력을 가진 디지털 TV 와 유무선 네트워크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화상 통신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밴드(broadband) TV, 웹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브로드밴드 TV 또는 웹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에게 개별 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안테나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배치하고, 상기 안테나가 배치된 영역을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별도의 안테나를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부에 구비하지 아니하고 외부 장치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그와 함께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구성에 대한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예를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모니터, 노트북, 태블릿(tablet) PC 등과 같은 영상 표시 기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범용의 OS 커널 상에, 다양한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자유롭게 추가되거나 삭제 가능함에 따라 사용자 친화적인 다양한 기능이 수행될 수 있는 네트워크 TV, IPTV(Internet Protocol TV), HBBTV(Hybrid Broadcast Broadband TV) 또는 스마트 TV 등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WiFi(Wireless Lan), WiFi direct, WiFi display, 블루투스(Blu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지그비(ZigBee), 바이너리 CDMA(binary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UPnP(Universal Plug and Play)/DLB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UWB(Ultra wide band)/무선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등과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외부 장치(200)와 연결되어 데이터를 서로 송수신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장치(200)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태블릿 PC, 디지털 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SoIP 등의 인터넷 전화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또는 MP3 플레이어 등과 같은 영상 표시가 가능한 다양한 장치들일 수 있다.
그러나, 디스플레이 장치(100) 및 외부 장치(20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장치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외부 장치(200)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해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요소(element)로서, 특정 정보가 저장된 무선 태그(tag)를 구비하는 신용 카드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NFC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외부 장치(200)를 인식하거나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정보를 수신하여 전자 결재 또는 데이터 통신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NFC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의 한 분야로, 13.56㎒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근거리에서 저 전력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ISO 18092에 표준으로 규정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다. 또한, 상기 NFC는 13.56㎒의 주파수 이외에도 125㎑, 135㎑ 또는 900㎒ 등과 같은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NFC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80)와 외부 장치(200)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기 NFC 이외에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A/V 입력부(140), 센싱부(150), 제어부(160), 저장부(170), 디스플레이부(180), 오디오 출력부(18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며, 예를 들어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 신호를 선택하여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유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WiFi 또는 블루투스 등과 같은 통신 규격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200)와의 무선 네트워크 연결을 설정하고, 상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컨텐츠 데이터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정보 등을 휴대용 단말기(20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이더넷(Ethernet) 단자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를 이용해 웹 페이지에 접속하여 특정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영화, 광고,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는 외부 장치(2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NFC 모듈(121)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C 모듈(121)은 RF 안테나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13.56㎒ 대역에서 근거리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것으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RF 안테나(미도시), 수신부(미도시) 및 NFC 메인칩(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RF 안테나는 외부 장치(200)와 13.56㎒ 대역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하면서 외부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신부로 전달하고, 상기 NFC 메인칩으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외부 장치(20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신부는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신호를 여과 및 증폭시킨 후 디지털 신호로 복조시켜 상기 NFC 메인칩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NFC 메인칩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받은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며,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가 상기 RF 안테나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 전송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부(180)를 서로 연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다.
A/V 입력부(140)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부(18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A/V 입력부(140)는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의 영상 또는 음성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데이터는 제어부(160)로 전달될 수 있다.
센싱부(15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현재 상태 등을 감지하기 위해 터치 센서, 자기장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근접 센서, 주변 광 감지 센서, 색도계 또는 태그(tag) 등과 같은 다양한 센서들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센싱부(150)에 구비된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외부 장치(200)의 접촉을 감지하거나 휴대용 단말기(200)가 접촉된 위치 또는 방향 등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동작을 전체적으로 제어하며,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터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제어부(16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하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거나,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저장부(17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로부터 입력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70)는 예를 들어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EEPROM 등)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7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6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9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따라, 리모트 컨트롤러(195)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하거나, 제어부(160)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리모트 컨트롤러(195)로 송신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80)를 제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를 통해 입력되는 방송 영상,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입력 영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를 통해 입력되는 영상 또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영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18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상기한 바와 같은 영상의 표시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에 노출되는 화면부를 형성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제어부(16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부(180)는 PDP, LCD,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등이 다양한 디스플레이 방식을 이용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180)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6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 예를 들어, 스테레오 신호, 3.1 채널 신호 또는 5.1 채널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상기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디스플레이 장치의 주기능 또는 사양 등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이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02)과, 디스플레이 모듈(102)을 둘러싸는 프론트 커버(103) 및 백 커버(104)와, 디스플레이 모듈(102)을 프론트 커버(103) 및/또는 백 커버(104)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재(105)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 커버(103)는 광을 투과시키는 투명한 재질의 전면 패널(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디스플레이 모듈(102),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에 포함된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의 전면에 배치되어, 외부 충격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2)을 보호하며, 디스플레이 모듈(102)로부터 방출되는 광을 투과시켜 디스플레이 모듈(102)에서 표시되는 영상이 외부에서 보여지도록 한다.
고정 부재(105)는 일측이 프론트 커버(103)에 일례로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고정된 다음, 타측이 디스플레이 모듈(102)을 프론트 커버(103) 측에 대하여 지지하여, 프론트 커버(103)에 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2)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재(105)가 일례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별도의 상기 고정부재(105)가 제공되지 아니하고, 체결부재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2)이 프론트 커버(103) 또는 백 커버(104)에 고정되는 구성 또한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2)은 디스플레이 패널(미도시)과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하여 균일한 셀 갭이 유지되도록 합착된 컬러 필터 기판 및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을 포함하며, 상기 두 기판들 사이에 액정 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LCD 액정 패널은 자체 발광력이 없으므로, 상기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광을 사용하여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LED(Light Emitting Diode) 등과 같은 광원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는 복수의 광학 시트들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를 구비하며, 상기 안테나는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NFC 모듈(121)의 RF 안테나가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후방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서 근접되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구성에 대한 제1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구성 중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것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후방에 배치된 백 커버(104)의 후면에 NFC 안테나(1211)가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면,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전면에 근접되는 외부 장치(200)로부터 송출되는 신호가, 디스플레이 모듈(102) 및 백 커버(104)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기구 변경이나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의해 표시되는 화질에 큰 영향 없이 외부 장치(2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백 커버(104)가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경우, 백 커버(104) 후면에 배치되는 NFC 안테나(1211)와 외부 장치(200) 사이의 무선 통신이 원할하게 수행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백 커버(104)에 홀(hole)을 형성하여 NFC 안테나(1211)의 신호 수신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백 커버(104)의 특정 위치에 홀(1041)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홀(1041)이 형성된 위치는 NFC 안테나(1211)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즉, 백 커버(104)가 금속 재질로 구성된 경우라도, 홀(1041)을 통해 NFC 안테나(1211)가 외부 장치(200)로부터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NFC 안테나(1211)가 코일 안테나(coil antenna)를 이용하는 경우 작은 크기의 홀(1041)에 의해서도 수신 성능이 확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모듈(102)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NFC 안테나(1211)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외부 장치(200)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가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 구성에 대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화면(181) 중 NFC 안테나(1211)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영역(1811)에 외부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가 표시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02)의 후방 일영역에 NFC 안테나(1211)가 배치되고, 상기 NFC 안테나(1211)가 배치된 후방 일영역에 대응되는 화면(181)의 제1 영역(1811)에 NFC 안테나(1211)를 통해 외부 장치(200)와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후방에서 볼 때 백 커버(104)의 후면 중 좌-상측 영역에 NFC 안테나(1211)가 배치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전방에서 볼 때 화면(181) 중 우-상측 영역에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2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화면(181) 중 제1 영역(1811)에 외부 장치(2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 기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되고, 그와 동시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가 화면(181)의 전체 영역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면(181)에 표시되는 콘텐츠는 신호 입력 및 처리부(11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2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 및 A/V 입력부(140)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입력되는 콘텐츠이거나, 저장부(170)에 저장된 콘텐츠일 수 있다.
한편, 화면(181) 중 제1 영역(1811)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먼저 "NFC 장치를 대주세요"라는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다.
그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 장치(200)를 화면(181)의 제1 영역(1811)에 일정 거리 이하로 근접시키면, NFC 안테나(1211)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부터 신호가 수신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NFC 안테나(1211)의 배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표시에 의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NFC 안테나(1211)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별도로 알려줄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화면(181)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에 따라 NFC 안테나(1211)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외부 장치(200)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NFC 안테나(1211)를 통해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는 외부 장치에 저장된 정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품 구매 등을 위한 결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표시된 화면(181)의 제1 영역(1811)에 외부 장치(200)를 근접시킨 후 떼면,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장치 인식 중이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상기 장치 인식이 완료되면, 외부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 예를 들어 NFC 태그를 구비한 신용 카드 또는 휴대용 단말기와 같은 외부 장치(200)에 저장된 결재 정보를 이용한 상품 구매 등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7)

  1.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해 외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의해 표시되는 화면 중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안테나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영역에 상기 외부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표시하고,
    상기 화면 중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콘텐츠를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제1 상태에서 외부 장치의 태그를 지시하는 제1 메시지를 표시하고,
    상기 외부 장치가 상기 제1 영역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서 인식되는 제2 상태에서 외부 장치의 인식을 나타내는 제2 메시지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배치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과 상기 안테나 사이에 배치되는 백 커버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상기 백 커버에 홀이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의 제1 영역에 상기 외부 장치가 근접하는 경우, 상기 외부 장치에 저장된 정보가 상기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신호 입력 및 처리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 및 A/V 입력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입력된 콘텐츠 또는 저장부에 저장된 콘텐츠인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44750A 2011-12-28 2011-12-28 디스플레이 장치 KR101890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50A KR101890943B1 (ko) 2011-12-28 2011-12-28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4750A KR101890943B1 (ko) 2011-12-28 2011-12-28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39A KR20130076239A (ko) 2013-07-08
KR101890943B1 true KR101890943B1 (ko) 2018-08-23

Family

ID=4898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4750A KR101890943B1 (ko) 2011-12-28 2011-12-28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94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46B1 (ko) * 2004-01-19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082784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5446B1 (ko) * 2004-01-19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US20100082784A1 (en) * 2008-09-30 2010-04-01 Apple Inc. System and method for simplified resource shar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6239A (ko) 2013-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9038B1 (ko)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
EP3252742B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US9055162B2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230089981A1 (en) Digital devic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in said digital device
US20120208514A1 (en) Method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display device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2245365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227331B1 (ko)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US9733765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US20150381959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therefor
US11436918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035670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content output of display apparatus
US9467640B2 (en) Image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system
KR101890943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1055299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A2899376C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101674961B1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의 컬러 영상 획득 방법
US120751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1820735B1 (ko) 무선 rf 방식을 이용하는 헤드 셋과 키보드의 연결이 가능한 리모컨
KR20230171647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제어 방법 및 원격 제어 장치의 제어 방법
KR20170022122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24843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60008892A (ko) 영상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KR20150090313A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
KR20150090312A (ko) 후광영역 형성 모듈을 갖는 스마트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광고 방법
KR20110114214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