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90623B1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0623B1
KR101890623B1 KR1020120033157A KR20120033157A KR101890623B1 KR 101890623 B1 KR101890623 B1 KR 101890623B1 KR 1020120033157 A KR1020120033157 A KR 1020120033157A KR 20120033157 A KR20120033157 A KR 20120033157A KR 101890623 B1 KR101890623 B1 KR 1018906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ment arm
washing water
rack
wash water
inje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3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0867A (ko
Inventor
주병현
박영환
정민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3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623B1/ko
Priority to FR1352643A priority patent/FR2988578B1/fr
Priority to GB1305515.7A priority patent/GB2504800B/en
Priority to DE102013205620A priority patent/DE102013205620A1/de
Priority to US13/853,177 priority patent/US10092160B2/en
Priority to CN201310106593.5A priority patent/CN103356143B/zh
Publication of KR201301108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08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6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47L15/23Rotary spraying devices moved by means of the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14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 A47L15/18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with stationary crockery baskets and spraying devices within the cleaning chamber with movably-mounted spraying devices
    • A47L15/22Rotary spra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78Nozzles
    • A47L15/4282Arrangements to change or modify spray pattern or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50Racks ; Basket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식기세척기의 구조에 비하여 좀 더 넓은 내부 수용공간 및 세척효율을 달성하기 위해,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케비닛; 상기 케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세척물을 고정하는 랙; 상기 랙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세척물을 향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 및 상기 분사모듈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WAHS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기존의 식기세척기보다 더 큰 내부 수용공간을 가질 수 있으며, 우수한 효과로 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는 분사모듈을 구비한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기세척기는 처리공간에 처리대상을 수납한 뒤 세척수를 이용하여 처리대상에 잔류하는 오물을 제거(경우에 따라 건조까지 가능)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0)을 구비한다. 캐비닛(10)은 전면에 도어(12)를 구비하여, 도어(12)를 개방하여 식기와 같은 세척대상물(이하, 세척물)을 캐비닛(10)의 내부로 투입하게 된다.
캐비닛(10)의 내부는 먼저 세척물을 수용하는 수용공간(14)을 제공하는 터브(20)를 구비한다. 상기 터브(20)에는 세척물을 직접 고정하여 수용하는 랙(32, 34)을 구비하게 된다. 랙(32, 34)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랙(32)과 하부랙(34)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는 후술할 분사암(42, 44) 중 적어도 하나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6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섬프(60)는 급수라인(70)을 통해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이를 급수펌프(72)의 구동에 의해 분사암(42, 44)으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섬프(60)는 각 분사암(42, 44)과 연결되는 공급유로(62, 64)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분사암(42, 44)과 연결되는 공급유로(62, 64)가 섬프(60)와 연결된다.
공급유로(62, 64)는 상기 분사암(42, 44)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부분사암(42) 및 하부분사암(44)을 구비하는 경우에 공급유로(62, 64)는 상부공급유로(62), 하부공급유로(64)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섬프(60)는 세척을 마친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터브(20)에서 세척을 마친 세척수는 하부의 섬프(60)로 집수되어 배수펌프(74)의 구동에 의해 배수라인(76)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한편, 터브(20)는 세척물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을 결정하는 역할을 하므로 캐비닛(10)에서 수용공간(14)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종래발명에는 세척물을 수용하는 랙(32, 34)의 하측에는 세척수 분사를 위한 분사암(42, 44, 46)이 별도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캐비닛(10)에서 수용공간(14)의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랙의 하부에 이격되어 설치된 분사암은 그 주조적 특징상 각각의 랙 당 하나씩 구비되어 세척물의 세척 시간이 비교적 길게 소요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 내의 수용공간 체적을 최대한 확보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의 분사암보다 좀 더 신속하며, 우수한 효과로 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척물을 향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모듈은, 분사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 일측의 대향면에 구비된 두 개의 모멘트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사모듈은 제2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모멘트암의 운동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두 개의 스토퍼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분사모듈은 적어도 두 개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분사노즐의 개방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통부가 구비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랙 하측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된 분사모듈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비하여 좀 더 넓은 세척물 수용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정 각도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분사모듈을 포함하여 종래기술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가지고 세척물을 세척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식기세척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이 장착된 랙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의 제2고정부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당업자가 이해하는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가 당해 용어의 일반적인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다만, 이하에 기술될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것을 아니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하게 사용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식기세척기 내부의 넓은 수용공간 확보 및 우수한 세척 성능을 위해, 기존의 분사암을 대체할 수 있는 '분사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주요한 기술적 특징이다.
따라서, 이하 본원발명의 분사노즐와 관련된 식기세척기의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이 장착된 랙(32)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식기세척기와는 달리, 본원발명의 식기세척기는 분사암(42, 44)이 모두 제거되거나, 바람직하게 터브(20) 내의 수용공간에 비교적 큰 영향을 미치는 상부분사암(42)만을 제거하고 분사모듈(100)이 랙(32, 34)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첫번째 특징은 분사암(42, 44)을 제거하고 랙(32, 34) 하부에 직접 분사모듈(100)을 장착함으로서, 식기세척기 내부의 수용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분사모듈(1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공급은 기존의 공급유로(62, 64)를 통해, 후술할 분사모듈(100)의 제2고정부(130, 도3 참조)와 체결하여 공급받을 수 있다.
비록, 도 2에서는 하나의 분사모듈(100)이 랙(3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분사모듈(100)은 두 개 이상 구비되는 것이 세척수 분사범위 확보 및 세척능력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두 번째 특징으로서, 분사모듈(100)은 일정각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랙(32, 34) 하부에 장착되며, 바람직하게 랙(32, 34)과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분사모듈(100)은 축방향을 기준으로 회전방향이 주기적으로(빠르게) 변경되어, 마치 일정각을 가지고 진자운동을 하는 것처럼 회전한다(이하, 이러한 움직임을 '일정각 회전운동'이라고 정의한다). 이러한 운동은 세척수의 분사범위를 넓게 하며, 또한 세척물에 타격감을 주기 때문에, 기존의 분사암에 비하여 신속하고 우수한 세척효과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분사모듈(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살펴보자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측단면도이다.
상기 분사모듈(100)은 상기 랙(32, 34)에 수용된 세척물에 일정한 분사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110)과, 상기 분사노즐(110)의 일단과 체결되며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한 제1고정부(120)와, 상기 분사노즐(110)의 타단과 체결되며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한 제2고정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분사노즐(110)은, 일측에 형성된 폐쇄단(112a)과 타측에 형성된 개방단(112b)을 가지고 중공부(112c)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구(114)와, 분사노즐(100)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2) 일측의 대향면에 구비된 두 개의 모멘트암(116)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112)는 분사모듈(100)의 일정각 회전운동을 위해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몸체(112)의 폐쇄단(112a)은 후술할 제1결합부(126)와 회전가능한 체결구조를 형성하기 위해, 말단이 단턱 형상을 가지며, 이러한 말단은 제1결합부(126) 내부에 형성된 착탈방지리브(126a)를 지나서 제1결합부(126)와 체결된다. 이러한 구조는 베어링과 같은 기능을 가지게 한다.
한편, 상기 몸체(112)의 개방단(112b)은 공급유로(62, 64)를 통해 공급되는 세척수가 유입되며, 유입된 세척수는 상기 몸체(112)의 중공부(112c)로 유입되고, 상기 다수의 분사구(114)를 통해 상측에 위치한 랙(32, 34)에 고정된 세척물에 분사된다.
한편, 분사노즐(100)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2) 일측의 대향면에는 각각 한 개씩의 모멘트암(116)이 구비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모멤트암(116)은 유입되는 세척수의 수압이 가장 높은 부분인 상기 몸체(112)의 개방단(112b)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높은 수압이 상기 모멘트암(116)으로 유입되어, 모멘트암에서 분사되어야 빠른 일정각 회전운동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느린 일정각 회전운동보다, 빠른 일정각 회전운동일 때 세척물에 세척수가 분사되는 빈도 및 타격감이 증대되어 세척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두 개의 모멘트암(116)은 상기 몸체(112)와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중공부(116a)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하여 모멘트암에 운동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추진공(116b)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진공(116b)을 통해 높은 수압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면, 모멘트암(116)은 세척수 분사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러한 작동 메카니즘에 대해서는 이하 도 6 및 도 8에서 자세하게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고정부(120)는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122)와, 상기 제1고정부재(122)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112)의 폐쇄단(112a) 외주면과 체결되되, 상기 몸체(112)의 폐쇄단(112a)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결합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재(122)는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해,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결합부(126)는 상술한 것과 같이, 상기 폐쇄단(112a)의 단턱 형상을 갖는 말단을 착탈되지 않게 체결하기 위해, 내부에 형성된 착탈방지리브(126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분사노즐(110)의 몸체(112)는 폐쇄단(112a)의 말단이 단턱을 가지며, 상기 단턱은 제1결합부(126)의 착탈방지리브(126a)에 걸려 있다. 요컨대, 상기 분사노즐(110)이 회전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해, 제1결합부(126)와 몸체(112)는 밀착되지 않게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고정부(130)는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132)와, 상기 제2고정부재(132)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몸체(112)의 개방단(112b) 내주면과 체결되어 상기 섬프(6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분사노즐의 개방단(112b)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연통부(134)가 구비된 제2결합부(13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재(132)는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기 위해, 후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2결합부(136)는 연통부(134)가 연장 형성되며, 상기 섬프(60)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연통부(134)를 통해 상기 분사노즐(110)로 세척수가 유입되게 한다. 상기 연통부(134)는 상기 두 개의 모멘트암(116)에 각각 세척수를 유입하기 위하여 대향면에 두 개의 분사공(134a)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두 개의 분사공(134a)은 상기 모멘트암(116)에 운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해, 상기 두 개의 모멘트암(116)이 형성된 위치에 대향되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제2결합부(136)는 상기 두 개의 모멘트암(116)의 운동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1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두 개의 스토퍼(136)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토퍼(136)는 빈번하게 상기 두 개의 모멘트암(116)과 접촉하므로, 내구성을 위해 상기 제2결합부(136)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5를 참조하여, 랙(32, 34) 하부에 다수의 분사모듈(100)이 장착될 경우를 위해 구현된 제2고정부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분사노즐(110)이 세 개가 구비된 경우에 구현될 수 있는 제2고정부(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만, 상기 분사노즐(100)의 갯수에 따라 예견가능한 범위 내에서의 변형이 가능함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제2고정부(230)는 상기 랙(32, 3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232)와, 상기 제2고정부재(232)에서 연장 형성되며, 몸체(112)의 개방단(112b) 내주면과 체결되어 섬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몸체(112)의 개방단(112b)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연통부(234a)가 구비된 제2결합부(2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결합부(230)는 공급유로와 1:1로 체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각각의 제2결합부(130)가 구비될 경우와 같이 단일 공급유로와 연결되기 위한 별도의 분지관(미도시)이 필요 없게 된다.
또한, 예를 들어 3개의 연통부(234)를 갖는 제2결합부(236)의 사용시, 분사노즐(110)이 두 개만 체결된다면, 나머지 하나의 연통부(234)는 뚜껑 형태의 밀폐부재(미도시)로 밀폐하여 세척수의 누수를 막을 수 있다.
본원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사모듈(100)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두 개의 모멘트암(116)이 연장 형성된 몸체(112)의 개방단(112b)과 제2결합부(136)의 분사공(134a)은, 분사노즐(110)의 일정각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체결되어 있다.
도 6의 (a) 상태를 참조하면, 왼쪽 모멘트암(116)이 왼쪽 스토퍼(136a)에 닿을 때까지 올라가 있다. 이러한 경우, 왼쪽 분사공(134a)과 왼쪽 모멘트암(116)이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며, 오른쪽 분사공(134a)과 오른쪽 모멘트암(116)은 연통되어 있지 아니한다.
세척수는 고압을 가지고 섬프(60)로부터 공급되므로, 상기 왼쪽 모멘트암(116)의 중공부(116a)에 유입된 세척수는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추진공(116b)을 통해 분사된다(물론, 몸체(112)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당해 도면에서 분사구(114)에서 세척수는 1시~2시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왼쪽 모멘트암(116)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운동력(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후, 도 6의 (b) 상태를 지나 (C)의 상태로 반시계 방향 회전하면, 오른쪽 모멘트암(116)이 오른쪽 스토퍼(136a)에 닿을 때까지 올라간다. 이러한 경우, 오른쪽 분사공(134a)과 오른쪽 모멘트암(116)이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며, 왼쪽 분사공(134a)과 왼쪽 모멘트암(116)은 연통되어 있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오른쪽 모멘트암(116)의 중공부(116a)에 유입된 세척수는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추진공(116b)을 통해 분사된다(물론, 몸체(112)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당해 도면에서 분사구(114)에서 세척수는 10시~11시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오른쪽 모멘트암(116)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운동력(추진력)을 얻게 된다.
다만, 상기 추진공(116b)이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메카니즘은 상기 설명으로 유추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섬프(6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은 비교적 강하므로, 상기 일정각 회전운동(진자운동)은 초당 수회 내지 수십회를 반복하여 랙(32, 34)에 고정된 세척물에 넓은 분사각을 가지고 세척수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정각 회전운동은 세척성능을 향상시키고, 세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분사모듈(100)은 다른 실시예로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분사모듈(100)은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100)과 두 개의 모멘트암(216)의 구조적 차이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두 개의 모멘트암(216)은 분사노즐(110)이 축방향을 기준으로 일정각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몸체(112)와 연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112) 일측에 접선방향으로 대향되게 형성되되, 상측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비된다.
즉, 구조가 좀 더 단순화된 두 개의 모멘트암(216)이 상기 몸체(112)에 형성된다.
본원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분사모듈(100)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모듈의 작동 메카니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 상태를 참조하면, 왼쪽 모멘트암(216)이 왼쪽 스토퍼(136a)에 닿을 때까지 올라가 있다. 이러한 경우, 왼쪽 분사공(134a)과 왼쪽 모멘트암(216)이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며, 오른쪽 분사공(134a)과 오른쪽 모멘트암(216)은 연통되어 있지 아니한다.
세척수는 고압을 가지고 섬프(60)로부터 공급되므로, 상기 왼쪽 모멘트암(216)에 유입된 세척수는 왼쪽 모멘트암(216)의 외측벽을 때리며 1시~2시 방향으로으로 분사된다(몸체(112)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당해 도면에 도시된 분사구(114)에서 또한 1시~2시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왼쪽 모멘트암(216)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운동력(추진력)을 얻게 된다.
이후, 도 8의 (b) 상태를 지나 (C)의 상태로 반시계 방향 회전하면, 오른쪽 모멘트암(216)이 오른쪽 스토퍼(136a)에 닿을 때까지 올라간다. 이러한 경우, 오른쪽 분사공(134a)과 오른쪽 모멘트암(216)이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며, 왼쪽 분사공(134a)과 왼쪽 모멘트암(216)은 연통되어 있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오른쪽 모멘트암(216)에 유입된 세척수는 오른쪽 모멘트암(216)의 외측벽을 때리며 10시~11시 방향으로 분사된다(몸체(112)로 유입되는 세척수는, 당해 도면에 도시된 분사구(114)에서 또한 10시~11시 방향으로 분사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오른쪽 모멘트암(216)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려는 운동력(추진력)을 얻게 된다.
다만, 상기 모멘트암(216)이 하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의 메카니즘은 상기 설명으로 유추할 수 있는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섬프(60)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은 비교적 강하므로, 상기 일정각 회전운동(진자운동)은 초당 수회 내지 수십 회를 반복하여 랙(32, 34)에 고정된 세척물에 넓은 분사각을 가지고 세척수를 분사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일정각 회전운동은 세척성능을 향상시키고, 세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 상기 설명에 의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 및 그와 균등한 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00: 분사모듈 110: 분사노즐
112: 몸체 114: 분사구
116, 216: 모멘트암 120: 제1고정부
122: 제1고정몸체 126: 제1결합부
130: 제2고정부 132: 제2고정몸체
134: 연통부 136: 제2결합부

Claims (17)

  1. 외관을 형성하며, 일측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된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세척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에 구비되어 세척물을 고정하는 랙;
    상기 랙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세척물을 향해 일정 각도로 회전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분사모듈;
    상기 분사모듈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 및
    상기 분사모듈에 일단이 연통되고 상기 섬프에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섬프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의 유동 경로를 위해 구비된 공급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모듈은
    상기 랙에 수용된 세척물에 일정한 분사각으로 세척수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
    상기 분사노즐의 일단과 체결되며, 상기 랙에 착탈가능한 제1고정부; 및
    상기 분사노즐의 타단과 체결되며, 상기 랙에 착탈가능한 제2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노즐은
    폐쇄단과 개방단을 가지며 중공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에 형성되어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구;
    상기 몸체가 양방향 원통회전을 반복하도록 상기 몸체의 외주면 일측에 구비된 제1모멘트암; 및
    상기 몸체가 양방향 원통회전을 반복하도록 상기 일측의 반대측인 상기 몸체의 외주면 타측에 구비된 제2모멘트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멘트암 및 상기 제2모멘트암은
    분사노즐이 상기 몸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일정각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와 연통된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몸체의 접선과 나란하게 구비되되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고, 상측으로 세척수가 분사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모멘트암 및 상기 제2모멘트암에는
    상기 몸체와 연통되어 세척수가 유입되는 중공부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유입된 세척수를 분사하여 운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측 방향으로 형성된 추진공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랙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1고정부재와,
    상기 제1고정부재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몸체의 폐쇄단 외주면과 체결되되, 상기 몸체의 폐쇄단이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6.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랙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제2고정부재와,
    상기 제2고정부재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개방단 내주면과 체결되어 상기 섬프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으며, 상기 몸체의 개방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는 연통부가 구비된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의 양측 대향면 각각에는
    상기 상기 제1모멘트암 및 상기 제2모멘트암에 각각에 세척수를 공급하기 위한 분사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1모멘트암 및 상기 제2모멘트암 각각은 상기 몸체에서 상기 연통부가 결합된 부분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결합부는 상기 상기 제1모멘트암 및 상기 제2모멘트암의 운동각을 제한할 수 있도록, 상기 분사노즐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두 개의 스토퍼가 연장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20033157A 2012-03-30 2012-03-30 식기세척기 Active KR1018906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57A KR101890623B1 (ko) 2012-03-30 2012-03-30 식기세척기
FR1352643A FR2988578B1 (fr) 2012-03-30 2013-03-25 Lave-vaisselle
GB1305515.7A GB2504800B (en) 2012-03-30 2013-03-26 Dishwasher
DE102013205620A DE102013205620A1 (de) 2012-03-30 2013-03-28 Spülmaschine
US13/853,177 US10092160B2 (en) 2012-03-30 2013-03-29 Dishwasher
CN201310106593.5A CN103356143B (zh) 2012-03-30 2013-03-29 洗碗机和洗碗机中的喷射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3157A KR101890623B1 (ko) 2012-03-30 2012-03-30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0867A KR20130110867A (ko) 2013-10-10
KR101890623B1 true KR101890623B1 (ko) 2018-08-22

Family

ID=48326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3157A Active KR101890623B1 (ko) 2012-03-30 2012-03-30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92160B2 (ko)
KR (1) KR101890623B1 (ko)
CN (1) CN103356143B (ko)
DE (1) DE102013205620A1 (ko)
FR (1) FR2988578B1 (ko)
GB (1) GB250480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07A1 (en) * 2020-02-12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WO2022124728A1 (ko) * 2020-12-07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10079B2 (en) * 2013-08-06 2020-04-07 Arcelik Anonim Sirketi Dishwasher having multiple spray arms for improved washing effectiveness
EP2893862B1 (de) * 2014-01-13 2017-11-29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DE102014100318B4 (de) * 2014-01-13 2018-05-17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CN105877669A (zh) * 2014-10-28 2016-08-24 倪勇军 洗碗机
KR101669972B1 (ko) * 2015-02-02 2016-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106943101B (zh) 2015-02-02 2019-11-26 Lg电子株式会社 洗碗机
WO2017014575A1 (en) 2015-07-23 2017-01-26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KR102431978B1 (ko) 2016-01-05 2022-08-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
CN205393066U (zh) * 2016-03-07 2016-07-27 成都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喷淋设备
US11006813B2 (en) 2018-03-21 2021-05-1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KR102022850B1 (ko) * 2018-06-05 2019-09-19 (주)자숨 식기 헹굼 세척장치
CN111345761A (zh) 2018-12-20 2020-06-30 惠而浦公司 洗碗机
CN109907710A (zh) * 2019-03-28 2019-06-21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洗碗机中喷臂结构
CN109907715A (zh) * 2019-04-12 2019-06-21 广东洁诺生活电器有限公司 一种抽屉式洗碗机
CN112075905A (zh) * 2019-06-13 2020-12-15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洗碗机清洗组件及洗碗机
US11490779B2 (en) * 2020-06-26 2022-11-08 Midea Group Co., Ltd. Dishwasher with multi-level dishwasher rack
CN113499008B (zh) * 2021-06-30 2022-11-25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清洗机
CN113842097B (zh) * 2021-09-23 2023-04-2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用于喷淋组件的固定装置、喷淋组件、洗碗机及控制方法
CN114468923B (zh) * 2022-01-14 2024-03-29 广州市高恩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清洁强度高的洗碗机支架
EP4364633A1 (en) * 2022-11-07 2024-05-08 Arçelik Anonim Sirketi A dishwasher with improved washing effectivenes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08077A (en) * 1921-01-17 1922-02-28 Frederick D Clinton Reaction spraying mechanism for dishwashing machines
US3160164A (en) 1963-10-03 1964-12-08 Tappan Co Washer with reversing spray assembly
US3261554A (en) * 1964-06-05 1966-07-19 Tappan Co Reversing spray arm
US3517675A (en) * 1967-10-30 1970-06-30 Ind Washing Machine Corp Apparatus for washing industrial articles
US3596834A (en) * 1969-07-28 1971-08-03 Gen Electric Self-reversing spray arm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GB1354514A (en) * 1970-06-15 1974-06-05 Hoover Ltd Washing machines
US3841342A (en) * 1973-01-02 1974-10-15 Gen Electric Dishwasher and spray system therefor
US4175575A (en) * 1978-03-27 1979-11-27 General Electric Company Dishwasher with oscillating rotary spray arm
JPH04279139A (ja) * 1991-03-05 1992-10-05 Toshiba Corp 食器洗浄機
JPH0910159A (ja) * 1995-06-30 1997-01-14 Mitsubishi Electric Corp 食器洗浄機
IT241555Y1 (it) * 1996-05-22 2001-05-09 Electrolux Zanussi Elettrodome Perfezionamenti alle macchine lavastoviglie con almeno unmulinello rotante
US5944037A (en) * 1996-10-16 1999-08-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 spray apparatus for tableware washing machine
KR200152825Y1 (ko) 1997-02-14 1999-07-15 전주범 식기세척기의 분사노즐
KR100576845B1 (ko) * 2004-05-06 2006-05-10 학교법인 동아대학교 회전 분사노즐
DE102005026558B3 (de) * 2005-06-08 2006-11-16 Miele & Cie. Kg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m Spülbehälter in dem wenigstens ein Sprüharm angeordnet ist
KR101052779B1 (ko) 2006-04-07 2011-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팀세척이 가능한 식기세척기 및 식기세척방법
ITTO20070753A1 (it) * 2007-10-23 2009-04-24 Premark Feg Llc Dispositivo di risciacquo e/o lavaggio a ridotto consumo d'acqua e macchina lavastoviglie includente tale dispositivo
EP2272415B1 (de) 2009-07-09 2016-05-25 BSH Hausgeräte GmbH Geschirrspülmaschine mit einer Sprüheinrichtung
CN101627893B (zh) * 2009-08-03 2011-09-07 厦门申颖科技有限公司 一种洗净装置
JP2011224235A (ja) 2010-04-22 2011-11-10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EP2571416B1 (en) * 2010-05-19 2021-12-29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rrangement in a dishwasher
US9693672B2 (en) * 2011-09-22 2017-07-0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spraye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62407A1 (en) * 2020-02-12 2021-08-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US11819176B2 (en) 2020-02-12 2023-11-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hwasher
WO2022124728A1 (ko) * 2020-12-07 2022-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92160B2 (en) 2018-10-09
GB2504800A (en) 2014-02-12
FR2988578A1 (fr) 2013-10-04
US20130255733A1 (en) 2013-10-03
FR2988578B1 (fr) 2017-03-24
GB201305515D0 (en) 2013-05-08
GB2504800B (en) 2014-06-25
CN103356143B (zh) 2016-06-01
KR20130110867A (ko) 2013-10-10
DE102013205620A1 (de) 2013-10-02
CN103356143A (zh) 201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623B1 (ko) 식기세척기
JP5406212B2 (ja) 洗濯装置
KR102007843B1 (ko) 식기세척기
KR101397053B1 (ko) 세탁기
US7673639B2 (en) Washing arm and dishwasher having the same
KR102334614B1 (ko) 식기세척기
KR20090001182U (ko) 식기 세척기용 상부 회전 분사장치
EP2554092B1 (en) Dish washer
KR20150055122A (ko) 세탁기
KR101769378B1 (ko) 식기세척기
KR101980706B1 (ko) 식기세척기
KR101598753B1 (ko) 식기 세척기
US20130328465A1 (en) Silverware basket for a dishwasher appliance
KR20120126596A (ko) 식기세척기
KR101812169B1 (ko) 식기세척기
KR101103602B1 (ko) 식기세척기의 노즐 캡
KR100258616B1 (ko) 식기세척기
KR20110098485A (ko) 액체 분사 장치를 갖는 세탁기
KR100657806B1 (ko) 스월젯노즐을 가지는 식기세척기
KR20220022280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CN106000683B (zh) 一种带清洁器的防堵花洒
KR19990070293A (ko) 식기세척기
KR102487215B1 (ko) 식기 세척기
JP4451719B2 (ja) 食器洗い機
JP2523835B2 (ja) 食器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33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2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33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3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8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7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