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228B1 -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0228B1 KR101880228B1 KR1020170167647A KR20170167647A KR101880228B1 KR 101880228 B1 KR101880228 B1 KR 101880228B1 KR 1020170167647 A KR1020170167647 A KR 1020170167647A KR 20170167647 A KR20170167647 A KR 20170167647A KR 101880228 B1 KR101880228 B1 KR 101880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d
- suspension frame
- outsole
- load
- pod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41—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with a part of the sole being flexible, e.g. permitting articulation or torsion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181—Resiliency achieved by the structure of the sole
-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38—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 A43B13/40—Built-in insoles joined to upper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e.g. structural insoles; Insoles glued to shoes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with cushion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신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접촉하는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뒷축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솔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서스펜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국부적 하중이 입력될 때 상기 하중이 입력된 해당 부위만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바닥면 전체 부위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복수 개의 포드(pod)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접촉하는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뒷축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솔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삼각형의 단면 구조를 이루는 서스펜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국부적 하중이 입력될 때 상기 하중이 입력된 해당 부위만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바닥면 전체 부위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복수 개의 포드(pod)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착용시 발을 감싸서 보호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보행을 보다 편안하게 하고 각종 운동 및 작업의 능률을 높여주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사람의 발바닥은 아치형으로 약간 만곡되어 있는바, 보행시 발에 반동을 주고 착지시에는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을 완화시키며 발바닥의 신경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신발의 바닥면 또한 발의 아치에 맞는 형상으로 제조되어야 편안한 보행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신발의 뒤축을 두껍게 성형하거나 그 부위에 굽을 붙여 높게 제작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신발의 뒤축을 적당한 높이로 높이면, 둔부, 대퇴부, 하퇴부 같은 하지근의 근육이 긴장되면서 윗쪽으로 당겨진 형태로 발달되기 때문에 각선미가 돋보이게 되고 체형이 바르게 유지되며, 또 바른 자세로 걸을 수 있게 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것이 많은 실험을 통하여 입증되고 있다.
한편, 신발은 착용 상태에서 사람이 편안하게 보행하기 위해서 착지 동작에 따른 발목의 꺾임이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하는 안정성을 가져야 하며, 나아가 발을 내딛일 때 지면 또는 체중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쿠셔닝 기능(이하, "충격흡수성"이라 한다)을 가져야 한다.
보행시 신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재질 또는 구조의 밑창(이하, "아웃솔"이라 한다)이 적용될 수 있는데, 구두의 굽과 같이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아웃솔의 경우, 발뒤꿈치가 지면에 닿을 때의 충격이 발에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장시간 보행이나 많이 뛰는 운동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통상적인 운동화 밑창과 같이 두껍고 유연한 재질의 아웃솔이 적용되는 경우, 충격흡수성은 상대적으로 우수하나 아웃솔이 수축 후 복원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착지 후 다음 동작을 위하여 보다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게 되고 착지시에 아웃솔이 작은 돌출물에도 전체적으로 탄성 변형되기 때문에 발목의 꺾임이 심해져서 사용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신발은 충격흡수성을 우수하게 설계하면 안정성이 저하되고, 안정성을 우수하게 설계하면 충격흡수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바, 충격흡수성과 안정성을 모두 만족시키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독립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서스펜션 프레임을 적용하여 보행시의 충격 하중을 쉽게 흡수하고 분산하여 충격흡수성을 높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사람의 발목 꺾임을 최소화하여 안정성 또한 높일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뒷축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솔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삼각형 구조를 갖는 서스펜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국부적 하중이 입력될 때 상기 하중이 입력된 해당 부위만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바닥면 전체 부위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복수 개의 포드(pod)를 포함하는, 신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드는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전방 좌측과 우측에 구획 배치되는 전방 포드와, 상기 전방 포드의 후방 좌측과 우측에 구획 배치되는 후방 포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측면에서 이등변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상부 변과 밑변을 연결하는 하중 분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의 내부에는 상기 하중 분산 지지부에 의해 구획되는 셀(cell)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중 분산 지지부는 상기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는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상부 변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전방 포드 또는 상기 후방 포드의 밑변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의 경계부에는 각 포드의 독립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노치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착용자의 거골 하관절에 대하여 각각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각각 2개씩 총 4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의하면, 독립적으로 변형이 가능한 서스펜션 프레임을 통해 보행시의 충격 하중을 쉽게 흡수하고 분산하여 충격흡수성이 우수하며, 지면의 돌출물을 밟았을 때 사람의 발목 꺾임을 최소화하여 신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신발의 아웃솔과 서스펜션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사람의 발과 서스펜션 프레임의 전방 포드와 후방 포드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참고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작용 상태도.
도 2는 도 1의 신발의 아웃솔과 서스펜션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저면도,
도 4는 사람의 발과 서스펜션 프레임의 전방 포드와 후방 포드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참고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작용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신발(10)의 아웃솔과 서스펜션 프레임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10)은 크게 아웃솔(100)과 서스펜션 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신발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웃솔(100)은 신발(10)의 최하층부를 이루는 것으로서 직접 지면과 맞닿아 접촉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아웃솔(100)의 하면은 지면과 직접 접촉하여 충격을 흡수하고 지면과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을 갖는 엘라스토머나 폴리우레탄, 고무 재질과 같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아웃솔(100)은 탄성력을 높이고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소재 자체의 특성을 통해 구현하는 것은 물론 아웃솔(100)의 하면에 다수의 돌기 또는 요철이 형성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보다 향상된 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아웃솔(100)은 발의 앞꿈치와 뒷축이 일체로 연결된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발의 앞꿈치와 뒷축이 나누어진 분리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서스펜션 프레임(200)은 도 2 및 도 3에 자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아웃솔(100)의 뒷축부(11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는 구성이다.
서스펜션 프레임(200)은 아웃솔(100)의 뒷축부(110)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하는 하방으로 돌출되어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바닥면이 지면과 직접 접촉하게 된다.
지면과의 접촉시 아웃솔(100)의 뒷축부(110)에 가해지는 충격 하중을 용이하게 흡수 및 분산할 수 있도록 서스펜션 프레임(200)은 아웃솔(100)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증가하는 형태의 삼각형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서스펜션 프레임(200)은 아웃솔(100)을 측면에서 볼 때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흡수성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서스펜션 프레임(200)은 사용자가 신발(10)을 착용하고 보행할 때 지면의 돌출물로부터 발목이 꺾이는 현상을 최소화함으로써 발목을 보호하기 위하여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바닥면 전체 부위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복수 개의 포드(21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포드(210)는 지면에 떨어져 있는 돌을 밟는 것처럼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특정 부위에 외부로부터 국부적인 충격 하중이 입력될 때 그 충격 하중이 입력된 부위만 탄성 변형되고 다른 부위는 변형이 거의 없도록 하여 사용자의 발목이 심하게 꺾이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아웃솔(100)에서 요구되는 안정성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복수 개의 포드(210)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되도록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바닥면 전체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며, 이렇게 구획된 해당 구역에 하나의 포드(21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포드(210)는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전체 바닥면의 전방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획 배치되는 2개의 전방 포드(211)와, 이 전방 포드(211)의 후방에 위치하며 역시 좌측과 우측에 각각 구획 배치되는 2개의 후방 포드(212)를 포함할 수 있는바, 이에 따라 포드는 총 4개(좌전방, 우전방, 좌후방, 우후방)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이 4개의 포드(210)는 서스펜션 프레임(200) 내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거동하며 어느 하나 이상의 포드(210)에 국부적인 하중이 입력될 때 그 하중이 입력된 곳의 포드(210)만 탄성 변형되면서 하중을 흡수 및 분산시키고, 하중이 입력되지 않은 다른 포드(210)는 본래의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에 발목의 꺾임이 최소화되어 발의 뒷꿈치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솔(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는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측면에서 볼 때 2개의 빗변(201)의 길이가 동일한 이등변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가 이등변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기 때문에 하중 분산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충격흡수에도 유리하다. 즉, 서스펜션 프레임(200)에 충격이 가해질 때 이등변 삼각형 구조에 의해 주변에 있는 아웃솔(100)로 그 충격이 용이하고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또한,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가 서로에게 변형력의 전달을 최소화하면서 각각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의 경계부에는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노치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노치홈(220)은 도 2에서 보듯이, 하부는 넓으면서 개방되고 상부로 갈수록 그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뾰족하게 솟아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바, 노치홈(220)을 기준으로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가 구획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는 내부에 제공되어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상부 변과 밑변을 연결하는 하중 분산 지지부(230)를 포함하고,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의 내부에는 하중 분산 지지부(230)에 의해 구획되는 2개의 셀부(24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포드(210)는 1개의 하중 분산 지지부(230)에 의해 구획 분리되어 2개의 셀부(240)가 형성될 수 있는 바, 포드(210)의 개수가 총 4개이므로 이 포드(210)가 다시 2개로 구획 분리되면 셀부(240)는 총 8개가 제공되어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포드(210)에 입력된 충격의 분산 효율을 높이고 멀리뛰기나 농구 같은 도약이 필요한 운동에서 점프력을 증대시키기 위한 하중 분산 지지부(230)는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200)에서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201)을 이루는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상부 변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전방 포드(211) 또는 상기 후방 포드(212)의 밑변과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중 분산 지지부(230)는 각 포드(210)를 지지하면서 외부로부터 하중이 입력되면 그 입력된 하중을 주변으로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도약이 필요한 운동에서 반발력을 제공하여 점프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각 포드(21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밑변으로부터 하중이 입력되면 하중 분산 지지부(230)는 그 하중을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빗변(201)으로 전달하여 분산시킬 수 있고, 착지나 도약할 때와 같이 사용자의 체중이 서스펜션 프레임(200)에 수직하게 작용하는 경우에도 하중 분산 지지부(230)는 수축하였다가 탄성 복원되면서 반발력을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빗변(201)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사람의 발과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전방 포드(211) 및 후방 포드(212)의 배치 관계를 보여주기 위한 참고도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는 사용자의 거골 하관절(20; Subtalar Joint)에 대하여 각각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전방 포드(211)와 후방 포드(212)가 각각 거골 하관절(20)에 대하여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전방 포드(211) 및 후방 포드(212)가 각각 좌우로 구획 분리되기 때문에 거골 하관절(20)은 자연스럽게 4분면의 분할 구조를 갖는 포드(210)의 정중앙(c) 상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 참조)
이와 같이, 2개의 전방 포드(211)와 2개의 후방 포드(212)로 이루어져 4분면의 분할 구조를 갖는 서스펜션 프레임(200)의 정중앙(c)은 거골 하관절(20)의 아래에 위치하는바, 이에 따라 보행시 체중을 사방향으로 분산하여 발의 피로도를 대거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용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면의 돌출물(1)을 신발(10)의 어느 일측으로 밟은 경우 돌출물(1)에 의해 하중이 입력된 해당 포드(210)만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되고 다른 포드(210)는 자세를 유지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목 꺾임이 최소화되어 발목을 보호할 수 있으며, 사용자로부터 가해지는 체중은 4분면으로 분할된 각 포드(210)로 균일하게 분산되어 발목의 피로도를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지면의 돌출물(1)을 밟아 신발(10)이 돌출물(1) 위에 올라서는 경우, 4분면으로 분할된 각각의 포드(210)는 돌출물(1)을 감싸듯이 독립적으로 탄성 변형되면서 돌출물(1)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때문에 신발(10)의 바닥면의 접지 면적이 감소되지 않아 돌출물(1)에서의 미끄럼이 방지되고 사용자의 발을 정상 범주로 유지시키면서 하중을 사방으로 골고루 분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 : 돌출물 10 : 신발
20 : 거골 하관절
100 : 아웃솔 110 : 뒷축부
200 : 서스펜션 프레임 201 : 빗변
210 : 포드(pod) 211 : 전방 포드
212 : 후방 포드 220 : 노치홈
230 : 하중 분산 지지부 240 : 셀(cell)부
20 : 거골 하관절
100 : 아웃솔 110 : 뒷축부
200 : 서스펜션 프레임 201 : 빗변
210 : 포드(pod) 211 : 전방 포드
212 : 후방 포드 220 : 노치홈
230 : 하중 분산 지지부 240 : 셀(cell)부
Claims (8)
- 지면과 접촉하도록 제공되는 아웃솔; 및
상기 아웃솔의 뒷축부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아웃솔에서 하방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는 삼각형 구조를 갖는 서스펜션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은,
외부로부터 국부적 하중이 입력될 때 상기 하중이 입력된 해당 부위만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바닥면 전체 부위를 복수 개의 구역으로 구획하는 복수 개의 포드(pod)를 포함하며,
상기 포드는,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전방 좌측과 우측에 구획 배치되는 전방 포드; 및
상기 전방 포드의 후방 좌측과 우측에 구획 배치되는 후방 포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상부 변과 밑변을 연결하는 하중 분산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의 내부에는 상기 하중 분산 지지부에 의해 구획되는 셀(cell)부가 형성되는, 신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측면에서 이등변 삼각형의 구조를 이루도록 서로 연결되는, 신발. - 삭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 분산 지지부는 이등변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는 상기 서스펜션 프레임의 상부 변과 직각을 이루면서 상기 전방 포드 또는 상기 후방 포드의 밑변과 경사지게 형성되는, 신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의 경계부에는 각 포드의 독립적인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 노치홈이 형성된, 신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착용자의 거골 하관절에 대하여 각각 전방과 후방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신발.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포드와 상기 후방 포드는 각각 2개씩 총 4개가 제공되는, 신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647A KR101880228B1 (ko) | 2017-12-07 | 2017-12-07 | 신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7647A KR101880228B1 (ko) | 2017-12-07 | 2017-12-07 | 신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0228B1 true KR101880228B1 (ko) | 2018-08-17 |
Family
ID=63407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7647A KR101880228B1 (ko) | 2017-12-07 | 2017-12-07 | 신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022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96441A1 (ko) * | 2021-11-26 | 2023-06-01 | 신성 | 쿠션기능을 구비한 신발 밑창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25963A (en) * | 1994-11-01 | 1997-05-06 | American Sporting Goods Corp. | Sole construction for footwear |
US20080244930A1 (en) * | 2006-12-29 | 2008-10-09 | Jake Rivas | Reinforcing Cage For Shoes |
CN201976871U (zh) * | 2011-01-31 | 2011-09-21 | 乔丹体育股份有限公司 | 具有能量反应功能的运动鞋 |
KR20120138030A (ko) | 2011-06-14 | 2012-12-24 | 조재영 | 충격흡수 신발 |
-
2017
- 2017-12-07 KR KR1020170167647A patent/KR10188022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625963A (en) * | 1994-11-01 | 1997-05-06 | American Sporting Goods Corp. | Sole construction for footwear |
US20080244930A1 (en) * | 2006-12-29 | 2008-10-09 | Jake Rivas | Reinforcing Cage For Shoes |
KR20090082292A (ko) * | 2006-12-29 | 2009-07-29 | 더 노스 훼이스 어패럴 코오포레이션 | 신발용 보강 케이지 |
CN201976871U (zh) * | 2011-01-31 | 2011-09-21 | 乔丹体育股份有限公司 | 具有能量反应功能的运动鞋 |
KR20120138030A (ko) | 2011-06-14 | 2012-12-24 | 조재영 | 충격흡수 신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3096441A1 (ko) * | 2021-11-26 | 2023-06-01 | 신성 | 쿠션기능을 구비한 신발 밑창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78266B1 (ko) | 다단계 완충칼럼을 갖는 맞춤형 신발 솔 | |
US8732984B2 (en) | Shock absorbing shoes with triangle shock absorbing space | |
KR101047352B1 (ko) | 충격흡수와 반발탄성력을 강화시킨 신발창 | |
KR100872865B1 (ko) | 충격완화 탄성신발 | |
KR102221319B1 (ko) | 인체공학적인 신발용 안창 | |
KR101880228B1 (ko) | 신발 | |
KR101265080B1 (ko) | 기능성 신발물품 | |
KR101251572B1 (ko) | 트라이앵글 충격흡수부를 구비한 충격흡수 신발 | |
KR101253208B1 (ko) | 경량성을 갖는 고탄성 구조의 신발물품 | |
CN104983130A (zh) | 一种新式减震鞋底及设有该鞋底的鞋 | |
KR20110112975A (ko) | 신발 밑창 | |
KR101352091B1 (ko) | 고탄성을 갖는 경량 신발물품 | |
KR102532285B1 (ko) | 자세교정용 발란스 솔 | |
KR102379749B1 (ko) | 경도가 상이한 듀얼 솔 구조를 구비한 슬리퍼 | |
KR200400116Y1 (ko) | 완충장치를 가지는 신발중창 | |
KR101452162B1 (ko) | 족부피로저감과 체압분산형 지지패드가 설치된 신발안창 | |
KR101063735B1 (ko) | 헬스 워킹 샌들 | |
KR101251586B1 (ko) | 충격흡수 및 충격분산기능이 구비된 신발밑창 | |
KR20130056814A (ko) | 기능성 신발물품 | |
KR101693773B1 (ko) | 보행의 특성을 고려한 신발 | |
KR102024770B1 (ko) | 트램펄린 구조를 갖는 신발바닥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 |
KR101435757B1 (ko) | 신발깔창 | |
KR20100011100A (ko) | 착지시 힘이 분산되고 감소 되는 신발창 | |
CN210299723U (zh) | 一种鞋底及鞋 | |
KR100996442B1 (ko) | 추진력 강화기능이 구비된 신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