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068B1 - Lens case - Google Patents
Lens cas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4068B1 KR101884068B1 KR1020160107600A KR20160107600A KR101884068B1 KR 101884068 B1 KR101884068 B1 KR 101884068B1 KR 1020160107600 A KR1020160107600 A KR 1020160107600A KR 20160107600 A KR20160107600 A KR 20160107600A KR 101884068 B1 KR101884068 B1 KR 1018840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cleaning liquid
- lens cleaning
- upper cover
- storage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8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6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6—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05B14/469—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wash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wherein the washing material is the spraying material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를 제거하지 않고 쉽게 렌즈 세정액을 교체할 수 있게 하고, 1-2회 분량의 렌즈 세정액을 동시에 보관 가능하여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렌즈 케이스는 렌즈를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렌즈 보관부(100), 렌즈 보관부(10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부(200), 렌즈 보관부(100)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하부 커버부(300), 하부 커버부(300)의 개방 시 렌즈가 유실되지 않도록 렌즈 보관부(100)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 차단부(400), 및 상부 커버부(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 세정액을 보관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보관된 렌즈 세정액을 상부 커버부(200)를 통해 렌즈 보관부(100)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case capable of easily replacing a lens cleaning liquid without removing the lens and capable of storing the lens cleaning liquid for one or two times at the same time, thereby enhancing the user's portable convenience.
The len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storage unit 100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lens and having upper and lower portions opened, an upper cover unit 200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opening of the lens storage unit 100, A lens cut-off portion 400 installed inside the lens storage portion 100 to prevent the lens from being lost when the lower cover portion 300 is opened, and a lower cover portion 300 for opening / A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art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lens cleaning part 200 and capable of storing the lens cleaning liquid and capable of transporting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ed by the user to the lens storage part 100 through the upper cover part 200, (500).
Description
본 발명은 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 세정액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ns case that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eplace a lens cleaning liquid.
일반적으로, 렌즈 케이스는 본체에 결합되어 있는 하부가 개구된 원기둥 형상의 커버을 열어 렌즈 세정액에 담겨있는 렌즈를 손으로 직접 꺼내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general, the lens case has a structure in which a cylindrical lens cover, which is coupled to the main body and opened at its bottom, is opened to manually remove a lens contained in the lens cleaning liquid.
이와 관련하여, 렌즈 케이스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6-0064382호(특허문헌 1)가 개시된 바 있다.In this connectio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6-0064382 (Patent Document 1) has been disclosed as a prior art related to the lens case.
특허문헌 1은 콘텍트렌즈 보호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렌즈 케이스 하부 지지부의 양쪽을 중심부로 눌러주면 렌즈 케이스 안착부가 볼록하게 올라와 콘텍트렌즈를 꺼낼 때 찢기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technique for preventing a problem of tearing when the contact portion of the lens case is convexly raised so that both sides of the lower case support portion of the lens case are pushed to the central portion to take out the contact lens.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하는 종래의 렌즈 케이스는, 렌즈 세정액 교체 시, 렌즈 케이스 상단의 커버를 열어 렌즈를 제거한 후 기존 렌즈 세정액을 버리고, 새로운 렌즈 세정액을 투입한 후 렌즈를 다시 넣는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ens case including the patent document 1, when the lens cleaning liquid is replaced, it is troublesome to open the cover at the top of the lens case to remove the lens, discard the existing lens cleaning liquid, insert a new lens cleaning liquid, .
또한, 렌즈 세정액을 별도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다.Further,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store the lens cleaning liquid separately.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를 제거하지 않고 쉽게 렌즈 세정액을 교체할 수 있는 렌즈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In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ens case in which the lens cleaning liquid can be easily replaced without removing the lens.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1-2회 분량의 렌즈 세정액을 동시에 보관 가능하여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증대시키는 렌즈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ns case which is capable of storing one or two times of lens cleaning liquid at the same time, thereby enhancing the user's portable convenienc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케이스는, 렌즈를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렌즈 보관부, 렌즈 보관부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 커버부, 렌즈 보관부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하부 커버부, 하부 커버부의 개방 시 렌즈가 유실되지 않도록 렌즈 보관부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 차단부, 및 상부 커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 세정액을 보관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보관된 렌즈 세정액을 상부 커버부를 통해 렌즈 보관부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렌즈 세정액 보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 len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ns storage unit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lens and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opened, an upper cover unit for opening and closing an upper opening of the lens storage unit, a lower cover for opening and closing a lower opening of the lens storage unit, A lens blocking portion provided inside the lens storage portion to prevent the lens from being lost when the lower cover portion is opened; and a lens blocking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and capable of storing the lens cleaning liquid, And a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art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be transferred to the lens storage part through the cover part.
이 경우, 렌즈 보관부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부 커버부가 결합되는 제1 수나사부가 형성된 상단부와, 베이스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렌즈 차단부가 설치되는 안착턱이 구비되는 하단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s storage portion includes a base portion, an upper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first male screw portion to which the upper cover portion is coupled, and a lower end portion provided with a seating jaw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portion, .
그리고 상부 커버부는 내측에 상단부의 제1 수나사부와 결합하는 제1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의 중앙부에 렌즈 세정액 보관부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립수용부가 함몰 구비되고, 조립수용부의 내측에 렌즈 세정액 보관부가 결합되는 제2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부 커버부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렌즈 세정액 보관부를 상승시킬 때 세정액 보관부에서 렌즈 세정액을 공급받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조립수용부의 상부에 세정액 수용홀이 구비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female screw part which is coupled to the first male screw part at the upper end, and an assembling / accommodating part for forming a space to which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ing part is coupled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thereof. A second female screw portion to which a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is coupled and a second lens housing portion to which the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is coupled is provided so that when the user lifts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And a cleaning liquid receiving hol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한편, 하부 커버부는 하단부의 일측에 힌지핀으로 핀 결합되어 축회전 운동하게 구비되되 그 하부 개구부의 저면에 안착되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하단부의 하부 개구부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보스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lower cover part includes a body part which is fitted to one side of the lower end part by a hinge pin so as to be pivotally moved and is se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opening part, a boss part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part, And the like.
아울러, 렌즈 차단부는 안착턱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고, 하부 커버부를 개방한 경우 내부의 렌즈 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출 홈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block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supported by the seating jaw, and may have a plate shap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grooves for discharging the lens cleaning liquid to the outside when the lower cover portion is opened.
한편, 렌즈 세정액 보관부는, 내부에 렌즈 세정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조립수용부에 수용되는 토출부가 저면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되되 그 둘레에 제3 수나사부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덮되 그 내측에 제3 수나사부와 결합하는 제3 암나사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includes a body portion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the lens cleaning liquid therein and having a discharg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the body portion having an upper portion opened and having a third male screw portion, And a cover portion covering the opening and having a third female screw portion engaging with the third male screw portion on the inside thereof.
이때, 토출부는 그 둘레에 제2 암나사부와 결합하는 제2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사용자가 상부 커버부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렌즈 세정액 보관부를 상승시킬 때 몸체부 내부에 수용 저장된 렌즈 세정액을 세정액 수용홀로 토출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세정액 토출홀이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user lifts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by releasing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the discharge portion has a second male screw portion around the second female screw portion, A cleaning liquid discharge hole may be provided to form a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stored lens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containing hol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렌즈 케이스는 렌즈를 제거하지 않고 쉽게 렌즈 세정액을 교체할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len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possible to easily replace the lens cleaning liquid without removing the lens.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렌즈 케이스는 1-2회 분량의 렌즈 세정액을 동시에 보관 가능하여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증대시킨다.In addition, the lens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tore the lens cleaning liquid for one to two times at the same time, thereby enhancing the user's portable convenien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보관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차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보관부, 렌즈 차단부, 및 하부 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부를 각기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세정액 보관부의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en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storage unit shown i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blocking portion shown in Fig.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lens storage unit, the lens cut-off unit, and the lower cover unit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portion shown in FIG. 1 viewed from different angles;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shown in FIG.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써,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clarity, and descriptive convenience. In addition, since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y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the operator, and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ese terms should be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will be. On the contrary, the embodiment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nstituent elements set forth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on the basis of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케이스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보관부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차단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렌즈 보관부, 렌즈 차단부, 및 하부 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상부 커버부를 각기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렌즈 세정액 보관부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storage unit shown in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blocking unit shown in FIG. 1,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cover portion shown in FIG. 1 viewed from a different angle,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ens cover shown in FIG. 1, An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도 1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보관부(100), 상부 커버부(200), 하부 커버부(300), 렌즈 차단부(400), 및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6, the
렌즈 보관부(100)는 렌즈를 보관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하부가 개구되어 있는 형태로 구비된다.The
렌즈 보관부(100)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단부(120)와, 베이스부의 하측에 구비되는 하단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상단부(120)에는 상부 커버부(200)가 결합되는 제1 수나사부(121)가 형성될 수 있고, 하단부(130)에는 렌즈 차단부(400)가 설치되는 안착턱(131)이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a first
한편, 제1 수나사부(121)는 암나사부로 변경되고, 오히려 상부 커버부(200)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변경하는 것은 동일한 기술 사상에 입각한 것임은 자명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obvious that the first
안착턱(131)은 단순한 턱 구조가 아니리 렌즈 차단부(400)가 삽입 설치되는 홈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상부 커버부(200)는 렌즈 보관부(10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상부 커버부(200)는 내측에 렌즈 보관부(100) 상단부(120)의 제1 수나사부(121)와 결합하는 제1 암나사부(220)가 형성되고, 그 상면의 중앙부에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립수용부(210)가 함몰 구비될 수 있다.The
이때, 조립수용부(210)의 내측에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가 결합되는 제2 암나사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second female threaded
이 경우, 제2 암나사부(211)는 수나사부로 변경되고, 오히려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변경하는 것은 동일한 기술 사상에 입각한 것임은 자명하다.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second
한편, 조립수용부(2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상부 커버부(200)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를 상승시킬 때 세정액 보관부(500)에서 렌즈 세정액을 공급받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세정액 수용홀(212)이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user lifts the lens cleaning
세정액 수용홀(212)이 조립수용부(210)의 상부에 구비되는 것은 상부 커버부(200)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 간을 결합한 경우에는 후술하는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의 토출부(512)의 벽에 막혀 유로가 막혀 있다가, 상부 커버부(200)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를 상승시킬 때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의 토출부(512) 하부에 형성된 세정액 토출홀(512a)과 연통되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함이다.The cleaning liquid accommodating
하부 커버부(300)는 렌즈 보관부(100)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하부 커버부(300)는 렌즈 보관부(100) 하단부(130)의 일측에 힌지핀(330)으로 핀 결합되어 축회전 운동하게 구비되되 그 하부 개구부의 저면에 안착되는 바디부(310)와, 바디부(310)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렌즈 보관부(100) 하단부(130)의 하부 개구부에 억지 끼워맞춤되는 보스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하부 커버부(300)는 이러한 구조 외에도 상부 커버부(200)처럼 별물의 뚜껑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바디부(310) 및 보스부(320)의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렌즈 세정액의 교체 시 많은 부품을 별도로 해체하였다가 다시 결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부품 착각의 가능성 및 부품 유실의 가능성을 최소화하게 된다.The
렌즈 차단부(400)는 하부 커버부(300)의 개방 시 렌즈가 유실되지 않도록 렌즈 보관부(100) 내부에 설치된다.The lens cut-off
렌즈 차단부(400)는 렌즈 보관부(100) 하단부(130)의 안착턱(131)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The lens cut-off
아울러, 렌즈 차단부(400)는 하부 커버부(300)를 개방한 경우 렌즈 보관부(100) 내부의 렌즈는 유실되지 않게 하면서 렌즈 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출 홈(410)이 구비된 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더 나아가, 렌즈 차단부(400)는 렌즈 보관부(100) 하단부(130)와 일체화하여 제작될 수도 있다.Furthermore, the lens cut-off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는 상부 커버부(200)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 세정액을 보관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보관된 렌즈 세정액을 상부 커버부(200)를 통해 렌즈 보관부(100)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lens cleaning
이 경우,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는, 내부에 렌즈 세정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부(510)와, 몸체부(511)와 결합하여 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커버부(5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lens cleaning
몸체부(510)는 저면에 상부 커버부(200)의 조립수용부(210) 수용되는 토출부(512)가 하측으로 돌출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되되, 그 둘레에 커버부(520)와 결합하는 제3 수나사부(511)가 구비될 수 있다.The
이 경우, 제3 수나사부(511)는 암나사부로 변경되고, 오히려 커버부(520)에 수나사부가 형성되도록 변경하는 것은 동일한 기술 사상에 입각한 것임은 자명하다.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third
커버부(520) 그 내측에 제3 수나사부(511)와 결합하는 제3 암나사부(521)가 형성된다.A third female threaded
한편, 몸체부(510)에 구비되는 토출부(512)는, 그 둘레에 상부 커버부(200)의 조립수용부(210)의 제2 암나사부(211)와 결합하는 제2 수나사부(512b)가 구비될 수 있다.The
아울러, 토출부(512)는 그 하부에 사용자가 상부 커버부(200)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를 상승시킬 때 몸체부(510) 내부에 수용 저장된 렌즈 세정액을 세정액 수용홀로 토출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세정액 토출홀(512a)이 구비될 수 있다.When the user lifts the lens cleaning
세정액 토출홀(512a)이 토출부(512)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은 상부 커버부(200)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 간을 결합한 경우에는 상부 커버부(200)의 조립수용부(210)의 벽에 막혀 유로가 막혀 있다가, 상부 커버부(200)와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를 상승시킬 때 상부 커버부(200)의 조립수용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세정액 수용홀(212)과 연통되는 구조를 구현하기 위함이다.The cleanin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케이스를 이용한 렌즈 세정액 교체 방법을 상술한다.Hereinafter, a lens cleaning liquid replacement method using the lens cas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사용자는 1-2회 분량의 렌즈 세정액을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의 몸체부(510)에 주입하여 커버부(520)를 결합하여 보관하고, 몸체부(510)를 상부 커버부(200)에 결합시킨다.The user inserts the lens cleaning liquid for one or two times into the
이후, 사용자는 렌즈 세정액 교체 시, 하부 커버부(300)를 개방하여 기존의 렌즈 세정액을 외부로 배출시킨다.Then, when replacing the lens cleaning liquid, the user opens the
이 경우, 렌즈는 렌즈 차단부(400)에 의하여 렌즈 보관부(100)에서 유실되지 않으며, 사용자는 다시 하부 커버부(300)를 폐쇄시킨다.In this case, the lens is not lost in the
이어, 사용자는 상부 커버부(200) 및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의 몸체부(510)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를 상승시키고, 이때,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의 토출부(512)의 하부에 구비된 세정액 토출홀(512a)이 상부 커버부(200)의 조립수용부(210)의 상부에 형성된 세정액 수용홀(212)과 연통되면서 렌즈 세정액 보관부(500)에 보관된 레즈세정액이 렌즈 보관부(100)로 유입되어 렌즈 세정액 교체가 이루어진다.The user lifts the lens cleaning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렌즈 케이스는 렌즈를 제거하지 않고 쉽게 렌즈 세정액을 교체할 수 있게 하고, 1-2회 분량의 렌즈 세정액을 동시에 보관 가능하여 사용자의 휴대 편의성을 증대시킨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s case can easily replace the lens cleaning liquid without removing the lens, and can store the lens cleaning liquid for one or two times at the same time, thereby enhancing the user's portable convenienc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본 발명은 렌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생활용품과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case, and is applicable to industrial fields related to daily necessities.
100: 렌즈 보관부 110: 베이스부
120: 상단부 121: 제1 수나사부
130: 하단부 131: 안착턱
200: 상부 커버부 210: 조립수용부
211: 제2 암나사부 212: 세정액 수용홀
220: 제1 암나사부
300: 하부 커버부 310: 바디부
320: 보스부 330: 힌지핀
400: 렌즈 차단부 410: 배출 홈
500: 렌즈 세정액 보관부 510: 몸체부
511: 제3 수나사부 512: 토출부
512a: 세정액 토출홀 512b: 제2 수나사부
520: 커버부 521: 제3 암나사부100: Lens storage part 110: Base part
120: upper end portion 121: first male thread portion
130: lower end portion 131:
200: upper cover part 210:
211: second female screw portion 212: cleaning liquid receiving hole
220: first female thread portion
300: lower cover part 310:
320: boss part 330: hinge pin
400: Lens block part 410: Discharge groove
500: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art 510: body part
511: third male threaded portion 512:
512a: Cleaning
520: cover portion 521: third female screw portion
Claims (7)
상기 렌즈보관부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상부커버부;
상기 렌즈보관부의 하부 개구부를 개폐하는 하부커버부;
상기 하부커버부의 개방 시 렌즈가 유실되지 않도록 상기 렌즈보관부 내부에 설치되는 렌즈차단부; 및
상기 상부커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세정액을 보관 가능하게 구비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보관된 렌즈세정액을 상기 상부커버부를 통해 상기 렌즈보관부로 이송 가능하게 구비되는 렌즈세정액보관부;
를 포함하되,
상기 렌즈보관부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상부커버부가 결합되는 제 1 수나사부가 형성된 상단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차단부가 설치되는 안착턱이 구비되는 하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커버부는,
내측에 상기 상단부의 상기 제 1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제 1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그 상면의 중앙부에 상기 렌즈세정액보관부가 결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조립수용부가 함몰 구비되고, 상기 조립수용부의 내측에 상기 렌즈세정액보관부가 결합되는 제 2 암나사부가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상부커버부와 상기 렌즈세정액보관부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렌즈세정액보관부를 상승시킬 때 상기 렌즈 세정액보관부에서 렌즈세정액을 공급받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조립수용부의 상부에 세정액수용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케이스.
A lens storage unit having a space for storing a lens and an upper and a lower portion opened;
An upper cover part for opening / closing an upper opening of the lens storage part;
A lower cover portion for opening and closing a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lens storage portion;
A lens blocking part installed inside the lens storage part to prevent the lens from being lost when the lower cover part is opened; And
A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upper cover unit so as to be capable of storing the lens cleaning liquid and capable of transferring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ed by the user to the lens storage unit through the upper cover unit;
, ≪ / RTI &
The lens-
An upper end portion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a first male screw portion to which the upper cover portion is coupled and a lower end portion provided on the lower side of the base portion and having the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lens blocking portion is provided,
The upper cover part
And a lens holding portion for holding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ing portion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n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ns holding portion, A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ed in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when the user releases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cover unit and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to raise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unit, And a cleaning liquid receiving hole is provid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assembly receiving portion to form a liquid receiving hole.
상기 하단부의 일측에 힌지핀으로 핀결합되어 축회전 운동하게 구비되되 그 하부 개구부의 저면에 안착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상측에 돌출 형성되되 상기 하단부의 하부 개구부에 억지끼워맞춤되는 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케이스.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ss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ide of the body portion and being fit into the lower opening por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by force, And the lens case.
상기 안착턱에 의해 지지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커버부를 개방한 경우 내부의 렌즈세정액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출홈이 구비된 판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케이스.
The lens barrel according to claim 1,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grooves are provided to be supported by the seating jaws so that the inner lens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lower cover portion is opened.
내부에 렌즈세정액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조립수용부에 수용되는 토출부가 저면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구되되 그 둘레에 제 3 수나사부가 구비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부 개구부를 덮되 그 내측에 상기 제 3 수나사부와 결합되는 제 3 암나사부가 형성된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케이스.
2. The lens clean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A body portion having a space in which a lens cleaning liquid is contained and a discharg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assembly accommodating portion is provided on a bottom surface and an upper portion is opened and a third male screw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body portion; And a cover portion having a third female screw portion coupled to the third male screw portion.
상기 토출부는,
그 둘레에 상기 제2 암나사부과 결합되는 제2 수나사부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 사용자가 상기 상부 커버부와 상기 렌즈 세정액 보관부 간의 결합을 해제하여 상기 렌즈 세정액 보관부를 상승시킬 때 상기 몸체부 내부에 수용 저장된 렌즈 세정액을 세정액 수용홀로 토출하는 유로를 형성하도록 세정액 토출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케이스.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discharge unit
And a second male screw portion that is coupled to the second female screw portion is provided around the second lens screw portion. When the user releases the engagement between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to raise the lens cleaning liquid storage portion, And a cleaning liquid discharge hole is provided to form a flow path for discharging the stored lens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containi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600A KR101884068B1 (en) | 2016-08-24 | 2016-08-24 | Lens cas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7600A KR101884068B1 (en) | 2016-08-24 | 2016-08-24 | Lens cas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2317A KR20180022317A (en) | 2018-03-06 |
KR101884068B1 true KR101884068B1 (en) | 2018-08-30 |
Family
ID=617272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76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884068B1 (en) | 2016-08-24 | 2016-08-24 | Lens cas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406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1919B1 (en) | 2019-04-12 | 2020-02-26 | 이영근 | Contact lens case for carry |
KR102126800B1 (en) | 2019-06-26 | 2020-06-26 | 이영근 | Contact lens case have Contact lens cleanse functio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93245A1 (en) | 2011-01-27 | 2012-08-02 | Wright Monique P | Pre-filled contact lens case |
JP2012192057A (en) | 2011-03-17 | 2012-10-11 | Kitano Seisaku Kk | Contact lens case |
WO2012165209A1 (en) * | 2011-05-31 | 2012-12-06 |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 Contact lens holder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10284773A1 (en) * | 2010-05-19 | 2011-11-24 | Pugh Randall B | Germicidal bulb disinfection base for ophthalmic lenses |
KR20160064382A (en) | 2014-11-28 | 2016-06-08 | 김예원 | Contact lenses protection case |
-
2016
- 2016-08-24 KR KR1020160107600A patent/KR10188406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20193245A1 (en) | 2011-01-27 | 2012-08-02 | Wright Monique P | Pre-filled contact lens case |
JP2012192057A (en) | 2011-03-17 | 2012-10-11 | Kitano Seisaku Kk | Contact lens case |
WO2012165209A1 (en) * | 2011-05-31 | 2012-12-06 | 株式会社メニコンネクト | Contact lens hold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2317A (en) | 2018-03-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60463B2 (en) | Lockable beverage container closure | |
US11772879B2 (en) | Content receiving device, opening/closing mechanism, and container mechanism comprising the same | |
US7328796B2 (en) | Tool holder insert for storage container | |
KR101884068B1 (en) | Lens case | |
JP5886520B2 (en) | container | |
CN210259479U (en) | Fluid discharge container | |
JP6486147B2 (en) | Discharge container | |
KR20130022369A (en) | Discharging device having different material | |
KR20180064251A (en) | A cosmetic case comprising a puff storage unit | |
JP5832722B2 (en) | Take-out container | |
JP2007008553A (en) | Container cap | |
JP6754189B2 (en) | Beverage container lid lock structure | |
KR101213047B1 (en) | Air cap and container having the same | |
JP2007261660A (en) | Cap | |
KR20080037335A (en) | Anti-counterfeit container cap | |
KR20170001498U (en) | Portable urinal | |
JP3190328U (en) | Tablet container lid | |
KR101635471B1 (en) | Discharging device having different material | |
KR200412108Y1 (en) | Cap structure of packaging tube | |
US20180029757A1 (en) | One-touch cap | |
KR20130059664A (en) | Fluid storage tank | |
JP5312877B2 (en) | Container with cap | |
KR200438536Y1 (en) | Cosmetic container cap | |
JP6639150B2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0339902Y1 (en) | Flow control for a duplex plu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71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