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3408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73408B1 KR101873408B1 KR1020110072144A KR20110072144A KR101873408B1 KR 101873408 B1 KR101873408 B1 KR 101873408B1 KR 1020110072144 A KR1020110072144 A KR 1020110072144A KR 20110072144 A KR20110072144 A KR 20110072144A KR 101873408 B1 KR101873408 B1 KR 1018734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input
- unit
- input unit
- image
- st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rotatable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영상 입력부의 기울어진 각도와 촬영 영역과의 관계를 도시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 2의 조작부에 배치되는 영상 입력부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한 조작부 및 영상 입력부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한 슬릿부 및 노브부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관련한 이동 단말기 및 영상 입력부의 개념도.
도 9a 내지 도 9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동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들.
도 10a 내지 도 10b는 복수의 영상 입력부가 동작하는 경우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들.
Claims (18)
- 일면에 조작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조작부가 덮이는 제2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연결되는 제2 바디; 및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영역의 영상이 입력되도록, 상기 조작부에 형성되는 제1 영상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는 영상이 입력되는 상기 영역을 전환할 수 있도록, 어느 일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을 덮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키프레임; 및
상기 키프레임에 결합되고,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 표지가 일면에 형성되는 키 바디들;
상기 키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홀을 구비하는 윈도우 커버; 및
상기 연장된 홀을 덮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는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상면은, 문자 입력시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가 빈번하게 덮이는 제1 영역들 및 상기 제1 영역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회수로 덮이는 제2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영역들 중 어느 한 영역에 상기 제1 영상 입력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는 카메라 모듈이 내장된 하우징; 및
촬영 대상이 되는 객체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과 서로 마주보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적어도 어느 일단으로 돌출되는 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하우징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용부; 및
상기 축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축에 대응하여 상기 수용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키프레임을 관통하고, 상기 제1 영상 입력부가 배치되는 홀에 근접하여 형성되는 슬릿부; 및
상기 하우징의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슬릿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노브(Knob)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부는, 상기 슬릿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조절바를 포함하고,
상기 축은, 상기 노브부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상기 조절바에 맞물려 회전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부는, 상기 슬릿부를 따라 양단이 연장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상기 노브부의 슬라이드 이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돌출부들에 대응하는 홈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영상 입력부;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드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슬라이드 이동 정도에 따라 제1 영상 입력부 또는 제2 영상 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영상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를 통한 영상 입력에서 상기 제2 영상 입력부를 통한 영상 입력이 되도록, 각 영상 입력부의 동작을 전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영상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바디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에 각각 영상이 출력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입력부를 동시에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제1 조작부와 제2 조작부로 서로 이격되도록 분리되고,
상기 이격된 공간에 제1 영상 입력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일면에 조작부가 형성되는 제1 바디;
상기 조작부가 노출되는 제1 상태와 상기 조작부가 덮이는 제2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연결되고,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일면에 대향하는 영역의 영상이 입력되도록, 상기 조작부에 형성되는 제1 영상 입력부;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드 이동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감지된 슬라이드 이동 정도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입력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는 영상이 입력되는 상기 영역을 전환할 수 있도록, 어느 일 지점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 바디의 일면을 덮도록 결합되며,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하는 키 프레임;
상기 키프레임에 결합되고, 문자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키 표지가 일면에 형성되는 키 바디들;
상기 키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되며,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된 홀을 구비하는 윈도우 커버; 및
상기 연장된 홀을 덮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는 상기 윈도우의 하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영상 통화 또는 화상 채팅과 관련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제1 영상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 또는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문자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영상 입력부의 적어도 일부를 덮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는 상기 제1 화면이, 제2 화면으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된 상태에서, 단말기의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상기 제1 상태가 될 때,
상기 제1 화면으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타면에 형성되는 제2 영상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슬라이드 이동 상태에 따라 어느 하나의 영상 입력부만을 활성화시키거나, 상기 제1 및 제2 영상 입력부를 동시에 활성화시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2144A KR101873408B1 (ko) | 2011-07-20 | 2011-07-20 | 이동 단말기 |
US13/495,811 US8878890B2 (en) | 2011-07-20 | 2012-06-13 | Mobile terminal |
EP12176969A EP2549719A1 (en) | 2011-07-20 | 2012-07-18 | Mobile terminal with rotatably mounted image input uni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72144A KR101873408B1 (ko) | 2011-07-20 | 2011-07-20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11177A KR20130011177A (ko) | 2013-01-30 |
KR101873408B1 true KR101873408B1 (ko) | 2018-07-02 |
Family
ID=46762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21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873408B1 (ko) | 2011-07-20 | 2011-07-20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8878890B2 (ko) |
EP (1) | EP2549719A1 (ko) |
KR (1) | KR10187340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50199012A1 (en) * | 2014-01-16 | 2015-07-16 | Symbol Technologies,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haptic feedback to a rotary knob |
CN106557117B (zh) * | 2015-09-29 | 2020-06-23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电子设备 |
CN207926662U (zh) * | 2018-02-09 | 2018-09-28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移动终端 |
CN108566455B (zh) * | 2018-03-23 | 2021-02-19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移动终端和移动终端的控制方法、存储介质 |
KR102460471B1 (ko) | 2018-03-27 | 2022-10-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KR102481292B1 (ko) * | 2018-04-13 | 2022-12-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CN108965611B (zh) * | 2018-10-19 | 2021-06-25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拍摄界面的切换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KR20200115861A (ko) | 2019-03-28 | 2020-10-0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
US11079797B1 (en) * | 2020-05-14 | 2021-08-03 | Apple Inc. | Electronic devices with adjustable display windows |
FI130800B1 (fi) | 2020-08-21 | 2024-03-26 | Hmd Global Oy | Kannettava elektroninen lait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5842B1 (ko) * | 2005-03-04 | 2006-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회전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179678A (ja) | 2001-10-03 | 2003-06-27 | Nec Corp | 携帯電話機 |
DE60330946D1 (de) | 2002-01-31 | 2010-03-04 | Kyocera Corp | Zellularer fernsprecher |
TWI260905B (en) * | 2005-05-17 | 2006-08-21 | Jin-Chiuan Huang | Lens turning device for mobile phone with camera function |
KR101342075B1 (ko) * | 2007-01-24 | 2013-12-1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휴대용 정보처리장치 |
TWI384835B (zh) * | 2007-04-23 | 2013-02-01 | Lg Electronics Inc | 行動通訊終端 |
CN101750698A (zh) | 2008-12-10 | 2010-06-23 |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 镜头模组及应用该镜头模组的电子装置 |
-
2011
- 2011-07-20 KR KR1020110072144A patent/KR101873408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
- 2012-06-13 US US13/495,811 patent/US887889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2-07-18 EP EP12176969A patent/EP2549719A1/en not_active Ceas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05842B1 (ko) * | 2005-03-04 | 2006-08-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모듈 회전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878890B2 (en) | 2014-11-04 |
EP2549719A1 (en) | 2013-01-23 |
US20130021427A1 (en) | 2013-01-24 |
KR20130011177A (ko) | 2013-0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340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52433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139814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17683B1 (ko) | 휴대 전자기기 | |
KR101397084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1038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7873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70416B1 (ko) | 이동 단말기 | |
EP2843524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mobile terminal | |
KR20110045330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73410B1 (ko) | 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하는 단말기 | |
KR101829835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98171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40066676A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10703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97089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54559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21877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398170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5385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883374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659002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93069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972088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41243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072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71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1072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