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71103B1 -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 Google Patents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1103B1
KR101871103B1 KR1020170014896A KR20170014896A KR101871103B1 KR 101871103 B1 KR101871103 B1 KR 101871103B1 KR 1020170014896 A KR1020170014896 A KR 1020170014896A KR 20170014896 A KR20170014896 A KR 20170014896A KR 101871103 B1 KR101871103 B1 KR 101871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ll
buoy
mooring
center
submarin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영에스엔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영에스엔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영에스엔디
Priority to KR102017001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1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1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1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04Fixations or other ancho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0Buoys
    • B63B22/18Buoys having means to control attitude or position, e.g. reaction surfaces or teth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에 관한 것으로, 선체의 선수와 선미에 각각 계류삭이 설치되도록 센터거더에 고정되는 한 쌍의 무어링 아이플레이트와 해저케이블이 상기 센터거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데크에 고정되는 클리트가 구비된 부이선체; 상기 부이선체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부이선체의 양현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 상기 부이선체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상기 무어링 아이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계류삭;를 마련하여 부이선체를 2점 계류시킴으로써 부이선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계류삭과 해저케이블을 서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해저케이블의 꼬임이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부력체에 의해 횡파 등에 의한 횡경사를 작은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Nomad Buoy for Multi-purpose Marine Platform with Submarine Cable Connection}
본 발명은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형 노매드 부이에 해저케이블과 부이의 계류가 서로 꼬이지 않도록 함은 물론 양현측에 보조 부력체를 설치하여 부이의 안전성을 높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 광케이블 설치하기 위해서는 미리 해수면 케이블 매설 경로를 따라 케이블을 가설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은 물에 수장되어 식별이 곤란하므로, 수백 미터 또는 수킬로 미터 마다 케이블의 매설 경로를 따라 해수면에 부이를 설치하여 케이블 가설 경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특수선에 의해 케이블을 해저면에 매설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케이블을 가설시키기 위해 해수면에 설치되는 부이는 케이블을 저면에 지지시키는 구조로 해수의 이동, 해풍, 파고로 인해 장력이 저하되어 케이블이 처지거나 하여 케이블의 단락, 케이블이 꼬여 내부 광섬유가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또한 종래의 부이는 단일 부력구조로, 해수면의 이물질 또는 암초 또는 배 등에 의해 손상이 가면 부이가 쉽게 가라 않아 케이블의 가설 경로를 찾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종래의 부이는 케이블에 장력을 가하지 못하므로 케이블의 유동에 의해 부이와의 마찰로 케이블 피복이 벗겨지기도 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케이블 가설 부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케이블 가설 부이는 상부면에 점등수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받침대가 구비되는 중공의 상부통체, 상기 상부통체와 결합되고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내측 하부에는 무게추가 구비되는 하부통체로 구성되는 부이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통체의 하단에는 케이블을 저면에서 삽입하여 지지할 수 있는 지지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수단은 케이블이 삽입되는 링과 상기 링을 하부통체의 하단에 지지시키는 다수의 수직프레임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통체의 외주면에는 케이블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한 걸림수단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수단은 케이블을 걸치거나 이탈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통체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후크레버,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결합되고, 상향으로 회동된 후크레버를 고정하는 고정레버로 구성되어 케이블을 "S" 자로 형태로 지지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는 구 형상의 부이본체가 계류로프에 의하여 해저면의 앵커수단과 연결 설치되고, 상기 부이본체의 상단측에는 경광등이 설치되며, 상기 부이본체의 내부에는 데이터로거를 구비하는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유닛과 GPS가 설치된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수단은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케이싱 또는 배터리가 내장된 배터리케이싱과 콘크리트블록이 내장된 무게추케이싱을 계류지지대 상에 설치하여 해저면으로 안착된다.
상기 계류지지대는 하우징프레임과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골조형 케이스가 되고, 상기 계류로프는 계류지지대로부터 연장되어 부이본체의 하단측과 연결 설치된다. 상기 배터리케이싱으로부터 계류로프를 따라 케이블라인이 연장되어 부이본체와 연결 설치된다.
상기 계류로프에는 케이블라인과 접속되는 해양환경 측정용 센서기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부이본체는 외부케이싱을 제공하는 PVC구체와 상기 PVC구체의 내부에 충진되는 폴리우레탄폼으로 이루어잔다.
상기 부이본체의 중심부에는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유닛과 GPS의 내장을 위한 플랜지파이프가 수직 방향으로 관통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파이프는 PVC구체와 동일 소재로 하여 폴리우레탄폼의 중심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플랜지파이프의 상단측과 하단측 플랜지부에는 플랜지덮개가 조립 설치된다.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09-0000518호(2009년 1월 7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31321호(2015년 6월 25일 공고)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132131호(2014년 11월 17일 공개)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가설 부이는 부력관에 의해 부이체의 수장을 방지하는 것으로, 케이블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지 않도록 방지하지 못하고, 부이체가 횡파로부터 파손 또는 유실의 우려가 발생되며, 케이블을 부이체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하게 됨에 따라 케이블의 설치 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는 데이터로거를 구비한 컨트롤러와 무선통신유닛, GPS 및 배터리가 내장되어 해양 환경을 관측하는 것으로, 해저케이블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없고, 부이본체를 1점 계류시킴에 따라 파랑 등에 의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계류삭과 해저케이블을 서로 교차되게 설치할 수 있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조부력체가 부이선체의 양현에 설치되어 횡파 등에 의한 횡경사를 감소시키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는 선체의 선수와 선미에 각각 계류삭이 설치되도록 센터거더에 고정되는 한 쌍의 무어링 아이플레이트와 해저케이블이 상기 센터거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데크에 고정되는 클리트가 구비된 부이선체; 상기 부이선체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부이선체의 양현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 상기 부이선체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상기 무어링 아이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계류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이선체는 선체의 중심에 설치되는 센터거더; 상기 센터거더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판; 상기 센터거더와 상기 측판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격실; 상기 선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무게추는 상기 선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웨이트; 상기 선체의 중량에 따라 무게중심을 조정하도록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웨이트는 상기 선체의 중량에 따라 증감되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부력체는 상기 선체의 선수와 선미에 설치되는 탱크지지대; 상기 탱크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부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부력체는 상기 선체의 선수와 선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탱크지지대; 상기 제1 내지 제4 탱크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부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에 의하면, 부이선체를 2점 계류시킴으로써 부이선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고, 계류삭과 해저케이블을 서로 교차되게 설치하여 해저케이블의 꼬임이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조부력체에 의해 횡파 등에 의한 횡경사를 작은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에 의하면, 각각으로 구획된 격실에 다수의 장비를 설치할 수 있고, 해저케이블의 설치뿐만 아니라 다양한 해상 환경을 측정할 수 있으며, 외부 웨이트와 내부 웨이트에 의해 부이선체의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고, 각 격실에 유입된 해수 등을 배출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는 선체의 선수와 선미에 각각 계류삭(60)이 설치되도록 센터거더(11)에 고정되는 한 쌍의 무어링 아이플레이트(12)와 해저케이블(70)이 상기 센터거더(11)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데크(17)에 고정되는 클리트(18)가 구비된 부이선체(10), 상기 부이선체(10)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부이선체(10)의 양현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50), 상기 부이선체(10)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상기 무어링 아이플레이트(12)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계류삭(6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는 선박형으로 이루어진 노매드 부이의 이동성을 갖도록 하면서 해저케이블(70)을 접속하여 해저케이블과 부이의 계류삭(60)이 서로 간섭되거나 꼬이지 않도록 한다.
또한 부이선체(10)가 횡파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에도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부이선체(10)의 양현에 각각 보조부력체(50)를 설치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되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는 선박 형태의 노매드(Nomad)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부이선체(10)에는 해상에서의 풍향, 풍속, 온도, 습도, 기압, 파고 및 해류, 염분, 수온, 수심 등을 측정하도록 다양한 종류의 센서와 측정계 등이 설치된다.
상기 부이선체(10)는 선박 형태로 제작되도록 선체의 중심에 센터거더(11)를 중심으로 좌우 양 측면에 각각 측판(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터거더(11)는 대략 'V'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센터거더(11)는 선수에서부터 선미까지 일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거더(11)의 선수 및 선미에는 계류삭(60, 도 6 및 도 7 참조)을 설치할 수 있도록 무어링 아이플레이트(12)가 고정된다. 상기 무어링 아이플레이트(12)에는 계류삭(60)이 설치되도록 일정 직경의 구멍이 형성됨은 물론이다.
상기 센터거더(11)의 선미에는 부이선체(10)의 이동 시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도록 센터킬(13)이 설치된다.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측판(14)의 내측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다수의 벌크헤드빔(15)이 설치되고, 이들 벌크헤드빔(15)의 상면에는 데크빔(16)이 설치되며, 상기 데크빔(16)의 상면에는 부이선체(10)의 상면, 즉 데크(17)가 형성된다.
상기 데크(17)에는 해저케이블(70)을 결속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클리트(18, Cleat)가 설치된다. 상기 클리트(18)는 해저케이블(70)을 부이선체(10)의 길이방향과 교차되게 설치하도록 데크(17)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클리트(18)는 대략 'ㅠ'자 형상 또는 'ㅍ'자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부이선체(10)에는 전원·제어장치(26) 및 2차 전지배터리(27) 등을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로 구획된 격실(19~22)이 마련된다.
이러한 격실(19~22)은 선수측에서부터 소정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제1 격실(19), 상기 제1 격실(19)에서 선미 방향으로 인접하게 구획되는 제2 격실(20), 상기 제2 격실(20)에서 선미 방향으로 인접하게 구획되는 제3 격실(21) 및 선미 측에 구획되는 제4 격실(22)로 이루어진다.
이들 중 제1 격실(19)은 빈 공간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제1 격실(19)에는 부이선체(10)의 외부에서 유입된 빗물 또는 해수 등을 부이선체(1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펌프(미도시)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펌프는 제2 격실(20), 제3 격실(21) 및 제4 격실(22)에 유입된 빗물이나 해수 등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설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격실(19) 내지 제4 격실(22)에는 작업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개폐되는 해치(23)가 설치되며, 각 격실(19~22)에는 수직으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격실사다리(24)가 설치된다.
또한 부이선체(10)의 선미에는 데크(17)로 오르내릴 수 있도록 승강사다리(25)가 설치된다.
한편 제2 격실(20)에는 센서 유닛 및 측정계 등에 전원의 공급 및 차단과 각 센서와 측정계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장치(26)가 설치되며, 제3 격실(21)에는 전원이 축전된 2차전지 배터리(27)가 설치된다.
이러한 전원·제어장치(26) 및 2차전지 배터리(27)는 다른 격실(20~22)에 설치되어도 무방하다.
또 데크(17)의 상면에는 작업자가 안전하게 통행할 수 있도록 핸드레일(28)이 설치되며, 태양열배터리(30)가 설치되도록 장비거치대(29)가 설치된다.
아울러 장비거치대(29)에는 부이선체(10)의 설치 위치를 알려주는 등명기(31)가 설치되며, 부이선체(10)와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위성통신단말기(32)가 설치된다.
또 장비거치대(29)에는 바람의 방향과 속도를 측정하는 풍향·풍속계(33)가 설치되며, 풍향·풍속계(33)의 하부에는 부이선체(10)의 설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리플렉터(34)가 설치된다.
또한 장비거치대(29)에는 해수의 수온, 습도 등을 측정하는 센서 등이 구비된 센서유닛(35)이 설치되며, 수신되는 무선신호를 증폭시키는 수신증폭기(36)가 설치된다.
상기 부이선체(10)는 선체의 중심에 설치되는 센터거더(11), 상기 센터거더(11)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판(14), 상기 센터거더(11)와 상기 측판(14)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격실(19~22), 상기 선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무게추(40)를 포함한다.
상기 무게추(40)는 상기 선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웨이트(41)와 상기 선체의 중량에 따라 무게중심을 조정하도록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웨이트(42)로 이루어진다.
상기 센터거더(11)의 저면에는 부이선체(10)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외부 웨이트(41)는 부이선체(10)에 전원·제어장치(26) 또는 2차전지 배터리(27) 등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부이선체(10)의 무게중심을 잡기 위하여 설치된다.
즉, 외부 웨이트(41)는 부이선체(10)의 제작 시 전도 또는 전복되지 않도록 부이선체(10) 자체의 무게중심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하여 설치된다.
또한 제2 격실(20) 또는 제3 격실(21)에는 중량물인 전원·제어장치(26) 및 2차전지 배터리(27) 등이 설치됨에 따라 부이선체(10)의 무게중심이 선체의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내부 웨이트(42)는 일정 높이를 갖는 고정봉(43)과 상기 고정봉(43)에 낱개로 끼워지는 바벨(44)로 이루어지며, 바벨(44)은 부이선체(10)가 수직으로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무게중심을 맞추기 위하여 고정봉(43)에 끼우거나 분리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또 내부 웨이트(42)는 센터거더(11)에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이들 내부 웨이트(42)는 무게중심을 변경할 수 있도록 센터거더(11)의 좌우 양측에 각각 2개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다.
즉, 바벨(44)은 무게중심을 잡기 위하여 센터거더(11)를 중심으로 좌현(Port)쪽에 2개의 고정봉(43)에 끼워지도록 하며, 상기 센터거더(11)를 중심으로 우현(starboard)쪽에 2개의 고정봉(43)에 끼워지도록 한다.
상기 부이선체(10)의 좌현과 우현에는 각각 보조부력체(50)가 설치된다.
상기 보조부력체(50)는 상기 선체의 선수와 선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탱크지지대(51~54), 상기 제1 내지 제4 탱크지지대(51~54)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부력탱크(55~57)를 포함한다.
상기 부이선체(10)의 좌현과 우현에는 각각 탱크지지대(51~54)가 설치되는데, 선수측에는 제1 탱크지지대(51)가 설치되고, 상기 제1 탱크지지대(5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2 탱크지지대(52)가 설치된다.
또 상기 제2 탱크지지대(52)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3 탱크지지대(53)가 설치되고, 선미측에 상기 제3 탱크지지대(53)와 이격된 제4 탱크지지대(54)가 설치된다.
상기 제1 탱크지지대(51)와 제2 탱크지지대(52) 사이에는 일정 크기를 갖는 제1 부력탱크(55)가 설치되고, 상기 제2 탱크지지대(52)와 제3 탱크지지대(53) 사이에는 제2 부력탱크(56)가 설치되며, 상기 제3 탱크지지대(53)와 제4 탱크지지대(54) 사이에는 제3 부력탱크(57)가 설치된다.
이와 달리 상기 탱크지지대는 선수측에 제1 탱크지지대(51)를 설치하고, 선미측에 제4 탱크지지대(54)를 설치하여 이들 제1 탱크지지대(51)와 제4 탱크지지대(54) 사이에 하나의 부력탱크를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계류삭(60)은 부이선체(10)의 선수측 및 선미측에 각각 설치되도록 구비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는 선수측에 설치되는 계류삭(60)과 선미측에 설치되는 계류삭(60)에 고정된다.
이렇게 선수측과 선미측에 각각 계류삭(60)이 고정됨에 따라 부이선체(1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서 안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부이선체(10)의 측면에는 해저케이블(70)을 결속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 해저케이블(70)은 부이선체(10)에 대하여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하여 계류삭(60)과 꼬이거나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즉, 계류삭(60)과 해저케이블(70)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설치됨에 따라 해수에 의해 서로 마찰되거나 간섭 또는 꼬임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해저케이블의 손상이나 파손 등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계류삭(60)은 부이선체(1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게 되고, 해저케이블(70)은 부이선체(10)와 교차되는 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계류삭(60)과 해저케이블(70)이 서로 엉키거나 꼬이지 않게 된다.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부이선체(10)의 양현에는 각각 보조부력체(50)가 설치된다. 이러한 보조부력체(50)는 파도 등에 의해 부이선체(10)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보조부력체(50)는 부이선체(10)의 양 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파도 등의 외력이 가해질 때 외력이 보조부력체(50)에 먼저 접촉하게 되며, 이때 외력은 원형의 보조부력체(50)에 의해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부이선체(10)는 해상 환경이 열악한 극지방 등에 설치되기도 하는데, 보조부력체(50)에 의해 부이선체(10)의 설치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보조부력체(50)는 부이선체(10)의 횡경사를 대략 ±17°이내로 유지시켜 주게 되며, 이로 인해 열악한 해상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무선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부이선체(10)에는 무게중심을 유지하는 외부 웨이트(41)에 의해 부이선체(10)가 적정한 깊이로 수심에 설치되게 하며, 부이선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웨이트(42)는 부이선체(10)에 설치되는 전원·제어장치(26) 및 2차전지 배터리(27) 등의 중량에 따라 부이선체(10)의 무게중심을 수직으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 웨이트(42)는 센터거더(11)의 좌현 또는 우현 쪽에 설치된 고정봉(43)에 중량을 갖는 바벨(44)을 달리 설치한다. 이에 따라 내부 웨이트(42)는 부이선체(10)를 수직으로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부이선체(10) 내부에는 2차전지 배터리(27)에 의해 전원을 안정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주어 무선통신뿐만 아니라 센서유닛(35)의 계측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게 된다.
즉, 부이선체(10)가 횡파 등에 의해 흔들리거나 요동이 작아 센서 또는 계측장비에 의한 측정을 보다 안정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부이선체 11: 센터거더
12: 무어링 아이플레이트 13: 센터킬
14: 측판 15: 벨크헤드빔
16: 데크빔 17: 데크
18: 클리트 19: 제1 격실
20: 제2 격실 21: 제3 격실
22: 제4 격실
40: 무게추 41: 외부 웨이트
42: 내부 웨이트 43: 고정봉
44: 바벨
50: 보조부력체 51: 제1 탱크지지대
52: 제2 탱크지지대 53: 제3 탱크지지대
54: 제4 탱크지지대 55: 제1 부력탱크
56: 제2 부력탱크 57: 제3 부력탱크
60: 계류삭 70: 해저케이블

Claims (6)

  1. 선체의 선수와 선미에 각각 계류삭이 설치되도록 센터거더에 고정되는 한 쌍의 무어링 아이플레이트와 해저케이블이 상기 센터거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데크에 고정되는 클리트가 구비된 부이선체;
    상기 부이선체의 안정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부이선체의 양현에 설치되는 보조부력체;
    상기 부이선체의 선수 및 선미 방향으로 상기 무어링 아이플레이트에 설치되는 한 쌍의 계류삭을 포함하고,
    상기 부이선체는 선체의 중심에 설치되는 센터거더;
    상기 센터거더의 양측에 설치되는 측판;
    상기 센터거더와 상기 측판에 다수의 구획된 공간으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격실;
    상기 선체의 무게중심을 조절하도록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무게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는 상기 선체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체의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웨이트;
    상기 선체의 중량에 따라 무게중심을 조정하도록 상기 선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웨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웨이트는 상기 선체의 중량에 따라 증감되도록 다수로 분할되어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력체는 상기 선체의 선수와 선미에 설치되는 탱크지지대;
    상기 탱크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부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력체는 상기 선체의 선수와 선미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4 탱크지지대;
    상기 제1 내지 제4 탱크지지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내지 제3 부력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KR1020170014896A 2017-02-02 2017-02-02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KR101871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96A KR101871103B1 (ko) 2017-02-02 2017-02-02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4896A KR101871103B1 (ko) 2017-02-02 2017-02-02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1103B1 true KR101871103B1 (ko) 2018-06-26

Family

ID=6278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4896A KR101871103B1 (ko) 2017-02-02 2017-02-02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11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256A (zh) * 2019-12-13 2020-02-18 江苏科技大学 一种坐底式可移动多功能浮标
KR102348737B1 (ko) 2021-06-01 2022-01-10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부력을 이용한 타이케이블 설치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160A (ja) * 2004-12-01 2006-06-15 J-Power Systems Corp 海上浮遊体用長尺体及びその布設方法
KR20090000518A (ko) 2007-06-28 2009-01-07 뉴마린엔지니어링(주) 케이블 가설 부이
KR20140074960A (ko) * 2011-10-14 2014-06-18 립 부이 홀딩스 리미티드 안전 부표
KR20140132131A (ko) 2013-05-07 2014-1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별도의 계류라인을 사용하지 않은 부이를 이용한 수중관측자료 실시간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101531321B1 (ko) 2014-07-11 2015-06-25 대한민국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
KR20150092781A (ko) * 2014-02-05 2015-08-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속 측정장비용 계류식 선체형 부이
KR20160145247A (ko) * 2015-06-09 2016-12-20 김택렬 Frp 쌍동 바지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160A (ja) * 2004-12-01 2006-06-15 J-Power Systems Corp 海上浮遊体用長尺体及びその布設方法
KR20090000518A (ko) 2007-06-28 2009-01-07 뉴마린엔지니어링(주) 케이블 가설 부이
KR20140074960A (ko) * 2011-10-14 2014-06-18 립 부이 홀딩스 리미티드 안전 부표
KR20140132131A (ko) 2013-05-07 2014-11-17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별도의 계류라인을 사용하지 않은 부이를 이용한 수중관측자료 실시간 전송방법 및 그 장치
KR20150092781A (ko) * 2014-02-05 2015-08-1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속 측정장비용 계류식 선체형 부이
KR101531321B1 (ko) 2014-07-11 2015-06-25 대한민국 계류식 해양환경 관측부이
KR20160145247A (ko) * 2015-06-09 2016-12-20 김택렬 Frp 쌍동 바지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3256A (zh) * 2019-12-13 2020-02-18 江苏科技大学 一种坐底式可移动多功能浮标
CN110803256B (zh) * 2019-12-13 2024-05-24 江苏科技大学 一种坐底式可移动多功能浮标
KR102348737B1 (ko) 2021-06-01 2022-01-10 주식회사 동아특수건설 부력을 이용한 타이케이블 설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2396B2 (ja) 深海設置船
KR101948052B1 (ko) 수중관람용 레저보트
KR20150046054A (ko) 반잠수식 통합 항구
NO138650B (no) Fortoeyningsanordning.
KR101871103B1 (ko) 해저케이블이 접속 가능한 다목적 해상플랫폼용 노매드 부이
KR20220050793A (ko) 보트 진수 및 복구 플랫폼 및 진수 및 복구의 관련된 방법
KR20190013705A (ko) 해저 원격 동작 차량(rov) 허브
FI62650B (fi) Foerankringsbar flytande plattform
AU2019257033B2 (e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support system
KR102076497B1 (ko) 소형 선박 침몰 방지 및 인양용 부유식 도크
JP4046154B2 (ja) 水中航走体
US12065222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covering a sailing vessel
WO2004011328A1 (es) Unidad movil para el transporte y engorde de peces en alta mar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WO2004063002A1 (ja) 自走船台
KR101411946B1 (ko) 정선장비
JP4560773B2 (ja) 簡易マリーナ装置
KR102445318B1 (ko) 감시정찰용 무인 선박
CN102762444B (zh) 浅水系统
GB2361458A (en) Semi-submersible marine craft
US3339511A (en) Marine platforms and sea stations
WO2016190746A1 (en) Float with lowering system for deep running wanes
US7244156B1 (en) Lightweight marine buoy and method of handling the same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KR102564438B1 (ko) 항내 경사시험 장치 및 경사시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