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74955B1 -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955B1
KR101874955B1 KR1020170078127A KR20170078127A KR101874955B1 KR 101874955 B1 KR101874955 B1 KR 101874955B1 KR 1020170078127 A KR1020170078127 A KR 1020170078127A KR 20170078127 A KR20170078127 A KR 20170078127A KR 101874955 B1 KR101874955 B1 KR 101874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water
watertight
water tray
support pi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업
Original Assignee
박선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업 filed Critical 박선업
Priority to KR1020170078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95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9/00Keeping dry foundation sites or other areas in the ground
    • E02D19/02Restraining of open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450/00Gas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은, 수중의 바닥면에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박히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말뚝과, 상기 지지말뚝의 타측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말뚝과 일체되도록 상기 중공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하단에 쐐기가 구비되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히면서 방사상으로 연속 조립되어 제방을 이루는 다각형의 물막이블록과, 상기 물막이블록을 또 다른 물막이블록과 암수형태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물막이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조립시키는 수평커넥터와, 상기 수평커넥터와 함께 상기 물막이블록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물막이블록과 상기 지지말뚝이 일체화되도록 상기 지지말뚝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평연결부와,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의 측면과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하천 및 해양에서 구조물의 설치 또는 간척사업을 위한 물막이 시공시 해저 지면에 일측이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조립체가 상호 인접하면서 연속조립되어 시공이 간편하면서 수밀성이 보장되며,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어 제한된 조건의 지역에도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파랑 및 태풍 등으로 인한 피해 발생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Assembly Type Cofferdam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본 발명은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 및 해양에서 구조물의 설치 또는 간척사업을 위한 물막이 시공시 해저 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조립식으로 상호 인접되면서 연속 설치되어 수밀성을 유지하면서 제방이 형성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막이 공사는 하천 및 해양에서 댐, 방조제, 수문 및 교량 등과 같은 공작 구조물의 설치시 공사구역의 주위를 둘러쌓아 외수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이러한 물막이 설치를 위한 일반적인 공법으로는 쉬트파일공법, 케이슨공법 및 사석과 흙을 매립하여 축조하는 방법 등이 있다.
여기서, 쉬트파일공법은 판형으로 이루어지는 쉬트파일을 해저 지면에 연속적으로 설치하여 외수의 침입을 막는 방법으로 하천 지류와 같은 소규모의 물막이에 적합하며, 해양과 같은 대규모의 물막이 공사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케이슨공법은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케이슨을 지상에서 제작한 후 해저 지면의 토사를 굴착하면서 케이슨을 가라앉혀 기초를 만드는 공법으로서, 케이슨의 고중량으로 인하여 운반 및 설치에 큰 어려움이 수반되며, 수심이 깊고 연약층이 두껍게 분포하는 지반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사석과 흙을 매립하여 물막이를 축조하는 공법은 공사기간이 많이 소요되며 투입되는 자재, 인력 및 장비가 상당하여 공사비용이 증가되는 문제를 두고 고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현재 물막이 시공시 해저 지면에 일측이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됨으로 연약지반에 시공이 용이하고, 해저면에 삽입된 각각의 조립체가 상호 인접하면서 연속조립되어 운반 및 설치함과 동시에 수밀성이 유지되며, 제한된 조건의 지역에도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하면서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 발생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의 필요성이 대두하여, 이에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의 종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1602호(2007.04.19)를 통해 하천 등지에서 물의 유입을 차단하여 물막이의 유실을 방지함과 해상 구조물의 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며, 버팀대의 비틈림 및 배부름 현상을 막을 수 있고, 지반의 부분침하가 발생되어도 물막이의 유실을 막을 수 있는 십자형 연결말뚝을 이용한 해상 물막이가 제안된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십자형 연결말뚝을 이용한 해상 물막이는 버팀대가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평행하게 설치되어야 하고, 채움재가 투입되지 않은 버팀대는 물막이의 기능을 하기 어려우며, 연약층이 분포된 지반의 위치가 상호 다를 경우 버팀대의 제작 길이를 상호 다르게 설정해야 하고, 설치형상이 가변적이지 못해 제한된 조건의 지역에는 설치 및 시공이 어려운 문제로 인해 비효율 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천 및 해양에서 구조물물의 설치 또는 간척사업을 위한 물막이 시공시 일측이 해저 지면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되고, 말뚝형상으로 해저 지면에 삽입된 조립체가 상호 인접하면서 방사상으로 연속되게 배치되어 제방을 형성하므로 제한된 조건의 지역에도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한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 및 해양에서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있어서, 수중의 바닥면에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박히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말뚝과, 상기 지지말뚝의 타측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말뚝과 일체되도록 상기 중공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하단에 쐐기가 구비되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히면서 방사상으로 연속 조립되어 제방을 이루는 다각형의 물막이블록과, 상기 물막이블록을 또 다른 물막이블록과 암수형태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물막이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조립시키는 수평커넥터와, 상기 수평커넥터와 함께 상기 물막이블록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물막이블록과 상기 지지말뚝이 일체화되도록 상기 지지말뚝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평연결부와,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의 측면과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말뚝은 회전 또는 가압에 의해 일부분이 수중의 바닥면에 삽입되면서 박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크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막이블록은,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상부캡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캡의 상면에 편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는 상기 수평연결부가 관통되도록 개방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홀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커넥터는,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끼워져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돌기의 타측 벽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걸림돌기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면서 걸리는 결합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막이블록의 상단에 적층상태로 조립되면서 상기 물막이블록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연장블록과, 상기 연장블록과 상기 물막이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조립시키는 수직커넥터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직커넥터는, 상기 연장블록의 하단부에 단턱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물막이블록의 중공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물막이블록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끼움부와, 상기 물막이블록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수평연결부는, 상기 물막이블록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이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물막이블록의 중공부 내측으로 투입되는 상기 콘크리트와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요철이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물막이블록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목재, 비닐, PVC,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 및 해양에서 구조물의 설치 또는 간척사업을 위한 물막이 시공시 해저 지면에 일측이 삽입되어 견고하게 지지되고, 각각의 조립체가 상호 인접하면서 연속조립되어 시공이 간편하면서 수밀성이 보장되며,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제작할 수 있어 제한된 조건의 지역에도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고, 파랑 및 태풍 등으로 인한 피해 발생시 유지 및 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서 관통홀 및 홀캡을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에서 연장블록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는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하기에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1)은, 하천 및 해양에서 구조물의 설치를 위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중의 바닥면에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박히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말뚝(100)과, 상기 지지말뚝(100)의 타측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말뚝(100)과 일체되도록 상기 중공부(220)에 콘크리트(3)가 타설되며, 하단에 쐐기(210)가 구비되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히면서 방사상으로 연속 조립되어 제방을 이루는 다각형의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물막이블록(200)을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과 암수형태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물막이블록(200)들을 수평방향으로 조립시키는 수평커넥터(300)와, 상기 수평커넥터(300)와 함께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지지말뚝(100)이 일체화되도록 상기 지지말뚝(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평연결부(500)와,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과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실링부재(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말뚝(100)은 수중의 바닥면에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박히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수중의 바닥면에 박힌 상기 지지말뚝(100)이 하기의 물막이블록(200)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말뚝(100)의 일측에는 스크류(110)가 구비되는데, 이 스크류(110)는 상기 지지말뚝(100)이 회전 또는 가압에 의해 일부분이 수중의 바닥면에 삽입되면서 박히도록 일측 단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말뚝(100)의 일측이 수중의 바닥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말뚝(100)이 하기의 물막이블록(200)과 일체화되도록 하기에서 설명하려는 수평연결부(500)의 일측이 고정되기 위한 홈이 상기 지지말뚝(100)의 외주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말뚝(100)은 하나 이상이 수중의 바닥면에 삽입되고, 타측이 하기의 물막이블록(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지지말뚝(100)의 타측은 다각형의 물막이블록(200) 내측에 삽입되어 상호 결합되는데, 이 물막이블록(200)은 상기 지지말뚝(100)의 타측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부(22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말뚝(100)과 일체되도록 상기 중공부(220)에 콘크리트(3)가 타설되며, 하단에 쐐기(210)가 구비되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히면서 방사상으로 연속 조립되어 제방을 이루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내측 중공부(220)로 상기 콘크리트(3)가 투입되어 상기 지지말뚝(100)과 상기 물막이블록(200)을 일체 시키면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중량을 증가시켜 제방이 안정적으로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은 하단에 쐐기(210)가 형성됨에 따라 수중 바닥면에 박히며, 상단이 개구된 중공부(220)가 형성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220)에 콘크리트(3), 사석, 잡석, 또는 폐자재 등과 같은 중량체가 투입되어 채워지면서 바닥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말뚝(100)과 함께 지지력을 증가 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은 다각형으로 구비됨에 따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과 밀착상태로 조립되면서 방사상으로 확장되어 벌집형태의 제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은 금속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부식성을 갖는 플라스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상부에는 상부캡(230)이 구비되는데, 이 상부캡(230)은 상기 중공부(22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구비되어 상면에 편평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중공부(220)의 내측으로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중공부(220)에 투입된 콘크리트(3)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240)이 구비되는데, 이 관통홀(240)은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하기의 수평연결부(500)가 관통되도록 개방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상호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상기 지지말뚝(100)에 고정되는 하기의 수평연결부(500)의 이동경로 역할을 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관통홀(240)을 커버하도록 홀캡(241)이 구비되는데, 이 홀캡(241)은 상기 관통홀(240)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240)을 커버하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에 투입되는 콘크리트(3)의 이탈을 방지하고, 하기의 수평연결부(500)가 관통되기 위한 상기의 관통홀(240)을 선택적으로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는 수평커넥터(300)가 구비되는데, 이 수평커넥터(30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을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과 암수형태로 연결시키면서 상기 물막이블록(200)들을 수평방향으로 조립시키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이 암수형태로 상호 연결되면서 방사상으로 연속 조립되어 수평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평커넥터(30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상호 연결시키도록 결합돌기(310) 및 결합홈(3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310)가 각각 구비되는데, 이 결합돌기(31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끼워져 걸리는 것으로, 하기의 결합홈(320)과 이웃하여 구비되며,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결합돌기(310)가 상기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에 구비되는 하기의 결합홈(320)에 슬라이드되면서 끼워져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결합돌기(310)와 이웃하여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320)이 각각 구비되는데, 이 결합홈(320)은 상기 결합돌기(310)의 타측 벽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걸림돌기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면서 걸리는 것으로, 상기 결합돌기(310)가 슬라이드되어 끼워지면서 상기 물막이블록(200)을 수평방향으로 확장시켜 방사상태로 연속 조립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이 설치되는 수심에 따라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길이를 확장시키도록 연장블록(400) 및 수직커넥터(41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상부에 끼워져 적층상태로 조립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상부에는 연장블록(400)이 결합되는데, 이 연장블록(400)은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상단에 적층상태로 조립되면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수직 길이를 연장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블록(400)의 일측에는 수직커넥터(410)가 구비되는데, 이 수직커넥터(410)는 상기 연장블록(400)과 상기 물막이블록(200)을 수직방향으로 조립시키는 것으로, 상기 연장블록(4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상기 수직커넥터(410)가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연장블록(400)과 상호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수직커넥터(41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끼움부(411) 및 결합볼트(4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커넥터(410)와 상기 물막이불럭이 상호 연결되도록 끼움부(411)가 구비되는데, 이 끼움부(411)는 상기 연장블록(400)의 하단부에 단턱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에 끼워지면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에 끼움결합되어 상기 연장블록(400)을 고정시키도록 구비된다.
상기 연장블록(400)과 상기 물막이블록(200)이 상호 고정되도록 결합볼트(412)가 구비되는데, 이 결합볼트(412)는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411)에 체결되는 것으로, 상호 연결된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연장블록(400)이 견고하게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전술한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을 관통하도록 수평연결부(500)가 구비되는데, 이 수평연결부(500)는 상기 수평커넥터(300)와 함께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지지말뚝(100)이 일체화되도록 상기 지지말뚝(100)의 일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견고하게 고정시키면서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지지말뚝(100)을 일체화시키도록 상기 수평연결부(500)가 상기 홀캡(241)이 제거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관통홀(24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일측이 상기 지지말뚝(100)의 외주면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연결부(500)의 외주면에는 요철(510)이 구비되는데, 이 요철(510)은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 내측으로 투입되는 콘크리트(3)가 굳어지면서 상기 수평연결부(500)와 긴밀하게 결합되기 위한 부착력을 증가시키도록 구비된다.
한편, 수평연결부(500)의 구성은 전술한 바가 바람직하나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수평연결부(50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지지말뚝(100) 측면 일측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지지말뚝(100)을 일체화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는 실링부재(600)가 구비되는데, 이 실링부재(60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과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것으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긴밀하게 인접되도록 밀착시켜 패킹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실링부재(60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목재, 비닐, PVC,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립형 물막이 시공방법은 지지말뚝 고정단계(S100), 물막이블록 고정단계(S200), 물막이블록 조립단계(S300), 연결고정단계(S400), 콘크리트 타설단계(S500), 콘크리트 타설단계(S500) 및 제방형성단계(S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말뚝 고정단계(S100)는 시공자가 지지말뚝(100)을 수중 바닥면에 설치하도록 크레인 및 항타기를 이용해 설치 위치로 이동시킨 후 바닥면에 박아 고정시킨다.
상기 물막이블록 고정단계(S200)는 시공자가 크레인을 이용해 물막이블록(200)을 설치위치로 이동시킨 후 수중바닥면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고정된 상기 지지말뚝(100)의 타측이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일측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히도록 고정시킨다.
상기 물막이블록 조립단계(S300)는 수중 바닥면에 설치된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상기 수평커넥터(300)를 통해 조립하면서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수중의 바닥면에 박아서 고정시킨다.
상기 연결고정단계(S400)는 상기 수평커넥터(300)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는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을 상기 수평연결부(500)가 횡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호 고정시켜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이때, 수평연결부(50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구비된 홀캡(241)이 제거되어 개방된 관통홀(240)을 통해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여 상호 연결시킨다.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500)는 상기 지지말뚝(100), 물막이블록(200) 및 수평연결부(500)가 일체화되도록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에 콘크리트(3)가 투입된다.
상기 물막이블록 마감단계(S600)는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상부에 상부캡(230)을 결합하여 개방된 중공부(220)를 차폐하면서 상면에 편평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방형성단계(S700)는 상기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에 대하여 상기 물막이블록 조립단계(S300), 상기 연결고정단계(S400), 상기 콘크리트 타설단계(S500), 상기 물막이블록 마감단계(S600)를 반복하면서 수중의 바닥면에 제방을 형성하도록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지말뚝(100)은 수중의 바닥면에 일부분이 삽입되어 박히면서 물막이블록(200)에 지지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 또는 가압에 의해 지지말뚝(100)의 일측에 구비된 스크류(110)가 바닥면을 굴착하며, 지지말뚝(100)의 일부분이 수중의 바닥면에 삽입되어 박히면서 물막이블록(200)에 지지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막이블록(200)은 지지말뚝(100)의 타측이 중공부(220)로 삽입되고, 물막이블록(200)과 지지말뚝(100)이 일체화되도록 콘크리트(3)가 중공부(220)에 투입되며, 중량이 증가되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힌 물막이블록(200)이 방사상으로 연속 조립되어 제방을 이루는 것으로, 지지말뚝(100)과 일체화되면서 중량의 증가로 수중의 바닥면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물막이블록(200)이 방사상으로 연속 조립되어 제방을 이루므로 외수의 침입을 방지하며, 제한된 조건의 지역에도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커넥터(300)는 물막이블록(200)을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과 암수형태로 연결시켜 수평방향으로 확장 조립되는 것으로, 수평커넥터(300)를 구성하는 결합돌기(310)가 결합홈(320)에 슬라이드 되면서 끼워져 상호 연결됨으로 수평방향으로 확장이 용이하고, 설치 위치와 조건에 따른 가변성이 큰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장블록(400)은 물막이블록(200)의 상부에 적층되어 물막이블록(200)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것으로, 물막이블록(200)이 설치되는 수심에 따라 물막이블록(200)의 길이를 가변시켜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연결부(500)는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면서 상기 지지말뚝(100)의 외주면에 구비된 홈에 일측이 고정되어 상기 물막이블록(200)과 상기 지지말뚝(100)을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에 투입되는 콘크리트(3)에 의해 수평연결부(500)가 물막이블록(200) 및 지지말뚝(100)과 일체화되면서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 및 물막이블록(200)과 지지말뚝(100)의 결합력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는 복수 개의 관통홀(240)과 개방된 관통홀(240)을 커버하는 홀캡(241)이 구비되어 수평연결부(50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 관통홀(240)은 수평연결부(500)가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횡방향으로 관통하기 위한 이동경로를 제공하며, 홀캡(241)은 중공부(220)의 내측에 투입되는 콘크리트(3)의 이탈을 방지하고, 관통홀(240)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링부재(600)는 물막이블록(200)의 측면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을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것으로,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긴밀하게 인접되도록 밀착시켜 패킹됨으로 외수의 침입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시공방법은 시공자가 지지말뚝(100)을 수중 바닥면에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지지말뚝 고정단계(S100), 지지말뚝(100)의 타측이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로 삽입되면서 일측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히도록 고정시키는 물막이블록 고정단계(S200),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을 수평커넥터(300)를 통해 조립하면서 수중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물막이블록 조립단계(S300), 수평연결부(500)를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 횡방향으로 관통시켜 상호 연결시키는 연결고정단계(S400) 순으로 제방형성을 위한 기본 설치를 진행한다.
제방형성을 위한 기본 설치가 완료되면 콘크리트 타설단계(S500)를 통해 지지말뚝(100), 물막이블록(200) 및 수평연결부(500)가 일체화되도록 물막이블록(200)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에 콘크리트(3)를 투입한다.
콘크리트(3)의 투입이 완료된 물막이블록(200)은 상부캡(230)을 이용해 개방된 중공부(220)를 차폐하여 물막이블록(200)의 중공부(220)에 투입된 콘크리트(3)의 양생을 완료하며, 중공부(220) 내측으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은 물막이블록 조립단계(S300), 연결고정단계(S400), 콘크리트 타설단계(S500), 물막이블록 마감단계(S600) 반복 수행하면서 수중의 바닥면에 제방을 형성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1)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3 : 콘크리트 100 : 지지말뚝
110 : 스크류 200 : 물막이블록
210 : 쐐기 220 : 중공부
230 : 상부캡 240 : 관통홀
241 : 홀캡 300 : 수평커넥터
310 : 결합돌기 320 : 결합홈
400 : 연장블록 410 : 수직커넥터
411 : 끼움부 412 : 결합볼트
500 : 수평연결부 510 : 요철
600 : 실링부재 S100 : 지지말뚝 고정단계
S200 : 물막이블록 고정단계 S300 : 물막이블록 조립단계
S400 : 연결고정단계 S500 : 콘크리트 타설단계
S600 : 물막이블록 마감단계 S700 : 제방형성단계

Claims (10)

  1. 수중의 바닥면에 일부분이 삽입되도록 박히면서 지지력을 제공하는 지지말뚝;
    상기 지지말뚝의 타측이 내측에 삽입되도록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말뚝과 일체되도록 상기 중공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며, 하단에 쐐기가 구비되어 수중의 바닥면에 박히면서 연속 조립되어 제방을 이루는 다각형의 물막이블록;
    상기 물막이블록을 또 다른 물막이블록과 암수형태로 연결시키면서 물막이블록들을 수평방향으로 조립시키는 수평커넥터;
    상기 수평커넥터와 함께 상기 물막이블록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을 상호 고정시키도록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을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기 물막이블록과 상기 지지말뚝이 일체화되도록 상기 지지말뚝의 일측에 고정되는 수평연결부; 및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의 측면과 긴밀하게 밀착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말뚝은,
    회전 또는 가압에 의해 일부분이 수중의 바닥면에 삽입되면서 박히도록 일측 단부에 스크류가 구비되며,
    상기 물막이블록은,
    측면에 상기 수평연결부가 관통되도록 개방되어 구비되는 복수 개의 관통홀; 및
    상기 관통홀의 선택적 개방이 가능하도록 상기 관통홀을 커버하는 홀캡;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연결부는,
    상기 물막이블록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이 상호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물막이블록의 중공부 내측으로 투입되는 상기 콘크리트와 부착력을 증가시키는 요철이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블록은,
    상기 중공부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는 상부캡이 구비되어 상기 상부캡의 상면에 편평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커넥터는,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측면에 끼워져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의 타측 벽면에 홈형태로 형성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200)의 걸림돌기가 수직방향으로 끼워지면서 걸리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막이블록의 상단에 적층상태로 조립되면서 상기 물막이블록의 길이를 확장시키는 연장블록; 및
    상기 연장블록과 상기 물막이블록을 수직방향으로 조립시키는 수직커넥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수직커넥터는,
    상기 연장블록의 하단부에 단턱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물막이블록의 중공부에 끼워지면서 상기 물막이블록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끼움부; 및
    상기 물막이블록의 상부 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부에 체결되는 결합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또 다른 물막이블록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물막이블록과 또 다른 물막이블록이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목재, 비닐, PVC, 고무 및 폴리프로필렌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소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10. 삭제
KR1020170078127A 2017-06-20 2017-06-20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Active KR101874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27A KR101874955B1 (ko) 2017-06-20 2017-06-20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127A KR101874955B1 (ko) 2017-06-20 2017-06-20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955B1 true KR101874955B1 (ko) 2018-07-05

Family

ID=62920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127A Active KR101874955B1 (ko) 2017-06-20 2017-06-20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95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212A (ko) 2020-07-06 2022-01-13 신광식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CN116695752A (zh) * 2023-08-02 2023-09-05 中铁二十五局集团有限公司 一种钢围堰及其施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69B1 (ko) * 2014-10-13 2015-07-20 박선업 가물막이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
KR101732722B1 (ko) * 2015-05-11 2017-05-08 (주)엔테이지 버튼형 합성공이 형성되는 phc파일의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969B1 (ko) * 2014-10-13 2015-07-20 박선업 가물막이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
KR101732722B1 (ko) * 2015-05-11 2017-05-08 (주)엔테이지 버튼형 합성공이 형성되는 phc파일의 제작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5212A (ko) 2020-07-06 2022-01-13 신광식 콘크리트 벽체 구조물
CN116695752A (zh) * 2023-08-02 2023-09-05 中铁二十五局集团有限公司 一种钢围堰及其施工方法
CN116695752B (zh) * 2023-08-02 2023-11-07 中铁二十五局集团有限公司 一种钢围堰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341B1 (ko) 수중 콘크리트 블록 구조물 시공 방법
AU706164B2 (en) Underwater construction of impermeable protective sheathings for hydraulic structures.
KR102011321B1 (ko) 변단면 각관을 이용한 환형 기초의 시공방법 및 그 기초
US20160376762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planting hollow columns in a seabed of a marine environment for supporting waterborne structures thereon
US10538889B2 (en) Berm or levee expansion system and method
KR101874955B1 (ko) 조립형 물막이 구조물 및 시공방법
CN108071122A (zh) 装配式地下管廊及其施工方法
KR102097580B1 (ko) 일반 콘크리트를 이용한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JP4761780B2 (ja) 遮水層の構築工法
JP7564685B2 (ja) 海面処分場護岸の遮水構造
JP2011156534A (ja) 遮水層の構築工法
KR20140092217A (ko) 작업선을 이용한 교각의 수중설치공법.
KR101537969B1 (ko) 가물막이 시공용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가물막이 시공방법
JP2008080325A (ja) 遮水層の構築工法
JP4315620B2 (ja) 管理型廃棄物埋立護岸の遮水処理方法
CN218374182U (zh) 临岸取排水管道系统
KR101267688B1 (ko) 프리캐스트 마감패널을 이용한 호안구조물의 시공 방법
CN110042859B (zh) 挡土墙反滤体及其施工方法
JP4104467B2 (ja) 護岸の遮水構造及び護岸の施工方法
JP5669192B2 (ja) 岸壁構造または護岸構造
KR100515251B1 (ko) 환경친화적 중공석축블록 및 이를 이용한 방조제 시공방법
JP2000265450A (ja) 通水可能な函体からなる人工地盤とその施工方法
KR101862761B1 (ko) 지중 기초 구조물 시공방법
KR102239807B1 (ko) 소파형 일반 콘크리트 현장 타설식 해상 구조물 시공 방법
JP7602906B2 (ja) 継手付き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用いた壁構造の構築及び修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7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