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More Web Proxy on the site http://driver.im/

KR101863532B1 -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 Google Patents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532B1
KR101863532B1 KR1020170076098A KR20170076098A KR101863532B1 KR 101863532 B1 KR101863532 B1 KR 101863532B1 KR 1020170076098 A KR1020170076098 A KR 1020170076098A KR 20170076098 A KR20170076098 A KR 20170076098A KR 101863532 B1 KR101863532 B1 KR 1018635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agen
tissue
cartilage
washing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정호
서동삼
유지철
이준호
Original Assignee
세원셀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70076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532B1/ko
Application filed by 세원셀론텍(주) filed Critical 세원셀론텍(주)
Priority to JP2019568059A priority patent/JP6899455B2/ja
Priority to AU2017418178A priority patent/AU2017418178A1/en
Priority to EP17913329.3A priority patent/EP3643332A4/en
Priority to CN201780092049.6A priority patent/CN110769865A/zh
Priority to MX2019015087A priority patent/MX2019015087A/es
Priority to PCT/KR2017/007220 priority patent/WO2018230765A1/ko
Priority to US16/622,397 priority patent/US20200197568A1/en
Priority to CA3067790A priority patent/CA3067790C/en
Priority to BR112019026753-0A priority patent/BR112019026753B1/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5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532B1/ko
Priority to AU2021286330A priority patent/AU2021286330A1/en
Priority to US18/174,319 priority patent/US20230310703A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83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 A61L27/3687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subjected to a specific treatment prior to implantation, e.g. decellularising, demineralising, grinding, cellular disruption/non-collagenous protein removal, anti-calcification, crosslinking,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enzyme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hemical agents in the treatment, e.g. specific enzymes, detergents, capping agents, crosslinkers, anticalcification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2Polypeptides or derivatives thereof, e.g. degradation products
    • A61L27/24Colla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04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human or animal origin of the biological material, e.g. hair, fascia, fish scales, silk, shellac, pericardium, pleura, renal tissue, amniotic membrane, parenchymal tissue, fetal tissue, muscle tissue, fat tissue, enamel
    • A61L27/362Skin, e.g. dermal papill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36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 A61L27/3641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containing 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transplant tissue, natural bone, extracellular matrix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in the body
    • A61L27/3645Connective tissue
    • A61L27/3654Cartilage, e.g. menis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06Flowable or injectable implant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30/00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 A61L2430/06Materials or treatment for tissue regeneration for cartilage reconstruction, e.g. menisc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에 주입방식으로 사용 가능한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를 위해 돼지 피부 조직으로부터 분리한 콜라겐을 무균적으로 주사용기에 충전하여 고농도 콜라겐 용액 주입제를 수득하는 방법과 주사용기에 충전된 고점도 콜라겐을 연골 수복의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생체 적합물질인 콜라겐을 연골결손 부위에 외과적 절개 없이 주사침으로 적용부위에 주입 가능한 형태로 조직 수복을 도모하면 연골 조직 재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수술과 관련된 부담을 덜어 주면서 쉽고 빠르게 연골 수복 및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Manufacturing and use method of cartilage tissue repair composition}
본 발명은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체 적합물질인 콜라겐을 연골결손 부위에 이식 가능한 주사형태로 제조하여 외과적 절개 없이 주사침으로 적용부위에 직접 주입으로 조직 수복을 도모하면 연골 조직 재생을 효과적으로 유도하므로 인간을 제외한 동물에게 수술과 관련된 부담을 덜어 주면서 쉽고 빠르게 연골 수복 및 재생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이로 인해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므로 사용자인 소비자들의 다양한 욕구(니즈)를 충족시켜 좋은 이미지를 심어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연골은 한번 손상되면 재생이 되지 않는 생체 내 조직으로 연골의 손상은 통증과 운동제한 등을 동반하며, 결국 연골이 닳아 없어져 국소적인 퇴행성 변화가 나타나는 질환인 퇴행성관절염으로 진행된다. 2010년 기준으로 퇴행성관절염은 전 세계적으로 6천만 명 정도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관절염 관련 시장도 연평균 14%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55세 이상에서 약 80%가 퇴행성관절염을 앓고 있다. 뿐만 아니라 청년층도 레포츠 등 익스트림 스포츠와 같은 문화 활동에 대한 관심 및 참여 증가로 부상의 위험에 노출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5세 노인인구 비율이 2009년에는 10.7%, 2018년에는 14.3% 그리고 2026년에는 20.8%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어 '초고령사회'로 접어들고 있다. 고령 인구의 비중이 큰 국가에서는 관절염 환자의 비중이 더욱 커질 것이며,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환으로 인식되어 보건의료정책에 큰 관심 대상 질환이다. 그리고 관절염을 앓고 있는 고령 환자들에게는 체력과 경제적 부담이 적은 최소 침습법(수술을 최소화하는 방법)에 의한 시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종래의 손상된 연골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골의 손상상태에 따라 연골변연절제술(Debridement), 골수유도재생술(Bone marrow stimulating technique), 자가연골이식술(Osteochondral autograft) 그리고 자가연골세포이식술 등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연골 손상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에서 주로 침습법에 의한 수술이 요구된다. 현재 연골 손상 초기에 적용 가능한 치료법으로는 관절강 내에 히알루론산 제품을 주입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히알루론산 제품들은 활액 성분과 유사한 성분을 관절 내에 주입하여 치료제(의약품)로써 활액 성분만 대체하여 윤활작용을 통한 단순통증을 완화하는 역할만을 한다. 반면 관절의 유연한 운동을 위한 이상적인 점도를 갖는 정제된 콜라겐을 주입한다면, 활액 성분을 대체하여 윤활작용을 통해 통증을 완화할 뿐만 아니라 주변 조직과 유연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손상된 생체 조직(연골)의 상처를 도포할 수 있다. 또한 세포 침투와 혈관생성을 촉진함으로써 휘판(Laminar splendens)과 조직막 등의 재생을 돕고 관절 내 조직을 강화시킬 수 있다.
콜라겐은 인체 조직 및 장기인 연골, 인대, 건 그리고 뼈 등을 이루는 주요 단백질이며 인체를 구성하는 단백질 중 25 ~ 30%를 차지하는 구조 단백질(Structural protein)이다. 조직 재생을 위한 콜라겐의 역할은 조직구성의 기본물질이고, 세포의 증식 공간을 제공하여 세포 성장과 분화를 활성화시킬 뿐만 아니라, 혈액 내 혈소판을 자극하여 성장인자를 분비하게 한다. 따라서 콜라겐은 세포 및 혈액 성분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조직을 재생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생체 내 필수 단백질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279812호(2013. 6. 28) 등록특허공보 제10-1114773호(2012. 3. 5) 등록특허공보 제10-0684932호(2007. 2. 20) 공개특허공보 제2004-0008125호(2004. 1. 28)
종래의 손상된 연골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연골의 손상상태에 따라 연골변연절제술(Debridement), 골수유도재생술(Bone marrow stimulating technique), 자가연골이식술(Osteochondral autograft) 그리고 자가연골세포이식술 등이 있다. 이러한 치료법들은 수술을 위한 절제, 골막의 채취, 사용의 복잡성, 고가의 치료비용, 골수를 자극하는 과정에서 유도된 성체줄기세포의 누수 그리고 지혈 문제에 의한 비정상적인 섬유화연골 생성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 침습법에 의한 수술이 아닌 최소 침습에 의한 수술 또는 시술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본 발명은 콜라겐을 주입하여 관절연골을 보호하고 보강하는 기술을 통해 관절연골 조직을 덮고 있는 막에 콜라겐을 도포(coating)하여 줌으로써 조직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여 골관절염을 치료하거나 연골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사용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Figure 112017057466965-pat00001
<콜라겐과 히알루론산의 주입 치료개념 비교>
본 발명은 돼지피부조직을 절편화하여 세척 후 효소를 처리하여 콜라겐을 분리한 다음, 염 처리와 제균 여과 공정, 농축공정 그리고 충전공정을 통하여 무균적으로 주사용기에 충전된 고농도 콜라겐을 수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부 조직으로부터 콜라겐을 분리 및 주사용기에 충전하는 과정은, 돼지로부터 분리된 피부조직을 에탄올(70% 이상, 20 - 24 hr), 수산화나트륨(pH11 이상, 1 - 2 hr)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절편화하는 단계; 상기 절편화된 조직을 효소가 포함된 산 용액(pH 3이하)과 혼합한 후 30℃이하의 조건에서 3~5일간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조직으로 부터 분리된 콜라겐을 수득하기 위하여 NaCl을 최종 농도가 0.7 ~ 0.9 M이 되도록 첨가하는 단계; 콜라겐 분자량(300 kDa) 이하의 물질들(비 콜라겐 단백질, 염, 펩신 등)을 분리하기 위해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시키고 무균 상태의 콜라겐을 수득하기 위해 0.22 um의 공극을 갖는 필터를 통과시키는 단계; pH와 온도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응집시킨 후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농축시키는 단계; 상기 농축된 콜라겐을 멸균이 완료된 충전 기구들을 이용하여 주사용기에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져 연결조직 수복용 콜라겐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물 또는 생리학적 인산염 완충용액을 제외한 희석된 농도가 5 ~ 60 mg / mL 인 콜라겐을 무균적으로 주사기에 충전한 연골조직수복용조성물이 구비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 히알루론산 성분의 관절주사제의 약점(단순 윤활 작용)을 보완하기 위하여 생체 적합물질인 콜라겐을 이용하여 손상된 연골을 보충하는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콜라겐을 연골 결손부위에 이식하면 콜라겐 섬유가 주변 조직과 유연한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손상된 생체조직의 상처를 도포해 세포 침투와 혈관생성을 촉진함으로써 자연 치유과정을 보조하게 된다. 또한 관절 내 조직막을 강화함으로써 관절조직을 보호하고 관절조직의 탄력성을 증가시키며 관절조직의 윤활작용을 보조하여 관절조직의 기능을 강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무균조작법을 이용하여 주사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제조하여 시술자가 비침습법으로 시술 가능하여,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손상된 연골 조직부위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아울러 연골 결손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키고, 관절의 기능회복과 일상생활 만족도르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무균적으로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 용액의 제조공정도
도 2는 무균적으로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 용액
도 3은 연골부입주입후 효과확인을 위해 콜라겐 용액을 청색으로 염색한 사진
도 4는 주입용 콜라겐의 효과확인을 위한 돼지 무릎 연골 결손 유발사진
도 5는 콜라겐 주입후 효과를 확인한 결과. 결손부위가 콜라겐으로 채워진 사진
(실시예 1)
무균적으로 면역부위가 제거된 고농축 콜라겐을 제조 후 주사용기에 충전하는 방법
돼지 피부 조직을 세척한 후 절편화하여 효소를 처리하여 콜라겐을 분리한 다음, 염 처리와 제균 여과 공정, 농축 공정 그리고 충전 공정을 통하여 무균적으로 주사용기에 충전된 고농도 콜라겐을 수득할 수 있다.
1. 입고된 돼지 피부 조직은 에탄올(70% 이상, 24 hr), 수산화나트륨(pH11 이상, 2 hr)을 이용하여 세척한 후 절편화 한다.
2. 절편화된 조직을 효소가 포함된 산 용액(pH3 이하)과 혼합한 후 30℃ 이하의 조건에서 3 ~ 5일간 교반하여 반응 시킨다.
3.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콜라겐을 수득하기 위하여 NaCl을 농도가 0.7 ~ 0.9 M이 되도록 첨가한다.
4. 콜라겐 분자량(300 kDa) 이하의 물질들(비 콜라겐 단백질, 염, 펩신 등)을 분리하기 위해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시킨다.
5. 무균 상태의 콜라겐을 수득하기 위해 0.22 ㎛의 공극을 갖는 필터를 통과시킨다.
6. pH와 온도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응집시킨 후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농축시킨다.
7. 멸균이 완료된 충전 기구들을 이용하여 농축된 콜라겐 용액을 주사용기에 충전한다.
(실시예 2)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을 이용하여 동물의 연골 결손 부위에 적용하는 방법
목적: 돼지 무릎 연골 결손 부위에 주입방식의 콜라겐 적용 가능성 확인
< 방법 및 효과 확인 >
1. 무균적으로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농도 5 ~ 60 mg/mL) 용액을 준비한다(콜라겐 농도: 본 제품의 용도인 연골 수복을 위하여 결손 부위에 채워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콜라겐 농도는 5 mg/mL 이상이 요구되며, 의료용 목적(주입형)의 제품제조 공정 특성(무균제조)상 60 mg/mL 이상의 초 고점도로 제조 및 실사용 및 적용이 어렵다. 상기의 이유로 콜라겐 농도는 5 mg/mL 이상 그리고 60 mg/mL 이하로 범위를 설정한다.
2. 동물(돼지) 무릎 연골 조직 내 주입 후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겐 용액을 소량의 청색 염색약(Trypan blue, 단백질에 결합)으로 염색 한다.
3. 돼지 다리를 거치대에 고정하여 외과적 수술 장비로 무릎 관절 연골을 노출시킨 후, 드릴을 사용하여 지름이 약 4 cm, 약 2 cm인 결손 부위를 유발한다.
4. 콜라겐이 충전된 주사용기에 주사침을 연결한다. 이때 주사침 길이는 38 mm 이상인 것을 사용한다.
5. 봉합사를 이용하여 절단부위를 봉합하고 주사용기에 담긴 염색된 콜라겐을 돼지 무릎의 관절강(활액으로 채워진 공간)에 직접 주입한다.
6. 무릎관절운동(CPM: Continuous Passive Motion)을 진행하여 결손부위에 자연적으로 채워져 주입된 콜라겐이 작용하도록 돕는다. 그리고 봉합된 부분을 다시 절단하여 제품을 주입한 연골 부분을 노출시켜 관찰한다.
< 결과 >
연골 결손 부위에 주입한 콜라겐이 결손 유발부위에 스스로 채워져 시술자가 선호할 정도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을 이용하여 동물의 연골 치유에 적용하는 방법
목적: 관절연골 결손을 유발한 토끼를 이용하여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의 연골 치유 효능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시험
< 방법 및 효과 확인 >
1. 관절연골 치유 효능효과 확인을 위해 토끼(New Zealand White Rabbit)를 이용하여 전임상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골 결손 모델 제작 및 콜라겐 주입을 위한 시술 1일전에 실험용 토끼를 절식시켰다.
2. 시술 당일 마취제를 주사하여 토끼를 마취하였고, 시술부위의 털은 제모기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3. 제모가 완료된 시술부위를 70% 에탄올로 깨끗이 닦아준 후, 포비딘으로 소독하였다.
4. 외과적 수술 장비를 이용하여 토끼의 무릎관절 피부를 절개한 후 피하조직을 열어서 관절연골의 슬개골 고랑 부위를 노출하였다.
5. 외과적 수술 장비를 이용하여 지름 2 mm, 깊이 2 mm 크기의 연골 결손을 유발하였다.
6. 절개된 피하조직과 피부를 봉합사로 봉합한 후 포비딘으로 소독하였다.
7. 주사용기에 주사침을 장착한 후 연골 결손 부위에 콜라겐을 주입하였다.
8. 대조군 실험용 토끼의 다리도 같은 방법으로 연골 결손을 유발한 후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였다.
9. 실험용 토끼에게 항생제와 진통제를 주사하였고 사육장에 넣은 후 마취에서 깨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7057466965-pat00002
<연골 결손 모델 제작 및 콜라겐 주입 시술 사진>
A: 연골 결손 유발, B: 연골 결손 크기(Ø 2 mm), C: 콜라겐 주입
10. 시술 완료 후 3, 6, 9, 12주에 실험용 토끼를 희생하여 무릎관절 조직을 채취하고 변화 양상(연골 결손 부위의 변화, 표면 상태 그리고 결손 주변 조직과 신생 조직 경계 부위의 연속성)을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11. 시술 완료 후 3, 12주에 채취한 조직을 10%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파라핀 포매하여 5 ㎛의 조직 표본을 제작한 후 Hematoxylin-Eosin, Safranin O, Toluidine blue, 1형 콜라겐 그리고 2형 콜라겐 염색법을 시행하여 세포와 기질의 재생 양상 등을 관찰하였다.
< 결과 >
토끼의 연골 결손 부위에 콜라겐과 생리식염수를 각각 주입하고 3, 6, 9, 12 주에 육안 관찰한 결과, 콜라겐을 주입한 실험군은 3주부터 결손부위가 수복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대조군은 3주 후에도 결손된 부위가 제대로 수복되지 않음을 관찰하였다. 이후로도 콜라겐을 주입한 실험군은 결손된 부위가 수복되어 연골표면이 매끄러운 반면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대조군은 결손된 부위의 연골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7057466965-pat00003
<결손된 토끼 연골의 수복상태 확인을 위한 육안관찰>
실험군: A, B, C, D, 대조군: E, F, G, H, 관찰시점: 3주(A, E), 6주(B, F),
9주(C, G), 12주(D, H)
실험군인 콜라겐과 대조군인 생리식염수를 주입 한 토끼의 연골을 조직염색으로 분석한 결과, 콜라겐을 주입한 조직은 3주 후에 연골이 결손된 공간을 채우고 12주 후에는 연골조직이 재생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생리식염수를 주입한 조직은 3주 후에 연골이 결손된 공간을 제대로 채우지 못하였고 12주 후에도 연골조직의 재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아 연골표면이 매끄럽지 않게 유지 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Figure 112017057466965-pat00004
<토끼 연골 조직의 조직병리학적 분석>
(A) 실험군 6주차 검체(a-1: H&E 염색법, a-2: 1형 콜라겐 염색법)
(B) 실험군, 대조군 3, 12주차 검체(b: H&E 염색법, c: Safranin-O 염색법,
d: Toluidin Blue 염색법, e: 1형 콜라겐 염색법, f: 2형 콜라겐 염색법,
1: 실험군 3주차, 2: 실험군 12주차, 3: 대조군 3주차, 4: 대조군 12주차)
(실시예 4)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을 이용하여 무릎 관절 환자 치유에 적용하는 방법
목적: 연골연화증 또는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의 무릎에 주사용기에 충전된 콜라겐을 주입 후 통증 완화 또는 삶의 질 개선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
< 방법 및 효과 확인 >
1. 무릎에 연골연화증 또는 퇴행성 관절염을 앓고 있는 환자 200명을 모집하였다.
2. 모집된 환자들을 임의로 실험군(무릎 관절 내에 콜라겐을 주입하는 군, BioCollagen group)과 대조군(무릎 관절 내에 식염수를 주입하는 군, placebo group)으로 분류하여 시술을 진행하였다.
3. 환자들은 시술 완료 4, 12 그리고 24주 후에 통증 완화(VAS*), 관절 운동 기능 개선(WOMAC**) 그리고 일상생활 만족도(SF-36***) 여부를 평가하였다.
* VAS (Visual Analogue Scale): 환자의 통증 정도를 수치화하는 방법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통증이 적은 것을 나타낸다.
** WOMAC (Western Ontario and McMaster Universities Arthritis Index): 무릎 관절 통증과 관련하여 환자의 일상생활을 통하여 관절 운동의 기능적인 부분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평가하는 항목은 통증(pain), 경직도(stiffness) 그리고 삶의 질(life)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수치가 낮을수록 관절의 기능이 양호한 것이다.
*** SF-36 (36-Item Short-form Health Survey): 환자의 일상생활 만족도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수치가 높을수록 환자 만족도가 높은 것이다.
< 결과 >
VAS법을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한 결과, 실험군(콜라겐 주입 군)은 치료 전에는 60.51 ± 13.82 mm를 나타냈으나 6개월 후에는 28.88 ± 24.77 mm로 통증이 완화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 또한 실험군 환자들 가운데 VAS 결과가 20% 향상된 인원은 65명(73.86%)이었고, 40% 향상된 인원은 59명(67.05%)이었다. 반면 대조군 환자들 가운데 VAS 결과가 20% 향상된 인원은 46명(54.12%)이었고, 40% 향상된 인원은 38명(44.71%) 뿐이었다(B).
Figure 112017057466965-pat00005
<VAS법을 이용한 실험군과 대조군의 치료효과 분석 결과>
(A) 100 mm VAS 분석 결과, (B) 환자의 통증 개선 비율
VAS법을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한 결과, 실험군(콜라겐 주입 군)은 치료전과 비교해볼 때, 4주 후에는 16.17 ± 18.18, 12주 후에는 23.50 ± 24.88 그리고 24주 후에는 28.40 ± 27.38이 감소하여 통증이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A). WOMAC법을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한 결과, 실험군(콜라겐 주입 군)은 치료전과 비교해볼 때, 4주 후에는 9.90 ± 13.62, 12주 후에는 13.20 ± 15.96 그리고 24주 후에는 13.46 ± 17.45이 감소하여 통증, 경직도 그리고 삶의 질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B). 그리고 SF-36법을 이용하여 측정 및 분석한 결과, 실험군(콜라겐 주입 군)은 치료전과 비교해볼 때, 4주 후에는 9.50 ± 12.97, 12주 후에는 10.20 ± 16.62 그리고 24주 후에는 11.79 ± 17.57이 증가하여 일상생활 만족도가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C).
Figure 112017057466965-pat00006
<VAS, WOMAC 그리고 SF-36법을 이용한 실험군의 치료효과 분석 결과>
(A) 100 mm VAS 분석 결과, (B) WOMAC 분석 결과, (C) SF-36 분석 결과,
(D) WOMAC 통증 분석 결과, (E) WOMAC 경직도 분석 결과, (F) WOMAC 삶의 질
본 발명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방법 및 이의 사용방법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원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Claims (8)

  1. 돼지 피부 조직을 세척한 후 절편화하여 효소를 처리하여 콜라겐을 분리한 다음, 염 처리와 제균 여과 공정, 농축 공정 그리고 충전 공정을 통하여 무균적으로 주사용기에 충전된 고농도 콜라겐을 수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돼지 피부 조직으로부터 콜라겐을 분리 및 주사용기에 충전하는 과정은,
    돼지로부터 분리된 피부 조직을 에탄올은 70% 이상 20시간 내지 24시간이내로 세척하고, 다시 수산화나트륨은 pH 11 이상, 1시간 내지 2시간 이내로 세척한 후 절편화하는 단계;
    상기 절편화된 조직을 효소가 포함된 pH 3 이하의 산 용액과 혼합한 후 30℃ 이하의 조건에서 3-5일간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단계;
    상기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콜라겐을 수득하기 위하여 NaCl을 첨가하는 단계;
    콜라겐 분자량을 분리하기 위해 멤브레인 필터를 통과시키고. 무균 상태의 콜라겐을 수득하기 위해 필터를 통과시키는 단계;
    pH와 온도를 이용하여 콜라겐을 응집시킨 후 원심분리를 실시하여 농축시키는 단계;
    상기 농축된 콜라겐을 멸균이 완료된 충전 기구들을 이용하여 주사용기에 충전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 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공극을 갖는 필터는 0.2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 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으로부터 분리된 콜라겐을 수득하기 위한 NaCl의 농도는 0.7-0.9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골 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70076098A 2017-06-15 2017-06-15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Active KR1018635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98A KR101863532B1 (ko) 2017-06-15 2017-06-15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CA3067790A CA3067790C (en) 2017-06-15 2017-07-06 Method of manufacturing collagen for use in restoring cartilage tissue
EP17913329.3A EP3643332A4 (en) 2017-06-15 2017-07-06 PROCES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OF COLLAGEN FOR THE RECOVERY OF CARTILAGINOUS TISSUE
CN201780092049.6A CN110769865A (zh) 2017-06-15 2017-07-06 软骨组织修复用胶原蛋白的制造及使用方法
MX2019015087A MX2019015087A (es) 2017-06-15 2017-07-06 Metodo de preparacion y metodo de uso para el colageno de recuperacion de tejidos de cartilago.
PCT/KR2017/007220 WO2018230765A1 (ko) 2017-06-15 2017-07-06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JP2019568059A JP6899455B2 (ja) 2017-06-15 2017-07-06 軟骨組織修復用コラーゲンの製造および使用方法
AU2017418178A AU2017418178A1 (en) 2017-06-15 2017-07-06 Preparation method and usage method for cartilage tissue recovery collagen
BR112019026753-0A BR112019026753B1 (pt) 2017-06-15 2017-07-06 Solução de colágeno estéril aglomerado, método para fabricar a mesma, recipiente de injeção estéril e uso de colágeno para recuperação de tecido de cartilagem
US16/622,397 US20200197568A1 (en) 2017-06-15 2017-07-06 Preparation method and usage method for cartilage tissue recovery collagen
AU2021286330A AU2021286330A1 (en) 2017-06-15 2021-12-15 Preparation method and usage method for cartilage tissue recovery collagen
US18/174,319 US20230310703A1 (en) 2017-06-15 2023-02-24 Preparation Method And Usage Method For Cartilage Tissue Recovery Collag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098A KR101863532B1 (ko) 2017-06-15 2017-06-15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532B1 true KR101863532B1 (ko) 2018-06-01

Family

ID=6263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098A Active KR101863532B1 (ko) 2017-06-15 2017-06-15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20200197568A1 (ko)
EP (1) EP3643332A4 (ko)
JP (1) JP6899455B2 (ko)
KR (1) KR101863532B1 (ko)
CN (1) CN110769865A (ko)
AU (2) AU2017418178A1 (ko)
BR (1) BR112019026753B1 (ko)
CA (1) CA3067790C (ko)
MX (1) MX2019015087A (ko)
WO (1) WO20182307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27164A (ko) 2023-02-15 2024-08-22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조직재생을 위한 콜라겐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395796A4 (en) 2021-09-01 2024-12-25 Shanghai Qisheng Biological Preparation Co., Ltd. Cartilage regeneration using injectable, in situ polymerizable collagen compositions containing chondrocytes or stem cells
EP4403568A1 (en) * 2021-09-17 2024-07-24 Acro Biomedical Company. Ltd. Use of collagen particles to promote hair follicle formation or angiogenesis
EP4457266A1 (en) 2021-12-28 2024-11-06 Shanghai Qisheng Biological Preparation Co., Ltd. Hyaluronic acid-collagen copolymer compositions and medical applications thereof
KR102645522B1 (ko) * 2023-10-18 2024-03-07 윤미경 돈피 콜라겐을 함유하는 반려동물 간식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려동물 간식
CN118304470A (zh) * 2024-04-10 2024-07-09 北京晶颜生物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压电材料用于制备促进生物组织再生的填充物的用途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125A (ko) 2001-01-30 2004-01-28 오르쏘젠 인크. 활액 유도된 조직 또는 세포를 사용하여 관절 연골 내의결함 또는 병변을 치료 및 수복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0676285B1 (ko) * 2005-03-11 2007-01-30 세원셀론텍(주) 동물의 다양한 조직으로부터의 콜라겐 분리방법 및 콜라겐 용액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매트릭스
KR100684932B1 (ko) 2005-04-13 2007-02-20 (주)필미아젠 중간엽 줄기세포와 초음파 자극을 이용하여 연골조직을재생하는 방법
KR100977744B1 (ko) * 2002-05-21 2010-08-24 콜테크 오스트레일리아 리미티드 콜라겐과 그 생산방법
KR101114773B1 (ko) 2009-10-23 2012-03-05 세원셀론텍(주) 연골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79812B1 (ko) 2012-05-16 2013-06-28 세원셀론텍(주) 연골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102865A (ko) * 2014-02-28 2015-09-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 콜라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6521592A (ja) * 2013-05-28 2016-07-25 北京博▲輝▼瑞▲進▼生物科技有限公司Beijing Biosis Healing Biological Technology Co., Ltd. 動物由来の植込み型医療用生体材料の調製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6165A (en) * 1997-01-15 1999-02-02 Orquest, Inc. Collagen-polysaccharide matrix for bone and cartilage repair
JP4351461B2 (ja) * 2003-03-31 2009-10-28 新田ゼラチン株式会社 コラーゲンタンパク質からのエンドトキシン除去方法
JP2008543783A (ja) * 2005-06-10 2008-12-04 セルジーン・コーポレーション ヒト胎盤のコラーゲン組成物、これらの調製方法、これらの使用方法及び組成物を含むキット。
US20120122791A1 (en) * 2009-05-01 2012-05-17 Jnc Corporation Substrate for cartilage cultivation using artificial collagen, and method for cartilage regeneration treatment using the substrate
CN101934092A (zh) * 2010-08-27 2011-01-05 中国人民解放军第三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用于软骨再生修复的注射型软骨仿生基质材料及使用方法
CN102488925A (zh) * 2011-12-29 2012-06-13 成都普川生物医用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可注射的关节软骨组织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
CN103539955B (zh) * 2013-08-23 2017-07-28 浙江优必优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人体注射用长效、脱敏、内融型胶原蛋白细胞支架及其制作方法
KR101531479B1 (ko) * 2014-11-21 2015-06-26 세원셀론텍(주) 의료용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고농도 콜라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8125A (ko) 2001-01-30 2004-01-28 오르쏘젠 인크. 활액 유도된 조직 또는 세포를 사용하여 관절 연골 내의결함 또는 병변을 치료 및 수복하기 위한 조성물 및 방법
KR100977744B1 (ko) * 2002-05-21 2010-08-24 콜테크 오스트레일리아 리미티드 콜라겐과 그 생산방법
KR100676285B1 (ko) * 2005-03-11 2007-01-30 세원셀론텍(주) 동물의 다양한 조직으로부터의 콜라겐 분리방법 및 콜라겐 용액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생산한 매트릭스
KR100684932B1 (ko) 2005-04-13 2007-02-20 (주)필미아젠 중간엽 줄기세포와 초음파 자극을 이용하여 연골조직을재생하는 방법
KR101114773B1 (ko) 2009-10-23 2012-03-05 세원셀론텍(주) 연골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79812B1 (ko) 2012-05-16 2013-06-28 세원셀론텍(주) 연골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JP2016521592A (ja) * 2013-05-28 2016-07-25 北京博▲輝▼瑞▲進▼生物科技有限公司Beijing Biosis Healing Biological Technology Co., Ltd. 動物由来の植込み型医療用生体材料の調製方法
KR20150102865A (ko) * 2014-02-28 2015-09-08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생체적합성 콜라겐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27164A (ko) 2023-02-15 2024-08-22 주식회사 티앤알바이오팹 조직재생을 위한 콜라겐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26753B1 (pt) 2023-01-24
AU2021286330A1 (en) 2022-01-20
WO2018230765A1 (ko) 2018-12-20
US20200197568A1 (en) 2020-06-25
AU2017418178A1 (en) 2020-01-16
CA3067790C (en) 2024-05-28
JP6899455B2 (ja) 2021-07-14
EP3643332A4 (en) 2021-03-03
MX2019015087A (es) 2020-10-05
JP2020522361A (ja) 2020-07-30
BR112019026753A2 (pt) 2020-06-30
EP3643332A1 (en) 2020-04-29
CN110769865A (zh) 2020-02-07
CA3067790A1 (en)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3532B1 (ko) 연골조직 수복용 콜라겐의 제조 및 사용방법
KR101279812B1 (ko) 연골조직 수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US9925308B2 (en) Injectable composition for in-situ repair and regeneration of an injured ligament or tendon and methods of use
DK2491960T3 (en) COMPOSITION FOR NON-LIFESTYLE REPAIR AND A PROCEDURE FOR PREPARING THEREOF
CN104055795B (zh) 一种可注射植入剂及其制备方法
EP2787923B1 (en) Decellularized composite tissue bioscaffolds for musculoskeletal tissue interface reconstruction and methods of production
US20210393396A1 (en) Dermal layer for grafting having improved graft survival r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22027930A (ja) 幹細胞濾液製剤及びその調製方法
CN104203257A (zh) 含有脂肪细胞的细胞制剂
KR101536134B1 (ko) 연부조직 수복용 매트릭스의 제조방법
US20230310703A1 (en) Preparation Method And Usage Method For Cartilage Tissue Recovery Collagen
KR102048914B1 (ko) 콘드로이틴설페이트가 함유된 젤란검 하이드로겔 조성물
CN110433335A (zh) 梯度密度型软骨修复用水凝胶及其制备方法
CN114569787B (zh) 骨修复材料及其制备方法、应用
CN115025121B (zh) 一种复合细胞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Prest Development of a peripheral nerve specific extracellular matrix-based hydrogel and its use in augmenting peripheral nerve injury and repair
KR20090102552A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연골 손상 질환 치료용도의미세천공 부위 도포용 조성물
Arbati et al. Pathological healing assessment of using fetal sheep amnion in experimentally induced bone defect rats.
CN117414349A (zh) 可持续供给外泌体的细胞多孔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CN117752858A (zh) 一种引导骨生长蚕丝蛋白骨修复材料的制备方法
HK1150984A (en) Particles for soft tissue augm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