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0263B1 - 전원 자동전환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자동전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0263B1 KR101860263B1 KR1020170069704A KR20170069704A KR101860263B1 KR 101860263 B1 KR101860263 B1 KR 101860263B1 KR 1020170069704 A KR1020170069704 A KR 1020170069704A KR 20170069704 A KR20170069704 A KR 20170069704A KR 101860263 B1 KR101860263 B1 KR 1018602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d
- commercial power
- power
- emergency
- power sour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12—Contact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in which co-operating contacts engag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1/00—Air-break switches for high tension without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1/02—Details
- H01H31/04—Interlocking mechanisms
- H01H31/08—Interlock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parts of the mechanism for operating contac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5/06—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 H01H5/08—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s one end of spring transmitting movement to the contact member when the other end is moved by the operating pa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2—Bases, casing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6—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interlocking two or more switch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 H02J2009/068—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자동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건물의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하여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전원전환이 가능하게 된 장치로서, 비상전원분전함 안에 상용전원을 끌어들여 평소에는 상용전원을 비상전원 배선라인에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상용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비상전원의 전력이 공급되면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한 본 발명인 전원 자동전환장치 내부에 설계된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자석의 끌어당기는 원리에 의해 상용전원의 연결상태를 완전차단하고, 상용전원차단과 동시에 비상전원이 비상전원 배선라인으로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지다가, 상용전원이 재공급되고 비상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석 또한 힘이 소멸되어 전자석과 연결설계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의 미는 힘의 작용으로 상용전원 연결상태로 원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건물의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하여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전원전환이 가능하게 된 장치로서, 비상전원분전함 안에 상용전원을 끌어들여 평소에는 상용전원을 비상전원 배선라인에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상용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비상전원의 전력이 공급되면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한 본 발명인 전원 자동전환장치 내부에 설계된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자석의 끌어당기는 원리에 의해 상용전원의 연결상태를 완전차단하고, 상용전원차단과 동시에 비상전원이 비상전원 배선라인으로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지다가, 상용전원이 재공급되고 비상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석 또한 힘이 소멸되어 전자석과 연결설계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의 미는 힘의 작용으로 상용전원 연결상태로 원위치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전원 자동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건물의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하여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전원전환이 가능하게 된 장치로서, 비상전원분전함 안에 상용전원을 끌어들여 평소에는 상용전원을 비상전원 배선라인에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상용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비상전원의 전력이 공급되면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한 본 발명인 전원 자동전환장치 내부에 설계된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자석의 끌어당기는 원리에 의해 상용전원의 연결상태를 완전차단하고, 상용전원차단과 동시에 비상전원이 비상전원 배선라인으로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지다가, 상용전원이 재공급되고 비상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석 또한 힘이 소멸되어 전자석과 연결설계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의 미는 힘의 작용으로 상용전원 연결상태로 원위치되는 방식의 전원 자동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용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되었을 때 대형 건물들은 비상발전기로 비상전원을 비상전원전용 배선을 통하여 각층에 위치한 비상전원 분전함으로 공급하게 되고, 비상전원분전함에서는 각층에 비상전등이나 비상유도등 또는 비상콘센트등으로 분리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하게 되는데, 기존의 배선방식은 이 모든 비상전원 전용 배선라인을 상용전원배선라인과 중복으로 배선함으로서, 다량의 전선낭비가 발생하였으며, 복도 상용전등과 복도 비상전등 또는 각 사무실의 상용조명등과 비상조명등 등을 중복배치함으로서 불필요한 전선, 전등의 낭비가 발생하였다.
또한, 대형건물안에서 빈 사무실이나 일찍 소등을 하고 퇴근한 사무실 또한 상용전원공급이 중단되고 비상전원이 공급되었을 때 이미 소등 상태를 유지하고 있던 텅빈 사무실에도 무의미하게 비상전등이 켜짐으로, 필요한 곳에 필요한 전력이 공급되는 것이 아닌 단순 정전 사태에도 본 건물 전체 또는 모든 사무실에도 비상전등이 켜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대체 전원 전환 장치 등은 역류방지회로를 포함한 복잡한 구조들로 이루어져 본 건물에 평생 한번 발생할 지 모를 상용전원 전력공급중단사태의 특성상 본 건물의 수명이 다할때까지 고장이 없고 단순해야 하는 구조상의 효율성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기존 방식의 전자석을 이용한 대체전원전환장치는 전자석이 상용전원으로 작동하는 방식으로 설계되어 있어서 본 건물에 수명이 다할때까지 상용전원의 전력이 끊임없이 전자석으로 유입되어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되는 단점과, 단순히 대체 전원만을 차단 또는 연결하는 방식으로만 설계되어 다른 전원으로 전환하는 방식으로 실용화 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 방식 중에 상용전원 전등 내부에 충전기를 설치하여 정전시에 충전기의 내부에 충전된 비상전력이 공급되는 방식으로 작동함으로서, 상용전원 배선라인과 비상전원 배선라인의 중복을 없애고, 전등 또한 겸용으로 사용함으로서, 전선과 전등의 낭비는 줄일 수 있었으나, 본 건물에 평생 한번 발생할 지 모를 상용전원 전력공급중단사태의 대비에 비례하여 끊임없이 전류를 충전기 내부로 유입시켜 주어야만 하는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가 발생되는 단점과, 충전기의 수명이 오래가지 못하여 본 건물에 수명이 다할때까지 수차례 수많은 충전기를 교체해야하는 단점과 그로 인한 각 충전기가 설치된 전등 내부에 충전기를 수시로 점검해야 하는 불편한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자동 전환스위치가 제시되었으며, 그 중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전력변환시 발생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 전환스위치의 전환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33048호로 제안된 바 있으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933048호는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단가가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전원 자동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대형건물의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하여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전원전환이 가능하게 된 장치로서, 비상전원분전함 안에 상용전원을 끌어들여 평소에는 상용전원을 비상전원 배선라인에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상용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비상전원의 전력이 공급되면 비상전원 분전함 안에 부착한 본 발명인 전원 자동전환장치 내부에 설계된 전자석에 전원이 공급되고, 전자석의 끌어당기는 원리에 의해 상용전원의 연결상태를 완전차단하고, 상용전원차단과 동시에 비상전원이 비상전원 배선라인으로 연결되어 정상적으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지다가, 상용전원이 재공급되고 비상전원이 차단되면 전자석 또한 힘이 소멸되어 전자석과 연결설계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의 미는 힘의 작용으로 상용전원 연결상태로 원위치되는 방식의 전원 자동전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키는 전원 자동전환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과 연결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상용전원측 단자부와; 비상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의 복수의 단자에 일정한 간격으로 교호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비상전원측 단자부와; 부하와 연결되고,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부하측 단자부와;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하부가 상기 부하측 단자부에 축결합되는 회동 연결부와; 상기 회동 연결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로드를 좌우이동시켜 상기 회동 연결부의 상부를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 또는 비상전원측 단자부에 연결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전환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루는 전자석의 로드의 타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전자석의 보빈의 일측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드를 상기 로드의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루는 전자석의 로드는 절연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구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일측로드와; 상기 일측로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 상기 걸림턱이 형성되는 타측로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일측로드의 타측에 상기 타측로드의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타측로드에 구비되는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로드의 관통구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 상기 부하측 단자부, 상기 회동연결부 및 상기 좌우이동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측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는 고정슬릿이 상하연장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슬릿에 수용되고,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루는 전자석의 로드에 전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로드를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상기 고정슬릿에 걸림고정되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고정슬릿은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인 전원 자동전환장치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전원 자동전환장치는 상용조명등과 비상조명등의 중복설치 그리고, 상용전원전기 배선과 비상전원 전기배선의 중복배선을 하지 않으면서도 소방법에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인 전원 자동전환장치는 비상전원분전함 안에 상용전원을 끌어들여 평소에는 상용전원으로 비상전등, 비상유도등, 비상콘센트 등을 사용하고 있다가 상용전원의 전력공급이 중단되고, 비상전원의 전력이 본 건물의 각 층에 위치한 비상전원분전함 안으로 공급되면, 상용전원연결상태에서 차단으로 상용전원차단과 동시에 비상전원공급라인으로 연결됨으로서, 상용전원으로 사용중이던 상용전원겸용 비상전원의 배선라인의 모든 기능들이 비상전원으로 대체됨으로서, 배선의 중복현상을 해결하였고, 전등 또한 그 전등 그대로 사용함으로서, 전등의 중복배치현상도 해결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배선라인 그대로 사용하였음으로, 비상 전등이 불필요한 텅빈 사무실의 스위치는 상용전원상태에서 소등되어 있었음으로, 필요한 곳에 필요한 만큼의 전력이 공급되는 문제 또한 해결한 효과가 있다.
또한, 비상전원배선라인을 상용전원으로 연결하여 수시로 사용함으로서, 비상전원을 정기적으로 따로 점검할 필요가 없어진 효과가 있다.
또한, 전자석이 비상전원쪽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용전원공급이 중단되는 사태가 발생하여 비상전력이 공급되어야만 전자석이 작동함으로, 불필요한 에너지 낭비를 최소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별도의 조작없이 비상전원만 공급되면 전자석이 자동으로 작동되는 단순한 구조로 되어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과 역전류현상의 우려가 전혀 없고, 나아가, 가격대비면에서 기존 방식과의 현저한 차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예산낭비를 줄일수 있고, 고장율이 거의 없는 단순한 구조임으로, 본 건물의 수명이 다할 때까지 고장율이 없도록 효율화시킨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원 자동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로드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좌우이동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로드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로드에 구비되어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레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도 2는 로드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좌우이동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로드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은 로드에 구비되어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레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원 자동전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전원 자동전환장치는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용전원측 단자부(20), 비상전원측 단자부(30), 부하측 단자부(40), 회동 연결부(50) 및 좌우이동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 상기 부하측 단자부(40), 회동 연결부(50) 및 좌우이동부(6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어 상용전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는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의 복수의 단자에 일정한 간격으로 교호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상측에 구비되어 비상전원과 연결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부하측 단자부(40)는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의 대향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하측에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구비되어 부하와 연결된다.
다음으로, 상기 회동 연결부(50)가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 사이마다 수직으로 위치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상기 회동 연결부(50)의 하부는 상기 부하측 단자부(40)에 축결합된다.
상기 회동 연결부(5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60)는 상기 하우징(10)의 내부 중간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좌우이동부(60)는 로드(610)가 구비된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루는 전자석의 로드(610)의 단면형상은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드(610)의 일측에는 상기 회동 연결부(50)가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구(611)가 상기 로드(6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루는 전자석은 비상용 발전기 등으로부터 비상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로드(610)를 상기 로드(6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이동시켜 상기 회동 연결부(50)의 상부를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 또는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에 연결시키게 된다.
도 2는 로드의 좌우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좌우이동부(60)의 로드(610)가 상기 로드(610)의 하부방향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로드(610)의 좌우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로드(610)의 상하방향에 각각 위치하도록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내면과 후측 내면에서 상기 로드(610)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드(610)는 상기 가이드부(130) 사이에 수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좌우이동부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루는 전자석의 로드(610)의 타측에는 환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걸림턱(612)이 수직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턱(612)과 상기 전자석의 보빈(620)의 일측 사이에는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탄성부재(630)가 구비될 수 있다.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탄성부재(630)의 내측에 상기 로드(610)가 수용될 수 있다.
자연재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상용전원이 일시적으로 정전되었을 경우,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상전원이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룰 수 있는 전자석으로 공급되어 상기 전자석의 로드(610)가 상기 로드(610)의 타측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630)가 수축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회동 연결부(50)의 상부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와 접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상용전원이 복귀되어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룰 수 있는 전자석으로의 비상전원공급이 차단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630)의 탄성력 즉, 팽창력에 의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610)가 상기 로드(610)의 일측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됨과 더불어 상기 회동 연결부(50)의 상부가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와 접한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로드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관통구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상기 회동 연결부(50)의 상부가 상기 회동 연결부(50)의 일측과 타측방향으로 각각 좌우회전이동하여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 및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에 각각 용이하게 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로드(610)의 관통구(611)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6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장방형의 슬릿형태 또는 타원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로드에 구비되어 로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레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도 6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루는 전자석의 로드(610)는 도 6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일측로드(613)와 타측로드(6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로드(613)는 절연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일측로드(613)에는 상기 관통구(611)가 상기 일측로드(613)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로드(614)는 상기 일측로드(613)의 타측에 형성되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로드(614)의 일측에는 상기 걸림턱(612)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타측로드(614)의 일측에는 상기 일측로드(613)의 타측에 형성되는 삽입홈(615)에 삽입고정된 상태로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 삽입축(616)이 형성될 수 있다.
다른예로, 상기 일측로드(613)와 상기 타측로드(614)의 원활한 분리 및 결합과 교체보수를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타측로드(614)의 삽입축(616)은 상기 일측로드(613)의 삽입홈(615)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이때, 상기 걸림턱(612)은 상기 타측로드(614)의 삽입축(616)을 내측에 수용한 상태로 상기 타측로드(614)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일측로드(614)와 상기 타측로드(614)의 풀림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레버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절개정면도이다.
다음으로, 자연재해나 사고 등으로 인하여 상용전원이 일시적으로 정전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루는 전자석으로의 비상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안전사고가 발생된 경우, 관리자 등이 수동으로 상기 로드(610)를 좌우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레버(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의 전측 중간부에는 상기 하우징(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1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타측에는 상기 가이드슬릿(110)과 연통되는 고정슬릿(120)이 상하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70)는 상기 하우징(10)의 가이드슬릿(110)에 수용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레버(70)의 전측에는 상기 로드(610)가 수평관통한 상태로 내부에 수용되는 수용관체(710)가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수용관체(710)는 상기 로드(610)의 일측로드(613)의 타측 외면을 감싼 상태로 상기 일측로드(613)의 타측 외면에 구비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수용관체(710)의 타측은 상기 걸림턱(612)과 접할 수 있다.
그러나, 일예의 상기 수용관체(710)의 경우, 상기 레버(70)를 이용하여 상기 로드(610)를 상기 로드(610)의 타측방향으로만 이동시킬 수 있는 관계로, 상기 레버(70)를 이용하여 상기 로드(610)를 상기 로드(610)의 일측방향 및 타측방향 모두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로드(610)의 일측로드(613)의 타측 외면에는 상기 일측로드(613)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형상 등으로 함몰되는 환형의 단차홈(617)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관체(710)는 상기 단차홈(617)내에 수용되는 것이 좋다.
다른예의 상기 수용관체(710)의 일측은 환형의 상기 단차홈(617)의 일측과 접할 수 있고, 다른예의 상기 수용관체(710)의 타측은 상기 걸림턱(612)과 접할 수 있다.
관리자 등은 상기 레버(70)와 함께 상기 로드(610)를 수동으로 좌우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로드(610)가 상기 로드(610)의 타측방향으로 수동으로 이동된 상태로 위치고정되도록 상기 레버(7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슬릿(120) 방향으로 회전이동하여 상기 고정슬릿(120)에 걸림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슬릿(120)에 걸림고정된 상기 레버(70)는 수축상태에서 팽창될려하는 상기 탄성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슬릿(120)에서 이탈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고정슬릿(120)에 걸림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레버(70)가 상기 고정슬릿(120)내에 걸림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좌우이동부(60)를 이루는 전자석으로의 비상전원이 공급될 경우, 상기 레버(70)는 상기 로드(610)를 따라 자동으로 상기 로드(610)의 타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타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기 고정슬릿(120)의 상부방향에 상기 레버(70)가 위치하게 될 경우, 자중에 의해 상기 레버(70)가 상기 레버(7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고정슬릿(120)으로 하강하여 상기 고정슬릿(120)에 걸림고정되어 상기 로드(610)가 상기 탄성부재(63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로드(610)의 일측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될 우려가 다분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고정슬릿(120)은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상부방향 또는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겠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슬릿(1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는 것이 좋다.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20),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30), 상기 부하측 단자부(40)의 개수는 전원의 배선수(단상 2선, 3상 3선, 3상 4선)에 대응되는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60)를 통해 보다 용이하게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단가가 현저히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하우징, 20; 상용전원측 단자부,
30; 비상전원측 단자부, 40; 부하측 단자부,
50; 회동 연결부, 60; 좌우이동부,
70; 레버.
30; 비상전원측 단자부, 40; 부하측 단자부,
50; 회동 연결부, 60; 좌우이동부,
70; 레버.
Claims (7)
- 상용전원 정전시 비상전원으로 전환시키고, 상용전원 복귀시 상용전원으로 전환시키는 전원 자동전환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과 연결되고,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상용전원측 단자부와;
비상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의 복수의 단자에 일정한 간격으로 교호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비상전원측 단자부와;
부하와 연결되고,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의 대향측에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로 이루어지는 부하측 단자부와;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 사이마다 위치하도록 하부가 상기 부하측 단자부에 축결합되는 회동 연결부와;
상기 회동 연결부가 관통하는 관통구가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일측로드와, 상기 일측로드의 타측에 형성되고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타측로드로 구성되는 로드가 구비되고, 상기 일측로드 및 타측로드를 좌우이동시켜 상기 회동 연결부의 상부를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 또는 비상전원측 단자부에 연결시키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전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루는 전자석 쪽 타측로드의 일측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턱과 상기 전자석의 보빈의 일측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일측로드 및 타측로드를 상기 일측로드 및 타측로드의 일측방향으로 이동시켜 원위치시키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전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로드의 타측에 상기 타측로드의 일측이 나사결합되고,
상기 걸림턱은 상기 타측로드에 구비되는 와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전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로드의 관통구는 상기 일측로드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전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전원측 단자부, 상기 비상전원측 단자부, 상기 부하측 단자부, 상기 회동연결부 및 상기 좌우이동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전측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과 연통되는 고정슬릿이 상하연장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가이드슬릿에 수용되고, 상기 좌우이동부를 이루는 전자석 쪽 일측로드에 전측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일측로드 및 타측로드를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상기 고정슬릿에 걸림고정되는 레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전환장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슬릿은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자동전환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704A KR101860263B1 (ko) | 2017-06-05 | 2017-06-05 | 전원 자동전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704A KR101860263B1 (ko) | 2017-06-05 | 2017-06-05 | 전원 자동전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0263B1 true KR101860263B1 (ko) | 2018-06-27 |
Family
ID=62789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9704A KR101860263B1 (ko) | 2017-06-05 | 2017-06-05 | 전원 자동전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0263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13766A (zh) * | 2021-04-01 | 2021-06-22 | 杭州冬元科技有限公司 | 一种应用于配电柜的维护系统 |
CN113725020A (zh) * | 2021-08-30 | 2021-11-30 | 山西图门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基于碳基电容的换电系统 |
KR102427952B1 (ko) * | 2022-03-03 | 2022-08-02 | 주식회사 아이파워 | 비상 대응이 가능한 안전 가동형 탄소 중립 수배전반 시스템 |
KR102463500B1 (ko) * | 2022-01-04 | 2022-11-10 | 김호이앤씨(주)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비상전력 차단 시스템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048B1 (ko) | 2007-11-02 | 2009-12-21 | 성일휴 | 자동 전환스위치의 전환장치 |
KR101072627B1 (ko) * | 2010-10-15 | 2011-10-13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 개폐기의 가동접점 조립체 |
KR20140005787U (ko) * | 2013-05-06 | 2014-11-14 | 윤영철 | 자동 절체 조명장치 |
KR20160109844A (ko) * | 2015-03-13 | 2016-09-2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직류용 회로 차단 장치 |
-
2017
- 2017-06-05 KR KR1020170069704A patent/KR1018602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33048B1 (ko) | 2007-11-02 | 2009-12-21 | 성일휴 | 자동 전환스위치의 전환장치 |
KR101072627B1 (ko) * | 2010-10-15 | 2011-10-13 |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 전자 개폐기의 가동접점 조립체 |
KR20140005787U (ko) * | 2013-05-06 | 2014-11-14 | 윤영철 | 자동 절체 조명장치 |
KR20160109844A (ko) * | 2015-03-13 | 2016-09-21 |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 직류용 회로 차단 장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3013766A (zh) * | 2021-04-01 | 2021-06-22 | 杭州冬元科技有限公司 | 一种应用于配电柜的维护系统 |
CN113725020A (zh) * | 2021-08-30 | 2021-11-30 | 山西图门新能源有限公司 | 一种基于碳基电容的换电系统 |
KR102463500B1 (ko) * | 2022-01-04 | 2022-11-10 | 김호이앤씨(주) | 매설형 변압기에 접속하는 지중 배전선로의 비상전력 차단 시스템 |
KR102427952B1 (ko) * | 2022-03-03 | 2022-08-02 | 주식회사 아이파워 | 비상 대응이 가능한 안전 가동형 탄소 중립 수배전반 시스템 |
KR102552253B1 (ko) * | 2022-03-03 | 2023-07-07 | 주식회사 일산이엔지 | 비상 대응이 가능한 안전 가동형 수배전반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60263B1 (ko) | 전원 자동전환장치 | |
EP2948713B1 (en) | End cap for a tubular light source | |
CN203774116U (zh) | 开关装置 | |
CN201197087Y (zh) | 双路电源供电装置 | |
CN103177902B (zh) | 用于真空断路器的联锁锁止结构 | |
CN203812763U (zh) | 开关装置 | |
CN103094792B (zh) | 一种触控式安全插座 | |
CN217788294U (zh) | 一种控制多路电路同时导通或断开的机芯和电磁安全开关 | |
EP0950278B1 (en) | Circuit for selective power supply to electrical units | |
CN105551854A (zh) | 一种自动转换开关电器常用、备用电源选择装置 | |
CN111102518B (zh) | 一种火灾紧急照明设备 | |
KR20170018684A (ko) | 인터로크 스위치 부착형 직류용 콘센트-플러그 및 그 방법 | |
KR200457910Y1 (ko) | 시소 스위치 | |
CN103247923B (zh) | 一种安全插座 | |
CN109727827B (zh) | 带上电自动复位、断电自动脱扣功能的漏电保护装置 | |
CN101882539B (zh) | 一种欠电压继电器和脱扣器的锁扣装置 | |
KR101916166B1 (ko) | 전원절환장치의 인터록 장치 | |
AT512258B1 (de) | Modulares beleuchtungssystem | |
EP2202770A1 (en) | Rope bistable commutation device | |
CN210202150U (zh) | 一种用电设备的多地控制线路 | |
CN201773789U (zh) | 一种欠电压继电器和脱扣器的锁扣装置 | |
KR101384544B1 (ko) | 전기접속장치 | |
KR101468506B1 (ko) | 공동주택의 led 합선을 방지하는 전원내선 배전반 | |
GB2286925A (en) | An electrical switching system | |
KR102484153B1 (ko) | 공동주택 전기의 자동 통합 관리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