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577B1 - Clamp - Google Patents
Clam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8577B1 KR101868577B1 KR1020180020976A KR20180020976A KR101868577B1 KR 101868577 B1 KR101868577 B1 KR 101868577B1 KR 1020180020976 A KR1020180020976 A KR 1020180020976A KR 20180020976 A KR20180020976 A KR 20180020976A KR 101868577 B1 KR101868577 B1 KR 1018685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clamp
- rod
- operating rod
- mov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4—Clamps with pivoted jaw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9—Testing or calibrating during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클램프는, 베드; 상기 베드 상에 고정되는 브라켓; 일측이 상기 브라켓에 고정되며 고정될 고정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블록; 상기 블록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블록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 고정될 고정물의 일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고정부가 구비된 고정클램프; 상기 블록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와 동일축선상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이동축과, 상기 이동축의 전방단부에 구비되며 고정될 고정물의 타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타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고정부가 구비된 이동클램프; 상기 작동로드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가 상기 고정클램프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안내부; 상기 작동로드에 결합되고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의 후방부위에 탄지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블록의 후방에 탄지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로드에 힌지결합된 상기 이동클램프의 타측고정부가 상기 고정클램프의 일측고정부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물을 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ed; A bracket fixed on the bed; A block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bracket and a through hole penetrating in a direction toward a fixture to be fixed; A stationary clamp fix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 and extending forward of the block and having one side fixed to one side of the fixture in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fixture to be fixed to the extended end; An operating rod coupled to the through hole at the rear of the block and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A moving shaft which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moving rod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r end thereof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A moving clamp having a second fixing part for fixing the other side; An inner portion during a rotation to guide the movable clamp to rotate away from the fixed clamp when the operation rod is moved forward; And a movable clamp coupled to the actuating rod and hinged to the actuating rod such that the actuating rod is moved rearward by a tension force, the rear end of the movable clamp being resiliently mounted on a rear portion of the actuating rod, And a spring for fixing the fixture in a state in which the fixture is held in contact with the other fixture of the fixt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부품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장비에 사용되어 자동차 부품을 고정되도록 하는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클램프는 가공물, 부품 등을 고정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clamp fixes workpieces, parts, and the like, and is used in various forms.
특히, 플레이트 형태의 부품은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로 이루어져 이동클램프가 고정클램프로부터 이격되도록 하여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 사이에 부품을 위치시키고 이동클램프를 고정클램프 방향으로 이동시켜 부품을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된 클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Particularly, the plate-shaped part is composed of a fixed clamp and a moving clamp, so that the moving clamp is spaced from the fixed clamp so that the par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clamp and the moving clamp and the moving clamp is moved in the fixed clamp direction It is common to use a clamp.
이때 이동클램프의 이동방식은 이동클램프와 고정클램프를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동클램프를 이동시키는 이동축은 직선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At this time, it is general to use a method of moving the movable clamp so that the movable clamp and the fixed clamp ar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line, and the movable axis for moving the movable clamp is moved linearly.
이 경우에는 이동클램프의 축방향 이동거리가 짧아 이동클램프와 고정클램프 사이의 간격이 짧게 되며, 절곡된 플레이트와 같이 절곡된 부위를 갖는 부품의 경우에는 이동클램프와 고정클램프 사이의 간격으로 정면으로 부품을 삽입하기가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클램프와 고정클램프 사이로 부품을 삽입할 때 클램프의 측면으로 부품을 삽입하여 고정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부품의 좌우 고정위치를 재조정하여야 하며, 부품이 긴 경우에는 고정하기가 더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the axial movement distance of the moving clamp is short, so that the gap between the moving clamp and the fixed clamp is short. In the case of a component having a bent portion such as a bent plate, Is difficult to insert. Accordingly, when inserting the component between the movable clamp and the fixed clam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onent must be inserted and fixed to the side of the clamp.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fixing positions of the parts must be readjusted, and it is more difficult to fix the parts when they are long.
아울러, 이동클램프의 축방향 이동거리를 길게 하여 이동클램프와 고정클램프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는 경우에는 클램프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ving distance of the moving clamp in the axial direction is increased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clamp and the fixed clamp,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lamp becomes larg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클램프의 이동시 고정클램프의 축선상으로부터 이격시켜 회동시킴으로써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의 간격을 크게 하여 절곡된 플레이트와 같은 부품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amping device, And a clamp for easily fixing the clamping memb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프링으로 압축된 이동클램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부품의 고정을 용이하도록 하는 클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amp which makes it possible to fix a movable clamp compressed by a spring, thereby facilitating fixing of the component.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클램프가 설치될 베드(1) 상에 고정되는 브라켓(10); 일측이 상기 브라켓(10)에 고정되며 고정될 고정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1)이 형성된 블록(20); 상기 블록(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블록(2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 고정될 고정물의 일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고정부(31)가 구비된 고정클램프(30); 상기 블록(20)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공(21)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작동로드(40); 상기 작동로드(40)와 동일축선상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이동축(51)과, 상기 이동축(51)의 전방단부에 구비되며 고정될 고정물의 타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타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고정부(52)가 구비된 이동클램프(50);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안내부(60);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되고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후방부위에 탄지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블록(20)의 후방에 탄지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로드(40)에 힌지결합된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가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물을 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racket (10) fixed on a bed (1) to be clamped; (2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bracket (10) and having a through hole (21) penetrating in a direction toward a fixture to be fixed; A fixed clamp (not shown) having one
또한, 상기 회동안내부(60)는, 상기 블록(20)의 양쪽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각각의 연장부(61)와, 상기 이동축(51)에 결합되되, 각각의 상기 연장부(61)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결합핀(62)과, 상기 연장부(61)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62)의 양단부위가 결합되어 안내되며,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될 때 상기 결합핀(62)이 결합된 상기 이동축(51)이 회동되도록 ""형상으로 된 안내홈(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아울러, 상기 작동로드(40)와 상기 이동클램프(50) 사이에 위치하며, 후방단부에 상기 작동로드(40)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이동클램프(50)의 이동축(51)의 후방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이동축(51)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축이음부(80);와,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으로의 이동후 상기 축이음부(80)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상기 작동로드(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아울러, 상기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는,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되되 상기 관통공(21)과 수직되게 결합되는 걸림핀(91)과, 상기 블록(20)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1)과 연통되며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 작동로드 인입홈(92)과, 상기 블록(20)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1) 및 상기 작동로드 인입홈(92)과 연통되며 상기 관통공(21)의 형성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40)의 회전시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된 상기 걸림핀(91)의 회동에 의해 상기 걸림핀(91)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핀 걸림홈(9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on rod forward
본 발명은, 이동클램프의 이동시 고정클램프의 축선상으로부터 이격시켜 회동시킴으로써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의 간격을 크게 하여 절곡된 플레이트와 같이 고정클램프와 이동클램프의 간격을 크게 하여야만 하는 부품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클램프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acilitates fixation of a component that requires a large gap between a fixed clamp and a movable clamp, such as a bent plate, by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clamp and the movable clamp by rotating the movable clamp apart from the axial line of the fixed clamp And the clamp can be miniaturized.
아울러, 스프링으로 압축된 이동클램프의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동클램프와 고정클램프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부품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clamp, which is compressed by the spring, can be fixed, the movable clamp and the fixed clamp are kept open, so that it is easy to fix the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5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tate of use of 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클램프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클램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의 사용상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3 to 5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에서 전방과 후방은 반드시 위치상의 앞쪽, 뒤쪽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각각 작동로드(40)가 이동하는 방향을 의미하기도 한다.Of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ward and rearward directions do not always refer to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ons on the position, but also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클램프는, 브라켓(10); 블록(20); 고정클램프(30); 작동로드(40); 이동클램프(50); 회동안내부(60); 스프링(7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th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상기 브라켓(10)은 클램프가 설치될 베드(1) 상에 고정된다(도 6 참조). 상기 브라켓(10)은 상기 브라켓(10)을 고정하는 브라켓 고정부(11)(도 6 참조)를 통해 베드(1)에 고정되도록 한다.The
상기 블록(20)은 일측이 상기 브라켓(10)에 고정되며 고정될 고정물(2)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1)이 형성된다.The
상기 고정클램프(30)는 상기 블록(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블록(2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 고정될 고정물의 일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고정부(31)가 구비된다.The
상기 작동로드(40)는 상기 블록(20)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공(21)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다.The
상기 이동클램프(50)는 이동축(51)과 타측고정부(52)로 이루어진다.The moving
상기 이동축(51)은 상기 작동로드(40)와 동일축선상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된다.The moving
상기 타측고정부(52)는 상기 이동축(51)의 전방단부에 구비되며 고정될 고정물의 타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타측면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other
상기 타측고정부(52)는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를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이동축(51)에 수직되게 결합된다.The other fixed
상기 회동안내부(60)는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During the rotation, the
상기 스프링(70)은,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되고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후방부위에 탄지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블록(20)의 후방에 탄지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로드(40)에 힌지결합된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가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물을 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프링(70)은 작동로드(40)를 후방에서 누르게 되면 압축되게 되고, 고정물을 고정클램프(30)와 이동클램프(5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작동로드(40)의 누름을 해제하게 되면, 상기 스프링(70)의 인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되며 상기 작동로드(40)의 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작동로드(40)에 힌지결합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회동되면서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고정클램프(30)와 접하게 되어, 고정물이 상기 이동클램프(50)와 상기 고정클램프(30)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70)은 인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에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와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를 서로 접하도록 하여 고정물을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작동로드(40)의 누름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동클램프(50)가 이격될 때 회동안내부(60)에 의해 회동되게 되므로 고정클램프(30)와 이동클램프(50)의 간격이 커지게 되어 고정클램프(30)와 이동클램프(50)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필요로 하는 절곡된 플레이트와 같은 부품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동클램프(50)의 이동거리를 크게 하지 않아도 고정클램프(30)와 이동클램프(50)의 간격이 커지게 되므로 클램프를 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상기 회동안내부(60)는, 연장부(61)와, 결합핀(62)과, 안내홈(63)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연장부(61)는 상기 블록(20)의 양쪽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한쌍으로 이루어진다.The
상기 결합핀(62)은 상기 이동축(51)에 결합되되, 각각의 상기 연장부(61)에 수직되게 결합된다.The
상기 안내홈(63)은, 상기 연장부(61)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62)의 양단부위가 결합되어 안내되며,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될 때 상기 결합핀(62)이 결합된 상기 이동축(51)이 회동되도록 ""형상으로 된다.The
상기 안내홈(63)은, 이동축(51)의 축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동축(51)의 축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하는 축방향 안내홈(63a)과, 상기 축방향 안내홈(63a)으로부터 하방향으로 경사지게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경사방향 안내홈(63b)으로 이루어져 전체 형상이 ""형상으로 된다.The
전술한 형태의 본 발명의 클램프는 작동로드(40)를 누른 상태에서 고정물을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된 이동클램프(50)와 고정클램프(30) 사이에 위치시킨 다음 작동로드(40)의 누름을 해제되도록 하여 고정물을 고정되도록 하게 되는데, 이동클램프(50)와 고정클램프(30) 사이에 고정물을 위치되도록 할 때 작동로드(40)의 누름상태, 즉,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축이음부(80)와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가 구비되도록 하여 작동로드(40)를 누름상태에서 회전되도록 함으로써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에 의해 작동로드(40)가 누름상태, 즉,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described form can be obtained by placing the fixture between the
상기 축이음부(80)는, 상기 작동로드(40)와 상기 이동클램프(50) 사이에 위치하며, 후방단부에 상기 작동로드(40)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이동클램프(50)의 이동축(51)의 후방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이동축(51)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상기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는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으로의 이동후 상기 축이음부(80)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상기 작동로드(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operation rod forward
상기 축이음부(80)의 전방단부에 상기 이동클램프(50)가 힌지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축이음부(80)는 전방단부 양쪽에 상기 연장부(61)와 평행하고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 각각의 힌지결합부(81)가 구비되며, 각각의 상기 힌지결합부(81)에 고정되고 상기 이동클램프(50)의 이동축(51)이 회동가능하게 상기 이동클램프(50)의 이동축(51)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힌지핀(82)이 구비된다.In order to allow the moving
상기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는, 걸림핀(91)과, 작동로드 인입홈(92)과, 걸림핀 걸림홈(93)으로 이루어진다.The operating rod forward
상기 걸림핀(91)은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되되, 상기 관통공(21)과 수직되게 결합된다.The
상기 작동로드 인입홈(92)은, 상기 블록(20)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1)과 연통되며 작동로드(40) 인입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다.The operating
상기 걸림핀 걸림홈(93)은, 상기 블록(20)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1) 및 상기 작동로드 인입홈(92)과 연통되며 상기 관통공(21)의 형성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40)의 회전시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된 상기 걸림핀(91)의 회동에 의해 상기 걸림핀(91)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engaging pin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클램프는 작동로드(40)를 누른 상태에서 작동로드(40)를 회전시켜 상기 걸림핀(91)이 상기 걸림핀 걸림홈(93)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여 스프링으로 압축된 이동클램프의 고정이 가능하게 되므로, 이동클램프와 고정클램프가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부품의 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상기 작동로드(40)에는 상기 스프링(70)의 후방단부와 접하여 상기 스프링(70)의 인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장력조절용너트(41)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상기 장력조절용너트(41)를 풀고 조임으로써 상기 이동클램프(50)와 상기 고정클램프(30)와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he clamping force between the moving
축이음부(80)와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가 구비된 본 발명의 클램프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lamp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클램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3은 작동로드(40)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의해 이동클램프(50)가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전방이동된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는 작동로드(40)가 원위치 복귀되어 이동클램프(50)가 고정클램프(30)를 향하여 원위치 회동되어 고정물(1)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다.3 to 5 are view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cla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초기상태에서는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가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와 접한 상태로 된다. 이러한 상태는 도 5에서 고정물(2)이 제거된 상태이다.In the initial state, the other fixed
이러한 상태에서, 작동로드(40)를 후방에서 눌러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작동로드(40)를 후방에서 눌러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로드(40)에 구비된 걸림핀(91)이 작동로드(40) 인입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 작동로드 인입홈(92)을 따라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회동안내부(60)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 및 회동되게 된다(도 3 참조).In this state, the operating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회동작동을 위한 회동안내부(60)의 작동을 살펴보면, 상기 블록(20)의 양쪽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한쌍의 연장부(61)에 형성된 ""형상으로된 안내홈(63)에 상기 이동축(51)에 결합된 결합핀(62)이 결합되어,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되게 된다.The operation of the interior 60 during the rotation of the moving
이와 같이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로드(40)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된 걸림핀(91)이 작동로드 인입홈(92)과 연통된 걸림핀 걸림홈(93)에 삽입되어 걸리게 되어(도 4 참조),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스프링(70)이 압축된 상태이다.When the operating
아울러,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단부는 상기 축이음부(80)의 후방단부에 상기 작동로드(40)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므로 작동로드(40)의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될 고정물의 일측을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에 접한 상태로 위치한 다음, 도 3 및 도 4의 상태에서, 상기 작동로드(40)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걸림핀(91)이 걸림핀 걸림홈(93)으로부터 해제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되어 스프링(70)이 압축된 상태이므로, 스프링(70)의 인장에 의해 작동로드(40)가 후방으로 원위치 복귀되게 되는데, 상기 작동로드(40)가 원위치로 복귀되게 되면, 상기 작동로드(40)는 축이음부(80)에 축결합되고 축이음부(80)는 이동클램프(50)의 이동축(51)에 힌지결합되므로, 결국 이동클램프(50)가 후방으로 원위치 복귀되게 된다.In this state, one side of the fixture to be fixed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one fixing
상기 작동로드(40)가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이동클램프(50)가 후방으로 원위치 복귀될 때, 상기 이동축(51)에 결합된 결합핀(62)이 상기 블록(20)의 양쪽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한쌍의 연장부(61)에 형성된 ""형상으로된 안내홈(63)을 따라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 방향으로 원위치 회동되어 접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가 원위치 회동되어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와 접하게 된다(도 5 참조). 고정물의 일측은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에 접하도록 위치한 상태이고,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가 원위치 회동되어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와 접하게 되므로, 결국, 고정물의 타측은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에 접하게 되어 고정물의 일측 및 타측이 도 5에서와 같이 클램프에 의애 고정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When the
상기 작동로드(40)의 타측단부에는 누름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를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며 상기 작동로드(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걸림핀(91)이 상기 걸림핀 걸림홈(93)에 걸리도록 하거나 상기 걸림핀(91)이 상기 걸림핀 걸림홈(93)으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작동손잡이(4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actuating
상기 작동손잡이(42)는 원형, 다각형, 십자형 등 다양한 형태로 될 수 있으며, 작동로드(40)의 누름이 용이하도록 작동로드(40)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며, 작동손잡이(42)를 잡고 작동로드(4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형태면 어느것이나 가능하다.The operating handle 4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 polygonal shape and a cross shape and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operating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1 : 베드 10 : 브라켓
20 : 블록 21 : 관통공
30 : 고정클램프 31 : 일측고정부
40 : 작동로드 41 : 장력조절용너트
42 : 작동손잡이 50 : 이동클램프
51 : 이동축 52 : 타측고정부
60 : 회동안내부 61 : 연장부
62 : 결합핀 63 : 안내홈
63a : 축방향 안내홈 63b : 경사방향 안내홈
70 : 스프링 80 : 축이음부
81 : 힌지결합부 82 : 힌지핀
90 :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 91 : 걸림핀
92 : 작동로드 인입홈 93 : 걸림핀 걸림홈1: Bed 10: Bracket
20: Block 21: Through hole
30: Fixing clamp 31: One side fixing part
40: working rod 41: tension adjusting nut
42: operating handle 50: moving clamp
51: Moving shaft 52:
60: Inside during rotation 61: Extension
62: engaging pin 63: guide groove
63a: axial
70: spring 80: axis
81: hinge coupling part 82: hinge pin
90: operation rod forward movement holding portion 91: engaging pin
92: Operation rod inlet groove 93: Jam catch pin groove
Claims (4)
일측이 상기 브라켓(10)에 고정되며 고정될 고정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1)이 형성된 블록(20);
상기 블록(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블록(2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 고정될 고정물의 일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고정부(31)가 구비된 고정클램프(30);
상기 블록(20)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공(21)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작동로드(40);
상기 작동로드(40)와 동일축선상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이동축(51)과, 상기 이동축(51)의 전방단부에 구비되며 고정될 고정물의 타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타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고정부(52)가 구비된 이동클램프(50);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안내부(60);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되고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후방부위에 탄지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블록(20)의 후방에 탄지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로드(40)에 힌지결합된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가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물을 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회동안내부(60)는,
상기 블록(20)의 양쪽에 전방으로 연장형성된 각각의 연장부(61)와,
상기 이동축(51)에 결합되되, 각각의 상기 연장부(61)에 수직되게 결합되는 결합핀(62)과,
상기 연장부(61)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핀(62)의 양단부위가 결합되어 안내되며,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될 때 상기 결합핀(62)이 결합된 상기 이동축(51)이 회동되도록 ""형상으로 된 안내홈(6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A bracket 10 fixed on a bed 1 on which a clamp is to be installed;
(2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bracket (10) and having a through hole (21) penetrating in a direction toward a fixture to be fixed;
A fixed clamp (not shown) having one side fixing part 31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lock 20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o be fix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block 20, (30);
An operating rod (40)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1) at the back of the block (20) and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A moving shaft 51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40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rod 5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40, A moving clamp 5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nother side fixing portion 52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o be fixed;
(60) during a turn to guide the movable clamp (50) to rotate away from the fixed clamp (30) when the actuating rod (40) is moved forward;
The working rod 40 is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40 and has its rear end bulg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40 and its forward end bulged at the rear of the block 20, So that the other fixed portion 52 of the movable clamp 50 hinged to the operation rod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ne fixed portion 31 of the fixed clamp 30 so as to be fixed And a spring (70)
During this rotation, the interior (60)
Extending portions 61 extending forward from both sides of the block 20,
An engaging pin 62 coupled to the moving shaft 51 and vertically coupled to each of the extending portions 61,
The movable clamp 50 is fixed to the stationary clamp 30 when the actuating rod 40 is moved forward, and the movable clamp 50 is fixed to the stationary clamp 30 when the actuating rod 40 is moved forward. So that the moving shaft 51, to which the engaging pin 62 is engaged, is rotated, Shaped guide groove (63).
일측이 상기 브라켓(10)에 고정되며 고정될 고정물을 향하는 방향으로 관통된 관통공(21)이 형성된 블록(20);
상기 블록(2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블록(20)의 전방으로 연장되며 연장된 단부에 고정될 고정물의 일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일측면을 고정시키는 일측고정부(31)가 구비된 고정클램프(30);
상기 블록(20)의 후방에서 상기 관통공(21)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한 작동로드(40);
상기 작동로드(40)와 동일축선상으로 전방에 위치하며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단부에 회동가능하도록 힌지결합되는 이동축(51)과, 상기 이동축(51)의 전방단부에 구비되며 고정될 고정물의 타측면과 접하여 고정물의 타측면을 고정시키는 타측고정부(52)가 구비된 이동클램프(50);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의 이동시 상기 이동클램프(50)가 상기 고정클램프(30)로부터 이격되어 회동되도록 안내하는 회동안내부(60);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되고 후방단부가 상기 작동로드(40)의 후방부위에 탄지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블록(20)의 후방에 탄지되어 인장력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상기 작동로드(40)에 힌지결합된 상기 이동클램프(50)의 타측고정부(52)가 상기 고정클램프(30)의 일측고정부(31)와 접하도록 함으로써 고정물을 물린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스프링(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작동로드(40)와 상기 이동클램프(50) 사이에 위치하며, 후방단부에 상기 작동로드(40)가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전방단부가 상기 이동클램프(50)의 이동축(51)의 후방단부와 힌지결합되어 상기 이동축(51)이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축이음부(80);
상기 작동로드(40)의 전방으로의 이동후 상기 축이음부(80)에 회전가능하도록 축결합된 상기 작동로드(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A bracket 10 fixed on a bed 1 on which a clamp is to be installed;
(20) having one side fixed to the bracket (10) and having a through hole (21) penetrating in a direction toward a fixture to be fixed;
A fixed clamp (not shown) having one side fixing part 31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block 20 and fixed to one side of the fixing part to be fixed to the extended end of the block 20, (30);
An operating rod (40)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1) at the back of the block (20) and movable forward and rearward;
A moving shaft 51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40 in such a manner th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rod 51 is pivotally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40, A moving clamp 50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and having another side fixing portion 52 for fixing the other side of the fixing member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to be fixed;
(60) during a turn to guide the movable clamp (50) to rotate away from the fixed clamp (30) when the actuating rod (40) is moved forward;
The working rod 40 is coupled to the operating rod 40 and has its rear end bulged at the rear portion of the operating rod 40 and its forward end bulged at the rear of the block 20, So that the other fixed portion 52 of the movable clamp 50 hinged to the operation rod 40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one fixed portion 31 of the fixed clamp 30 so as to be fixed And a spring (70)
And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40 is connected to the moving shaft 51 of the moving clamp 50. The moving rod 50 is disposed between the operating rod 40 and the moving clamp 50, (80) hinged to a rear end of the moving shaft (51) so that the moving shaft (51) can rotate;
So that the operating rod 40 is moved forward by the rotation of the operating rod 40 which is axially coupled so that the shaft can rotate with respect to the swinging portion 80 after moving to the front side of the operating rod 40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rod front movement holding portion (90) for holding the working rod.
상기 작동로드 전방이동 유지부(90)는,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되되 상기 관통공(21)과 수직되게 결합되는 걸림핀(91)과,
상기 블록(20)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1)과 연통되며 전방으로 길게 형성된 작동로드 인입홈(92)과,
상기 블록(20)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1) 및 상기 작동로드 인입홈(92)과 연통되며 상기 관통공(21)의 형성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작동로드(40)의 회전시 상기 작동로드(40)에 결합된 상기 걸림핀(91)의 회동에 의해 상기 걸림핀(91)이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상기 작동로드(40)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유지하는 걸림핀 걸림홈(9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The method of claim 3,
The operation rod forward movement holding portion (90)
A latching pin 91 coupled to the actuating rod 40 and vertically coupled to the through hole 21,
A working rod inlet groove 92 provided in the block 20 and communicated with the through hole 21 and elongated forwardly,
And is formed in the block 20 so as to be elong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orming direction of the through hole 21 and communicated with the through hole 21 and the operating rod inlet groove 92, The engaging pin 91 is inserted and engaged by the rotation of the engaging pin 91 coupled to the actuating rod 40 during rotation so that the engaging pin holding the state in which the actuating rod 40 is moved forward And a groove (9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0976A KR101868577B1 (en) | 2018-02-22 | 2018-02-22 | Clam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20976A KR101868577B1 (en) | 2018-02-22 | 2018-02-22 | Clam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68577B1 true KR101868577B1 (en) | 2018-06-18 |
Family
ID=62767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20976A Active KR101868577B1 (en) | 2018-02-22 | 2018-02-22 | Clam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8577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1172A (en) * | 2019-06-30 | 2019-09-27 | 南京沃宇机电有限公司 | For determining 3 fixtures of tire three-dimensional post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2835B1 (en) * | 2015-04-10 | 2016-07-26 | (주)한진에프에이 | Car seat manual fixture |
-
2018
- 2018-02-22 KR KR1020180020976A patent/KR10186857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42835B1 (en) * | 2015-04-10 | 2016-07-26 | (주)한진에프에이 | Car seat manual fixtur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281172A (en) * | 2019-06-30 | 2019-09-27 | 南京沃宇机电有限公司 | For determining 3 fixtures of tire three-dimensional pos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649008B2 (en) | Quick action bar clamp | |
US5322302A (en) | Saw-blade fixation device | |
US11383357B2 (en) | Universal pliers | |
AU2007100342A4 (en) | A Blade Clamping Device | |
US8517366B2 (en) | Quick release bench vise system | |
JP2010523223A5 (en) | ||
US5000232A (en) | Manual band installation tool | |
TWI839538B (en) | Clamping tools | |
CN217767955U (en) | Cable traction aid | |
KR101868577B1 (en) | Clamp | |
US7090209B1 (en) | Adjustable clamp and method of using an adjustable clamp | |
CN110293490B (en) | Hook tensioner | |
US6612206B1 (en) | Pliers | |
EP2870664A1 (en) | Dieless crimping tool | |
US10003166B2 (en) | Universal compact compression tool | |
US3306143A (en) | Vise grip pliers having toggle release means | |
KR20080040948A (en) | Flexible Pipe and Fitting Connection Tool | |
CN103948991B (en) | Injector clamping device | |
US7131677B2 (en) | Weeder | |
JP2019130663A (en) | Torsion coil spring | |
CN117396292A (en) | Hacksaw with handle tensioning mechanism | |
US5137060A (en) | Manual band installation tool | |
CN209970617U (en) | A pin picker | |
JP2839444B2 (en) | Tube removal tool | |
US2906154A (en) | Adjustable clamping wren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803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4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6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6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