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5651B1 - 콤바인의 정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 Google Patents
콤바인의 정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5651B1 KR101865651B1 KR1020160058286A KR20160058286A KR101865651B1 KR 101865651 B1 KR101865651 B1 KR 101865651B1 KR 1020160058286 A KR1020160058286 A KR 1020160058286A KR 20160058286 A KR20160058286 A KR 20160058286A KR 101865651 B1 KR101865651 B1 KR 10186565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ver
- reverse rotation
- interlocking
- clutch
- forward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27—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 A01D41/1274—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es for driv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9/00—Driving mechanisms or parts thereof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69/06—Gear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18—Safety devices for parts of the 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2—Harvest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통형 콤바인에서 피더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정회전 및 역회전 클러치의 조작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 장치는, 기준축(20)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기준축(2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하나의 조작레버(1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가로 방향 이동에 의하여 어느 일측이 선택되어 연동하도록 결합되고, 조작레버(10)의 양측에서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회전 연동레버 및 역회전 연동레버;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에 의하여 정회전 연동레버 또는 역회전 연동레버가 연동하여 회동함에 따라서, 역회전 클러치 또는 정회전 클러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레버와 각각 연결되는 정회전 연동부재 및 역회전 연동부재로 구성된다. 하나의 조작레버로 정회전 연동부재 또는 역회전 연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회전 클러치 또는 역회전 클러치를 구동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콤바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콤바인의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를 하나의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손쉽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정회전 및 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통형 콤바인은 예취부에 의하여 커팅된 곡간 전체가 탈곡장치로 피딩되어 탈곡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있다. 예취부의 예취날이 절단한 곡간은 예취 오거를 통하여 탈곡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피더케이스의 내부로 집중되는 상태로 공급된다. 피더케이스의 내부에서는 컨베어장치에 의하여, 절단된 곡간이 탈곡 장치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예취부에서 탈곡장치로 곡간이 이송되는 것은, 실질적으로 피더케이스 내부의 컨베어장치가 정방향으로 구동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예취된 곡간이 탈곡부로 이송되는 피더케이스의 내부에서 과도한 양의 이송에 의하여 곡간의 정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정체 또는 막힘이 발생하게 되면, 피더케이스 내부의 컨베어를 역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해소해야 한다. 이러한 컨베어의 역회전은 동력 전달의 방향을 역으로 한 상태에서 컨베어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한국 특허 공개 제10-2011-0132477호에는, 피더케이스 내부의 컨베어를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 구성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게 되면, 정회전 동력전달 구조 및 역회전 동력전달 구조에 각각 클러치를 설치하여 동력을 단속해야 한다. 그리고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이와 같은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를 각각 별도로 설치하는 것으로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설치위치 및 조작성에 대한 불편함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통형 콤바인에서, 피더케이스 내부에서 곡간을 이송시키는 장치를 정회전 방향 및 역회전 방향으로 각각 선택적을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가 설치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를 조작하기 위한 동작은, 실질적으로 운전석에서 하나의 레버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으면 가장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취된 곡간을 예취부에서 탈곡부로 이송시키는 전달장치를 구비하고, 이러한 전달장치로 전달되는 동력을 각각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정회전 및 역회전 클러치를 구비하는 보통형 콤바인에서, 가장 편리한 조작이 가능한 클러치 조작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콤바인의 예취부에서 탈곡부로 곡간을 전달하는 피더케이스의 내부에서, 곡간을 탈곡부로 이송하는 정회전 방향 또는 정체된 곡간을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회전 방향으로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에 있어서; 기준축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하나의 조작레버와; 상기 조작레버의 가로 방향 이동에 의하여 어느 일측이 선택되어 연동하도록 결합되고, 조작레버의 양측에서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회전 연동레버 및 역회전 연동레버;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에 의하여 정회전 연동레버 또는 역회전 연동레버가 연동하여 회동함에 따라서, 역회전 클러치 또는 정회전 클러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레버와 각각 연결되는 정회전 연동부재 및 역회전 연동부재로 구성된다. 그리고 하나의 조작레버로 정회전 연동부재 또는 역회전 연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회전 클러치 또는 역회전 클러치를 구동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콤바인의 클러치 조작장치는, 조작레버가 이동할 수 있도록 U형 슬롯이 성형된 컨트롤패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컨트롤패널은 조작레버의 이동 경로를 안내함으로써, 더욱 손쉬운 핸들링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의 하단부와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에는 장공이 성형된 스로틀 연결링크와, 하단부가 상기 장공에 핀연결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스로틀레버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가 역회전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이동하면, 상기 스로틀레버는 스로틀레버에 의하여 이이들상태로 회동하고;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가 중립 상태에서는, 스로틀레버는 고 회전수 상태로 회동 가능하게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역회전 연동부재는, 역회전 연동레버의 중간 부분에 상단부가 핀연결된 역회전 연결링크와. 상기 역회전 연결링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역회전 연동와이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정회전 연동부재는, 정회전 연동레버의 중간부분에 상단부가 핀연결된 정회전 연결링크와, 상기 정회전 연결링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정회전 연동와이어로 구성된다. 여기서 연결링크는 기준축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동와이어가 역회전 클러치 및 정회전 클러치와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연동레버는 그 상부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성형된 조작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는 가로 방향의 좌우측 이동에 의하여 정회전 연동레버 또는 역회전 연동레버와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클러치 조작장치는, 하나의 조작레버를 이용하여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조작레버에 의한 설계 및 구성의 복잡한 단점을 해결하고, 하나의 레버를 이용하여 두 개의 클러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구성 상의 장점 및 조작의 편의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하나의 레버를 이용하여 정회전 및 역회전 클러치를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어느 하나에 대한 선택이 정확하다는 것을 전제로 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조작레버는 가장 기본적으로 두개의 클러치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동작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정회전 및 역회전 방향의 동력이 동시에 전달되는 오동작은 완전히 방지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클러치 조작장치를 특히 운전석에 가까운 패널에 설치하게 되면, 콤바인을 운전하고 있는 운전자가 더욱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을 것임은 당연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역회전 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되도록 조작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즉 역회전 클러치가 온 상태로 되면, 스로틀레버가 자동적으로 아이들 상태가 되도록 연동시킴으로써, 임의로 동력 전달 부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것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작용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의 예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컨트롤패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정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정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역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역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스로틀 연결링크의 주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컨트롤패널을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정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정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역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역회전 연동레버가 작동된 상태를 보인 예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에서, 스로틀 연결링크의 주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의 조작레버(10)가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조작레버(10)는, 운전석 바로 옆에 설치되어 콤바인의 구동을 위한 다양한 레버들이 설치되는 컨트롤 패널(2)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러한 컨트롤 패널(2)에는 본 발명에서와 같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 클러치를 단속시키기 위한 클러치 조작레버(10)와 콤바인의 주행계 및 탈곡계가 요구하는 정상적인 회전수(RPM)로 설정하기 위한 스로틀레버(40)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컨트롤패널(2)에는 설치되어 있는 각각의 레버의 조작 방향을 따르는 조작홈이 다양하게 성형되어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레버(10)에 대응하는 부분의 컨트롤패널(2)에는 U형상의 움직임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U형 슬롯(4)이 성형되어 있고, 상기 스로틀레버(40)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일자형의 슬롯(6)이 성형되어 있다. 그 외에도 상기 컨트롤패널(2)에는 많은 수의 조작 안내용 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참고로 도 1은 운전석의 전방에서 본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보면 상기 슬롯(4)은 U형상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 a 상태는 역회전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조작레버(10)가 조작된 상태를, 그리고 b 상태는 정회전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될 수 있도록 조작레버(10)가 조작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2에는, 상술한 컨트롤패널(2)을 제외한 상태에서, 본 발명의 클러치 조작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조작레버(10)는 하단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기준축(20)에 연결되어 있어서, 기본적으로 전후 방향으로의 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조작레버(10)의 상부는 좌우측으로 일정 구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단부가 기준축(20)에 대하여 약간의 유격을 가지고 설치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조작레버(10)는 연결판(13)을 통하여 기준축(20)에 연결되어 있고, 조작레버(10)의 좌우 방향 일정 간격 이동을 위하여 상기 연결판(13)은 기준축(20)과 유격이 약간 있거나 일방향으로 조금 큰 장공 형태로 기준축(20)과 연결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기 조작레버(10)는 하단부가 기준축(2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좌우측으로 일정 간격 유동 가능하고,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조작레버(10)의 좌우측에는, 하단부가 각각 상기 기준축(20)에 결합되어 있는 역회전 연동레버(12)와 정회전 연동레버(14)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기준축(20)에 하단부가 지지되어 있는 조작레버(1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역회전 연동레버(12) 또는 정회전 연동레버(14) 중의 어느 일측과 결합되는 것이다. 이러한 연동레버(12,14)들과 결합되어 이동하지 않는 중립 상태에서는 어느 하나의 연동레버(12,14)와도 결합되지 않은 중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완전하게 두 개의 연동레버(12,14)와 분리된 상태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두 연동레버(12,14)의 중앙부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10)가 연결되는 기준축(20)에는 한 쌍의 스프링을 조작레버 좌우측에 설치하여, 조작레버(10)가 중앙 위치를 탄성력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12)와 정회전 연동레버(14)는, 상단부에서 서로를 향하여 절곡된 상부면(12b,14b)과, 상기 상부면(12b,14b)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기준축(20)에 결합되는 연결면(12a,14a)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면(12b,14b)에는, 서로를 향하여 열린 조작슬릿(12c,14c)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역회전 연동레버(12)와 정회전 연동레버(14)의 하단부는 상기 기준축(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조작레버(10)가 운전석에 앉은 상태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가로 이동하면 역회전 연동레버(12)의 조작슬릿(12c)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좌측으로 가로 이동하면 정회전 연동레버(14)의 조작슬릿(14c)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즉 상기 조작레버(10)는, 우측 이동에 의하여 역회전 연동레버(12)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결합상태가 되고, 좌측 이동에 의하여 정회전 연동레버(14)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결합상태로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동레버(12,14)의 전후 방향 이동은, 실질적으로는 상기 기준축(20)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역회전 연동레버(12)와 정회전 연동레버(14)의 중간 부분, 즉 연결면(12a,14a)에는, 각각 역회전 연동링크(16) 및 정회전 연동링크(18)의 상단부가 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역회전 연동링크(16) 및 정회전 연동링크(18)의 하단부는 연동와이어(22,24)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도시한 실시 예에서, 상기 연동링크(16,18)는 기준축(20)과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반달 형상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의 연동링크(16,18)는, 연동레버(12,14)의 회동 동작에 따라서, 연동와이어(22,24)를 상부로 끌어올리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그 형상에 대해서는 다른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에는 연동레버(12,14)와 연동와이어(22,24)의 연결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중립 상태는,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 즉 어느 하나의 클러치도 온 상태가 아니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석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조작레버(10)를 정회전 연동레버(14) 측으로 가로 방향 이동시키면, 조작레버(10)는 정회전 연동레버(14)의 조작슬릿(14c) 속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석에서 상기 정회전 조작레버(10)를 밀게 되면(도 4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조작), 정회전 조작레버(14)는 기준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조작레버(10)의 중간 부분에 핀 연결되어 있는 연동링크(18)는 상방으로 당겨지게 되는데, 이러한 방향이 도 4에서 B로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동링크(18)가 상방으로 당겨지면 연동와이어(24)도 상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정회전 연동와이어(24)는 정회전 클러치를 당기게 되는데 이는 실질적으로 정회전 클러치가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레버(10)를 화살표 A 방향으로 밀게 되면, 연동레버(14) 및 연동링크(18)를 거쳐, 연동와이어(24)가 당겨지면서, 정회전 클러치를 온 상태로 변환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도 5 및 도 6을 참고하면서, 조작레버(10)가 역회전 클러치를 온 조작하는 것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조작레버(10)를 역회전 연동레버(12) 측으로 가로 이동시키면 조작슬롯(12c)에 걸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조작레버(10)를 밀게 되면(도 6의 화살표 A 방향), 역회전 연동레버(12)는 기준축(2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그리고 연동레버(12)가 기준축(20)을 중심으로 도 6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 연동와이어(22)는 실질적으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면, 상기 기준축(20)을 중심으로 조작레버(10)의 회동(화살표 A) 운동은, 연동와이어(22)를 상승시키는 결과가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동와이어(22)는 역회전 클러치와 연결되어 있는데, 연동와이어(22)의 상승 동작은 역회전 클러치를 온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조작레버(10)가 역회전 연동레버(12)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역회전 클러치가 온되어 동력을 전달하게 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정회전 클러치가 온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보통형 콤바인의 피더케이스 내부에서 정상적인 방향(예취부에서 탈곡부 방향)으로 곡간이 이송되도록 동력이 전달되고 있는 상태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역회전 클러치가 온된다는 것은 피더케이스 내부에서 곡간의 정체로 인하여 그 반대 방향으로 동력이 전달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조작레버(10) 및 역회전 연동레버(12)의 구동에 의하여 역회전 연동와이어(22)가 상승 이동하면, 실제로 피더케이싱 내부의 동력이 역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콤바인에서는 주행 및 탈곡 등의 작업이 일정한 회전수(RPM) 하에서 진행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주행 또는 작업 시, 운전자는 운전석의 컨트롤패널(2)에 설치되어 있는 스로틀레버(4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하여 필요로 하는 회전수를 세팅할 수 있다. 그런데 예취 및 탈곡 작업이 연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상태에서, 피더케이스 내부의 곡간의 정체로 인하여 역회전이 필요한 경우에 조작레버(10)가 조작되어 역회전이 시작된다고 생각하면 예취 및 탈곡계의 부품에 무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레버(10)가 동작하여 역회전 연동레버(12) 및 역회전 연동링크(16), 그리고 역회전 연동와이어(22)를 통하여 역회전 클러치가 온 상태가 되는 순간, 스로틀레버(40)를 아이들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12)의 움직임에 따라서 스로틀레버(40)를 연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12)가 역회전 클러치를 온시키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스로틀레버(40)가 고속상태에서 아이들상태로 자동적으로 변환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12)의 기준축(20) 하부의 하단부에는, 스로틀 연결링크(30)의 후단부가 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스로틀 연결링크(30)의 선단부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장공(32)이 성형되어 있다.
상기 장공(32)에는 스로틀레버(40)의 하단부가 핀(40b)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핀(40b)은 스로틀레버(40)의 회전축(44) 보다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레버(10)가 역회전 클러치를 온 시키기 위하여 도 6에서 화살표(A) 방향으로 회동하면, 기준축(20)보다 하부에서 역회전 연동레버(12)와 핀 연결되어 있는 스로틀 연결링크(30)는 화살표(L)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스로틀 연결링크(30)의 도면 상 우측이동에 의하여, 핀(40b) 연결되어 있는 스로틀레버(40)는 회전축(44)를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는 스로틀레버(40)가 화살표(K) 방향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조작레버(10)가 중립 상태인 경우, 즉 역회전 클러치를 오프 상태로 한 상태가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스로틀레버(40)의 핀(40b)은 스로틀 연결링크(30)의 장공(32)에서 후단부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도 7에서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스로틀레버(40)는 화살표(M)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화살표(M) 방향으로 이동하여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는, 상기 스로틀레버(40)가 고 회전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조작된 상태이다. 그리고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상태의 스로틀레버(40)는 아이들상태이고,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역회전 클러치가 온 상태로 되는 순간 스로틀 연결링크(30)에 의하여 스로틀레버(40)가 이동한 위치이다.
이와 같이 조작레버(10)에 의하여 연동하는 역회전 조작레버(12)가 역회전 클러치를 온 상태로 하기 위하여 조작되면 상기 스로틀레버(40)는 스로틀 연결링크(30)에 의하여 고 회전수 상태에서 아이들 상태로 변환된다. 그리고 역회전 조작레버(12)가 조작되지 않은 중립 상태에서는 상기 스로틀레버(40)는 고 회전수 상태로 자유롭게 조작 가능함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자명하다.
2 ..... 컨트롤패널
4 ..... U 슬롯
6 ..... 슬롯
10 ..... 조작레버
12 ..... 역회전 연동레버
12a, 14a ..... 연결면
12b, 14b ..... 상부면
12c, 14c ..... 조작슬릿
14 ..... 정회전 연동레버
16 ..... 역회전 연동링크
18 ..... 정회전 연동링크
20 .... 기준축
22 ..... 역회전 연동와이어
24 ..... 정회전 연동와이어
30 .... 스로틀 연결링크
32 ..... 장공
40 .... 스로틀레버
40b ..... 핀
44 ..... 회전축
4 ..... U 슬롯
6 ..... 슬롯
10 ..... 조작레버
12 ..... 역회전 연동레버
12a, 14a ..... 연결면
12b, 14b ..... 상부면
12c, 14c ..... 조작슬릿
14 ..... 정회전 연동레버
16 ..... 역회전 연동링크
18 ..... 정회전 연동링크
20 .... 기준축
22 ..... 역회전 연동와이어
24 ..... 정회전 연동와이어
30 .... 스로틀 연결링크
32 ..... 장공
40 .... 스로틀레버
40b ..... 핀
44 ..... 회전축
Claims (5)
- 콤바인의 예취부에서 탈곡부로 곡간을 전달하는 피더케이스의 내부에서, 곡간을 탈곡부로 이송하는 정회전 방향 또는 정체된 곡간을 역방향으로 이송하는 역회전 방향으로 동력을 선택적으로 단속하는 정회전 클러치 및 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에 있어서;
기준축(20)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 일정 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상기 기준축(2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하나의 조작레버(10)와;
상기 조작레버(10)의 가로 방향 이동에 의하여 어느 일측이 선택되어 연동하도록 결합되고, 조작레버(10)의 양측에서 기준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정회전 연동레버 및 역회전 연동레버;
상기 조작레버의 회동에 의하여 정회전 연동레버 또는 역회전 연동레버가 연동하여 회동함에 따라서, 역회전 클러치 또는 정회전 클러치를 온/오프 시킬 수 있도록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연동레버와 각각 연결되는 정회전 연동부재 및 역회전 연동부재;
상기 조작레버의 이동을 안내하는 U형 슬롯이 성형된 컨트롤패널;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12)의 하단부와 후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에는 장공(32)이 성형된 스로틀 연결링크(30); 그리고
하단부가 상기 장공에 핀(40b) 연결되고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스로틀레버(40)로 구성되고;
상기 연동레버는 그 상부면에서 서로 대향하도록 성형된 조작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레버는 가로 방향의 좌우측 이동에 의하여 정회전 연동레버 또는 역회전 연동레버와 연동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상기 하나의 조작레버로 정회전 연동부재 또는 역회전 연동부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정회전 클러치 또는 역회전 클러치를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역회전 연동레버(12)가 역회전 클러치를 온 상태로 조작할 수 있는 상태로 이동하면 상기 스로틀레버는 스로틀레버에 의하여 이이들상태로 회동하고, 역회전 연동레버(12)가 중립 상태에서는 스로틀레버는 고 회전수 상태로 회동 가능한 콤바인의 정회전 및 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역회전 연동부재는, 역회전 연동레버의 중간 부분에 상단부가 핀연결된 역회전 연동링크와. 상기 역회전 연동링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역회전 연동와이어로 구성되고;
상기 정회전 연동부재는, 정회전 연동레버의 중간부분에 상단부가 핀연결된 정회전 연동링크와, 상기 정회전 연동링크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정회전 연동와이어로 구성되며;
상기 역회전 및 정회전 연동링크는 기준축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동와이어가 역회전 클러치 및 정회전 클러치와 연결되는 콤바인의 정회전 및 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286A KR101865651B1 (ko) | 2016-05-12 | 2016-05-12 | 콤바인의 정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8286A KR101865651B1 (ko) | 2016-05-12 | 2016-05-12 | 콤바인의 정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7761A KR20170127761A (ko) | 2017-11-22 |
KR101865651B1 true KR101865651B1 (ko) | 2018-06-08 |
Family
ID=60810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8286A KR101865651B1 (ko) | 2016-05-12 | 2016-05-12 | 콤바인의 정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5651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09589B2 (ja) * | 1997-07-25 | 2005-01-12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3859570B2 (ja) * | 2002-10-03 | 2006-12-20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4713536B2 (ja) * | 2007-04-20 | 2011-06-29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JP5681821B2 (ja) * | 2014-02-28 | 2015-03-11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
2016
- 2016-05-12 KR KR1020160058286A patent/KR10186565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09589B2 (ja) * | 1997-07-25 | 2005-01-12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3859570B2 (ja) * | 2002-10-03 | 2006-12-20 |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 コンバイン |
JP4713536B2 (ja) * | 2007-04-20 | 2011-06-29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JP5681821B2 (ja) * | 2014-02-28 | 2015-03-11 | 株式会社クボタ | コンバイン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3859570호(2006.12.20.) 1부.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7761A (ko) | 2017-11-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650513B1 (en) | Working machine | |
JP6790823B2 (ja) | 結束機 | |
US4512139A (en) | Drive reverser actuating mechanism | |
KR101865651B1 (ko) | 콤바인의 정역회전 클러치 조작장치 | |
JP2009220686A (ja) | 歩行型作業機 | |
JP2008000013A (ja) | コンバイン | |
KR102145216B1 (ko) | 콤바인의 예취부 구동장치 | |
KR102598595B1 (ko) | 클러치 조작 장치 | |
KR101792920B1 (ko) | 콤바인의 레이크릴 회전수 조절장치 | |
KR102090001B1 (ko) | 레이크릴 클러치 기능을 구비하는 콤바인의 동력 전달장치 | |
KR101710753B1 (ko) | 콤바인 | |
JP4724132B2 (ja) |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 |
JP2010121352A (ja) | 除雪機 | |
JP6467269B2 (ja) | 農作業機 | |
JP6514006B2 (ja) | 農作業機 | |
JP3734782B2 (ja) | コンバインのフロントコラム | |
KR101771356B1 (ko) |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 |
JP2010057458A (ja) | 移植機 | |
JP7548617B2 (ja) | 動力伝達を係脱するための操作装置及び同操作装置を用いた作業機 | |
JP4241723B2 (ja) | コンバインの刈取り部駆動構造 | |
KR20160089258A (ko) | 링크기구를 이용한 일체형 정역회전 장치를 갖는 콤바인 | |
JP5313957B2 (ja) | 収穫機の走行伝動装置 | |
JP2004149052A (ja) | 乗用形作業機の旋回操作構造 | |
KR101839674B1 (ko) | 보통형 콤바인의 예취부 역회전장치 | |
JP2007092909A (ja) | 変速操作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コンバイン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