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773B1 -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4773B1 KR101864773B1 KR1020170033930A KR20170033930A KR101864773B1 KR 101864773 B1 KR101864773 B1 KR 101864773B1 KR 1020170033930 A KR1020170033930 A KR 1020170033930A KR 20170033930 A KR20170033930 A KR 20170033930A KR 101864773 B1 KR101864773 B1 KR 1018647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area
- display
- additional
- unit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표시부에 출력되는 표시 영역, 표시부에 출력될 추가 표시 영역을 마련하고, 모션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하며, 이때 표시 영역과 추가 표시 영역에 각각 출력되는 항목들을 서로 연계하여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operat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display area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nd an additional display area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are provided and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s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display unit in accordance with a sensor signal generated from the motion sensor. And the items output respectively to the additional display area are linked and activa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에 출력되는 표시 영역 이외에 추가 표시 영역을 마련하고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an additional display area in addition to a display area output to a display unit and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to the display area based on a sensor signal .
최근 들어, 휴대 단말기는 이동성을 기반으로 폭넓은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휴대 단말기 중에 이동하면서도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전체 국민의 85% 이상이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가 매우 높은 휴대 단말기이다. 한편 이동통신 단말기는 화자 간의 통화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주요 기능으로 하면서도 다른 다양한 기능들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파일 재생 기능에 대응하는 MP3 기능을 가지기도 하고, 영상을 수집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에 대응하는 영상 수집 기능을 가지기도 한다. 또한, 종래 휴대 단말기의 경우 모바일 게임이나 아케이드 게임 등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지원하고 있다.In recent years, mobile terminals have been widely used based on mobility. Particularl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voice communication while moving in the mobile terminal is a mobile terminal having a very high popularity, such that more than 85% of the whole people are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anwhile,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s a function of transmitting / receiving call information between speakers, and may have various other functions. For example,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n MP3 function corresponding to a file playback function, and also has an image collection function corresponding to a digital camera capable of collecting images. In addition,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 function of performing a mobile game or an arcade game is supported.
한편 종래 휴대 단말기는 입력 신호 생성 방식으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여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터치스크린 방식, 키입력에 따라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키패드 방식 등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휴대 단말기의 주요 특징이 되는 휴대성 을 유지하기 위하여 표시부의 크기가 한정되기 때문에 표시 영역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단말기 사용을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법 및 장치의 제안이 요구되고 있다.Meanwhile, i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 touch screen method for generating a touch event by an input signal generation method to control the portable terminal, and a keypa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key input have been applied. However, since the size of the display unit is limited in order to maintain the portability of the portable terminal,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and an apparatus that can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display area and make the terminal more convenient and convenient.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부에 출력되는 표시 영역 이외에 추가 표시 영역을 마련하고,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특정 입력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출력 및 제거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operat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outputting and removing the additional display region on the display region on the basis of a specific input signal by providing an additional display region other than the display region output to the display unit .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은 표시부에 기 설정된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과, 기 설정된 센서 신호를 수집하는 수집 과정과, 상기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부에 기 설정된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teps of outputting a predetermined display area to a display unit, collecting a predetermined sensor signal, And outputting a predetermined display area preset in the display unit according to the display area.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 영역 운용 장치는 동작 상태에 따른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모션 센서와, 기 설정된 표시 영역과 상기 모션 센서로부터 발생하는 기 설정된 센서 신호에 따라 기 설정된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표시부와, 상기 센서 신호에 따라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operating a display area of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motion sensor for generating a sensor signal according to an operation stat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additional display area according to a set sensor signal,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output the additional display area according to the sensor signa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는 단순한 단말기 조작을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 기능을 빠르고 쉽게 운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the display unit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quickly and easily operate the user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rough simple operation of the termina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추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메뉴 및 위젯 등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기능을 빠르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quickly and easily perform a specific user function using a menu and a widget displayed in an additional display are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의 영역 설명을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명을 위한 화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표시부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region of a display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for explaining a user interfa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parts necessary for understand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the description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so as not to disturb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is not limited to the meaning of the terms in order to describe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주파수부(110), 입력부(120), 오디오 처리부(130), 모션 센서(170), 표시부(141)와 터치 패널(143)을 포함하는 터치스크린(140), 저장부(15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한다.1,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전원이 공급되면 상술한 각 구성을 초기화하며, 이때 사용자 설정에 따라 모션 센서(170)와 터치스크린(140)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기 설정된 스케줄 정보에 따라 표시부(141)에 대기 화면, 메뉴 화면, 위젯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런 환경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상기 모션 센서(170) 기반의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부(141)에 출력되고 있지 않은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141) 상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부(141) 상에 출력되는 추가 표시 영역은 다양한 메뉴 및 위젯 등을 포함하는 영역이 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추가 표시 영역에 표시된 메뉴 및 위젯을 이용하여 특정 사용자 기능을 간편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각 구성과 구성의 역할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When power is supplied, the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상기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통화 기능에 필요한 음성 신호 및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러한 신호 송수신을 위하여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송신되는 신호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 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 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다양한 메뉴 항목이나 위젯 항목에 링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특정 전화번호 등에 대응하는 사용자 정보를 포함하는 폰 북 항목, 웹 접속 기능에 대응하는 웹 접속 항목 등에 링크될 수 있다. 상기 웹 접속 항목은 웹 서버 접속 상태와 웹 서버로부터의 데이터 수신 및 출력 상태 등을 기준으로 메뉴 항목 또는 위젯 항목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폰 북 항목 및 웹 접속 항목은 추가 표시 영역에 아이콘(또는 이미지)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모션 센서(170)의 센싱 결과에 따라 표시부(141)에 출력될 수 있다. 추가 표시 영역이 상기 폰 북 항목 및 웹 접속 항목을 포함하여 표시부(141)에 출력된 후,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하는 입력 신호에 따라 특정 항목이 선택되면 상기 무선주파수부(110)는 특정 항목 선택에 따라 활성화될 수 있다. 추가 표시 영역의 출력과 특성 및 표시 형태에 대해서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상기 입력부(120)는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을 포함한다. 상기 기능키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사이드 키 및 단축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다수개의 키들을 포함하는 쿼티 키패드, 3*4 키패드, 4*3 키패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터치스크린(140)이 외관 전면에 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입력부(120)는 휴대 단말기(100) 외관에 배치된 사이드 키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20)는 터치스크린(140)에 키 맵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 신호, 추가 표시 영역에 포함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모션 센서(170)가 수집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에 출력하는 모드 및 상기 기울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쪽에 출력하는 모드 설정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The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상기 통화 시 송수신 되는 오디오 데이터, 송수신된 메시지에 포함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재생하기 위한 스피커(SPK)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 또는 기타 오디오 신호를 수집하기 위한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처리부(130)는 모션 센서(170)가 수집한 센서 신호에 따라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이 추가 표시 영역에 의하여 변경되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효과음을 제공할 수 있다.The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사용자로부터 숫자 또는 문자 정보를 입력받고 각종 기능들을 설정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키 및 기능키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과 좌표 값들을 설정하고, 터치 이벤트 발생 시 해당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기능키들에 대응하는 이미지들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방향키 이미지, 사이드 키 이미지 및 단축키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스크린(140)은 사용자 설정 및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어부(160)로 전달한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40)은 터치 패널(143)과 표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상기 표시부(141)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능에 따라 활성화되는 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1)는 부팅 화면, 대기 화면, 메뉴 화면, 위젯 화면, 통화 화면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1)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가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부(141)는 LCD 또는 OLED 제어부,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및 LCD 또는 OLED 표시소자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LCD 또는 OLED는 터치스크린(140) 방식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표시부(141) 화면은 터치 패널(143)과 함께 입력부(120)로 동작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1)는 표시 영역과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할 수 있다. The
상기 표시 영역은 사용자가 메뉴 화면을 선택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들을 출력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은 사용자가 설정한 적어도 하나의 위젯 항목을 출력하는 대기 화면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영역은 사용자가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의하여 지원되는 화면이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The display area may be an area for outputting at least one menu item when the user selects a menu screen. The display area may be an idle screen area for outputting at least one widget item set by the user. If the user activates a specific user function, the display area may be a region in which a screen supported by the user function activation is output.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은 가상의 영역으로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처리되어 표시 영역과 인접한 영역에 가상으로 할당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표시 영역은 특정 센서 신호 발생 이전에 표시부(141) 상에서 출력되지는 않지만 실질적으로는 해당 영역의 크기를 할당받게 된다.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 적어도 하나의 위젯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 적어도 하나의 파일 등에 대응하는 아이콘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은 표시부(141)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형태의 표시부(141)가 존재한다고 가정하면,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은 표시부(141) 전면을 기준으로 상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가상 영역에 배치되는 상측 추가 표시 영역, 좌측 또는 우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가상 영역에 배치되는 좌측 추가 표시 영역 또는 우측 추가 표시 영역, 하측 가장자리에 인접된 가상 영역에 배치되는 하측 추가 표시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과 추가 표시 영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additional display area may be an area that is processed as software as a virtual area and is virtually allocated to an area adjacent to the display area. This additional display area is not output on the
상기 터치 패널(143)은 사용자가 터치하는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와 터치 다운, 터치 업 또는 터치 드래그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터치 패널(143)은 휴대 단말기(100) 외관 전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표시부(141)가 배치되는 외관 전면에서 표시부(141)를 모두 덮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터치 패널(143)의 크기는 표시부(141) 크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터치 패널(143)은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 다운 이벤트, 특정 항목 선택을 유지하기 위한 홀드 이벤트, 특정 항목을 표시부(141)의 특정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터치 드래그 이벤트, 터치 다운 상태 후 또는 특정 위치 이동 후 터치 다운 상태를 해제함에 따른 터치 업 이벤트 등을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The
상기 모션 센서(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센서 예를 들면 중력 센서, 자이로 센서 및 가속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션 센서(17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임 방향을 감지하고, 그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모션 센서(170)는 휴대 단말기(100)가 초기화되는 시점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초기화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모션 센서(170)는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초기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션 센서(170)는 영역 변경 모드가 활성화될 때 휴대 단말기(100)의 현재 상태에 대한 센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션 센서(170)는 초기화 과정 동안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면과 수평으로 놓인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하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우 그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제어부(160)에 전달한다. The
이후 상기 모션 센서(170)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일정 각도만큼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를 초기화 상태로 참조하고 이후 발생하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임 동작에 따른 센서 신호를 수집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모션 센서(170)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 조작에 따라 다양한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모션 센서(170)는 사용자가 상기 초기화 상태를 기준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일정 각도만큼 좌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좌측 기울임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상기 모션 센서(170)는 우측 기울임 센서 신호, 상측 기울임 센서 신호, 하측 기울임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하좌우 방향의 기울임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모션 센서(170)는 모서리 방향 예를 들면 좌상측 모서리 방향, 우상측 모서리 방향, 좌하측 모서리 방향, 우하측 모서리 방향에 대응하는 각각의 기울임 센서 신호를 생성할 수 도 있다.Then, the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비롯하여, 터치스크린(140) 운용을 위한 터치 UI(User Interface) 운용 프로그램, 모션 센서(170) 운용을 위한 센서 운용 프로그램, 사용자 데이터 등을 저장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상기 기울임 센서 신호 및 터치 이벤트들을 임시 저장하는 버퍼링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저장부(150)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The
상기 프로그램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휴대 단말기(100)의 기타 사용자 기능 예컨대, 소리 재생 기능, 이미지 또는 동영상 재생 기능, 파일 검색 기능, 카메라 기능,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등 다양한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카메라 기능 지원을 위한 카메라 모듈, 근거리 무선통신 기능 지원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프로그램 영역은 영역 변경 모드 지원 응용 프로그램, 추가 표시 영역 설정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The program area includes an operating system (OS) for booting the
상기 영역 변경 모드 지원 응용 프로그램은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제어부(160)에 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영역 변경 모드 지원 응용 프로그램은 모션 센서(170)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하여 센서 신호를 감지하는 루틴, 모션 센서(17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모션 센서(170)가 수집하는 센서 신호의 종류를 판단하는 루틴, 센서 신호의 종류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는 표시 영역 관리 루틴, 추가 표시 영역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메뉴 항목, 위젯 항목, 파일 항목 등을 활성화하는 기능 제어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제어 루틴은 추가 표시 영역에 포함된 항목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항목에 대응하는 응용 프로그램을 호출하고 활성화하는 루틴이 될 수 있다. 상술한 각 루틴들은 영역 변경 모드 진입 시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상술한 각 기능들을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생성할 수 있다.The area change mode supporting application program may be loaded into the
상기 추가 표시 영역 설정 응용 프로그램은 사용자가 메뉴 항목을 선택하거나 특정한 입력 신호 또는 특정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160)에 로드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표시 영역 설정 응용 프로그램은 추가 표시 영역의 크기를 조정하는 루틴, 입력 신호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에 항목을 추가, 삭제 및 변경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ditional display area setting application program may be loaded into the
상기 데이터 영역은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으로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 데이터들 예컨대, 폰 북 정보, 사진, 그림 이미지, 컨텐츠 또는 사용자 데이터들에 대응하는 정보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은 표시 영역에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항목들에 대한 정보, 추가 표시 영역의 범위에 대한 정보,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될 적어도 하나의 항목들에 대한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The data area corresponds to user data of the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 및 각 구성들의 활성화와, 각 구성들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 흐름을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영역 변경 모드 지원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어부(160)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2 is a detailed block diagram of a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센서 감지부(161), 표시 영역 관리부(163) 및 기능 제어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2, the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모션 센서(170) 및 터치스크린(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 및 터치 이벤트와 같은 신호를 수집한다. 그리고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해당 신호의 종류를 판단한 후 이를 표시 영역 관리부(163)에 전달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영역 변경 모드 진입 시 모션 센서(17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수집하고, 현재 수집된 센서 신호를 모션 센서(170)의 초기화 상태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 동작에 따라 발생하는 센서 신호를 모션 센서(170)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센서 신호가 어떠한 종류의 센서 신호인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모션 센서(170)가 전달한 센서 신호가 좌측 기울임 센서 신호, 우측 기울임 센서 신호, 상측 기울임 센서 신호, 하측 기울임 센서 신호, 대각선 방향 기울임 센서 신호 중 어떤 센서 신호인지를 판별한다. 이후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판별된 센서 신호의 종류에 대응하는 정보를 표시 영역 관리부(163)에 전달한다.The
또한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터치스크린(140)으로부터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확인하고 해당 터치 이벤트를 표시 영역 관리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 정보, 터치 이벤트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표시 영역 관리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터치스크린(140)의 특정 영역을 터치 다운하고 일정 시간 동안 터치 다운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터치 다운이 발생한 위치 정보와 터치 다운 상태가 유지됨에 따른 홀드 이벤트를 표시 영역 관리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 감지부(161)는 홀드 이벤트뿐만 아니라, 드래그 이벤트, 플릭 이벤트, 탭 이벤트 등 다양한 터치 이벤트와 각 터치 이벤트가 발생한 위치 정보를 표시 영역 관리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Also, the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센서 감지부(161)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 및 터치 이벤트를 기반으로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 관리와 추가 표시 영역 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대기 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대기 화면에 포함된 요소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기 설정한 메뉴 항목이나 위젯 항목 또는 파일 항목 등을 표시 영역 상에 출력하도록 관리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상기 센서 감지부(161)로부터 표시 영역 상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지시하는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면 이를 기능 제어부(165)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기능 제어부(165)가 특정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기능 활성화에 의하여 표시부(141) 상에 출력될 화면을 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 제어부(165)가 사용자 입력에 따라 메시지 작성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메시지 작성을 위한 메시지 작성창이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 상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센서 감지부(161)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의 표시 또는 제거 여부를 관리한다. 예를 들어 대기 화면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좌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센서 감지부(161)로부터 좌측 기울임 센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표시부(141)의 전면을 기준으로 표시부(141)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좌측 방향으로 일정 면적을 가지는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부(141)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추가 표시 영역은 표시부(141) 상에 출력되어 있는 표시 영역 일부를 밀어내며 출력되거나, 표시 영역 상에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표시부(141)의 우측 영역에 출력되거나 표시부(141)의 우측 일정 영역에서 희미하게 시작된 표시 형태가 점진적으로 명확하게 표시되는 페이드 인(Fade-in) 방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이 표시 영역을 밀어내면서 표시부(141)에 출력되는 경우 표시부(141)에 출력되던 표시 영역의 좌측 일정 영역은 표시부(141)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추가 표시 영역이 표시부(141)에 출력되는 만큼 표시 영역의 일부 영역을 표시부(141)로부터 제거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추가 표시 영역이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출력된 추가 표시 영역을 자동으로 표시부(141)에서 제거하고 최초 출력된 표시 영역을 복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부(141)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터치 하여 표시부(141) 바깥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대한 터치 이벤트, 추가 표시 영역을 제거하기 위한 특정 키 입력 신호, 일정 방향으로 휴대 단말기(100)를 기울이는 동작 등을 포함할 수 도 있다.The display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부(141)에 출력할 때 기 설정된 모드를 확인하고, 해당 모드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의 출력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모션 센서(170)가 수집하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임 방향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해당 기울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에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기울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쪽에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제2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현재 설정이 어떠한 모드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현재 설정이 제1 모드인 경우 모션 센서(170)로부터 기울임 방향에 대한 센서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방향과 반대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현재 설정이 제2 모드인 경우 모션 센서(170)로부터 기울임 방향에 대한 센서 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상술한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설정을 위한 메뉴 항목을 사용자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상기 기능 제어부(165)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추가 표시 영역에 포함된 다양한 메뉴 항목, 위젯 항목, 파일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되고 활성화 요청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이다. 특히 상기 기능 제어부(165)는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 상에 출력된 특정 항목 예를 들면 음악 파일 항목을 추가 표시 영역에 포함된 메뉴 항목을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40) 또는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에 출력된 항목들 중 상기 음악 파일 항목을 선택하는 터치 이벤트 또는 입력 신호를 생성한 후, 모션 센서(170)를 기반으로 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표시 영역 관리부(163)는 센서 감지부(161)로부터 센서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고 그에 따라 특정 항목을 포함하는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사용자는 선택한 음악 파일을 추가 표시 영역에 존재하는 메뉴 항목 예를 들면 뮤직 플레이어에 겹쳐지도록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거나, 입력부(120)를 이용하여 뮤직 플레이어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기능 제어부(165)는 이러한 터치 이벤트 또는 입력 신호와 같은 인터랙션들이 발생하면 상기 선택된 음악 파일 항목을 뮤직 플레이어를 기반으로 실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능 제어부(165)는 상기 뮤직 플레이어에 의하여 선택된 음악 파일이 실행되는 경우 추가 표시 영역이 센서 신호 기반으로 표시부(141)에 출력되는 상기 영역 변경 모드를 자동으로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 제어부(165)는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기 설정된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가 생성되면 상기 영역 변경 모드를 해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는 표시 영역 이외에 추가 표시 영역을 마련하고,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100) 조작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항목들을 편리하게 검색 및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표시 영역과 추가 표시 영역과의 관계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1)에 출력되도록 설정된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n area set to be output to the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41)에 출력을 위하여 설정된 영역은 크게 표시 영역(145)과 추가 표시 영역(C)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영역(145)은 물리적으로 구성된 표시부(141) 상에 출력되는 실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은 센서 신호 발생에 따라 표시부(141)에 출력되도록 설정된 가상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 영역(145)은 센서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지속적으로 표시부(141) 상에 출력될 수 있도록 설정된 계속 표시 영역(A)과, 센서 신호 발생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C)과 위치가 변경되는 변경 표시 영역(B)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an area set for outputting to the
상기 계속 표시 영역(A)은 센서 신호가 발생하여 추가 표시 영역(C)과 변경 표시 영역(B)의 위치가 바뀌더라도 표시부(141) 상에서 계속하여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센서 신호가 발생하여 추가 표시 영역(C)이 표시 영역(145)에 출력되면 변경 표시 영역(B)은 표시부(141)에서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추가 표시 영역(C)과 변경 표시 영역(B)의 크기는 동일하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센서 신호가 발생하더라도 변경 표시 영역(B)만 표시부(141) 상에서 제거되기 때문에 상기 계속 표시 영역(A)은 그 위치가 센서 신호에 따라 변경되더라도 표시부(141) 상에서 계속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계속 표시 영역(A)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 표시 영역(B)들의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이 표시 영역(145)의 일부 영역에 오버레이 되면서 출력되는 경우 상기 계속 표시 영역(A) 및 변경 표시 영역(B)은 표시부(141)에서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The continuation display area A may be an area continuously output on the
상기 변경 표시 영역(B)은 계속 표시 영역(A)을 중심으로 계속 표시 영역(A)의 외곽 즉 가장자리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변경 표시 영역(B)은 좌측 변경 표시 영역(B1), 우측 변경 표시 영역(B3), 상측 변경 표시 영역(B2), 하측 변경 표시 영역(B4)을 포함하며, 각 변경 표시 영역(B)은 일정 영역이 서로 공유될 수 있다. 이러한 공유된 변경 표시 영역(B)들의 모서리 영역은 두 개의 센서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여 표시부(141)에서 제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 표시 영역(B) 중 우상측 모서리 영역은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이 표시 영역(145)에 출력되거나 좌측 추가 표시 영역(C1)이 표시 영역(145)에 출력되기 위한 센서 신호가 발생하는 경우 표시 영역(145)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한편 센서 신호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C)이 표시 영역(145)의 일정 영역과 오버레이 되도록 출력되는 경우 상기 변경 표시 영역(B)은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는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추가 표시 영역(C1)이 표시부(141)에 출력되는 경우 좌측 변경 표시 영역(B1)이 좌측 추가 표시 영역(C1) 아래에 위치하여 보이지 않게 될 수 있다.The change display area B is positioned at the outer edge of the display area A, that is, the edge area, with the continuous display area A as the center. Accordingly, the change display area B includes the left change display area B1, the right change display area B3, the upper change display area B2, and the lower change display area B4, B may share certain regions. The corner areas of these shared change display areas B can be removed from the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은 상기 변경 표시 영역(B)과 인접된 영역에 가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역이다. 즉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은 좌측 변경 표시 영역(B1)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추가 표시 영역(C1), 우측 변경 표시 영역(B3)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 상측 변경 표시 영역(B2)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측 추가 표시 영역(C2), 하측 변경 표시 영역(B4)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표시 영역(C)의 크기는 사용자 설정 또는 항목들의 개수나 크기 등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으며, 추가 표시 영역(C)에 포함되는 메뉴 항목이나 위젯 항목 또는 파일 항목 등도 추가 표시 영역 설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The additional display area (C) is an area virtually set in an area adjacent to the change display area (B). That is, the additional display region C includes a left additional display region C1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left change display region B1, a right additional display region C3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right change display region B3, An upper side additional display region C2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hange display region B2 and a lower side additional display region C4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side change display region B4. The size of the additional display area C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setting or the number and size of the items, and menu items, widget items, file items, and the like included in the additional display area C may be changed us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setting program And can be changed by user sett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표시부(141)에 출력되도록 설정되는 영역은 현재 표시부(141)에 출력되고 있는 계속 표시 영역(A)과 현재 표시부(141)에 출력되었다가 센서 신호에 따라 제거되는 변경 표시 영역(B) 및 현재 표시부(141)에 출력되지 않다가 센서 신호에 따라 출력되는 추가 표시 영역(C)을 포함함으로써, 표시 영역(145)의 확장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The area set to be output to the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영역 운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operating a display area of the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 공급을 위한 휴대 단말기(100) 조작을 수행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단말기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141)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표시부(141)는 401 화면에서와 같이 4개의 항목 "A, B, C, D"가 포함된 대기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4개의 항목 "A, B, C, D"는 특정한 메뉴 항목, 위젯 항목, 파일 항목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41)에 출력된 4개의 항목 "A, B, C, D"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되거나, 항목의 개수가 조정될 수 도 있다.4, when the user performs an operation of the
한편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좌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모션 센서(170)는 좌측 기울임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403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1)에 출력되고 있는 표시 영역(145)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이전에 표시부(141)에 출력되던 표시 영역(145)의 이동에 따라 "A" 항목을 포함한 좌측 변경 표시 영역(B1)을 표시부(141)로부터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을 표시 영역(145)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표시부(141) 상에 5개의 항목 "B, C, D, E, F"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F" 항목은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에 포함되어 있던 항목들이다.Meanwhile, when the user tilts to the left by operating the
상기 사용자가 401 화면과 같은 상태에서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휴대 단말기(100)를 상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모션 센서(170)는 상측 기울임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405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1)에 출력되고 있는 표시 영역(145)을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측 변경 표시 영역(B2) 상에 출력되고 있는 3개의 항목 "A, B, C"는 표시부(141)에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에 포함되어 있던 항목 "G, H"를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60)는 표시부(141)에 3개의 항목 "G, H, D"가 출력되도록 제어한다.When the user tilts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현재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145) 상에 출력되지 않는 항목들을 추가 표시 영역(C)에 할당하고, 센서 신호에 따라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표시부(141)를 확장하여 사용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 영역 활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utilizing the display area of the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전원이 공급되면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메뉴를 확인하기 위한 항목을 선택하면 501 화면에서와 같이 메뉴 화면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41)는 일정 항목들 즉 "파일 검색" 항목, "카메라 기능" 항목 등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특정 항목 예를 들면 "파일 검색" 항목을 지정하기 위하여 입력 신호를 생성하거나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표시부(141)는 지정된 항목에 대하여 해당 항목이 지정되었음을 알리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지정된 항목에 대한 서브 항목을 확인하기 위한 "확인"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입력부(120) 또는 터치스크린(140) 등으로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그러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파일 검색" 항목에 포함된 서브 항목들 예를 들면 "a, b, c, d, e, f, g" 항목들을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 b, c, d, e, f, g" 항목들은 "파일 검색" 항목의 서브 항목들로서 음악 파일, 영상 파일, 텍스트 파일 등에 대응하는 항목들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a, b, c, d, e, f, g" 항목들은 상기 "파일 검색" 항목과 관련된 사용자 기능을 지시하는 서브 항목들이 될 수 도 있다.Then, the
한편 503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개수의 항목들이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145)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503 화면에서 "f" 항목을 터치 다운하는 터치 다운 이벤트를 터치스크린(140)을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터치 다운 상태를 유지하는 홀드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홀드 이벤트 생성과 함께 휴대 단말기(100)를 일정 방향 예를 들면 좌측 방향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다운 그리고 홀드 이벤트를 생성하여 "f" 항목을 선택한 후 좌측 기울임 센서 신호를 모션 센서(170)가 생성하도록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505 화면에서와 같이 추가 표시 영역(C)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generate various input signals in a state in which a certain number of items are output to the
505 화면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부(160)는 503 화면에서 출력되던 표시 영역(145)을 유지하고, 추가 표시 영역(C) 특히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을 상기 표시 영역(145) 우측 일정 영역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41)는 표시 영역(145) 상에 "a, b, c, e, f, g" 항목들을 출력할 수 있으며,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에는 특정 아이콘 예를 들면 휴지통 아이콘(201) 및 메시지 아이콘(203)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에 출력되는 휴지통 아이콘(201) 및 메시지 아이콘(203)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며,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 상에 출력되는 항목들의 개수 또한 사용자 설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503 화면에서 "f" 항목에 대한 홀드 이벤트를 계속해서 유지하다가 505 화면에서와 같이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이 출력되면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에 출력된 항목들과 연계하여 특정 사용자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f" 항목을 드래그하여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에 출력되고 있는 휴지통 아이콘(201) 또는 메시지 아이콘(203)과 중첩되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f" 항목에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와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f" 항목의 위치가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의 특정 위치 예를 들면 휴지통 아이콘(201)과 중첩되도록 배치되고 해당 위치에서 기 설정된 터치 이벤트 예를 들면 터치 업 이벤트가 생성되는 것을 터치스크린(140) 기반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f" 항목을 휴지통 아이콘(201)의 사용자 기능에 따라 처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60)는 "f" 항목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f" 항목을 메시지 아이콘(203)과 중첩되도록 배치키시고 기 설정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f" 항목을 포함하는 메시지 작성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한편 503 화면에서와 같이 일정 개수의 항목들이 표시부(141)의 표시 영역(145)에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특정 항목 예를 들면 "f" 항목을 터치 다운한 후 홀드 이벤트를 터치스크린(140)을 기반으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를 상측으로 기울이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60)는 507 화면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터치 다운 이벤트 및 홀드 이벤트를 생성하여 선택한 "f" 항목을 표시부(141)의 특정 위치에 고정시키고 표시 영역(145)을 이동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선택된 "f" 항목의 위치가 표시부(141) 상에서 변동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한편 표시 영역(145)은 상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에 근거리 통신 모듈 기능 지원을 위한 BT 아이콘(205)과 파일 편집 기능 지원을 위한 편집 아이콘(207)이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제어부(160)는 상기 BT 아이콘(205)과 편집 아이콘(207)을 표시부(141)에 출력된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표시부(141)는 "e, f, g" 항목을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고 상기 BT 아이콘(205)과 편집 아이콘(207)을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에 출력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in which a certain number of items are output to the
한편 상술한 설명에서는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터치 다운 이벤트 및 홀드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입력부(120)에서 생성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서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user generates the touchdown event and the hold event to select a specific item,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1) 운용 장치는 센서 신호 발생에 따라 표시 영역(145)을 이동하거나 추가 표시 영역(C)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더라도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생성되는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에 의해 선택된 특정 항목을 표시부(141)에서 이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특정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후 센서 신호 생성을 위한 휴대 단말기(100) 조작을 통하여 추가 표시 영역(C)이 제공하는 특정 메뉴를 이용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of the
한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설명하는 도 4 및 도 5에서는 기울임 방향의 반대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 추가 표시 영역이 출력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100)가 기울어지는 방향 쪽에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좌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좌측 추가 표시 영역(C1)이 표시부(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우측으로 기울이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이 표시부(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상측으로 또는 하측으로 일정 각도 이상 기울이는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상측 추가 표시 영역(C2) 또는 하측 추가 표시 영역(C4)을 표시부(141)의 일정 영역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기울어지는 방향 쪽에 출력될 추가 표시 영역(C)을 표시 영역(145) 상측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하거나 표시 영역(145)을 밀어내면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4 and 5, which illustrate the user interface, an additional display area is output in a certain area of the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기울임 방향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는 방향을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기울임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서 추가 표시 영역(C)을 출력하는 모드 및 기울임 방향의 반대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서 추가 표시 영역(C)을 출력하는 모드를 입력 신호에 따라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기울임 방향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C) 출력 방향 결정을 지정할 수 있는 메뉴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가 제공하는 메뉴를 이용하여 자신이 원하는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서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기울임 방향에 대응하는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서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모션 센서(170)로부터 수집되는 기울임 방향에 대응하여, 해당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기울임 방향에 반대 방향 쪽에서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도록 설정할 경우,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모션 센서(170)로부터 수집되는 기울임 방향과 반대 방향 쪽 표시부(141) 일정 영역에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휴대 단말기(100)는 추가 표시 영역(C) 출력 방향을 입력부(120)의 특정 키를 이용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즉 휴대 단말기(100)는 설계자의 설계 방식이나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특정 키에 추가 표시 영역(C) 출력 방향을 조정할 수 있는 기능을 매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해당 특정 키를 운용하여 추가 표시 영역(C)의 출력 방향을 변환할 수 있다. 상기 특정 키는 기울임 방향과 대응하는 방향으로의 추가 표시 영역(C) 출력 기능 설정과 기울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의 추가 표시 영역(C) 출력 기능 설정을 할 수 있는 키로서 토글 키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1) 운용을 위한 장치의 각 구성과 기능 및 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1) 운용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s of the device for operating the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1)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operating the
상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부(141) 운용 방법은 먼저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60)가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휴대 단말기(100) 각 구성을 초기화하고 기 설정된 스케줄에 따라 601 단계에서와 같이 표시부(141)에 기 설정된 대기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기 설정된 정보에 따라 대기 화면 상에 특정 항목들 예를 들면 메뉴 항목, 위젯 항목, 파일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 설정이나 사용자 요청에 따라 상기 특정 항목들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ethod of operating the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603 단계에서 영역 변경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603 단계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가 영역 변경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상기 제어부(160)는 6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통화 연결 기능, 파일 검색 기능, 카메라 기능, 메시지 작성 기능, 웹 접속 기능 등 입력 신호에 따른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해당 기능들이 종료되면 상기 제어부(160)는 601 단계로 복귀하여 이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한편 603 단계에서 생성된 입력 신호가 영역 변경 모드 진입을 위한 입력 신호인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영역 변경 모드를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영역 변경 모드 지원을 위해 필요한 모션 센서(170) 활성화를 제어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센서 신호 발생에 따라 추가적으로 표시부(141) 상에 출력될 수 있는 추가 표시 영역(C)을 마련한다. 여기서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은 표시부(141) 상에 출력되지는 않지만 가상의 영역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역이다.If the input signal generated in
다음으로 상기 제어부(160)는 607 단계에서 표시부(141) 상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특정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가 발생하면, 선택된 항목을 609 단계에서와 같이 표시부(141)에 고정시키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표시부(141)에 출력된 메시지 항목을 선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160)는 메시지 항목에 대응하는 아이콘이 표시부(141) 상에 출력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설정한다.In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611 단계에서 기울임 센서 신호가 발생하는 여부를 확인한다. 즉 상기 제어부(160)는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100)를 조작하여 특정 방향으로 기울이는 경우 모션 센서(170)를 기반으로 특정 방향에 대응하는 센서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휴대 단말기(100)의 기울임 방향에 따라 모션 센서(170)로부터 전달되는 센서 신호를 기반으로 좌측 기울임 센서 신호, 우측 기울임 센서 신호, 상측 기울임 센서 신호, 하측 기울임 센서 신호, 대각선 기울임 센서 신호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611 단계에서 별도의 센서 신호 검출이 없는 경우 6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라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In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611 단계에서 특정 방향으로의 기울임 센서 신호가 발생하면, 613 단계로 분기하여 기울임 센서 신호에 따른 영역 변경을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60)는 좌측 기울임 센서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표시부(141)에 출력된 표시 영역(145)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며, 좌측으로 표시 영역(145)이 이동된 만큼 우측 추가 표시 영역(C3)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60)는 하측 기울임 센서 신호가 발생하면 현재 표시부(141)에 출력된 표시 영역(145)을 하측으로 이동시키며, 하측으로 표시 영역(145)이 이동된 만큼 상측 추가 표시 영역(C2)을 표시부(14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60)는 표시부(141)에 출력되고 있는 표시 영역(145)의 이동을 수행하지 않고, 기울임 방향에 따른 추가 표시 영역(C)만을 표시 영역(145) 상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60)는 우측 기울임 센서 신호가 검출되면, 좌측 추가 표시 영역(C1)을 표시 영역(145)의 좌측 영역 상부에 오버레이 시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60)는 상술한 추가 표시 영역(C) 표시를 수행하면서 추가 표시 영역(C)에 포함되어 있는 기 설정되어 있는 항목들을 해당 추가 표시 영역(C)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되어 있는 항목은 메뉴 항목, 위젯 항목, 파일 항목 중 적어도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60)는 표시 영역(145)이 표시부(141) 상에서 이동되는 경우 표시 영역(145) 상에 출력되던 항목들도 함께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609 단계에서 고정된 항목은 표시부(141) 상에서 이동시키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tilt sensor signal is generated in the specific direction in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615 단계에서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활성화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입력부(120) 및 터치스크린(140)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표시 영역(145) 또는 추가 표시 영역(C)에 출력된 항목들을 선택하고 활성화하고자 하는 경우 선택된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60)는 609 단계에서 선택한 특정 항목과 615 단계에서 선택된 항목을 서로 연계하여 특정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607 단계에서 메시지 항목을 선택한 후, 611 단계에서 휴지통 기능을 가지는 항목을 포함하는 추가 표시 영역(C)을 표시 영역(145)에 출력하기 위한 조작을 수행하면 휴대 단말기(100)는 해당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것으로 가정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지통 기능의 항목을 이용하기 위한 입력 신호나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면 상기 제어부(160)는 상기 메시지 항목을 제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에 출력된 특정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n, the
615 단계 이후 상기 제어부(160)는 활성화된 기능의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별도의 종료를 위한 신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60)는 615 단계로 복귀하여 해당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After
한편 상기 표시부(141) 상에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된 이후 사용자는 추가 표시 영역(C)이 발생한 반대 방향의 센서 신호 생성을 위한 단말기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60)는 표시부(141)에 출력된 추가 표시 영역(C)을 제거하고 최초 출력된 표시 영역(145)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추가 표시 영역(C)이 출력된 이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최초 출력된 표시 영역(145)이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을 표시부(141)에서 제거하기 위한 기 설정된 조건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C)을 표시부(141) 상에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추가 표시 영역(C)을 터치 하여 표시부(141) 바깥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동작에 대한 터치 이벤트, 특정 키 입력 신호 등을 포함할 수 도 있다.On the other hand, after the additional display area C is outputted o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표시부(141) 운용 방법은 사용자 제어에 따라 추가 표시 영역(C)을 표시부(141) 상에 출력하도록 제어하여 표시 영역(145)을 확장하도록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메뉴나 파일 등을 선택하고 활성화하도록 지원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operating the
상술한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전술한 바와 같이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피사체의 정지영상/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모듈,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모션 센서(170)를 포함하는 모든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이상 본 발명을 몇 가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제시된 권리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균등론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수정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several preferred embodiments, these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Claims (20)
계속 표시 영역과 둘 이상의 변경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표시부에 출력하는 과정;
상기 표시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른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입력 신호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계속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계속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계속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일정 방향에 위치하는 변경 표시 영역에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이 출력된 후에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터치하여 상기 표시부 바깥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추가 표시 영역 출력 전의 상기 표시 영역을 다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A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unit of a portable terminal,
Outputting a display area including a continuous display area and two or more change display areas to a display unit;
Detecting an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while the display area is output;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to the change display area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based on the continuous display area while continuously outputting the continuous display area to the display part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input signal; And
And a step of remov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and outputting the display area again before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upon receiving a touch event in which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s touched and dragged to the outside of the display part after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s output Methods of inclusion.
상기 입력 신호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휴대 단말기가 일정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기울어지는 것을 감지하는 과정; 및
상기 일정 방향으로의 기울어짐에 대응하는 기울어짐에 따른 센서 신호를 생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rocess of detecting the input signal
Detecting a til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nd generating a sensor signal corresponding to an inclination cor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일정 방향과 반대 또는 대응하는 방향의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에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및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과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part in a direction opposite or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nd
Overlay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on the display area and outputting the overlay; ≪ / RTI >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변경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의 소정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영역을 변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Wherein the display area is displaced by moving the change display area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 siz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dditional display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part.
입력부를 통해 특정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 및
상기 특정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일정 방향과 반대 방향 쪽에 출력하는 모드 및 상기 일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쪽에 출력하는 모드를 상기 특정 입력 신호에 따라 설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Receiving a specific input signal through an input unit; And
Setting a mode for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input signal and a mode for outputt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input signal .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추가 표시 영역 상에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표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displaying at least one item on the display area and the additional display area.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에 따라 상기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는 과정; 및
상기 선택된 특정 항목을 현재 출력되고 있는 표시부 위치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Selecting a specific item output in the display area according to a preset input signal or a touch event; And
And fixing the selected specific item to the display unit position currently being output.
상기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And activating a user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tem output in the additional display area based on the selected specific item when activating a specific item output in the additional display area.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은
표시 메뉴, 위젯,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dditional display area
A display menu, a widget, and a file.
터치 패널;
표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계속 표시 영역과 둘 이상의 변경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표시 영역이 출력되는 동안의 상기 휴대 단말기의 일정 방향으로의 움직임에 따른 상기 입력 신호를 상기 모션 센서를 통해 검출하고,
상기 입력 신호의 검출에 대응하여, 상기 계속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에 계속적으로 출력하면서, 상기 계속 표시 영역을 기준으로 상기 일정 방향에 위치하는 변경 표시 영역에 추가 표시 영역을 출력하며,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이 출력된 후에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터치하여 상기 표시부 바깥 방향으로 드래그하는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면,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제거하고 상기 추가 표시 영역 출력 전의 상기 표시 영역을 다시 출력하는 휴대 단말기.
A motion sensor for detecting a tilt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generating an input signal corresponding to a tilt corresponding to the tilting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Touch panel;
A display section; And
And a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A display area including a continuous display area and two or more change display areas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
Detecting the input signal according to movement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during the output of the display area through the motion sensor,
In response to the detection of the input signal, continuously outputting the continuous display region to the display unit and outputting an additional display region in the change display region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direction with reference to the continuous display region,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after the additional display area has been output and receiving the touch event to which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s dragged in the outward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by touch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되는 기 설정된 특정 항목들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 storage unit for storing predetermined specific items to be output to the display area and the additional display area.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의 선택, 이동 또는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의 선택, 이동 또는 활성화를 위한 터치 이벤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13. The method of claim 12,
Further comprising an input unit for generating an input signal for selecting, moving or activating a specific item output to the display area and the additional display area,
The touch panel
And generates a touch event for selecting, moving or activating a specific item output in the display area and the additional display area.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정 방향과 반대 또는 대응하는 방향의 상기 표시부의 일정 영역에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표시 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 영역 상에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display unit in a direction opposite or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nd controls the display unit to overlay the additional display area on the display area and output the overlay.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변경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된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의 소정 영역에 대응하는 크기만큼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표시 영역을 변위시켜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And displaces the display area so as to display the additional display area on the display unit by moving the change display area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by a siz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area of the additional display are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특정 입력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특정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을 상기 일정 방향과 반대 방향 쪽에 출력하는 모드 및 상기 일정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 쪽에 출력하는 모드를 상기 특정 입력 신호에 따라 설정하는 휴대 단말기.
15. The method of claim 14,
The control unit
Upon receiving a specific input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sets a mode for outputting the additional display area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mode for outputting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certain direction according to the specific input signal according to the specific input signal.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영역 및 상기 추가 표시 영역 상에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상기 표시부 상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추가 표시 영역은
표시 메뉴, 위젯, 및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at least one item on the display area and the additional display area on the display part,
The additional display area
A display menu, a widget, and a fi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터치 패널을 통해, 미리 설정된 입력 신호 또는 터치 이벤트를 수신하여 상기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특정 항목을 현재 출력되고 있는 표시부 위치에 고정시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14. The method of claim 13,
The control unit
Receiving a preset input signal or a touch event through the input unit or the touch panel, selecting a specific item output in the display area,
And controls the selected specific item to be displayed by being fixed to the position of the display unit currently being outpu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을 활성화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특정 항목을 기반으로 상기 추가 표시 영역에 출력된 특정 항목에 대응하는 사용자 기능을 활성화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19. The method of claim 18,
The control unit
And activates a user function corresponding to a specific item output in the additional display area based on the selected specific item when activating a specific item output in the additional display area.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930A KR101864773B1 (en) | 2017-03-17 | 2017-03-17 |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33930A KR101864773B1 (en) | 2017-03-17 | 2017-03-17 |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1962A Division KR20110055088A (en) | 2009-11-19 | 2009-11-19 |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3840A KR20170033840A (en) | 2017-03-27 |
KR101864773B1 true KR101864773B1 (en) | 2018-07-04 |
Family
ID=58497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33930A KR101864773B1 (en) | 2017-03-17 | 2017-03-17 |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4773B1 (en) |
-
2017
- 2017-03-17 KR KR1020170033930A patent/KR101864773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33840A (en) | 2017-03-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055088A (en) |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US10013098B2 (en) | Operat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based on touch and movement inputs and portab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
EP2987068B1 (en) | Method for adjusting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 |
KR101788051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102020345B1 (en) | The method for constructing a home screen in the terminal having touchscreen and device thereof | |
KR101613838B1 (en) | Home Scree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Portable Device | |
KR102207861B1 (en) | Method for displaying and an electronic device thereof | |
US20100088654A1 (en) | Electronic device having a state aware touchscreen | |
KR102251834B1 (en) | Method for displaying in electronic device | |
US20130009890A1 (en) | Method for operating touch navigation function and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
KR102216123B1 (en) | Methed and device for switching task | |
KR20150026109A (en) | Multiple-display method,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JP2012530385A (en) | Screen display management method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 |
KR20130093043A (en) |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user interface for touch and swipe navigation | |
KR20110093097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editing of list in portable terminal | |
KR20110041915A (en) | Terminal and method for displaying data thereof | |
EP2891970A1 (en) | Method for providing glance information,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device | |
KR101530546B1 (en) | Input Device For Portable Device And Method thereof | |
EP2587356A2 (en) | Controlling method for basic screen and portable device therefore | |
KR20130081535A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
KR101864773B1 (en) | Operation Method For Display of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102157621B1 (en) | Portable apparatus and method for sharing content thereof | |
KR2015001891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lay item of electronic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